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78U -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78U
KR20230000778U KR2020210003081U KR20210003081U KR20230000778U KR 20230000778 U KR20230000778 U KR 20230000778U KR 2020210003081 U KR2020210003081 U KR 2020210003081U KR 20210003081 U KR20210003081 U KR 20210003081U KR 20230000778 U KR20230000778 U KR 202300007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 light
solar panel
energy
electricity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244Y1 (ko
Inventor
장동환
Original Assignee
(주)더그린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그린웨이 filed Critical (주)더그린웨이
Priority to KR2020210003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44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은,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관으로 구성된 지주와;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이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에서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시키거나 상용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시키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하여 가로등의 제조비용을 줄임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Energy saving solar street lamps}
본 고안은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가로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 설치한 조명시설로서, 근래에는 전력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가로등이 널리 시공되고 있다.
그리고 가로등은 일반적으로 지중에서 인출되는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광원을 발광시키는 것인데, 최근에는 가로등의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광원을 발광시키는 태양광 발전식 가로등이 시공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의 태양광 발전식 가로등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00032호의 "축전지 내장형 가로등"(이하, "종래의 가로등"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가로등은 램프가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지주대와, 지주대의 상부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태양전지와, 지주대의 내부에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어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상기 램프를 발광하는데 사용하는 축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로등은 판 형태의 태양전지가 지주대의 외측에 별도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가로등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판 형태의 태양전지가 지주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태풍 등으로 인하여 강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태양전지가 심하게 유동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판 형태의 태양전지에 조류가 앉아 배설을 하게 됨으로써, 태양전지에서 태양광을 받는 표면이 배설물로 오염되어 태양광 발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판 형태의 태양전지의 표면이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로 오염되어 태양광 발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00032호(등록일자 2009년05월22일)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하여 가로등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지주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태풍 등으로 인하여 강한 바람이 불더라고 태양전지판이 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태양전지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투명 커버판의 상면에 쌓인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을 세팅된 시간마다 수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관으로 구성된 지주와;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이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에서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시키거나 상용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시키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의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사각통으로 구성되어 둘레의 다수의 투광창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중앙에 엘이디 조명등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상판이 구비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둘레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사각통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개방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과 상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에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태양관 발전 축전수단과, 상기 축전지,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 상기 엘이디 조명등과 연결되어 엘이디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몰 후의 엘이디 조명등이 발광되는 세팅된 시간동안 축전지의 전기량을 감지하여 축전지에 전기가 있으면 축전지의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하고 축전지에 전기가 다 소모되면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에서 공급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하여 가로등의 제조비용을 줄임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주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함에 따라, 태풍 등으로 인하여 강한 바람이 불더라고 태양전지판이 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강한 바람에도 안전성이 확보된 가로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태양전지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투명 커버판의 상면에 쌓인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을 세팅된 시간마다 수시로 제거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기의 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조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조명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d는 조명부를 확대 도시하 우즉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로등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조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조명부를 확대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조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투명 커버판이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이하,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이라 한다.)은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상부에 태양전지판을 직접 설치하여 가로등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지주(1)와 조명부(2)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1)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10)이 통과되어 후술할 제어부(24)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2)는 지주(1)의 상부에 구비되어 광을 발광하는 것으로, 상부에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23)이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23)에서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213)을 발광시키거나 상용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213)을 발광시키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부(2)는 상기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사각통으로 구성되어 둘레의 다수의 투광창(21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중앙에 엘이디 조명등(213)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상판(212)이 구비된 하부 몸체(21)와, 상기 하부 몸체(21)의 상부 