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621A -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621A
KR20230031621A KR1020210114063A KR20210114063A KR20230031621A KR 20230031621 A KR20230031621 A KR 20230031621A KR 1020210114063 A KR1020210114063 A KR 1020210114063A KR 20210114063 A KR20210114063 A KR 20210114063A KR 20230031621 A KR20230031621 A KR 20230031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detection
elevator
uni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066B1 (ko
Inventor
장민지
이강산
남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에스아이
남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에스아이, 남광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210114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집합주거시설의 세대별 마련된 홈 시스템 및 각각의 홈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데, 홈 시스템은 세대 외부에서 세대 출입문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세대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세대 내 동체를 감지하는 동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를 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홈 제어부를 포함하며, 관리 서버는 홈 시스템의 인체 감지부와 개폐 감지부 및 동체 감지부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모든 감지가 이루어질 경우 그 감지 순서에 따라 세대 출입을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하는 재실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Household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집합주거시설에 구축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662078호에는 월패드 연동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아파트 등 집합주거시설의 각 호수에 설치된 월패드와 세대 내 조명, 난방, 환기, 가스, 방범문, 대기전력 스위치 등 하위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캡처(capture)하여 분석 및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를 통한 가정 내 장치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고가의 추가 장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히 가정의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662078호 (2021년 6월 7일 공고)
본 발명은 각 세대의 재실 현황을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재실 인원 수까지도 정확히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별 재실 현황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은 집합주거시설의 세대별 마련된 홈 시스템 및 각각의 홈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데, 홈 시스템은 세대 출입문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세대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세대 내 동체를 감지하는 동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를 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홈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홈 시스템의 인체 감지부와 개폐 감지부 및 동체 감지부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모든 감지가 이루어질 경우 그 감지 순서에 따라 세대 출입을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하는 재실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집합주거시설의 세대별 마련된 홈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서버 시스템은 홈 시스템에서 세대 출입문 외부의 인체가 감지되고 세대 출입문의 개폐가 감지되며 세대 내 동체가 감지되면 그 감지 순서에 따라 세대 출입을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하는 재실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대별 홈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감지 신호들에 기반하여 세대별 재실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재실 인원 수까지 정확히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방범 서비스나 위험 상황 조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홈 시스템의 동작 흐름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방범 동작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블록도이다.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홈 시스템(100)은 집합주거시설의 세대별로 마련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홈 네트워크 월패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 컨트롤러(200)는 승강기를 구동 제어하며, 승강기 도어가 열리는 층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승강기 카메라(300)는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CCTV 카메라일 수 있으며, 일반 감시 역할은 물론 승하차 인원의 모니터링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집합주거시설의 방재실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모든 홈 시스템(100)과 승강기 컨트롤러(200) 및 승강기 카메라(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이 같은 관리 서버(400)는 재실 모니터링부(410)를 포함한다. 추가로, 관리 서버(400)는 승강기 모니터링부(420)와 화재 관리부(430)와 층 관리부(440)와 방범 관리부(450) 및 에너지 관리부(460)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적 구성들로서, 관리 서버(400)의 하드웨어적 구성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도 2를 먼저 살펴본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시스템 블록도이다. 저장부(110)에는 시스템 운용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 등이 저장되어 관리되며, 시스템 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도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관리 서버(4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TCP/IP나 RS-485 통신을 통해 관리 서버(4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촬영부(130)는 외부 카메라(131)를 포함하며, 추가로 내부 카메라(132)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카메라(131)는 세대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폰 카메라일 수 있다. 내부 카메라(132)는 세대 내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감지부(140)는 인체 감지부(141)와 개폐 감지부(142) 및 동체 감지부(143)를 포함한다. 인체 감지부(141)는 세대 출입문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세대 출입문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인체를 감지한다. 인체 감지부(141)로는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도어폰용 센서일 수 있다. 개폐 감지부(142)는 세대 출입문의 열림 및/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자석 감지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동체 감지부(143)는 세대 내에서 동체(動體)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이 역시 PIR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또는 카메라가 동체 감지부(143)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같은 동체 감지부(143)는 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참고로, 감지부(140)는 단지 인체 감지부(141)와 개폐 감지부(142) 및 동체 감지부(143)를 개념적으로 그룹화한 것일 뿐,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 단위로 묶이는 것은 아니다.
