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104A -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6104A KR20230036104A KR1020237000777A KR20237000777A KR20230036104A KR 20230036104 A KR20230036104 A KR 20230036104A KR 1020237000777 A KR1020237000777 A KR 1020237000777A KR 20237000777 A KR20237000777 A KR 20237000777A KR 20230036104 A KR20230036104 A KR 202300361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cartridge
- inlet
- outlet
- valve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70 Theobroma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24 brew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891—With holder for solid, flaky or pulverized material to be dissolved or entr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100)에 관한 것이고, 장치(100)는 밸브 본체(101), 유체 유입구(102) 및 유체 배출구(103)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101) 내 제1 채널 시스템은 상기 밸브 본체(101) 내의 유체 유입구(102)와 유체 배출구(103)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채널 시스템은 상기 유체 유입구(102)와 상기 유체 배출구(103)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작동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유체 유입구(102)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103)까지의 상기 제1 채널 시스템, 또는 상기 유체 유입구(102)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103)까지의 상기 제2 채널 시스템 중 하나를 통해 흐른다. 카트리지가(11)가 도킹되면 전환되는 전환 장치(104)가 제공되는데, 상기 카트리지(11)가 상기 도킹 요소(12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 시스템은 상기 카트리지(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유체에 용해되거나 분산 가능한, 추가적인 유체, 기체 또는 고체를 계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장치는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물때 제거(descaling)에 적합하다. 특히, 장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로 구성된다. 장치는 특히 상기 물때제거제를 브루잉 장치 또는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급수 채널에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종래의 알려진 밸브, 예를 들어 물 연결(water connection)을 갖는 브루잉 장치 또는 커피 머신의 물 때 제거를 위한 밸브는, 밸브의 전환 및/또는 라인의 제거와 부착을 포함한다.
이전에 알려진 해결책의 단점은 브루잉 장치 또는 커피 머신의 물때를 제거할 때 오류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밸브가 잘못 전환되거나 라인이 잘못 제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브루잉 장치의 물때 제거는, 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작업자에게 오류가 발생하기 쉬워서 종종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장치들의 물때 제거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문헌 US20140060338 A1에는 수용성 물때 제거 정제(tablet)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배열된 바이패스 라인을 구비한 음료 기계의 물때 제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바이패스 라인에 대한 연결은 3방향 밸브를 통해 개방되어, 카트리지로 물이 유입되고, 물때 제거제는 물때 제거 정제로부터 방출되고, 물때 제거 용액이 브루잉 장치로 공급된다. 3방향 밸브가 닫혔을 때, 물은 바이패스 라인에 남아 있고, 물때 제거제는 여전히 이러한 물에 용해될 수 있다.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흐름이 차단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용성 물때 제거제의 농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물때 제거제의 농도는 두 물때 제거 사이클 사이의 경과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농도가 너무 낮으면 물때 제거가 불완전할 수 있고, 너무 높으면 너무 고농도인 물때 제거제 용액과 접촉하는 성분들이 부식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EP 3 501 351 A1에 따르면, 액상 케어 제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넥에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체크 밸브는 계량선의 단부에 있는 결합 장치의 개방 요소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장치의 개방 요소에 매치하도록 구성된, 이러한 해결책을 위해서는 체크 밸브를 가진 특수 카트리지가 필요하다. 또한, 계량 펌프가 액상 케어 제품의 전달을 위해 필요하며, 이 계량 펌프는 계량선을 통해 액상 케어 제품을 음료 기계의 물 라인으로 펌핑한다. 특수 카트리지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또 다른 변형예는 DE 10 2011 08 10 10 A1에 개시된다.
따라서, 소정 농도의 물때 제거제에 간단한 방법으로 수행되는 물때 제거에 의해, 예컨대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의 물때 제거를 위하여,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작동이 용이하고, 잘못된 조작에 취약하지 않으며, 그 물때 제거제의 농도는 미리 결정된다. 특히 이 장치는 첨가제에 대한 공급 또는 계량제가 들어 있지 않은, 시판되는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1항에 따르는 장치에 의해 발명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제2항 내지 제14항은 이로운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제는 제15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예를 들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본 용어는 예시적인 실시예 및/또는 변형을 의미하며, 이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교시 보다 바람직한 적용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바람직한"이라는 용어는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또는 변형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예시를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반드시 본 발명의 가르침을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바람직한" 또는 "바람직하게"라는 용어는 복수의 실시예 및/또는 변형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만 간주되어야 한다. 명세서 및 청구항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는(comprise)", "가지는(have)"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해석된다.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밸브 본체, 유체 유입구 및 유체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채널 시스템은 상기 밸브 본체 내의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 사이에서 연장하고, 제2 채널 시스템은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배출구의 사이에서 연장하여, 작동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유체 유입구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까지의 상기 제1 채널 시스템, 또는 상기 유체 유입구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까지의 상기 제2 채널 시스템 중 하나를 통해 흐른다. 상기 밸브 본체는 첨가제를 위한 카트리지를 도킹하기 위한 도킹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도킹 요소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 시스템이 상기 카트리지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카트리지가 도킹되면 전환가능한 전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환 장치는 특히 카트리지를 밸브 본체에 도킹함으로써 작동된다. 상기 전환 장치는 유체 유입구가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해 유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유체 유입구가 제2 채널 시스템을 통해 유체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카트리지를 밸브 본체에 도킹함으로써, 전환 장치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한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 사이의 연결은 전환 장치에 의해 차단됨과 동시에, 전환에 의해 제2 채널 시스템을 통한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의 연결이 개방된다. 스위치 오버 장치는 특히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한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 사이의 연결을 중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요소를 포함하고, 제2 채널 시스템을 통한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 사이의 연결은 슬라이드 요소에 의해 동시에 개방된다. 유체 유입구는 특히 물 유입구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배출구는 특히 물 배출구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 통로와 상기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를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유출구 통로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첨가제의 첨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는 오버플로우 통로를 통해 상기 유체 배출구에 연결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통로는, 상기 전환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버 및 전환 장치의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오버플로우 통로는 전환 장치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닫힌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장치는 유입구 플런저, 배출구 플런저 및 분리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입구 플런저는 베이스 본체 및 베이스 요소를 포함하고, 숄더는 상기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요소 사이의 전이(transition)를 구성한다. 상기 배출구 플런저는 베이스 본체 및 베이스 요소를 포함하고, 숄더는 상기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요소 사이의 전이를 구성한다.
상기 유입구 플런저의 상기 베이스 요소는 축방향 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스프링 요소는 상기 축방향 보어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배출구 플런저의 상기 베이스 요소는 축방향 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프링 요소는 상기 축방향 보어 내에 배치된다.
유입구 씰은 상기 유입구 플런저의 숄더 상에 배치된다. 배출구 씰은 상기 배출구 플런저의 숄더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카트리지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유입구 통로는 카트리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상기 유출구 통로는 카트리지로부터 첨가제를 포함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개방된다.
특히, 상기 전환 장치는 변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요소는 카트리지 넥의 외부 나사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내부 나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요소는 밸브 본체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본체는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배출구와 도킹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씰을 포함한다.
특히, 유체는 물일 수 있다. 특히, 첨가제는 물때 제거제이거나 또는 물때 제거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첨가제는 시럽(syrup)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첨가제는 농축물(concent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또한 부가 물질일 수 있다.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밸브 본체, 유체 유입구 및 유체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채널 시스템은 상기 밸브 본체 내의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 사이에서 연장하고, 제2 채널 시스템은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배출구의 사이에서 연장하여, 작동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유체 유입구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까지의 상기 제1 채널 시스템, 또는 상기 유체 유입구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까지의 상기 제2 채널 시스템 중 하나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물 때 제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소다 물의 흐름에 시럽을 첨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유체 내로 농축물을 계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부가물질 또는 첨가제의 첨가에 동일하게 적합하다.
