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664A -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664A
KR20230034664A KR1020210117705A KR20210117705A KR20230034664A KR 20230034664 A KR20230034664 A KR 20230034664A KR 1020210117705 A KR1020210117705 A KR 1020210117705A KR 20210117705 A KR20210117705 A KR 20210117705A KR 20230034664 A KR20230034664 A KR 2023003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ixing
spacer
fixing member
formwork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웅준
Original Assignee
박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준 filed Critical 박웅준
Priority to KR102021011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664A/ko
Publication of KR2023003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내측 단부(2)가 내측 고정부로서 내측 거푸집의 외측면에 타이핀으로 고정되고 노치 형태의 절단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단부로서의 외측 고정부(4)에 제공되는 외측 고정부(5)가 콘형 체결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외측 거푸집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측 고정부재(5)는 콘형 체결부와 체결되는 본체(51)와, 그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4)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61)이 형성된 컵부(6)가 일체로 형성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컵부(6)는 녹이 슬지 않는 재료로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컵부(6)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 고정부재(5)를 외측 고정부(4)에 삽입하여 맞물리도록 된 탄성의 결합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외측 고정부(4)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46)에서 물림돌기(651)가 딸깍하는 소리를 발생하면서 결합되어 정상적인 결합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간격유지구에 외측 고정부재(5)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간격유지구의 운송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외측 고정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종래 간격유지구에서 외측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한 손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푸집용 간격유지구{DISTANCE MAINTENANCE IMPLEMENT FOR FORMWORK}
본 발명은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 거푸집에 설치되는 콘형 체결부와 결합된 상태로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는 간격유지구의 단부가 우수에 의해 부식되거나 우수에 의한 녹물이 건축물 외벽으로 누출되지 않게 제공되는 캡을 구비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벽체가 될 공간을 두고 안팎으로 합판이나 철판,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된 거푸집을 먼저 설치한 후, 설치가 완료된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내외측 거푸집 패널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외측 거푸집 패널들이 콘크리트에 의한 외력에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를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간격유지구는 소위 세파타이라고 지칭되는 타이볼트나 타이바를 사용하며, 종래의 거푸집 폼들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타이볼트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1895호(공개일자 2009년08월31일)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917호(2005.12.01.등록)에 개시된 거푸집용 간격유지타이볼트에서와 같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외측거푸집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콘형 체결부에 체결되는 외측고정부와, 판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양측면에는 절단용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핀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내측 거푸집의 외측면에서 고정핀이 상기 핀결합공에 끼워지도록 된 내측고정부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타이볼트는 콘크리트 벽체 속에 매립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벽체에서 외부로 돌출된 콘형 체결부를 망치 등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벽체 표면에 홈이 발생되고, 벽체 외관과 방수를 위해 그 홈은 후속적인 작업에 의해 실린콘으로 메우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리콘과 콘크리트 벽체의 홈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 우수가 침투되고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잔류되는 타이볼트를 따라 유동하여 타이볼트가 부식되고, 녹물이 건물 외벽으로 누출되어 미관을 해치고, 녹물 제거를 위한 보수유지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2658호(2019년10월15일 공고)에서, 외측거푸집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콘형 체결부에 결합되는 외측고정부의 단부에는 우수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부식을 방지하여 녹물이 건축물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플라스틱재의 외측 고정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외측 고정부재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홈에 외측 고정부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외측 고정부재의 본체의 상단에 간격유지구를 따라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고정부재의 본체의 직경 보다 확장된 폭을 갖는 컵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컵부와 외측 고정부를 결합하도록 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의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대한 제조비용의 절감 및 컵부의 양측부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물림돌기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어 간격유지구의 폭이 감소된 부분의 바로 상측의 고정부에는 양측에 걸림홈들에 결합되는 구조로 외측 고정부와 간격유지구 본체의 조립작업의 편의를 위한 구조 개선이 요구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1895호(공개일자 2009년08월31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917호(2005.12.01.