홈 제어부(1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양상에 따른 홈 제어부(150)는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질 시에 관리 서버(400)로 감지 사실을 보고함으로써, 관리 서버(400)로 하여금 세대의 재실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 제어부(150)는 인체 감지부(141)에 의해 인체 감지가 이루어지면 인체 감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개폐 감지부(142)에 의해 출입문 개폐 감지가 이루어지면 개폐 감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며, 동체 감지부(143)에 의해 세대 내에서 동체 감지가 이루어지면 동체 감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즉, 감지부(140)에 속하는 각 구성별로 감지가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감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홈 제어부(150)는 인체 감지와 개폐 감지 및 동체 감지가 모두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관리 서버(400)로 감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관리 서버(400)의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홈 시스템(100)별로 감지부(140)의 인체 감지부(141)와 개폐 감지부(142) 및 동체 감지부(143)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모두 감지가 이루어질 경우 그 감지 순서에 따라 세대 출입을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홈 제어부(150)의 보고를 통해 인체 감지부(141) → 개폐 감지부(142) → 동체 감지부(143) 순으로 감지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될 경우 세대원이 세대에 입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세대는 재실 상태인 것으로 관리한다. 즉, 인체 감지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동체 감지까지 완료된 경우 입실 감지 순서대로 감지가 행해진 것으로 보고 해당 세대가 재실 상태인 것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홈 제어부(150)의 보고를 통해 동체 감지부(143) → 개폐 감지부(142) → 인체 감지부(141) 순으로 감지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될 경우 세대원이 세대에서 퇴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세대는 비재실 상태인 것으로 관리한다. 즉, 동체 감지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인체 감지까지 완료된 경우 퇴실 감지 순서대로 감지가 행해진 것으로 보고 해당 세대가 비재실 상태인 것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다만, 이 같이 하면 세대에 잔여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무조건 비재실 상태로 관리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출입 인원을 정확히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출입 인원을 파악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400)는 세대 출입 인원 파악을 위해 승강기 모니터링부(420)를 더 포함한다. 승강기 모니터링부(420)는 승강기 탑승자(들)의 승하차 층 및 승하차 인원 수를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승강기 모니터링부(420)는 승강기 컨트롤러(200)로부터 탑승자(들)의 승하차 층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승강기 카메라(300)로부터 승하차 영상을 제공받아 분석하여 승하차 인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승강기 모니터링부(420)에 의해 모니터링된 승하차 층 및 승하차 인원 수를 이용하여 세대의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한다.
승강기 모니터링부(420)에 의해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한 재실 인원 수의 갱신 관리는 승차인지 아니면 하차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승차의 경우,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승강기 모니터링부(420)에 의해 하차 층과 하차 인원이 모니터링되면 그 모니터링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기설정된 입실 감지 순서대로 감지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며, 입실 감지 순서대로 감지가 이루어졌으며 승강기 하차 인원이 세대에 입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세대의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한다. 하차의 경우,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기설정된 퇴실 감지 순서대로 감지가 이루어지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승강기 모니터링부(420)에 의해 퇴실층에서의 승강기 승차 인원이 모니터링되면 그 승강기 승차 인원이 퇴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세대의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홈 제어부(150)는 인체 감지부(141)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그 감지된 인체를 촬영하기 위한 외부 카메라(131)를 웨이크업시킨다. 이에 웨이크업된 외부 카메라(131)는 세대 출입문 외부를 촬영하며, 홈 제어부(150)는 외부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400)의 재실 모니터링부(410)는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영상 내 인원 수를 확인하며, 확인된 인원 수를 재실 인원 수에 반영하여 갱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재실 인원 수가 2명으로 관리되는 상태에서 영상 내 인원 수가 1명으로 확인되고 상술한 바에 따라 입실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면, 재실 인원 수를 총 3명으로 갱신 관리한다는 것이다. 반대의 경우, 즉 퇴실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에는 재실 인원 수는 총 1명으로 갱신 관리된다. 한편, 인원 수 확인을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은 관리 서버(400)가 아니라 홈 제어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홈 제어부(150)는 영상 분석을 통해 확인된 인원 수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알린다.
화재 관리부(430)는 집합주거시설에 화재가 발생할 시에 재실 모니터링부(410)에 의해 관리되는 세대별 재실 현황 정보를 소방서 등 외부의 화재관계기관으로 송출한다. 이때, 송출은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화재속보설비와의 연동을 통해 자동 송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재실 현황 정보에는 재실 상태인지 아니면 비재실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가 기본으로 포함되며, 재실 상태일 경우 인원이 몇 명인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화재관계기관은 세대별 재실 현황 정보를 고려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화재 진압 및 대피 지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층 관리부(440)는 모든 홈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집되어 관리되는 각 세대의 재실 현황 정보에 기반하여 집합주거시설의 각 층을 재실층과 비재실층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즉, 동일 층의 모든 세대 중에서 한 세대라도 재실 상태인 경우에는 재실층으로 관리하며 그렇지 않으면 비재실층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층 관리부(440)에 의해 관리되는 재실층 정보와 비재실층 정보는 화재 발생시 화재 관리부(430)에 의해 재실 현황 정보와 함께 화재관계기관으로 송출될 수 있다.
