KR102038010B1 - 야외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야외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010B1
KR102038010B1 KR1020190074815A KR20190074815A KR102038010B1 KR 102038010 B1 KR102038010 B1 KR 102038010B1 KR 1020190074815 A KR1020190074815 A KR 1020190074815A KR 20190074815 A KR20190074815 A KR 20190074815A KR 102038010 B1 KR102038010 B1 KR 10203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vertical
support
horizonta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06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glass or other translucent material; Fix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H05B33/086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파가 많이 모이는 신호등, 버스승강장, 역 주변과 같은 야외에 폭염과 열섬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야외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지지프레임,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을 통한 구조물에서 미립자화된 냉각수가 지면과 공중에 골고루 분사됨과 아울러 빛이 발광되어 주변 공기를 신속히 기화시켜 온도를 낮춰주고, 주위 야경에 심미감을 더해주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야외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외용 냉각장치{An outdoor cooling fog}
본 발명은 인파가 많이 모이는 신호등, 버스승강장, 역 주변과 같은 야외에 폭염과 열섬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야외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지지프레임,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을 통한 구조물에서 미립자화된 냉각수가 지면과 공중에 골고루 분사됨과 아울러 빛이 발광되어 주변 공기를 신속히 기화시켜 온도를 낮춰주고, 주위 야경에 심미감을 더해주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야외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섬현상(heat island)은 도시의 산업발달과 인구의 밀집으로 인해 공장, 난로, 굴뚝 등에서 각종 기체가 뿜어지게 되면서 열기와 기체의 과잉으로 인해 농촌지역보다 도시지역이 더 더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열섬현상의 주요원인으로는 첫째, 시멘트로 된 건축물 및 아스팔트 도로의 어두운 색상으로 인해 태양열에 쉽게 달궈지며 열을 많이 흡수하여, 흡수한 열기를 내뿜으며 도시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둘째, 도심부에는 세워진 고층건물들로 인해 건물과 건물 사이에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 열의 배출통로가 없어지게 되고, 셋째, 공장, 자동차,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매연, 인공열, 미세먼지가 낮시간 동안 도심부에 갇히게 되면서 늦은 밤까지 열섬현상을 발생시키고, 넷째, 도심부의 과도한 인공조명 사용을 들수 있다.
이러한 열섬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심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4158호와 같은 분무장치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4158호는 물을 미세한 입자형태로 분사하여 실내공간이나 실외공간에 미세안개를 형성하는 안개노즐; 안개노즐로 고압의 물을 펌핑하는 물공급부; 안개노즐로 공급되는 물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미세안개가 형성되는 주위의 환경조건을 측정하는 환경조건 측정수단; 및 환경조건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환경조건에 따라 안개노즐, 물공급부 및 공기공급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4158호는 공기중으로 분사된 안개 형태의 미세 물분자들은 주위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고, 그 과정에서 열을 빼앗긴 주위의 온도는 낮아져 폭염 및 열섬현상이 저감되는 기능은 있지만 도심의 주위환경이나 경관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되어 도심의 미관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에 도심의 열섬현상을 해소하면서도 도심의 주위 환경에 도움이 되는 냉방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지지프레임,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을 통한 구조물에서 미립자화된 냉각수가 지면과 공중에 골고루 분사됨과 아울러 빛이 발광되어 주변 공기를 신속히 기화시켜 온도를 낮춰주고, 주위 야경에 심미감을 더해주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야외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면으로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투광성패널이 설치되어 투명성을 유지하여 미적감각을 높이면서도 가볍고 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 및 가공성이 좋아 시공이 편리하게 수행되고, 또한 고정수단을 통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기의 단축을 도모하면서 다수의 투광성패널 중 손상된 투광성패널은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야외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야외용 냉각장치는, 하부가 판 형태로 이루어져 기초석 또는 지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상에 수직으로 직립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는 경사지지부가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지지체;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수용부의 상측으로 'U'자 형태로 절곡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수용부의 타측으로 수직수용부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설치부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수직마감부가 형성되는 수직지지프레임; 상기 경사지지부를 수용하여 수직지지체의 상부 양측에 위치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지지체의 경사지지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수용부의 타측으로 경사수용부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사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설치부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경사마감부가 형성되는 경사지지프레임; 상기 수직지지체에 구비되는 경사지지프레임 단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타측으로 수용공간부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설치부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수평마감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 수평설치부 및 수평마감부가 형성되는 양단부에 착탈되는 덮개가 형성되는 수평지지프레임;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수직설치부와, 경사지지프레임의 경사설치부 및 수평지지프레임의 수평설치부 내부에는 분사수단; 및 발광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수직마감부와, 경사마감부 및 수평마감부의 개방된 부위로 안개 형태의 물이 분무됨과 아울러 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수단은 수직지지프레임과,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의 수직설치부와 경사설치부 및 수평설치부의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으로 반원의 형태의 배관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고정체와, 상기 제1분사노즐고정체의 대향되는 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판의 양측에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연장된 선단측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3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가 형성되는 제2연장부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분사노즐고정체의 배관수용부의 양측을 고정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제2분사노즐고정체와, 상기 제1분사노즐고정체의 배관수용부에 인입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를 유동하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동배관과, 상기 유동배관에 간격을 