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876A -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 Google Patents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876A
KR20230030876A KR1020210113067A KR20210113067A KR20230030876A KR 20230030876 A KR20230030876 A KR 20230030876A KR 1020210113067 A KR1020210113067 A KR 1020210113067A KR 20210113067 A KR20210113067 A KR 20210113067A KR 20230030876 A KR20230030876 A KR 20230030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ston
panoramic
inflator
panoramic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876A/ko
Priority to US17/747,663 priority patent/US11840192B2/en
Publication of KR2023003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에 적용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은 파노라믹 도어(20)에 형성된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아래쪽에 위치된 인플레이터(40)의 가스 압력으로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피스톤(57)이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57)의 전진 이동으로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20-1)에서 측부 꺾임 배열을 형성한 와이어(80)가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되어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20-1)에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20-1)을 가려준 에어백(110)을 지지함으로써 탑승객(200)의 상체가 노출되는 크기를 갖는 파노라믹 윈도우(10)의 파손 시 탑승객 이탈의 위험성이 방지되어 북미 탑승자이탈방지 법규 충족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탑승객(200)의 이탈 위험성 방지가 에어백(110)의 CAB가 유발해 주는 승객이탈하중 반력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파노라믹 윈도우에서도 CAB와 SAB가 활용된 승객 보호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Panoramic Window Safety System and Vehicle Thereby}
본 발명은 파노라믹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 하에서도 승객 상체가 노출된 파노라믹 창 공간을 통한 탑승객 이탈 위험성이 방지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은 PBV(Purpose Built Vehicle)로 발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PBV는 활용,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하는 자율주행 지상 모빌리티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PBV는 파노라믹 윈도우(Panoramic Window)를 적용하고,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는 탑승객의 상체가 글라스 면에 노출된 윈도우 영역으로 차량 측면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는 윈도우의 넓은 글라스 면을 통해 탐승객에게 실내 개방감과 가시성이 증대된 외부 시야를 제공한다.
국내공개특허 KR 10-2009-0030553(2009년03월25일)
하지만,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는 글라스 면으로 탑승객의 상체가 노출됨으로써 승객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 시 탑승자 이탈방지 북미 법규를 충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상기 탑승자이탈방지 북미 법규는 PBW와 같은 파노라믹 윈도우 적용 차량에서 차량의 충돌(득히, 측면충돌) 시 탑승객이 글라스 면을 통해 윈도우에서 튕겨 나가지 않아야 함을 규정한다.
특히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는 승객 보호용 에어백 장치인 CAB와 SAB(Side Airbag)를 승객 이탈 방지에 활용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는 PBW 이외 일반 차량(즉, PBW 컨셉 미적용 차량)에 적용된 윈도우 구조가 낮은 윈도우 높이와 높이의 높은 차체 및 트림 구조로 충돌 시 SAB가 트림에 의해 지탱된 상태에서 CAB가 탑승객의 머리 영역을 지지함으로서 승객 이탈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반면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는 일반 차량의 윈도우 구조 대비 트림의 높이가 낮은 구조로 인해 SAB가 지탱되지 못한 상태에서 불충분한 승객 구속 반력을 제공할 수밖에 없으면서 과도한 승객이탈하중이 작용되는 CAB 만으로는 승객 구속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승객 상체를 노출하는 크기를 갖는 윈도우 글래스로 충돌에 따른 탑승객 이탈의 위험성을 방지함으로써 북미 탑승자이탈방지 법규 충족이 가능하고, 특히 탑승객 이탈 위험성 방지가 CAB로 유발되는 승객이탈하중 반력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파노라믹 윈도우에서도 CAB와 SAB가 활용된 승객 보호가 가능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은 파노라믹 창 공간이 형성된 파노라믹 도어;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아래쪽에 위치된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인플레이터 모듈;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한쪽에서 측부 꺾임 배열로 위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 압력에 의한 상기 측부 꺾임 배열의 중간부 직선 배열 전환으로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와이어를 구비한 와이어 모듈;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와이어는 강선(Steel Wire) 또는 700℃ 이상 고온에 견디는 재질의 와이어가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플레이터 모듈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피스톤 이동 공간의 중공 구조로 연통시키고,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에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한 피스톤이 상기 가스 압력으로 이동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이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측부 꺾임 배열을 상기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시켜 주는 피스톤 캐리지; 및 상기 피스톤 캐리지를 상기 파노라믹 도어에 고정시켜 주는 마운팅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피스톤 캐리지는 상기 피스톤의 앞쪽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캐리지의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이 구획되는 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피스톤의 앞쪽위치에서 상기 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 