뜨거운 음료는 예를 들어 커피, 차, 우유, 코코아 또는 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뜨거운 음료는 또한 가열된 다른 음식물, 예를 들어 수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식품은 음료의 방식으로 소비된다.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는, 특히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소재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추출용매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추출용매의 공급 라인,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물 때 제거 장치, 가열 장치, 브루잉 장치 및 추출물 수집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브루잉 장치는 추출소재를 포함한다. 공급 라인은 추출용매를 가열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가열 장치 브루잉 장치로의 가열된 추출용매을 위한 연결 라인이 제공된다. 브루잉 장치는 추출용매에 투과성이 있는 추출 소재를 위한 수용 요소를 포함하여, 가열된 추출 용매와 추출 재료의 접촉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추출물 수집 수용체는 추출물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 라인에는 상기 추출제의 체적 유량 측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 라인은 물 때 제거를 위한 장치 및 필요에 따라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연산유닛, 비교유닛 및 메모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다수의 계량 사양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원하는 부피 흐름 및 추출물의 준비를 위한 추출용매의 원하는 온도가 포함된다. 원하는 부피 흐름 및 가열된 추출용매의 원하는 온도를 포함하는 계량 사양 중 하나는 입력 장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물때 제거를 위한 장치의 기동을 위한 계량 사양은 입력 장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어 밸브의 개방 시간은 연산유닛에 의한 소망하는 부피 흐름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부피 흐름 측정값은 비교유닛에 의한 원하는 부피 흐름과 비교 가능하므로, 원하는 부피 흐름이 부피 흐름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커피, 차 및 수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뜨거운 음료는 압력에 의해 추출되거나, 내려지거나, 브루잉(양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아래와 같이 도시된다.
도 1은 제1 위치의 카트리지를 가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제2 위치의 카트리지를 가지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위치의 카트리지를 가지는 도 4의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1 위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제2 위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제1 위치의 카트리지를 가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제2 위치의 카트리지를 가지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위치의 카트리지를 가지는 도 4의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1 위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제2 위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의 물때 제거(descaling)를 위해 유체에 첨가제, 예를 들어 물때 제거제(descaling agent)를 계량(metering)하기 위한 장치(1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장치에 속하는 유체 배관(fluid line)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유체 유입구(2)(개략적으로 도시됨) 및 유체 출구(3)가 제공된다. 유체 유입구(2)와 유체 배출구(3)는 모두 유체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요소(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장치(10)는 유체 유입구(2)와 유체 배출구(3)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채널 시스템, 및 유체 유입구(2)와 유체 배출구(3)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채널 시스템을 포함하여 ,유체가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해 유체 유입구(2)에서 유체 유출구(3)로 흐르거나 제2 채널 시스템을 통해 유체 유입구(2)에서 유체 배출구(3)로 흐를 수 있다. 밸브 본체(1) 첨가제용 카트리지(11)를 도킹하도록 구성된 도킹 요소(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1)가 도킹 요소(20)에 연결될 때, 제2 채널 시스템이 카트리지(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카트리지(11)가 도킹되면 전환될 수 있는 전환 장치(4, 5, 28)가 제공된다. 전환 장치(4, 5, 28)는 카트리지에 유체를 보충하기 위한 유입구 통로(21) 및 카트리지(11)로부터 첨가제가 포함된(loaded)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유출구 통로(22)를 포함한다.
특히, 유체 유입구(2)는 첨가제의 첨가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오버플로우 통로(14, 15)를 통해 유체 배출구(3)에 연결된다. 전환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버(12)와 전환 장치(4, 5, 28) 사이에 오버플로우 통로가 형성된다. 도 1에 따르면, 전환 장치는 유입구 플런저(4), 배출구 플런저(5) 및 분리 요소(28)를 포함한다. 유입구 플런저(4)는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요소(42)를 포함한다. 숄더(43)는 베이스 본체(41)와 베이스 요소(42) 사이에 전환부(transition)를 형성한다. 유입구 씰(6)은 숄더(43) 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요소(42)는 축방향 보어(44)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요소(8)는 축방향 보어(44) 안에 배치된다.
배출구 플런저(5)는 베이스 본체(51) 및 베이스 요소(52)를 포함한다. 숄더(53)는 베이스 본체(51)와 베이스 요소(52) 사이에 전환부를 형성한다. 배출구 씰(7)은 숄더(53) 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요소(52)는 축방향 보어(54)를 포함한다. 제2 스프링 요소(9)는 축방향 보어(54) 안에 배치된다.
도 1에 따르면, 제1 채널 시스템은 제1 오버플로우 통로(14), 연결 통로(16) 및 제2 오버플로우 통로(15)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통로(16)는 제1 오버플로우 통로(14)를 제2 오버플로우 통로(15)에 연결한다. 유입구 플런저(4)는 장치(10)의 밸브 본체(1) 내의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slidably) 장착된다.
따라서, 유입구 플런저(4)는 유입구 씰(6)과 제1 스프링 요소(8)를 포함한다. 유입구 씰(6)은 석회질 제거제를 위한 유입구 개구를 닫는데 사용된다. 유입구 개구는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해 흐르는 유체에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을 때 닫힌다.
제1 스프링 요소(8)는 이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홀(blind hole)로 구성된 유입구 플런저(4)의 축방향 보어(4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 스프링 요소(8)는 블라인드 홀의 바닥과 밸브 본체(1)의 커버(12) 상에서 지지된다. 커버(12)는 유입구 플런저(4)와 배출구 플런저(5)를 밸브 본체(1)의 해당 보어에 설치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를 위한 축방향 보어(44, 54)는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고, 서로 병행(run parallel)하는 중심축을 가진다.
배출구 플런저(5)는 배출구 씰(7)과 제2 스프링 요소(9)를 포함한다. 배출구 씰(7)은 첨가제를 위한 배출구 개구(25)를 폐쇠하도록 역할한다. 배출구 개구(25)는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해 흐르는 유체 스트림(fluid stream)에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을 때 닫힌다. 제2 스프링 요소(9)는 이 실시예에 따라 블라인드 홀로 구성된 배출구 플런저(5)의 축방향 보어(5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2 스프링 요소(9)는 블라인드 홀의 바닥과 밸브 본체(1)의 커버(12) 상에서 지지된다.
밸브 본체(1)는 또한 그 안에 카트리지(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23)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1)는 필요에 따라 유체에 첨가될 첨가제를 담을 수 있는 용기(container)이다. 카트리지(11)는 이 실시예에 따라 외부 나사(19)(external thread)가 장착된 카트리지 넥(31)을 포함한다.
제2 채널 시스템은 유입 통로(21), 카트리지(11)의 내부 및 유출구 통로(22)에 의해 형성된다. 유입 통로(21)는 유체 유입구(2)에 연결된다. 유출구 통로(22)는 유체 배출구(3)로 이어진다. 제2 채널 시스템은 카트리지(11)가 밸브 본체(1)에 수용된 경우에만 유체 흐름에 개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넥(31)에 위치한 외부 나사(19)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킹 요소(20)의 내부 나사(internal thread) 내에 나사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1)는 커버(12)의 반대측에 리세스(23)를 가지고, 리세스는 적어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세스(23)는 카트리지(11)가 밸브 본체(1)에 연결될 때 카트리지 넥(31)의 외부 나사(19)를 수용하는 내부 나사를 가지는 도킹 요소(20)를 가진다.
