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707A -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 Google Patents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707A
KR20230034707A KR1020210117785A KR20210117785A KR20230034707A KR 20230034707 A KR20230034707 A KR 20230034707A KR 1020210117785 A KR1020210117785 A KR 1020210117785A KR 20210117785 A KR20210117785 A KR 20210117785A KR 20230034707 A KR20230034707 A KR 2023003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cosmetic composition
melting point
free cosmet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선
신화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11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707A/ko
Publication of KR2023003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WAX-FREE COSMESTIC COMPOSITION AND COSMESTICS USING THE SAME}
본 기재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사회적 지위 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크게 베이스메이크업(base make-up)과 색조메이크업(point make-up)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은 색조메이크업(point make-up)과 관련된 발명으로서, 특히 립 메이크업(lip make-up)과 관련된 발명이다.
상기 립 메이크업(lip make-up)은 입술의 모양을 수정하여 전체적으로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균형을 잡게 해주고, 입술의 윤관을 뚜렷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조를 사용함으로써 얼굴의 혈색을 돋보이게 한다.
입술에 바르는 립 제품은 입술보호와 치료 목적의 립 케어 및 메이크업 목적의 제품으로 나누어진다. 메이크업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립틴트(liptint), 립글로즈(lipgloss), 립스틱(lipstick), 립라이너(lipliner)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품들 중 립스틱(lipstick)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더 함량이 높아 매트한 사용감을 가지는 립스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립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오일 베이스 재료(oil base material)와 착색제(coloring agents)로 이루어져 있다.
오일 베이스 립스틱에서 고체 왁스는 천연왁스와 광물 왁스로 구분되는데 실온에서 립스틱의 스틱 형태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천연왁스는 carnauba wax, beeswax, candelilla wax, japan wax 등이 있으며, 광물왁스는 고체 파라핀(solid paraffin), microcrystalline wax, ceresin 및 탄화수소 계열의 왁스가 있다.
오일은 사람의 체온에 녹는 액체 타입으로 천연오일과 합성오일로 구분된다.
립스틱에 사용되는 천연오일에는 코코아버터(cocoa butter), castor oil, jojoba oil, macadamia nut oil, lanoln oil 등이 잇고, 합성오일에는 petrolatum, 액체 파라핀(liquid paraffin), 합성 지방산(synthetic fatty acid) 및 에스테르(ester) 등의 탄화수소 계열 오일이 있다.
한편, 기존 립스틱의 경우 천연왁스이든 광물왁스이든 간에 오일 베이스 재료로 반드시 왁스를 포함해야 했는데, 파우더 함량이 낮은 립스틱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관능 측면에서 큰 문제가 없었으나, 파우더 함량이 높은 립스틱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안그래도 윤활량이 적은데, 왁스까지 더해져 발림성이 매끄럽지 못해, 립스틱을 인체에 적용 시 그 관능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 구현예는 매트한 사용감을 가지면서 발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도와 고온 스틱충진성이 우수한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고형의 스틱으로 성형 시 꺾임 강도가 300gf 이상일 수 있다.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글리세릴트라이베헤네이트/ 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우더는 상기 왁스 플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카올린, 실리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은 그 구조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보다 작고, 상기 제1 화합물은 상기 제2 화합물보다 적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함량의 40배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옥틸도데카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파우더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상기 오일 잔부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품은 립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경도 및 고온 스틱충진성이 우수해 립스틱으로 성형이 용이하며, 이렇게 성형된 립스틱은 발림성과 무광력(매트함)이 좋아, 사용자에게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립스틱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립스틱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립스틱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매트함을 표현하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 총량 대비 파우더를 고함량, 예컨대 약 15 중량% 이상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파우더를 상기와 같이 고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오일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윤활성이 떨어져 발림성이 매우 저하되고, 스틱 충진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즉, 매트함이 잘 표혐된다 하더라도, 스틱 성형이 잘 되지 않는다거나, 스틱 성형이 되더라도 잘 부러진다거나 매끄럽게 발려지지 않는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까지 매트함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립스틱 제조를 위해 파우더를 고함량 사용하려는 시도는 여러 번 있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발림성 및 스틱 충진성이 필연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기에, 매트함을 잘 표현하면서도 발림성과 스틱 충진성이 우수한 립스틱 제품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정확하게 인식한 후, 매트함을 표현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이 고함량의 파우더라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낮은 윤활성은 왁스에 기인한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에서부터 시작하여, 수백번의 시행착오와 실패를 겪은 끝에, 왁스 프리 조성을 기초로 한, 매트함이 잘 표현되면서도 발림성과 스틱 충진성이 우수한 립스틱용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56℃ 내지 59℃의 융점, 예컨대 57℃ 내지 59℃의 융점, 예컨대 58℃의 융점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융점의 범위가 55℃ 내지 60℃ 이내이면 무관하다.