두고 다수 장착되며, 일부위가 제3연장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설치되어 유동배관에 유동되는 냉각수를 미립자화시켜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마감부와, 경사마감부 및 수평마감부의 개방된 양측으로 레일 형태의 수직인입부와, 경사인입부 및 수평인입부가 각각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고정판의 배관수용부가 형성되는 양옆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구성되는 LED모듈과, 상기 수직인입부와, 경사인입부 및 수평인입부에 각각 양측이 인입되어 'V' 형태의 이루어져 LED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켜 확산된 빛의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투과시키고, 간격을 두고 관통홈이 형성되어 분사노즐의 선단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광확산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수직지지체의 이격되는 양옆으로 경사지지프레임 사이에 끼움되는 보조지지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지지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의 양측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물받이체가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프레임과 수평지지프레임 사이에 끼움되는 바 형태인 보강바가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 상부를 덮도록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투광성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투광성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 상부에 덮는 투광성패널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투광성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 상부에 연장되는 투광성패널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각각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ㄷ' 형태인 끼움부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일부 연장되는 보강부가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의 개방된 일측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 상부에 인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고정체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 상부에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의 양단부가 이격되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격대가 구성되고, 상기 제1이격대를 중단에서 연결하여 이격된 제1이격대를 보강하는 제1보강대가 구성되며, 상기 양측으로 이격된 제1이격대의 하부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단부로 상측이 개방되는 레일 형태의 제1패킹인입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제1패킹인입부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상부는 제1패킹인입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상측면으로 측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패널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패킹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는 제1이격대의 내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이격대가 구성되고, 상기 제2이격대의 상부측으로 상부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대를 중단에서 연결하여 이격된 제2이격대를 보강하는 제2보강대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걸림부와 제2보강대 사이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단부로 하측이 개방되는 레일 형태의 제2패킹인입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제2패킹인입부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하부는 제2패킹인입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하측면으로 측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패널의 양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패킹이 구비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보강대와 제1보강대에 체결되어 제2지지대와 제1지지대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걸림부에 걸림되어 제2지지대의 제1이격대와 제2보강대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커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분사노즐이 수직설치부, 경사설치부 및 수평설치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지지프레임,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에서 미립자화된 냉각수가 지면과 공중에 골고루 분사되어 주변 공기를 신속히 기화시켜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인파가 많이 모이는 신호등, 버스승강장, 역 주변과 같은 야외에 냉방효율이 향상되어 여름철 폭염과 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수단과 함께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수직지지프레임,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에서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냉각수에 빛이 발광되어 주위 야경에 심미감을 더해주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지지체의 이격되는 양옆으로 경사지지프레임 사이에 끼움되는 보조지지프레임 및 보조지지프레임과 수평지지프레임 사이에 끼움되는 바 형태인 보강바로 인해 보다 견고한 구조를 구현하는 효과와 더불어 수평지지프레임과 물받이체 상부를 덮도록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투광성패널이 설치되어 투명성을 유지하여 미적감각을 높이면서도 가볍고 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 및 가공성이 좋아 시공이 편리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수단을 통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기의 단축을 도모하면서 다수의 투광성패널 중 손상된 투광성패널은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내부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지지프레임의 내부 형태를 타나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지지프레임의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 A'부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사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사지지프레임 및 수평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 B'부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C - C'부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물받이체가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보강바가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투광성패널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투광성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투광성패널이 고정수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송풍휀이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 19는 본 발명의 색상감지센서, RGB LED 패널 및 콘트롤박스가 설치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초석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지체(10), 상기 수직지지체(10)를 각각 수용하는 수직지지프레임(20)과, 경사지지프레임(30), 상기 경사지지프레임(30) 단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지지프레임(40),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사수단 및 발광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수직지지체(10)는 하부가 판 형태로 이루어져 기초석 또는 지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 상에 수직으로 직립되는 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3)의 상부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는 경사지지부(15)가 형성된다.