전환 장치(4, 5)는 카트리지(11)의 도킹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제2 위치에서 유입 통로(21)는 카트리지(1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유출구 통로(22)는 카트리지(11)로부터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개방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넥(31)의 단부(32)는 유입구 플런저(4)의 베이스 본체(41) 및 배출구 플런저(5)의 베이스 본체(51) 상에 놓이고, 카트리지 넥(31)은 리세스(23) 내에 위치한 밸브 본체(1)의 도킹 요소(20)의 내부 나사 내에 나사 결합한다.
도 2는 제2 위치, 예를 들어 물때 제거(descaling)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11)를 갖는 장치(10)를 도시한다. 제2 위치에서 제1 채널 시스템은 유체 흐름을 위해 닫히고 제2 채널 시스템이 개방된다.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에 있는 외부 나사(19)가 리세스(23)의 도킹 요소(20)의 내부 나사 내에 나사 결합되면, 베이스 본체(41, 51)가 커버(12)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 요소(8, 9)는 압축된다. 유입구 씰(6) 및 배출구 씰(7)은 밸브 본체(1)의 시트(26, 27)로부터 들어올려져 유입 통로(21) 및 유출구 통로(22)가 개방된다. 유체는, 이제 유입 통로(21)를 통해 카트리지(11)로 흐를 수 있다. 유체는 카트리지(11) 내부에 위치한 첨가제를 흡수하고 유체 배출구(3)로 이어지는 유출구 통로(22)를 통해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 흐름으로서, 카트리지(11)를 빠져나간다.
제1 채널 시스템은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닫힌다. 유체가 계속하여 제1 오버플로우 통로(14)로 유입될 수 있지만, 유입구 플런저(4)의 단부 영역이 커버(12)에 대응하는 제1 폐쇄 캐비티(17) 내로 밀리고, 그 결과 연결 통로(16)가 폐쇄된다. 유체는 이제 연결 통로(16)로 들어갈 수 없다. 배출구 플런저(5)의 단부 영역은 또한 커버(12)에 대응하는 제2 폐쇄 캐비티(18) 내로 밀리고, 그 결과 연결 통로(16)로부터 제2 오버플로우 통로(15)로의 연결이 차단된다.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는 유체 배출구(3)를 통해 장치(10)에서 배출된다.
베이스 본체(41)는 밸브 본체(1)의 유입구 개구(24)에 수용된다. 유입구 개구(24)는 유입 통로(21)의 일부이다. 유입구 개구(24)의 내경(inner diameter)는 베이스 본체(41)의 외경보다 크고, 유체는 유입구 개구(24)에 의해 형성된 밸브 본체(1)의 내벽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베이스 본체(51)는 밸브 본체(1)의 배출구 개구(25)에 수용된다. 배출구 개구(25)는 유출구 통로(22)의 일부이다. 배출구 개구(25)의 내경은 베이스 본체(51)의 외경보다 크므로, 배출구 개구(25)에 의해 형성된 밸브 본체(1)의 내벽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은 리세스(2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는 카트리지 넥(31) 외부와 카트리지 넥(31) 내부 모두에서 흐를 수 있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씰(29)이 리세스(23)에 배치되고, 유체가 도킹 요소(20)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주위 환경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르는 장치(10)를 도 2에서 도면의 평면에 직각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파선과 2개의 화살표로 도시한다. 보는 방향은 카트리지(11)를 보는 방향이다. 단면은 밸브 본체(1), 유입 통로(21), 유출구 통로(22), 유입구 플런저(4)의 베이스 본체(41), 배출구 플런저(5)의 베이스 본체(51), 유입구 개구(24) 및 배출구 개구(25)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본체(51)가 대응하는 유입구 개구(24)와 배출구 개구(25)와 동심이 아니기 때문에, 유체의 주 부피 흐름이 카트리지(11) 흐르고, 유체의 극히 일부만이 카트리지 넥(31)과 리세스(23)의 사이 공간에 들어갈 수 있다.
도 3은 또한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유입구 씰(6)(도 1 참조)의 시트를 형성하는 숄더(26)과 배출구 씰(7)의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26, 27)를 도시한다.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본체(51)의 외경은 유입구 플런저(4) 및 전환 장치(4, 5, 28)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의 내경보다 상당히 작기 때문에, 유체는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본체(51)의 주위를 흘러, 유체 유입구(2)로부터 카트리지(11) 내로 흐른 후 카트리지(11)로부터 유체 배출구(3)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또한 카트리지(11)가 밸브 본체(1)의 리세스(23)에 삽입되었을 때, 카트리지 넥(3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변위체(13)를 도시한다. 변위체(13)는 밸브 본체(1)의 일부가 될 수 있고, 유입구 플런저(4) 및 전환 장치(4, 5, 28) 사이에 연장되는 분리 요소(28)를 통해 밸브 본체(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변위체(13)와 분리 요소(28)의 연결은 나사 연결, 플러그 연결,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옵션들은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변위체(13)는 첨가제에 유체를 도입하도록 역할한다. 변위체(13)는 유입 통로(2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흐름이 첨가제를 지나도록 유도되고, 카트리지(11)를 통과하는 도중에 첨가제를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변위체(13)가 없으면 부분적인 유체 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첨가제를 지나칠 수 있고(bypass), 카트리지(11)를 통과하는 유로 상의 유체 흐름에 의해 흡수되는 첨가제가 없거나 너무 적게 될 수 있다.
변위체(13)는, 카트리지(11)의 조립 또는 분해시에 첨가제나 유체가 주위 환경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이점도 있다. 카트리지가 전환 장치(4, 5)에 도킹되면, 변위체는 카트리지 넥(31)의 내부에 위치한다.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다. 이는 카트리지(11)의 부피의 최대 80%가 첨가제로 채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카트리지(11)를 수직 자세로 설치할 수 없고 경사 자세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변위체(13)는 첨가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첨가제가 다 소모되어 카트리지(11)가 분해되는 경우, 변위체(13)는 또다른 이점을 가진다. 카트리지(11)는 분해되는 동안 유체로 완전히 채워진다. 카트리지(11)가 제거되는 경우, 특히 카트리지(11)가 수직자세에 있지 않을 때, 유체가 쏟길 수 있다. 그러나 유체의 일부는 변위체(13)에 의해 변위된다. 카트리지(11)가 분해되는 경우, 유입 통로(21), 유출구 통로(22) 또는 카트리지 넥(31)에 존재하던 유체가 변위체(13)에 의해 개방된(released) 공간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트리지(11) 더 이상 유체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으며,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주위 환경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50)을 평면도를 도시하며, 본 실시예의 요소 중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도 4는 밸브 본체(1)와 밸브 본체(1)에 삽입된 커버(12)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커버(12)가 밸브 본체(1)에 배치되지 않고 밸브 본체(1)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특히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커버(12)는 고정링(40)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장치(50)를 관통하는 종단면을 도시하며, 도 4는 카트리지(11)에 위치한 첨가제를 흡수하기 위하여 유체가 카트리지(11)를 통해 흐르는 제2 자세, 즉 도킹 자세의 카트리지(11)를 도시한다. 장치(50)는 또한, 예를 들어,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의 물때를 제거(descal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치(50)는 예를 들어, 장치에 속하는 유체 라인 내에 부착된다. 그러나, 장치(50)는 임의의 유체 라인에도 설치될 수 있다. 장치(50)는 도식화된 유체 유입구(2) 및 유체 배출구(3)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구(2) 및 유체 배출구(3)는 모두 유체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요소(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장치(50)는 유체 유입구(2) 및 유체 배출구(3) 사이에 연장되는 제1 채널 시스템 및 유체 유입구(2) 및 유체 배출구(3) 사이에 연장되는 제2 채널 시스템을 포함하여, 유체는 유체 유입구(2)로부터 유체 배출구(3)까지 제1 채널 시스템을 통과하거나, 유체 유입구(2)로부터 유체 배출구(3)까지 제2 채널 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다. 밸브 본체(1)는 첨가제를 위한 카트리지(11)를 도킹하도록 구성된 도킹 요소(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1)가 도킹 요소(20)에 연결될 때, 제2 채널 시스템이 카트리지(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것과 같이 카트리지(11)가 도킹될 때, 전환 가능한 전환 장치(4, 5, 28)가 제공된다. 전환 장치는 카트리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 통로(21)와 카트리지(11)로부터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유출구 통로(22)를 포함한다.