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2658호(2019년10월15일 공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형 체결부에 결합되는 외측고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의 외측 고정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물림구를 형성하여 간격유지구의 폭이 감소된 부분의 바로 상측의 고정부에\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들에 작업자가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측 고정부재를 외측 고정부에 보다 안정되게 결합하도록 개선된 구조으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는, 내측 단부가 내측 고정부로서 내측 거푸집의 외측면에 타이핀으로 고정되고 노치 형태의 절단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단부로서의 외측 고정부에 제공되는 외측 고정부재가 콘형 체결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외측 거푸집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측 고정부재는 콘형 체결부와 체결되는 본체와, 그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컵부가 일체로 형성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 고정부재를 외측 고정부에 삽입하여 맞물리도록 된 탄성의 결합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컵부 상단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탄성의 결합부들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들 각각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측 고정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노치에 맞물림 소리가 발생되게 맞물리도록 된 물림돌기가 형성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컵부는 녹이 슬지 않는 재료로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고정부재가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에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재(5)가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에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외측 고정부에 결합시 체결핀을 관통시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컵부에는 재료 절감을 위하여 양측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강성을 위하여 상기 홈에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간격유지구는 그 외측 단부(4)에 제공되는 외측 고정부재(5)의 컵부(6)가 외측 고정부의 폭이 감소된 부분(42)의 상측에 삽입되면서 컵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65)들이 각각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4)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여서 외측 고정부(4)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46)에서 물림돌기(651)가 딸깍하는 소리를 발생하면서 결합되어 정상적인 결합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고정핀을 컵부와 외측 단부(4)를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간격유지구에 외측 고정부재(5)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간격유지구의 운송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외측 고정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종래 간격유지구에서 외측 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한 손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측 고정부재와 간격유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은 도 1의 외측 고정부재가 간격유지구의 외측 단부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구를 거푸집에 사용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타이볼트와 같은 간격유지구(1)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그 내측 단부(2)는 내측 고정부로서 내측 거푸집의 외측면에서 타이핀을 끼워 고정하기 위하여 핀결합공(21)이 형성되고 노치 형태의 절단용홈(22)이 형성되며, 또한, 외측 단부는 외측 고정부(4)로서 외측거푸집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외측 거푸집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외측 거푸집 외측에 설치된 콘형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4)에 제공되어 콘형 체결부와 간편하게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외측 고정부재(5)가 제공된다. 상기 외측 고정부재(5)는 콘형 체결부와 나사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외측 고정부(4)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부재(5)는 콘형 체결부와 나사체결되기 위해 외주면에 수나사(52)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51)와, 상기 외측 고정부(4)의 폭이 감소된 부분(42)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본체의 직경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깊게 연장되어 형성된 홈(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측 고정부(4)의 하단에 형성된 폭이 감소된 부분(42)에는 양측 단부에 상기 외측 고정부재(5)의 수나사와 같은 형상으로 톱니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폭이 감소된 부분(42)의 상측에는 관통홀(4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고정부재(5)는 녹이 슬지 않는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며, 본체(51)의 상단에는 본체의 직경 보다 확장된 가로폭을 갖고 상기 외측 고정부의 하단에 형성된 폭이 감소된 부분(42) 보다 상측으로 삽입되도록 홈(61) 형성된 컵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부(6)는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하되, 재료 절감을 위하여 외주면에 오목한 홈(63)이 형성되고, 강성을 위하여 리브(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부(6)에는 적어도 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관통홀(66)들이 형성되어 외측 고정부에 결합시 체결핀(45)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외측 고정부재(5)가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4)에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컵부(6)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 고정부재(5)를 외측 고정부(4)에 삽입할 때 맞물림 소리가 발생되게 형성된 탄성의 결합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컵부(6) 상단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탄성의 결합부(65)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5)들 각각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측 고정부(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노치(44)에 맞물림 소리가 발생되게 맞물리도록 된 물림돌기(6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외측 고정부재(5)를 간격 유지구의 외측 고정부(4)의 폭이 감소된 부분(42)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컵부(6) 상단의 결합부(65)들이 각각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4)의 양측면에 대향된 상태로 이동하여서 외측 고정부(4)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46)에서 물림돌기(661)가 딸깍하는 소리를 발생하면서 맞물려 고정된다. 