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476A - Complex sporting goods - Google Patents
Complex sporting go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3476A KR20230033476A KR1020210116488A KR20210116488A KR20230033476A KR 20230033476 A KR20230033476 A KR 20230033476A KR 1020210116488 A KR1020210116488 A KR 1020210116488A KR 20210116488 A KR20210116488 A KR 20210116488A KR 20230033476 A KR20230033476 A KR 202300334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exercise
- tube
- gymnastic
- main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9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543 Urinary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9 abdomin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1 achilles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8 secr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튜브(20); 상기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24);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30);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24)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20 mounted on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device; An elastic member 24 built into the tube 20 to apply force for the user's muscle strength exercise; A pulling support 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at one end of the tube 20; A hook part 4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from the other end of the tube 20 and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24 to be fixed when the elastic member 24 is pulled. It is configur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pulls the pulling support part 30 to increase the elastic member 24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the strength of the required body par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hold and pull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34 in a stable state of being mounted on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machine to perform muscle strength exercise by spreading the elastic member 24 with a constant force. , It is possible to prevent risk factors that occur when exercising with heavy weights such as barbells or dumbbells in general gyms, and in particular, to enable the elderly or those who need rehabilitation exercises to safely perform strength trai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관절, 힙근육, 내전근 강화를 위한 특화운동, 낙상을 예방하는 발란스 운동, 건강을 지켜주는 스쿼트 운동까지 기구 하나로 튜빙밴드의 모든 운동기능을 시행할 수 있고, 앱과 영상을 통하여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코칭시스템으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ialized exercise for strengthening the hip joint, hip muscle, and adductor muscle, a balance exercise to prevent a fall, and a squat exercise to protect health. It is about a new configuration of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implemented and can be usefully utilized as a non-face-to-face coaching system in the corona era through apps and videos.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정용 운동기구 및 헬스장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운동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the use of home exercise equipment and gyms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interest in exercise equipment is increasing.
그런데, 운동기구는 몸의 체중을 지탱해야 하고,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무거운 하중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무겁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However, since the exercise equipment must support the weight of the body and provide a heavy loa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exercise intensity, it is heavy and takes up a lot of spa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ercise equipment capable of increasing muscle strength in various body parts as much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한편, 일반 헬스장에서 근력 운동을 하려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손으로 들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strength training in a general gym, lifting and lowering heavy objects such as barbells or dumbbells by hand is repeated.
그런데, 일반 헬스장에서 근력 운동을 하려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손으로 들고 내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손에서 놓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이 초래된다. 특히, 노인과 같이 신체가 허약한 사람이 근력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 일반적인 헬스장의 바벨이나 덤벨 등을 직접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건강한 일반 성인이 바벨이나 덤밸 등을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위험이 있게 된다.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들면서 운동하다가 바벨이나 덤벨 등을 놓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것이다.By the way, in order to exercise strength in a general gym, if you lift and lower heavy objects such as barbells or dumbbells by hand, a serious risk is caused if you lose them from your hands when exercising by holding heavy objects such as barbells or dumbbells by hand. In particular, when people with weak bodies, such as the elderly, exercise by lifting barbells or dumbbells in general gyms when they want to do strength training, they are more likely to exercise than when relatively healthy adults lift barbells or dumbbells. There will be danger. If a weak elderly person or a person in need of rehabilitation exercise misses a barbell or dumbbell while exercising while lifting a weight such as a barbell or dumbbell, a serious risk may result.
또한, 기존에는 의자에 앉아서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전신의 상하지 관절 및 전신의 근육운동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시니어는 물론 청장년까지 하나로 통합된 차별화된 운동기구로서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수단이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In addition, existing exercise equipment that allows anyone to sit on a chair to exercise comprehensively the upper and lower limb joints and muscles of the whole body in an easy and fun way has not been provided. As a differentiated exercise equipment integrated into one for seniors as well as young adults, there is still a lack of means to protect health.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관절, 힙근육, 내전근 강화를 위한 특화운동, 낙상을 예방하는 발란스 운동, 건강을 지켜주는 스쿼트 운동까지 기구 하나로 튜빙밴드의 모든 운동기능을 시행할 수 있고, 앱과 영상을 통하여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코칭시스템으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관절, 힙근육, 내전근 강화를 위한 특화운동과 같이 통합된 하나의 기구로 모든 원하는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비대면 시대에 코칭시스템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스마트 트레이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ubing with one apparatus, including specialized exercises for strengthening hip joints, hip muscles, and adductor muscles, balance exercises to prevent falls, and squat exercises to keep health.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with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perform all the exercise functions of the band and can be usefully utilized as a non-face-to-face coaching system in the corona era through apps and video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configuration of smart trainer tha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aching system in the non-face-to-face era while allowing all desired strength exercises to be performed with one integrated device, such as specialized exercises for strengthening the hip joint, hip muscles, and adductor muscles. What you want to do is your main purpo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시트; 상기 시트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등받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록 하는 의자 체조 운동부; 상기 의자 체조 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벤드 체조 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main frame; a seat mounted on the main frame; a backrest mounted to the main frame so as to be disposed behind the seat; a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enable a user to exercise while sitting on the seat;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a;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mounted on the main frame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상기 의자 체조 운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의 앞쪽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includes an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mounted on the main frame; a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be disposed below 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and a front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be disposed below 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rear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mounted on the main frame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와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 및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튜브; 상기 튜브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튜브과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풀링 지지부와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the forward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and the back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may include a tube mounted on the main frame; An elastic member built into the tube to apply force for the user's muscle strength exercise; a pulling suppo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from one end of the tub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from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to be fixed when the elastic member is pulled, and the tube, the elastic member, the pulling support portion, and the hook The parts are supported on the main frame and are arranged as a left and right pair, and the user pulls the pulling support part to increase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the strength of a desired body part.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시트의 앞쪽에 배치된 내전근 강화봉; 상기 내전근 강화봉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엔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게 되는 좌우 한 쌍의 그립봉;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dductor muscle strengthening rod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be disposed under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and disposed in front of a seat provided on the main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left and right grip rods supported by the male frame so as to be disposed behind the adductor muscle strengthening rod and held b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with both hands.