특히, 첨가제의 첨가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유체 유입구(2)가 제1 오버플로우 통로(14) 및 오버플로우 통로(14, 15)를 통해 유체 배출구(3)에 연결된다. 오버플로우 통로는 전환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버(12) 및 전환 장치(4, 5, 28) 사이에 형성된다. 도 5에 따른 전환 장치는 유입구 플런저(4), 전환 장치(4, 5, 28) 및 분리 요소(28)를 포함한다. 유입구 플런저(4)는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요소(42)를 포함한다. 숄더(43)는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요소(42) 사이의 전이(transition)을 형성한다. 유입구 씰(6)은 숄더(43)에 배치된다. 베이스 요소(42)는 축방향 보어(44)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요소(8)는 축방향 보어(44)에 배치된다.
배출구 플런저(5)는 베이스 본체(51) 및 베이스 요소(52)를 포함한다. 숄더(53)는 베이스 본체(51) 및 베이스 요소(52)를 포함한다. 숄더(53)는 베이스 본체(51) 및 베이스 요소(52) 사이의 전이를 형성한다. 배출구 씰(7)은 숄더(53)에 배치된다. 베이스 요소(52)는 축방향 보어(54)를 포함한다. 제2 스프링 요소(9)는 축방향 보어(54)에 배치된다.
도 5에 따르면, 제1 채널 시스템은 제1 오버플로우 통로(14), 연결 통로(16) 및 오버플로우 통로(14, 15)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통로(16)는 도시되지 않은 제1 위치에 전환 요소가 있을 때, 제1 오버플로우 통로(14)를 제2 오버플로우 통로(15)에 연결한다. 유입구 플런저(4)는 장치(50)의 밸브 본체(1)의 리세스(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유입구 플런저(4)는 유입구 씰(6)과 제1 스프링 요소(8)를 포함한다. 유입구 씰(6)은 첨가제를 위한 유입구 개구(24)를 닫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제1 채널 시스템을 흐르는 유체에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을 때에는 유입구 개구(24)가 닫힌다.
제1 스프링 요소(8)는 본 실시예에서는 블라인드 홀로 구성된 유입구 플런저(4)의 축방향 보어(4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 스프링 요소(8)는 블라인드 홀의 바닥과 밸브 본체(1)의 커버(12) 상에서 지지된다. 커버(12)는 유입구 플런저(4)와 전환 장치(4, 5, 28)를 밸브 본체(1)밸브 본체(1) 내의 해당 보어 내에 설치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를 위한 축방향 보어(44, 54)는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고, 서로 병행(run parallel)하는 중심축을 가진다.
배출구 플런저(5)는 배출구 씰(7)과 제2 스프링 요소(9)를 포함한다. 배출구 씰(7)은 첨가제를 위한 배출구 개구(25)를 폐쇠하도록 역할한다. 배출구 개구(25)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제1 채널 시스템을 통해 흐르는 유체 스트림(fluid stream)에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을 때 닫힌다. 제2 스프링 요소(9)는 이 실시예에 따라 블라인드 홀로 구성된 배출구 플런저(5)의 축방향 보어(5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2 스프링 요소(9)는 블라인드 홀의 바닥과 밸브 본체(1)의 커버(12) 상에서 지지된다.
밸브 본체(1)는 또한 그 안에 카트리지(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23)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1)는 필요에 따라 유체에 첨가될 첨가제를 담을 수 있는 용기(container)이다. 카트리지(11)는 이 실시예에 따라 외부 나사(19)(external thread)가 장착된 카트리지 넥(31)을 포함한다.
제2 채널 시스템은 유입 통로(21), 카트리지(11)의 내부 및 유출구 통로(22)에 의해 형성된다. 유입 통로(21)는 유체 유입구(2)에 연결된다. 유출구 통로(22)는 유체 배출구(3)로 이어진다. 제2 채널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1)가 밸브 본체(1)에 수용된 경우에만 유체 흐름에 개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넥(31)에 위치한 외부 나사(19)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킹 요소(20)의 내부 나사(internal thread) 내에 나사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1)는 커버(12)의 반대측에 리세스(23)를 가지고, 리세스는 적어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이 리세스(23)는 또한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를 포함한다.
리세스(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1)가 밸브 본체(1)에 연결될 때 카트리지 넥(31)의 외부 나사(19)를 수용하는 내부 나사(20)를 가지는 도킹 요소를 가진다.
전환 장치(4, 5)는 카트리지(11)의 도킹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제2 위치에서 유입 통로(21)는 카트리지(1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유출구 통로(22)는 카트리지(11)로부터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개방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넥(31)의 단부(32)는 유입구 플런저(4)의 베이스 본체(41) 및 배출구 플런저(5)의 베이스 본체(51) 상에 놓이고, 카트리지 넥(31)은 리세스(23) 내에 위치한 밸브 본체(1)의 내부 나사(20) 내에 나사 결합한다.
도 5는 제2 위치, 예를 들어 물때 제거(descaling)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11)를 갖는 장치(50)를 도시한다. 제2 위치에서 제1 채널 시스템은 유체 흐름을 위해 닫히고 제2 채널 시스템이 개방된다.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에 있는 외부 나사(19)가 리세스(23)의 도킹 요소(20)의 내부 나사 내에 나사 결합되면, 베이스 본체(41, 51)가 커버(12)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한다. 제1 스프링 요소(8) 및 제2 스프링 요소(9)는 압축된다. 유입구 씰(6) 및 배출구 씰(7)은 밸브 본체(1)의 시트(26, 27)로부터 들어올려져 유입 통로(21) 및 유출구 통로(22)가 개방된다. 유체는, 이제 유입 통로(21)를 통해 카트리지(11)로 흐를 수 있다. 유체는 카트리지(11) 내부에 위치한 첨가제를 흡수하고 유체 배출구(3)로 이어지는 유출구 통로(22)를 통해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 흐름으로서, 카트리지(11)를 빠져나간다. 이를 위해, 도 6의 단면으로 도시된, 초승달 모양의 돌출부(45, 55)가 제공된다.
제1 채널 시스템은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닫힌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는 연결 통로(16)가 유입구 플런저(4)에 의해 닫히기 때문에, 연결 통로(16)로 들어갈 수 없다. 배출구 플런저(5) 또한 제2 오버플로우 통로(15)의 연결을 닫는다.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는 유체 배출구(3)를 통해 장치(50)에서 배출된다.
