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452A -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452A
KR20230030452A KR1020210112689A KR20210112689A KR20230030452A KR 20230030452 A KR20230030452 A KR 20230030452A KR 1020210112689 A KR1020210112689 A KR 1020210112689A KR 20210112689 A KR20210112689 A KR 20210112689A KR 20230030452 A KR20230030452 A KR 2023003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information
sci
communication
unlicense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규
김대원
한태규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21011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452A/ko
Priority to EP22192000.2A priority patent/EP4142356A1/en
Priority to CN202211024116.XA priority patent/CN115734390A/zh
Priority to US17/894,494 priority patent/US20230070908A1/en
Publication of KR2023003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IN UNLICENCED BAND}
아래의 설명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음성 신호만이 송수신되는 1세대 이동통신이 시작된 뒤, 이동 통신은 현재 5세대(이하, 5G) 이동통신까지 진화되었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및 대량연결(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현재, 진보된 소형 셀, 클라우드 RAN(radio access network), 초 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D2D(device-to-device) 통신, 무선 백홀, 이동 네트워크, 협력 통신, CoMP(coordinated multi-point) 송수신, 간섭 완화 및 취소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5G 이동통신 기술은 새로운 라디오 액세스 테크놀로지(RAT)으로 NR(new radio)로 불린다. NR은 다양한 통신 유형을 지원할 수 있다. NR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즉, C(Cellular)-V2X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V2X 통신은 차량과 사물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V2X 통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V2X 통신을 통해 다양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기반의 V2X 통신이 C-V2X로 불릴 수 있다. 특히 NR 기반의 V2X 통신이 NR-V2X로 불릴 수 있다.
C(Cellular)-V2X 통신을 위해, 통신 연결의 무결성(또는 URLLC)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진행되고 있으나, 송신 데이터의 양(또는 수신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C-V2X 통신을 위한 대역(즉,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의 스펙트럼이 따로 설정되어 있으며, C-V2X 통신 중 대부분의 신호 교환이 면허 대역에서 이루어지나, 외부의 장애물 등의 원인으로 통신의 오류가 생기거나, 신뢰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C-V2X 통신은 기본적으로 차량과 사물 간의 통신으로 신호의 신뢰성 및 저지연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C-V2X 통신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할 필요성이 요구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이 설정되어 있으나,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에서 C-V2X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SCI 포맷에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가 더 요구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사용자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결정하고,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비면허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허 대역을 통한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외부의 장애물 등의 원인으로 통신의 오류가 생기거나, 신뢰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비면허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비면허 대역을 통한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신뢰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면허 대역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이 새롭게 정의되고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롭게 정의된 정보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 장치는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롭게 정의된 정보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 장치는 비면허 대역에서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롭게 정의된 정보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 장치는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 점유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 통신의 기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NR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NR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5.9 GHz의 대역 플랜을 도시한다.
도 5는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들의 간소화된 블록도(simplified block diagram)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게이트웨이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통신의 기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는 NR,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또는 무선랜(예를 들어, Wi-Fi 802.11a/b/g/n/ac/ax/b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차량(101, 102), TV(103), 스마트폰(1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차량(101), 차량(102), TV(103), 스마트폰(104))는 예시적인 것이며,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 서버, IOT(Internet of Thing) 기기,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의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이하,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무선 단말(또는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지국(110)과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장치 또는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송신 포인트(transmit point, TP), 송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 TRP), 강화된 기지국(enhanced base station 또는 eNB), 5G 기지국(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리지(111)는 기지국(1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한계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커버리지(111)는 원형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리지(111)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리지(111)은 2차원적인 영역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3차원적인 공간(예: 반구 또는 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레거시 통신 및/또는 5G 통신을 통해 제어 메시지 (control message)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베어러 설정(bearer setup),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EPC(Evolved Packet Core))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지국(11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전자 장치가 직접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1) 및 차량(102)는 기지국(11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01) 및 차량(102)는 사이드 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TV(103) 및 스마트폰(104)은 기지국(110)을 통하지 않고, 다양한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Wi-Fi)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의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의 기지국(110)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110)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복수의 전자장치들과 연결이 수립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들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 중 제1 기지국에 연결된 제1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고, 복수의 기지국 중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립하는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된 뒤, 제1 전자 장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이 BS(base