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70B1 -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70B1
KR102505770B1 KR1020220154100A KR20220154100A KR102505770B1 KR 102505770 B1 KR102505770 B1 KR 102505770B1 KR 1020220154100 A KR1020220154100 A KR 1020220154100A KR 20220154100 A KR20220154100 A KR 20220154100A KR 102505770 B1 KR102505770 B1 KR 10250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tate
inspec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퓨쳐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쳐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퓨쳐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2015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75Faul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e.g. classify fault; estimate cause or root of fail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설비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측정 센서로부터 설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설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고,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ABNORMALITIES IN WATER STORAGE FACILITIES BASED ON IOT SENSORS}
아래 실시예들은 IoT 센서를 기반으로 양배수장 설비의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수장이나 배수장은 유입되는 물을 끌어올려 필요한 지역으로 흘려보내도록 제공된 구조물로서, 양배수장에는 유입되는 물을 끌어올리도록 수중모터펌프나 입축펌프(VERTICAL PUMP)를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양배수장 설비에 모래, 자갈, 뻘 등의 이물질이 침전하여 펌프가 설치된 바닥에 누적 고착되어 양배수장 설비의 가동 및 운전에 많은 장애를 초래하기도 하며,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인력을 동원하여 유지 보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분야에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바, 양배수장의 관리업무 체계에도 적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IoT 센서를 이용하여 양배수장의 설비의 이상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59657호(2018.05.1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78973호(2013.07.0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128707호(2020.07.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08076호(2013.09.12 공고)
실시예들은 IoT 센서를 기반으로 양배수장 설비의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작동 상태에 따라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드론 장치를 이용하여 설비와 이물질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촬영 결과물을 수집하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설비의 정밀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설비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측정 센서로부터 설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이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물질의 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의 양과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의 양이 상기 기준량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의 양이 상기 기준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설비의 설비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설비의 동작 상태 별 유속과 미리 설정된 기준 유속의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유속이 상기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주의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유속이 상기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설비의 작동 상태를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1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1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의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2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3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3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정밀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밀 확인 단계는, 상기 설비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드론 장치에 상기 설비의 위치로 이동하여 기본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와 상기 기본 촬영의 결과물을 비교하여 상기 설비와 상기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치에 상기 위치에서 상기 설비의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치로부터 상기 설비의 촬영 결과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 확인 단계는,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가 상기 주의 상태 및 상기 이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수행되고,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는, 상기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설비에 대한 작동 상태를 수집하여, 상기 설비에 대하여 상기 주의 상태 및 상기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의 상태 및 상기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인 오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인 시간대를 추출하여 주의 시간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류 횟수가 상기 주의 시간대에 포함된 횟수를 추출하여 시간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오류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 이상인 계절을 추출하여 주의 계절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류 횟수가 상기 주의 계절에 포함된 횟수를 추출하여 계절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정보의 현장 점검 시간에 상기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현장 점검 주기에 상기 계절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의 상태로 설정된 횟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에 상기 제1 가중치보다 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수 및 상기 제2 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설비의 점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점검 지수에 기반하여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의 반복 전송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적용된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설비의 현장 점검 대비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에 상기 오류 횟수가 제1 임계값 이상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장 점검 대비 상승한 오류 횟수에 따라 제3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현장 점검 대비 상기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에 상기 오류 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 하락한 경우, 상기 현장 점검 대비 하락한 오류 횟수에 따라 제4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본 설정 기간에 상기 제3 가중치 및 상기 제4 가중치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상태 설정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상태 설정 기간 동안에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관리자가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 계약되어 있는 복수의 점주를 확인하고, 복수의 점주 단말로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관련된 복수의 공지 사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점주 단말 중 어느 하나인 점주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지 사항 중 상기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행률에 따라 결정되는 리워드를 상기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점주 단말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기 위한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점주 단말로부터, 상기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상기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상기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 중 평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리스트에 관한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리워드를 상기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점주 단말로부터, 발주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점주 단말에서 리워드들을 사용하겠다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주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들의 가격에서 상기 리워드들을 차감한 발주 금액을 상기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지 