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086A -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086A
KR20230030086A KR1020210111277A KR20210111277A KR20230030086A KR 20230030086 A KR20230030086 A KR 20230030086A KR 1020210111277 A KR1020210111277 A KR 1020210111277A KR 20210111277 A KR20210111277 A KR 20210111277A KR 20230030086 A KR20230030086 A KR 2023003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managed
data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록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록스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록스미스
Priority to KR102021011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086A/ko
Publication of KR2023003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06F16/7335Graphical querying, e.g. query-by-region, query-by-sketch, query-by-trajectory, GUIs for designating a person/face/object as a query predic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Abstract

본 발명은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 공장, 발전소, 및 토목 또는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각종 제반 설비 등의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감지 결과를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화함과 아울러, 무선 센서 디바이스 기반의 PdM 및 증강현실(AR) 솔루션 연동을 통해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본 발명은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 공장, 발전소, 및 토목 또는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각종 제반 설비 등의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감지 결과를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화함과 아울러, 무선 센서 디바이스 기반의 PdM 및 증강현실(AR) 솔루션 연동을 통해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팩토리 내의 제조장비 및 설비의 상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군이 사용되고 디바이스 연결 및 데이터 저장/분석에 활용되는 다양한 플랫폼과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지만 최적의 PdM(제품정보 통합관리)을 위해 필수적인 전류(파형계측) 및 진동 등의 동적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IoT 디바이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 진행된 IIoT PdM에 사용된 IoT 장치의 경우, 글로벌 산업설비 및 오일 공급인 SKF사의 무선 진동 분석 장비를 본떠서 개발되고 있으나 고가의 3축 digital MEMS 가속도계와 3D 가공형 STS 부품으로 인해 제품단가가 1백만원을 훌쩍 넘는 수준이고, 내장 배터리 형태로 개발되어 제품 수명이 짧아 오히려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MEMS 기술 발달로 기존의 고정밀 산업용 센서에 비해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나며 저전력 소형화할 수 있는 센서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어 저가의 센서 디바이스 제작이 가능해져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장의 작업자들이 스마트 팩토리 내의 장비/설비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하여 이를 이해하고 작업할 수 있는 데이터 확인 및 운용 가이드(Guide)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기존 스마트 팩토리 내의 장비/설비의 유지보수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PC 소프트웨어 및 모바일 기기와 연동한 단순 알림 메시지과 팝업 알람 등의 인지 기능에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업체, 일반 공장, 화학 공장, 발전소, 및 토목 또는 건설 현장 등에 설치되는 각종 제반 설비 또는 부품 등과 같은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감지 결과를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현장에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태 신호에 따라 해당 설비의 형상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설비 형상 정보와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를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작업자가 바로 이상이 발생한 설비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증강 현실 기술에 따라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입체 영상 입체 영상,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재 데이터, 및 정상 작동 범위 값 등을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위험상황 예방 및 예외 상황 추적이 가능한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의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설비의 영상을 수신하여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와 매칭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설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상이 발생한 설비는 상태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 할 수 있는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센서 디바이스 기반의 PdM 및 AR 솔루션 연동을 통해 무선 PdM 시장으로의 진출 및 사업화 확대를 추진하며,Factory내 MES와의 연동을 위한 기능을 추가해 스마트 팩토리에서의 사업활용도 확대 가능한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의 제조장비 및 설비에 대한 PdM 시스템 구축을 위해 디바이스 연결 및 데이터 저장/분석에 활용되는 다양한 플랫폼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 대상 설비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어 각 관리 대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각 관리 대상 설비의 센싱 데이터를 네트워크 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전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다수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존재하는 다수의 센서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 관리 대상 설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거나 그 수명을 예측하는 데이터 예측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이상 상태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진동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진동 데이터의 진폭과 고유 진동 주파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전류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전류 데이터로 부터 설비 가동시 소모 전류량 및 전류 파형(주파수 및 사인파의 형상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온도 데이터로 부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온도 피크값과 누적 온도 데이터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와 연계된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장치 또는 PC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감지되어 수신된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형상을 인식하는 설비 형상 인식부; 상기 설비 형상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설비 형상 정보와 상기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를 매칭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비 형상 인식부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설비의 형상 정보를 인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와 연계된 작업자가 현장에서 사용되며, 작업자가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설비를 유지보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한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가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에도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내용은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입체 영상,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재 데이터, 및 작동 범위 값을 동시에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간 현재 데이터 및 작동 범위 값은 수치값, 그래프, 또는 영상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공장, 발전소, 및 토목 또는 건설 현장 등에 설치되는 각종 제반 설비 또는 부품 등과 같은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감지 결과를 각종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현장에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태 신호에 따라 해당 설비의 형상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설비 형상 정보와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를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작업자가 바로 이상이 발생한 설비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증강 현실 기술에 따라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입체 영상 및 고장 부위,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재 데이터, 및 정상 작동 범위 값 등을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위험상황 예방 및 예외 상황 추적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 대상 설비(2)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어 각 관리 대상 설비(2)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0); 상기 센서(10)로부터 감지된 해당 관리 대상 설비(2)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서버(20); 및 상기 서버(20)로부터 상기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1)은, 해당 관리 대상 설비(2)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센서(10)로부터 감지되는 각 관리 대상 설비의 센싱 데이터를 네트워크 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1)은, 스마트 센서를 통하여 각종 산업 현장이나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 공조기, 냉동기, 보일러 등과 같은 관리 대상 설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실시간의 이상 상태 및 사고 상황을 감지 및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실시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확한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산업 설비로서의 관리 대상 설비의 예를 들고 있으나, 관리 대상이 되어 스마트 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모든 공간, 예를 들면 단순 제조업체부터 다양한 환경 기준(방폭, 방진, 및 방수 등)를 요구하는 화학 공장, 발전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장비나 설비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토목이나 건설
