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731A - 차량 프론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프론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731A
KR20230031731A KR1020210114284A KR20210114284A KR20230031731A KR 20230031731 A KR20230031731 A KR 20230031731A KR 1020210114284 A KR1020210114284 A KR 1020210114284A KR 20210114284 A KR20210114284 A KR 20210114284A KR 20230031731 A KR20230031731 A KR 2023003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hicle
extension
front s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전웅
민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731A/ko
Priority to US17/726,851 priority patent/US20230065302A1/en
Priority to DE102022110542.3A priority patent/DE102022110542A1/de
Priority to CN202210501298.9A priority patent/CN115892225A/zh
Publication of KR2023003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 프론트구조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위에 개별적으로 위치한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범퍼 백빔; 및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에 연결된 프론트엔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프론트 구조{VEHICLE FRO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으로 전달된 하중을 3방향으로 분산 및 분배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프론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프레임은 섀시(chassis) 구성부품이나 몸체를 설치할 수 있는 골격을 지칭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추진력, 브레이크 작용, 조향시의 원심력, 노면으로부터의 충격력, 차체의 중량 등에 의한 수직하중, 각종 반력 등에 의한 변형이나 비틀림, 인장, 압축 및 진동에 의한 국부적 또는 전체적인 파손으로부터 충분히 지탱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자동차가 충돌하게 되는 경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자동차 시장의 다변화로 인해, 차체는 기존 프레스 모노코크방식에서 PBV(Purpose Built Vehicle), 스페이스 프레임 등으로 그 목적에 부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특히, 저가형 EV차량은 그 수익성 극대화를 위하여 기존 방식에서 탈피한 차체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차량은 차체에 대해 스틸 프레스소재(pressed steel materials),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에 그 재료비 및 투자비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강관 등과 같이 비교적 저렴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스틸 프레스소재 및 알루미늄 소재에 비해 그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된 차량 프론트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위에 개별적으로 위치한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범퍼 백빔; 및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에 연결된 프론트엔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 범퍼 백빔, 프론트엔드모듈, 및 복수의 연결멤버가 서로 간에 일체로 통합됨으로써 차량 프론트구조는 컴팩트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각 펜더어퍼멤버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 및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를 연결하도로 구성될 수 있고, 각 펜더어퍼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엔드모듈이 펜더어퍼멤버를 통해 프론트필러에 연결됨으로써 상측 로드패스가 펜더어퍼멤버를 통해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정될 수 있고, 프론트엔드모듈 및/또는 범퍼 백빔으로 전달된 충돌하중의 적어도 일부가 펜더어퍼멤버를 통해 프론트필러로 전달될 수 있다. 기존의 차량은 프론트엔드모듈 및/또는 범퍼 백빔으로 전달된 충돌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또는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통해 프론트필러로 전달되므로, 충돌하중이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치된 배터리조립체로 전달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로 인해 배터리조립체의 충돌성능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펜더어퍼멤버가 프론트엔드모듈 및 프론트필러를 연결함으로써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위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측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고, 충돌하중의 일부가 펜더어퍼멤버들을 통해 프론트필러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충돌하중이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장착된 배터리조립체로 전달됨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조립체의 충돌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한정된 로드패스들을 증대시킴으로써 충돌하중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각 펜더어퍼멤버는 프론트엔드모듈에 연결된 제1연장부와, 프론트필러에 연결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장착된 쇽업서버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쇽업서버 브라켓이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쇽업서버 브라켓으로 전달된 하중이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는 그 후방부에 제공된 제1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부는 그 전방부에 제공된 제2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착부 및 제2부착부는 상기 쇽업서버 브라켓를 둘러싸도록 상기 쇽업서버 브라켓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장부 제1부착부 및 제2연장부의 제2부착부가 쇽업서버 브라켓을 환형으로 둘러싸도록 쇽업서버 브라켓의 외면에 부착됨으로써 쇽업서버 