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737A -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737A
KR20230031737A KR1020210114292A KR20210114292A KR20230031737A KR 20230031737 A KR20230031737 A KR 20230031737A KR 1020210114292 A KR1020210114292 A KR 1020210114292A KR 20210114292 A KR20210114292 A KR 20210114292A KR 20230031737 A KR20230031737 A KR 2023003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ontent
user account
genre
use 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정
차연주
이춘해
하지훈
박기현
최윤연
임재훈
박제연
윤영훈
이보람
박영란
박채리
고여주
오정민
이정근
박소연
이민선
조미연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737A/ko
Publication of KR2023003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이용권을 지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지급 방법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IKETS FOR VIEWING CONTENT}
본 발명은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종래 정통적 콘텐츠 소비 매체와 다르게 PC나 모바일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 예로서, 웹툰(WEBTOON)이 존재한다.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꾸준하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또는 콘텐츠 관련 사업자)들은, 보다 많은 사용자가 자사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281호(웹툰의 다국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웹툰 사용자의 사용 언어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 언어에 따라 웹툰의 제책 방식과 언어를 변경하는 지원하여, 사용자가 언어의 제약 없이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 및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향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소비자들을 유치하는 것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니즈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경제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홍보하고 콘텐츠 이용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이용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 장르에 마다 이용가능한 이용권을 지급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이용권을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다른 장르에서 각각 이용가능한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권을 통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콘텐츠가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장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 도 13b, 도13c,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및 도 22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에 대한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발급되는 이용권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용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열람을 위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이러한 이용권 발급 기능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일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도 명명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툰(WEBTOON), 웹소설(WEBNOVEL), 음악, 전자책(E-BOOK),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서 발급되는 이용권을 통하여 열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카툰 또는 만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콘텐츠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은, 콘텐츠의 시리즈(series)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리즈는, 연속적인 기획물 또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간의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서브 콘텐츠”를 “에피소드(episode)”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이용(또는 열람)하기 위하여, 전자화폐,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 등의 지불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이용(또는 열람)하기 위하여, 전자화폐,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 등을 지불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은, 상품 타입 전환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타입 전환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발급하는 이용권은, 유료 상품의 타입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로 구성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콘텐츠가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지급되는 이용권은,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 (또는 “화면”이라고 명명 가능, 300)를 통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30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단말기(2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지급된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살펴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300)는 도시와 같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역(310)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역(32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에는,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이용권(또는 프리패스) 보유 개수 정보, 이용권 지급(또는 충전)까지 남은 시간 정보, 이용권 지급(또는 충전) 기준(예를 들어, 시간, 개수 등)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는, 이용권이 지급되거나 이용권이 차감되는 경우 업데이트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에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콘텐츠의 썸네일, 콘텐츠의 작가명 정보, 콘텐츠 조회수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320)에 포함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스트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item,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330)에는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또는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는, i)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 조건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열람 시 차감되는 전자화폐(쿠키)의 수량, 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가 매칭된 에피소드 항목은, 이용권을 이용하여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이고,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항목은 이용권으로 열람 할 수 없는 에피소드 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업로드 된 복수의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에 의한 열람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이용권을 통해 열람이 제한되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료 상품 중 최신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PASS FREE”가 매칭되어 있는 에피소드 항목(340)은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이고, “PASS FREE”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항목(350)은 이용권을 통해 열람할 수 없는 에피소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340)가 매칭되어 있는 에피소드 항목(예를 들어, 195: dollar Bill Heart, 360)에 대해, 지급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마다,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340)가 표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는, 콘텐츠의 썸네일 또는 뒤에서 설명될 도 13c와 함께 살펴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페이지(또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 136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에피소드 항목마다,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340)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특정 콘텐츠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특정 콘텐츠에 해당하는 특정 에피소드 항목을 열람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이용권으로 열람이 가능한 특정 콘텐츠 이더라도,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에피소드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일부는 이용권을 통해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료 상품 중 최신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발급 지급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이용권을 통하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지급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이용권을 콘텐츠를 사용자 계정에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장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권을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3a, 도 13b, 도13c,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및 도 22는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용권에 대한 이용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200)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전자기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에도 단말기와 동일한 부호 ‘200’이 부여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 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를 들어, 웹툰 이용권 제공 시스템)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ID(identifica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로그인(login) 함으로써, 이용권을 이용하여 웹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20)는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이용권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또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스토리 서버(100a, 또는 히스토리 DB(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서버(100a)는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히스토리 서버(100a)를 참조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할당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서 콘텐츠 열람에 사용되는 이용권을 발급(지급 도는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콘텐츠 장르별로 사용 가능한 이용권을 각각 지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10).