현장의 흙막이벽 가설 지지대 등에 적용되어 기울기 센서를 통해 이상 상태를 원격 모니터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사업장이나 제조 공장 등의 관리 대상 설비뿐만 아니라, 일반 건물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시설자체이거나 그에 구비된 설비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10)는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 장치로서, 예를 들어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특징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센서는, 전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스 감지 센서뿐 아니라,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촬영 수단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관리 대상 설비(2)의 센싱 공간 내에 존재하여 해당 설비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현장 설비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60)와 네트워크 망 또는 상용 무선망을 통해 상기 센서(10)로부터 감지된 해당 관리 대상 설비(2)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서버(20)는 각 센서(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20)는 다수의 관리 대상 설비(2)에 존재하는 다수의 센서(10)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고, 관리 대상 설비별로 실시간의 설비 상황 정보와 다수의 관리 대상 설비를 구분하는 설비 식별 코드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21);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0)에 저장된 실시간의 해당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20)의 데이터 분석부(22)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학습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 및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상태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2)가 그 용도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이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거나, 더 나아가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추정 및 고장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추정 및 고장의 진단은 예를 들면 모터의 경우, 그 전기기기의 소모 전류 패턴 분석을 통해 예상수명 추정 및 고장을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다양한 분석 기법 또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 기법 또는 알고리즘은 관리 대상 설비(2)나 센싱 데이터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설비(2)의 예상 수명이나,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상황은 관리 대상 설비(2)가 그 용도 또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위험 상황으로서, 예를 들어 가스 폭발 상황, 화재 상황, 지진 발생 상황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자신의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상태 신호를 해당 설비의 작업자의 모바일 장치(50)로 전송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설비의 QR 코드 등을 통한 설비의 형상 정보 인식에 따라 해당 센서 종류와 센서 위치 등을 확인하고, 증강 현실 화면을 통해 작업자가 설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상이 발생한 설비는 상태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서버(20)로부터 상기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센서(10)에 의해 촬영된 관리 대상 설비(20)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상기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와 상호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은 입체화된 영상으로 구현하고, 해당 영상에 대응되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을 통해 설비 코드 조회에 따라 입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기술에 따라, IoT 플랫폼 기반의 센서 데이터를 AR 컨텐츠 형태로 만들어 현실 공간에서 좀 더 직관적으로 IoT Visual 데이터를 제공(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입체 영상 및 고장 부위,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재 데이터, 및 정상 작동 범위 값 등을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위험상황 예방 및 예외 상황 추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서버(2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종합 관제소 등에 설치된 원격 모니터링 퍼스널 컴퓨터(40)에 구비된 모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서버(2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와 연계된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장치(50)에 구비된 스크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50)를 소지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관리 대상 설비(2)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모바일 장치(5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설비(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한 후, 사고 상황의 예측 결과를 상기 모바일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50)는 서버(20)로부터 사고 상황의 예측 결과를 수신하고,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50)를 소지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관리 대상 설비(2)에서 사고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5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전자 기기, 스마트 안경, 스마트 고글, 스마트 헬멧 등과 같이 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수단 및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이 구비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50)는, 상기 서버(20)로부터 감지되어 수신된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형상을 인식하는 설비 형상 인식부(51); 모바일 장치(5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52), 및 상기 설비 형상 인식부(51)를 통해 인식된 설비 형상 정보와 상기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를 매칭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해당 센서(10)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2)의 분석 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입체 영상,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재 데이터, 및 정상 작동 범위 값 등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상 예측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값, 텍스트, 그래프, 이미지, 영상, 표,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리 대상 설비(2)의 사고 상황에 대한 예측 결과를 가상현실 상태의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고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지의 여부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비 형상 인식부(51)는 상기 서버(20)로부터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된 QR 코드 등을 통해 자신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인식하여 설비의 형상 정보를 인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바일 장치(50)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와 연계된 작업자가 현장에서 사용되며, 작업자가 현장에서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태 신호에 따라 해당 설비의 형상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설비 형상 정보와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센서(10)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2)의 분석 상태를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작업자가 바로 이상이 발생한 설비를 즉각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한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가 상기 서버(2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40)에 구비된 모니터에도 동일하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는 데이터 베이스부(21), 데이터 분석부(22) 및 데이터 예측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1)는 관리 대상 설비(2)에 존재하는 센서(10)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관리 대상 설비(2) 내 각 센서(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와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부(21)는 각 센서(10)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관리 대상 설비별로 실시간의 설비 상황 정보(센싱 데이터)와 다수의 관리 대상 설비를 구분하는 설비 식별 코드 등이 저장되어진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20)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한다. 