인플레이터, 상기 피스톤의 뒤쪽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과 연통하는 제2 인플레이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인플레이터와 상기 제2 인플레이터는 시간차를 두고 폭발하여 상기 가스 압력을 각각 발생시켜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실은 상기 제1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한 가스 역류가 차단되는 챔버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챔버 격벽은 상기 피스톤 캐리지의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에서 사선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피스톤 캐리지는 상기 와이어가 빠져 나오는 와이어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압력실을 구획하는 챔버 격벽의 앞쪽으로 형성된 확장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을 나와 상기 챔버 격벽을 통과한 상기 와이어가 빠져나오는 경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와이어를 관통하는 와이어 홀이 뚫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와이어 모듈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홀더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는 제1 와이어 홀더, 제2 와이어 홀더, 제3 와이어 홀더 및 제4 와이어 홀더의 조합으로 상기 측부 꺾임 배열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의 각각은 볼팅 체결 구조로 상기 파노라믹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의 각각은 화스너 끼움 구조로 상기 파노라믹 도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중간위치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바깥위치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는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압력에 의한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으로 파손되고, 상기 제1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중간부 직선 배열로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4 와이어 홀더와 상기 와이어의 고정은 와이어 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엔드는 고리 구조로 상기 제4 와이어 홀더의 볼팅형 바디에 걸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는 홀더 커버로 감싸인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컨트롤러와 연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백의 TTF(Time To Fire)에 맞춘 1차 인플레이터 신호와 상기 TTF의 타이밍 후 2차 인플레이터 신호로 상기 인플레이터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으로 전개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에어백과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 사이에서 상기 중간부 직선 배열로 상기 에어백에 승객이탈하중 반력을 유발시켜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파노라믹 윈도우가 결합되는 파노라믹 창 공간을 형성한 파노라믹 도어; 차량 충돌 시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 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아래쪽에 위치된 제1 인플레이터와 제2 인플레이터의 가스 압력으로 피스톤 캐리지의 피스톤 이동 공간을 피스톤이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의 전진 이동으로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에서 측부 꺾임 배열을 형성한 와이어가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되어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을 가려준 상기 에어백을 지지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충돌 센서의 충돌 신호를 모니터링 하고, 충돌 신호 확인 시 상기 제1 인플레이터와 상기 제2 인플레이터의 폭발을 타이밍 시간차로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타이밍 시간차는 상기 에어백의 TTF(Time To Fire)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제1 인플레이터는 상기 TTF와 동일한 타이밍을 적용하는 반면 상기 제2 인플레이터는 상기 TTF의 타이밍 후 지연 타이밍을 적용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백은 CAB(Curtain Airbag) 또는 SAB(Side Airbag)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이 탑승객의 안전성을 강화해 줌으로써 차량 특히 PBV(Purpose Built Vehicle) 및 PBV형 자율주행 차량에서 파노라믹 윈도우가 적용된 컨셉 개발이 매우 용이해 진다. 둘째, 차량 충돌, 특히 측면 충돌 시 일반 차량(즉, PBW 컨셉 미적용 차량)의 윈도우 구조와 같이 CAB와 SAB가 승객 보호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충돌에 따른 승객 이탈을 방지하는 CAB의 승객이탈하중 반력 유발에 CAB의 추가적인 마운팅 포인트가 이용됨으로써 도어나 차체 패널 부위를 이용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넷째, CAB의 승객이탈하중 반력 유발이 CAB 와이어링 지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탑승객의 객실 외부 이탈 거동이 최소화되므로 충돌 상황에서 PBV, 특히 PBV형 자율주행 차량의 파노라믹 윈도우 쪽 탑승객 안전도가 크게 향상된다. 다섯째, 승객이탈하중 반력의 유발이 ACU(Airbag Control Unit)의 제어로 CAB의 2단계 인플레이터 동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1개의 고화약 인플레이터 사용 대비 피스톤 캐리지/와이어 등의 시스템 구조물의 필요 강도가 하향되어 비용 측면을 개선할 수 있다. 여섯째, 파노라믹 윈도우 적용 PBV가 탑승자이탈방지 북미 법규를 만족하므로 북미 시장 소비자에게 차량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 모듈을 구성하는 인플레이터, 피스톤 캐리지 및 마운팅 브래킷이 조립된 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캐리지를 구성하는 피스톤의 구조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모듈 중 와이어 홀더를 구성하는 제1,2,3,4 와이어 홀더의 구성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홀더 중 최종 단계에 적용된 제4 와이어 홀더의 단면 상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모듈 중 와이어가 와이어 인출 경로를 형성하는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가 와이어 인출 경로 후 이어지는 와이어 설치 경로로 세팅 배열된 작동 전 상태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돌 시 컨트롤러 제어로 차량에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 측면으로 형성된 파노라믹 윈도우(10)에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은 PBV(Purpose Built Vehicle)이고, 특히 PBV형 자율주행 차량이다.