station)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 연결된 전자 장치가 UE(user equipment)로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NR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UE 1(210) 및 UE 2(220)은 BS(20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E 1(210) 및 UE 2(220)은 BS(20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UE 1(210) 및 UE 2(220)은 BS(2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E 1(210) 및 UE 2(220)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자원에 관한 정보(또는 자원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를 BS(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UE 1(210) 및 UE 2(220)는 BS(200)으로부터 수신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자원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자원을 통해 UE 1(210) 및 UE 2(220)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S(200)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복수의 자원에 관한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DCI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도 3은 NR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UE 1(210)만 BS(200)에 연결되어 있고, UE 2(220)은 BS(2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E 1(210) 및 UE 2(220) 중 UE 1(210)만 복수의 자원에 관한 정보(또는 자원 풀(pool)에 관한 정보)를 BS(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UE 1(210)은 복수의 자원(resource) 내에서 자원 유닛을 선택하고, 선택된 자원을 통해서 UE 2(220)에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UE 2(220)는 UE 1(210)이 선택한 자원을 식별하고, UE 1(210)이 선택한 자원을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UE 1(210)만 BS(200)에 연결되어 있고, UE 2(220)은 BS(2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BS(200)을 통해 복수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 예가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도 2의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UE 1(210)은 PSC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UE 2(220)에게 송신하고, 상기 SCI에 기반하여,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UE 2(220)에게 송신함으로써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CI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DCI 및 SCI에 대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DCI 포맷의 예가 설명될 수 있다. DCI 포맷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DCI 포맷은 DCI 포맷 0, DCI 포맷 1 및 DCI 포맷 2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0는 DCI 포맷 0_0, DCI 포맷 0_1 및 DCI 포맷 0_2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0는 상향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0_0은 하나의 셀(또는 UL(uplink) 셀)에서 PUSCH의 스케줄링에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0_1은 하나의 셀에서 하나 이상의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0_1은 configured grant PUSCH를 위한 DFI(downlink feedback information)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DCI 포맷 0_0 및 DCI 포맷 0_1은 eMBB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0_2는 하나의 셀에서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0_2는 URLLC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또는 sharing spectrum)에서 DCI 포맷 0는 상술한 정보와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0_0 및 0_1은 채널 접근 타입(channel access type)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에서, DCI 포맷 0_1은 DFI(downlink feedback indication)인지 uplink grant인지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1은 DCI 포맷 1_0, DCI 포맷 1_1 및 DCI 포맷 1_2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1은 하향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1_0는 하나의 셀(또는 DL(downlink) 셀)에서 PD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1_1은 하나의 셀에서 PD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1_1은 one shot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ACK(acknowledgement) codebook feedback을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DCI 포맷 1_0 및 DCI 포맷 1_1은 eMBB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1_2는 하나의 셀에서 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1_2는 URLLC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또는 sharing spectrum)에서 DCI 포맷 1은 상술한 정보와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1_0 및 1_1은 채널 접근 타입(channel access type)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2는 DCI 포맷 2_0, DCI 포맷 2_1, DCI 포맷 2_2, DCI 포맷 2_3, DCI 포맷 2_4, DCI 포맷 2_5 및 DCI 포맷 2_6을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2는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2_0은 슬롯 포맷(slot format), COT(channel occupancy time) 듀레이션(duration), 가능한 RB(resource block) set 및 검색 공간 셋 그룹 스위칭(search space set group switching)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2_0은 슬롯 포맷 지시자(slot format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는 해당 슬롯에서 심볼이 DL인지, UL인지, flexible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에서, DCI 포맷 2_0은 동일한 포맷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DCI 포맷 2_0이 지시하는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2_0을 통해, 어느 대역에서 채널 점유가 되었는지가 자원마다 지시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DCI 포맷 2_0은 해당 채널이 비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2_1은 UE가 자신의 의도 하에 전송하지 않으리라 가정한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 및 OFDM 심볼(들)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DCI 포맷 2_1은 해당 슬롯에서 신호를 듣지 말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2_2는 PUCCH 및 PUSCH를 위한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command)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DCI 포맷 2_2는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2_3은 하나 이상의 UE에 의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을 위한 TPC 명령들의 그룹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DCI 포맷 2_3은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2_4는 상향링크 전송을 취소하는 PRB(들) 및 OFDM 심볼(들)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DCI 포맷 2_4는 상향링크 취소 지시자(uplink cancellation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2_5는 소프트 자원(soft resource)의 가용성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DCI 포맷 2_5는 IAB 노드 지원용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2_6은 하나 이상의 UE를 위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활성화 시간(DRX active time) 외부의 파워 세이빙 정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DCI 포맷 2_6은 DRX 활성화(activation)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3은 DCI 포맷 3_0 및 DCI 포맷 3_1을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3_0은 하나의 셀에서 NR 사이드링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3_1은 하나의 셀에서 LTE(long-term evolution) 사이드링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CI 포맷의 예가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DCI는 BS가 PDCCH를 통해 UE에게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하나, SCI는 단말이 다른 단말에게 PSCCH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SCI는 2 단계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동작이 이하에서 설명될 수 있다.
