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01A -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01A
KR20230036401A KR1020210119196A KR20210119196A KR20230036401A KR 20230036401 A KR20230036401 A KR 20230036401A KR 1020210119196 A KR1020210119196 A KR 1020210119196A KR 20210119196 A KR20210119196 A KR 20210119196A KR 20230036401 A KR20230036401 A KR 2023003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shaft
subwa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343B1 (ko
Inventor
박서영
Original Assignee
박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영 filed Critical 박서영
Priority to KR102021011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61D37/003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luggage rack and umbrella-stand for 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선반힌지부(130)를 구비하고 지하철 차체에 고정되는 선반부(100)와, 선반힌지축(310) 및 지지축(350)을 구비하는 지지부(300)와, 지지축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연장축(530)과 받침힌지축(570)을 구비하는 연장축부(500)와, 받침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힌지부(750)를 구비하는 받침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를 이용하면, 지하철 승객의 수화물 보관 및 이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실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Folding cradle for subway passengers}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선반과 연결되는 수화물 받침대를 지하철 좌석에 착석한 승객 앞으로 위치시키는 장치를 구비하여, 승객이 편리하게 디지털 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유실물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우리나라 대중교통은 버스가 주로 담당하였으나,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하철이 보급됨에 따라 지하철 이용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교통분담률은 2009년에 약 35%를 차지하였으며, 2019년에는 약 42%를 차지하는 등 지하철 이용인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하철에는 승객의 백팩, 가방, 종이백 등의 수화물 보관을 위한 선반을 구비하고 있다. 서울시의 지하철 객실 선반 필요성을 물은 설문조사에서 선반을 원한다고 답한 시민이 85%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여름 출퇴근시에는 혼잡한 지하철 환경을 완화하기 위해서도 백팩 등의 수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이 필수적이다.
한편, 지하철에서 승객이 선반에 물건을 올려 놓은 후 하차시 깜박 잊고 그냥 내리는 경우 유실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경우 수화물이 눈앞에 보이지 않으므로 급하게 하차하는 경우 유실물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현재 지하철 선반의 경우 착석하는 승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키가 작은 승객은 수화물을 선반에 올려놓기가 쉽지 않다. 한편 최근에는 지하철에서 노트북, 태블릿 등 대화면을 가진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증가하고 있으나, 디지털 기기를 적절히 받치지 못하여 불편한 자세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편한 점들을 개선하는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94250호 “열차 선반”(2012년10월18일 등록)에서는 노약자나 키 작은 사람이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열차 선반을 개시한다. 열차 선반은 바닥에 의자가 설치되고 의자 상부에 선반이 설치되는 열차의 선반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과 승강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승강유닛은 선반의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베이스와, 선반의 단부에 마련되는 선반브라켓과, 베이스와 선반브라켓 사이에 마련되며 중심이 축결합되어 상호 회전하면서 베이스에 대해 선반브라켓을 승강시키는 크로스링크와, 크로스링크에 인접하여 베이스와 선반브라켓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구동유닛은 의자 하부에 마련되는 콤프렛셔와, 콤프렛셔와 좌우 실린더를 연결하여 두 실린더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하는 분기배관과, 콤프렛셔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1948호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2013년07월25일 등록)는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버스의 좁은 공간에서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제약이 없고, 사용자가 더욱 편안한 자세로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거나,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버스 천정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판넬; 상기 고정판넬과 결합되어 회전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 이동판넬; 상기 이동판넬과 고정판넬을 결합하는 힌지; 및 상기 이동판넬 및 고정판넬을 고정 지지하는 가스댐퍼를 포함한다. 특히 가스댐퍼는, 일측이 상기 이동판넬에 부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는 연결로드; 및 타측이 상기 고정판넬에 부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57509호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2020년09월14일 등록)에서는 자동차 탑승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고 있는 번거로움 없이 차량내부 어느 자리에서든지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5개의 관절이 적용된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 어떤 위치에서든지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안정된 자세로 고정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의 스마트폰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클립, 1단 회전부, 다단봉, 3방향 회전부, 및 휴대폰 거치 및 회전부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복잡한 장치를 이용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목적 및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94250호 “열차 선반”(2012년10월18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291948호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2013년07월25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2157509호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2020년09월1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키가 작은 승객도 용이하게 수화’N을 거치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시 편리하고 유실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지하철 선반과 연결되어 지하철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앞에 수화물 받침대를 위치시키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지하철 차체에 고정되는 선반고정부(110)와 상기 선반고정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선반힌지부(130)를 구비하는 선반부(100); 상기 선반힌지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선반힌지축(310)과 상기 선반힌지축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축(350)을 