또한, 수직지지체(10)는 본 발명인 야외용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다수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수직지지프레임(20)은 상기 지지부(13)를 수용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직지지프레임(20)의 상세한 형태는 지지부(13)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수용부(21)의 상측으로 'U'자 형태로 절곡되어 경사지지부(15) 및 후술되는 경사지지커버(30)가 안착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수직지지프레임(20)은 상기 수직수용부(21)의 타측으로 수직수용부(21)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설치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설치부(23)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수직마감부(24)가 형성된다.
경사지지프레임(30)은 상기 경사지지부(15)를 수용하여 수직지지체(10)의 상부 양측에 위치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경사지지프레임(30)의 상세한 형태는 상기 수직지지체(10)의 경사지지부(15)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사수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수용부(31)의 타측으로 경사수용부(31)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사설치부(32)가 형성된다.
또한, 경사지지프레임(30)은 상기 경사설치부(32)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경사마감부(33)가 형성된다.
수평지지프레임(40)은 상기 수직지지체(10)에 구비되는 경사지지프레임(30) 단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평지지프레임(40)의 상세한 형태는 일측으로 보강체, 전기선 및 배관 등이 구비될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공간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41)의 타측으로 수용공간부(41)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설치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설치부(42)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수평마감부(4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41), 수평설치부(42) 및 수평마감부(43)가 형성되는 양단부에 착탈되는 덮개(4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설치방법 및 교체여부에 따라 양측으로 결합하거나 일부분이 구획되어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분사수단 및 발광수단은 수직지지프레임(20)의 수직설치부(23)와, 경사지지프레임(30)의 경사설치부(32) 및 수평지지프레임(40)의 수평설치부(42) 내부에각각 구비되어 수직마감부(24)와, 경사마감부(33) 및 수평마감부(43)의 개방된 부위로 분사수단을 통해 안개 형태의 물이 분무됨과 아울러 발광수단을 통해 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사수단은 수직지지프레임(20)과,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의 수직설치부(23)와 경사설치부(32) 및 수평설치부(42)의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판(1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1)의 중앙으로 반원의 형태의 배관수용부(113)가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고정체(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분사수단은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의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는 제2분사노즐고정체(12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제2분사노즐고정체(120)는 고정판(111)의 양측에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21)와, 상기 제1연장부(121)의 연장된 선단측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122)와, 상기 제2연장부(122)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123h)이 형성되는 제3연장부(123)와, 상기 제3연장부(123)가 형성되는 제2연장부(122)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의 배관수용부(113)의 양측을 고정하는 돌출부(124)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사수단은 수직설치부(23)와 경사설치부(32) 및 수평설치부(42)에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의 배관수용부(113)에 인입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를 유동하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동배관(1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유동배관은 수직설치부(23)와 경사설치부(32) 및 수평설치부(42)에 각각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수단은 유동배관(130)에 간격을 두고 다수 장착되며, 일부위가 제3연장부(123)에 형성된 고정홈(123h)에 설치되어 유동배관(130)에 유동되는 냉각수를 미립자화시켜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4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분사노즐(140)은 유동배관(130)의 유동되는 냉각수를 외부에 분사하고 분사되지 않은 냉각수는 유동배관(130)을 통해 계속적으로 유동배관(130)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3방향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노즐(140)의 구성으로 인하여 수직지지프레임(20),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에서 미립자화된 냉각수가 지면과 공중에 골고루 분사되어 주변 공기를 신속히 기화시켜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인파가 많이 모이는 신호등, 버스승강장, 역 주변과 같은 야외에 냉방효율이 향상되어 여름철 폭염과 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마감부(24)와, 경사마감부(33) 및 수평마감부(43)의 개방된 양측으로 레일 형태의 수직인입부(25)와, 경사인입부(34) 및 수평인입부(45)가 각각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발광수단의 광확산판을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수단은 고정판(111)의 배관수용부(113)가 형성되는 양옆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구성되는 LED모듈(21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발광수단은 수직인입부(25)와, 경사인입부(34) 및 