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639A -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639A
KR20210021639A KR1020190100780A KR20190100780A KR20210021639A KR 20210021639 A KR20210021639 A KR 20210021639A KR 1020190100780 A KR1020190100780 A KR 1020190100780A KR 20190100780 A KR20190100780 A KR 20190100780A KR 20210021639 A KR20210021639 A KR 2021002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screen
user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702B9 (ko
KR102350702B1 (ko
Inventor
이선휘
이신혜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퓨처메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처메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처메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02B1/ko
Publication of KR1023507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014Augmented reality assists operator in maintenance, repair, programming, assembly, use of head mounted display with 2-D 3-D display and voice feedback, voice and gesture comman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171Generate polynomial fitting in tolerance zone around polyg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등의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Based Predictive Maintenance in Facilities}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등의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공장, 플랜트 및 발전소 등에 구비된 설비들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 설비들의 유기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스마트 팩토리의 개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설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해당 설비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가치뿐만 아니라 이를 생산하는 설비에 대한 가치 또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이 설비 자체에 대한 가치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장 등으로 인하여 해당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하는 경제적인 피해 규모는 상당하며, 따라서 설비의 고장을 예방하거나, 설비를 유지관리 하는 기술에 대한 중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설비에 대한 유지관리의 개념이 과거에 발생하였던 설비의 고장이력 등을 관리하는 것 또는 현재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최근에는 설비의 현재 상태를 바탕으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설비의 고장을 예측하여 대안을 제시해주는 설비예지보전 기술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한편, 설비예지보전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버-클라이언트 형태로써 클라이언트의 경우에는 PC와 같이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관리자와 해당 설비간의 물리적 거리에 의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인지하는 것과 동시에 현장에서 육안으로 설비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해당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고장 예측에 따른 대응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설비관리자가 설비와 근접한 위치에서 해당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설비예지보전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설비의 상태 및 고장 예측 등의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설비에 부착된 1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 및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설비정보관리부; 및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에 따른 공간에서의 1 이상의 설비의 위치를 포함하는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설비정보관리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AR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AR처리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1 이상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 및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선택된 설비에 대한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은,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방향을 입력 받기 위한 방향설정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에서 입력 받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방향 및 상기 AR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비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화면에서 해당 설비의 제1정보를 해당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위험 단계를 표시하는 위험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는,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진동 단계를 표시하는 진동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는, 해당 설비의 진동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레이어; 및 해당 설비의 세부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세부상태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레이어에서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이어는, 해당 설비의 도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설비도면레이어; 해당 설비의 매뉴얼을 디스플레이하는 매뉴얼레이어; 및 해당 설비의 고장 유형에 따른 고장대응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비에 부착된 1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 및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설비정보관리단계; 및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에 따른 공간에서의 1 이상의 설비의 위치를 포함하는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설비정보관리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AR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R처리단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1 이상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 및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선택된 설비에 대한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현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 설비까지의 사용자단말기의 방향을 설정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해당 설비가 표시된 화면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설비에 대한 위험 단계를 표시하는 위험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여, 해당 설비의 위험 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은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 및 해당 설비와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형태로 해당 설비의 위험 정도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설비에 대한 진동 단계를 표시하는 진동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여, 해당 설비의 진동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은 해당 설비의 진동 단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형태로 해당 설비의 진동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설비의 세부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세부상태레이어, 해당 설비의 도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설비도면레이어, 해당 설비의 매뉴얼을 디스플레이하는 매뉴얼레이어 및 해당 설비의 고장대응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해당 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설비도면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매뉴얼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으로서, 설비에 부착된 1 이상의 센서(100.N); 상기 센서(100.N)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 및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설비정보관리부(310); 및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위치에 따른 