특히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은 에어백(110)의 팽창과 함께 장력이 형성되는 와이어 모듈(70)을 작동시킴으로써 탑승객(200)(도 8 참조)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에어백(110)에 승객이탈하중 반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파노라믹 윈도우(10)의 윈도우 글래스 파손 상태에서 탑승객(200)(도 8 참조)의 측면충돌 승객 이탈 위험성을 에어백(110)으로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이탈방지 북미 법규가 만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은 파노라믹 도어(20), 인플레이터 모듈(30) 및 와이어 모듈(70)로 구성되고, 에어백 시스템(100)과 연계됨으로써 윈도우 프레임(20)의 파노라믹 창 공간(20-1)쪽으로 전개 되어 탑승객(200)(도 8 참조)을 측면 충돌로부터 보호해 주는 에어백(110)의 작동과 연동된다.
일례로 상기 파노라믹 도어(20)는 얇은 판으로 이너와 아우터 패널로 도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부품 장착용 내부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바디에는 그 상부 구간으로 파노라믹 창 공간(20-1)이 형성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의 결합으로 파노라믹 윈도우(1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파노라믹 도어(20)는 일반 적인 차량에 적용된 도어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파노라믹 창 공간(20-1)이 일반 도어의 윈도우 창 대비 파노라믹 윈도우(10)의 사이즈(Size)에 맞춘 크기로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일례로 상기 인플레이터 모듈(30)은 인플레이터(40), 피스톤 캐리지(50) 및 마운팅 브래킷(6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피스톤 캐리지(50)는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내부 공간에서 가로 배열(또는 수평 배열)로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바디(예, 이너 패널 또는 아우터 패널)의 폭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도어 바디에 스크류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어 피스톤 캐리지(50)를 고정하여 주며, 상기 인플레이터(40)는 피스톤 캐리지(50)의 압력실(53)(도 2 참조)에 가스 압력을 형성하도록 피스톤 캐리지(5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플레이터(40)는 한 쌍의 제1 인플레이터(40A)와 제2 인플레이터(4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플레이터(40A)가 폭발한 후 이어 제2 인플레이터(40B)가 폭발하는 순서로 작동된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 모듈(70)은 와이어(80)와 와이어 홀더(9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 홀더(90)는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바디에 고정되어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주변 테두리로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80)는 와이어 홀더(90)에 걸쳐져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파노라믹 도어(20)의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주변 테두리를 따라 도어 바디의 한쪽 부위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80)는 탑승객(200)(도 8 참조)이 가하는 충격을 견디도록 충분한 강성(Stiffness)을 갖는 소정 직경의 강선(Steel Wire) 또는 700°C 이상의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적용되며, 그 끝단부위를 고리 구조로 와이어 엔드(80A)(도 6 및 도 7 참조)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강선 직경은 탑승객(200)(도 8 참조)이 가하는 충격을 견디도록 충격 하중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홀더(9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주변 테두리에서 “ㄷ”형상(또는 측부 꺾임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와이어(80)가 “ㄷ”형상(또는 측부 꺾임 형상)으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에어백 시스템(100)은 에어백(110), 충돌 센서(120) 및 컨트롤러(13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에어백(110)은 CAB(Curtain Airbag) 또는 SAB(Side Airbag)이다.
특히 상기 에어백(110)은 차량(1)의 천정 부위 또는 천정으로 이러진 트림 부위에 내장되고, 전개 방향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파노라믹 도어(20)의 위쪽에서 파노라믹 창 공간(20-1)을 가려 준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30)는 차량(1)의 외부 충돌(예, 측면 충돌)을 검출한 충돌 센서(120)의 충돌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그러므로 상기 에어백(110), 상기 충돌 센서(120) 및 상기 컨트롤러(130)는 일반적인 차량에 적용된 에어백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130)는 CAB(Curtain Airbag), SAB(Side Airbag), DAB(Driver Airbag), PAB(Passenger Airbag) 및 KAB(Knee Airbag) 중 어느 하나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ACU(Airbag Control Unit)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컨트롤러(130)는 충돌 센서(120)의 충돌 신호를 인식하여 에어백 신호(k)로 에어백(110)을 터트리면서 동시에 인플레이터(40) 중 제1 인플레이터(40A)에 대한 1차 인플레이터 신호(a)의 출력 후 이어진 제2 인플레이터(40B)에 대한 2차 인플레이터 신호(b)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한 로직 또는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차이가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상기 인플레이터 모듈(30)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플레이터 모듈(30)은 한 쌍의 제1,2 인플레이터(40A,40B)로 이루어진 인플레이터(40), 피스톤 캐리지(50) 및 한 쌍의 제1,2,3 마운팅 브래킷(60A,60B,60C)로 이루어진 마운팅 브래킷(60)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2 인플레이터(40A,40B)의 각각은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1 인플레이터(40A)는 피스톤 캐리지(50)의 앞쪽 구간에서 압력실(53)과 연통되도록 위치됨으로써 1차 인플레이터 신호(a)에 의한 폭발로 가스를 피스톤 캐리지(50)의 압력실(53)로 보내 압력실의 내부 공간 압력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제2 인플레이터(40B)는 피스톤 캐리지(50)의 중간 구간에서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과 연통되도록 위치됨으로써 2차 인플레이터 신호(b)에 의한 폭발로 가스를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로 보내 피스톤 이동 공간 압력을 높여준다.