사항은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공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공지 사항 각각의 수행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행률을 0%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된 경우, 상기 복수의 공지 사항의 수 및 상기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행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점주 단말에 대응되는 제1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점주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에 대한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을 노드로 하여 형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점주 단말의 노드에 상기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 및 상기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블록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들은, 상기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 및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채굴되어 상기 점주 단말에 할당되는 암호 화폐 지갑으로 전달되는 암호 화폐로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IoT 센서를 기반으로 양배수장 설비의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작동 상태에 따라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드론 장치를 이용하여 설비와 이물질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촬영 결과물을 수집하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설비의 정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정밀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과정을 설비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 설정 기간을 산출하는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행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배수장의 설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의 단말(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1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항의 관리자는 하나의 관리자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항의 설비는 하나의 설비 또는 둘 이상의 설비를 지칭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관리자의 단말(1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자의 단말(1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관리자의 단말(1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 내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관리자의 단말(1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관리자의 단말(10)로부터 설비의 기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설비의 기본 정보는 설비의 이름, 종류, 모델명, 용도, 위치, 설비를 보유한 기관, 점검 이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점검 이력은 설비의 점검 주기, 점검 횟수, 점검 시간, 점검한 관리자 등에 대한 설비를 점검한 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설비의 기본 정보에 대한 기본 정보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본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설비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관리자의 단말(10)로부터 설비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설비의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관리자의 단말(10)로 설비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설비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설비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관리자의 단말(10)로부터 설비의 기본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측정 센서로부터 설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설비에는 설비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상태 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설비 상태 정보는 상태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상태 측정 센서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상태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 값을 상태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값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측정 센서는 유량계, 유속계, 전류계, 수위계, 전압계, 소리센서, 진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점검 정보는 설비의 점검 주기, 점검 횟수, 점검 시간, 점검한 관리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이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상태 측정 센서의 카메라로부터 설비를 촬영한 설비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설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물질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이물질의 양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이물질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물질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는 이물질의 양과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는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는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설비의 설비 상태 정보로부터 설비의 동작 상태 별 유속과 미리 설정된 기준 유속의 범위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유속의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상태 측정 센서의 유속계로부터 설비의 유속에 대한 센싱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의 동작 상태가 작동 상태이고, 작동 상태일 때의 기준 유속의 범위가 초속20~30cm인 경우, 장치(30)는 작동 상태일 때의 설비의 유속이 기준 유속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의 동작 상태가 비작동 상태이고, 비작동 상태일 때의 기준 유속의 범위가 초속10~19cm인 경우, 장치(30)는 비작동 상태일 때의 설비의 유속이 기준 유속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유속이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주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설비의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보다 크면서, 설비의 유속이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주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유속이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작동 상태를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설비의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보다 크면서, 설비의 유속이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설비의 작동 상태를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30)는 설비의 기본 상태, 주의 상태 및 이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판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1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1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기 및 제1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의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2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기는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는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3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3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주기는 제2 주기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3 시간은 제2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정밀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30)는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정밀 확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밀 확인 단계는 설비의 작동 상태가 주의 상태 및 이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설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는 드론 장치에 설비의 위치로 이동하여 기본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장치에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카메라가 구비된 드론과 이미지에서 확인된 대상 객체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도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와 기본 촬영의 결과물을 비교하여 설비와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크기 및 위치를 획득하고, 기본 촬영의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크기 및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크기 및 위치와 기본 촬영의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크기 및 위치를 비교하여 설비와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는 드론 장치에 위치에서 설비의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설비와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가 