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178A -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178A
KR20230036178A KR1020210118727A KR20210118727A KR20230036178A KR 20230036178 A KR20230036178 A KR 20230036178A KR 1020210118727 A KR1020210118727 A KR 1020210118727A KR 20210118727 A KR20210118727 A KR 20210118727A KR 20230036178 A KR20230036178 A KR 2023003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ant
nuclear power
information
main control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곤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178A/ko
Publication of KR2023003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7Expert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8Man-machine interface, e.g. control room layou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 구비되는 운전관리모듈; 및 상기 운전지원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연동되며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운용되는 운전지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는, 현장운전원이 상기 원자력발전소 상의 주기적시험, 비상운전수행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서를 제공하는 절차서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현장운전원입력부와, 상기 운전지원장치, 상기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TSC, Technical Support Center)상에 각기 구비되어 상기 입력정보를 출력하는 운전화면출력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를 제공하는 경보정보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을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설정 주기로 지속제공하는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문자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NUCLEAR POWER PLANTS OPERATION ASSIST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운영에 있어 현장운전원들은 발전소 정상운전 상태에서 유선으로 주기적 시험을 수행하고, 설계기준초과사고, 중대사고 등의 발생시 직접현장운전원이 이동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수동으로 조치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정보공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적 실수 방지를 수행하는 운전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062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전소 운영에 있어 현장운전원들은 발전소 정상운전 상태에서 유선으로 주기적 시험을 수행하고, 설계기준초과사고, 중대사고 등의 사고 발생시 직접현장운전원이 이동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수동으로 조치를 수행해야 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현장운전원의 작업 및 각종조치에 따른 제반상황 파악 등이 용이한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이 시스템을 통해 원자력발전소 전체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현장운전원이 수행하는 조치가 원자력발전소 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그 결과를 파악 가능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운전원을 위한 절차서 수행내용과, 발전소정보(예: 기기정보, 계통정보 및 발전소전체정보 등)을 제공하여 현장운전원이 필요한 부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필요한 부분을 확인함에 있어 원자력발전소상의 정보처리계통과 연계하여 확인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상의 유선을 접속할 수 있는 장소인 DCS현장캐비넷이 설치된 장소에서 유선을 사용하고, 유선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는 무선을 사용하여, 전자파 영향으로 인한 통신상의 불안정한 영향을 억제하고 안정적 통신을 수행하되, 그에 따른 안정적 출력운전을 가능케 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상운전 시에는 발전소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도록 유선과 무선방식의 복합적인 운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 구비되는 운전관리모듈; 및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연동되며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운용되는 운전지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는, 현장운전원이 상기 원자력발전소 상의 주기적시험, 비상운전수행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서를 제공하는 절차서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현장운전원입력부와, 상기 운전지원장치, 상기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TSC, Technical Support Center)상에 각기 구비되어 상기 입력정보를 출력하는 운전화면출력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를 제공하는 경보정보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을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설정 주기로 지속제공하는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문자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전관리모듈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터빈 운전을 위한 터빈운전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관련 운전을 위한 안정운영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운전을 위한 원자로운전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발전관련 운전을 위한 발전운영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전력설비 운전을 위한 전력설비운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관리모듈은 대상 발전소의 정보 감시를 위하여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기반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수단과 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전지원시스템은, 기 설정된 처리기준에 해당되는 복잡한 정보처리를 별도로 수행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운전관리모듈은, 상기 원자력발전소로부터 상기 원자력발전소상의 기기제어에 관련된 출력제어값을 수신하며, 상기 출력제어값이 상기 처리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출력제어값을 획득 및 출력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출력제어값은 상기 주제어실운전원이 확인가능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운전관리모듈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운전관리모듈을 거쳐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원자력발전소 상에서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조치완료된 작업에 관한 조치완료작업정보, 조치가 수행중인 작업에 관한 조치수행작업정보 및 조치가 예정된 작업에 관한 조치예정작업정보에 대하여 경보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치완료작업정보, 상기 조치수행작업정보 및 상기 조치예정작업정보는 현장운전원의 대상 기기제어 및 대상기기 프로세스 정보 확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보정보제공부는 상기 경보정보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상황정보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경보정보와 상기 상황정보를 기 설정된 경보리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상기 주제어실과 동일한 정보를 상기 운전지원장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현장운전원들이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전반적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상기 신뢰성판단정보값은 상기 현장운전원과 상기 주제어실 및 상기 원자력발전소 간의 유선방식 및 무선방식 통신연결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자력발전소는 현장에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하는 DCS캐비닛이 설치된 설치현장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지원장치는 상기 설치현장에서 네트워크 스위치가 설치된 상기 DCS캐비닛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유선방식의 통신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되, 상기 유선방식의 통신을 대체하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운영된다.