수평인입부(45)에 각각 양측이 인입되어 'V' 형태의 이루어져 LED모듈(210)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켜 확산된 빛의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투과시키고, 간격을 두고 관통홈(221)이 형성되어 분사노즐(140)의 선단이 관통홈(221)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광확산판(2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발광수단으로 하여금 수직지지프레임(20),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에서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냉각수에 빛이 발광되어 주위 야경에 심미감을 더해주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광확산판(220)의 관통홈(221) 주변에 다수의 통공(미도시)을 형성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체(10)의 상부로 내부에 모터(M)가 구비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B)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상측 내부에는 모터(M)의 동력을 받아 수직설치부(23)의 내부에 송풍을 불어주어 분사노즐(14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와 함께 광확산판(220)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휀(S)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휀(S)의 풍력으로 인해 분사노즐(14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거리를 향상시키면서도 통공(미도시)을 통해 광확산판(220)에서 송풍이 배출되어 냉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LED모듈(210)은 다색의 광이 발산되는 RGB LED이다.
또한, 도 18,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구비된 수직지지프레임(20) 중 어느 한 쪽의 수직지지프레임(20)의 상측으로 근방의 신호등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센서(400)가 구비된다.
상기 색상감지센서(400)가 구비되는 타측의 수직지지프레임(20)의 중단에는 다색의 광을 발산되는 RGB LED 패널(500)이 구비된다.
상기 색상감지센서(400)가 구비되는 수직지지프레임(20)의 근방으로 색상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등의 색상을 감지하여 LED모듈(210)과 RGB LED 패널(500)로 하여금 신호등과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박스(600)가 구비된다.
즉, LED모듈(210)에서 발광되는 빛은 보행자가 식별할 수 있고, RGB LED 패널(500)에서 발광되는 빛은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본 발명인 야외용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도로의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체(10)의 이격되는 양옆으로 경사지지프레임(30) 사이에 끼움되는 보조지지프레임(50)이 구비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체(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61)와, 상기 제1안착부(61)의 양측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지지프레임(5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63)로 이루어져 빗물이나 눈이 포집되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배출되는 물받이체(60)가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프레임(50)과 수평지지프레임(40) 사이에 끼움되는 바 형태인 보강바(70)가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체(60)의 제1안착부(61)와 제2안착부(63)는 볼트체결을 통해 수직지지체(10)와 보조지지프레임(50)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바(70) 역시 끼움되어 고정할 수도 있으나 볼트를 통한 고정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를 덮도록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투광성패널(80)이 설치되며, 폴리카보네이트는 외부의 비나 눈은 막아주면서도 투명성을 유지하여 미적감각을 높이면서도 가볍고 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 및 가공성이 좋아 투광성패널(80)의 시공이 편리하게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 덮는 투광성패널(80)은 시공성과 가공성을 고려하여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8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투광성패널(8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도 14,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 연장되는 투광성패널(80)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각각 인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체(3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고정체(310)는 일측이 개방되는 'ㄷ' 형태로 이루어져 투광성패널(80)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는 끼움부(311)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311)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일부 연장되어 끼움부(311)의 형태를 보강하면서도 투광성패널(80)이 과다하게 인입되어 끼움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313)가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체(310)는 상기 끼움부(311)의 개방된 일측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 인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부(3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수단은 투광성패널(80)의 양단부가 이격되는 형태로 지지하는 제1지지대(3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1지지대(320)는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80)의 양단부가 이격되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격대(321)가 구성되고, 상기 제1이격대(321)를 중단에서 연결하여 이격된 제1이격대(321)를 보강하는 제1보강대(323)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대(320)는 양측으로 이격된 제1이격대(321)의 하부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단부로 상측이 개방되는 레일 형태의 