상기 메인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시트가 장착된 후방 프레임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부의 앞쪽에는 스트레칭바가 구비된다.The main frame includes a base frame part, a rear frame part to which the backrest and the seat are mounted, and a front frame part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frame part, and a stretching ba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part.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시트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에는 코칭앱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코칭앱 디스플레이에서는 운동 코칭앱의 현출되어, 상기 운동 코칭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ront frame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of the main frame, and a coaching app display is provided on the front frame portion, and an exercise coaching app is displayed on the coaching app display, and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the exercise coaching app.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be able to.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시트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에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는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는 운동 코칭앱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상기 모바일 기기를 거치시키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운동 코칭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front frame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of the main frame, and a mobile device cradle is provided on the front frame portion, a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cradle, and an exercise coaching app is downloaded to the mobile device , It is configured to mount the mobile device on the mobile device cradle and exercise using an exercise coaching app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와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 및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튜브; 상기 튜브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the forward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and the back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may include tubes mounted on the main frame; An elastic member built into the tube to apply force for the user's muscle strength exercise; a pulling suppo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from one end of the tub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from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to be fixed when the elastic member is pulled, and the user pulls the pulling support portion to increase the elastic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the strength of the required body part by giving.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튜브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고리부를 구비한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고리부에 걸려지는 중간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ok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and the base connection ring member having a base r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intermediate r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caught on the base ring portion.
상기 풀링 지지부는,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지지구; 상기 연결 지지구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풀링 작동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lling support may include a connection suppo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at one end of the tub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lling operation support provided in the connection support and held by the user by hand.
상기 연결 지지구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을 벗어난 위치에 제1인서트 돌편과 제1인서트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을 벗어난 위치에 제2인서트 돌편과 제2인서트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끼리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1인서트 돌편에는 상기 제2인서트홈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서트홈에는 상기 제2인서트 돌편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이 만나서 상기 연결 지지구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편과 상기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편이 안쪽면끼리 맞닿도록 결합되어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support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for forming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body, and the second The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for forming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body, and a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ar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upling member. A first insert protrusion and a first insert groove are provided at a position out of position,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insert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A protrusion and a second insert groove are provide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nsert groove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 protruding piece, and the first insert groove is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is coupled,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mee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and the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are coupled so that inner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body.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는 나팔관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구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팔관의 내부에 상기 연결 지지구가 받쳐져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allopian tub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ube, and the connection support is supported and supported inside the fallopian tube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pport.
상기 베이스 고리부는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분기 베이스 고리부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근력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ring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anched base ring parts having different depths of the inner ring groove,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branch base ring part ring grooves, thereby reduc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user to select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exerciser.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의 상기 베이스 고리부에는 고리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홈에는 탄성부재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가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의 상기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base ring part of the base ring member, and an intermediate r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is forcibly fitted into the ring groove, so that when the elastic member is pulled and quickly released, the intermediate r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ase ring part from falling out of the ring groove.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는 의자 체조 운동부와 벤드 체조 운동부가 장착되는데, 주요부인 탄성부재가 탄성력이 있어서,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시트(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탄성부재에 연결된 풀링 작동 지지체를 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을 주어서 당겨주기 때문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 부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서 의자 체조 운동부에 의해서는 의자 체조를 할 수 있고, 벤드 체조 운동부에서는 벤드 체조를 할 수 있는데, 시트에 앉아서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의자 체조 운동부와 벤드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전신의 상하지, 관절 및 전신의 근육 운동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hair gymnastics exercise unit and a bend gymnastics exercise unit. Since the elastic member, which is the main part, has elasticity, the user who wants a muscle strength exercise can use a pulling operation support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while sitting on a seat (chair). Since you hold it with your hand and pull it with a certain amount of force,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who wants strength exercise can do strength exercise for a desired muscle part. I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ir gymnastics can be performed by the chair gymnastics exercise unit, and bend gymnastics can be performed by the bend gymnastics exercise unit. It has the effect of comprehensively exercising the upper and lower limbs, joints and muscles of the whole bod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ser to hold and pull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to perform muscle strength exercise by giving a certain force to the elastic member and spreading it out, the user can exercise by holding a heavy object such as a barbell or dumbbell by hand in a general gym. Risk factors can be prevented and, in particular, the elderly with weak bodies or those who need rehabilitation exercises can safely perform strength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의자 체조 운동부와 벤드 체조 운동부를 구성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봉을 이용하여 고관절과 힙근윤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내전근 강화봉을 이용하여 내전근 강화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고리부재와 중간 고리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걸고리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걸고리부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constituting a chair gymnastics exercise unit and a bend gymnastics exercise unit,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main parts of FIG. 4;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ure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a first half core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half core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FIG. 5;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upport which is a main part shown in FIG. 5;
10 is a view showing inner surfaces of a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FIG. 9;