결정되면, 드론 장치로 설비와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에서 설비의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와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가 설비와 이물질의 정면인 경우, 장치(30)는 설비와 이물질의 정면 위치에서 드론 장치가 설비의 촬영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30)는 드론 장치로부터 설비의 촬영 결과물을 수신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30)는 드론 장치를 이용하여 설비와 이물질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촬영 결과물을 수집하고, 이미지 분석을 통해 설비의 정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30)는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 기본 촬영 결과물 뿐만 아니라 설비와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하는 위치에서 촬영된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다양한 위치 또는 각도에서 설비를 촬영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설비의 이물질의 양, 이물질의 종류, 이물질의 상태 및 위치 등에 대하여 설비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만을 이용할 때보다 더욱 정밀하게 설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설비의 점검 정보는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설비에 대한 작동 상태를 수집하여, 설비에 대하여 주의 상태 및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의 상태 및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인 오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인 시간대를 추출하여 주의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으로 추출된 시간대를 추출하여 주의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주의 시간대에 포함된 횟수를 추출하여 시간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주의 시간대에 포함된 횟수가 많을수록 시간 가중치를 높게 생성하고, 오류 횟수가 주의 시간대에 포함된 횟수가 적을수록 시간 가중치를 낮게 생성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계절을 추출하여 주의 계절로 설정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주의 계절에 포함된 횟수를 추출하여 계절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주의 계절에 포함된 횟수가 많을수록 계절 가중치를 높게 생성하고, 오류 횟수가 주의 계절에 포함된 횟수가 적을수록 계절 가중치를 낮게 생성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점검 정보의 현장 점검 시간에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고, 현장 점검 주기에 계절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검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주의 시간대에 포함된 횟수에 따라 시간 가중치를 생성하고, 설비의 점검 정보의 현장 점검 시간에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비의 현장 점검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오류 횟수가 주의 계절에 포함된 횟수에 따라 계절 가중치를 생성하고, 설비의 점검 정보의 현장 점검 주기에 계절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를 수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설비의 오류 횟수가 많이 추출된 시간대나 계절의 경우에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을 수정하여 설비의 문제가 많이 발생한 경우에는 설비의 점검 정보를 수정하여 설비를 더욱 세밀하게 관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10)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의 상태로 설정된 횟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중치는 제1 가중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지수 및 제2 지수를 합산하여, 설비의 점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점검 지수에 기반하여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의 반복 전송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점검 지수가 높을수록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의 반복 전송 횟수를 높게 설정하고, 점검 지수가 낮을수록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의 반복 전송 횟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30)는 반복 전송 횟수가 적용된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전송 횟수가 4번인 경우, 장치(30)는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4번 반복하여 관리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과정을 설비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 설정 기간을 산출하는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현장 점검 대비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에 오류 횟수가 제1 임계값 이상 상승한 경우, 현장 점검 대비 상승한 오류 횟수에 따라 제3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현장 점검을 실시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현장 점검을 실시하기 전의 특정 기간과 현장 점검을 실시한 후의 특정 기간에 대한 오류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현장 점검을 실시하기 전의 특정 기간의 오류 횟수 및 현장 점검을 실시한 후의 특정 기간에 대한 오류 횟수를 비교하여 현장 점검 대비 상승한 오류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장 점검 대비 상승한 오류 횟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현장 점검 대비 상승한 오류 횟수에 따라 제3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가중치는 1과 2사이의 실수값일 수 있으며, 장치(30)는 현장 점검 대비 상승한 오류 횟수에 비례하여 제3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30)는 설비의 현장 점검 대비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에 오류 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 하락한 경우, 현장 점검 대비 하락한 오류 횟수에 따라 제4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는 현장 점검을 실시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현장 점검을 실시하기 전의 특정 기간과 현장 점검을 실시한 후의 특정 기간에 대한 오류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현장 점검을 실시하기 전의 특정 기간의 오류 횟수 및 현장 점검을 실시한 후의 특정 기간에 대한 오류 횟수를 비교하여 현장 점검 대비 하락한 오류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장 점검 대비 하락한 오류 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현장 점검 대비 하락한 오류 횟수에 따라 제4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가중치는 0과 1사이의 실수값일 수 있으며, 장치(30)는 현장 점검 대비 하락한 오류 횟수에 반비례하여 제4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기본 설정 기간에 제3 가중치 및 제4 가중치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상태 설정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본 설정 기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현장 점검 대비 오류 횟수의 변화에 따라 설비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 설정 기간을 수정하여 설비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30)는 상태 설정 기간 동안에 설비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할 수 있고, 복수의 점주는 관리자와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 계약될 수 있고, 장치(30)는 복수의 프랜차이즈 가맹점 각각에서 점주가 직접 가맹점 관리에 참여하고, 참여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복수의 단말 각각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관련된 복수의 공지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점주 단말로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관련된 복수의 공지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지 사항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기 위한 공지 사항으로서, 예를 들어, 가격 인상 공지, 신메뉴 출시 공지, 배송 안내 공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공지 사항 중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점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공지 사항 중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에서의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 단말로부터 수신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점주 단말에서의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계산할 수 있다. 수행률을 계산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의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에 기초하여,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으로 제공할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수행률에 정비례하도록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리워드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포인트(point)일 수 있고, 암호 화폐(또는 가상 화폐, 코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을 노드(node)로 하여 형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점주 단말의 노드에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를 블록(block)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워드는 공지 사항수행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채굴되어 점주 단말에 할당되는 암호 화폐 지갑으로 전달되는 암호 화폐일 수 있다.