제1패킹인입부(325)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제1패킹인입부(325)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상부는 제1패킹인입부(32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상측면으로 측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패널(8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패킹(327)이 구비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제1지지대(320)와 함께 투광성패널(80)의 양단부가 이격되는 형태로 지지하는 제2지지대(3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2지지대(330)는 상기 제1지지대(320)에 형성되는 제1이격대(321)의 내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이격대(33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이격대(331)의 상부측으로 후술되는 밀폐커버(340)가 걸림된는 상부걸림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대(331)를 중단에서 연결하여 이격된 제2이격대(331)를 보강하는 제2보강대(333)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대(330)는 상기 상부걸림부(332)와 제2보강대(333) 사이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단부로 하측이 개방되는 레일 형태의 제2패킹인입부(335)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제2패킹인입부(335)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하부는 제2패킹인입부(335)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하측면으로 측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패널(80)의 양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패킹(337)이 구비되어 제1지지대(320)의 제1지지패킹(327)과 함께 투광성패널(80)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상기 제2보강대(333)와 제1보강대(323)에 체결되어 제2지지대(330)와 제1지지대(320)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미도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고정수단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걸림부(332)에 걸림되어 제2지지대의 제1이격대(321)와 제2보강대(333)의 상부를 밀폐하여 고정볼트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는 밀폐커버(3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80)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기의 단축을 도모하면서 다수의 투광성패널(80) 중 손상된 투광성패널(80)은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투광성 패널(80)의 상측 일부위로 태양광을 집적함으로서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솔라셀이 다수 배열되는 태양광모듈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수직지지프레임(20),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 중 어느 한 곳에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와이파이존을 형성하기 위한 무선공유기가 설치되어 주변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인 야외용 냉각장치에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10 : 수직지지체 11 : 고정부 13 : 지지부
15 : 경사지지부 20 : 수직지지프레임 21 : 수직수용부
22 : 안착부 23 : 수직설치부 24 : 수직마감부
25 : 수직인입부 30 : 경사지지프레임 31 : 경사수용부
32 : 경사설치부 33 : 경사마감부 34 : 경사인입부
40 : 수평지지프레임 41 : 수용공간부 42 : 수평설치부
43 : 수평마감부 44 : 덮개 45 : 수평인입부
50 : 보조프레임 60 : 물받이체 61 : 제1안착부
63 : 제2안착부 70 : 보강바 80 : 투광성패널
110 : 제1분사노즐고정체 111 : 고정판 113 : 배관수용부
120 : 제2분사노즐고정체 121 : 제1연장부 122 : 제2연장부
123 : 제3연장부 130 : 유동배관 140 : 분사노즐
210 : LED모듈 220 : 광확산판 221 : 관통홈
310 : 고정체 311 : 끼움부 313 : 보강부
315 : 인접부 320 : 제1지지대 321 : 제1이격대
323 : 제1보강대 325 : 제1패킹인입부 327 : 제1지지패킹
330 : 제2지지대 331 : 제2이격대 332 : 상부걸림부
333 : 제2보강대 335 : 제2패킹인입부 337 : 제2지지패킹
340 : 밀폐커버

Claims (7)

  1. 하부가 판 형태로 이루어져 기초석 또는 지면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 상에 수직으로 직립되는 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3)의 상부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연장되는 경사지지부(15)가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지지체(10);
    상기 지지부(13)를 수용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13)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수용부(21)의 상측으로 'U'자 형태로 절곡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수용부(21)의 타측으로 수직수용부(21)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설치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설치부(23)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수직마감부(24)가 형성되는 수직지지프레임(20);
    상기 경사지지부(15)를 수용하여 수직지지체(10)의 상부 양측에 위치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지지체(10)의 경사지지부(15)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사수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수용부(31)의 타측으로 경사수용부(31)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사설치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설치부(32)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경사마감부(33)가 형성되는 경사지지프레임(30);