11 is a view showing inner surfaces of a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 first half core member, and a second half core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FIG. 9;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an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ompound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a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ompound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hip joint and hip muscle exercises are performed using a grip ba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duct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is performed using an adductor muscle strengthen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a forward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9 ar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a rear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ase ring member and an intermediate ring member,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odified embodiments of the hook par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ngth exercise pulling mechanism for a compound exercise mechanism employing a hook portion shown in FIGS. 21 to 2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의자 체조 운동부와 벤드 체조 운동부를 구성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봉을 이용하여 고관절과 힙근윤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내전근 강화봉을 이용하여 내전근 강화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고리부재와 중간 고리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걸고리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걸고리부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constituting the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main parts of FIG. 4, FIG. 6 is a partially cu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5, and FIG. 7 is a connection shown in FI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first half core member constituting the support,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half core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upport as a main part shown in FIG. 5,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FIG. 9, FIG. 11 is a view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the first half core member, and the second half core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upport shown in 9, FIG. 12 is a complex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complex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1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hip joint and hip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are performed using a grip rod,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the front bend gymnastics exercise uni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Figure 20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base r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ring member,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1 to 23 are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hook par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ngth exercise pulling mechanism for a compound exercise mechanism employing a hook portion shown in FIGS. 21 to 23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는 메인 프레임(1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시트(122)와, 상기 시트(122)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등받이(124)와,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시트(122)에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록 하는 의자 체조 운동부(130)와, 상기 의자 체조 운동부(1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벤드 체조 운동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의자 체조 운동부(130)는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와,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를 포함한다.The chair
상기 벤드 체조 운동부(140)는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앞쪽 하부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포함한다.The bend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부(126)와 후방 프레임부(127)와 전방 프레임부(128)를 포함한다.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26)는 세로 바아와 가로 바아가 연결된 바닥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부(126)를 위에서 볼 때에 복수개의 가로 바아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가로 바아에는 세로 바아가 연결된 사각 바닥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부(126)는 복합 운동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지면에 접촉되어 복합 운동 기구를 밑에서 지지하게 된다.The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는 베이스 프레임부(126)의 후방쪽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구조가 된다. 후방 프레임부(127)에는 앞쪽으로 나와 있는 프론트 후방 프레임부(127)가 구비된다. 후방 프레임부(127)의 전면은 후면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다. 후방 프레임부(127)를 옆에서 볼 때에 전면이 후면 쪽으로 기울어진 삼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상단부에는 어퍼 튜브 고정 바아가 구비된다. 어퍼 튜브 고정 바아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는 어퍼 튜브 고정 바아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폭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 고정 바아가 구비된다. 튜브 고정 바아는 후방 프레임부(127)에 결합된 상태에서 튜브 고정 바아의 좌우 양쪽 측단부가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측면에서 옆으로 돌출되어 있다. 튜브 고정 바아의 좌우 양쪽 일부가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측면에서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튜브 고정 바아는 복합 운동 기구 사용자가 시트(122)에 착석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어깨 높이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An upper tube fixing bar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서 프론트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쪽에는 시트(122) 받침대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122)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26)에 지지되어 프론트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쪽에 배치된다.In the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전면에 등받이(1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트(122) 받침대에는 시트(122)가 설치된다. 즉, 후방 프레임에 등받이(124)와 시트(122)가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120)에 등받이(124)와 시트(122)가 설치된다. 그래서, 메인 프레임(120)에 등받이(124)와 시트(122)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A
또한,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는 베이스 프레임부(126)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리어 튜브(20) 지지 바아가 구비된다. 리어 튜브(20) 지지 바아는 후방 프레임부(127)에 결합됨과 동시에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리어 튜브(20) 지지 바아의 양단부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측면에서 옆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어 튜브(20) 지지 바아는 상기 시트(122)보다 더 아래에 배치되고 동시에 후방 프레임부(127)의 후면보다는 더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 튜브(20) 지지 바아는 상기 시트(122) 받침대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에 배치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는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그립봉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는 등받이(124)의 후면과 후방 프레임부(127)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그립봉 지지바아가 결합되고, 상기 그립봉 지지바아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그립봉이 연결된다. 좌우 한 쌍의 그립봉이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측면 옆쪽에 배치된다. 한 쌍의 그립봉은 후방 프레임부(127)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립봉 지지바아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그립봉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그립봉은 시트(122)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그립봉을 잡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에 배치되도록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가 구비된다.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는 베이스 프레임부(126)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전후 연장 수평 바아에 연결되고, 상기 전후 연장 수평 바아는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에 배치된 시트(122)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n adductor reinforcing
상기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에는 내전근 강화봉(150)이 결합된다. 내전근 강화봉(150)은 하단부에서 상단부 쪽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바아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바아 결합홀이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에 삽입됨으로써,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에 내전근 강화봉(1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전근 블록은 원통형 블록으로 구성된다.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에 내전근 강화봉(15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시트(122)의 앞쪽에 내전근 강화봉(150)이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은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메인 프레임(120)에 구비된 시트(122)의 앞쪽에 배치된 내전근 강화봉(150)과, 상기 내전근 강화봉(150)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게 되는 좌우 한 쌍의 그립봉(15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adductor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쪽에 배치된다. 전방 프레임부(128)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된다.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후방 프레임부(127)에 설치된 등받이(124)와 마주하는 받침 패널이 구비된다. 받침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며,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운동 중에 발을 접촉시켜서 받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받침 패널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다리 걸이용 바아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다리를 펴서 다리의 아킬레스건 부분을 상기 다리 걸이용 바아에 걸치고 상기 받침 패널에 발바닥을 댄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상기 받침 패널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디스플레이를 거치시켜서 사용자가 운동 중에 디스플레이에서 플레이되는 코칭 영상에 의해 운동 코칭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시트(122)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코칭앱 디스플레이(162)가 구비되고, 상기 운동 코칭앱 디스플레이(162)에서는 운동 코칭앱의 현출되어, 상기 운동 코칭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또한, 전방 프레임부(128)의 앞쪽에는 스트레칭바(128STB)가 구비된다. 스트레칭바(128STB)는 전방 프레임부(128)의 앞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다. 스트레칭바(128STB)는 좌우로 나란하게 세워져서 배치된 한 쌍의 직립 바아와, 한 쌍의 직립 바아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수평 연결 바아와, 상기 수평 연결 바아에 연결된 스트레치용 그립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수평 연결 바아에 양단부가 연결된 스트레칭 고정 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stretching bar 128STB is provided in front of the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 연결 바아가 나란하게 배치된다.A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ion ba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복수개의 스트레칭용 그립 바아도 전방 프레임부(128)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A plurality of grip bars for stretching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복수개의 스트레칭 고정 지지 바아도 전방 프레임부(128)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개의 스트레칭 고정 지지 바아가 전방 프레임부(128)의 전면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스트레칭바(128STB)가 전방 프레임의 앞쪽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로 나란하게 구비된 구조가 된다.A plurality of stretching fixing support bars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상기 스트레칭용 그립 바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스트레칭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복합 운동 기구 사용자는 상기 스트레칭바(128STB)를 손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r can hold the grip bar for stretching with his/her hand and perform stretching. That is, the user of the compound exercise machine can stretch while gripping the stretching bar 128STB with his/her hand.