제1 UE는 PSCCH를 통해 제2 UE에게 제1 SCI(예: 1st-stage SCI)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SCI는 PSSCH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UE는 제2 SCI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SCI는 PSSCH를 통해 제2 UE에게 송신될 수 있다. 제2 UE는 제1 SCI에 기반하여, PS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제2 SCI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SCI는 PSSCH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piggyback)되어 제2 UE에게 송신될 수 있다.
한편, PSCCH를 통해 송신되는 제1 SCI는 제2 SCI 및 PS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SCI는 SCI 포맷 1-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PSSCH를 통해 송신되는 제2 SCI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SCI는 SCI 포맷 2-A 및/또는 SCI 포맷 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CI 포맷 2-A 및 상기 SCI 포맷 2-B는 PSSCH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설명될 수 있다.
NR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또는 주파수 범위)는 제1 타입 및 제2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타입의 주파수 밴드는 FR(Frequency Range) 1으로 불릴 수 있다. 제2 타입의 주파수 밴드는 FR 2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주파수 밴드 및 제2 타입의 주파수 밴드의 범위는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FR 1은 450MHz부터 6000MHz의 대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FR 2는 24250MHz부터 52600MHz의 대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 2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주파수 값은 예시적인 것이며,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5.9 GHz의 대역 플랜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5.9 GHz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 및 면허 대역(licensed ban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구체적인 주파수 범위는 국가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905 GHz부터 5.925 GHz의 20 MHz는 면허 대역으로 설정되고, V2X 통신(또는 C-V2X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0 MHz의 면허 대역에 추가적으로, 5.895 GHz 부터 5.905 GHz의 10 MHz도 면허 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850 GHz부터 5.895 GHz의 45 MHz는 무선 인터넷(예: 802.11p/bd)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850 GHz 이하 또는 5.925GHz 이상의 대역은 비면허 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면허 대역은 공유 스펙트럼(sharing spectrum)으로 불릴 수 있다.
C(Cellular)-V2X 통신을 위해, 통신 연결의 무결성(또는 URLLC)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진행되고 있으나, 송신 데이터의 양(또는 수신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가 정의되어 있지 않아, 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C-V2X 통신을 위한 대역과 비면허 대역의 스펙트럼이 따로 설정되어 있으나, C-V2X 통신에서 송수신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기 위해 비면허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명세서에서는, C-V2X 통신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위한 DCI 포맷이 설정되어 있으나, SCI 포맷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에서 C-V2X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SCI 포맷에 추가적인 정보들이 더 포함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비면허 대역에서 C-V2X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SCI 포맷에 추가적인 정보들이 포함되는 실시 예가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CI 포맷(예를 들어, SCI 포맷 1 또는 SCI 포맷 2)에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SCI 포맷에 채널 접근 타입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채널 접근 타입을 나타내는 지시자는 표 3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관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즉, AccessConfigListDCI-1-1)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AccessConfigListDCI-1-1은 CP(cyclic prefix) 확장(extension) 및 상향 링크 채널 접근 타입의 조합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즉, ChannelAccess-CPext)의 크기는 1 내지 4 비트 정보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CI 포맷(예를 들어, SCI 포맷 1 또는 SCI 포맷 2)에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SCI 포맷에 피드백을 요청하기 위한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피드백을 요청하기 위한 지시자는 표 4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즉, DFI flag)의 크기는 1 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예:1)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예: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CI 포맷(예를 들어, SCI 포맷 1 또는 SCI 포맷 2)에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SCI 포맷에 채널 점유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채널 점유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는 표 5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조건(condition)을 만족하는 경우, SCI 포맷에 각 조건에 따른 indication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가 "availableRB-SetsToAddModList" 로 구성되는 경우, Available RB set Indicator 1 내지 N1이 SCI 포맷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가 "co-DurationsPerCellToAddModList"로 구성되는 경우, COT duration indicator 1 내지 N2가 SCI 포맷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가 "switchTriggerToAddModList"로 구성되는 경우, Search space set group switching flag 1내지 M이 SCI 포맷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SCI 포맷은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CI 포맷은 2 개의 포맷으로 구성되므로,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는 2개의 SCI 포맷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PSCCH를 통해 송신되는 제1 SCI 및 PSSCH를 통해 송신되는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는 제2 SCI에만 포함될 수 있다.
