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366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366A
KR20230031366A KR1020237004098A KR20237004098A KR20230031366A KR 20230031366 A KR20230031366 A KR 20230031366A KR 1020237004098 A KR1020237004098 A KR 1020237004098A KR 20237004098 A KR20237004098 A KR 20237004098A KR 20230031366 A KR20230031366 A KR 2023003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evice
exhaust treatment
exhaust
engin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 우치야마
요시아키 시마다
와타루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3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4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n exhaust pipe, manifold or apparatus in relation to vehicle frame or particular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작업 기계는 엔진(7)과, 엔진(7)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처리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1 배기 처리 장치(12)를 지나간 배기를 처리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작업 기계
본 개시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국제공개 2016/002973호(특허문헌 1)에는, 디젤 미립자 포집(捕集) 필터 장치와 선택 촉매 환원 장치를 가지는 배기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후방 초소 선회형 유압 셔블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2016/002973호
배기 가스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는, 이들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한정된 면적의 차체 프레임 상에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작업 기계가 제안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엔진과,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처리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지나간 배기를 처리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가 제안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작업 기계에 의하면,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에 기초하는 유압 셔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유압 셔블의, 차체 우측 후부(後部)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III 방향으로부터 본, 유압 셔블 차체 우측 후부의 배면도이다.
[도 4]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IV 방향으로부터 본, 유압 셔블 차체 우측 후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5] 엔진 후드 및 배기 처리 커버를 분리한 유압 셔블의 차체 우측 후부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VI 방향으로부터 본, 유압 셔블 차체 우측 후부의 배면도이다.
[도 7] 배기 처리 장치의 지지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8] 배기 처리 장치의 지지 구조의 우측면도이다.
[도 9] 지지 프레임에 탑재된 배기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 환원제의 경로 및 엔진의 배기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 기계의 일례로서,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이란, 선회 시에 차체 후방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선회체의 후단(後端) 선회 반경이 주행체 전체 폭의 120% 이내에서 완전 선회 가능하지만, 프론트 최소 선회 반경의 완전 선회는 주행체 전체 폭의 120%를 넘는 것이다(일본 공업 규격에 의한 정의(JIS A 8340-4)). 다른 종류의 작업 기계에 실시형태의 사상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기초하는 유압 셔블(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주행체(2)와, 선회체(3)와, 작업기(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2)와 선회체(3)에 의해, 유압 셔블(1)의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를 가지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유압 셔블(1)이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3)는 스윙 써클부를 통하여,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캡(cab)(10)을 가지고 있다. 캡(10)은 선회체(3)의 좌측 전부(前部)(차량 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캡(10)은 유압 셔블(1)의 차체에 탑재되어 있다. 캡(10)의 내부에, 운전실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실은,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을 조작하기 위한 공간이다. 운전실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이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토사의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기(4)는 붐(4A), 암(4B), 버킷(4C), 유압 실린더(4D) 등을 가지고 있다. 붐(4A)의 기단부는, 붐 핀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체(3)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선회체(3)에 장착되어 있다. 암(4B)의 기단부는 암 핀을 중심으로 하여 붐(4A)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붐(4A)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버킷(4C)은, 버킷 핀을 중심으로 하여 암(4B)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암(4B)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붐(4A), 암(4B) 및 버킷(4C)의 각각이 유압 실린더(4D)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작업기(4)는 구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기(4)를 기준으로 하여, 유압 셔블(1)의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기(4)의 붐(4A)은 선회체(3)에 대하여 붐 핀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선회체(3)에 대하여 회동(回動)하는 붐(4A)의 특정 부분, 예를 들면 붐(4A)의 선단부가 이동하는 궤적은 원호형이며, 그 원호를 포함하는 평면이 특정된다. 유압 셔블(1)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해당 평면은 직선으로서 표시된다. 이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차량 본체의 전후 방향, 또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이며, 이하에서는 단지 전후 방향이라고도 한다.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차폭 방향), 또는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이란, 평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이하에서는 단지 좌우 방향이라고도 한다. 좌우 방향이란, 붐 핀이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차량 본체의 상하 방향, 또는 선회체(3)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의해 정해지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이하에서는 단지 상하 방향이라고도 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차량 본체보다 작업기(4)가 돌출하고 있는 측이 전방향이고, 전방향과 반대 방향이 후방향이다. 전방향을 볼 때 좌우 방향의 우측, 좌측이 각각 우방향, 좌방향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지면이 있는 측이 하측, 비어 있는 측이 상측이다.