그러므로 상기 제1,2 인플레이터(40A,40B)는 피스톤 캐리지(50)의 앞쪽 구간과 중간 구간으로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앞쪽 구간은 마운팅 브래킷(60) 중 제1 마운팅 브래킷(60A)이 위치되며, 상기 중간 구간은 마운팅 브래킷(60) 중 제2 마운팅 브래킷(60B)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제1,2 인플레이터(40A,40B)가 사용됨으로써 1개의 고화약 인플레이터 사용에 따른 피스톤 캐리지(50)와 와이어(80)등의 시스템 구조물에 요구되는 필요 강도를 하향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피스톤 캐리지(50)는 일단이 막혀진 상태이면서 타단은 개방구졸로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형성한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피스톤 캐리지(50)는 전체 길이를 3개의 제1,2,3 마운팅 브래킷(60A,60B,60C)로 지지됨으로써 2개의 제1,2 인플레이터(40A,40B)에서 발생하는 가스 압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3 마운팅 브래킷(60A,60B,60C) 중 제1 마운팅 브래킷(60A)은 압력실(53)쪽에서 제1 인플레이터(40A)와 근접 위치되어 피스톤 캐리지(50)의 앞쪽 구간을 고정하며, 상기 제2 마운팅 브래킷(60B)은 제1 인플레이터(40B)와 근접 위치되어 피스톤 캐리지(50)의 중간 구간을 고정하고, 상기 제3 마운팅 브래킷(60C)은 피스톤 스토퍼(50A)(도 7 참조)쪽에 위치되어 피스톤 캐리지(50)의 뒤쪽 구간을 고정한다.
나아가 상기 피스톤 캐리지(50)는 밀폐 구조의 일단에 압력실(53)과 와이어 가이드(55)를 구비하고, 피스톤 이동 공간(51)에 피스톤(57)을 내장한다.
일례로 상기 압력실(53)은 피스톤 이동 공간(51)의 밀폐 구조에서 끝단 벽과 피스톤(57)으로 막혀진 피스톤 캐리지(50)의 앞쪽 구간을 형성하고, 제1 인플레이터(40A)가 연결되어 제1 인플레이터(40A)의 가스 압력으로 채워지는 압력 챔버로 작용함으로써 피스톤(57)이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에서 전진 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실(53)은 챔버 격벽(53c)로 구획된 폭발 챔버(53a)와 확장 챔버(53b)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폭발 챔버(53a)는 챔버 격벽(53c)과 피스톤(57)으로 막혀진 폐쇄 공간을 이루어 제1 인플레이터(40A)의 가스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확장 챔버(53b)는 챔버 격벽(53c)과 피스톤 캐리지(50)의 밀폐 벽으로 막혀진 폐쇄 공간을 이루어 와이어 가이드(55)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 격벽(53c)은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의 내경과 일체화된 사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폭발 챔버(53a)의 폭발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스톤(57)이 가스 압력을 온전히 받아 전진 운동으로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확장 챔버(53b)는 피스톤(57)과 챔버 격벽(53c)을 자난 와이어(80)가 와이어 가이드(55)로 빠져 나가는 와이어 인출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격벽(53c)은 와이어(80)가 관통하는 중앙 홀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 가이드(55)는 중공 관으로 이루어져 확장 챔버(53b)와 연통됨으로써 와이어(80)가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에서 빠져나오는 인출 경로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 가이드(55)는 절곡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 구조는 피스톤 캐리지(50)의 후방(즉, 도 7의 피스톤 스토퍼(50A) 방향)을 향해 경사짐으로써 와이어(80)가 피스톤 캐리지(50)의 중간 구간(즉, 제2 마운팅 브래킷(60B)의 위치)에서 와이어 홀더(90)와 결합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피스톤(57)은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에서 압력실(53)을 막아줌으로써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압력실(53)의 전방 구간과 피스톤 스토퍼(50A)(도 6 및 도 7 참조)의 후방 구간으로 구분한다.
그러므로 상기 피스톤(57)은 2개의 제1,2 인플레이터(40A,40B)에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가스 압력에 의한 지속적인 피스톤 전진 운동 유도로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 전진 운동의 전방은 압력실(53)쪽이고, 후방은 피스톤 스토퍼(50A)(도 7 참조)쪽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57)은 원통체의 피스톤 바디(57a)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 바디(57a)는 피스톤 전면으로 형성된 피스톤 홈(57b)을 이용하여 와이어 클램프(80-1)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홈(57b)의 중앙에는 피스톤 바디(57a)를 관통하도록 와이어 홀(57c)이 뚫려짐으로써 와이어(80)가 피스톤 홈(57b)쪽에서 와이어 홀(57c)에 끼워져 피스톤 바디(57a)를 관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스톤(57)의 직경은 가스 압력으로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 저항을 최소화 하도록 피스톤 이동 공간(51)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나 또는 동일한 크기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57)과 피스톤 이동 공간(51)이 동일한 직경 인 경우, 상기 피스톤(57)의 외주면 또는 피스톤 이동 공간(51)의 내주면에 대한 가공 정도로 마찰력을 줄여 줄 수 있다.