베이스 본체(41)는 밸브 본체(1)의 유입구 개구(24)에 수용된다. 유입구 개구(24)는 유입 통로(21)의 일부이다. 유입구 개구(24)의 내경(inner diameter)는 베이스 본체(41)의 외경보다 크고, 유체는 유입구 개구(24)에 의해 형성된 밸브 본체(1)의 내벽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베이스 본체(51)는 밸브 본체(1)의 배출구 개구(25)에 수용된다. 배출구 개구(25)는 유출구 통로(22)의 일부이다. 배출구 개구(25)의 내경은 베이스 본체(51)의 외경보다 크므로, 배출구 개구(25)에 의해 형성된 밸브 본체(1)의 내벽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은 적어도 도킹 요소(20)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영역에서 리세스(2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는 카트리지 넥(31) 외부와 카트리지 넥(31) 내부 모두에서 흐를 수 있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씰(29)이 리세스(23)에 배치되고, 유체가 도킹 요소(20)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주위 환경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또한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유입구 씰(6)(도 1 참조)의 시트를 형성하는 숄더(26)과 배출구 씰(7)의 시트를 형성하는 숄더(27)를 도시한다.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본체(51)의 외경은 유입구 플런저(4) 및 전환 장치(4, 5, 28)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의 내경보다 상당히 작기 때문에, 유체는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본체(51)의 주위를 흘러, 유체 유입구(2)로부터 카트리지(11) 내로 흐른 후 카트리지(11)로부터 유체 배출구(3)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5는 또한 카트리지(11)가 밸브 본체(1)의 리세스(23)에 삽입되었을 때, 카트리지 넥(3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변위체(13)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 변위체(13)는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 사이에 연장되는 분리 요소(28)에 연결될 수 있다. 변위체(13)와 분리 요소(28)의 연결은 나사 연결, 플러그 연결,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옵션들은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변위체(13)는 첨가제에 유체를 도입하도록 역할한다. 변위체(13)는 유입 통로(2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흐름이 첨가제를 지나도록 유도되고, 카트리지(11)를 통과하는 도중에 첨가제를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변위체(13)가 없으면 부분적인 유체 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첨가제를 지나칠 수 있고(bypass), 카트리지(11)를 통과하는 유로 상의 유체 흐름에 의해 흡수되는 첨가제가 없거나 너무 적게 될 수 있다.
변위체(13)는, 카트리지(11)의 조립 또는 분해시에 첨가제나 유체가 주위 환경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이점도 있다. 카트리지가 전환 장치(4, 5)에 도킹되면, 변위체는 카트리지 넥(31)의 내부에 위치한다.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다. 이는 카트리지(11)의 부피의 최대 80%가 첨가제로 채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카트리지(11)를 수직 자세로 설치할 수 없고 경사 자세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변위체(13)는 첨가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첨가제가 다 소모되어 카트리지(11)가 분해되는 경우, 변위체(13)는 또다른 이점을 가진다. 카트리지(11)는 분해되는 동안 유체로 완전히 채워진다. 카트리지(11)가 제거되는 경우, 특히 카트리지(11)가 수직자세에 있지 않을 때, 유체가 쏟길 수 있다. 그러나 유체의 일부는 변위체(13)에 의해 변위된다. 카트리지(11)가 분해되는 경우, 유입 통로(21), 유출구 통로(22) 또는 카트리지 넥(31)에 존재하던 유체가 변위체(13)에 의해 개방된(released) 공간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트리지(11) 더 이상 유체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으며,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주위 환경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따르는 장치(50)를 도 5에서 도면의 평면에 직각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파선과 2개의 화살표로 도시한다. 보는 방향은 커버(12)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단면은 밸브 본체(1), 유입 통로(21), 유출구 통로(22), 유입구 플런저(4)의 베이스 본체(41), 배출구 플런저(5)의 베이스 본체(51)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본체(51)가 유입구 플런저(4) 및 배출구 플런저(5)를 위한 대응하는 리세스(23)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유체 배출구(3)와 도면의 평면의 전방에 놓인 유입구 개구(24)와의 연결을 형성하는 돌출부(45)가 제공된다. 배출구 개구(25)(여기에서 보이지 않음)와 유체 배출구(3)의 연결을 형성하는 대응 돌출부(55)가 제공된다.
도 7은 제1 위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100)를 관통하는 종단면을 도시한다. 장치(100)는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의 물때를 제거(descal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0)는 첨가제가 첨가되어야 하는 유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체 라인 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 유입구(102)(도식화됨) 및 유체 배출구(103)가 제공된다. 유체 유입구(102) 및 유체 배출구(103)는 모두 유체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요소(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장치(100)는 유체 유입구(102) 및 유체 배출구(103) 사이에 연장되는 제1 채널 시스템 및 유체 유입구(102) 및 유체 배출구(103) 사이에 연장되는 제2 채널 시스템을 포함하여, 유체는 유체 유입구(102)로부터 유체 배출구(103)까지 제1 채널 시스템을 통과하거나, 유체 유입구(102)로부터 유체 배출구(103)까지 제2 채널 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다. 밸브 본체(101)는 첨가제를 위한 카트리지(11)를 도킹하도록 구성된 도킹 요소(1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1)가 도킹 요소(120)에 연결될 때 제2 채널 시스템이 카트리지(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것과 같이 카트리지(11)가 도킹될 때, 전환 가능한 전환 장치(104)가 제공된다. 전환 장치(104)는 카트리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 통로(121)와 카트리지(11)로부터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배출구 통로(122)를 포함한다.
특히, 첨가제의 첨가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유체 유입구(102)가 오버플로우 통로(114)를 통해 유체 배출구(103)에 연결된다. 오버플로우 통로(114)는 전환 장치(10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버(112)및 전환 장치(104) 사이에 형성된다. 도 7에 따른 전환 장치(104)는 베이스 요소(142) 및 변위체(113)를 포함한다. 숄더(143)는 베이스 요소(142) 및 변위체(113) 사이의 전이(transition)을 형성한다. 스프링 요소(108)는 베이스 요소(142) 및 커버(112)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에 따르면, 제1 채널 시스템은 오버플로우 통로(114)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위치에서 베이스 요소(142)는 유체 유입구(102) 및 유체 배출구(103)의 하부에 위치하여, 오버플로우 통로(114)를 통한, 밸브 본체(101)를 통한 방해받지 않는 흐름이 가능하다. 유입구 개구는 제1 채널 시스템을 통과하는 유체 흐름에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을 때 닫힌다.
스프링 요소(108)는 밸브 본체(101)의 베이스 요소(142) 및 커버(112) 상에 지지되다. 커버(112)는 밸브 본체(101)의 대응 리세스(23)에 전환 장치(104)가 설치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다.
밸브 본체(101)의 리세스(123)는 또한 카트리지(11)를 수용하도록 역할하는데, 카트리지(11)은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설계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진다. 카트리지(11)는 필요에 따라 유체에 첨가될 첨가제를 담을 수 있는 용기(container)이다. 카트리지(11)는 이 실시예에 따라 외부 나사(19)가 장착된 카트리지 넥(31)을 포함한다.
제2 채널 시스템은 유입구 통로(121), 카트리지(11)의 내부 및 배출구 통로(122)에 의해 형성된다. 유입구 통로(121)는 전환 장치(10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유체 유입구(102)에 연결된다. 배출구 통로(122)는 유체 배출구(103)로 이어진다. 제2 채널 시스템은 카트리지(11)가 도킹 요소(120) 내의 밸브 본체(101)에 수용된 경우에만 유체 흐름에 개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넥(31)에 위치한 외부 나사(19)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킹 요소(120)의 내부 나사(internal thread) 내에 나사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101)는 적어도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123)를 가진다. 리세스(23)는 도킹 요소(120)를 포함한다.