공간에서의 1 이상의 설비의 위치를 포함하는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송신하는 AR처리부(320);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AR처리부(3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1 이상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 및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선택된 설비에 대한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비에 부착되는 센서(100.N)는 해당 설비의 정보들을 센싱하기 위한 요소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센서들,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 무게센서, 온도센서, 자이로센서, 변위센서,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설비의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진동센서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1 이상의 센서(100.N)들은 해당 설비로부터 센싱된 정보들을 무선적 혹은 유선적인 통신방법을 통해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게이트웨이(200)로 해당 정보들을 무선 통신방법으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해당 정보들을 상기 서버(300)에 유선 통신방법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는 상기 서버(300)가 수신한 상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 및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니터링정보는 온도, 진동량, 속도, 압력, 회전수 등과 같이 상기 센서(100.N)에 의해 센싱된 현재 설비 정보 및 해당 설비의 이름, 종류, 설치위치 등에 해당하는 설비의 기본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에서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정보로써,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요소로 하여 연산된 결과값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결함주파수정보, 설비의 위험단계정보, 설비의 고장정보, 설비의 결함진단정보, 설비의 결함예측정보 및 설비의 수명예측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는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형태의 설비예지보전에 관련된 정보들을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AR처리부(320)는 상기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에서 도출된 모니터링정보 및 진단정보를 사용자단말기(400)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비위치데이터는, 해당 설비가 구비된 공간에 대한 데이터로써, 실내에 배치된 경우에는 실내 전체에 대한 정보 및 실내 전체에 대해 해당 설비가 구비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실외에 설비가 배치된 경우에는 소정의 실외의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소정의 실외의 구역에 대해 해당 설비가 구비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R처리부(320)는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상기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카메라로 촬영되는 실시간 화면에 오버레이 되는 정보 요소들을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DB부(330)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설비예지보전에 관한 정보들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데이터들을 기저장하였다가,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 상기 AR처리부(32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필요한 기초데이터들을 호출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데이터는 전술한 설비위치데이터, 진동규제를 위한 규격으로써 국제규격에 해당하는 ISO 7919 시리즈, ISO 10816, NEMA 규격 및 KS 규격 등과 같이 상기 진단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1 이상의 규격데이터, 1 이상의 설비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 및 설비의 고장 유형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1 이상의 사용자단말기(400)가 해당 시스템(1000)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1000)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 상기 AR처리부(320) 및 상기 DB부(330)는 서버(300) 내에 포함되어 물리적으로 단일 서버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 상기 AR처리부(320) 및 상기 DB부(330)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각각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서버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AR처리부(320)로부터 수신하는 1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며,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설비를 촬영할 수 있는 1 이상의 카메라, 상기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 또는 스마트 글라스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구현되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 표시되는 1 이상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설비정보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설비의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화면에 포함된 각각의 설비에 대한 기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에 대한 세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 및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에 대해서는 더 자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은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방향을 입력 받기 위한 방향설정엘리먼트(E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상기 위치 및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은 사용자단말기(400)의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화면에 대하여 그리드(grid) 형태의 엘리먼트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400)의 카메라를 현재 위치한 곳의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그리드형태의 엘리먼트가 해당 지면에 대한 실시간 화면에 오버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지면에 오버레이된 그리드 형태의 엘리먼트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면의 특정 포인트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포인트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특정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사용자단말기(40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에서 상기 특정 포인트를 기점으로 하는 방향설정엘리먼트(E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에 표시된 방향설정엘리먼트(E1)는 상기 기점을 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회전 혹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400)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방향설정엘리먼트(E1)를 설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방향은 이전에 설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설비를 촬영하기 위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400)의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설비를 촬영하게 될 방향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방향 및 설비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 포함되는 제1정보가 사용자단말기(400)의 실시간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설비에 상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은, 상기 그리드 형태의 엘리먼트 및 상기 방향설정엘리먼트(E1)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및 방향을 수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 설비가 위치한 공간에는 1 이상의 마커(marker)가 사전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카메라로 특정 위치의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설비위치데이터에서의 마커의 위치 및 해당 마커에서 설비까지의 방향을 도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마커는 QR코드 또는 특정 색상과 같이 일반적으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및 방향을 도출하는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의 구성은 종래의 GPS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및 방향 등을 인식하는 마커리스 증강현실(marker-less augmented reality) 기술에 비해 정확하게 해당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는 화면에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GPS 