본 발명에서 이용권이 적용되는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장르로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각각에, 복수의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장르와 관련된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장르는, 콘텐츠의 주제, 내용(또는 줄거리), 분위기, 형식 등이 유사한 콘텐츠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장르는, 상위 개념인 메인 장르와, 메인 장르의 하위 개념인 서브 장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메인 장르를 제1 장르 및 제2 장르로 명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의 장르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콘텐츠의 장르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는 1차적으로 제1 장르(410) 및 제2 장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제1 장르(NOVEL 또는 소설, 410) 및 제2 장르(COMIX 또는 코믹, 420)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장르(NOVEL, 410)로 분류된 콘텐츠는,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르(COMIX, 420)로 분류된 콘텐츠는,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콘텐츠 각각에는 복수의 장르 중 어느 하나의 메인 장르 및 서브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에 매칭된 장르와 관련된 정보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또는 이용권 제공 시스템, 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콘텐츠에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1 장르의 콘텐츠’로 명명하고, 제2 장르와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2 장르의 콘텐츠’로 명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이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최초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개수만큼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이 제공되는 최초의 시점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시점은, i)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이용가능한 특정 서비스를 런칭한 시점, ii) 사용자 계정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생성)된 시점, iii)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최초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 등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최대로 보유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된 개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동일한 개수로 설정되어 있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한 기 설정된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을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 설정된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제1 사용자(510), 제2 사용자(520), 제3 사용자(530) 및 제4 사용자(540)) 각각의 사용자 계정에,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6’개(511, 521, 531, 541) 및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 ‘6’개(512, 522, 532, 542)를 각각 지급할 수 있다.
사용자(510, 520, 530, 540)은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이용권을 이용하여, 이용권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510, 520, 530, 540)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제1 타입의 이용권(511, 521, 531, 541)을 이용하여 제1 장르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고, 제2 타입의 이용권(512, 522, 532, 542)을 이용하여 제2 장르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용권 사용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차감하고, 차감된 이용권에 매칭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이용권 최초 지급 시점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이용권 최초 지급 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용권 발급 서비스 런칭(Launching) 시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사용자 계정 각각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일괄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서비스 런칭 이후 시점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이 완료된 시점에 기 설정된 개수 만큼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이용권 지급 시점마다 반복해서 서로 다른 장르에 매칭된 이용권을 각각 추가 지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20).
이러한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발생되는 복수의 시점을, 본 발명에서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 및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1 이용권 지급 시점 및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는 어느 두개의 시점을 표현하는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이 2시간 마다(0시, 2시, 4시, 6시, 8시… 20시, 22시)반복되는 경우, 18시(610)와 20시(620) 관계에서는, 18시(610)가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이고 20시(620)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일 수 있다. 또한, 20시(620)와 22시(630) 관계에서는, 20시(620)가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이고 22시(630)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일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 지급 시점을 특정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운팅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면, 카운된 시간을 초기화(또는 리셋(reset)) 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반복되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마다, 이벤트 할당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2시간 마다(0시, 2시, 4시, 6시, 8시… 20시, 22시) 발생되는 복수의 시점 마다 이용권 할당 이벤트(640)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2시간 마다 발생되는 이용권 할당 이벤트(640)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 각각에 대한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이용권 지급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이용권은, 사용자가 실제 에피소드 열람을 이용을 위하여 사용한 경우에 한하여, 이용권 지급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지급되는 이용권들은 각각의 일련번호를 가질 수 있으며, 이용권에 대한 정보에는 이용권들이 사용되어진 콘텐츠 및 에피소드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이용권 지급시점 마다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이용권은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 가능한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실제 이용권의 지급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또는 에피소드)의 열람 요청을 수신한 것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용권 지급 프로세스는, 사용자 계정 각각이 이용권 지급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이용권 지급 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만 이용권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30).
앞서 도 1과 함께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해당되는 리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된 리스트 정보 중에서, 열람하고 싶은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일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일 영역에 대응되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페이지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는, 앞서 도 1의 (b)에서 살펴본 에피소드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나아가,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는 페이지는,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일 수 있다.
앞서 도1 과 함께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권 사용과 관련된 페이지 (300)는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역(310)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역(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320)에 포함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에 근거하여,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330)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 중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은,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리스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195: dollar Bill Heart”에 대응되는 영역(360)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195: dollar Bill Heart”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40).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특정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에피소드 각각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열람 요청이 이루어진 특정 에피소드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는, i)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PASS FREE”, 340),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 조건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열람 시 차감되는 전자화폐(쿠키)의 수량, 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가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에피소드 중 어느 하나 인 경우, 특정 에피소드는 이용권에 의해 열람이 제한되는 에피소드르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최신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이용권을 통해 열람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에,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 경우,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된 에피소드(또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어느 장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를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특정되면, 제어부(130)는 특정된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존재(보유)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계정은, 특정 콘텐츠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계정일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에 특정된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보유)하면, 제어부(130)는 특정된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상기 제1 장르에 해당하고, 사용자 계정에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면,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510)에서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에서 이용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열람 요청 횟수만큼 차감하고,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매칭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 정보를 ‘6’(511)에서 ‘5’ 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한 번 더 있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에서 이용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열람 요청 횟수만큼 차감하고,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매칭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 정보를 ‘5’에서 ‘4’(711)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으로부터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2 장르의 콘텐츠에서 이용가능한 제2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열람 요청 횟수만큼 차감하고,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매칭된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 정보를 ‘6’(512)에서 ‘5’(712)로 변경할 수 있다(도 7 참고).