종래 립스틱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베이스 재료로 왁스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곤 하였는데, 본 발명자들은 당연히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왁스를 과감하게 배제하는 대신, 오일 점증제를 사용하고, 상기 오일 점증제의 융점을 55℃ 내지 60℃로 제어함으로써, 고함량의 파우더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윤활성 저하를 방지하여, 발림성과 스틱 충진성이 떨어지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고발색의 매트한 립 텍스쳐는 색표현과 가볍고 매트한 사용감을 위해 파우더 함량을 높게 배합하여 구현해야 하는데, 스틱과 같은 고형화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왁스를 같이 사용하게 되므로(왁스의 결정으로 인한 네트워크를 통해 고형화가 이루어짐), 종래에는 상기 왁스를 고형화를 위한 필수 재료로 보았고, 이전까지는 상기 왁스를 배제시킨 구성에 대해 연구가 거의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다 보니, 오일의 윤활량이 적은 고함량 파우더 상태에, 추가적으로 왁스가 적용되어 발림성이 매끄럽지 못하고 입술에 닿는 감촉이 뻑뻑하고 단단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종래 왁스의 결정에 의한 네트워크가 아닌,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적용하여 왁스없이 15 중량% 이상의 고함량 파우더 상태에서 오일을 겔링하여 고형화함으로써, 부드럽고 매끈하한 발림성과 안정도가 확보된 매트 타입 화장료 조성물을 확보하였다.
즉, 상기 오일 점증제의 융점이 55℃ 내지 60℃여야 고함량의 파우더와 함께 사용 시, 매트한 사용감, 부드러운 발림성, 우수한 스틱 충진성 및 제조된 스틱의 높은 경도를 동시에 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점증제의 융점이 55℃ 미만일 경우, 스틱형성이 불안정하고 고온에서 녹아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오일 점증제의 융점이 60℃ 초과일 경우, 발림성이 저해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예컨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고형의 스틱으로 성형 시 꺾임 강도(또는 굽힘 강도)가 300gf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꺾임 강도(또는 굽힘 강도)는 레오미터 (Rheometer) CR-500DX (SUN Scientific.co.,LTD) 기기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의 꺾임 강도가 300gf 이상이어야 적절한 경도를 가지게 되어, 스틱 성형 후 경도 측정 시 스틱이 깨지지 않은 상태에서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글리세릴트라이베헤네이트/ 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30 중량%, 예컨대 20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왁스가 없는 상태에서 고형화가 잘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3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에는 파우더의 상대적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매트한 사용감 표현이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우더는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5 중량% 이상, 예컨대 15 중량% 내지 25 중량%, 예컨대 20 중량%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우더가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적어 매트한 사용감 구현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파우더가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25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과하여 발림성 등이 조금 저하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우더는 카올린, 실리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파우더는 상기 카올린, 실리카 외에도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모, 이산화티탄, 산화티탄피복 운모,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흑산화철, 카본블랙, 황산바륨, 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 파우더; 및 나일론, PMMA, 폴리스틸렌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및 셀룰로오스 파우더 등의 유기 파우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재료들은 표면 개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이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와 함께 포함할 경우, 고온 안정성이 우수해 고온 스틱 충진이 더욱 용이해지고, 꺽임강도가 더 높아져, 더욱 우수한 경도를 가지는 스틱의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감 측면에서도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작아 고온 안정성을 꾀할 수 없으며,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에는 120℃ 이상의 고온에서만 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충진이 이루어지는 온도가 너무 고온이기에 유기색소의 변색이 일어나 이취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색소가 안정된 상태에서 충진이 이루어지려면 90℃ 내지 100℃ 사이의 온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의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고함량의 파우더와 함께 사용 시, 조성물의 흐름성이 없고 쉽게 굳어져, 고온에서도 스틱 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 중량% 초과의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없이도 고형화가 가능하여 스틱으로 성형할 수 있는데,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만으로 고형화된 스틱은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가 없기 때문에, 발림성이 떨어지고, 파우더가 고함량으로 포함되더라도 매트함이 잘 표현되지 않아 관능성이 저하되기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은 그 구조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보다 작고, 상기 제1 화합물은 상기 제2 화합물보다 적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한성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스틱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만족할 