송신 UE 및 수신 UE는 제1 SCI 및 제2 SCI에 상술한 정보들(예: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이 포함될 수 있음을 미리 RRC 시그널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UE 및 수신 UE는 BS로부터 간단한 인덱스를 포함하는 DCI를 통해 제1 SCI 및 제2 SCI에 상술한 정보들이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들(예: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이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경우, UE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이 이하에서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UE 1(510) 및 UE 2(520)은 BS(5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BS(500)는 UE 1(510)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UE 1(510)은 운용할(또는 사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RC 시그널링은 BS(500) 및 UE 1(510)의 RRC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RRC 계층은 UE 1(510) 및 BS(500)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BS(500) 및 UE 1(510)는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무선 베어러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 및 해제(release)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BS(500)는 RRC 메시지에 UE 1(510)에서 운용될 비면허 대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UE 1(510)은 BS(500)으로부터 RRC 메시지를 통해 운용할 비면허 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E 1(510)은, UE 2(520)과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UE 2(520)이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E 1(510) 및 UE 2(520)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510)은 센싱(또는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자신의 주변에 통신 가능한 UE(예를 들어, UE 2(520))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UE 1(510)은 UE 2(520)을 식별하고, UE 2(520)에게 비면허 통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510)은 비면허 대역에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UE 2(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UE 2(520)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UE 2(520)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UE 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E 1(510)은 BS(500)으로부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CI는 UE 2(52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또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510)은 BS(500)으로부터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 1 내지 7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UE 1(510)은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UE 2(520)과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UE 1(510)은 결정된 채널에 관한 정보를 UE 2(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UE 1(510) 및 UE 2(520)은 결정된 채널에 기반하여 비면허 대역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510)은 PSCCH를 통해 제1 SCI를 UE 2(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UE 1(510)은 PSSCH를 통해 제2 SCI를 UE 2(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정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UE 1(510)이 UE 2(52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또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BS(50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을 결정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E 2(520)도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또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BS(50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UE 1(610) 및 UE 2(620) 중 UE 1(610)만 BS(6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UE 1(610)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또는 자원)을 스스로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을 통해 UE 2(620)과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UE 1(610)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자원을 스스로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을 통해 UE 2(620)과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 예가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S(600)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UE 2(620)도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자원을 스스로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을 통해 UE 1(610)과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E 1(610) 및 UE 2(620)은 비면허 대역을 통해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610)은 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UE 1(610)은 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 통신을 수행하는 중, 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할 수 있다. UE 1(610)은 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UE 2(620)에게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UE 2(620)은 UE 1(610)과의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대해 응답(또는 허가)하고, UE 1(610)과의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즉,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E 2(620)도 UE 1(61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UE 1(610)에게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UE 1(610) 및 UE 2(620)가 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중, UE 1(610)이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으로 대역이 변경되는 실시 예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반대로, UE 1(610) 및 UE 2(620)가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중, 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으로 대역이 변경되는 실시 예가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E 1(610) 및 UE 2(620)은 면허 대역을 통해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610)은 비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UE 1(610)은 비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 통신을 수행하는 중, 비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할 수 있다. UE 1(610)은 비면허 대역 내에서 UE 2(620)과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UE 2(620)에게 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UE 2(620)은 UE 1(610)과의 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대해 응답(또는 허가)하고, UE 1(610)과의 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즉,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가 사이드 링크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해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운용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임계 치 이하의 저용량의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임계 치를 초과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높은 신뢰도를 갖는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다소 낮은 신뢰도를 갖는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높은 신뢰도를 갖는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로그인 정보, 금융 정보, 결제 정보(PAYMENT INFORM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암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로그인 정보, 금융 정보, 결제 정보(PAYMENT INFORM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긴급성이 필요한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긴급성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긴급성이 필요한 데이터는 재난 정보, emergency 정보, 사고 정보, 긴급 제동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알림에 관련된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용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데이터 속성(attribute)이 mandatory인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optional인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업로드용 데이터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다운로드용 데이터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통신을 위한 자원(resource)을 지시하는 자원 지시자(indicator)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비면허 대역에 포함되는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상기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한 자원 지시자가 지시하는 비면허 대역의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시 제1 사용자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ACK/NACK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가 사이드 링크 통신을 통해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운용하는 예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술한 예와는 반대의 경우로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운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제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를 