반면 도 4 및 도 5는 상기 와이어 홀더(9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홀더(90)는 4개의 제1,2,3,4 와이어 홀더(90A,90B,90C,90D)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4 와이어 홀더(90A,90B,90C,90D)는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바디에 결합되어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반쪽 구간(즉, 피스톤 캐리지(50)를 고정하는 제2 마운팅 브래킷(60B)에서 제1 마운팅 브래킷(60A)이 위치되는 구간)으로 배열된다.
일례로 상기 제1,2,3,4 와이어 홀더(90A,90B,90C,90D) 중 제1 와이어 홀더(90A)는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아래쪽에서 제2 마운팅 브래킷(60B)의 위치로 도어 바디에 결합되고, 제2 와이어 홀더(90B)는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아래쪽에서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일측(즉, 좌측)으로 도어 바디에 결합되며, 제3 와이어 홀더(90C)는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위쪽에서 제2 와이어 홀더(90B)와 마주 하는 위치로 도어 바디에 결합되며, 제4 와이어 홀더(90D)는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위쪽에서 제1 와이어 홀더(90A)와 마주 하는 위치로 도어 바디에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제1 와이어 홀더(90A)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90D)의 각각은 볼팅형 구조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바디에 볼트 또는 스크류(도시되지 않음)의 체결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와이어 홀더(90A)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90D)의 각각은 축 홀(93)이 뚫려진 볼팅형 바디(91)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볼팅형 바디(91)는 I 단면 구조로 중간 구간을 형성한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 홀(93)은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바디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 또는 볼트를 관통시켜 준다.
다만 상기 제4 와이어 홀더(90D)는 볼팅형 바디(91)를 감싸는 뚜껑 구조의 홀더 커버(95)와 결합되고, 상기 홀더 커버(95)는 걸림턱(95a)을 형성한 뚜껑 입구부에서 소정 높이까지 수직하게 갈라져 와이어(80)가 끼워지는 와이어 슬릿(95b)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 슬릿(95b)은 180°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2 와이어 홀더(90B)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90C)의 각각은 화스너형 구조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파노라믹 도어(20)의 도어 바디에 뚫린 도어 바디 홀(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와이어 홀더(90B)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90C)의 각각은 축 홀(93)이 뚫려진 화스너형 바디(92)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화스너형 바디(92)는 I 단면 구조로 중간 구간을 형성한 원뿔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 홀(93)은 화스너형 바디(92)의 하부 원뿔부위에 대한 탄성 변형을 보다 크게 형성시켜 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와이어 홀더(90D)와 상기 홀더 커버(95)의 결합 구조는 홀더 커버(95)가 입구 부위에서 원형을 이루는 걸림턱(95a)으로 볼팅형 바디(91)의 돌출부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제4 와이어 홀더(90D)를 뚜껑 구조로 감싸여 고정됨이 예시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상기 와이어(80)가 피스톤 캐리지(50)와 제1,2,3,4 와이어 홀더(90A,90B,90C,90D)를 이용한 세팅 배열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0)는 와이어 인출 경로로 피스톤 캐리지(50)를 빠져 나온 후 와이어 설치 경로로 제1,2,3,4 와이어 홀더(90A,90B,90C,90D)에 지지됨으로써 작동 전 상태를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80)의 와이어 인출 경로는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 -> 와이어 클램프(80-1) -> 피스톤(57) -> 와이어 가이드(55)로 형성된다. 