포함하는 지지부(300);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연장축(530)과 상기 연장축의 단말에 결합되는 받침힌지축(570)을 포함하는 연장축부(500); 및 상기 받침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힌지부(750)와 승객의 수화물을 적치할 수 있는 받침판(770)을 구비하는 받침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힌지축(310)은 수화물을 걸 수 있는 고정고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100)는, 슬라이딩홈(230)을 구비하고, 지하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선반부(210); 및 일단에 상기 선반힌지부를 구비하고, 타단에 상기 슬라이딩홈과 결합하는 슬라이딩돌기(27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선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이동선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힌지부(750)는 바깥쪽에 클러치요철(76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힌지축(570)은 상기 클러치요철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가진 클러치고정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연장축을 이용하여 키가 작은 승객도 용이하게 수화물을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슬라이딩 선반부를 이용하여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받침대를 회전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기기의 사용시 편리하고, 유실물 발생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슬라이딩 가능한 선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받침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연장축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선반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지하철 선반과 연결되어 지하철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앞에 수화물 받침대를 위치시킬 수 있어서, 디지털 기기의 사용시 편리하고, 유실물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는 선반부(100), 지지부(300), 연장축부(500), 받침부(700)를 포함한다.
선반부(100)는 선반고정부(110)와 선반힌지부(130)를 포함한다. 선반고정부(110)는 선반부를 지하철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선반고정부는 볼트, 리벳, 접착제, 용접 등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지하철 차체에 부착되거나, 차체의 돌기 등에 의해 끼움결합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선반힌지부(130)는 선반고정부와 같은 수평면에서 연결되지만 선반고정부의 반대쪽인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위치한다. 선반힌지부에 결합되는 선반힌지축(310)의 회동에 문제가 없도록, 선반힌지부는 가급적 선반고정부의 반대쪽 끝부분인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힌지부 사이에 연결봉(미도시)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연결봉에 의하여 선반힌지부의 지지력이 보강되고, 선반부 위에 수화물 보관이 용이해진다.
지지부(300)는 선반힌지축(310)과 지지축(350)을 포함한다. 선반힌지축(310)은 선반부의 선반힌지부(13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선반힌지축은 양단의 직경이 선반힌지부에 맞추어 형성되고, 선반힌지축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반힌지부 내부의 선반힌지축의 직경은 선반힌지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지지축(350)은 선반힌지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지지축이 2개로 표현되었으나, 수화물 지지를 위해 1개 이상의 적당한 수의 지지축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축은 선반힌지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선반힌지축을 중심으로 선반에 대하여 적어도 90° 이상 회전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지지축이 수직 상태로 표현되었으나, 지지축이 90° 회전하여, 선반힌지부 앞쪽으로 위치할 수 있다.
선반힌지축(310)에는 수화물을 걸 수 있는 고정고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고리에 백팩, 외투, 우산 등을 걸어둘 수 있어서 수화물 보관이 용이해진다.
연장축부(500)는 연장축(530)과 받침힌지축(570)을 포함한다. 연장축(530)은 지지축과 결합되고, 지지축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다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지축에서 추가로 2단으로 연장되는 연장축이 도시되어 있다. 연장축은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기 액추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끼움결합을 이용한 연장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받침힌지축(570)은 연장축의 단말에 결합된다. 받침힌지축을 중심으로 받침판(77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받침부(700)는 받침힌지부(750)와 받침판(770)을 포함한다. 받침판(770)은 승객의 수화물을 적치할 수 있도록 판형으로 구성되고, 수화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받침판(770)은 승객의 위치에 따라 180° 이상 회전할 수 있으므로, 양면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힌지부(750)는 받침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받침판(770)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서, 승객의 수화물을 받침판에 편리한 위치에 적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받침힌지부(750)는 받침힌지축에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받침판이 받침힌지축과 결합하는 쪽의 양 끝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슬라이딩 가능한 선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선반부(100)는 슬라이딩 서랍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선반부(100)는 고정선반부(210)와 이동선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선반부(210)는 선반고정부(110)에 의해 지하철 차체에 고정되며, 바깥쪽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230)을 더 포함한다. 슬라이딩홈(230)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슬라이딩홈에 끼워진 돌기가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동선반부(250)는 고정선반부의 슬라이딩홈과 결합하는 슬라이딩돌기(270)를 포함한다. 이동선반부는 슬라이딩돌기를 이용하여 고정선반부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수화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선반부를 고정선반부에 밀착시키면 사용하지 않는 선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수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선반부를 고정선반부로부터 벌어지게 하여 받침판 사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동선반부(250)는 선반고정부의 반대쪽인 바깥쪽 일단에 선반힌지축(310)이 결합하는 선반힌지부(130)를 포함하며 수화물을 적지할 수 있는 받침판을 연결할 수 있다. 이동선반부의 선반힌지부 반대쪽인 선반고정부쪽 타단에 슬라이딩홈과 결합하는 슬라이딩돌기(270)를 구비하여, 이동선반부를 고정선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70)는 이동선반부를 고정선반부에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230)의 폭 방향의 나비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더 크도록 한다. 슬라이딩돌기로 복수개의 봉을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에는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해 슬라이딩홈에 구를 수 있는 바퀴를 부착할 수 있다.