전후 방향이란, 캡(10) 내의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이다. 좌우 방향이란,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이다. 상하 방향이란,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 상하 방향이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정대(正對)하는 방향이 전방향이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배후 방향이 후방향이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에 정대했을 때의 우측, 좌측이 각각 우방향, 좌방향이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발밑측이 하측, 머리 상측이 상측이다.
도 1 및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 X와, 좌우 방향 Y와, 상하 방향 Z를 각각 양쪽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작업기(4)는 선회체(3)의 전부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4)는 캡(10)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캡(10)과 작업기(4)의 배치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선회체(3)의 우측 전부에 배치된 캡(10)에 대하여 왼쪽에 작업기(4)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유압 셔블(1)의, 차체 우측 후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III 방향으로부터 본, 유압 셔블(1)의 차체 우측 후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IV 방향으로부터 본, 유압 셔블(1)의 차체 우측 후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차체 커버(8)를 가지고 있다. 차체 커버(8)는 선회체(3)의 상면을 구성하는 천장판(8A)을 가지고 있다. 유압 셔블(1)의 구동원인 엔진은 선회체(3)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실은 선회체(3) 상에 설치되어 있다. 차체 커버(8)는 엔진실 중 적어도 상방을 덮는 엔진 후드(8B)를 가지고 있다. 차체 커버(8)는 또한, 유지보수 작업 시에 작업자가 올라가는 발판(8C)을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커버(8)에는, 우방 카메라(91)와, 후방 카메라(92)와, 좌방 카메라(93)가 장착되어 있다. 우방 카메라(91)는 우측을 향하고, 유압 셔블(1)의 우측의 지형 및 장해물 등을 촬상한다. 후방 카메라(92)는 후방을 향하고, 유압 셔블(1)의 후방의 지형 및 장해물 등을 촬상한다. 좌방 카메라(93)는 좌측을 향하고, 유압 셔블(1)의 좌측의 지형 및 장해물 등을 촬상한다.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에는, 배기 처리 커버(70)가 장착되어 있다. 배기 처리 커버(70)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커버(70)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기 처리 커버(70)는, 배기 가스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엔진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장치의 적어도 상방을 덮고 있다.
배기 처리 커버(70)에는, 배기 개구(75)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를 지나간 엔진의 배기가 흐르는 배기관(15)은, 배기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배기구(16)를 가지고 있다. 배기구(16)는 배기 개구(75)를 통하여 배기 처리 커버(70)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배기 개구(75)은 원형의 개구이며, 배기 개구(75)의 상부 에지에는 차양부(canopy portion)(76)가 설치되어 있다. 차양부(76)에 의해, 배기관(15)이 보호되고 또한, 수분이 배기구(16)를 경유하여 배기관(15) 내로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배기 개구(75)는 배기 처리 커버(7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 개구(75)는 배기 처리 커버(70)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배기구(16)는 배기 처리 커버(70)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커버(70)에는, 배기 개구(75)와는 별도의 개구인 복수의 환기공(71∼73)이 형성되어 있다. 환기공(71)은 우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환기공(72)은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환기공(73)은 좌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환기공(71∼73)은 선회체(3)의 에지부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환기공(71∼73)은 캡(10)을 향하는 방향에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환기공(71∼73)은 발판(8C)을 향하는 방향에는 개구하고 있지 않다.
도 5는, 엔진 후드(8B) 및 배기 처리 커버(70)를 분리한 유압 셔블(1)의 차체 우측 후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VI 방향으로부터 본, 유압 셔블(1)의 차체 우측 후부의 배면도이다.
엔진(7)은 주행체(2) 및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이다. 엔진(7)은 엔진 후드(8B)의 하방의 엔진실에 수용되어 있다. 엔진(7)은 큰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기(4)와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선회체(3)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의 배기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의해 처리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엔진(7)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를 지나간 배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예를 들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이다.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는 필터를 주로 가지고 있다.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는, 엔진(7)의 배기 중에 포함되는 입자형 물질을 필터에 의해 포집한다. 필터는 예를 들면 세라믹으로 되어 있다. 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에 의해, 배기 중의 입자형 물질의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선택 촉매 환원 장치이다. 선택 촉매 환원 장치는 예를 들면 환원제와의 반응에 의해 배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을 환원되고, 질소 산화물을 무해한 질소 가스에 화학 변화하여, 배기 중의 질소 산화물 농도를 저하시킨다. 선택 촉매 환원 장치는, 엔진(7)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장치이며, 환원제로서의 요소수를 가수분해하여 질소 산화물 NOX를 환원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촉매 환원 장치는 원리적으로는 암모니아(NH3)가 질소 산화물(NOX)과 화학 반응함으로써 질소(N2)와 물(H2O)로 환원되는 것을 응용한 것이다.