블록체인은 관리 대상 정보를 블록이라고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된 원장 관리 기술로서,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저장된 기록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의 한 형태로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의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제공하며, 암호화폐의 거래 과정은 탈중앙화된 전자 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각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며, 중앙에 존재하는 은행 없이 개인 간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장치(30)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체크리스트를 복수의 점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점주 각각이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기 위한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들을 점검 및 관리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일 수 있다.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는, 예를 들어, 체스트 프리저(chest freezer), 스탠드 냉동고(stand freezer), 블렌더(blender), 포스기(point-of-sales device) 등을 점검 및 관리하기 위한 복수의 체크 항목을 포함하는 체크리스트일 수 있다.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물류들의 세팅(또는 설정) 상태를 점검 및 관리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배송 또는 물류 정리 상태를 점검 및 관리하기 위한 복수의 체크 항목을 포함하는 체크리스트일 수 있다.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는 상품 품질, 장비의 온도 및 청결 상태, 원재료 상태, 개인 위생 상태, 위생 설비 상태, 안전 상태, 매장 환경 상태 등을 점검 및 관리하기 위한 복수의 체크 항목을 포함하는 체크리스트일 수 있다.
복수의 점주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을 통해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체크리스트를 평가할 수 있다.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은 평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리스트에 관한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에 따라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에 제공할 리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평가 완료된 체크리스트의 수가 많을수록 제공할 리워드를 높게(많이) 결정할 수 있다.
리워드는 점주 참여형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포인트(point)일 수 있고, 암호 화폐(또는 가상 화폐, 코인(coi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을 노드로 하여 형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점주 단말의 노드에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블록(block)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워드는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채굴되어 점주 단말에 할당되는 암호 화폐 지갑으로 전달되는 암호 화폐일 수 있다.
즉, 장치(30)는 복수의 점주 단말 각각을 노드로 하여 형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점주 단말의 노드에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 및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블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워드들은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 및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채굴되어 점주 단말에 할당되는 암호 화폐 지갑으로 전달되는 암호 화폐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30)는 복수의 점주가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 계약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점주 단말로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관련된 복수의 공지 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지 사항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기 위한 공지 사항일 수 있다. 복수의 공지 사항은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공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공지 사항 중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점주는 점주 단말을 통해 복수의 공지 사항 중 적어도 하나의 공지 사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지 사항으로서, 제1 공지 사항, 제2 공지 사항 및 제3 공지 사항이 있고, 제1 점주가 제1 공지 사항 및 제2 공지 사항만 수행한 경우,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는, 제1 공지 사항 및 제2 공지 사항은 수행하였고, 제3 공지 사항은 수행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30)는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 수행 완료정보가, 제1 공지 사항 및 제2 공지 사항은 수행하였고, 제3 공지 사항은 수행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장치(30)는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1/3) * 100 =33.3%로 계산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장치(30)는 수행률에 따라 결정되는 리워드를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수행률에 정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수행률이 100%인 경우, 리워드를 1000원으로 결정하고, 수행률이 50%인 경우 리워드를 500원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수행률이 0%인 경우 리워드를 0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는 점주 참여형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포인트일 수도 있고, 암호 화폐일 수도 있다.