    상기 수직지지체(10)에 구비되는 경사지지프레임(30) 단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금속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빈 공간으로 된 수용공간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41)의 타측으로 수용공간부(41)와 구분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설치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설치부(42)의 선단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면서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어 개방되는 수평마감부(4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41), 수평설치부(42) 및 수평마감부(43)가 형성되는 양단부에 착탈되는 덮개(44)가 형성되는 수평지지프레임(40);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수직설치부(23)와, 경사지지프레임(30)의 경사설치부(32) 및 수평지지프레임(40)의 수평설치부(42) 내부에는 분사수단; 및 발광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수직마감부(24)와, 경사마감부(33) 및 수평마감부(43)의 개방된 부위로 안개 형태의 물이 분무됨과 아울러 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수단은 수직지지프레임(20)과, 경사지지프레임(30) 및 수평지지프레임(40)의 수직설치부(23)와 경사설치부(32) 및 수평설치부(42)의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판(1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1)의 중앙으로 반원의 형태의 배관수용부(113)가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와, 상기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의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며, 고정판(111)의 양측에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21)와, 상기 제1연장부(121)의 연장된 선단측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122)와, 상기 제2연장부(122)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123h)이 형성되는 제3연장부(123)와, 상기 제3연장부(123)가 형성되는 제2연장부(122)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의 배관수용부(113)의 양측을 고정하는 돌출부(124)로 이루어지는 제2분사노즐고정체(120)와, 상기 제1분사노즐고정체(110)의 배관수용부(113)에 인입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를 유동하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동배관(130)과, 상기 유동배관(130)에 간격을 두고 다수 장착되며, 일부위가 제3연장부(123)에 형성된 고정홈(123h)에 설치되어 유동배관(130)에 유동되는 냉각수를 미립자화시켜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40)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마감부(24)와, 경사마감부(33) 및 수평마감부(43)의 개방된 양측으로 레일 형태의 수직인입부(25)와, 경사인입부(34) 및 수평인입부(45)가 각각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고정판(111)의 배관수용부(113)가 형성되는 양옆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구성되는 LED모듈(210)과,
    상기 수직인입부(25)와, 경사인입부(34) 및 수평인입부(45)에 각각 양측이 인입되어 'V' 형태의 이루어져 LED모듈(210)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켜 확산된 빛의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투과시키고, 간격을 두고 관통홈(221)이 형성되어 분사노즐(140)의 선단이 관통홈(221)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광확산판(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판(220)의 관통홈(221) 주변에 다수의 통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지지체(10)의 상부로 내부에 모터(M)가 구비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B)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상측 내부에는 모터(M)의 동력을 받아 수직설치부(23)의 내부에 송풍을 불어주어 송풍이 통공(미도시)을 통해 분사노즐(14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와 함께 광확산판(220)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휀(S)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210)은 다색의 광이 발산되는 RGB LED이며,
    상기 양측으로 구비된 수직지지프레임(20) 중 어느 한 쪽의 수직지지프레임(20)의 상측으로 근방의 신호등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센서(400)가 구비되고,
    상기 색상감지센서(400)가 구비되는 타측의 수직지지프레임(20)의 중단에는 다색의 광을 발산되는 RGB LED 패널(500)이 구비되며,
    상기 색상감지센서(400)가 구비되는 수직지지프레임(20)의 근방으로 색상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등의 색상을 감지하여 LED모듈(210)과 RGB LED 패널(500)로 하여금 신호등과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박스(6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체(10)의 이격되는 양옆으로 경사지지프레임(30) 사이에 끼움되는 보조지지프레임(5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지지체(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61)와, 상기 제1안착부(61)의 양측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지지프레임(5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63)로 이루어지는 물받이체(60)가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프레임(50)과 수평지지프레임(40) 사이에 끼움되는 바 형태인 보강바(70)가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를 덮도록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투광성패널(80)이 설치되고,