한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열람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장르와 다른 장르의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존재하더라도,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다른 장르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장르의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 확인 결과,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미존재하고,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느 이용권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특정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발급되는 이용권은, 이용권 타입에 대응되는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다른 장르에 대해서는 교차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사용자 계정(53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0’(1210)개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1220)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3 사용자 계정(530)으로부터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더라도,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을 위하여 사용자 계정에서 지불 가능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불 가능한 수단은, 콘텐츠 이용에 이용되는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일 수 있다. 디지털 화폐는, 디지털 방식으로 사용(컴퓨터에 보관하여 사용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화폐로서, “사이버 머니”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형태로 저장된 화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화폐는, 콩, 빈, 도토리, 콘 등의 임의의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제공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이 차감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50).
이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와 함께,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차감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믹 장르의 이용권이 차감되었습니다”와 같은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발급된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계정에 각 장르의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장르별 이용권을 반복해서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발급 서비스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하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흥미가 유료 결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이용권 지급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권을 지급하기 위한, 이용권 지급 기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시간 마다 반복되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에, 사용권 계정에 대해 이용권을 발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에 해당되는 타입의 이용권을 특정 개수 만큼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또한, 판단 결과,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이면, 기 설정된 개수에 해당되는 타입의 이용권을 사용자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서 최대 보유할 수 있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는 각각 기 설정된 개수 만큼일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case 1)하는 거나, ii)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하지 않거나(case 2), iii) 제1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하거나 (case 3), iv)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case 4)할 수 있다.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case 1)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각각 특정 개수 만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711)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5’개(71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1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811)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812)을 각각 한 개씩 지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모두 지급하지 않는 경우(case 2)를 살펴보면, 제어부(130)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기 설정된 개수 이면,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추가로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2 사용자 계정(52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가 모두 ‘6’ (721, 72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2 사용자 계정(520)에 대해 추가 이용권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개수의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계정은, 이용권 지급 시점이 경과하더라도, 이용권의 개수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하는 경우(case 3)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만 특정 개수만큼 지급하고, 제2 타입의 이용권은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3 사용자 계정(530)이 보유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731)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6’개 (73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3 사용자 계정(530)에 대해 제2 타입의 이용권(813)만 추가 지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지급(case 4)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금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은 지급하지 않고, 제2 타입의 이용권만 특정 개수만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4 사용자 계정(540)이 보유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6’개(741)이고,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는 ‘4’개(742)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4 사용자 계정(540)에 대해 제2 타입의 이용권(814)만 추가 지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시간 마다 반복되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반복해서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발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Coun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운팅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용권 지급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Counting)을 수행하는 것은, 카운팅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이 될 때 까지 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이 특정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이 때,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한다는 것은, 카운팅 한 시간을 ’0(예를 들어, 00분 00초)’로 초기화 하여, 새로운 카운팅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카운팅 정보에 대해, 제어부(130)는 카운팅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간 카운팅이 중단되거나 카운팅 정보가 초기화 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이용권 지급 시점이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해 카운팅 하는 카운팅 정보에만 근거하여 특정되도록 제어하고, 그 외 발생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이용권 차감(또는 사용), 이용권 지급 또는 이용권 미지급 등)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되더라도,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미지급 하는 경우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각각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경과에 시간 카운팅을 유지한다는 것은, 이용권 지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고, 카운팅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되면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을 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 되더라도,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하고,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재 시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을 미지급하는 것과 관계없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제2 이용권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의 보유 개수에 대한 확인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확인 결과에 따른 이용권 지급 프로세스는 앞에서 설명한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제1 사용자(510) 에는 제1 타입의 이용권(811) 및 제2 타입의 이용권(812)이 지급되었고, 제2 사용자 계정에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 되었다 하더라도, 제어부(130)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에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이 차감(또는 사용)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을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경과에 시간 카운팅을 유지한다는 것은, 이용권 지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고, 카운팅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에 대응되면 카운팅 정보를 초기화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을 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차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시간 경과에 대한 카운팅이 중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9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0시, 620)과 제1 이용권 지급 시점(22시, 630) 사이의 일 시점(20시 45분, 621)에, 제2 사용자 계정(52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1’개의 차감 이벤트(910)가 발생되거나, 제3 사용자 계정(530)에 보유된 제2 타입의 이용권 ‘3’개의 차감 이벤트(920)가 발생되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 경과(2시간)에 대한 카운팅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개수 만큼의 이용권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개수는 이용권 지급 시점 마다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 또는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개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 마다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도 있으며,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한 