통해 제1 SCI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은 5.9 GHz 대역 또는 5.9 GHz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PSSCH를 통해 제2 SCI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SSCH는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SCI는 PSCCH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CI는 PSSCH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SCI에 기반하여 PSCCH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SCI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SCI 및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CI는 SCI 포맷 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SCI는 SCI 포맷 2-A 및/또는 SCI 포맷 2-B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는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SCI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SCI는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및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2 SCI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및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1 내지 4 비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인 ul-AccessConfigListDCI-1-1 내의 엔트리(entry)의 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의 크기는 1 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예: 1)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예: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는 해당 채널이 비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는 PSSCH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10에서, 제1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DCI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CI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는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채널에 관한 정보는 사이드링크 통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채널(또는 자원)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기지국은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통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는 DCI에 포함된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을 할당 받고, 상기 채널들 중 실제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동작 810 및 동작 820은 제1 사용자 장치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경우, 수행될 수 있으며, 도 7의 동작 710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을 할당 받을 수 있고, 할당된 채널 중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동작 710 내지 동작 740을 수행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는 면허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자신의 주변에 통신 가능한 장치를 센싱(sensing)(또는 발견(discovery)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자신의 주변에 제2 사용자 장치가 존재함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즉, 제1 사용자 장치의 능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면허 대역 내에서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즉, 제2 사용자 장치의 능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는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을 시작(initiate)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는 면허 대역에서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중, 송수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제2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BSR(buffer status report)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비면허 대역 내의 통신 가능한 채널들을 할당 받음으로써,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는 면허 대역에서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이하의 도 10에서 상기 예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이 설명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동작 910은 도 7의 동작 7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자신의 주변에 제2 사용자 장치를 식별하고,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이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동작 710 내지 동작 740을 수행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제1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면허 대역 내의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가 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 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할 수 있다. V2X 통신의 경우, 초고신뢰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의 초고신뢰 통신을 위해 비면허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치는 면허 대역 내에서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응답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사용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10에서, 제2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은 5.9 GHz 대역 또는 5.9 GHz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1110을 수행하기 전, 제2 사용자 장치는 면허 대역 내에서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와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제2 사용자 장치는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SSCH는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SCI는 PSCCH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CI는 PSSCH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SCI에 기반하여 PSCCH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SCI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SCI 및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CI는 SCI 포맷 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SCI는 SCI 포맷 2-A 및/또는 SCI 포맷 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SCI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SCI는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및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1 내지 4 비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인 ul-AccessConfigListDCI-1-1 내의 엔트리(entry)의 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의 크기는 1 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예: 1)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예: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는 해당 채널이 비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SCI 및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는 PSSCH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들의 간소화된 블록도(simplified block diagram)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 1200은 전자 장치 210, 전자 장치 220, 또는 전자 장치 240의 일 예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 1200은 프로세서 1202, 메모리 1204, 저장 장치 1206, 고속(high-speed) 컨트롤러 1208(예: 노스브릿지(northbridge), MCH(Main Controller Hub)), 및 저속(low-speed) 컨트롤러 1212(예: 사우스브릿지(southbridge), ICH(I/O controller hu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1200 내에서, 프로세서 1202, 메모리 1204, 저장 장치 1206, 고속 컨트롤러 1208, 및 저속 컨트롤러 1212 각각은, 다양한 버스(bus)들을 이용하여 상호연결될(interconnected)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1202는 고속 컨트롤러 1208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1216과 같은 외부 입출력 장치 상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대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 1200 내에서 실행을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메모리 1204 또는 저장 장치 1206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 1202에 의해 실행될 시, 상술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치 1200을 야기할(cause)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 1202는 통신 프로세서 및 GPU(graphic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1204는 사용자 장치 1200 내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1204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유닛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메모리 1204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유닛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메모리 1204는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장치 1206은 사용자 장치 1200에게 대용량(mass)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장치 1206은 하드 디스크 장치, 광학 디스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의 어레이(array)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 컨트롤러 1208은 사용자 장치 1200을 위한 대역폭-집약적(bandwidth-intensive) 동작들을 관리하는 반면, 저속 컨트롤러 1212는 사용자 장치 1200을 위한 낮은(low) 대역폭 집약적 동작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 컨트롤러 1208은 메모리 1204와 결합되고(coupled to) GPU 또는 가속기(accelerator)를 통해 디스플레이 1216와 결합되는 반면, 저속 컨트롤러 1212는 저장 장치 