이동선반부의 내구성과 원활한 슬라이딩운동 및 수화물 적재의 편의를 위해, 슬라이딩돌기 안쪽에 지지봉(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은 슬라이딩 돌기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받침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연장축(530)이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받침판(770)은 연장축과 90° 각도를 유지하여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다. 승객은 디지털기기 등의 수화물을 받침판에 적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받침판(770)이 연장축에 접하도록 세워져 위치하고 있다. 수화물 보관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받침판을 접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받침판을 일정한 각도로 고정하기 위해서, 받침힌지부(750)는 바깥쪽에 클러치요철(760)을 포함한다. 클러치요철의 조(Jaw)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톱니형, 파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클러치요철은 바깥쪽의 클러치고정부(660)와 결합하여 받침판을 고정한다.
받침힌지축(570)은 클러치고정부(660)와 결합한다. 클러치고정부는 클러치요철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맞물리면 받침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클러치고정부는 나비너트, 볼트 등의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받침힌지축에 고정할 수 있다. 클러치고정부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자석 등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받침판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러치고정부를 받침힌지축으로부터 이격시켜, 클러치고정부를 클러치요철과 분리시킨다. 받침판의 각도를 조절한 이후, 클러치고정부를 클러치요철과 맞물린다.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클러치고정부를 받침힌지축에 고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연장축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거치대의 연장축(530)을 지지축(350) 내부로 이동시켜 아래쪽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확보에 의해 승객은 좀더 원활하게 승하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거치대의 받침판(770)을 수직에 가깝게 접어서 통로쪽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확보에 의해 통로를 지나는 승객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의 선반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거치대의 지지축(350)을 선반부와 수평으로 유지하여, 거치대 선반부의 하부 공간을 더욱 활용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선반부(250)를 고정선반부(210) 안쪽으로 밀어서 슬라이딩돌기(270)를 끝까지 후진시는 경우, 통로쪽의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고정선반부(210)의 슬라이딩홈(230)이 있는 날개부 끝에는 고정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힌지축(310) 끝에는 선반힌지부(130)에 돌출된 고정홈(440)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홈은 지지축(350)이 선반과 수평이 되는 경우 고정돌기와 맞물리도록 홈을 배치한다. 도 5(b)와 같이,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결합되면 선반힌지축(310)이 회전하지 못하고, 선반힌지축에 연결된 지지축과 받침판 등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홈은 지지축과 반대방향에 형성하고, 슬라이딩홈(230)의 길이가 선반힌지축에서 슬라이딩돌기(270)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위치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의자에 착석한 승객이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기 쉽도록, 받침판(770)을 승객의 좌석쪽으로 향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동선반부를 바깥쪽으로 당겨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장축(530)을 이용하여 적당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통로에 서있는 승객의 경우, 도 1 또는 도 4(a)와 같은 형태로 받침판을 위치시켜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100 : 선반부(100) 110 : 선반고정부(110)
130 : 선반힌지부(130)
210 : 고정선반부(210) 230 : 슬라이딩홈(230)
250 : 이동선반부(250) 270 : 슬라이딩돌기(270)
300 : 지지부(300) 310 : 선반힌지축(310)
350 : 지지축(350) 410 : 고정고리(410)
500 : 연장축부(500) 530 : 연장축(530)
570 : 받침힌지축(570) 660 : 클러치고정부(660);
700 : 받침부(700) 750 : 받침힌지부(750)
760 : 클러치요철(760) 770 : 받침판(770)

Claims (4)

  1. 지하철 선반과 연결되어 지하철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앞에 수화물 받침대를 위치시키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에 있어서,
    지하철 차체에 고정되는 선반고정부(110)와 상기 선반고정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선반힌지부(130)를 구비하는 선반부(100);
    상기 선반힌지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선반힌지축(310)과 상기 선반힌지축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축(350)을 포함하는 지지부(300);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연장축(530)과 상기 연장축의 단말에 결합되는 받침힌지축(570)을 포함하는 연장축부(500); 및