즉,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부(126)와, 상기 등받이(124)와 시트(122)가 장착된 후방 프레임부(127)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의 앞쪽에는 스트레칭바(128STB)가 구비된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의 앞쪽에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가 구비된다.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에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128MB)를 거치시켜서 사용자가 운동 중에 모바일 기기(128MB)에서 플레이되는 코칭 영상에 의해 운동 코칭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시트(122)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가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에는 모바일 기기(128MB)를 거치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128MB)에는 운동 코칭앱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에 모바일 기기(128MB)를 거치시키고, 상기 모바일 기기(128MB)에서 실행되는 운동 코칭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a mobile device holder 128S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다리 걸이용 바아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프론트 튜브 고정 바아가 구비된다. 프론트 튜브 고정 바아는 걸이용 바아의 앞쪽에 배치되면서도 걸이용 바아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In addition, a front tube fixing bar is provided on the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와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 및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는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풀링 지지부(30)와 걸고리부(40)를 포함한다.The upper chair
상기 튜브(20)는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24)는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을 작용시키고, 상기 풀링 지지부(30)는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걸고리부(40)는 튜브(20)의 타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한다.The
본 발명에서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풀링 지지부(30)와 걸고리부(40)는 메인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튜브(20)에 탄성부재(24)가 내장되고, 상기 탄성부재(24)의 양단부에 풀링 지지부(30)와 걸고리부(4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n
상기 튜브(20)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된다. 상기 튜브(20)는 양단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튜브(20)이 양단부가 개방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20)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된다. 예들 들어, 상기 튜브(20)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서 팔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와 어깨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 등에 장착된다. 주요부인 튜브(20)이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본 발명이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24)는 튜브(20)에 내장된다. 탄성부재(24)는 고무줄(탄성이 있는 벤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4)는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근력 운동을 위해 탄성부재(24)를 당길 때에 탄성부재(24)에 탄성력이 생겨서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는 것이다. 탄성부재(24)를 당길 때에 탄성력으로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하기 위한 근육 부분(예를 들어, 팔근육 등)에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The
상기 풀링 지지부(30)는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풀링 지지부(30)가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풀링 지지부(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4)를 당길 때에 근육에 일정한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탄성부재(24)의 탄성력으로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원하는 신체의 근육에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풀링 지지부(30)는 사용자가 근력 운동을 할 때에 손으로 안정적이고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pulling
이때, 풀링 지지부(30)는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지지구(32)와, 상기 연결 지지구(32)에 구비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포함한다. 풀링 작동 지지체(3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발부분이나 다리를 걸어줄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lling
상기 연결 지지구(32)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결합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는 반구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을 벗어난 위치에 제1인서트 돌편(32FIP)과 제1인서트홈(32FIG)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은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상기 제1인서트홈(32FIG)과 제1인서트 돌편(32FIP)은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의 양쪽에 구비된다. 두 개의 제1인서트홈(32FIG)과 두 개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이 연결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has a hemispherical block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at a position outside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a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 insert groove 32FIG is provide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The first insert groove 32FIG and the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Two first insert grooves (32FIG) and two first insert protrusions (32FIP)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In addition, a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is connected to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is connected to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또한,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는 근력 운동을 하기 원하는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이 구비된다.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의 기단부가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half-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is provided with a first half-pulling actuation support piece 34FP for forming the pulling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는 반구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을 벗어난 위치에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제2인서트홈(32SIG)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상기 제2인서트홈(32SIG)과 제2인서트 돌편(32SIP)은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의 양쪽에 구비된다. 두 개의 제2인서트홈(32SIG)과 두 개의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은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has a hemispherical block shape.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d a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and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re located outside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 insert groove 32SIG is provide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The second insert groove 32SIG and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Two second insert grooves 32SIG and two second insert protrusions 32SIP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In addition,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또한,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는 근력 운동을 하기 원하는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이 구비된다.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의 기단부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second half-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is provided with a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for forming a pulling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과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의 안쪽면도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1인서트홈(32FIG)과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제2인서트홈(32SIG)과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홈(32SIG)과 마주한다.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re flat, and the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FP and the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The inner surface is also composed of a plane,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and the first insert groove 32FIG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is provided, and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and a second insert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32SIG and a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are provided. Wh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face each other,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of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32SHH), the first insert groove (32FIG)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 faces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and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 32FC) faces the second insert groove 32SIG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과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과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의 안쪽면이 맞닿도록 결합하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탄성부재 결합홈과 탄성부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삽입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 지지부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형성된다.In this state,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FP and the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are When coupl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are formed inside the
이때,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결합하기 이전에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쪽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At this time, before coupling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In a state in which one end side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연결 지지구(32)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내부에는 제1반절 코어부재(36FCM)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내부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은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이 연결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양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반절 윙편은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 형성된 제1윙편 삽입홈에 안치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내부에는 제1코어부재 안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한 쌍의 제1반절 윙편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코어부재 안치홈과 제1윙편 삽입홈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는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에 연통된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측 탄성부재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측 탄성부재 삽입홀을 통하여 탄성부재(24)가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결합에 의해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내부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이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A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 A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In addition, a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is connected to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is connected to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The pair of first half wing pieces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are placed in the first wing piec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 first core member seating groove is provided inside, and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and a pair of first half wing piec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re member seating groov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first It can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wing piece insertion groove, respectively.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 is provided with a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side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The