둘레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사각통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방부(221)가 형성된 상부 몸체(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21)의 상부 둘레와 상부 몸체(22)의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사각링 형태의 둘레판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몸체(21)의 상부 둘레에 상부 몸체(22)의 하부 둘레가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명부(2)는 상부 몸체(22)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221)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231)과 상부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231)에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232)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23)과, 축전지(232),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10), 상기 엘이디 조명등(213)과 연결되어 엘이디 조명등(213)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23)은 태양전지판(231)과 축전지(232)는 물론, 직,교류 변환장치등의 여러 주변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23)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일몰 후의 엘이디 조명등(213)이 발광되는 세팅된 시간동안 축전지(232)의 전기량을 감지하여 축전지(232)에 전기가 있으면 축전지(232)의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213)을 발광하고 축전지(232)에 전기가 다 소모되면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10)에서 공급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213)을 발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은 조명부(2)를 구성하는 상부 몸체(22)의 상부에 직사각형의 개방부(221)를 형성하고, 개방부(221)에 태양전지판(231)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판(231)을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조명등의 상부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은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2)의 상부에 태양전지판(231)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가로등의 제조비용을 줄임에 따라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은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부(2)의 상부에 태양전지판(231)을 직접 설치함에 따라 태풍 등으로 인하여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태양전지판(231)이 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은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부(2)의 상부에 태양전지판(231)을 직접 설치함에 따라 강한 바람에도 안전성이 확보된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로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이 가로등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로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 몸체(22)의 상부 둘레인 상기 태양전지판(231) 둘레의 외측에 조류가 태양전지판(231)의 상면에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봉(3)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로등은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231)의 둘레 외측에 다수의 돌출봉(3)을 설치함에 따라 조류가 태양전지판(231)의 상면에 앉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류가 태양전지판(231)의 앉아 배설을 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조류 배설물로 인해 태양전지판(231)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이 가로등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가로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이물질 제거부재(4), 투명 커버판(5), 방수 수직판(6), 구동수단(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4)는 조명부(2)을 구성하는 상부 몸체(22) 상부의 후방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태양전지판(231)의 양측 폭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장홀(41)이 형성되어 수평장홀(41)의 상부에는 후술할 투명 커버판(5)의 상면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판(4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판(42)의 하부에는 하부 전방에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예각을 이루는 이물질 제거날부(422)가 형성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의 상부로 상향지게 경사진 경사면(4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날부(422)는 투명 커버판(5)의 상면에 밀착되어 투명 커버판(5)의 후진시 투명 커버판(5) 상면에 쌓인 조류 배설물이나 먼지 또는 바람에 날린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명 커버판(5)은 이물질 제거부재(4)에 형성된 수평장홀(41)에 관통되어 태양전지판(231)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밀착되는 것으로, 전방에는 태양전지판(231)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면(5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면(51)은 하부 전방에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예각을 이루는 이물질 제거날부(511)가 형성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수직판(6)은 상기 투명 커버판(5)의 후방에서 수직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구동수단(7)을 구성하는 래크축(72)의 외면이나 가이드축(75)의 외면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7) 조명부(2)를 구성하는 상부 몸체(22)의 내부와 방수 수직판(6)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4)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 커버판(5)을 태양전지판(231)의 상면에서 후,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구동수단(7)은 상기 투명 커버판(5)을 원활하게 후,전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몸체(22)의 내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 고정되고 내부의 후방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되며 후방의 하부에는 개방부(711)가 형성된 경사관(71)과, 상기 경사관(71)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삽입되어 후방 단부가 상기 방수 수직판(6)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래크가 형성된 래크축(72)과, 상기 상부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4)와 연결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개방부(711)를 관통하여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731)이 설치된 정역모터(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관(71)은 투명 커버판(5)을 태양전지판(231)에 밀착되게 후,전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판(231)의 표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세팅된 시간마다 상기 정역모터(73)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1회씩 작동시켜 상기 투명 커버판(5)을 1회씩 후,전진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7)은 상기 투명 커버판(5)을 좀 더 안정적으로 후,전진 시킬 수 있도록, 상부 몸체(22)의 내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 고정되고 내부의 후방이 외측과 연통되게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관(74)과, 하나 이상의 가이드관(74)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삽입되어 후방 단부가 상기 방수 수직판(6)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74)은 투명 커버판(5)을 태양전지판(231)에 밀착되게 후,전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판(231)의 표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은 세팅된 시간마다 상기 정역모터(73)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1회씩 작동시켜 상기 투명 커버판(5)을 1회씩 후,전진시킴으로써, 상기 투명 커버판(5)의 상면에 쌓이는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은 세팅된 시간마다 상기 정역모터(73)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1회씩 작동시켜 상기 투명 커버판(5)을 1회씩 후,전진시키게 되는데, 먼저, 상기 투명 커버판(5)이 후진되는 과정에서는 투명 커버판(5)의 상면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4)의 이물질 제거날부(422)에 밀착되면서 후진됨으로써 투명 커버판(5)의 상면에 쌓인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투명 커버판(5)의 하부에 배치된 태양 전지판의 표면으로 떨어진다.