본 발명의 간격유지구는 외측 고정부(4)의 단부에 외측 고정부재(5)가 결합된 상태로 유통되거나 건축현장에 공급되며, 작업자는 외측 고정부재(5)가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4)에 정상적으로 결합된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되며, 또한 간격유지구의 운송중에 외측 고정부재(5)가 외측 고정부(4)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손실이 방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격유지구는 내측 거푸집(7)과 외측 거푸집(8)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사용되며, 간격 유지구의 내측 단부(2)는 내측 거푸집의 외측면에서 핀결합공(21)을 통해 타이핀을 끼워 고정되고, 외측 단부(4)는 그에 제공된 외측 거푸집(8)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수단(81)에 제공된 콘형 체결부(82)에 나사결합된다. 즉, 인접한 내측 거푸집 패널들의 외측으로 돌출된 내측 고정부(81)들 사이에 간격유지구(1)의 내측 단부(2)가 배치되어 고정핀(9)으로 고정하고, 상기 내측 거푸집(7)의 외측에는 간격유지구(1)의 외측 고정부(4)에 결합된 외측 고정부재(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로 외측 거푸집(8)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수단(81)에 제공된 콘형 체결부(82)에 나사결합하여 간격유지구를 설치함으로써 내외측 거푸집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이로써, 내측 거푸집(7)과 외측 거푸집(8)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압력에도 내외측 거푸집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 거푸집(7)과 외측 거푸집(8)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에는, 고정핀(9)들을 제거하고 내외측 거푸집(7,8)을 탈거시킨 다음, 망치로 내측 고정부(2)를 타격하여 그 양측면에 노치 형태로 형성된 절단용 홈(22)에서 절단되게 하고, 외측 거푸집(8)에 설치된 고정수단(81)을 해체하여 콘형 체결부(82)를 외측 고정부재(5)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 표면으로 부터 우수는 외측 고정부재(5)에 의해 간격유지구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간격유지구에 녹이 슬지 않게 되고 종래와 같이 녹물이 콘크리트 외표면으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하는 내외측 거푸집들 사이에 제공되는 간격유지구에 적용하여 간격유지구에 외측 고정부재를 간편하고 안정되게 조립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간격유지구 2 : 내측 단부
4 : 외측 고정부 5 ; 외측 고정부재
6 : 컵부 65 : 결합부

Claims (4)

  1. 내측 단부(2)가 내측 고정부로서 내측 거푸집의 외측면에 타이핀으로 고정되고 노치 형태의 절단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단부로서의 외측 고정부(4)에 제공되는 외측 고정부재(5)가 콘형 체결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외측 거푸집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측 고정부재(5)는 콘형 체결부와 체결되는 본체(51)와, 그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고정부(4)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61)이 형성된 컵부(6)가 일체로 형성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컵부(6)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 고정부재(5)를 외측 고정부(4)에 삽입하여 맞물리도록 된 탄성의 결합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컵부(6) 상단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탄성의 결합부(65)들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5)들 각각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측 고정부(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노치에 맞물림 소리가 발생되게 맞물리도록 된 물림돌기(6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6)는 녹이 슬지 않는 재료로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고정부재(5)가 간격유지구의 외측 고정부(4)에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64)들이 형성되어 외측 고정부에 결합시 체결핀을 관통시켜 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6)에는 재료 절감을 위하여 양측면에 오목한 홈(63)이 형성되고, 강성을 위하여 상기 홈(62)에 리브(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20210117705A 2021-09-03 2021-09-03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230034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05A KR20230034664A (ko) 2021-09-03 2021-09-03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05A KR20230034664A (ko) 2021-09-03 2021-09-03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64A true KR20230034664A (ko) 2023-03-10

Family

ID=8551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705A KR20230034664A (ko) 2021-09-03 2021-09-03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66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917Y1 (ko) 2005-09-05 2005-12-08 윤안구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KR20090091895A (ko) 2008-02-26 2009-08-31 이선배 건축용 타이
KR102032658B1 (ko) 2018-09-11 2019-10-15 박웅준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917Y1 (ko) 2005-09-05 2005-12-08 윤안구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KR20090091895A (ko) 2008-02-26 2009-08-31 이선배 건축용 타이
KR102032658B1 (ko) 2018-09-11 2019-10-15 박웅준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20150079383A (ko) 건축용 석재판넬 지지부재
KR100879615B1 (ko) 크레인 레일용 베이스판의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KR102062843B1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20230034664A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438064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
KR101942456B1 (ko) 앵커 볼트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2032658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2198442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0391993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KR101780410B1 (ko) 거푸집 고정용 간격유지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KR200423452Y1 (ko) 거푸집 고정용 세파타이
KR100947983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26109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254795Y1 (ko) 거푸집 긴결 장치
KR200482271Y1 (ko) 콘크리트 매립형 화스너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20036127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JP5771467B2 (ja) 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方法ならびにユニットガイドの設置方法
JP3229662U (ja) 断熱材固定具および断熱材固定構造
KR200420412Y1 (ko) 거푸집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