1206과 결합되고 외부 전자 장치(예: 키보드, 트랜스듀서(transducer), 스캐너, 또는 네트워크 장치(예: 스위치 또는 라우터))와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포트들(예: USB(un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 이더넷(ethernet), 무선 이더넷)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관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DCI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고,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면허 대역은 5.9 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은,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는 동작; 및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관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DCI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면허 대역은 5.9 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DCI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차량인 경우, 상술한 실시 예의 사이드링크 통신은 V2X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 내지 15에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인 차량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이 설명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게이트웨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 1400은 차량 1300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장치 1400은 메모리 1422와 프로세서 1424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1420 및 센서 14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1420은 차량의 제조사에 의해 제조 시 구성되거나 또는 제조 후에 자율 주행의 기능 수행을 위해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조 시 구성된 컨트롤러 1420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지속적인 부가 기능 수행을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 1420은 제어 신호를 차량 내 다른 구성들로 포함된 센서 1410, 엔진 1306,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8, 무선 통신 장치 1430, LIDAR 1440, 및 카메라 모듈 14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 1420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되는 가속 장치, 브레이킹 시스템, 조향 장치,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도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컨트롤러 1420은 엔진 1306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차량 1300이 주행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감지하고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엔진 1306을 제어하거나,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주행 속도를 가속하도록 엔진 1306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차량 외부의 환경을 센싱 모듈 1304a, 1304b, 1304c, 1304d이 감지하여 센서 1410로 전달하면 컨트롤러 1420은 이를 수신하여 엔진 1306 또는 조향 장치(미도시)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 1420은 차량의 전방에 다른 차량 또는 방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주행 차량을 감속하도록 엔진 1306 또는 브레이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며, 속도 외에도 궤적, 운행 경로, 조향 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 1420은 차량의 주행 차선, 주행 신호 등 기타 외부 환경의 인식 정보에 따라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 1420은 자체적인 제어 신호의 생성 외에 주변 차량 또는 중앙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 1420은 카메라 모듈 145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화각이 변경될 경우, 정확한 차량 또는 차선 인식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 1450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컨트롤러 1420은 카메라 모듈 1450에게 캘리브레이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자율주행차량 13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카메라 모듈 1450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카메라 모듈 1450의 정상적인 장착 위치, 방향, 화각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 1420은 미리 저장된 카메라 모듈 1420의 최초 장착 위치, 방향, 화각 정보와 자율주행차량 1300의 주행 중에 측정되는 카메라 모듈 1420의 최초 장착 위치, 방향, 화각 정보 등이 임계 값 이상으로 달라질 경우, 카메라 모듈 1420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컨트롤러 1420은 메모리 1422와 프로세서 14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24는 메모리 142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컨트롤러 14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 14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데이터 및 명령들은 메모리 1422에 저장하고, 명령들은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 142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 1422는 프로세서 1424에서 실행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1422는 적절한 내 외부 장치를 통해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42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 동글과 연결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1422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적어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422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배열 데이터 구조들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2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적절한 전자적 프로세서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 일 수 있다.
프로세서 1424는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거나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 장치 1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1410으로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내외부의 특징을 모니터링하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1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모듈 1304(예: 센서 1304a, 센서 1304b, 센서 1304c, 및 센서 1304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싱 모듈 1304는, 감지 목적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특정 위치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모듈 1304는,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하부, 후단, 전단, 상단, 또는 측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차량의 내부 부품 또는 타이어 등에도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싱 모듈 1304는 차량의 내부 정보로서 엔진 1306, 타이어, 조향각, 속도, 차량의 무게 등 주행과 관련된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모듈 130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이미지 센서, RADAR, 초음파 센서, LiDAR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모듈 1304는 외부 정보로서 자율 주행 차량 1300이 위치하는 도로의 상태 정보, 주변 차량 정보, 날씨 등 외부 환경 상태에 대한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차량의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된 정보는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목적에 따라 메모리 1422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1410은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내 외부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싱 모듈 1304들의 정보를 통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제어 장치 1400은 무선 통신 장치 1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 1430은 자율 주행 차량 1300 간의 무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폰,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 1430, 다른 차량, 중앙 장치(교통 제어 장치), 서버 등과 자율 주행 차량 1300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 장치 1430은 무선 신호를 접속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Wi-Fi, Bluetooth, Long-Term Evolution (LT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일 수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자율 주행 차량 1300은 무선 통신 장치 1430을 통해 차량 간 통신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무선 통신 장치 1430은 차량 대 차량 간(V2V) 통신(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또는 V2X)으로 도로 상의 다른 차량 및 다른 차량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 1300은 주행 경고, 교통 정보와 같은 정보를 챠량 간 통신으로 통해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차량에게 정보를 요청하거나 요청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430)는 V2V 통신을 지정 단 거리 통신(DSRC,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장치 또는 C-V2V(Celluar-V2V) 장치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간의 통신 외에 차량과 다른 사물(예컨대 보행자가 휴대하는 전자 기기 등) 간의 통신(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도 무선 통신 장치 1430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 1400은 LIDAR 장치 1440을 포함할 수 있다. LIDAR 장치 1440은 LIDAR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 차량 1300 주변의 객체를 동작 중에 탐지할 수 있다. LIDAR 장치 1440은 탐지된 정보를 컨트롤러 1420으로 전송하고, 컨트롤러 1420은 탐지 정보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 13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1420은 탐지 정보에 저속 주행하는 전방 차량이 있는 경우 엔진 1306을 통해 차량이 속도를 줄이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진입하는 커브의 곡률에 따라 진입 속도를 줄이도록 명령할 수 있다.