다만, 암모니아를 유압 셔블(1)에 쌓는 것이 아니라, 환원제 탱크로서, 예를 들면 요소수를 넣은 환원제 탱크가 유압 셔블(1)에 탑재되어 있다.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면 요소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질소 산화물 NOX를 환원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 중에서는, 환원제 및 환원제의 전구체를 「환원제」로서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디젤 산화 촉매 장치라도 되고,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 디젤 산화 촉매 장치, 및 선택 촉매 환원 장치의 임의의 조합이라도 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엔진(7)의 측방, 예를 들면 엔진(7)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중계관(13)을 통하여 제2 배기 처리 장치(14)와 접속되어 있다. 중계관(13)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를 지나간 배기를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는, 배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15)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배기 처리 장치(1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기관(15)은 상하 방향 Z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지나간 배기는, 배기관(15) 내를 아래로부터 위로 흐른다. 배기관(15)은 배기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배기구(16)를 가지고 있다. 배기구(16)는 유압 셔블(1)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배기는 배기구(16)로부터 유압 셔블(1)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배기구(16)는 배기관(15)의 상단(上端)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16)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측방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상하 방향 Z에 있어서, 배기구(16)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구(16)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배기구(16)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배기구(16)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의 높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2∼4를 함께 참조하여,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배기 처리 커버(70)에 의해 상방 및 측방이 덮혀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축선(L1)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축선(L1)은 그 원통의 중심선에 대응한다.
축선(L1)으로 나타내어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유압 셔블(1)의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내에서의 배기의 흐름 방향은 앞에서 뒤를 향하는 방향이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배기 흐름의 상류 단(端)이 하류 단보다 전방에 있고, 또한 배기 흐름의 상류 단이 하류 단보다 오른쪽에 있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축선(L2)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축선(L2)은 그 원통의 중심선에 대응한다.
축선(L2)으로 나타내어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은, 유압 셔블(1)의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 내에서의 배기의 흐름 방향은 앞에서 뒤를 향하는 방향이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배기 흐름의 상류 단이 하류 단보다 전방에 있고, 또한 배기 흐름의 상류 단이 하류 단보다 왼쪽에 있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과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은 비평행하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교차하고 있다. 평면에서 볼 때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 Z를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보는 것을 의미한다.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중첩되어 있다.
발판(8C)은 엔진(7)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발판(8C)에 올라 엔진(7)에 액세스하여, 엔진(7)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발판(8C)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측방, 구체적으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발판(8C)에 올라 제1 배기 처리 장치(12)에 액세스하여, 예를 들면 필터의 청소 또는 교환 등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7은, 배기 처리 장치의 지지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배기 처리 장치의 지지 구조의 우측면도이다. 도 7에는, 후방으로부터 본 배기 처리 장치와 그 지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우방으로부터 본 배기 처리 장치와 그 지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유압 셔블(1)은 선회 프레임(31)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7) 및 배기 처리 장치는 선회 프레임(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평면에서 본 선회 프레임(31)의 후측 에지는, 선회체(3)의 선회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에 탑재되는 엔진(7) 및 배기 처리 장치 등의 각종 장치가, 원호 형상의 선회 프레임(31)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후면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한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1)이 실현되고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엔진(7)을 덮는 차체 커버(8)도 또한, 후측 에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그 길이 방향이 선회 프레임(31)의 후측 에지{차체 커버(8)의 후측 에지}의 원호 형상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은 한 쌍의 세로판(34L, 34R)을 가지고 있다. 세로판(34L, 34R)은 선회 프레임(31)의, 좌우 방향 Y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세로판(34L, 34R)은 전후 방향 X 및 상하 방향 Z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일어서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세로판(34L, 34R)은 좌우 방향 Y로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세로판(34L)은 세로판(34R)의 왼쪽에 세로판(34R)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세로판(34R)은 세로판(34L)의 오른쪽에 세로판(34L)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4)(도 1)는 한 쌍의 세로판(34L, 34R)의 전단부에, 세로판(34L, 34R)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은,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한 쌍의 세로판(34L, 34R) 사이의 센터 프레임(31C)과,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세로판(34L)보다 왼쪽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31L)과,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세로판(34R)보다 오른쪽의 우측 사이드 프레임(31R)을 가지고 있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31L)은 센터 프레임(31C)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프레임(31R)은 센터 프레임(31C)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31C), 좌측 사이드 프레임(31L)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31R)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판(34L, 34R)에는, 복수의 엔진 마운트 지지부(36)가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엔진(7)은 엔진 마운트(35)를 통하여, 엔진 마운트 지지부(36) 상에 탑재되어,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강도가 큰 세로판(34L, 34R)에 엔진 마운트 지지부(3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중량이 큰 엔진(7)을 선회 프레임(31) 상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엔진(7)은 세로판(34L, 34R) 사이에 대략 배치되어 있다.