특정 개수는 서로 동일한 것을 예로 들어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계정에 발급할 수 있는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는 특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서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에 대해 설정된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가 동일한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시점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더라도, 사용자 계정에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0시부터 24시)동안) 지급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가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이면,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 및 제2 타입의 지급 횟수에 대한 카운팅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권 지급 횟수를 카운팅 하는 것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이용권을 지급할 때 마다 지급 횟수를 세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하면,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0’에서 ‘1’로 변경하고, 사용자 계정에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하면,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0’으로 초기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이용권 지급 횟수가 이용권 최대 발급 개수이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더라도,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이용권 지급 시점(22시, 630)에, 제1 사용자 계정(510)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이 ‘5개’더라 하더라도, 제1 사용자 계정(510)에 제1 타입의 이용권이 이용권 최대 발급 가능 개수만큼 발급된 경우에는, 제1 타입의 이용권을 미발급(1110)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용권 발급 시스템(100)은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는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를 제한하고,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교차 지급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까지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이용권 지급 횟수는, 이용권 사용 횟수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1일(하루) 동안 최대로 사용 가능한 이용권 횟수를 각 장르별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하루 동안 각 장르별로 12개씩의 이용권이 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즉 지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1 장르에 대해서 12개의 에피소드를, 제2 장르에 대해서 12개의 에피소드를 각각 이용권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용권”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콘텐츠에 대해,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 또는 이용권 발급(또는 사용) 서비스와 관련된 기본 페이지(또는 “기본 화면”이라고 명명 가능, 1310)을,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페이지(131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기본 페이지(1310)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또는 이용권 발급(또는 사용)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와 연계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본 페이지(1310)는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무료 BOX, 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무료 BOX 아이콘, 1311)는, 이용권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와 연계된 메뉴일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 페이지(1310)에서 이용권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무료 BOX 페이지, 13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는,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i)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정보가 포함되는 제1 영역(1330), ii)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이 포함되는 제2 영역(1340) 및 iii) 제2 영역 상에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의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3 영역(1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영역(1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영역(1330)의 구성은 일 예시일 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영역(1330)에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1331) 및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1332)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와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보유한 이용권을 개(또는 수량)와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로 보유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6개) 중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4개)와, 최대로 보유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6개) 중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개수(6개)를 그래픽 객체(1331, 1332)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종류 및 개수가 변경되면, 이에 근거하여 제1 영역에 출력되는 제1 그래픽 객체(1331) 및 제2 그래픽 객체(1332)의 시각적 외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지급한 경우, 제1 그래픽 객체(1331) 및 제2 그래픽 객체(1332)를 특정 개수가 더해진 개수만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영역(1310)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이용권 지급 시점을 카운팅 하기 위한 시간 카운팅(counting)에 대한 정보(1333)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카운팅에 대한 정보(1333)는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 카운팅 된 시간 정보이거나,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시점부터 제2 이용권 지급 시점 까지 남은 시간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간이 카운팅 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영역(1330)에 출력되는 시간 카운팅에 대한 정보(1333)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따라,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의 제2 영역(1340) 및 제3 영역(1350)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장르 및 제2 장르 중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장르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의 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사용자 계정에 매칭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제1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열람한 횟수가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열람한 횟수보다 많은 경우, 제1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마지막으로 제2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열람한 경우, 제2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340)에는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따라, 복수의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1340)에 표시되는 서브 페이지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Thumbnail, 1341, 1342)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 및 상기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페이지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 및 제2 그래픽 객체(1352)와 각각 연계될 수 있다. 제1 그래픽 객체(1351)는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에 연계된 제1 탭이고, 제2 그래픽 객체(1352)는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서브 페이지에 연계된 제2 탭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페이지를 제2 영역(1340)에 출력하고, 제1 그래픽 객체(1351)를 제2 그래픽 객체(1352)보다 선 순위에 배치하는 것을 기본 값(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사용자에게 먼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호 장르 외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정보(썸네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서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 영역에는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사라지도록 제어하고,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의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제2 영역(1340)에 제2 서브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3 영역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들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제2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4 및 도15와 함께 사용자 맞춤형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는 제1 장르(NOVEL)이고, 제어부(130)는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으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영역(1340)에는 제1 장르(NOVEL)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411, 1412, 1413, 1414)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를 먼저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페이지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과 연계된 서브 페이지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으로부터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1)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3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그래픽 객체(1351)와 연계된 제2 서브 페이지가 제2 영역(13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페이지는, 제1 사용자 계정(‘효스타’ 님)의 선호 장르와는 다른 제2 장르(COMIX)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421, 1422, 1423, 142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선호 장르인 제1 장르(NOVEL)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411, 1412, 1413, 1414)을 제2 영역(1340)에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는 제2 장르(COMIX)이고, 제어부(130)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으로부터 이용권의 사용에 특화된 메뉴(1311, 무료 BOX 아이콘)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영역(1340)에 