제어 장치 1400은 카메라 모듈 1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1420은 카메라 모듈 1450에서 촬영되는 외부 이미지로부터 객체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 1420이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 1400은 외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이미징 장치들이 더욱 포함할 수 있다. LIDAR 1440 외에 RADAR, GPS 장치, 주행 거리 측정 장치(Odometry) 및 기타 컴퓨터 비전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장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 또는 동시에 동작하여 보다 정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자율 주행 차량 1300은 상술한 제어 장치 14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8은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조작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8은 입력 또는 명령을 컨트롤러 1420에 전송하고, 컨트롤러 1420은 입력 또는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차량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8은 자율 주행 차량 1300 외부의 장치로 무선 통신 장치 1430를 통해 자율 주행 차량 130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8는 모바일 폰, 태블릿, 또는 기타 컴퓨터 장치와 연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자율 주행 차량 1300은 엔진 130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타입의 추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은 전기 에너지로 운행될 수 있으며, 수소 에너지 또는 이들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운행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 1420은 자율 주행 차량 1300의 추진 시스템에 따른 추진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각 추진 메커니즘의 구성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4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제어 장치 14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 장치 1400은 프로세서 142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424는 범용 단일 또는 다중 칩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 1424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 1400은 또한 메모리 1422를 포함한다. 메모리 1422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메모리 1422 역시 단일 메모리 외에 메모리 142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 1422a들은 메모리 1422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424가 명령어 1422a들을 실행할 때, 명령어 1422a들과 명령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1422b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세서 1424 상으로 로딩(예: 명령어 1424a, 데이터 1424b)될 수도 있다.
제어 장치 1400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송신기 1430a, 수신기 1430b 또는 트랜시버 143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 1432a, 1432b들은 송신기 1430a, 수신기 1430b 또는 각 트랜시버 143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 1400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14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DSP 1470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차량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장치 1400은 통신 인터페이스 14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1480은 다른 장치들을 제어 장치 1400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포트들 및/또는 통신 모듈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1480은 사용자와 제어 장치 1400이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어 장치 1400의 다양한 구성들은 함께 하나 이상의 버스 1490들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버스 1490들은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424의 제어에 따라 구성들은 버스 1490을 통해 상호 정보를 전달하고 목적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 장치 1400은 보안 클라우드와의 통신을 위해 게이트웨이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 1400은 차량 1500의 구성 요소들 1501 내지 150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보안 클라우드 1506에게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1505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1505는 제어 장치 14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1505는 제어 장치 1400과 구별되는 차량 1500 내의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1505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갖는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 보안 클라우드 1506 및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에 의해 보안화된 차량 1500 내 네트워크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 1501은,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는 차량 1500의 상태 또는 차량 1500 주변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 1501은, 센서 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 1502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ECU들은 엔진 제어, 변속기의 제어, 에어백의 제어, 타이어 공기압 관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 1503은,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instrument cluster)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는, 대시 보드(dashboard) 중 운전석 정면에 위치된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는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운전자(또는 탑승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는, 엔진의 분당 회전수(RPM, revolutions per minute 또는 rotate per minute)를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요소들, 차량 1500의 속도를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요소들, 잔여 연료량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요소들, 기어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요소들, 또는 구성 요소 1501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 1504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무선 통신 기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결합하여 차량 1500 내에서 위치 정보, 안전 운전 등의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운전자, 클라우드(예: 보안 클라우드 1506), 및/또는 주변 환경과 차량 1500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5G NR 규격의 기술(예: 5G NR의 V2X 기술)을 위해, 고대역폭과 저지연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옐르 들면,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차량 1500의 자율 주행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1505는, 차량 1500 내 네트워크와 차량 외 네트워크인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와 보안 클라우드 1506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는, 차량 1500의 주행 및 관리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는, 차량 내에 설치된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in-car security software) 1510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은, 차량 1500 내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은 차량 내 네트워크의 암호화를 위해 외부의 공인된(authorized) 서버로부터 획득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차 내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암호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암호화 키는, 차량의 식별 정보(차량 번호판, 차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사용자 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정보(에: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게이트웨이 1505는, 상기 암호화 키에 기반하여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들을,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 및/또는 보안 클라우드 15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 및/또는 보안 클라우드 1506는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의 상기 암호화 키(Encryption Key)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는 