경우, 제조된 스틱을 45℃ 정도의 고온에서 방치할 경우, 스틱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 등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함량의 40배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또한 발한성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스틱을 제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일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옥틸도데카놀(OCTYL DODECANOL)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오일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옥틸도데카놀 외에도, 리퀴드 파라핀과 같은 광물성 오일; 스쿠알렌 및 하이드로 스쿠알렌 등의 동물성 오일; 팜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세사미오일, 올리브오일 및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오일;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각종 폴리올,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젖산 미리스틸, 옥틸도데칸올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등의 합성 오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오일이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및 옥틸도데카놀(OCTYL DODECANOL)을 포함할 경우, 상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상기 옥틸도데카놀의 함량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왁스가 없는 상태에서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에 의한 고형화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파우더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상기 오일 잔부량, 예컨대 45 중량% 내지 7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안료 등의 색소, 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안료로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의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의 유기 안료 및 진주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증류수, 보습제, 방향제, 방부제,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기타 영양성분 등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원료라면, 전술한 원료 외에도 제한없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왁스는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화장품은 립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와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왁스 폴리에틸렌 - - 12 - - -
오일점증제 글리세릴트라이베헤네이트/ 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융점: 55-60℃)
25 25 - - - -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융점: 55℃ 미만)
- - - 25 - -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융점: 120℃ 이상) - 0.2 - - 1.0 0.2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융점: 120℃ 이상) - 0.4 - - 2.0 0.4
오일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옥틸도데카놀 10 10 10 10 10 10
파우더 카올린 15 15 15 15 15 15
실리카 5 5 5 5 5 5
색소 10 10 10 10 10 10
0.3 0.3 0.3 0.3 0.3 0.3
평가 1: 스틱 충진성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98℃의 온도에서 스틱으로 성형한 후, 흐름성 및 스틱면의 형상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흐름성 Ο Ο Ο Ο X 스틱 성형 불가
스틱면 형상 Ο Ο Ο X (불균일) X (굴곡짐) 스틱 성형 불가
흐름성 평가 기준
Ο: 육안 관찰 시 흐름성 양호
X: 육안 관찰 시 흐름성 부족
스틱면 형상 평가 기준
Ο: 육안 관찰 시 스틱면이 매끈함
X: 육안 관찰 시 스틱면이 불균일하거나 굴곡짐
상기 표 2 및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비교예 4는 왁스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오일점증제의 양 또한 너무 적어 고형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비교예 3은 12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점증제만으로 고형화가 이루어지기에 스틱 성형은 가능하나 흐름성 및 스틱면 형상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 또한 50℃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기에 스틱면 형상이 불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은 종래와 같이 왁스를 포함하기에 스틱 충진성이 우수한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왁스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50℃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우수한 스틱 충진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2: 경도, 안정도 및 발한성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틱 성형 후(비교예 4는 스틱 성형 불가), 경도, 꺾임 강도, 고온 경도 및 발한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경도는 성형한 스틱들을 30℃ 항온조에 24시간 보관 후, 레오미터 (Rheometer,CR-500DX)를 이용하여 상기 성형한 스틱들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측정하였고, 꺾임 강도는 상기 성형한 스틱들을 30℃ 항온조에 24시간 보관 후, 꺽임강도 어댑터를 적용하여 성형한 스틱을 45° 뉘여놓고 레오미터 (Rheometer,CR-500DX)로 속도 20mm/min 조건에서 단면을 잘라서 측정하였다. 고온 경도는 성형한 스틱들을 30℃ 항온조에 24시간 보관 후, 다시 45℃ 항온조로 이동하여 1시간 보관 후, 레오미터 (Rheometer,CR-500DX)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 측정하였다. 발한성은 성형한 스틱들을 45℃의 항온조에 2시간까지 보관 후, 시료 표면에 오일이 나오는 발한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경도(gf) 90 92 93 측정 시 깨짐 115