브라켓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는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제1연장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쇽업서버 브라켓은 제1패널과, 제1패널의 위에 장착된 제2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는 그 내부에 캐비티를 한정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쇽업서버 브라켓이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의해 폐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쇽업서버 브라켓의 입력점 강성(stiffness at mounting point)을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는, 각 펜더어퍼멤버 및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멤버가 각 펜더어퍼멤버 및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함으로써 차량 휠로부터 쇽업서버 및 쇽업서버 브라켓로 전달된 하중이 연결멤버를 통해 펜더어퍼멤버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멤버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근접한 제1연결멤버와, 상기 제1연결멤버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격된 제2연결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연결멤버가 펜더어퍼멤버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를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휠로부터 전달된 수직하중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멤버 및 상기 제2연결멤버는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1연결멤버의 단면적은 상기 제2연결멤버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는 그 전방단에 제공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그 사이에 끼움개구를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범퍼 백빔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끼움개구에 끼워지고 한 쌍의 연장부는 상기 범퍼 백빔의 각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범퍼 백빔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끼움개구에 끼워지고 한 쌍의 연장부가 범퍼 백빔의 각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범퍼 백빔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전방단 사이의 결합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각 연장부는 범퍼 백빔을 향해 함몰된 함몰홈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연장부는 함몰홈을 통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으므로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연장부들과 범퍼 백빔 사이의 결합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체결구가 상기 함몰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각 연장부 및 상기 범퍼 백빔는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연장부는 함몰홈 및 체결구를 통해 범퍼 백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연장부들과 범퍼 백빔 사이의 결합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는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은 상부멤버와, 상기 상부멤버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멤버와, 상기 상부멤버의 양단 및 그에 상응한 상기 하부멤버의 양단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멤버, 상기 하부멤버, 상기 한 쌍의 사이드멤버 각각은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멤버, 및 상기 각 사이드멤버는 서로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멤버는 상기 상부멤버의 단면적 및 상기 각 사이드멤버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퍼 백빔은 고장력강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범퍼 백빔이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그 충돌하중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으므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고장력강판으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상기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는 한 쌍의 스트럿바를 통해 어퍼 크로스멤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가 한 쌍의 스트럿바를 통해 어퍼 크로스멤버에 연결됨으로서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에 대한 폭방향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프론트구조가 스페이스프레임를 형성함으로써 그 모듈화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차량의 프론트구조를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프론트엔드모듈, 펜더어퍼멤버, 프론트 사이드멤버, 범퍼 백빔 등)들에 기존의 양상된 강관을 적용함으로써 재료비 및 투자비가 대폭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가 차체 프레임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프론트구조에서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범퍼 백빔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프론트구조의 좌측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차량 프론트구조의 좌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가 차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가 적용가능한 차량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프레임은 로어프레임(1)과, 로어프레임(1)의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프론트필러(2)와, 한 쌍의 프론트필러(2)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루프레일(3)과, 한 쌍의 루프레일(3)로부터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를 향해 개별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윈드쉴드멤버(4)와, 한 쌍의 프론트필러(2)를 연결하는 어퍼 크로스멤버(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프레임(1)은 복수의 길이방향멤버와, 복수의 폭방향멤버와, 한 쌍의 사이드실(1b)과, 한 쌍의 사이드실(1b)을 연결하는 프론트 크로스멤버(1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실(1b)을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각 사이드실(1b)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론트필러(2)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으며, 각 프론트필러(2)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프론트필러(2)는 로어프레임(1)의 사이드실(1b)로부터 그에 상응한 윈드쉴드멤버(4)로 연장될 수 있다. 