제2장르(COMIX)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511, 1512, 1513, 1514)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페이지를 먼저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페이지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과 연계된 서브 페이지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으로부터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1)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3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그래픽 객체(1351)와 연계된 제2 서브 페이지가 제2 영역(13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페이지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의 선호 장르와는 다른 제1 장르(NOVEL)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521, 1522, 1523, 152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영역(1350)의 제1 그래픽 객체(1351)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선호 장르인 제2 장르(COMIX)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썸네일들(1511, 1512, 1513, 1514)을 제2 영역(1340)에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페이지의 일 영역(153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COMIX)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의 썸네일(1511, 1512)가 표시되고, 제1 서브 페이지의 다른 일 영역(154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COMIX)에 대응되는 인기 콘텐츠의 썸네일(1513, 1514)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페이지의 일 영역(155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NOVEL)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의 썸네일(1521, 1522)가 표시되고, 제2 서브 페이지의 다른 일 영역(1560)에는 제2 사용자 계정(별 님)에 매칭된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NOVEL)에 대응되는 인기 콘텐츠의 썸네일(1523, 1524)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340)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은,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장르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서브 장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인 장르인 제1 장르 및 제2 장르 각각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장르(NOVEL, 410)의 서브 장르는,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제2 장르(COMIX, 420)의 서브 장르는,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등과 같은 복수의 서브 장르(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들의 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예를 들어, NOVEL)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예를 들어, ‘로맨틱 판타지 장르’, ‘무협 장르’, ‘시대극 장르’, ‘로맨스 장르’, 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장르(예를 들어, ‘로맨틱 판타지 장르’, ‘로맨스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NOVEL)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430) 중 ‘로맨틱 판타지 장르’ 및 ‘로맨스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열람 횟수가, 다른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열람 횟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로맨틱 판타지 장르’ 및 ‘로맨스 장르’를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로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된 서브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노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COMIX)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예를 들어, ‘순정 장르’, ‘소년 장르’, ‘드라마 장르’, ‘무협 장르’, 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장르(예를 들어, ‘순정 장르’, ‘소년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와 다른 장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제3 영역(1350)의 제2 그래픽 객체(1352)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된 서브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제2 영역(13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가 ‘NOVEL’인 경우(1610), 제1 서브 페이지(‘NOVEL 탭’, 1611)에는 NOVEL 장르에 포함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되고, 제2서브 페이지(‘COMIX 탭’, 1612)에는, 사용자의 성별(1613)에 근거하여 특정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가 ‘COMIX’인 경우(1620), 제1 서브 페이지(‘COMIX 탭’, 1621)에는 COMIX 장르에 포함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되고, 제2서브 페이지(‘NOVEL 탭’, 1622)에는, 사용자의 성별(1624)에 근거하여 특정된 서브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저장된 서브 장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가 없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페르소나(persona)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의 선호 장르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에 쉽고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따라 맞춤형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제1 서브 페이지 및 제2 서브 페이지는 각각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는 앞서 살펴본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정보(나이, 성별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이라고 예측(예상)되는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에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 들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저장된 서브 장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콘텐츠가 없는 경우, 1630),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에 썸네일을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살펴본, 제1 영역에 대해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영역에는 인기 있는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영역에 표시된 썸네일들(1341, 1342)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1341, ‘황혼재후’의 썸네일)이 선택되면,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는,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i) 특정 콘텐츠(1361, ‘황혼재후’)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1362), ii)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의 종류 및 개수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1363), iii) 특정 콘텐츠(1361, ‘황혼재후’)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64a, 1364b)이 출력되는 영역 및 vi) 복수의 에피소드 중 특정 에피소드(예를 들어, 첫화 또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에피소드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에 바로 접근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1365)이 표시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1364a, 136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항목(1364a, 1364b)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한 에피소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택된 에피소드가 이용권에 의해 열람 가능하면, 사용자 계정에 선택된 에피소드에 매칭된 장르에 대응되는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면, 특정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된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에피소드 중 특정 에피소드(예를 들어, 첫화 또는 사용자 계정에서 열람되었던 에피소드의 다음 회차 에피소드)에 바로 접근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1365)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가장 최신에 연재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이 에피소드 리스트의 가장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 가장 처음에 연재된 에피소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에피소드 리스트를 스크롤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편의 성을 제공하고자, 가장 처음에 연재된 에피소드로 바로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1365)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의 일 영역에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특정 에피소드로의 접근을 위한 기능 아이콘(1365)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에피소드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처음에 연재된 에피소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 아이콘(1365)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기능 아이콘(1365)에 매칭된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1365)에 매칭된 특정 에피소드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가장 첫번째 연재된 에피소드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기능 아이콘(1365)에는,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특정 에피소드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특정 에피소드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열람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한 특정 에피소드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중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열람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의 다음회(또는 다음화)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맞춤형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2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 하는 장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용권은, 속성(이용 대상(열람 가능한 콘텐츠), 이용권 지급 방법(또는 지급 조건), 이용권의 유효기간 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이용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속성이 서로 다른 이용권을 제1 속성의 이용권, 제2 속성의 이용권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제1 속성의 이용권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되는 제2 타입의 이용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속성의 이용권은 반복되는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각각의 타입의 