이 경우 “->”는 진행 절차의 순서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80)가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으로 들어가고,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51)에서 피스톤(57)의 피스톤 홈(57b)에 위치된 와이어 클램프(80-1)로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 홀(57c)을 통해 압력실(53)로 나오며, 상기 압력실(53)의 챔버 격벽(53c)을 관통하여 확장 챔버(53b)로 들어간 후 와이어 가이드(55)로 인출됨으로써 피스톤 캐리지(50)를 빠져나오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 클램프(80-1)는 피스톤(57)의 피스톤 홈(57b)의 구조에 따라 축형 와이어 클램프(80-1A) 또는 원주형 와이어 클램프(80-1B)를 적용한다. 이 경우 상기 축형 와이어 클램프(80-1A)와 상기 원주형 와이어 클램프(80-1B)는 통상적인 클램프 구조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80)의 와이어 설치 경로는 제1 와이어 홀더(90A) -> 제2 와이어 홀더(90B) -> 제3 와이어 홀더(90C) -> 제4 와이어 홀더(90D) -> 홀더 커버(95)로 형성된다. 이 경우 “->”는 진행 절차의 순서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80)가 뒤쪽으로 잡아 당겨져 피스톤 캐리지(50)의 와이어 가이드(55)에서 적절한 길이로 인출되어 제1 와이어 홀더(90A)의 바깥쪽에서 볼팅형 바디(91)의 I 단면 구조에 걸쳐 주고, 이어 와이어(80)를 앞쪽으로 잡아 당겨 제2 와이어 홀더(90B)의 안쪽에서 화스너형 바디(92)의 I 단면 구조에 걸쳐 주며, 계속해서 와이어(80)를 위쪽으로 잡아 당겨 제3 와이어 홀더(90C)의 안쪽에서 화스너형 바디(92)의 I 단면 구조에 걸쳐 주고, 이어 와이어(80)를 뒤쪽으로 잡아 당겨 제4 와이어 홀더(90D)의 I 단면 구조에 와이어 엔드(80A)의 고리 구조를 걸어 준 후 홀더 커버(95)의 와이어 슬릿(95b)을 와이어(80)에 끼운 상태에서 홀더 커버(95)를 눌러줌으로써 홀더 커버(95)가 걸림턱(95a)으로 제4 와이어 홀더(90D)의 볼팅형 바디(91)와 고정시켜 완료 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피스톤 캐리지(50)의 개방 구조 입구 부위를 압착 공구(50-1)로 좁혀 피스톤 스토퍼(50A)를 형성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 스토퍼(50A)는 피스톤 이동 공간(51)의 직경을 미소하게 축소하여 피스톤 걸림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제1,2 인플레이터(40A,40B)의 폭발 시 피스톤(57)이 피스톤 캐리지(50)에 의해 마찰력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피스톤 스토퍼(50A)는 피스톤(57)으로 파손되더라도 일부 이탈된 피스톤(57)을 피스톤 캐리지(50) 자체로 고정하여 반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와이어 홀더(90A), 상기 제2 와이어 홀더(90B), 상기 제3 와이어 홀더(90C) 및 상기 제4 와이어 홀더(90D)는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직사각형 형상에서 일측(즉, 좌측)으로 “ㄷ”형상(또는 측부 꺾임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이에 걸쳐져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는 와이어(80)도 ㄷ”형상(또는 측부 꺾임 형상)으로 배열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차량(1)의 충돌 상황에서 상기 컨트롤러(130)가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을 에어백 시스템(100)을 연동하여 제어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130)는 로직 또는 프로그램으로 충돌 센서(120)를 모니터링하다 충돌 센서(120)의 펄스 발생이 확인되면, 에어백(110)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신호(k)인 CAB TTF(Time To fire)와 동일한 타이밍에 맞춰 1차 인플레이터 신호(a)를 발생시킨 후 약 2ms 후 2차 인플레이터 신호(b)를 발생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제1 인플레이터(40A)는 컨트롤러(130)의 제어로 에어백(110)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신호(k)인 CAB TTF(Time To fire)와 동일한 타이밍에 맞춰 발생된 1차 인플레이터 신호(a)로 폭발하고, 상기 제1 인플레이터(40A)의 가스 압력은 피스톤 스토퍼(50A)의 압력실(53) 내 압력을 높여 준다.
또한, 상기 제2 인플레이터(40B)는 1차 인플레이터 신호(a)의 출력에 이어 약 2ms 후 발생된 2차 인플레이터 신호(b)로 폭발하고, 상기 제2 인플레이터(40B)의 가스 압력은 피스톤 스토퍼(50A)의 피스톤 이동 공간(51) 내 압력을 높여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 인플레이터(40A,40B)는 컨트롤러(130)의 1차 인플레이터 신호(a)로 제1 인플레이터(40A)의 폭발이 먼저 일어난 후 2차 인플레이터 신호(b)로 제2 인플레이터(40B)의 폭발이 나중에 일어나는 순차적인 폭발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2 인플레이터(40A,40B)는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가스 압력을 발생함으로써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에서 피스톤(57)의 전진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도하여 준다.