각 프론트필러(2)의 하단이 로어프레임(1)의 사이드실(1b)에 결합될 수 있고, 각 프론트필러(2)의 상단은 윈드쉴드멤버(4)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크로스멤버(5)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어퍼 크로스멤버(5)의 각 단부는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는, 로어프레임(1), 한 쌍의 프론트필러(2), 한 쌍의 윈드쉴드멤버(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위에 개별적으로 위치한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범퍼 백빔(13)과,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 및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에 연결된 프론트엔드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그 내부에 캐비티가 한정된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가진 양산형 강관(mass-produced steel pipe)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차체의 로어프레임(1)의 프론트 크로스멤버(1a)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로어프레임(1)의 프론트 크로스멤버(1a)에 결합될 수 있고,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범퍼 백빔(13)의 그에 상응한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그 전방단에 제공된 끼움개구(11a)를 가질 수 있고, 끼움개구(11a)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에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범퍼 백빔(13)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끼움개구(11a)에 끼워질 수 있다. 끼움개구(11a)는 범퍼 백빔(13)의 적어도 일부 외형에 부합하는(complementary) "U"자형 단면 또는 "L"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그 전방단에 제공된 한 쌍의 연장부(11b,11c)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연장부(11b, 11c)는 끼움개구(11a)를 한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1b, 11c)는 끼움개구(11a)에 부합하여 이격될 수 있으며, 각 연장부(11b, 11c)는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범퍼 백빔(13)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끼움개구(11a)에 끼워지고,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연장부(11b, 11c) 및 범퍼 백빔(13)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범퍼 백빔(13)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끼움개구(11a)에 끼워지고 결합됨으로써 범퍼 백빔(13)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 사이의 결합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이 범퍼 백빔(1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각 연장부(11b, 11c)는 함몰홈(14a)을 가질 수 있고, 각 함몰홈(14a)은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연장부(11b, 11c)로부터 범퍼 백빔(13)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각 연장부(11b, 11c)는 용접 등을 통해 범퍼 백빔(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각 연장부(11b, 11c)는 함몰홈(14a)을 통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으므로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연장부(11b, 11c)들과 범퍼 백빔(13) 사이의 결합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각 연장부(11b, 11c)는 체결구(14b)를 통해 범퍼 백빔(13)에 결합될 수 있고, 체결구(14b)는 각 연장부(11b, 11c)의 함몰홈(14a)에 결합됨으로써 각 연장부(11b, 11c) 및 범퍼 백빔(13)의 각 단부는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각 연장부(11b, 11c)는 함몰홈(14a) 및 체결구(14b)를 통해 범퍼 백빔(1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연장부(11b, 11c)들과 범퍼 백빔(13) 사이의 장착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각 펜더어퍼멤버(12)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펜더어퍼멤버(12)는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 펜더어퍼멤버(12)는 프론트엔드모듈(15)과 프론트필러(7)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펜더어퍼멤버(12)는 프론트엔드모듈(15)에 연결된 제1연장부(21)와, 프론트필러(2)에 연결된 제2연장부(22)와,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 사이에 장착된 쇽업서버 브라켓(23, shock absorber 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쇽업서버 브라켓(23)이 제1연장부(21)와 제2연장부(22)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쇽업서버 브라켓(23)에 전달된 하중이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를 통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제1연장부(21)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연장부(21)의 전방단이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프론트엔드모듈(15)에 결합됨으로써 제1연장부(21)는 차량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제2연장부(22)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연장부(22)의 후방부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프론트필러(7)에 결합됨으로써 제2연장부(22)는 차량의 후방을 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연장부(21)의 축선은 제2연장부(22)의 축선에 대해 차량의 폭방향에서 오프셋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연장부(22)는 제1연장부(21)에 비해 차량의 실외에 인접할 수 있고, 제1연장부(21)는 제2연장부(22)에 비해 차량의 중심에 인접할 수 있다.