이용권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에,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의 이용권은, 제1 속성의 이용권은, 제1 속성의 이용권 타입(예를 들어, 제1 이용권 타입)에 대응되는 장르(예를 들어, 제1 장르 NOVEL)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매칭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된 복수의 콘텐츠(또는 에피소드)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된 하나의 콘텐츠에만 사용가능한 이용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속성의 이용권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을 통해서 사용자 계정에 지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와 함께, 제2 속성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1710, 1720)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출력된 제2 속성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1710, 1720)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특정 콘텐츠의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속성의 이용권을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속성의 이용권은, 제1 속성의 이용권과 지급 방법(또는 지급 조건) 역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 시간에(예를 들어, 매일 22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특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22시)에 ,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에 제2 속성의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1710)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이 모두 지급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차감되는 제1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 에피소드의 콘텐츠에 매칭된 장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타입이고, 제2 속성의 이용권은 특정 에피소드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임은 당연하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유효기간이 빠른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급 시점이 빠른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하거나, 사용자 계정에 의해 선택된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선택 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기에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제1 속성의 이용권 및 제2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제2 속성의 이용권은, 제3 타입의 이용권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는, 앞서 살펴본,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조건과 다른 지급 조건을 갖는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급되는 이용권일 수 있고,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특정 시간에만(예를 들어, 매일 밤 10시) 지급되는 이용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특정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콘텐츠의 장르에 관계없이 모두 이용가능한 이용권일 수 있다.
한편,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이용권 지급 조건은 시간(또는 시점)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시점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하루 중 기 설정된 특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밤 10시)에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24시간 간격)마다 사용자 계정에 지급될 수 있다.
즉,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기 설정된 이용권 지급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과 관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과,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타입의 이용권은 24시간 마다 지급되고,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의 이용권은, 2시간 마다 지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현재 시간인,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이용권 지급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제3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지급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콘텐츠가,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내지 제3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차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차감시, 특정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르에서 사용가능한 타입의 이용권을 차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상기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서 이용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정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에 이용가능한 복수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우선순위(예들 들어, 발급 시점, 소멸 기한 등)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속성의 이용권을 지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로 다른 속성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선택된 특정 콘텐츠의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 썸네일들 중 특정 썸네일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썸네일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서 사용 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episod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계정에,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에서 이용 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의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콘텐츠의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진입 페이지(136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권 서비스 페이지(1360)에서, 특정 콘텐츠의 썸네일(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썸네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또는 선택)이 가해지는 것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특정 콘텐츠의 썸네일(예를 들어, ‘재혼황후’의 썸네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모니터링 되면, 제어부(130)는 특정 콘텐츠(1361, ‘재혼황후’)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64)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도 13b 및 도 13c 참고).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특정 콘텐츠(재혼황후’)의 에피소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64) 중 어느 하나의 항목(예를 들면, ‘재혼황후 134회’, 22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또는 입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예를 들면, ‘재혼황후 134회’, 22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또는 입력)이 모니터링 되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진입 페이지(2200) 상에 특정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열람 수단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2230)를 콘텐츠 진입 페이지(2200) 상에 노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열람 수단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2230),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 중 특정 에피소드 열람에 이용 가능한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2231, 2232, 2233, 2234) 및 특정 에피소드 열람 시 차감되는 디지털 화폐(예를 들어 쿠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을 위한 열람 수단”은,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지불되어야 하는 전자화폐(예를 들어, 쿠키), 쿠폰 또는 이용권(또는 열람권)등으로, 에피소드 각각에 매칭된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서로 다른 속성(또는 타입)의 이용권이 복수개 보유되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이용권 소진 순서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된 이용권 소진 순서는, 이용권의 속성(또는 타입), 이용권의 유효기간, 지급 시점(또는 결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설정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이 유효기간이 있는 이용권과 유효기간이 없는 이용권을 각각 보유하는 경우, 유효기간이 있는 이용권이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유효기간이 있는 이용권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 유효기간이 없는 이용권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수단(예를 들어, ‘대여권 1장’, 도 18 참고)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열람 수단을 통해 사용자 계정에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여권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대여권을 차감하고,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디지털 화폐를 차감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 계정에 선택된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썸네일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서 사용 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epis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이용권의 속성(또는 타입)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서로 다른 복수의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소진(사용)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가능한 복수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 이용권들 간에 설정된 이용권 소진 순서에 근거하여, 이용권을 순차적으로 소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라 요청이 수신된 에피소드가, 제1 장르의 콘텐츠이고,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과 앞서 살펴본, 콘텐츠의 장르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나아가, 이용권 간의 이용권 소진 우선 순서는, 콘텐츠의 장르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콘텐츠 장르에 따라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또는 제2 타입의 이용권)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 계정에 제3 타입의 이용권과 제1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서 제3 타입의 이용권을 우선적으로 소진(차감)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과,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 간에는, 이용권 차감 순서가 기 특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들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차감할 수 있다.