한편,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내부에는 제2반절 코어부재(36SCM)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내부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은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양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반절 윙편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형성된 제2윙편 삽입홈에 안치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내부에는 제2코어부재 안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와 한 쌍의 제2반절 윙편이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코어부재 안치홈과 제2윙편 삽입홈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는 상기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연통된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측 탄성부재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측 탄성부재 삽입홀을 통하여 탄성부재(24)가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결합에 의해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내부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이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In addition,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The pair of second half wing pieces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are placed in the second wing piec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The inside of the second core member seating groove is provided,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and a pair of second half wing pieces are the second core member seating groov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d the second It can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wing piece insertion groove, respectively.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on the sid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of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The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안쪽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과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의 안쪽면도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1인서트홈(32FIG)과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제2인서트홈(32SIG)과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제1반절 코너부재 내부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2반절 연결부재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홈(32SIG)과 마주한다.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re flat,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and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are flat.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FP and the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are also flat, and the first half-half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a first insert groove 32FIG, and a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are provid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the second insert groove 32SIG, and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are provided, and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and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half corner member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HH inside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of the second half connecting member ), and the first insert groove 32FIG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 faces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and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 The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faces the second insert groove 32SIG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안쪽면과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과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과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의 안쪽면이 맞닿도록 결합하면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탄성부재 결합홈과 탄성부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삽입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 지지부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형성된다.In this state,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and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d the first half pulling When the inner surfaces of the actuating supporting piece 34FP and the second half pulling actuating supporting piece 34SP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and the first half elasticity The member insertion hole 32FHH,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of the second half core member 36SCM,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HH provide elasticity to the inside of the
이때,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결합하기 이전에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쪽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At this time, before coupling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on member 32SC,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of the first half core member 36FCM In the state where one end side of the
정리하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1인서트 돌편(32FIP)에는 제2인서트홈(32SIG)이 결합되고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상기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이 만나서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과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이 안쪽면끼리 맞닿도록 결합되어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한다.In summary,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nsert groove 32SIG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and the first insert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is coupled to the groove 32FIG, and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meet to form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는 나팔관(5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구(32)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된다. 상기 연결 지지구(32)는 구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다. 연결 지지구(32)가 나팔관(50)의 내부에 받쳐져서 지지됨으로써 연결 지지구(32)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정위치에서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걸고리부(40)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걸고리부(40)는 튜브(20)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부(40)가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탄성부재(24)를 튜브(20)의 타단부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The
이때, 상기 걸고리부(40)는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와 중간 고리부재(46)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는 좌우 양쪽의 한 쌍의 연결 고리 바아(43)와, 한 쌍의 연결 고리 바아(43)에 연결된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는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 구조이다. 즉,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의 한 쌍의 연결 고리 바아(43)가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어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가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고,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는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 구조이며, 상기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를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에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The base connecting
상기 중간 고리부재(46)는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탄성부재(24)의 타단부라 함은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연결된 일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이며, 이러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중간 고리부재(46)는 힌지에 의해 결합 오프닝 바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 오프닝 바아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를 닫아주도록 회동되고, 상기 결합 오프닝 바아가 눌려지면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가 열려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에 상기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줌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중간 고리부재(46)를 매개로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쪽에 있는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오프닝 바아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이 눌려져 있는 탄성력에 의해 결합 오프닝 바아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원래 위치로 회동되면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를 닫아준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간 고리부재(46)에는 연결 브라켓이 결합되고, 연결 브라켓은 탄성부재(24)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볼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연결 브라켓과 지지볼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탄성부재(24)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중간 고리부재(46)가 탄성부재(24)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The
본 발명에서 의자 체조 운동부(130)는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와,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와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는 모두 좌우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를 구성하는 한 쌍의 튜브(20)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상단부에 설치된 어퍼 튜브 고정 바아의 양단부에 각각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양쪽 옆에 각각 하나씩 튜브(20)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튜브(20)에 각각 상기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 좌우 양쪽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구비된 구조가 되며,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어퍼 튜브 고정 바아에 결합된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가 된다. 즉,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가 메인 프레임(120)의 좌우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한 쌍의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는 메인 프레임(120)을 옆에서 볼 때에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pair of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를 구성하는 한 쌍의 튜브(20)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측면에서 옆으로 돌출된 튜브 고정 바아에 각각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양쪽 옆에 각각 하나씩 튜브(20)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튜브(20)에 각각 상기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에 좌우 양쪽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구비된 구조가 되며, 이러한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가 된다. 즉,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가 메인 프레임(120)의 좌우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The pair of