제1연장부(21)는 그의 후방부에 제공된 제1부착부(21a, first attachment)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부착부(21a)는 제2연장부(22)의 전방을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즉, 제1부착부(21a)는 제1연장부(21)의 후방부로부터 차량의 실외를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제2연장부(22)는 그의 전방부에 제공된 제2부착부(22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부착부(22a)는 제1연장부(21)의 후방을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즉, 제2부착부(22a)는 제2연장부(22)의 전방부로부터 차량의 중심을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는 쇽업서버 브라켓(23)의 양측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쇽업서버 브라켓(23)으로 전달된 하중이 더욱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는 그 내부에 캐비티가 한정된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가진 양산형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는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연장부(21)의 단면적, 형상, 및 사이즈는 제2연장부(22)의 단면적,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부착부(21a)는 용접(CO2 용접 등), 체결구 등을 통해 쇽업서버 브라켓(23)의 일부 외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부착부(22a)는 용접(CO2 용접 등), 체결구 등을 통해 쇽업서버 브라켓(23)의 나머지 외면을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제1부착부(21a)가 쇽업서버 브라켓(23)의 일부 외면을 둘러싸고, 제2부착부(22a)가 쇽업서버 브라켓(23)의 나머지 외면을 둘러쌈으로써 제1부착부(21a) 및 제2부착부(22a)는 쇽업서버 브라켓(23)의 외면을 환형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쇽업서버 브라켓(23)은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부착부(21a)의 자유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제2부착부(22a)에 결합될 수 있고, 제2부착부(22a)의 자유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제1부착부(21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쇽업서버 브라켓(23)은 그 중심에 제공된 장착홀(23a)을 포함할 수 있고, 쇽업서버의 상단이 장착홀(23a)에 장착될 수 있다. 쇽업서버 브라켓(23)은 제1패널(24)과, 제1패널(24)의 위에 배치된 제2패널(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24)의 내주 및 제2패널(25)의 내주는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패널(24)의 외주 및 제2패널(25)의 외주는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패널(24) 및 제2패널(25)은 그 내부에 캐비티(26)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쇽업서버 브라켓(23)이 제1패널(24) 및 제2패널(25)에 의해 폐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쇽업서버 브라켓(23)의 입력점 강성(stiffness at mounting point)을 강화될 수 있다.
기존의 차량은 쇽업서버 브라켓(댐퍼 하우징, 쇽업서버 하우징, 서스펜션 하우징 등으로 지칭되기도 함)가 펜더어퍼멤버(12) 및 프론트필러 사이에 연결되지만,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가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제조비용 및 중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쇽업서버 브라켓(23)이 펜더어퍼멤버(12)에 일체로 결합되고, 펜더어퍼멤버(12)가 프론트엔드모듈(15) 및 프론트필러(2)를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제조비용 및 중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스트럿바(6)가 어퍼 크로스멤버(5)로부터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를 향해 개별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스트럿바(6)는 어퍼 크로스멤버(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스트럿바(6)의 상단은 어퍼 크로스멤버(5)의 각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스트럿바(6)의 하단은 그에 상응한 펜더어퍼멤버(12)의 제1연장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는 한 쌍의 스트럿바(6)를 통해 어퍼 크로스멤버(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스트럿바(6)가 어퍼 크로스멤버(5) 및 그에 상응한 펜더어퍼멤버(12)의 제1연장부(21)를 연결하고,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 및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됨으로써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 및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에 작용하는 폭방향 모멘트(transverse moment)는 한 쌍의 스트럿바(6)에 의해 상쇄(cancelled)될 수 있다.