엔진(7)에 대하여 오른쪽에 유압 펌프(9)가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9)는 세로판(34R)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9)는 엔진(7)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고, 엔진(7)의 동력을 받아서 작동한다. 유압 펌프(9)는,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4D), 주행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모터, 및 선회체(3)를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시키는 선회 모터 등의, 각종 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유압 펌프(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선회 프레임(31) 상에 지지하는 지지 구조는, 3개의 기둥 부재(61, 62, 63)와,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40)을 포함하고 있다. 기둥 부재(61, 62, 6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으로 압축 하중이 부하되는 기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기둥 부재(61, 62, 63)에 의해,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3개소에서,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중량이 큰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선회 프레임(31) 상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둥 부재(61)는 엔진 마운트 지지부(36)를 통하여, 세로판(34R)에 지지되어 있다. 세로판(34R)으로부터 왼쪽으로 돌출하는 엔진 마운트 지지부(36)가 세로판(34R)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둥 부재(61)의 하단부는 그 엔진 마운트 지지부(36)에 장착되어 있다. 기둥 부재(62)의 하단부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31R)에 장착되어 있다. 기둥 부재(62)는 세로판(34R)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63)의 하단부는 세로판(34R)의 바로 왼쪽의 위치에서, 센터 프레임(31C)에 장착되어 있다. 기둥 부재(63)는 한 쌍의 세로판(34L, 34R)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31)의 후측 에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앞에서 뒤로, 기둥 부재(61), 기둥 부재(62) 및 기둥 부재(63)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기둥 부재(62), 기둥 부재(61) 및 기둥 부재(63)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61, 62, 63)는 예를 들면 볼트로 대표되는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31)에 고정되어 있다.
도 9는, 지지 프레임(40)에 탑재된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지지 프레임(4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에는, 도 9로부터,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 제2 배기 처리 장치(14), 도입관(11), 중계관(13) 및 배기관(15)의 도시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8 및 도 8, 9를 참조하여,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도입관(11)을 통하여 엔진(7)과 접속되어 있다. 도입관(11)은 엔진(7)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제1 배기 처리 장치(12)에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입관(11)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측방을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엔진(7)의 배기는, 도입관(11) 내를 아래에서 위로 흘러서, 하방으로부터 제1 배기 처리 장치(12)로 유입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11)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보다 선회 프레임(31)의 우측 에지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도입관(11)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입관(11)은, 배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상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도입관(11)은, 전후 방향 X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좌우 방향 Y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우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를 지나간 배기를 제2 배기 처리 장치(14)로 안내하는 중계관(13)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면에 접속되고,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관(13)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관(13)은, 배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중계관(13)은 전후 방향 X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좌우 방향 Y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좌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관(13)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종관부(vertical pipe portion)와, 종관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따라 연장되는 횡관부(lateral pipe portion)를 가지고 있다. 횡관부의 길이 방향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중계관(1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중계관(1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보다 엔진(7)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중계관(1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보다 선회 프레임(31)의 우측 에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횡관부는, 배기 흐름의 상류 단의 근방에, 중계관(13)의 직경이 확대된 대경부(13A)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13A)에는, 인젝터(27)가 장착되어 있다. 인젝터(27)는 중계관(13) 내에 환원제를 분사한다. 중계관(13)은 배기 중에 환원제를 분사하여 혼합하는 믹싱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젝터(27)가 중계관(13)의 상류측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중계관(13) 내에 공급된 환원제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와 혼합된다.