정보와 같이 위치정보를 처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커리스 증강현실 기술에 비해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적은 자원을 사용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은 본 발명에서 증강현실 기술의 구현 대상인 설비의 규모가 크고, 고정되어 있는 사물인 점을 착안하여 도출한 구성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에서 입력 받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방향 및 상기 AR처리부(3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비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화면에서 해당 설비의 제1정보를 해당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AR처리부(320)로부터 수신한 해당 설비에 대한 설비위치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통해 도출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 및 방향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단말기(400)에서 표시되는 실시간 화면에 포함된 각각의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제1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정보는 해당 설비의 기초정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설비의 종류, 이름 및 해당 설비가 설치된 구역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 표시된 제1정보에 대해 터치와 같은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정보에 상응하는 해당 설비의 제2정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는 실시간 화면이 상기 실시간 화면에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1정보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제1정보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형태의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1정보가 표시되는 제1정보레이어(L1) 또한 투명 혹은 반투명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B), (C) 및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상기 제1정보가 초기에 해당 설비에 상응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포함된 1 이상의 센서(100.N), 더 구체적으로는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에서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정보는 해당 설비의 상응하는 위치에 따라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설비가 사용자단말기(400)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화면의 프레임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는 해당 설비에 대한 제1정보 또한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위험 단계를 표시하는 위험단계엘리먼트(E2)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는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는 사용자에게 해당 설비의 위험 정도를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색상, 크기 및 상기 엘리먼트 내에 기재되는 내부컨텐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리먼트의 내부에 기재되는 텍스트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해당 요소들을 통해 설비의 위험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위험 단계는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에서 도출된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또는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설비의 위험정보를 도출하고, 기설정된 위험정보의 단계에 따라 위험정보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정보에 해당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되는 해당 설비 혹은 해당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의 진동정보, 온도정보, 유량정보, 압력정보 또는 해당 설비의 유형에 대한 정보 가운데 1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험 단계는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에서 도출되어, 상기 AR처리부(32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또는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단계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 표시되는 위험단계엘리먼트(E2)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와 같은 선택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해당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위험단계엘리먼트(E2)에 상응하는 설비의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 단계는 해당 설비에 관한 1 이상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도출된 해당 설비의 위험정도에 해당하나, 상기 위험 단계를 대체하여 해당 설비 또는 해당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들의 교체주기에 따른 교체임박정도에 대한 단계, 해당 설비 또는 해당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들의 정비주기에 따른 정비임박정도에 대한 단계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형태는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 및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형태에는 상기 엘리먼트의 색상, 크기 및 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 등이 포함되며, 각각의 형태들은 해당 설비의 위험 정도에 따라 상기 색상, 상기 크기 및 상기 내부컨텐츠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가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색상은 녹색이고, 내부컨텐츠는 낮은 위험 단계임을 의미하는 'A'혹은 '1'과 같이 위험 단계를 구분할 수 있는 텍스트적 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가 높은 상태로 격상하는 경우,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색상은 적색이 되고, 내부컨텐츠는 높은 위험 단계임을 의미하는 'D'혹은 위험 단계를 구분할 수 있는 텍스트적 요소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크기는 'A'단계에서의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크기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각 단계에 따른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색상, 크기 및 내부컨텐츠는 기설정된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형태는 위험 단계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구현되는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통해 도출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설비의 위험 단계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에서부터 각각의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각의 설비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크기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게 표시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위험 단계를 도출하는 데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대한 요소까지 반영하여 상기 위험 단계를 도출하고, 도출된 위험 단계에 따라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형태가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은 위험단계엘리먼트(E2)에만 국한되지 아니하며, 전술한 교체임박정도에 대한 단계를 표시하는 엘리먼트 또는 정비임박정도에 대한 단계를 표시하는 엘리먼트 등에도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가까이 있는 고위험 단계의 설비를 사용자단말기(400)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설비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진동 단계를 표시하는 진동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는, 해당 설비의 진동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에서 표시하는 진동 단계는 해당 설비에 부착된 1 이상의 센서(100.N), 바람직하게는 진동센서에 의해 센싱된 진동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동정보 및 ISO 7919 시리즈, ISO 10816, NEMA 규격 및 KS 규격 등에 포함된 진동 단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상기 진동 단계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는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E2)의 형태가 위험 단계 및 사용자단말기(400)의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의 형태 또한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결정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레이어(L4); 및 해당 설비의 세부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세부상태레이어(L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표시되는 