범퍼 백빔(13)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범퍼 백빔(13)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범퍼 백빔(13)의 각 단부는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범퍼 백빔(13)의 각 단부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끼움개구(11a)에 끼워지고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범퍼 백빔(13)은 고장력 강판소재로 핫스탬핑공정(hot stamping, hot forming, press hardening) 및/또는 롤포밍공정 등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프론트엔드모듈(15)은 라디에이터, 응축기, 인터쿨러 등과 같은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엔드모듈(15)은 상부멤버(31)와, 상부멤버(31)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멤버(32)와, 상부멤버(31) 및 하부멤버(32)의 양단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모듈(15)은 상부멤버(31), 하부멤버(32), 한 쌍의 사이드멤버(33)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상부멤버(31) 및 하부멤버(32)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멤버(33)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부멤버(31), 하부멤버(32), 사이드멤버(33) 각각은 그 내부에 캐비티가 한정된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가진 양산형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상부멤버(31), 하부멤버(32), 사이드멤버(33) 각각은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멤버(31) 및 각 사이드멤버(33)는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하부멤버(32)는 열교환기의 하단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부멤버(32)는 상부멤버(31)의 단면적, 각 사이드멤버(33)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는 프론트엔드모듈(15)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특히 각 펜더어퍼멤버(12)는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프론트엔드모듈(15)의 상부멤버(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사이드멤버(33)는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관통홀(11d, 11e)을 통과하고, 각 사이드멤버(33)는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엔드모듈(15)은 프론트 사이드멤버(11)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프론트엔드모듈(15)로 전달된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통해 프론트필러(7)를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는 각 펜더어퍼멤버(12) 및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멤버(16, 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연결멤버(16, 17)는 한 쌍의 제1연결멤버(16) 및 한 쌍의 제2연결멤버(1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연결멤버(16)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연결멤버(16)는 한 쌍의 제2연결멤버(17) 보다 프론트엔드모듈(15)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각 제1연결멤버(16)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straightly) 연장될 수 있고, 각 제1연결멤버(16)는 그에 상응한 펜더어퍼멤버(12)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제1연결멤버(16)의 상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펜더어퍼멤버(12)의 제1연장부(21)에 결합되고, 각 제1연결멤버(16)의 하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프론트 사이드멤버(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멤버(16)는 그 내부에 캐비티가 한정된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가진 양산형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제1연결멤버(16)는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연결멤버(17)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각 제2연결멤버(17)는 그에 상응한 제1연결멤버(16)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격될 수 있다. 각 제2연결멤버(17)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각 제2연결멤버(17)는 그에 상응한 펜더어퍼멤버(12)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제2연결멤버(17)의 상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펜더어퍼멤버(12)의 제1연장부(21)에 결합되고, 각 제2연결멤버(17)의 하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프론트 사이드멤버(11)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2연결멤버(17)의 상단은 체결구, 용접(CO2 용접 등) 등을 통해 쇽업서버 브라켓(23)에 인접한 제1연장부(21)의 제1부착부(21a)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제2연결멤버(17)는 쇽업서버 브라켓(23)의 입력점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제2연결멤버(17)는 그 내부에 캐비티가 한정된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가진 양산형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제2연결멤버(17)는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멤버(16)의 단면적, 형상, 및 사이즈는 제2연결멤버(17)의 단면적, 형상, 및 사이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결멤버(16, 17)가 펜더어퍼멤버(12)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함으로써 차량 휠로부터 쇽업서버 및 쇽업서버 브라켓(23)로 전달된 하중은 복수의 연결멤버(16, 17)를 통해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멤버(16, 17)는 차량 휠로부터 수직으로 전달된 입력점 강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제1연결멤버(16) 및 한 쌍의 제2연결멤버(17)가 차량 프론트구조(10)의 양측에서 펜더어퍼멤버(12)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수직으로 연결함으로써 차량 프론트구조(10)의 비틀림강성을 기존 대비 대폭(예컨대, 21.4%) 개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아래에 위치한 프론트 서브프레임(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서브프레임(8)은 프론트엔드모듈(15)의 하부멤버(32)로부터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부 또는 로어프레임(1)의 프론트 크로스멤버(1a)에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차량은 펜더어퍼멤버가 프론트필러 측에 연결되지 않으므로, 범퍼 백빔 및/또는 프론트엔드모듈로 전달된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또는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따라 분배되고, 특히 충돌하중의 대부분이 프론트 서브프레임을 통해 배터리조립체로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터리조립체의 충돌성능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와 같이 펜더어퍼멤버(12)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상측 로드패스(L1)가 펜더어퍼멤버(12)를 따라 한정될 수 있고, 프론트 사이드멤버(11)가 펜더어퍼멤버(12)의 아래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중간 