이때, 이용권 차감 순서는,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또는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보다 먼저 차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 차감 순서 및 이용권들에 대한 이용에 대한 규칙에 대한 정보 등은, 저장부에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특정 썸네일에 대응되는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서 사용 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특정 콘텐츠의 열람을 위한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의 지불 프로세스를 개시(開始)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결제 프로세스의 개시”란, 전자 결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행위 또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결제 프로세스의 개시는, “전자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전자 결제 프로세를 위한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결제 프로세스가 개시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결제 수단으로 디지털 화폐의 구매를 위한 전자 결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전자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는, 디지털 화폐의 구매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결제 프로세스가 개시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기 등록된 결제 조건에 포함된 디지털 화폐의 구매 수량만큼, 디지털 화폐가 구매되도록 전자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 결제의 프로세스의 진행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사용자 계정에 기 등록된 결제 수단으로, 디지털 화폐의 구매 수량에 대한 금액이 지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등록된 결제 수단이,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인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금융 기관(은행 또는 신용카드)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금융 기관에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계좌 또는 신용카드로부터 디지털 화폐의 특정 구매 수량에 대응되는 결제 대상 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절차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자 결제 프로세스를 위해 처음 수행되는 절차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자 결제 프로세스를 통하여 결제되는 금액은, 수량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일 수 있다. 여기에서, 수량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기 등록된 결제 조건에 포함된 정보로서, 디지털 화폐의 구매 수량에 대응되는 금액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결제 대상 금액이란, 사용자 계정에 기 등록된 결제 조건에 포함된 디지털 화폐의 구매 수량에 대응되는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 대상 금액은, 사용자가 충전하고자 하는 디지털 화폐의 수량에 대응되는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사용자 계정에 특정 구매 수량만큼의 디지털 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구매된 디지털 화폐에 대응되는 수량을, 사용자 계정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조건에 100개의 디지털 화폐가 구매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100개의 디지털 화폐에 해당하는 결제 대상 금액에 대한 전자 결제 프로세스를 개시 및 완료하고, 사용자 계정에, 100개의 디지털 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하도록 유도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이 사용자 계정에 할당되거나, 사용자 사용하지 않는 이용권이 존재하는 때에 해당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용권을 통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먼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기본 페이지(1310)과 함께,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프리패스 오픈, 매일 두시간 마다 무료이용권 2장”, 1810)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이용권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1810)를 기본 페이지(131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지급된 이용권의 사용 이력이 없거나, 이용권에 의해 마지막으로 콘텐츠가 열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1810)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이 발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1810)가 기본 페이지(1310)가 스크롤 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기 상의 고정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이용권 지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1810)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기본 페이지(1310)를 스크롤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하여 등록된 관심 콘텐츠가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한 때에, 사용자 계정에 관심 콘텐츠의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관심작품인 바람의 나라를 프리패스 이용권으로 3회 더 볼 있어요!, 1910)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관심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관심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다”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되어 특정 콘텐츠가 관심 콘텐츠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관심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관심 콘텐츠(또는 관심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 중 특정 에피소드)가 업로드 된 때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근거하여 이용권으로 열람 가능해진 경우를,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관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근거하여 이용권 지급 이벤트가 발생되어 사용자 계정에, 관심 콘텐츠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경우를,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관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통해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관심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통해 관심 콘텐츠가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1910)을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 보유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권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즉, 최대 보유 가능 개수)인 경우,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보유된 이용권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 이용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프리패스 이용권이 모두 충전되었습니다! 지금 바로 이용해 보세요”, 2010)을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어느 하나의 타입의 이용권이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만큼 충전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의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타입의 이용권이 기 설정된 개수만큼 보유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로 콘텐츠 이용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20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이용을 유도하는 유도 메시지(2010)는, 유도 메시지와 관련된 장르의 콘텐츠를 모아 놓은 페이지와 연계된 이동 아이콘(2120)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알림 메시지(2010)에 포함된 이동 아이콘(212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진 경우, 특정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모아 놓은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도 열람하도록 추천하는 알림 메시지(2110)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 사용자 계정에,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보유된 상태에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이 모두 차감된 경우, 모두 차감된 이용권과 다른 이용권이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프리패스 노블 장르 이용권을 모두 사용하셨어요! 프리 패스 코믹 장르 이용권은 3회 남았습니다!”, 2120)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마지막으로 차감된 이용권을 통해 제공된 콘텐츠와 관련된 페이지에서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212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두 차감된 이용권과 다른 이용권이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2120)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이용권에 대응되는 장르의 콘텐츠의 열람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정보(2120)는, 추천되는 장르의 콘텐츠를 모아 놓은 페이지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천 정보(212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진 경우, 추천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모아 놓은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 장르에 마다 이용가능한 이용권을 지급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이용권을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다른 장르에서 각각 이용가능한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권을 통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4)

  1.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이용권을 지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상기 기 설정된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 마다,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의 보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를 지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상기 기 설정된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유 개수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최대로 보유 가능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이고,