방범 관리부(450)는 승강기 모니터링부(420)에 의해 승강기 탑승자가 비재실층에서 하차한 것이 확인된 경우 하차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그 비재실층에 위치한 세대의 홈 시스템(100)으로부터 감지부(140)의 감지가 보고되지 않으면 그 비재실층의 모든 홈 시스템(100)으로 방범 기능을 활성화할 것을 명령한다. 이에 명령을 받은 홈 시스템(100)의 홈 제어부(150)는 방범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방범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에너지 관리부(460)는 재실 모니터링부(410)를 통해 관리되는 비재실 상태의 세대에서 가스, 수도, 난방 등 소정 에너지의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세대 대표자에게 에너지 사용 사실을 통보하면서 에너지 사용이 의도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다. 일 예로, 에너지 관리부(460)는 세대 대표자의 모바일 단말로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에너지 사용 사실을 통보한다. 이에 세대 대표자는 통보된 문자 내용을 본 다음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행한다. 이 역시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에너지 관리부(460)는 세대 대표자의 응답을 통해 의도된 사용이 나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 해당 세대의 홈 시스템(100)으로 에너지 사용 중단을 명령한다. 이에 홈 시스템(100)의 홈 제어부(150)는 해당 에너지의 사용을 중단 제어한다. 한편, 에너지 사용 사실 통보 및 그에 대한 응답은 문자메시지가 아닌 ARS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홈 시스템의 동작 흐름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세대가 재실 상태일 경우에 한하여 수행된다. 홈 제어부(150)는 동체 감지부(143)에 의해 동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그 미감지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동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S110). 판단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동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홈 제어부(150)는 관리 서버(400)로 동체 미감지 사실을 보고함으로써 적절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심정지 등 위급 상황이나 극단 선택 등이 빠르게 발견되어 조치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급사나 고독사 등의 상황이 조기에 발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특히 1인 가구, 한부모 가정의 아동, 독거 노인 등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홈 제어부(150)는 홈 시스템(100)에 구성된 마이크(도 2에 미도시)를 통해 음성이 인식될 경우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한다(S200)(S210). 예를 들어, 비명이나 욕설 등이 인식되면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홈 제어부(150)는 내부 카메라(132)를 웨이크업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20). 홈 제어부(150)는 내부 카메라(132)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다(S230). 예를 들어, 홈 제어부(150)는 영상 분석을 통해 흉기가 확인되거나 몸싸움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S330에서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홈 제어부(150)는 관리 서버(400)로 해당 세대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보고하여 경찰서 신고 등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S240). 한편, 홈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한 명 이상의 세대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로도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위험 상황임을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S210에서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고 S230에서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방범 동작 흐름도이다. 승강기 모니터링부(420)를 통해 승강기 탑승자의 최상층 하차가 파악된 경우, 방범 관리부(450)는 최상층 하차가 파악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그 최상층에 설치된 모든 홈 시스템(10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300)(S310). 일 예로, 홈 시스템(100)은 인체 감지부(141)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된다. S310에서 최상층의 어떤 홈 시스템(100)도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방범 관리부(450)는 최상층에 하차한 자가 옥상으로 이동해 투신하거나 물건을 투척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관리자에게 경고 알림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S320). 즉, 일 예로 방범 관리부(450)는 최상층 하차가 파악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최상층의 어떠한 홈 시스템(100)으로부터도 인체 감지부(141)의 인체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인체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관리자에게 경고 알림을 행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홈 시스템 110 : 저장부
120 : 통신부 130 : 촬영부
131 : 외부 카메라 132 : 내부 카메라
140 : 감지부 141 : 인체 감지부
142 : 개폐 감지부 143 : 동체 감지부
150 : 홈 제어부 200 : 승강기 컨트롤러
300 : 승강기 카메라 400 : 관리 서버
410 : 재실 모니터링부 420 : 승강기 모니터링부
430 : 화재 관리부 440 : 층 관리부
450 : 방범 관리부 460 : 에너지 관리부

Claims (10)

  1. 집합주거시설의 세대별 마련된 홈 시스템; 및 각각의 홈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홈 시스템은 :
    세대 출입문 외부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세대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세대 내 동체를 감지하는 동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를 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홈 제어부;를 포함하며,
    관리 서버는 :
    홈 시스템의 인체 감지부와 개폐 감지부 및 동체 감지부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모든 감지가 이루어질 경우 그 감지 순서에 따라 세대 출입을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하는 재실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
    승강기 승하차 층 및 승하차 인원 수를 모니터링하는 승강기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며,