S9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기 위한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점주가 직접 평가할 수 있는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를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체크리스트들은 일정한 주기(예: 하루, 일주일)로 점주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로부터,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 중 평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리스트에 관한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점주는 점주 단말을 통해 수신한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 및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체크리스트를 평가할 수 있다. 점주 단말은 평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리스트에 관한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를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 단말에서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만 평가 완료되고, 기기 세팅 체크리스트 및 물류 세팅 체크리스트는 평가되지 않은 경우,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는 평가 완료된 매장 관리 체크리스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S907 단계에서, 장치(30)는 평가 완료 체크리스트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리워드를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평가 완료된 체크리스트의 수에 정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S9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로부터, 발주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발주 리스트는, 제1 프랜차이즈 매장에 필요한 물품들을 요청하기 위한 리스트로서, 제1 점주는 점주 단말을 통해 발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발주 리스트를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S9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에서 리워드들을 사용하겠다는 요청에 응답하여, 발주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들의 가격에서 리워드들을 차감한 발주 금액을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점주는 점주 단말을 통해 발주 리스트를 생성 및 전송하면서 그 동안 획득한 리워드들을 사용하겠다고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30)는 점주 단말에서 리워드들을 사용하겠다는 요청에 응답하여 발주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들의 가격에서 리워드들을 차감하여 발주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주 리스트에 포함된 물품들의 총 가격이 100만원이고, 점주 단말에서 획득한 리워드가 5만원인 경우, 장치(30)는 발주 금액을 95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결정한 최종 발주 금액 95만원을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점주는 획득한 리워드를 점주 참여형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행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로부터 수신한 공지 사항 수행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공지 사항 각각의 수행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공지 사항은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 공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 공지 사항이 3개인 경우, 장치(30)는 3개의 필수 공지 사항이 점주 단말에서 모두 수행되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4에서, 장치(30)는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0%로 계산할 수 있다. 즉, 필수 공지 사항을 모두 수행하지 않은 경우, 수행률을 0%로 계산함으로써, 리워드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10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점주 단말에 대응되는 제1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점주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에 대한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이 모두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면, S1003 단계에서, 장치(30)는 복수의 공지 사항의 수 및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의 수에 기초하여,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지 사항의 수가 필수 공지 사항 2개 및 선택 공지 사항 3개를 포함하고, 점주 단말에서 2개의 필수 공지 사항 및 1개의 선택 공지 사항이 수행된 경우, 장치(30)는 아래 식에 따라, 수행률을 60%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2122399307-pat00001
수학식 1에서, Xn은 특정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에 관한 수행률이고, An은 특정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공지 사항의 수이며, A는 복수의 공지 사항의 수이고, pn은 특정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필수 공지 사항의 수이며, qn은 특정 점주 단말에서 수행 완료된 선택 공지 사항의 수이고, p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 공지 사항의 수이고, q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공지 사항의 수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설비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측정 센서로부터 설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이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물질의 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의 양과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의 양이 상기 기준량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의 양이 상기 기준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설비의 설비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설비의 동작 상태 별 유속과 미리 설정된 기준 유속의 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설비의 유속이 상기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된 설비의 작동 상태를 주의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유속이 상기 기준 유속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설비의 작동 상태를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1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1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의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2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태에 해당하는 설비의 현장 점검 주기는 제3 주기 및 현장 점검 시간은 제3 시간을 포함하는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정밀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밀 확인 단계는,
    상기 설비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드론 장치에 상기 설비의 위치로 이동하여 기본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설비 상태 정보의 설비의 이미지와 상기 기본 촬영의 결과물을 비교하여 상기 설비와 상기 이물질이 함께 촬영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치에 상기 위치에서 상기 설비의 촬영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치로부터 상기 설비의 촬영 결과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의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 확인 단계는,
    상기 설비의 작동 상태가 상기 주의 상태 및 상기 이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수행되고,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는,