최종적으로 상기 와이어(80)는 제1,2 인플레이터(40A,40B)의 폭발로 이동된 피스톤(57)으로 당겨짐으로써 “ㄷ”형상 배열 (또는 측부 꺾임 배열)이 강한 힘으로 와이어 장력이 증가하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와이어 장력 증가는 와이어(80)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와이어(80)를 안쪽에 위치시킨 제2,3 와이어 홀더(90B,90C)는 와이어(80)의 강한 와이어 당김력으로 파손되는 반면 와이어(80)를 바깥쪽에 위치시킨 제1,4 와이어 홀더(90A,90D)는 파손되지 않고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80)는 제4 와이어 홀더(90D)에 와이어 엔드(80A)의 고리 구조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ㄷ”형상 배열(또는 측부 꺾임 배열)이 “I”형상 배열(또는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되고, 상기 와이어(80)는 “차량외부 상태”와 같이 파노라믹 도어(20)의 파노라믹 창 공간(20-1)에 “I”형상 배열(또는 중간부 직선 배열)의 수직한 세로라인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에어백(110)은 팽창되어 파노라믹 도어(20)의 파노라믹 창 공간(20-1)을 가린 상태에서 “차량내부 상태”와 같이 탑승객(200)이 가하는 충격을 받지만, 상기 에어백(110)의 바깥쪽이 “I”형상 배열(또는 중간부 직선 배열)의 와이어(80)로 지지됨으로써 에어백(110)이 과도한 승객이탈하중을 막아 승객 구속이 가능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은 와이어(80)를 ㄷ”형상 배열(또는 측부 꺾임 배열)에서 “I”형상 배열(또는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시킴으로써 에어백 시스템(100)의 에어백(110)(즉, CAB)이 충돌에 따른 승객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객이탈하중 반력 유발을 유도하여 준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 적용된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1-1)은 파노라믹 도어(20)에 형성된 파노라믹 창 공간(20-1)의 아래쪽에 위치된 인플레이터(40)의 가스 압력으로 피스톤 캐리지(50)의 피스톤 이동 공간(51)을 피스톤(57)이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57)의 전진 이동으로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20-1)에서 측부 꺾임 배열을 형성한 와이어(80)가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되어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20-1)에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20-1)을 가려준 에어백(110)을 지지함으로써 탑승객(200)의 상체가 노출되는 크기를 갖는 파노라믹 윈도우(10)의 파손 시 탑승객 이탈의 위험성이 방지되어 북미 탑승자이탈방지 법규 충족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탑승객(200)의 이탈 위험성 방지가 에어백(110)의 CAB가 유발해 주는 승객이탈하중 반력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파노라믹 윈도우에서도 CAB와 SAB가 활용된 승객 보호가 가능하다.
1 : 차량
1-1 :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0 : 파노라믹 윈도우 20 : 파노라믹 도어
20-1 : 파노라믹 창 공간 30 : 인플레이터 모듈
40 : 인플레이터 40A,40B : 제1,2 인플레이터
50 : 피스톤 캐리지 50-1 : 압착 공구
50A : 피스톤 스토퍼 51 : 피스톤 이동 공간
53 : 압력실 53a : 폭발 챔버
53b : 확장 챔버 53c : 챔버 격벽
55 : 와이어 가이드 57 : 피스톤
57a : 피스톤 바디 57b : 피스톤 홈
57c : 와이어 홀 60 : 마운팅 브래킷
60A,60B,60C : 제1,2,3 마운팅 브래킷
70 : 와이어 모듈 80 : 와이어
80A : 와이어 엔드 80-1 : 와이어 클램프
80-1A : 축형 와이어 클램프 80-1B : 원주형 와이어 클램프
90 : 와이어 홀더
90A,90B,90C,90D : 제1,2,3,4 와이어 홀더
91 : 볼팅형 바디 92 : 화스너형 바디
93 : 축 홀 95 : 홀더 커버
95a : 걸림턱 95b : 와이어 슬릿
100 : 에어백 시스템
110 : 에어백 120 : 충돌 센서
130 : 컨트롤러
200 : 탑승객

Claims (20)

  1. 파노라믹 창 공간이 형성된 파노라믹 도어;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아래쪽에 위치된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인플레이터 모듈; 및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한쪽에서 측부 꺾임 배열로 위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 압력에 의한 상기 측부 꺾임 배열의 중간부 직선 배열 전환으로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와이어를 구비한 와이어 모듈;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강선(Steel Wire) 또는 700℃ 이상 고온에 견디는 재질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모듈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피스톤 이동 공간의 중공 구조로 연통시키고,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에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한 피스톤이 상기 가스 압력으로 이동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이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측부 꺾임 배열을 상기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시켜 주는 피스톤 캐리지; 및
    상기 피스톤 캐리지를 상기 파노라믹 도어에 고정시켜 주는 마운팅 브래킷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캐리지는 상기 피스톤의 앞쪽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캐리지의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이 구획되는 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피스톤의 앞쪽위치에서 상기 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 인플레이터, 상기 피스톤의 뒤쪽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과 연통하는 제2 인플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플레이터와 상기 제2 인플레이터는 시간차를 두고 폭발하여 상기 가스 압력을 각각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은 상기 제1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한 가스 역류가 차단되는 챔버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챔버 격벽은 상기 피스톤 캐리지의 상기 피스톤 이동 공간에서 사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캐리지는 상기 와이어가 빠져 나오는 와이어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압력실을 구획하는 챔버 격벽의 앞쪽으로 형성된 확장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을 나와 상기 챔버 격벽을 통과한 상기 와이어가 빠져 나오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와이어를 관통하는 와이어 홀이 뚫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모듈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홀더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는 제1 와이어 홀더, 제2 와이어 홀더, 제3 와이어 홀더 및 제4 와이어 홀더의 조합으로 상기 측부 꺾임 배열을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반쪽 구간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의 각각은 볼팅 체결 구조로 상기 파노라믹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의 각각은 화스너 끼움 구조로 상기 파노라믹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중간위치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바깥위치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3 와이어 홀더는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압력에 의한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으로 파손되고,