상기 벤드 체조 운동부(140)는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앞쪽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포함한다.The bend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와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도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튜브(20)와, 상기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24)와,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30)와, 튜브(20)의 타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40)를 포함한다.The front bend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와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구성하는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풀링 지지부(30)와 걸고리부(40)는 메인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구성하는 한 쌍의 튜브(20)는 베이스 프레임부(126)의 상면(또는, 후방 프레임부(127)의 전면)에 설치된 바텀 튜브 고정 바아의 양단부에 각각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양쪽 옆에 각각 하나씩 튜브(20)이 고정된다. 한 쌍의 튜브(20)에 각각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부(40)는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장 뒤쪽의 가로 바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구성하는 풀링 지지부(30)의 연결 지지구(32)의 앞쪽으로 고리부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재에는 링형상의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좌우 측면 옆쪽에 하니씩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후방 프레임부(127)에 좌우 한 쌍의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가 구비된 구조가 되며,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바텀 튜브 고정 바아에 결합된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가 된다. 즉,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가 메인 프레임(120)의 좌우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한 쌍의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는 메인 프레임(120)을 옆에서 볼 때에 위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에서 풀링 작동 지지체(34)는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시트(124)에 착석한 사용자가 링형상의 풀링 작동 지지체(34)에 자신의 다리를 끼운 상태에서 앞으로 당겨서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의 탄성부재(24)를 당겨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air of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를 구성하는 한 쌍의 튜브(20)는 전방 프레임부(128)의 좌우 측면에서 옆으로 돌출된 다리 걸이용 바아의 양단부와 프론트 튜브 고정 바아의 양단부에 각각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의 좌우 양쪽 옆에 각각 하나씩 튜브(20)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튜브(20)에 각각 상기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 좌우 양쪽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구비된 구조가 되며, 이러한 한 쌍의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걸고리부(40)와 풀링 지지부(30)가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가 된다. 즉,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가 메인 프레임(120)의 좌우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는 메인 프레임(120)의 옆에서 볼 때에 앞쪽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The pair of
정리하면,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와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와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 및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는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튜브(20)와, 상기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24)와,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30)와,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튜브(20)와 탄성부재(24)와 풀링 지지부(30)와 걸고리부(40)는 메인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summary, the upper chair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트(122)에 앉은 상태(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한 쌍의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연결 지지구(32)에 구비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앞으로 당겨주면, 상기 탄성부재(24)(주로 탄성 고무줄)이 늘어남으로써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당겨주는 힘을 이용하여 등과 가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팔로 탄성부재(24)를 당겨주는 힘을 주기 때문에, 팔 운동도 가능하다. 즉,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에 의해 튜빙 벤드를 통한 등과 가슴 운동을 할 수 있다. 튜빙 벤드라 함은 튜브(20)에 내장된 탄성부재(24)로서, 이처럼 튜빙 벤드를 당겨줌으로써 사용자가 등과 가슴 운동을 할 수 있고, 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튜빙 벤드는 튜브(20)에 내장된 탄성부재(24)를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ulling
또한, 사용자가 시트(122)에 앉은 상태(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한 쌍의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의 연결 지지구(32)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은 상태(즉, 연결 지지구(32)에 구비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주면, 상기 탄성부재(24)(주로 탄성 고무줄)이 늘어남으로써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당겨주는 힘을 이용하여 등과 가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팔로 탄성부재(24)를 당겨주는 힘을 주기 때문에, 역시 팔 운동도 가능하다. 즉,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에 의해서도 튜빙 벤드를 통한 등과 가슴 운동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122 (sitting on the chair), the user holds the
또한,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내전근 강화봉 결합 바아(151)에서 내전근 강화봉(150)을 빼서 사용자의 좌우 양쪽 다리 사이(양쪽 다리에서 주로 양쪽 무릅과 인접한 다리 부분 사이)에 끼우고 양손으로 한 쌍의 그립봉을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 자신의 양쪽 다리를 좌우 방향으로 틀어줌으로써 내전근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그립봉을 잡고 동시에 사용자 자신의 좌우 양쪽 다리에 상기 내전근 강화봉(150)을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 자신의 양쪽 다리를 좌우 방향으로 틀어주는 동작으로 반복함으로써 내전근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내전근 강화봉(150)을 이용한 운동을 하면 고관절과 힙 근육과 내전근 강화를 위한 특화 운동을 할 수 있다. 내전근 운동은 요실금 예방 및 바른 보행 자세에 도움을 준다.In addition, the user seated on the
또한, 상기 시트(122)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의 연결 지지구(32)에 구비된 풀링 작동 지지체(34)(원형 링 형상으로 구성됨)에 자신의 양쪽 다리 부분(또는 양쪽 발 부분)을 끼워서 양쪽 다리를 펼쳐주면, 상기 탄성부재(24)와 고리부재와 풀링 작동 지지체(34)는 앞으로 전진하고 상기 탄성부재(24)는 늘어나서 다리 부분의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122)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원형 링 형상으로 구성됨)에 자신의 양쪽 다리 부분(또는 양쪽 발 부분)을 끼워서 양쪽 다리를 펼쳐주면, 상기 탄성부재(24)(주로 탄성 고무줄)이 늘어남으로써 사용자가 다리를 펼쳐서 탄성부재(24)를 당겨주는 힘을 이용하여 다리 부분의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이용한 운동은 약해진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여 허리 통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대퇴사두근 및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시키게 된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22 (sitting on a chair),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34 (consisting of a circular ring shape) provided in the
또한, 사용자가 한 쌍의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의 연결 지지구(32)에 구비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탄성부재(24)를 일정 길이만큼 당긴 상태에서 종아리는 세우고 허벅지 부분을 수평 방향에서 일정 각도 위로 경사지도록 정지시킨 상태에서 멈춤 상태를 유지하면 하체의 큰 근육(예를 들어, 허벅지 근육과 종아리 근육) 및 둔근을 고르게 발달시키는 스쿼트 운동을 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많은 양의 호르몬이 분비되고 에너지를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벤드 잡고 일어서서 멈춤 상태를 유지하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pull-actuating
본 발명에 의해서 벤드 체조를 하게 되면, 벤드를 활용하여 안전한 자세로 하체 및 복부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하체의 큰 근육 및 둔근을 고르게 발달시키는 시쿼트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많은 양의 호르몬이 분비되고 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효과가 있다When performing bend gymna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lower body and abdominal muscles in a safe posture by utilizing the bend. You can do squat exercise that evenly develops the large muscles and gluteal muscles of the lower body, and this squat exercise has the effect of secreting a large amount of hormones and generating energy.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는 의자 체조 운동부(130)와 벤드 체조 운동부(140)가 장착되는데, 탄성부재(24)(주로, 탄성 고무줄임)가 탄성력이 있어서,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을 주어서 당겨주어야 하기 때문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 부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서 의자 체조 운동부(130)에 의해서는 의자 체조를 할 수 있는데, 시트(122)(의자)에 앉아서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전신의 상하지, 관절 및 전신의 근육 운동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The chai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24)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perform muscle strength exercise by holding and pulling the pulling
특히, 노인과 같이 신체가 허약한 사람이 근력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 일반적인 헬스장의 바벨이나 덤벨 등을 직접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건강한 일반 성인이 바벨이나 덤밸 등을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위험이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서 탄성부재(24)를 늘려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허약한 노인이 근력 운동을 하거나 재활 운동을 할 때에 매우 안전한 효과가 있다. 허약한 노인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들면서 운동하다가 바벨이나 덤벨 등을 놓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서 탄성부재(24)를 늘려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벨이나 덤벨 등을 직접 들고 운동하다가 놓쳐서 생길 수 있는 심각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people with weak bodies, such as the elderly, exercise by lifting barbells or dumbbells in general gyms when they want to do strength training, they are more likely to exercise than when relatively healthy adults lift barbells or dumbbells. There is a risk, bu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hold the pull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 지지구(32)를 두 개의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결합하여 탄성부재(24)에 연결하고, 탄성부재(24)의 일단부를 연결 지지구(32)에 의해 튜브(20)의 일단부쪽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는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와 중간 연결 고리를 매개로 튜브(20)의 타단부에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탄성부재(24)와 연결 지지구(32) 사이의 결합 구조가 신속하고 간편하며, 탄성부재(24)와 튜브(20) 사이의 결합 구조도 신속하고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고리부(44)는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각각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튜브(20)의 타단부)에서 이격된 거리가 각각 다르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고리부(44)가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와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와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가 제일 작고,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는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에 비하여 더 크고,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는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에 비하여 더 크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rin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branch