다음 상기 투명 커버판(5)이 완전히 후진된 후, 다시 전진되면 투명 커버판(5)의 전방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날부(511)가 태양전지판(231)의 표면에 밀착되어 전진되어, 태양전지판(231)의 표면에 떨어져 있는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의 이물질이 태양전지판(231)의 전방과 상부 몸체(22)의 전방으로부터 배출되어 하부로 낙하됨에 따라 바람에 날리거나 지면에 떨어짐으로써, 상기 투명 커버판(5)의 상면에 쌓이는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로등은 상기 태양전지판(231)을 커버하는 상기 투명 커버판(5)의 상면에 쌓인 조류의 배설물이나 먼지 및 흙 등을 세팅된 시간마다 수시로 제거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기의 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지주
2 : 조명부
21 : 하부 몸체
22 : 상부 몸체
23 :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
24 : 제어부
3 : 돌출봉
4 : 이물질 제거부재
41 : 수평장홀
42 : 이물질 제거판
5 : 투명 커버판
51 : 이물질 제거면
6 : 방수 수직판
7 : 구동수단
71 : 경사관
72 : 레크축
73 : 정역모터
74 : 가이드관
75 : 가이드축
10 : 전선

Claims (9)

  1.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관으로 구성된 지주와;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이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 축전수단에서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시키거나 상용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시키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사각통으로 구성되어 둘레의 다수의 투광창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중앙에 엘이디 조명등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상판이 구비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둘레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사각통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개방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과 상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에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태양관 발전 축전수단과,
    상기 축전지,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 상기 엘이디 조명등과 연결되어 엘이디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몰 후의 엘이디 조명등이 발광되는 세팅된 시간동안 축전지의 전기량을 감지하여 축전지에 전기가 있으면 축전지의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하고 축전지에 전기가 다 소모되면 상용전기가 공급되는 전선에서 공급된 전기를 사용하여 엘이디 조명등을 발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둘레에는 조류가 태양전지판의 상면에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봉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은,
    상기 상부몸체 상부의 후방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태양전기판의 양측 폭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장홀이 형성되어 수평장홀의 상부에는 이물질 제거판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부재와,
    상기 수평장홀에 관통되어 태양전지판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밀착되고 전방에는 이물질 제거면이 형성된 투명 커버판과,
    상기 투명 커버판의 후방에서 수직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방수 수직판과,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와 방수 수직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 커버판을 태양전지판의 상면에서 후,전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판의 하부에는 하부 전방에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예각을 이루는 이물질 제거날부가 형성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의 상부로 상향지게 경사진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면은 하부 전방에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예각을 이루는 이물질 제거날부가 형성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부 몸체의 내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내부의 후방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되며 후방의 하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경사관과,
    상기 경사관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삽입되어 후방 단부가 상기 수직 방수판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래크가 형성된 래크축과,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개방부를 관통하여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설치된 정역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팅된 시간마다 상기 정역모터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1회씩 작동시켜 상기 투명 커버판을 1회씩 후,전진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부 몸체의 내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내부의 후방이 외측과 연통되게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관과,
    하나 이상의 가이드관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삽입되어 후방 단부가 상기 방수 수직판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KR2020210003081U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KR200497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81U KR200497244Y1 (ko)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81U KR200497244Y1 (ko)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78U true KR20230000778U (ko) 2023-04-20
KR200497244Y1 KR200497244Y1 (ko) 2023-09-11

Family

ID=8609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81U KR200497244Y1 (ko)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32B1 (ko) 2008-11-04 2009-06-01 (주)아이셀시스템즈코리아 축전지 내장형 가로등
KR101132226B1 (ko) * 2011-12-06 2012-03-30 토목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 석등
KR20120110695A (ko) * 2011-03-30 2012-10-10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으로 구동되는 엘이디 가로등
KR20130004786U (ko) * 2012-01-31 2013-08-08 김강희 가로등용 조류 퇴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32B1 (ko) 2008-11-04 2009-06-01 (주)아이셀시스템즈코리아 축전지 내장형 가로등
KR20120110695A (ko) * 2011-03-30 2012-10-10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으로 구동되는 엘이디 가로등
KR101132226B1 (ko) * 2011-12-06 2012-03-30 토목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 석등
KR20130004786U (ko) * 2012-01-31 2013-08-08 김강희 가로등용 조류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44Y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97B1 (ko) 태양전지패널 청소용 로봇장치
KR200483396Y1 (ko) 복합 발전 가로등
CN211600353U (zh) 一种自清洁型led洗墙灯
CN210373233U (zh) 一种自清洗草坪灯
KR101040129B1 (ko)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슬라이드타입의 야간발광판넬장치
KR200460230Y1 (ko) 양면 수광 태양전지를 구비한 가로등
KR102076366B1 (ko) 고효율 태양광 가로등
KR10231659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행등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20230000778U (ko)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가로등
CN111998302A (zh) 一种通过清洁机构实现灯体防尘的太阳能路灯
KR102050364B1 (ko) 옥외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접이식 그늘막
KR20100129927A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풍력등
CN215061733U (zh) 一种自清洁的智能led太阳能路灯
KR101213920B1 (ko) 다면구체형 태양광모듈과 플렉시블 태양광모듈 발전 및 무소음 풍력발전 시스템 가로등
CN210891413U (zh) 一种建筑智能化楼道照明装置
CN211176647U (zh) 一种自动清洁灯罩的市政工程用园林灯
CN216307669U (zh) 一种基于太阳能发电的节能路灯
KR20100116282A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발광파이프
CN217057364U (zh) 一种节能型城市道路照明用灯杆
CN205445031U (zh) 一种智能停车场
CN212719496U (zh) 一种自清洁的太阳能路灯
CN215411683U (zh) 一种方便清洁路灯保护罩的太阳能路灯
CN216281129U (zh) 一种户外用防尘效果好的太阳能路灯
CN213777561U (zh) 一种节能型公园灯
CN213328749U (zh) 一种土建安全监督用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