    상기 제1 와이어 홀더와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중간부 직선 배열로 유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4 와이어 홀더와 상기 와이어의 고정은 와이어 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엔드는 고리 구조로 상기 제4 와이어 홀더의 볼팅형 바디에 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4 와이어 홀더는 홀더 커버로 감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컨트롤러와 연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백의 TTF(Time To Fire)에 맞춘 1차 인플레이터 신호와 상기 TTF의 타이밍 후 2차 인플레이터 신호로 상기 인플레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으로 전개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에어백과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 사이에서 상기 중간부 직선 배열로 상기 에어백에 승객이탈하중 반력을 유발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18. 파노라믹 윈도우가 결합되는 파노라믹 창 공간을 형성한 파노라믹 도어;
    차량 충돌 시 상기 파노라믹 윈도우 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의 아래쪽에 위치된 제1 인플레이터와 제2 인플레이터의 가스 압력으로 피스톤 캐리지의 피스톤 이동 공간을 피스톤이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의 전진 이동으로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에서 측부 꺾임 배열을 형성한 와이어가 중간부 직선 배열로 전환되어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파노라믹 창 공간을 가려준 상기 에어백을 지지하는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충돌 센서의 충돌 신호를 모니터링 하고, 충돌 신호 확인 시 상기 제1 인플레이터와 상기 제2 인플레이터의 폭발을 타이밍 시간차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시간차는 상기 에어백의 TTF(Time To Fire)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제1 인플레이터는 상기 TTF와 동일한 타이밍을 적용하며, 상기 제2 인플레이터는 상기 TTF의 타이밍 후 지연 타이밍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CAB(Curtain Airbag) 또는 SAB(Side Airb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10113067A 2021-08-26 2021-08-26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KR20230030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67A KR20230030876A (ko) 2021-08-26 2021-08-26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US17/747,663 US11840192B2 (en) 2021-08-26 2022-05-18 Panoramic window safety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67A KR20230030876A (ko) 2021-08-26 2021-08-26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76A true KR20230030876A (ko) 2023-03-07

Family

ID=8528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67A KR20230030876A (ko) 2021-08-26 2021-08-26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40192B2 (ko)
KR (1) KR202300308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553A (ko) 2007-09-20 2009-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래스의 프레임 채널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4072A (en) * 1992-09-23 1994-06-28 Morton International, Inc. Side impact air bag
JPH09150703A (ja) * 1995-09-25 1997-06-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256448B1 (ko) * 1997-12-30 2000-05-15 정몽규 버스의 윈도우에 장착되는 에어백
DE29907912U1 (de) * 1999-05-04 1999-09-16 Trw Repa Gmbh Seitengassack-Rückhaltesystem
US6168194B1 (en) * 1999-08-05 2001-01-02 Trw Inc. Inflatable curtain with tensioning device
DE10024293B4 (de) * 2000-05-17 2013-06-13 TAKATA Aktiengesellschaft Luftsackanordnung
DE10140982A1 (de) * 2000-08-25 2002-03-07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mit Gassack
GB2369091B (en) * 2000-11-16 2004-02-04 Autoliv Dev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DE10349209A1 (de) * 2003-10-23 2005-05-25 Robert Bosch Gmbh Rückhaltesystem für Fahrzeuginsassen
US7178827B2 (en) * 2004-02-10 2007-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ejection prevention assembly
US10525925B2 (en) * 2017-10-06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assembly
KR102064843B1 (ko) * 2018-04-23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DE102018115025A1 (de) * 2018-06-22 2019-12-24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mit einem Gassackmodul
KR20230011759A (ko) * 2021-07-14 2023-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553A (ko) 2007-09-20 2009-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래스의 프레임 채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3413A1 (en) 2023-03-02
US11840192B2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326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063350B2 (en) Dual chamber side airbag apparatus and method
JP4057526B2 (ja) 頭上で使用するための薄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デザイン
EP3333022B1 (en) Vehicle side section structure
US7658403B2 (en) Side airbag apparatus
US7334813B2 (en) Mot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6299203B1 (en) Airbag device in a vehicle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airbag device
US20080082236A1 (en) Airbag apparatus
EP1568546B1 (en) Curtain airbag with cascade inflator
US20080179864A1 (en) Airbag apparatus
US7234728B2 (en) Airbag system
US6866292B2 (e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JP4395172B2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6402191B1 (en) Inflatable air bag system which serves as a protective wall in front of a vehicle sidewall
US20130264804A1 (en) Seatbelt anchor airbag
KR20230030876A (ko) 파노라믹 윈도우 안전 시스템 및 차량
US7163234B2 (en) Vehicular cross car beam assembly having an integral air bag inflator
JP6646119B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5609355A (en) Deployment apparatus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KR101081701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US7393007B2 (en) Airbag device
JP4301123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220158443A (ko) 차량의 에어백
KR100547299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JP5061811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