로드패스(L2)가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따라 한정될 수 있으며, 프론트 서브프레임(8)이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아래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하측 로드패스(L3)가 프론트 서브프레임(8)을 따라 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퍼 백빔(13) 및/또는 프론트엔드모듈(15)로 전달된 충돌하중이 상측 로드패스(L1), 중간 로드패스(L2), 하측 로드패스(L3)를 통해 3개의 경로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특히, 충돌하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 로드패스(L1)를 통해 프론트필러(2)를 전달될 수 있으므로 충돌하중이 배터리조립체로 전달됨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배터리조립체의 충돌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연결멤버(16)가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제1수직 로드패스(L4)가 제1연결멤버(16)를 따라 한정될 수 잇고, 제2연결멤버(17)가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제2수직로드패스(L5)가 제2연결멤버(17)를 따라 한정될 수 있다. 이에 제1연결멤버(16) 및 제2연결멤버(17)는 차량 휠로부터 전달된 수직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펜더어퍼멤버(12) 및 어퍼 크로스멤버(5)를 연결하는 스트럿바(6)가 펜더어퍼멤버(12)의 제1연장부(21)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경사 로드패스(L6)가 스트럿바(6)를 따라 한정될 수 있고, 펜더어퍼멤버(12) 및 어퍼 크로스멤버(5)들 사이로 하중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12), 프론트엔드모듈(15), 및 범퍼 백빔(13)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어프레임(1)의 프론트 크로스멤버(1a)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프론트구조(10)는 프론트 크로스멤버(1a)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스트럿바(6)가 모듈화된 차량 프론트구조(10)에 수직하방으로 로딩되고 조립될 수 있고, 로어프레임(1) 및 리어프레임(9)이 차량 프론트구조(10)의 후방으로 로딩되고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프론트구조(10)가 모듈화됨에 따라 그 조립공정을 전체적으로 축소하고 입고단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멤버(11), 펜더어퍼멤버(12)의 제1연장부(21) 및 제2연장부(22), 프론트엔드모듈(15)의 상부멤버(31), 하부멤버(32), 각 사이드멤버(33), 제1연결멤버(16), 및 제2연결멤버(17)가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짐으로써 그 중량 및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로어프레임 2: 프론트필러
3: 루프레일 4: 윈드쉴드멤버
5: 어퍼 크로스멤버 10: 차량 프론트구조
11: 프론트 사이드멤버 11a: 끼움개구
11b, 11c: 연장부 14a: 함몰홈
14b: 체결구 12: 펜더어퍼멤버
13: 범퍼 백빔 15: 프론트엔드모듈
16: 제1연결멤버 17: 제2연결멤버
21: 제1연장부 21a: 제1부착부
22: 제2연장부 22a: 제2부착부
23: 쇽업서버 브라켓 31: 상부멤버
32: 하부멤버 33: 사이드멤버

Claims (18)

  1.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위에 개별적으로 위치한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범퍼 백빔; 및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에 연결된 프론트엔드모듈;을 포함한 차량 프론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펜더어퍼멤버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 및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각 펜더어퍼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차량 프론트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펜더어퍼멤버는 프론트엔드모듈에 연결된 제1연장부와, 프론트필러에 연결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장착된 쇽업서버 브라켓을 포함한 차량 프론트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그 후방부에 제공된 제1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부는 그 전방부에 제공된 제2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착부 및 제2부착부는 상기 쇽업서버 브라켓를 둘러싸도록 상기 쇽업서버 브라켓의 외면에 부착되는 차량 프론트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는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제1연장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면적과 동일한 차량 프론트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쇽업서버 브라켓은 제1패널과, 제1패널의 위에 장착된 제2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는 그 내부에 캐비티를 한정하도록 결합된 차량 프론트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펜더어퍼멤버 및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를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프론트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멤버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근접한 제1연결멤버와, 상기 제1연결멤버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격된 제2연결멤버를 포함한 차량 프론트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멤버 및 상기 제2연결멤버는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연결멤버의 단면적은 상기 제2연결멤버의 단면적과 동일한 차량 프론트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는 그 전방단에 제공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그 사이에 끼움개구를 한정하며,
    상기 범퍼 백빔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끼움개구에 끼워지고 한 쌍의 연장부는 상기 범퍼 백빔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차량 프론트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연장부는 범퍼 백빔을 향해 함몰된 함몰홈을 가진 차량 프론트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체결구가 상기 함몰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각 연장부 및 상기 범퍼 백빔는 체결되는 차량 프론트구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는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진 차량 프론트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은 상부멤버와, 상기 상부멤버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멤버와, 상기 상부멤버의 양단 및 그에 상응한 상기 하부멤버의 양단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포함한 차량 프론트구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부멤버, 상기 하부멤버, 상기 한 쌍의 사이드멤버 각각은 폐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만들어진 차량 프론트구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부멤버, 및 각 사이드멤버는 서로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멤버는 상기 상부멤버의 단면적 및 상기 각 사이드멤버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 차량 프론트구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은 고장력강판으로 만들어진 차량 프론트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펜더어퍼멤버는 한 쌍의 스트럿바를 통해 어퍼 크로스멤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차량 프론트구조.