    상기 투광성패널(8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 덮는 투광성패널(80)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투광성패널(8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 연장되는 투광성패널(80)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각각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ㄷ' 형태인 끼움부(311)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311)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일부 연장되는 보강부(313)가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311)의 개방된 일측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 인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부(3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고정체(310)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0)과 물받이체(60) 상부에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투광성패널(80)의 양단부가 이격되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격대(321)가 구성되고, 상기 제1이격대(321)를 중단에서 연결하여 이격된 제1이격대(321)를 보강하는 제1보강대(323)가 구성되며, 상기 양측으로 이격된 제1이격대(321)의 하부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단부로 상측이 개방되는 레일 형태의 제1패킹인입부(325)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제1패킹인입부(325)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상부는 제1패킹인입부(32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상측면으로 측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패널(8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패킹(327)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320)와,
    상기 제1지지대(320)에 형성되는 제1이격대(321)의 내부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이격대(33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이격대(331)의 상부측으로 상부걸림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대(331)를 중단에서 연결하여 이격된 제2이격대(331)를 보강하는 제2보강대(333)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걸림부(332)와 제2보강대(333) 사이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되는 단부로 하측이 개방되는 레일 형태의 제2패킹인입부(335)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제2패킹인입부(335)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하부는 제2패킹인입부(335)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하측면으로 측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패널(80)의 양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패킹(337)이 구비되는 제2지지대(330)와,
    상기 제2보강대(333)와 제1보강대(323)에 체결되어 제2지지대(330)와 제1지지대(320)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미도시)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걸림부(332)에 걸림되어 제2지지대의 제1이격대(321)와 제2보강대(333)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커버(3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냉각장치.
KR1020190074815A 2019-06-24 2019-06-24 야외용 냉각장치 KR10203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15A KR102038010B1 (ko) 2019-06-24 2019-06-24 야외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15A KR102038010B1 (ko) 2019-06-24 2019-06-24 야외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10B1 true KR102038010B1 (ko) 2019-10-30

Family

ID=6846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815A KR102038010B1 (ko) 2019-06-24 2019-06-24 야외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4527A (zh) * 2020-09-11 2020-12-11 刘旭 一种基于物联网的多功能智能型交通指挥台
KR20210002742U (ko) * 2020-06-01 2021-12-08 제희광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133A (ko) * 2011-02-24 2012-09-03 허재철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20190014791A (ko) * 2017-08-03 2019-02-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20190001066U (ko) * 2017-10-26 2019-05-07 함명수 안개쉼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133A (ko) * 2011-02-24 2012-09-03 허재철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20190014791A (ko) * 2017-08-03 2019-02-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20190001066U (ko) * 2017-10-26 2019-05-07 함명수 안개쉼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42U (ko) * 2020-06-01 2021-12-08 제희광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KR200495144Y1 (ko) 2020-06-01 2022-03-14 제희광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CN112064527A (zh) * 2020-09-11 2020-12-11 刘旭 一种基于物联网的多功能智能型交通指挥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010B1 (ko) 야외용 냉각장치
WO2016121347A1 (ja) 建物
US8776450B2 (en) Building roof structure
CN102271493B (zh) 用于绿色建筑物正面的支撑结构
KR20120104486A (ko) 재식 벽 또는 재식 정면
KR102110935B1 (ko) 태양광 가로등
AU2006348055A1 (en) A curtain wall with an air spa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CN206708971U (zh) 高效节能路灯
CN203771248U (zh) 一种具有防雨结构的led路灯
JP6692851B2 (ja) 空調設備を有する屋外施設
CN206669534U (zh) 一种散热性良好的路灯
TWM563460U (zh) 導光隔熱排風屋頂
CN103683047A (zh) 自然通风的箱式变电站
TWI693326B (zh) 導光隔熱排風屋頂
CN209415183U (zh) 一种能快速散热的夜景灯
CN106939999A (zh) 高效节能路灯
CN109629689B (zh) 一种建筑用绿色环保穹顶
CN220100324U (zh) 一种光伏建筑及光伏幕墙系统
KR100665623B1 (ko) 통풍 및 채광구조를 갖는 막 구조물
KR101358778B1 (ko) 휀스용 엘이디 조명기구
CN202024204U (zh) 水电站大坝景观灯
KR20210120534A (ko)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그늘막 유닛
CN205954980U (zh) 一种便于拆装的天花板吊顶装置
CN219653605U (zh) 一种具照明功能的道路护栏
CN107559748A (zh) 用于路灯的灯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