상기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에 탄성부재(24)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주면,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늘려주기 위하여 당겨주는 힘이 제일 작고, 상기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에 탄성부재(24)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주면,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늘려주기 위하여 당겨주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24)가 중간 고리 부재(46)에 의해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에 걸려져 있을 때에 사용자가 당겨주는 힘에 비하여 더 크고, 상기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의 고리홈에 탄성부재(24)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주면,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늘려주기 위하여 당겨주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24)가 중간 고리 부재에 의해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에 걸려져 있을 때에 사용자가 당겨주는 힘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된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4)의 탄성력을 근력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힘으로 근력 운동을 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 튜브(20)의 일단부에는 나팔관(50)이 구비되어,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됨으로써 연결 지지구(32)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정위치에서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나팔관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팔이나 다리를 움직여서 상기 탄성부재(24)를 모든 각도로 당겨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이 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24)를 마음데로 당겨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연결 지지구(32)를 당겨서 탄성부재(24)를 튜브(20)의 바깥으로 당겨줄 때에 나팔관은 360° 모든 방향으로 벌어진 관형상이므로, 상기 탄성부재(24)는 나팔관의 내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받쳐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방향으로 연결 지지구(32)와 탄성부재(24)를 무리없이 당겨주어서 원하는 모든 방향으로 근력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걸고리부(40)는 베이스 고리부재(42)와 중간 고리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는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는 고리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홈에는 탄성부재(30)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상기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 구비된 고리홈에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개방부의 폭(DI)이 상기 중간 고리부재(46)의 직경(46D)에 비하여 더 작고,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는 탄성이 있는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고리홈의 개방부를 통과하여 억지 끼움되어 상기 고리홈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서 중간 고리부재(46)가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걸고리부(40)를 구성하는 베이스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에 구비된 고리홈에 탄성부재(30)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되어서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본 발명에서 베이스 고리부재(42)는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하는데,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각각의 고리홈에도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의 각각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에 구비딘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고리부(44)가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와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와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고리부재(46)는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 또는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 또는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 또는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 또는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에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0. 튜브
24. 탄성부재
30. 풀링 지지부
32. 연결 지지구
32FC. 제1반구형 연결부재
32FCG.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
32FHH.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
32FIG. 제1인서트홈
32FIP. 제1인서트 돌편
32SC. 제2반구형 연결부재
32SCG.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
32SHH.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
32SIG. 제2인서트홈
32SIP. 제2인서트 돌편
34. 풀링 작동 지지체
34FP.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
34SP.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
36FCM. 제1반절 코어부재
36SCM. 제2반절 코어부재
40. 걸고리부
42.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
43. 연결 고리 바아
44. 베이스 고리부
44BRF.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
44BRS.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
44BRT.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
46. 중간 고리부재
50. 나팔관
120. 메인 프레임
122. 시트
124. 등받이
126. 베이스 프레임부
127. 후방 프레임부
128. 전방 프레임부
128ST. 모바일 기기 거치대
128MB. 모바일 기기
126. 스트레칭바
130. 의자 체조 운동부
132.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
134.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
140. 벤드 체조 운동부
142.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
144.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
150. 내전근 강화봉
152. 그립봉
162. 코칭앱 디스플레이20.
30. Pulling
32FC.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G.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HH. First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FIG. 1st insert groove
32 FIP. 1st insert stone piece 32SC.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G.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HH. Second half elastic member insertion hole
32SIG. 2nd insert groove 32SIP. 2nd insert protrusion
34. Pulling action support 34FP.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Second half pulling action support piece 36FCM. 1st half core member
36SCM. Second
42. Base connecting
44. Base hook 44BRF. 1st branch base hook
44 BRS. Second branch base hook 44BRT. 3rd branch base hook
46.
120.
124.
127.
128 ST. Mobile device holder 128MB. mobile device
126. Stretching
132. Upper chair
140. Bend gymnastics exercise
144. Back bend gymnastics exercise
152.
Claims (13)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122)에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록 하는 의자 체조 운동부(130);
상기 의자 체조 운동부(1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벤드 체조 운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 main frame 120 to which a seat 122 and a backrest 124 are mounted;
a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0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seat 122 and exercise;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a;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140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0.
상기 의자 체조 운동부(1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드 체조 운동부(140)는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의 앞쪽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0 includes an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2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4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2,
The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140 includes a front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142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front of 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2;
A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comprising a; backward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144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4.
상기 상부 의자 체조 운동부(132)와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와 상기 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2) 및 상기 후방 벤드 체조 운동부(144)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된 튜브(20);
상기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24);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30);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튜브(20)와 상기 탄성부재(24)와 상기 풀링 지지부(30)와 상기 걸고리부(40)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2,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4, the forward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142, and the back bend gymnastic exercise unit 144,
a tube 20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An elastic member 24 built into the tube 20 to apply force for the user's muscle strength exercise;
A pulling support 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at one end of the tube 20;
A hook part 4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from the other end of the tube 20 and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24 to be fixed when the elastic member 24 is pulled. constituted,
The tube 20, the elastic member 24, the pulling support part 30, and the hook part 40 are supported by the main frame 120 and arranged as a left and right pair,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pulls the pulling support part 30 and stretches the elastic member 24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muscle strength exercise of a desired body part.
상기 하부 의자 체조 운동부(13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구비된 시트(122)의 앞쪽에 배치된 내전근 강화봉(150);
상기 내전근 강화봉(150)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상기 시트(122)에 착석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게 되는 좌우 한 쌍의 그립봉(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2,
an adductor muscle strengthening bar 150 mounted on the main frame 120 to be disposed under the lower chair gymnastic exercise unit 134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122 provided on the main frame 120;
A pair of right and left grip bars 152 supported by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disposed behind the adductor muscle strengthening bar 150 and held b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122 with both hand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부(126)와, 상기 등받이(124)와 상기 시트(122)가 장착된 후방 프레임부(127)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127)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의 앞쪽에는 스트레칭바(128STB)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120 includes a base frame portion 126, a rear frame portion 127 to which the backrest 124 and the seat 122 are mounted, and a front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frame portion 127.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portion 128, and the front frame portion 128 in front of the stretching bar (128STB)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상기 시트(122)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코칭앱 디스플레이(162)가 구비되고, 상기 코칭앱 디스플레이(162) 에서는 운동 코칭앱이 현출되어, 상기 운동 코칭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120 has a front frame portion 128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122, the front frame portion 128 is provided with a coaching app display 162, the coaching app display ( In 162) , the exercise coaching app is manifested, and the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xercise using the exercise coaching app.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상기 시트(122)의 앞쪽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부(128)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128)에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가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에는 모바일 기기(128MB)를 거치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128MB)에는 운동 코칭앱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거치대(128ST)에 상기 모바일 기기(128MB)를 거치시키고, 상기 모바일 기기(128MB)에서 실행되는 운동 코칭앱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frame part 128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122 of the main frame 120 is provided, and a mobile device holder 128ST is provided on the front frame part 128, and the mobile device holder ( 128ST), the mobile device (128MB) is installed, the exercise coaching app is downloaded to the mobile device (128MB), the mobile device (128MB) is placed on the mobile device cradle (128ST), and the mobile device (128MB) A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xercise using an exercise coaching app running on.