전환 장치(104)는 카트리지(11)의 도킹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카트리지(1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 통로(121)와 카트리지(11)로부터 첨가제가 적재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출구 배출구 통로(122)가 제2 위치에서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1)이 리세스(123)에 위치한 밸브 본체(101)의 도킹 요소(120)의 내부 나사에 나사 결합되었을 때, 카트리지 넥(31)의 단부(32)전환 장치(104)의 베이스 요소(142)에 놓인다.
도 8는 제2 위치, 예를 들어 물때 제거(descaling)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11)를 갖는 장치(100)를 도시한다. 제2 위치에서 제1 채널 시스템은 유체 흐름을 위해 닫히고 제2 채널 시스템이 개방된다.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에 있는 외부 나사(19)가 리세스(23)의 도킹 요소(20)의 내부 나사 내에 나사 결합되면, 전환 장치(104)가 커버(12)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한다. 스프링 요소(108)는 그 사이에서 압축된다. 유입구 통로(121)및 배출구 통로(122)는, 유입구 개구가 유체 유입구(102)의 대응하는 배출구 개구와 겹쳐지고, 배출구 통로(122)의 배출구 개구가 유체 배출구(103)의 유입구 개구와 겹쳐질 때 개방된다. 유체는, 이제 유입구 통로(121)를 통해 카트리지(11)로 흐를 수 있다. 유체는 카트리지(11) 내부에 위치한 첨가제를 흡수하고 유체 배출구(103)로 이어지는 배출구 통로(122)를 통해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 흐름으로서, 카트리지(11)를 빠져나간다.
제1 채널 시스템은 전환 장치(104)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닫힌다. 유입구가 전환 장치(104)의 외벽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유체는 더 이상 오버플로우 통로(114)로 들어갈 수 없다.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는 유체 배출구(103)를 통해 장치(100)에서 배출된다.
전환 장치(104)는, 제2 위치에서 유체 유입구(102)가 유입구 통로(121)와 정렬되고,유체 배출구(103)가 배출구 통로(122)와 정렬되게 하는 유체 유출구 103이 유출 통로 122와 정렬되도록 하는 반-회전 장치(anti-twist device)(미도시)에 의해, 밸브 본체(101)의 리세스(123) 내에 고정된다.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넥(31)은 리세스(23)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넥의 단부가 전환 장치(104)의 베이스 요소(142)의 숄더(143)에 놓이기 때문에, 유체가 카트리지 넥(31)의 외부로 흐를 수 없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세스(143)에는 도시되지 않은 씰 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씰 요소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101)는 유체 유입구(102) 또는 유체 배출구(103)와 도킹 요소(120) 사이에 배치된 씰(129)을 포함한다. 전환 장치(104)와 유입구 통로(121) 사이의 누출은 이 씰(129)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커버(112) 또한 커버(112)와 밸브 본체(101) 사이의 어떠한 누출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씰(106)을 포함한다. 커버(112)는 예를 들어 고정링(140)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제2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108)의 압축에 의한 압력 증가가 배출구 통로(122)에 작용해도 그 위치를 유지한다.
전환 장치(104)는 또한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고정 수단(115)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 수단(115)은 예를 들어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또한 카트리지가 밸브 본체(101)의 리세스(123)에 삽입되었을 때, 카트리지 넥(3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변위체(113)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체(113)는 전환 장치(104)의 일부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체(113)와 베이스 요소(142)는 하나의 부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변위체(113)와 베이스 요소(142) 사이의 연결은 나사 연결, 플러그 연결,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옵션들은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변위체(113)는 첨가제에 유체를 도입하도록 역할한다. 변위체(113)는 유입구 통로(12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흐름이 첨가제를 지나도록 유도되고, 카트리지(11)를 통과하는 도중에 첨가제를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변위체(113)가 없으면 부분적인 유체 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첨가제를 지나칠 수 있고(bypass), 카트리지(11)를 통과하는 유로 상의 유체 흐름에 의해 흡수되는 첨가제가 없거나 너무 적게 될 수 있다.
변위체(113)는, 카트리지(11)의 조립 또는 분해시에 첨가제나 유체가 주위 환경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이점도 있다. 카트리지가 전환 장치(104)에 도킹되면, 변위체(113)는 카트리지 넥(31)의 내부에 위치한다. 카트리지(11)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다. 이는 카트리지(11)의 부피의 최대 80%가 첨가제로 채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카트리지(11)를 수직 자세로 설치할 수 없고 경사 자세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변위체(113)는 첨가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첨가제가 다 소모되어 카트리지(11)가 분해되는 경우, 변위체(113)는 또다른 이점을 가진다. 카트리지(11)는 분해되는 동안 유체로 완전히 채워진다. 카트리지(11)가 제거되는 경우, 특히 카트리지(11)가 수직자세에 있지 않을 때, 유체가 쏟길 수 있다. 그러나 유체의 일부는 변위체(113)에 의해 변위된다. 카트리지(11)가 분해되는 경우, 유입구 통로(121), 또는 배출구 통로(122)에 존재하던 유체가 에 의해 개방된(released) 공간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트리지 넥(31) 더 이상 유체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으며, 변위체(113)카트리지(11)유체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주위 환경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의 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는 추출용매(63)(extractant)를 위한 공급 라인(64), 가열 장치(66), 브루잉 장치(61) 및 추출물 수집 수용체(78)를 포함하는 추출용매(63)를 사용하여 추출소재(68)(extraction material)로부터 추출물(80)을 제조하는 시스템(60)의 일부일 수 있다. 시스템(60)이 뜨거운 음료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추출용매(63)는 물일 수 있다. 이러한 적용(application)을 위하여, 공급 라인(64)은 물 연결(water connection)에 연결된다. 물 연결은 탱크, 탱크 또는 수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물 연결은 물 처리 시스템, 예를 들어 물때 제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용매(63)의 압력은 1 bar 또는 2 bar의 범위 내에 있으며, 압력은 본질적으로 물 라인(water line)에 제공되는 압력에 대응할 수 있다.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의 장치(10, 50, 100)는 공급 라인(64) 상에서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라인(64)은 가열 장치(66)에 추출용매(63)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장치(66)는 추출용매(63)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81)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 장치(82)는 가열 장치(66) 내의 통상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온도 측정 장치(82)는 온도 센서 또는 온도 프로브(prob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66)로부터 브루잉 장치(61)까지 가열 추출용매(63)를 위한 연결 라인(67)이 제공된다. 온도 측정 장치(82)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장치(66)에 직접 연결되는 연결 라인(67)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브루잉 장치(61)는 압력 용기(62)(pressure vessel)를 포함한다. 추출소재(68)sms dl 압력 용기(62) 내부에 배치되며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공급 라인(64)에는 추출용매(63)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펌프(65)가 있다. 공급 라인(64), 가열 장치(66), 연결 라인(67) 및 브루잉 장치(61)는 폐쇄 계(closed system)를 형성하고, 라인 손실과는 별개로 시스템에서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가열 추출용매(63)의 압력이 본질적으로 압력 증가를 위한 수단에 적용하는 압력에 대응한다. 추출소재(68)는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필터 홀더, 캡슐, 백 또는 패드로 구성될 수 있는 수용 요소(69) 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압력은 일반적으로 5 bar에서 20 bar까지의 압력 범위 내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71)는 펌프(65)와 가열 장치(66) 사이의 공급 라인(64)에 설치된다. 펌프(65)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압력 센서(7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압력 센서(71)애의 결정된 측정압력값은 제어유닛(70)으로 전송된다. 또한, 펌프(65)는 펌프(65)를 통해 흐르는 체적 유량 또는 처리량을 결정할 수 있는, 각속도 센서 또는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속도, 체적 유량 또는 처리량에 대한 대응 측정값 또한 제어유닛(7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계(72)는 도 9에 가능한 변형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65)의 상류가 아닌 펌프(65) 상에 직접 위치된다. 물론, 유량계(72)는 펌프(65)의 상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추출용매(63)는 제어 밸브(73)에 의해 계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밸브(73)는 체적 유량의 측정값이, 브루잉 장치(61)에 공급되는 추출 공정의 특정 단계(specific phase)에서 요구되는 가열 추출용매(63)의 비율에 대응할 때, 제어 밸브(73)가 닫히는 방식으로 제어유닛(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추출용매(63)를 계량하기 위한 계량 사양(metering specification)은 단일 단계 또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밸브(73)는 특히 비례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 라인(64)에서 추출용매(63)에 대한 가압 수단의 사용은, 최소 압력 프로파일 또는 최대 압력 프로파일에 의해 중첩되는 흐름 프로파일 또는 복수의 흐름 프로파일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펌프(65) 또는 제어 밸브(73)를 조정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다른 압력 또는 체적 흐름이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압력 또는 부피 흐름은 추출 과정 동안 변경될 수 있으며, 즉, 추출 과정은 여러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단계는 서로 다른 압력 또는 부피 흐름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이는, 가압 수단의 하류에 있는 공급 라인(64) 내의 부피 흐름이나 압력이 추출 공정 동안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체적 흐름 또는 연결 라인(67)의 압력도 변경될 수 있다.