또한, 문자정보제공부는 상기 문자정보를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운전관리모듈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전지원장치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와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운전관리모듈 상호간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네트워크상태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차서제공부는 현장운전원의 작업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 또는 상기 운전관리모듈로 절차서를 제공하며, 상기 절차서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급수제어계통에 관련된 급수제어계통 시험절차서를 포함하며, 상기 절차서가 급수제어계통 시험절차서에 해당되면, 상기 입력정보는 현장 급수펌프 출구 압력값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운영방법으로서, 절차서제공부를 통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주기적 시험, 비상운전 수행을 위한 절차서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취급되는 운전지원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현장운전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운전화면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정보가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의 운전화면으로 출력되는 단계; 경보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가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제공되는 단계;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이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설정된 주기로 지속제공되는 단계; 및 문자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가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지속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운전지원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전소 운영에 있어 현장운전원들은 발전소 정상운전 상태에서 유선으로 주기적 시험을 수행하고, 설계기준초과사고, 중대사고 등의 사고 발생시 직접현장운전원이 이동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수동으로 조치를 수행해야 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현장운전원의 작업 및 각종조치에 따른 제반상황 파악 등이 용이한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이 시스템을 통해 원자력발전소 전체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현장운전원이 수행하는 조치가 원자력발전소 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그 결과를 파악 가능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운전원을 위한 절차서 수행내용과, 발전소정보(예: 기기정보, 계통정보 및 발전소전체정보 등)을 제공하여 현장운전원이 필요한 부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필요한 부분을 확인함에 있어 원자력발전소상의 정보처리계통과 연계하여 확인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상의 유선을 접속할 수 있는 장소인 DCS현장캐비넷이 설치된 장소에서 유선을 사용하고, 유선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는 무선을 사용하여, 전자파 영향으로 인한 통신상의 불안정한 영향을 억제하고 안정적 통신을 수행하되, 그에 따른 안정적 출력운전을 가능케 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운전 시에는 발전소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도록 유선과 무선방식의 복합적인 운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의 다른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의 관한 참고사항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에 대응되는 콘솔을 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의 네트워크 동작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에 관련된 화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100)은 운전관리모듈(110), 운전지원장치(120), 원자력발전소(130) 및 정보처리부(1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는 절사서제공부(121), 현장운전원입력부(122), 운전화면출력부(123), 경보정보제공부(124),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125) 및 문자정보제공부(126) 및 네트워크상태출력부(127)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은 터빈운전부(111), 안전운영부(112), 원자로운전부(113), 발전운영부(114) 및 전력설비운영부(115)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100)의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은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주제어실에 구비된다.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는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연동되며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운용된다.
여기서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의 상기 절차서제공부(121)는 현장운전원이 상기 원자력발전소(130) 상의 주기적시험, 비상운전수행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의 상기 현장운전원입력부(122)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의 상기 운전화면출력부(123)는 상기 운전지원장치(120), 상기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TSC, Technical Support Center)상에 각기 구비되어 상기 입력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의 상기 경보정보제공부(124)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운전지원장치(120)의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125)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을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로 설정 주기로 지속제공 한다.