해독 키(Decryption Key)를 이용하여 해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가 어떤 차량 또는 어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해독 키는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되는 고유의 키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 및/또는 보안 클라우드 1506는 상기 해독 키를 통해 해독된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신 주체(예: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1505는, 차 내 보안 소프트웨어 1510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어 장치 2100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1505는, 보안 클라우드 1506와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 1507와 제어 장치 1400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제어 장치 1400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1505는, 보안 클라우드 1506과 연결된 써드 파티 클라우드 1508와 제어 장치 1400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제어 장치 1400과 관련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게이트웨이 1505는, 차량 1500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와 차량 1500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는, 차량 1500의 운영 소프트웨어의 갱신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차량 1500의 운영 소프트웨어의 갱신이 요구됨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반하여 게이트웨이 1505를 통해 차량 1500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관리 클라우드 1509는, 차량 1500의 운영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요구하는 사용자 요청을 차량 1500으로부터 게이트웨이 1505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차량 1500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제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제1 사용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제1 사용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으로 설정되는
    제1 사용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DCI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제1 사용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설정된
    제1 사용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고,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하도록 더 설정된
    제1 사용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 대역은 5.9 GHz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장치.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는 동작; 및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의 크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부터 설정된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는 피드백을 요청함을 지시하기 위한 제1 값 또는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제2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DCI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중,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의 신뢰도가 지정된 값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 대역은 5.9 GHz 대역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2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비면허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결정하고,
    비면허 대역 내에서 설정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1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PSCCH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2 SCI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되,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는 서로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제2 사용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게 면허 대역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에 관한 능력(capability)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설정된
    제2 사용자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CI 및 상기 제2 SCI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접근에 관한 정보, 피드백 요청을 위한 정보 또는 채널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에 관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DCI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채널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제2 사용자 장치.
KR1020210112689A 2021-08-25 2021-08-25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230030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89A KR20230030452A (ko) 2021-08-25 2021-08-25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EP22192000.2A EP4142356A1 (en) 2021-08-25 2022-08-24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CN202211024116.XA CN115734390A (zh) 2021-08-25 2022-08-24 收发非授权频段内通信的信息的装置以及方法
US17/894,494 US20230070908A1 (en) 2021-08-25 2022-08-24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89A KR20230030452A (ko) 2021-08-25 2021-08-25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52A true KR20230030452A (ko) 2023-03-06

Family

ID=8331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689A KR20230030452A (ko) 2021-08-25 2021-08-25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70908A1 (ko)
EP (1) EP4142356A1 (ko)
KR (1) KR20230030452A (ko)
CN (1) CN115734390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5343A (zh) * 2018-05-10 2019-11-19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10023712A (ko) * 2019-08-21 2021-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의 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030663B1 (en) * 2019-10-10 2023-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arq feedback information on basis of sci format in nr v2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2356A1 (en) 2023-03-01
US20230070908A1 (en) 2023-03-09
CN115734390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593B2 (en) Terminal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949671B1 (en) Establishing radio bearers on millimeter wave frequenci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1540106B2 (en) Beam sweeping on millimeter wave frequenci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6341772B (zh)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JP6907567B2 (ja) 通信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CN108605198B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13906794B (zh) 用于在nr v2x中发送位置信息的方法和设备
JP2023517807A (ja) ジオフェンスへの近接度の決定
US20230101555A1 (en) Communication resource management
EP4142417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in licenced band
US20230247386A1 (en) Ranging assisted pedestrian localization
JPWO2020137130A1 (ja)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EP4142356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US20230071536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in unlicenced band
CN114503481B (zh) 基于nr v2x中的bwp发送harq反馈的方法和装置
US202300772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licenced band and unlicenced band
WO2024070217A1 (ja) 基地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の方法
KR20240074752A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4513931A (ja) サイドリンク測位セッションを終了するための機構
CN116709371A (zh) 基于测量间隙的sl prs传输的方法和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