    상기 받침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힌지부(750)와 승객의 수화물을 적치할 수 있는 받침판(770)을 구비하는 받침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힌지축(310)은 수화물을 걸 수 있는 고정고리(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100)는,
    슬라이딩홈(230)을 구비하고, 지하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선반부(210); 및
    일단에 상기 선반힌지부를 구비하고, 타단에 상기 슬라이딩홈과 결합하는 슬라이딩돌기(27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선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이동선반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힌지부(750)는 바깥쪽에 클러치요철(76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힌지축(570)은 상기 클러치요철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가진 클러치고정부(6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KR1020210119196A 2021-09-07 2021-09-07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KR10256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96A KR102564343B1 (ko) 2021-09-07 2021-09-07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96A KR102564343B1 (ko) 2021-09-07 2021-09-07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01A true KR20230036401A (ko) 2023-03-14
KR102564343B1 KR102564343B1 (ko) 2023-08-07

Family

ID=8550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196A KR102564343B1 (ko) 2021-09-07 2021-09-07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34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3273U (ja) * 1991-03-25 1992-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荷物棚
KR970069798A (ko) * 1996-04-03 1997-11-07 김영귀 대형버스의 이동식 선반
KR19990040051U (ko) * 1998-04-23 1999-11-25 김철재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1194250B1 (ko) 2011-02-23 2012-10-2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열차 선반
KR101291948B1 (ko) 2012-09-28 2013-07-31 김충연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
KR20180093497A (ko) * 2017-02-13 2018-08-22 서재홍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KR102157509B1 (ko) 2020-01-07 2020-09-21 (주) 오토탑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3273U (ja) * 1991-03-25 1992-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荷物棚
KR970069798A (ko) * 1996-04-03 1997-11-07 김영귀 대형버스의 이동식 선반
KR19990040051U (ko) * 1998-04-23 1999-11-25 김철재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1194250B1 (ko) 2011-02-23 2012-10-2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열차 선반
KR101291948B1 (ko) 2012-09-28 2013-07-31 김충연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
KR20180093497A (ko) * 2017-02-13 2018-08-22 서재홍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KR102157509B1 (ko) 2020-01-07 2020-09-21 (주) 오토탑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343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0626B (zh) 升降机构、包括其的显示器定位设备、书桌及显示器定位方法
US7938372B2 (en) Free standing or vehicle mounted 6-axis positionable tray, positionable shelf, cup-holder, stanchion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CN103068279B (zh) 显示器定位设备与方法
US20190241228A1 (en) Powered unicycle with handle
CN117257048A (zh) 具有隐藏提升机构的高度可调节装置
GB2259282A (en) A trolley with a foldable seat assembly.
US8973926B1 (en) Rolling chair and tool bin
CA2748768A1 (en) Projector arm assembly for whiteboard stand
US20140361583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US11388999B1 (en) Lounge cart
KR102564343B1 (ko) 지하철 승객용 접이식 거치대
US20100271287A1 (en) Dual-display transportable media cart
US10207653B1 (en) Stowable tiered electronic device holder
CN201658471U (zh) 可调整成推床的轮椅
CN105411184A (zh) 显示器定位设备与方法
US10219618B2 (en) Portable desk
US9914468B2 (en) Collapsible cart
JPH0745398Y2 (ja) 折り畳み可能な座席組立体を備えた運搬装置
US20240166253A1 (en) Foldable trolley
US20220053899A1 (en) Portable Workstation Component Case
AU2012101904A4 (en) A Desk for use in a Vehicle
CA2713016A1 (en) Projector arm assembly for whiteboard stand
CN106275006A (zh) 手推车
CN108501893B (zh) 一种地沟专用车辆维修装置
JP3016785U (ja) 折畳み式の椅子兼用キャリ−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