아울러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의 문자정보제공부(126)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의 상기 터빈운전부(111)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터빈 운전을 위한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의 안정운영부(112)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안전관련 운전을 위한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의 상기 원자로운전부(113)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원자로 운전을 위한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의 상기 발전운영부(114)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발전관련 운전을 위한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의 상기 전력설비운전부(115)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전력설비 운전을 위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은 대상 발전소의 정보 감시를 위하여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기반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수단과 컴퓨터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전지원시스템(100)의 상기 정보처리부(140)는 기 설정된 처리기준에 해당되는 복잡한 정보처리를 별도로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은 상기 원자력발전소(130)로부터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상의 기기제어에 관련된 출력제어값을 수신한다. 이러한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은 상기 출력제어값이 상기 처리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부(140)를 통해 처리된 출력제어값을 획득 및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된 출력제어값은 상기 주제어실운전원이 확인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와 상기 운전관리모듈(10)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운전관리모듈(110)을 거쳐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 상에서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조치완료된 작업에 관한 조치완료작업정보, 조치가 수행중인 작업에 관한 조치수행작업정보 및 조치가 예정된 작업에 관한 조치예정작업정보에 대하여 경보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조치완료작업정보, 상기 조치수행작업정보 및 상기 조치예정작업정보는 현장운전원의 대상 기기제어 및 대상기기 프로세스 정보(예: 경보 등) 확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경보정보제공부(124)는 상기 경보정보와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상황정보를 복합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경보정보제공부(124)는 상기 경보정보와 상기 상황정보를 기 설정된 경보리스트 형태로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실과 동일한 정보를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현장운전원들이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전반적 상황을 실시간 파악하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상기 신뢰성판단정보값은 상기 현장운전원과 상기 주제어실 및 상기 원자력발전소(예: 발전소 현장설비 등)(130) 간의 유선방식 및 무선방식 통신연결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원자력발전소(130)는 현장에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하는 DCS캐비닛이 설치된 설치현장을 포함한다.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는 상기 설치현장에서 네트워크 스위치가 설치된 상기 DCS캐비닛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유선방식으로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와 상기 주제어실은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유선방식의 통신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되, 상기 유선방식의 통신을 대체하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운영된다. 아울러 상기 문자정보제공부(126)는 상기 문자정보를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와 상기 운전관리모듈(예: 운전화면 등을 포함)(110)로 제공한다.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의 상기 네트워크상태출력부(127)는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와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와 상기 운전관리모듈(110) 상호간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지원시스템은 기존 현장운전원이 정보공유, 정보전달 및 수행내용의 명확성, 설치 플랫폼, 정보처리계통 연결 및 절차서 제공의 모든 측면에서 보다 용이하게 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지원시스템은 기존 현장운전원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 각종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나열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력 발전소 운영의 안정성과 신뢰성 및 각종 비상조치 실시간 수행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 도출됨을 알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주제어실에 출력되는 주제어실 운전원용 운전화면(예: 상기 운전화면출력부(123)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수단(L1~L5) 등))은 주제어실과 I&C 기기실 및 발전소현장간에 DCS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동된다. 원자력발전소 현장에서 현장운전원은 유선과 무선 방식을 선택적 혹은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절차서제공부(121)는 현장운전원의 작업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120) 또는 상기 운전관리모듈(110)로 절차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차서는 예컨데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급수제어계통에 관련된 급수제어계통 시험절차서 등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절차서가 급수제어계통 시험절차서에 해당되면, 상기 입력정보는 현장 급수펌프 출구 압력값을 포함한다. 상기 절차서제공부(121)는 현장운전원 등의 절차서 검색(D1), 현장운전원이 현장 급수펌프 출구 압력값을 수동입력하는 값(D2), 경보정보(D3)(예: 구체적 지시사항, 각종 상황 발생, 작업자의 조치에 따른 처리상태, 각종 상황발생 등의 경보 등) 네트워크상태표시정보(D4), 주제어실과 현장운전원 간의 대화정보(D5)(예: 통신내용, 이러한 통신내용을 문자로 변환한 문자정보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운영방법(S100)은 S110에서 절차서제공부(121)를 통하여 원자력발전소(130)의 주기적 시험, 비상운전 수행을 위한 절차서가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취급되는 운전지원장치(120)에 제공된다.
S120에서 현장운전원입력부(122)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된다. S130에서 운전화면출력부(123)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정보가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TSC, Technical Support Center)의 구비되는 운전화면출력부(123) 등으로 출력된다.
S140에서 경보정보제공부(124)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가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로 제공된다. 여기서 경보정보와 신뢰성 판단정보는 현장운전원이 절차를 수행하면서 병행해서 실시간으로 정보들이 제공되는 방식일 수 있다.
S150에서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125)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이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로 설정된 주기로 지속제공 된다. 여기서 경보정보와 신뢰성 판단정보는 현장운전원이 절차를 수행하면서 병행해서 실시간으로 정보들이 제공된다.