데이터 분석부(22)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학습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데이터 분석부(22)는 이전에 수집된 센싱 데이터들의 패턴을 학습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된 센싱 데이터와 상기 학습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 대상 설비(2)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 분석부(22)는 이전에 수집된 센싱 데이터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된 센싱 데이터와 상기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대상 설비(20)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22)는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분석부(22)는 상기 감지 결과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파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등 의 형태로 변환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분석부(22)는 대량의 센싱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감지 결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분석부(22)의 빅데이터 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22)는 상기 감지 결과(컨텐츠와 영상)를 디스플레이 장치(30) 또는 모바일 장치(50)로 전송하고, 모바일 장치(50)는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와 영상을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예측부(23)는 데이터 분석부(22)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설비(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거나 해당 전자기기의 수명 등을 예측한다. 데이터 예측부(23)는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후 발생되는 센싱 데이터 값을 예측하고, 예측된 센싱 데이터 값에 따라 사고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0)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진동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22)는 수집된 진동 데이터의 진폭과 고유 진동 주파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0)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전류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22)는 수집된 전류 데이터로부터 설비 가동시 소모 전류량 및 전류 파형(주파수 및 사인파의 형상 정보; 찌그림 정도)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10)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22)는 수집된 온도 데이터로부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온도 피크값과 누적 온도 데이터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서 관리 대상 설비인 모터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 설비인 모터의 RPM 등을 감지하는 센서(10)가 설치되어 해당 모터의 구동 요소인 RPM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센서(10)에 의해 촬영된 모터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상기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인 RPM 등을 나타내는 수치 및 그래프를 토대로 컨텐츠가 합성된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해당 모터의 구동과 관련된 이상 상태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서 관리 대상 설비인 건물의 지진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 설비인 테이블 위에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10)는 테이블 또는 상기 테이블에 놓여진 물컵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센서(10)에 의해 촬영된 테이블과 물컵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상기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인 지진 강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및 그 수치값을 토대로 컨텐츠가 합성된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어 지진과 관련된 이상 상태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센서
20: 서버
21: 데이터 베이스부 22: 데이터 분석부
23: 데이터 예측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원겨 모니터링 퍼스털 컴퓨터
50: 모바일 장치
51: 설비 형상 인식부 52: 위치 획득부
53: 스크린부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관리 대상 설비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어 각 관리 대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상 상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는,
    다수의 상기 관리 대상 설비에 존재하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 관리 대상 설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거나 그 수명을 예측하는 데이터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이상 상태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진동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진동 데이터의 진폭과 고유 진동 주파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전류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전류 데이터로부터 설비 가동시 소모 전류량 및 전류 파형(주파수 및 사인파의 형상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온도 데이터로부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온도 피크값과 누적 온도 데이터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와 연계된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장치 또는 PC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감지되어 수신된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형상을 인식하는 설비 형상 인식부; 및
    상기 설비 형상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설비 형상 정보와 상기 서버의 이상 상태 정보를 매칭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해당 센서의 위치 및 종류와 상기 서버의 관리 대상 설비의 분석 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비 형상 인식부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설비의 형상 정보를 인식하고, 설비의 형상 정보 인식에 따라 해당 센서 종류와 센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종합 관제소에 설치된 원격 모니터링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촬영된 관리 대상 설비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와 상호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영상을 입체화된 영상으로 구현하고,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영상에 대응되는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을 통해 설비 코드 조회에 따라 입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KR1020210111277A 2021-08-23 2021-08-23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KR20230030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277A KR20230030086A (ko) 2021-08-23 2021-08-23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277A KR20230030086A (ko) 2021-08-23 2021-08-23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86A true KR20230030086A (ko) 2023-03-06

Family

ID=8550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277A KR20230030086A (ko) 2021-08-23 2021-08-23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0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35B1 (ko)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US10516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cured interactive remote maintenance assist
CN109495533B (zh) 一种智能物联网管理系统及方法
JP2018520416A (ja) 統合資産保全性管理システム
EP3441836B1 (en) Algorithm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of a machine based on machine-learning technique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06249707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102284282B1 (ko) 증강현실 이미지 기반의 원격협업 모니터링 방법
KR1023190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예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CN109544870A (zh) 用于智能监控系统的报警判断方法与智能监控系统
KR20210021639A (ko)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219809B1 (ko)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작업관리 시스템
KR20200079001A (ko) 통합 환경 감시를 통한 관제시스템 및 방법
CN213457742U (zh) 一种焊接作业监控系统
CN108170060A (zh) 危险源及环境监测报警系统及方法
KR20230030086A (ko)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KR101385714B1 (ko) 위치 및 환경 통합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8557B1 (ko)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754001A (zh) 展示三维巡检数据的方法和智能巡检系统
CN115393142A (zh) 智慧园区管理方法及管理平台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114821957A (zh) 一种ai视频分析系统及方法
DK180665B1 (en) Augmented Reality Maintenanc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