해당 설비에 대한 위험단계엘리먼트(E2), 진동단계엘리먼트 혹은 해당 설비에 대한 제1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와 같은 선택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설비에 상응하는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초기화면은 상기 메뉴레이어(L4) 및 상기 세부상태레이어(L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레이어(L4)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초기화면에서 타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타 기능이 표시되는 별도의 레이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레이어(L4)는 타 기능을 호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타 기능에 상응하는 1 이상의 메뉴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뉴엘리먼트(E3)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받는 경우 이전에 표시된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을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메뉴엘리먼트(E4)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받는 경우 상기 세부상태레이어(L2)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부상태레이어(L2)가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초기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메뉴레이어(L4)에 의해 호출되는 설비도면레이어(L5), 매뉴얼레이어(L6) 또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가 표시된 이후에 상기 제2메뉴엘리먼트(E4)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받을 수 있고, 해당 입력에 따라 상기 세부상태레이이어가 호출될 수 있다. 제3메뉴엘리먼트(E5)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받는 경우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4메뉴엘리먼트(E6)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받는 경우 상기 매뉴얼레이어(L6)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제5메뉴엘리먼트(E7)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받는 경우 상기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세부상태레이어(L2)는 선택된 해당 설비의 부착된 1 이상의 센서(100.N)에서 센싱한 모니터링정보 및 진단정보를 종합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센싱된 정보들을 시간의 추이에 따라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거나, 해당 설비 혹은 해당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의 이상 발생 현황 또는 해당 설비의 결함진단 결과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세부상태레이어(L2)는 상기와 같이 기설정된 표시형태를 갖지 않고, 전술한 상기 설비정보관리부(310)에서 도출된 일반적인 형태의 설비예지보전에 관련된 정보들을 HTML형태로 호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뉴레이어(L4)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 상기 매뉴얼레이어(L6) 및 상기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비 혹은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에 대하여 상기 세부상태레이어(L2)와는 별도의 설비현황레이어(L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현황레이어(L3)는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표시되는 제1정보 및 해당 설비 또는 해당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에 대하여, 교체 또는 정비주기에 대한 정보, 최근 교체 또는 정비날짜에 대한 정보, 다음 교체 또는 정비날짜에 대한 정보 및 다음 교체 또는 정비날짜까지의 남은 일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비현황레이어(L3)에 표시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구성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비현황레이어(L3)는 상기 세부상태레이어(L2),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 상기 매뉴얼레이어(L6) 및 상기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가 각각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에 표시되더라도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설비도면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레이어(L4);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레이어(L4)에서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이어는, 해당 설비의 도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설비도면레이어(L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비의 도면을 표시하며, 상기 도면은 해당 설비에 대한 사시도와 같이 평면 형태의 도면 또는 해당 설비에 대해 3D 모델링된 이미지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가 움직일 수 있는 3D 형태의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대한 이미지 외에도 해당 설비 혹은 해당 설비에 포함되는 부품에 관한 이미지 형태의 정보들을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에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는 해당 설비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서버(300)에 포함된 DB부(330)에서 호출하여, 해당 이미지를 상기 설비도면레이어(L5)의 크기에 고려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매뉴얼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레이어(L4);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레이어(L4)에서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이어는, 해당 설비의 매뉴얼을 디스플레이하는 매뉴얼레이어(L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뉴얼레이어(L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비와 관련된 문서들을 표시하며, 더 구체적으로 상기 문서는 해당 설비에 대한 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뉴얼레이어(L6)는 해당 설비에 대한 문서를 상기 서버(300)에 포함된 DB부(330)에서 호출하여, 해당 문서를 상기 매뉴얼레이어(L6)의 크기에 고려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레이어(L4);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레이어(L4)에서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이어는, 해당 설비의 고장 유형에 따른 고장대응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비의 고장 유형에 따른 고장대응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고장대응영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설비에 대한 소개영상과 같이 해당 설비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영상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는 해당 설비에 대한 영상컨텐츠를 상기 서버(300)에 포함된 DB부(330)에서 호출하여, 해당 영상컨텐츠를 상기 고장대응영상레이어(L7)의 크기에 고려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현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 설비까지의 사용자단말기의 방향을 설정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해당 설비가 표시된 화면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설비에 대한 위험 단계를 표시하는 위험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여, 해당 설비의 위험 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은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 및 해당 설비와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형태로 해당 설비의 위험 정도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설비에 대한 진동 단계를 표시하는 진동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여, 해당 설비의 진동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은 해당 설비의 진동 단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형태로 해당 설비의 진동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설비의 세부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세부상태레이어, 해당 설비의 도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설비도면레이어, 해당 설비의 매뉴얼을 디스플레이하는 매뉴얼레이어 및 해당 설비의 고장대응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해당 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설비에 부착된 1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 및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설비정보관리부; 및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에 따른 공간에서의 1 이상의 설비의 위치를 포함하는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설비정보관리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AR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AR처리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1 이상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 및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선택된 설비에 대한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은,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방향을 입력 받기 위한 방향설정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위치수신화면에서 입력 받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방향 및 상기 AR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비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화면에서 해당 설비의 제1정보를 해당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위험 단계를 표시하는 위험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는,