다방향 밸브(74)는 선택적으로 연결 라인(67)에 배치될 수 있다. 다방향 밸브(74)는 가열 장치(66)와 브루잉 장치(61)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방향 밸브(74)는 3개의 다른 유체 연결 조합을 가지고, 3방향 밸브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방향 밸브(74)는 3개의 서로 다른 상태(position)와 3개의 유체 라인을 가진다. 이러한 유체 라인 중 하나는 연결 라인(67)으로서, 가열 추출용매(63)가 다방향 밸브(74)로 공급될 수 있다. 두번째 유체 라인은 연결 라인(75)으로, 이를 통해 가열 추출용매(63)가 브루잉 장치(61)에 공급될 수 있다. 가열 추출용매(63)을 폐수 탱크 또는 폐수 채널에 공급하기 위한 폐수 라인(76)으로 구성된 세번째 유체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다방향 밸브(74)의 제1 상태에서 연결 라인(67)은 추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 라인(75)에 연결된다. 제1 위치에서 폐수 라인(76)에 대한 연결이 중단되어, 폐수 라인(76)에 추출용매(63)가 공급되지 않는다.
다방향 밸브(74)의 제2 상태에서, 연결 라인(67)은 폐수 라인(76)에 연결된다. 제2 상태에서 연결 라인(75)에 대한 연결이 중단되어, 가열 추출용매(63)가 연결 라인(75)에 공급되지 않는다. 제2 상태에서 연결 라인(67)과 공급 라인(64)은 교환(flushed)될 수 있다.
이는 후속 추출을 위해 정확하게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연결 라인(67)과 다방향 밸브(74)를 가열 추출용매(63)로 예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을 위한 최적의 온도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임의의 온도 프로파일은 특히 제어유닛(70)에 의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유닛(70)은 연산유닛(85), 비교유닛(86) 및 메모리 유닛(87)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87)은, 추출물(80)의 제조를 위한 추출용매(63)의 바람직한 체적 흐름과 원하는 온도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량 사양을 포함한다. 원하는 체적 흐름과 가열 추출용매(63)의 원하는 온도를 포함하는 계량 사양 중 하나는 입력 장치(89)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어 밸브(73)의 개방 시간은 연산유닛(85)에 의해 원하는 체적 흐름으로 부터 결정될 수 있다. 측정된 체적 유량 값은 비교유닛(86)에 의해 원하는 체적 유량과 비교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체적 유량이 측정된 체적 유량 값에 대응하도록 제어 밸브(73)를 조정할 수 있다.
다방향 밸브(74)의 제3 상태에서는, 연결 라인(75)과 폐수 라인(76) 사이의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연결 라인(67)에 대한 연결은 제3 상태에서 중단된다. 특히 추출이 끝날 때, 주변 환경에 비해 여전히 상승된 압력 용기(62)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폐수 라인(76)은 물때 제거제가 브루잉 장치(61)에 들어가지 전에 물때제거제를 포함하는 물을 따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물때 제거제가 브루잉 장치(61)에 들어갈 수 없다.
다방향 밸브(74)는 설명된 상태들 중에서 2개 또는 3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3방향 밸브 대신에 2방향 밸브도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브루잉 장치(61)는 추출소재(68)을 포함한다. 브루잉 장치(61)은 가열 추출용매(63)에 투과하는 추출소재(68)의 수용 요소(69)를 포함하고 있어 가열 추출용매(63)과 추출소재(68)의 접촉에 의해 추출물(80)을 얻을 수 있다. 추출물(80)은 추출물 수집 수용체(7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기 위해 배출구(77)를 통해 브루잉 장치에서 배출된다. 추출물 수집 수용체(78)는 추출물(80)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추출물 수집 수용체(78)는 특히 뜨거운 음료를 받기 위한 컵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라인(75)에 통상 압력은 압력 게이지(84)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압력 값은 제어유닛(7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압력 게이지(84)에 의해 결정된 측정된 압력 값은, 추출 공정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프로파일을 오버레이(overlay) 하기 위해 비교유닛(86)과 제어유닛(70)에 위치한 연산유닛(8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브루잉 또는 추출 단계 사이에 서로 다른 유량, 압력, 온도 및 휴지(pause)가 설정될 수 있으므로, 추출 공정은 제어유닛(70)에 의해 원하는 대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루잉 장치 내에 추출소재(68)이 없는 경우, 연결 라인(67), 다방향 밸브(74), 연결 라인(75), 브루잉 장치(61), 밸브(88) 및 배출구(77)가 가열 연결라인 67, 다방향밸브 74, 연결라인 75, 양조장치 61, 밸브 88 및 출구 77을 가열 추출용매에 의해 예열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추출 공정 중에, 가열 추출용매가 추출소재(68)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이 전혀 없거나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가열된 추출용매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추출 공정 중에 향상된 온도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소재(68)는 추출소재(68) 전체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추출소재(68)에서 추출용매(63)으로의 질량 전달이 개선된 보다 균일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추출물(80)에서 추출소재의 가용성 성분의 농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실시예들 외에도 많은 다른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보호의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청구항의 해석 또는 설명을 위해서는 청구항은 가장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포함(include)" 또는 "포함(contain)"이라는 용어는 비 배타적인 의미에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따라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존재하거나 사용되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와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청구항들이 A, B, C에서 N개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는 그룹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와 관련된 경우, 이 언어는 해당 그룹의 단일 구성요소만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A와 N, B와 N의 하나의 조합 또는 이 그룹의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다른 어떤 조합도 요구해서는 안 된다.