중계관(1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관(13)은 배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중계관(13)은, 전후 방향 X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좌우 방향 Y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좌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관(1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좌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배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15)은 배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하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배기관(15)은 전후 방향 X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좌우 방향 Y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우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5, 6을 함께 참조하여, 배기관(15)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15)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보다 선회 프레임(31)의 에지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지지 프레임(40)은, 도 7, 8을 참조하여 설명한 3개의 기둥 부재(61, 62, 63) 상에 탑재되어 있고, 기둥 부재(61, 62, 63)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0)은 기둥 부재(61, 62, 6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지지 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지지 프레임(40)을 통하여 기둥 부재(61, 62, 63)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0)은 기둥 부재(61, 62, 63)를 통하여, 선회 프레임(3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지지 프레임(40)과 기둥 부재(61, 62, 63)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에 의해, 선회 프레임(31) 상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0)은 제1 바닥부(41)와, 빔부(46, 47)와, 제2 바닥부(51)와, 벽 부재(57, 58)와, 중계관 지지부(6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제1 바닥부(41)는 지지 프레임(40)의 1층 부분을 이룬다. 제1 바닥부(41)는 유압 펌프(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 중, 하방에 배치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제1 바닥부(41)에 탑재된다. 제1 바닥부(41)는 평판형의 개략 형상을 가지고 있고,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바닥부(41)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바닥부(41)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 브래킷(42, 43)이 장착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42, 4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42)에는 장착구(44)가 장착되고, 지지 브래킷(43)에는 장착구(45)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구(44, 45)는 예를 들면 U자 볼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기 처리 장치(14)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42, 43) 상에 탑재된다. 이 상태에서, 대략 U자형의 장착구(44)이 원통형의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고, 장착구(44)의 양단이 지지 브래킷(42)에 고정되고, 대략 U자형의 장착구(45)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고, 장착구(45)의 양단이 지지 브래킷(4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제1 바닥부(41) 상에 탑재되고, 제1 바닥부(4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제2 바닥부(51)는지지 프레임(40)의 2층 부분을 이룬다. 제2 바닥부(51)는 제1 바닥부(4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바닥부(51)는 제1 바닥부(41)에 탑재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 중, 상방에 배치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가 제2 바닥부(51)에 탑재된다. 제2 바닥부(51)는 평판형의 개략 형상을 가지고 있고,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바닥부(41)와 제2 바닥부(51)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 바닥부(51)는 차체 커버(8)의 천장판(8A)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바닥부(51)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 브래킷(52, 53)이 장착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52, 53)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52)에는 장착구(54)가 장착되고, 지지 브래킷(53)에는 장착구(55)가 장착된다. 장착구(54, 55)는 예를 들면 U자 볼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52, 53) 상에 탑재된다. 이 상태에서, 대략 U자형의 장착구(54)가 원통형의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고, 장착구(54)의 양단이 지지 브래킷(52)에 고정되고, 대략 U자형의 장착구(55)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고, 장착구(55)의 양단이 지지 브래킷(5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배기 처리 장치(12)가 제2 바닥부(51) 상에 탑재되고, 제2 바닥부(5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벽 부재(57, 58)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바닥부(41)와 제2 바닥부(51)를 연결하여, 제2 바닥부(51)를 제1 바닥부(41)의 상방에 지지한다. 제1 바닥부(41)에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탑재된 상태에서, 벽 부재(57)와 벽 부재(58) 사이에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배치되고, 벽 부재(57)와 벽 부재(58)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양측에 배치된다.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벽 부재(57)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보다 오른쪽에 배치되고, 벽 부재(58)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제2 바닥부(51)와 벽 부재(57, 58)를 포함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지지 구조체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걸쳐서 배치된다.
벽 부재(58)는 벽 부재(57)를 향하는 대향면과, 대향면과 반대측의 반대면을 가지고 있다. 벽 부재(58)의 반대면에, 중계관 지지부(66)가 장착되어 있다. 중계관 지지부(66)에는 장착구(67)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구(67)는 예를 들면 U자 볼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의 장착구(67)가 중계관의 상면, 하면 및 한쪽의 측면을 둘러싸고, 장착구(67)의 양단이 중계관 지지부(66)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중계관(13)이 중계관 지지부(66)에 의해 지지된다.