꺾임강도(gf) 300 325 330 110 390
고온경도(45℃)
(gf)
50 79 80 측정 시 깨짐 95
발한성(45℃) X Ο Ο X Ο
발한성 평가 기준
Ο: 육안 관찰 시 스틱 표면에서 오일이 관찰되지 않음
X: 육안 관찰 시 스틱 표면에서 오일이 관찰됨
상기 표 3으로부터, 비교예 2는 경도 및 안정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3: 발림성, 무광력(매트함) 및 만족도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틱 성형 후(비교예 4는 스틱 성형 불가), 발림성, 무광력(매트함) 및 만족도를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25~50세 여성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발림성, 무광력(매트함) 및 만족도를 평가하게 하였고, 가장 좋은 평가 점수를 5로, 가장 좋지 않은 평가 점수를 1로 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틱 각각에 대해 점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발림성 5 5 1 4 3
무광력(매트함) 5 5 4 4 3
만족도 4 5 3 3 3
상기 표 4로부터,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발림성이 매우 좋지 않고, 매트한 표현이 어려워,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발림성이 매우 우수하고, 매트한 사용감 또한 매우 우수해, 전반적인 만족도가 크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고형의 스틱으로 성형 시 꺾임 강도가 300MPa 이상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글리세릴트라이베헤네이트/ 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를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우더는 상기 왁스 플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서,
    상기 파우더는 카올린, 실리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서,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서,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서,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은 그 구조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보다 작고,
    상기 제1 화합물은 상기 제2 화합물보다 적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서,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서,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는 상기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함량의 40배 이상으로 포함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서,
    상기 오일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옥틸도데카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해
    상기 55℃ 내지 60℃의 융점을 가지는 오일 점증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파우더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상기 오일 잔부량을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에서,
    상기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인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17. 제16항에서,
    상기 화장품은 립스틱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210117785A 2021-09-03 2021-09-03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KR20230034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85A KR20230034707A (ko) 2021-09-03 2021-09-03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85A KR20230034707A (ko) 2021-09-03 2021-09-03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07A true KR20230034707A (ko) 2023-03-10

Family

ID=8551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785A KR20230034707A (ko) 2021-09-03 2021-09-03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4352B1 (en) Gel-based lipstick having improved rheology
US20040105827A1 (en) Use for make-up in particular of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continuous hydrophilic comprising a multilayer goniochromatic pigment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2512401B1 (en) Clear or translucent composition
KR102363452B1 (ko) 고함량 올리고머형 피토스테롤 에스터를 고형 안정화한 립글로스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5203622B2 (ja) 油性化粧料
US6503516B1 (en) Make-up composition containing a blend of waxes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6000014B2 (ja) 口唇化粧料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0A (ko) 발색력 및 글리터 효과가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US20050211132A1 (en) Pigment-containing gel mass vased on lipids
KR102645436B1 (ko)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US8047734B2 (en) Pencil-form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thereof
JP6964326B2 (ja) 口唇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3324B2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
JP2007045711A (ja) スティック化粧料
KR20230034707A (ko) 왁스 프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JP3905277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KR102610442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1739A (ko) 천연 유래 왁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90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