KR1020210114284A 2021-08-27 2021-08-27 차량 프론트 구조 KR20230031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84A KR20230031731A (ko) 2021-08-27 2021-08-27 차량 프론트 구조
US17/726,851 US20230065302A1 (en) 2021-08-27 2022-04-22 Vehicle front structure
DE102022110542.3A DE102022110542A1 (de) 2021-08-27 2022-04-29 Fahrzeugfrontstruktur
CN202210501298.9A CN115892225A (zh) 2021-08-27 2022-05-09 车辆前部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84A KR20230031731A (ko) 2021-08-27 2021-08-27 차량 프론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31A true KR20230031731A (ko) 2023-03-07

Family

ID=8517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284A KR20230031731A (ko) 2021-08-27 2021-08-27 차량 프론트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65302A1 (ko)
KR (1) KR20230031731A (ko)
CN (1) CN115892225A (ko)
DE (1) DE102022110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751A (ko) * 2021-12-15 2023-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로워바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9451A (en) * 1940-05-15 1942-01-13 Ford Motor Co Automobile body construction
US4735355A (en) * 1984-10-10 1988-04-05 Mr. Gasket Company Method for construction of vehicle space frame
US6533348B1 (en) * 1997-10-16 2003-03-18 Cosma International Inc. Modular space frame
JP2004106704A (ja) * 2002-09-18 2004-04-08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1755461B1 (ko) * 2015-06-22 2017-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차체 구조
JP7095430B2 (ja) * 2018-06-19 2022-07-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20210001019A (ko) * 2019-06-26 2021-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92225A (zh) 2023-04-04
US20230065302A1 (en) 2023-03-02
DE102022110542A1 (de)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605A (en) Cast corner node
US781087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140674B2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US8814248B2 (en) Motor vehicle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EP2291308B1 (en) Vehicle frame structure
KR100929527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어셈블리
US20120212010A1 (en) Front body of vehicle
CN210000408U (zh) 用于电动汽车的前机舱总成、车身总成及电动汽车
JPH09175433A (ja) 支持構造付きの乗用車の前部構造
US11772708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20230031731A (ko) 차량 프론트 구조
KR20220086891A (ko) 차체 결합 구조
KR100929528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어셈블리
CN101209716A (zh) 一种承载式车身
US11814100B2 (en) Vehicle cradle assembly with impact detachment script
CN111746650B (zh) 一种汽车前副车架及汽车
JP3591508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027922B1 (ko) 서스펜션 입력점부 차체 강성 구조
US20230143298A1 (en) Vehicle Intermediate Structure
JP2004322719A (ja) 車両前部構造
KR20230067364A (ko) 차량 하중분배구조
KR20230067365A (ko) 차량 센터프레임모듈
KR100373029B1 (ko) 차량의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 멤버
CN221316373U (zh) 前减震塔的加强结构及车辆
JP6935980B2 (ja) 車両前部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