빔부(46)는 제1 바닥부(4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빔부(47)는 제1 바닥부(4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빔부(46)는 전후 방향 X를 따라 연장되고 있다. 빔부(46)의 전단은 기둥 부재(61)의 상부에 고정된다. 빔부(46)의 후단은 기둥 부재(63)의 상단에 고정된다. 빔부(47)는 좌우 방향 Y를 따라 연장되고 있다. 빔부(47)는 빔부(46)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빔부(47)의 좌측 단은 빔부(46)의 하방에 있다. 빔부(47)의 우측 단이 기둥 부재(6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40)과, 지지 프레임(40)에 탑재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도 7, 8에 나타내어지는 3개의 기둥 부재(61, 62, 63)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기둥 부재(61, 62, 63)를 통하여 선회 프레임(31) 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 11은, 환원제(90)의 경로 및 엔진(7)의 배기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7)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는, 도입관(11), 제1 배기 처리 장치(12), 중계관(13), 제2 배기 처리 장치(14), 배기관(15)을 순서대로 거쳐, 대기 중에 배출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의 흐름의 상류측의 중계관(13)에 인젝터(27)가 설치되어 있다. 인젝터(27)는 분사 노즐(28)을 가지고 있다.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에는, 환원제(90)가 저류(貯留)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에는,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환원제(90)를 유출하는 흡출관(24)이 배치되어 있다. 흡출관(24)의 선단에는, 스트레이너(26)가 접속되어 있다. 흡출관(24)은 공급 배관(21)에 연결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된 환원제(90)는, 환원제 펌프(22)에 의해 이송되고, 공급 배관(21) 및 압송 배관(25)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인젝터(27)에 도달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지 않는 환원제(90)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리턴 배관(23)을 경유하여, 환원제 탱크(20)에 되돌려진다.
인젝터(27)는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한 환원제(90)를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의 상류측의 중계관(13)에 공급한다. 분사 노즐(28)에 의해, 중계관(13) 내를 흐르는 배기 중에 환원제(90)가 분사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있어서, 배기 중에 함유되는 질소 산화물이 환원제(90)와 반응하는 것에 의해, 배기 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가 감소된다. 환원제(90)가 요소수인 경우, 중계관(13) 내에 있어서 요소수는 분해되어 암모니아에 변화되고, 질소 산화물과 암모니아의 반응에 의해 질소 산화물은 무해한 질소 및 산소로 분해된다. 질소 산화물의 양이 적정값으로 저하된 배기가 배기구(16)로부터 배출된다.
전술한 설명과 일부 중복되는 기재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정리하여 기재하면, 이하와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L1)으로 나타내어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유압 셔블(1)의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길이 방향은, 축선(L2)으로 나타내어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면적의 선회 프레임(31) 상에,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12)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접속되는 배관의 경로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배기 처리 장치 및 배관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엔진(7) 및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유지보수 작업용 공간이 되는 발판(8C)의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의 작업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교차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상하 방향 Z로 중첩하여 배치함으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제2 배기 처리 장치(14)가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한정된 면적의 선회 프레임(31) 상에,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7)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제1 배기 처리 장치(12)에 안내하는 도입관(11)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측방을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고, 길이 방향이 교차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입관(11)의 상단을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면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입관(11)의 경로가 적절하게 설정되므로, 도입관(1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도입관(11) 내를 흐르는 배기의 흐름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12)를 지나간 배기를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안내하는 중계관(13)은,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면에 접속되고,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가, 제2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고, 길이 방향이 교차하고 있는 것에 의해, 중계관(13)의 상류 단을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면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중계관(13)을, 제1 배기 처리 장치(12)와 접속되는 위치의 하방으로부터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중계관(13)의 경로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중계관(13)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기 처리 장치(14)를 지나간 배기가 흐르는 배기관(15)은, 배기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배기구(16)를 가지고 있다. 배기구(16)는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측방에서, 유압 셔블(1)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배기관(15)의 상단의 배기구(16)의 높이 위치를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상면보다 낮게 함으로써, 배기관(15)이 캡(10)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유압 셔블(1)의 우후방의 시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배기 처리 커버(70)에 덮혀 있다. 