    해당 설비의 위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에서부터 해당 설비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설비의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진동 단계를 표시하는 진동단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는,
    해당 설비의 진동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단계엘리먼트의 색, 내부컨텐츠 및 크기 중 1 이상이 결정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기능을 호출하는 메뉴레이어; 및
    해당 설비의 세부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세부상태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레이어에서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이어는,
    해당 설비의 도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설비도면레이어;
    해당 설비의 매뉴얼을 디스플레이하는 매뉴얼레이어; 및
    해당 설비의 고장 유형에 따른 고장대응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장대응영상레이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설비에 부착된 1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 및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설비정보관리단계; 및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에 따른 공간에서의 1 이상의 설비의 위치를 포함하는 설비위치데이터, 상기 설비정보관리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AR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R처리단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에서 상기 1 이상의 설비 각각에 대한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설비정보제공화면; 및
    상기 제1설비정보제공화면에서 선택된 설비에 대한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설비정보제공화면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90100780A 2019-08-19 2019-08-19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35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780A KR102350702B1 (ko) 2019-08-19 2019-08-19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780A KR102350702B1 (ko) 2019-08-19 2019-08-19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639A true KR20210021639A (ko) 2021-03-02
KR102350702B1 KR102350702B1 (ko) 2022-01-13
KR102350702B9 KR102350702B9 (ko) 2023-04-12

Family

ID=7516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780A KR102350702B1 (ko) 2019-08-19 2019-08-19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7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70B1 (ko) * 2022-11-17 2023-03-07 (주)퓨쳐아이씨티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6088B1 (ko) * 2022-11-09 2023-06-22 예주산업(주) 메타버스 및 위치탐지 기술을 활용한 중장비 임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48979B1 (ko) * 2022-12-06 2023-06-28 황찬식 가전제품 및 부품 통합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1760B1 (ko) * 2023-07-12 2023-11-13 주식회사 성원 작업장의 안전 조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237939A1 (en) * 2023-03-27 2023-12-14 Norouzi Ali Industrial inspe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46B1 (ko) * 2012-01-26 2012-12-24 이에스이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정비 가이드 제공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비 가이드 제공 방법
KR20150085853A (ko) * 2014-01-16 2015-07-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800361B1 (ko) * 2016-03-08 2017-11-22 한상육 배전설비 활선 시험기
KR20190077898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아프로스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46B1 (ko) * 2012-01-26 2012-12-24 이에스이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정비 가이드 제공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비 가이드 제공 방법
KR20150085853A (ko) * 2014-01-16 2015-07-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800361B1 (ko) * 2016-03-08 2017-11-22 한상육 배전설비 활선 시험기
KR20190077898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아프로스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88B1 (ko) * 2022-11-09 2023-06-22 예주산업(주) 메타버스 및 위치탐지 기술을 활용한 중장비 임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05770B1 (ko) * 2022-11-17 2023-03-07 (주)퓨쳐아이씨티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8979B1 (ko) * 2022-12-06 2023-06-28 황찬식 가전제품 및 부품 통합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237939A1 (en) * 2023-03-27 2023-12-14 Norouzi Ali Industrial inspe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601760B1 (ko) * 2023-07-12 2023-11-13 주식회사 성원 작업장의 안전 조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702B9 (ko) 2023-04-12
KR102350702B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702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US117835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reation of a map of a real-world, process control environment
JP7315313B2 (ja) プロセス制御環境の3dマッピング
KR101779827B1 (ko) 제조 장비 및 설비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관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20220044016A1 (en) Quick Activation Techniques for Industri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CN106710651A (zh) 一种展示核电站中核事故状态变迁的方法和系统
CN115168928A (zh) 一种机床的智能视窗系统和构建方法
WO2020010033A1 (en) Building maintaining method and system
US8913058B2 (en) Display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object
CN111465045B (zh) 一种ap的监控方法、监控服务器和监控系统
KR102290416B1 (ko)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발전설비의 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GB2568138A (en) 3D Mapping of a process control environment
CN114418426A (zh) 一种电力作业图片作业数据结构化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42410B (zh) 监控告警方法及装置、监控显示方法及装置和存储介质
CN111026495B (zh) 设备控制界面的自动生成方法、装置及系统
US20240127571A1 (en) Virtual-gauge-based pl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210208551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ing method in building
CN117111553A (zh) 报警事件的显示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GB2606650A (en) Drift correction for industri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N116997871A (zh) 一种嵌入分散控制系统的工厂服务器及其安全网络结构
KR20230030086A (ko) PDM을 통한 IoT 기기 관리 시스템
CN117711082A (zh) 一种基于水源工程的智能巡检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