    재실 모니터링부는 승강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하차 층과 하차 인원이 모니터링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인체 감지부의 인체 감지와 개폐 감지부의 개폐 감지 및 동체 감지부의 동체 감지가 기설정된 입실 감지 순서대로 이루어지면 승강기 하차 인원이 입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재실 모니터링부는 인체 감지와 개폐 감지 및 동체 감지가 기설정된 퇴실 감지 순서대로 이루어진 후에 승강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퇴실층에서의 승강기 승차 인원이 모니터링되면 그 승차 인원이 퇴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홈 제어부는 인체 감지부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그 감지된 인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웨이크업시키며,
    재실 모니터링부는 웨이크업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확인된 인원 수를 재실 인원 수에 반영하여 갱신 관리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
    집합주거시설에 화재 발생시 재실 모니터링부에 의해 관리되는 세대별 재실 현황 정보를 자동화재속보설비와의 연동을 통해 외부의 화재관계기관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송출하는 화재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
    승강기 탑승자의 하차층을 모니터링하는 승강기 모니터링부;
    세대별 재실 현황을 통해 집합주거시설의 각 층을 재실층과 비재실층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층 관리부; 및
    탑승자의 하차층이 비재실층일 경우 하차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그 비재실층에 위치한 세대의 홈 시스템으로부터 감지부의 감지가 보고되지 않으면 그 비재실층의 모든 홈 시스템으로 방범 기능 활성화를 명령하는 방범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비재실 상태의 세대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세대 대표자에게 사용 사실을 알림하며, 세대 대표자로부터 사용 중단 요청이 있으면 해당 홈 시스템으로 사용 중단을 지시하는 에너지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8. 집합주거시설의 세대별 마련된 홈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하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홈 시스템에서 세대 출입문 외부의 인체가 감지되고 세대 출입문의 개폐가 감지되며 세대 내 동체가 감지되면 그 감지 순서에 따라 세대 출입을 파악하여 재실 현황을 관리하는 재실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승강기 승하차 층 및 승하차 인원 수를 모니터링하는 승강기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며,
    재실 모니터링부는 승강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하차 층과 하차 인원이 모니터링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인체 감지와 개폐 감지 및 동체 감지가 기설정된 입실 감지 순서대로 이루어지면 승강기 하차 인원이 입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재실 모니터링부는 인체 감지와 개폐 감지 및 동체 감지가 기설정된 퇴실 감지 순서대로 이루어진 후에 승강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퇴실층에서의 승강기 승차 인원이 모니터링되면 그 승차 인원이 퇴실한 것으로 파악하여 재실 인원 수를 갱신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KR1020210114063A 2021-08-27 2021-08-27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65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63A KR102657066B1 (ko) 2021-08-27 2021-08-27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63A KR102657066B1 (ko) 2021-08-27 2021-08-27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21A true KR20230031621A (ko) 2023-03-07
KR102657066B1 KR102657066B1 (ko) 2024-04-17

Family

ID=8551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63A KR102657066B1 (ko) 2021-08-27 2021-08-27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437A (ko) * 2007-11-02 2007-11-21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
KR20170001083A (ko) * 2015-06-25 2017-01-04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재실자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437A (ko) * 2007-11-02 2007-11-21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
KR20170001083A (ko) * 2015-06-25 2017-01-04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재실자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66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16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N107667394B (zh) 用于操作自行式清洁设备的方法
US9802789B2 (en) Elevator security system
US7030757B2 (en) Security system and moving robot
US7106193B2 (en) Integrated alarm detection and verification device
US20130100268A1 (en) Emergency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and method
JP2020521227A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US11580843B2 (en) Intelligent emergency response for multi-tenant dwelling units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US20230419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monitoring
EP3367808A1 (en) A control system for optimising emergency multi-storey building stairwell evacuation
KR20160150323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US20230064892A1 (en) Camera operating system and method
KR20100091500A (ko) 위험상태 인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시스템
KR102030935B1 (ko) IoT를 기초로 한 관심영역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문 사용 인식 장치 및 관심영역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1126B1 (ko) 비상탈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6821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KR102657066B1 (ko)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490229B1 (ko) 방문자 위치감시 및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073904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JP200823448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2033492B2 (en) Intelligent emergency response for multi-tenant dwelling units
JP4936311B2 (ja) 監視システム
KR102662452B1 (ko) 음성인식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