Claims (15)
-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metering)하기 위한 장치(10, 50, 100)에 있어서,
밸브 본체(1, 101), 유체 유입구(2, 102) 및 유체 배출구(3, 103)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1, 101) 내 제1 채널 시스템은 상기 밸브 본체(1, 101) 내의 유체 유입구(2, 102)와 유체 배출구(3, 103)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채널 시스템은 상기 유체 유입구(2, 102)와 상기 유체 배출구(3, 103)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작동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유체 유입구(2, 102)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3, 103)까지의 상기 제1 채널 시스템, 또는 상기 유체 유입구(2, 102)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3, 103)까지의 상기 제2 채널 시스템 중 하나를 통해 흐르고,
상기 밸브 본체(1, 101)는 첨가제를 위한 카트리지(11)를 도킹하기 위한 도킹 요소(20, 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11)가 상기 도킹 요소(20, 12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 시스템이 상기 카트리지(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카트리지(11)가 도킹되면 전환가능한 전환 장치(4, 5, 28, 104)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4, 5, 28, 104)는 상기 카트리지(1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 통로(21, 121)와 상기 첨가제가 포함된 유체를 상기 카트리지(11)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유출 통로(22, 122)를 포함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첨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체 유입구(2, 102)는 오버플로우 통로(14, 15, 114)를 통해 상기 유체 배출구(3, 103)에 연결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통로(14, 15, 114)는, 상기 전환 장치(4, 5, 28. 10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버(12, 112) 및 전환 장치(4, 5, 28, 104)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통로(14, 15, 114)는 전환 장치(4, 5, 28, 10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닫히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4, 5)는 유입구 플런저(4)와 배출구 플런저(5) 및 분리 요소(28)를 포함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플런저(4)는 베이스 본체(41) 및 베이스 요소(42)를 포함하고,
숄더(43)가 상기 베이스 본체(41) 및 상기 베이스 요소(42) 사이의 전이(transition)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 플런저(5)는 베이스 본체(51) 및 베이스 요소(52)를 포함하고,
숄더(53)가 상기 베이스 본체(51) 및 상기 베이스 요소(52) 사이의 전이를 구성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42)는 축방향 보어(44)를 포함하고,
제1 스프링 요소(8)가 상기 축방향 보어(44) 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요소(52)는 축방향 보어(54)를 포함하고,
제2 스프링 요소(9)가 상기 축방향 보어(54) 내에 배치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유입구 씰(6)이 상기 숄더(43) 상에 배치되고,
배출구 씰(7)이 상기 숄더(53) 상에 배치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4, 5, 104)는 상기 카트리지(11)에 도킹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유입 통로(21, 121)는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상기 유출 통로(22, 122)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첨가제를 포함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개방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변위체(13, 113)를 포함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요소(20, 120)는 상기 카트리지 넥의 외부 나사(19)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내부 나사를 포함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요소(20, 120)는 밸브 본체(1, 101)의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유체 유입구(2, 102) 또는 상기 유체 배출구(3, 103)와 도킹 요소(20, 120) 사이에 배치되는 씰(29, 129)을 포함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밸브 본체(1, 101), 유체 유입구(2, 102) 및 유체 배출구(3, 103)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하여,
상기 밸브 본체(1, 101) 내 제1 채널 시스템이 상기 밸브 본체(1, 101) 내의 유체 유입구(2, 102)와 유체 배출구(3, 103)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채널 시스템이 상기 유체 유입구(2, 102)와 상기 유체 배출구(3, 103)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작동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유체 유입구(2, 102)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3, 103)까지의 상기 제1 채널 시스템, 또는 상기 유체 유입구(2, 102)에서 상기 유체 배출구(3, 103)까지의 상기 제2 채널 시스템 중 하나를 통해 흐르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채널 시스템을 통과할 때 상기 유체에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채널 시스템을 통과할 때 첨가제가 유체에 첨가되는,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185351 | 2020-07-10 | ||
EP20185351.2 | 2020-07-10 | ||
PCT/EP2021/068772 WO2022008569A1 (de) | 2020-07-10 | 2021-07-07 | Vorrichtung zur dosierung eines zusatzstoffs zu einem flui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104A true KR20230036104A (ko) | 2023-03-14 |
Family
ID=7160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0777A KR20230036104A (ko) | 2020-07-10 | 2021-07-07 |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2084368B2 (ko) |
EP (1) | EP4178400A1 (ko) |
KR (1) | KR20230036104A (ko) |
CN (1) | CN115697145A (ko) |
AU (1) | AU2021306623A1 (ko) |
CA (1) | CA3180061A1 (ko) |
WO (1) | WO202200856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99776A (en) * | 1965-09-02 | 1968-09-03 | Robert R. Knuth | Detachable snap-on filter for a hydraulic system |
JP3320176B2 (ja) * | 1993-11-30 | 2002-09-03 | 山信工業株式会社 | 液体用カプセル型フィルタ装置 |
US5753111A (en) * | 1996-09-30 | 1998-05-19 | Eastman Kodak Company | Photographic processor and improved filter assembly |
US7000894B2 (en) * | 2003-04-25 | 2006-02-21 |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 Fluidic cartridges and end pieces thereof |
EP1765482B1 (en) * | 2004-07-05 | 2011-03-16 | Picogram Co., Ltd. | One-touch fitting type adapter for a filter |
US8393350B2 (en) * | 2005-11-15 | 2013-03-12 | Vidacco International,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dditives into a fluid flow |
DE102011081010B4 (de) | 2011-08-16 | 2014-10-30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Getränkespender und Reinigerkartusche |
EP2705783B1 (de) * | 2012-09-06 | 2014-07-30 | Miele & Cie. KG | Vorratsbehälter einer Entkalkungsvorrichtung, Getränkeautomat und Verfahren zur Entkalkung eines Getränkeautomaten |
CH710142A1 (de) * | 2014-09-23 | 2016-03-31 | Schaerer Ag | Getränkeautomat, insbesondere Kaffee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Getränkeautomaten. |
DE102017223781A1 (de) | 2017-12-22 | 2019-06-27 | BSH Hausgeräte GmbH | Getränkeautomat |
-
2021
- 2021-07-07 WO PCT/EP2021/068772 patent/WO2022008569A1/de unknown
- 2021-07-07 EP EP21739695.1A patent/EP4178400A1/de active Pending
- 2021-07-07 AU AU2021306623A patent/AU2021306623A1/en active Pending
- 2021-07-07 KR KR1020237000777A patent/KR2023003610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7-07 CA CA3180061A patent/CA3180061A1/en active Pending
- 2021-07-07 US US18/008,921 patent/US12084368B2/en active Active
- 2021-07-07 CN CN202180042443.5A patent/CN115697145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78400A1 (de) | 2023-05-17 |
US12084368B2 (en) | 2024-09-10 |
WO2022008569A1 (de) | 2022-01-13 |
CN115697145A (zh) | 2023-02-03 |
US20230234868A1 (en) | 2023-07-27 |
AU2021306623A1 (en) | 2023-02-02 |
CA3180061A1 (en) | 2022-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72893B2 (en) | Multi-valve liquid flow control for liquid supply | |
US11039712B2 (en) | Beverage machine, in particular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beverage machine | |
KR102495730B1 (ko) | 온음료 제조 기계 | |
RU2712342C1 (ru) | Зава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го напитк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 |
KR102259727B1 (ko) | 갓 브루잉된 온 음료용 전자동 음료 기계 | |
JP2021526410A (ja) |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ンにおける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の濃度の均一性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関連する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ン | |
US9532677B2 (en) | Pressure relief system for espresso maker | |
CN111655090B (zh) | 用于制备饮料的机器及控制方法 | |
KR20230036104A (ko) | 유체에 대한 첨가제를 계량하기 위한 장치 | |
CN111246784B (zh) | 咖啡分配机器 | |
EP3079539B1 (en) |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 |
KR20220016956A (ko) | 추출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