배기 처리 커버(70)를 분리함으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12)에 용이하게 액세스가 가능하므로,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정기적인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배기 처리 커버(70)에 복수의 환기공(71∼7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가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인 경우, 필터로 포착된 입자형 물질을 연소 재생시키므로, 열을 발생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를 덮는 배기 처리 커버(70)에 복수의 환기공(71∼7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수용 공간을 용이하게 환기할 수 있고, 제1 배기 처리 장치(12)의 수용 공간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7)을 지지하는 선회 프레임(31)의 후측 에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12)는, 그 길이 방향이 선회 프레임(31)의 후측 에지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 및 배관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선회 프레임(31)의 면적이 작은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1)에, 복수의 배기 처리 장치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유압 셔블, 2: 주행체, 3: 선회체, 4: 작업기, 7: 엔진, 8: 차체 커버, 8A: 천장판, 8B: 엔진 후드, 8C: 발판, 10: 캡, 11: 도입관, 12: 제1 배기 처리 장치, 13: 중계관, 13A: 대경부, 14: 제2 배기 처리 장치, 15: 배기관, 16: 배기구, 27: 인젝터, 31: 선회 프레임, 31C: 센터 프레임, 31L: 좌측 사이드 프레임, 31R: 우측 사이드 프레임, 34L, 34R: 세로판, 35: 엔진 마운트, 40: 지지 프레임, 41: 제1 바닥부, 42, 43, 52, 53: 지지 브래킷, 44, 45, 54, 55, 67: 장착구, 46, 47: 빔부, 51: 제2 바닥부, 57, 58: 벽 부재, 61, 62, 63: 기둥 부재, 66: 중계관 지지부, 70: 배기 처리 커버, 71∼73: 환기공, 75: 배기 개구, 76: 차양부, L1, L2: 축선

Claims (7)

  1.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처리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지나간 배기를 처리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상방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교차하고 있는, 작업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안내하는 도입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입관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측방을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는, 작업 기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지나간 배기를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에 안내하는 중계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관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하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는, 작업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지나간 배기가 흐르는 배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은, 배기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배기구를 가지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측방에서, 상기 작업 기계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작업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실과,
    상기 엔진실을 덮는 차체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차체 커버의 천장판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판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덮는 배기 처리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기 처리 커버에 복수의 환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 기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선회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 에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후측 에지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기계.
KR1020237004098A 2020-09-04 2021-08-05 작업 기계 KR20230031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9376A JP2022043881A (ja) 2020-09-04 2020-09-04 作業機械
JPJP-P-2020-149376 2020-09-04
PCT/JP2021/029113 WO2022049992A1 (ja) 2020-09-04 2021-08-05 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366A true KR20230031366A (ko) 2023-03-07

Family

ID=8049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098A KR20230031366A (ko) 2020-09-04 2021-08-05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043881A (ko)
KR (1) KR20230031366A (ko)
CN (1) CN116096595A (ko)
DE (1) DE112021003395T5 (ko)
WO (1) WO20220499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73A (ko) 2013-05-31 2016-01-08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Led용 패턴 웨이퍼, led용 에피택셜 웨이퍼 및 led용 에피택셜 웨이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3226B2 (ja) * 2010-08-02 2012-09-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6451241B2 (ja) * 2014-11-17 2019-0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458509B2 (ja) * 2015-01-26 2019-01-3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745718B2 (en) 2015-08-21 2017-08-29 Komatsu Ltd. Hydraulic exca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73A (ko) 2013-05-31 2016-01-08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Led용 패턴 웨이퍼, led용 에피택셜 웨이퍼 및 led용 에피택셜 웨이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3395T5 (de) 2023-06-22
JP2022043881A (ja) 2022-03-16
WO2022049992A1 (ja) 2022-03-10
CN116096595A (zh)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769B1 (ko) 유압 셔블
KR101820587B1 (ko) 유압 쇼벨
KR101720599B1 (ko) 유압 셔블
KR101776120B1 (ko) 건설기계
KR101630253B1 (ko) 작업 차량
KR101568768B1 (ko) 작업 차량
KR101698288B1 (ko) 유압 셔블
KR101676983B1 (ko) 유압 셔블
EP2873825B1 (en) Working vehicle
US9534355B2 (en) Hydraulic excavator
WO2014184860A1 (ja) エンジンユニットおよび作業車両
KR20230031366A (ko) 작업 기계
EP3943672A1 (en) Construction machine
JP7223894B2 (ja) 建設機械
KR101598770B1 (ko) 유압 셔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