    상기 보유 개수 확인 결과,
    상기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 중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이고,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는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만 특정 개수만큼 지급되고,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지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권 지급 시점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차감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 중 제2 이용권 지급 시점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상기 특정 개수만큼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최대로 보유 가능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개수이고,
    상기 보유 개수 확인 결과,
    상기 복수의 이용권 지급 시점 중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의 보유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는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미지급되더라도,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대한 시간 카운팅은 유지되며,
    상기 제1 이용권 지급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제2 이용권 시점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각각의 보유 개수에 대한 확인이 다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열람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상기 항목 중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수신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상기 제1 장르 및 상기 제2 장르 중 어느 장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가 상기 제1 장르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이 미존재하고, 상기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이용권의 차감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이용권의 차감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특정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특정 타입의 이용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에 대응되는 이용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장르의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지불 가능한 수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계하여 관심 콘텐츠로서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관심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통해 상기 관심 콘텐츠가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이용권에 대응되는 장르는, 상기 관심 콘텐츠의 장르와 동일한 장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보유된 상태에서,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이 모두 차감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용권과 다른 하나의 이용권이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다른 하나의 이용권에 대응되는 장르의 콘텐츠의 열람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각각은,
    디지털 화폐의 지불을 통해 열람이 가능한 유료 상품 타입 및 상기 디지털 화폐의 지불됨 없이 열람이 가능한 무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을 갖고,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의 열람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은,
    상기 유료 상품 타입에 해당하는 에피소드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의 열람에 대해서는 이용이 제한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에피소드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서버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중 상기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는,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조건과 다른 지급 조건을 갖는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고,
    상기 특정 콘텐츠가,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상기 특정 콘텐츠의 장르에서 이용가능한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정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을 통해 열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상기 특정 콘텐츠의 장르가 상기 제1 장르 또는 상기 제2 장르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열람을 위하여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고,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과,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지급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은, 기 특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권 제공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과,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 간에는, 이용권 차감 순서가 기 특정되어 존재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이용권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용권 차감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이용권들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권 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권 차감 순서는,
    상기 제3 타입의 이용권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또는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보다 먼저 차감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이용권 제공 방법.
  23.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4.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제1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1 장르와 다른 제2 장르의 콘텐츠 열람에 이용 가능한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각각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이 지급된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해,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각각 지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열람과 관련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제1 타입의 이용권 및 상기 제2 타입의 이용권 중, 어느 하나의 이용권을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10114292A 2021-08-27 2021-08-27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1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92A KR20230031737A (ko) 2021-08-27 2021-08-27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92A KR20230031737A (ko) 2021-08-27 2021-08-27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37A true KR20230031737A (ko) 2023-03-07

Family

ID=8551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292A KR20230031737A (ko) 2021-08-27 2021-08-27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7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386B1 (en) Sampling a part of a content item
US20130073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deo content in an online environment
JP7053749B2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5197700B2 (ja) 電子書籍閲覧端末、電子書籍配信システム、電子書籍配信サーバ及び方法
JP2023145421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49855A (ja) サーバシステム
KR20230057935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90236638A1 (en) User engagement based on a revolving opportunity feed delivering rewards of a business profile based on completion criteria
KR20230031737A (ko) 콘텐츠 열람을 위한 이용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1738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40523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200363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ing Branch Today Gone Tomorrow: The Case for the Death of Branch Banking
KR20230031739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84989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를 위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495307B1 (ko)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디지털 화폐 지급 방법 및 지급 시스템
KR102647566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92353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2460826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9603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63430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925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JP2020129381A (ja) 決済システム、並びにその特典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0905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96741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