S160에서 문자정보제공부(126)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130)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가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운전지원장치(120)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지속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운전지원장치(120)에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수행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운전관리모듈
120: 운전지원장치
130: 원자력발전소
140: 정보처리부

Claims (10)

  1.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으로서,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 구비되는 운전관리모듈; 및 상기 운전지원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연동되며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운용되는 운전지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는,
    현장운전원이 상기 원자력발전소 상의 주기적시험, 비상운전수행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서를 제공하는 절차서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현장운전원입력부와,
    상기 운전지원장치, 상기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TSC, Technical Support Center)상에 각기 구비되어 상기 입력정보를 출력하는 운전화면출력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를 제공하는 경보정보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을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설정 주기로 지속제공하는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문자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관리모듈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터빈 운전을 위한 터빈운전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관련 운전을 위한 안정운영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운전을 위한 원자로운전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발전관련 운전을 위한 발전운영부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전력설비 운전을 위한 전력설비운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관리모듈은 대상 발전소의 정보 감시를 위하여 분산제어시스템(disributed control system) 기반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수단과 컴퓨터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지원시스템은,
    기 설정된 처리기준에 해당되는 복잡한 정보처리를 별도로 수행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운전관리모듈은,
    상기 원자력발전소로부터 상기 원자력발전소상의 기기제어에 관련된 출력제어값을 수신하며,
    상기 출력제어값이 상기 처리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출력제어값을 획득 및 출력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출력제어값은 상기 주제어실운전원이 확인가능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운전관리모듈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운전관리모듈을 거쳐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제공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원자력발전소 상에서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조치완료된 작업에 관한 조치완료작업정보, 조치가 수행중인 작업에 관한 조치수행작업정보 및 조치가 예정된 작업에 관한 조치예정작업정보에 대하여 경보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치완료작업정보, 상기 조치수행작업정보 및 상기 조치예정작업정보는 현장운전원의 대상 기기제어 및 대상기기 프로세스 정보 확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정보제공부는
    상기 경보정보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상황정보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경보정보와 상기 상황정보를 기 설정된 경보리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상기 주제어실과 동일한 정보를 상기 운전지원장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현장운전원들이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전반적 상황을 실시간 파악하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상기 신뢰성판단정보값은 상기 현장운전원과 상기 주제어실 및 상기 원자력발전소 간의 유선방식 및 무선방식 통신연결상태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발전소는 현장에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하는 DCS캐비닛이 설치된 설치현장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지원장치는 상기 설치현장에서 네트워크 스위치가 설치된 상기 DCS캐비닛을 기반으로 상기 주제어실과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되,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유선방식의 통신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되, 상기 유선방식의 통신을 대체하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운영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문자정보제공부는 상기 문자정보를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운전관리모듈로 제공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10.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운영방법으로서,
    절차서제공부를 통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주기적 시험, 비상운전 수행을 위한 절차서가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에 의하여 취급되는 운전지원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현장운전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로부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운전화면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정보가 주제어실 및 기술지원센터의 운전화면으로 출력되는 단계;
    경보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을 위한 경보정보가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제공되는 단계;
    신뢰성판단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통신연결상태에 관한 신뢰성판단정보값이 현장운전원들을 위하여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설정된 주기로 지속제공되는 단계; 및
    문자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현장운전원들과 상기 주제어실의 주제어실운전원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확보되도록, 상기 운전지원장치와 상기 주제어실 상호간의 음성통신정보가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지원장치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지속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운전지원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운영방법.
KR1020210118727A 2021-09-07 2021-09-07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KR20230036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27A KR20230036178A (ko) 2021-09-07 2021-09-07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27A KR20230036178A (ko) 2021-09-07 2021-09-07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178A true KR20230036178A (ko) 2023-03-14

Family

ID=8550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27A KR20230036178A (ko) 2021-09-07 2021-09-07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1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623A (ko) 2017-01-04 2018-07-1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의 밸브 상태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623A (ko) 2017-01-04 2018-07-1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의 밸브 상태 표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2236B2 (en) Fault tree analysis system for the instrument control process for nuclear power plant with 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 background
WO2017051576A1 (ja) プラント運転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運転方法
CN104392756B (zh) 一种基于数字化仪控系统的反应堆动态联锁系统及方法
CN112650115B (zh) 一种架桥机主动安全监控系统
EP3627264B1 (en) Plant assessment system and plant assessment method
JP2017062728A (ja) 異常診断システム及び異常診断方法
CN103474116A (zh) 一种采用数字化人机接口核电厂事故状态下运行控制的功能分析方法
JP2007042014A (ja) プラント状態監視装置およびプラント状態監視方法
CN103793856A (zh) 一种基于多数据源的电网设备状态评价系统及其方法
CN100544476C (zh) Gprs业务智能控制方法
Kwon et al. Technical review on the localized digit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KR20230036178A (ko) 원자력발전소 운전지원시스템 그 운영방법
CN114023477A (zh) 一种核电厂计算机化规程系统和控制系统
JP6656593B2 (ja) 安全計装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安全計装システム
JP2003345425A (ja) 遠隔からの監視・診断を可能にする遠隔プラント監視診断方法及びそのプラント監視・診断装置
CN115760053A (zh) 作业机械运行保障方法、系统、作业机械及电子设备
CN112701783A (zh) 一种配网运维监测设备及监测方法
CN112635086B (zh) 一种核电厂主控制室事故后监控系统和方法
KR20010076546A (ko) 원자력 발전소의 계측제어계통
JPH04147095A (ja) 既設原子力発電所中央制御室計測制御設備のリプレース方法
JP2809929B2 (ja) プラント制御装置の試験システム
KR20150062618A (ko) 감시진단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KR101269061B1 (ko) 실시간 여자기 감시진단 장치
JP2766549B2 (ja) プラント監視装置
JP2010130711A (ja) 遠方監視制御装置の入出力試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