    상기 촬영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설비에 대한 작동 상태를 수집하여, 상기 설비에 대하여 상기 주의 상태 및 상기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의 상태 및 상기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인 오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인 시간대를 추출하여 주의 시간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류 횟수가 상기 주의 시간대에 포함된 횟수를 추출하여 시간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오류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 이상인 계절을 추출하여 주의 계절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류 횟수가 상기 주의 계절에 포함된 횟수를 추출하여 계절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정보의 현장 점검 시간에 상기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현장 점검 주기에 상기 계절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의 상태로 설정된 횟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태로 설정된 횟수에 상기 제1 가중치보다 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수 및 상기 제2 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설비의 점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점검 지수에 기반하여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의 반복 전송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적용된 현장 점검 안내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54100A 2022-11-17 2022-11-17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05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00A KR102505770B1 (ko) 2022-11-17 2022-11-17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00A KR102505770B1 (ko) 2022-11-17 2022-11-17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770B1 true KR102505770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100A KR102505770B1 (ko) 2022-11-17 2022-11-17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94B1 (ko) * 2023-04-20 2023-07-06 문이연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누전 위치 확인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4715B1 (ko) * 2023-04-06 2023-07-13 주식회사 엠아이소프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73B1 (ko) 2012-11-14 2013-07-02 (유)한성산기 지능형 양,배수장 관리시스템
KR101308076B1 (ko)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센서기반 오감 정보를 이용한 수리시설물의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859657B1 (ko) 2017-06-28 2018-05-18 주식회사 대영 자가 점검 기능을 탑재한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20180112657A (ko) * 2017-04-04 2018-10-12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8777A (ko) * 2018-01-29 2019-08-23 (주)윈텍 설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진단 방법
KR20190140508A (ko) * 2018-05-25 2019-12-20 한국전력공사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KR102128707B1 (ko) 2019-11-01 2020-07-01 주식회사 이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KR20200124899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어플라이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210021639A (ko) * 2019-08-19 2021-03-02 퓨처메인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800A (ko) * 2020-06-24 2022-01-04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20220077332A (ko) * 2020-12-02 2022-06-09 유성근 IoT와 드론 기반의 항만 통제 방법, 디바이스 및 플랫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76B1 (ko)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센서기반 오감 정보를 이용한 수리시설물의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278973B1 (ko) 2012-11-14 2013-07-02 (유)한성산기 지능형 양,배수장 관리시스템
KR20180112657A (ko) * 2017-04-04 2018-10-12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59657B1 (ko) 2017-06-28 2018-05-18 주식회사 대영 자가 점검 기능을 탑재한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20190098777A (ko) * 2018-01-29 2019-08-23 (주)윈텍 설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진단 방법
KR20190140508A (ko) * 2018-05-25 2019-12-20 한국전력공사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KR20200124899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어플라이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210021639A (ko) * 2019-08-19 2021-03-02 퓨처메인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128707B1 (ko) 2019-11-01 2020-07-01 주식회사 이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KR20220000800A (ko) * 2020-06-24 2022-01-04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20220077332A (ko) * 2020-12-02 2022-06-09 유성근 IoT와 드론 기반의 항만 통제 방법, 디바이스 및 플랫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715B1 (ko) * 2023-04-06 2023-07-13 주식회사 엠아이소프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51994B1 (ko) * 2023-04-20 2023-07-06 문이연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누전 위치 확인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770B1 (ko)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380274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generating or updating topology model of pressure pipe network
KR102322845B1 (ko) 인공지능 기반 브랜드 마케팅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ard et al. An analysis of the learning curve to achieve competency at colonoscopy using the JETS database
US20180144244A1 (en) Distributed clinical workflow training of deep learning neural networks
CN110383308A (zh) 预测管道泄漏的新型自动人工智能系统
CN109478263A (zh) 用于体系结构评估和策略执行的系统和设备
Lethanh et al. Use of exponential hidden Markov models for modelling pavement deterioration
CN110275897A (zh) 用于基于位置的数据检索的启用信标的系统
US201903179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using locations of electronic devices of users in a specific space to analyz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s
Winkler et al. Innovative long-term monitoring of the great belt bridge expansion joint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Kim et al. Development of construction duration prediction model for project planning phase of mixed-use buildings
Ling et al.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adoption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rms in Singapore
Olyazadeh et al. Prototype of an open-source web-GIS platform for rapid disaster impact assessment
Migliaccio et al.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techniques for data collection in asset management systems
KR20200139939A (ko) 인플루언서 기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Bruno et al. Pavement distress estimation via signal on graph processing
Giordano et al. The Benefit of Informed Risk-Based Management of Civil Infrastructures
Sousa et al. Risk-informed time-cost relationship models for sanitation projects
CN111105499B (zh) 用于记录建筑状态的系统和方法
KR102508378B1 (ko) 하이브리드 제어 카드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전광판 캐비닛 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3994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검증을 위한 방법
KR20200092192A (ko) 담보물 점검 시스템 및 방법
Al-Bimani et al. Successful standardization and sustainable well management system for ESP well surveillance & optimization across PDO
WO20200589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