상기 걸고리부(40)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 베이스 연결 고리부재(42);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 걸려지는 중간 고리부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3,
The hook part 40,
A base connection ring member 42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20 and having a base ring portion 44;
A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comprising a; intermediate ring member 46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and caught on the base ring part 44.
상기 풀링 지지부(30)는,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지지구(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3,
The pulling support 30,
A multi-function complex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support 3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at one end of the tube 20.
상기 연결 지지구(32)에는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지지구(32)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을 벗어난 위치에 제1인서트 돌편(32FIP)과 제1인서트홈(32FIG)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을 벗어난 위치에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제2인서트홈(32SIG)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1인서트 돌편(32FIP)에는 상기 제2인서트홈(32SIG)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상기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 이 만나서 상기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에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FP)과 상기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편(34SP)이 안쪽면끼리 맞닿도록 결합되어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9,
The connection support 32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lling operation support 34,
The connection support 32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a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is provided with a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FP for forming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34,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is provided with a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for forming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34,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at a position outside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a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 insert groove (32FIG) is provided,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and a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and a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re located outside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An insert groove (32SIG) is provide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FC and the second hemispherical connecting member 32SC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nsert groove 32SIG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 protrusion 32FIP, and the first insert The second insert protrusion 32SIP is coupled to the groove 32FIG,
The first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FCG and the second half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32SCG mee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in the elastic member coupling groov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support 3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is hooked and combined,
The first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FP) and the second half-pulling operation support piece (34SP) are coupled so that their inner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pulling operation support body (34).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는 나팔관(5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구(32)에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0,
The fallopian tube 5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ube 20, an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pport 32, the connection support ( 32) is a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and supported.
상기 베이스 고리부(44)는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4)의 탄성력을 근력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8,
The base ring portion 4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anched base ring portions 44 having different depths of the inner ring groove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ring grooves of the plurality of branch base ring parts 44,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4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performing muscle strength exercise. Multifunctional compound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의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는 고리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홈에는 탄성부재(30)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상기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According to claim 8,
The base ring part 44 of the base ring member 42 is provided with a ring groove, and the middle ring member 46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30 is configured to be forcibly fitted into the ring groove, the elastic member ( 30) is pulled and quickly released, the strength exercise pulling mechanism for a compound exercis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the intermediate ring member 46 from falling out of the ring groove of the base ring portion 4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488A KR102696850B1 (en) | 2021-09-01 | 2021-09-01 | Complex sporting go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488A KR102696850B1 (en) | 2021-09-01 | 2021-09-01 | Complex sporting go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476A true KR20230033476A (en) | 2023-03-08 |
KR102696850B1 KR102696850B1 (en) | 2024-08-20 |
Family
ID=8550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6488A KR102696850B1 (en) | 2021-09-01 | 2021-09-01 | Complex sporting go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685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95413B1 (en) * | 2007-05-10 | 2010-04-13 | Christian Cruz |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band |
KR200461887Y1 (en) | 2010-11-16 | 2012-08-10 | 박연화 |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
KR101343825B1 (en) * | 2013-09-02 | 2014-01-15 | 김기성 | 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
KR101864064B1 (en) | 2017-01-06 | 2018-06-01 | 구경식 |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
KR102223908B1 (en) * | 2020-09-25 | 2021-03-08 | 주식회사 바이오텍에스알에스 |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customer information based on the point reward service |
KR102258203B1 (en) * | 2021-02-22 | 2021-05-27 | 박정열 | Complex exercise equipment for home use |
-
2021
- 2021-09-01 KR KR1020210116488A patent/KR1026968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95413B1 (en) * | 2007-05-10 | 2010-04-13 | Christian Cruz |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band |
KR200461887Y1 (en) | 2010-11-16 | 2012-08-10 | 박연화 |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
KR101343825B1 (en) * | 2013-09-02 | 2014-01-15 | 김기성 | 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
KR101864064B1 (en) | 2017-01-06 | 2018-06-01 | 구경식 |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
KR102223908B1 (en) * | 2020-09-25 | 2021-03-08 | 주식회사 바이오텍에스알에스 |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customer information based on the point reward service |
KR102258203B1 (en) * | 2021-02-22 | 2021-05-27 | 박정열 | Complex exercise equipment for home 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6850B1 (en) | 202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0424A (en) | Body building apparatus | |
US7476187B2 (en) | Strength assistant device and methods | |
US20130212857A1 (en) |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 |
US20140194260A1 (en) | Method of Using an Exercise Device Having an Adjustable Incline | |
US7931575B2 (en) |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 |
US20150297948A1 (en) |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 |
US9199121B2 (en) |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 |
US10272289B2 (en) |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 |
US9782619B2 (en) | Muscles and bones stretching health device | |
CN202909370U (en) | Abdominal muscle exercise device provided with adjustable back cushion | |
KR101057316B1 (en) | Rope pull fitness equipment | |
US20150031508A1 (en) | Multifaceted linear training device | |
US20130281272A1 (en) | Core exerciser | |
KR101876796B1 (en) | Flank core exercise equipment that can exercise balance | |
JP6705980B2 (en) | Pelvic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 |
US20160166871A1 (en) |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 |
KR20130134802A (en) | Abdomen sporting goods that combine leg exercise | |
JP2012192107A (en) | Muscular force training device | |
TWI632936B (en) | Squat fitness machine | |
CN102961853B (en) | Abdominal muscle exerciser | |
KR102696850B1 (en) | Complex sporting goods | |
JP2006043406A (en) | Fitness apparatus | |
KR102696851B1 (en) | Muscular strength pulling device for complex sporting goods | |
KR20190113310A (en) | Squat fitness equipment | |
KR200477862Y1 (en) | Adjustable Squart Exercis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