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715B1 -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4715B1 KR102554715B1 KR1020230045365A KR20230045365A KR102554715B1 KR 102554715 B1 KR102554715 B1 KR 102554715B1 KR 1020230045365 A KR1020230045365 A KR 1020230045365A KR 20230045365 A KR20230045365 A KR 20230045365A KR 102554715 B1 KR102554715 B1 KR 102554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water
- situation
- water supply
- complex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1 biological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웹 알람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영역 또는 지리적 공간에 위치한 상하수도 시설에서 계측한 계측 데이터의 정상 및 비정상 상태에 따른 상황별 알람 서비스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 설정값에 따라 상하수도 시설상태에 대한 예외상황, 복합상황을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른 상황별 알람 서비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지원하는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 시설 등에서 이용되는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은 상수도 시설의 경우 원수를 취수하는 취수장과 취수장에서 들어온 물의 양 및 수위를 조절하는 착수정과, 정수약품을 투입하고 잘 섞이도록 하는 혼화지와, 약품과 이물질이 서로 엉기게 하는 응집지와 물속의 응집물을 가라앉혀 찌꺼기는 버리고 맑은 물만 여과지로 보내는 침전지와, 침전지에서 없애지 못한 아주 작은 응집물 등을 여과하는 여과지와, 물속의 각종 세균을 없애는 염소투입실과, 여과지와 염소투입실을 통과하는 깨끗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정수장과, 정수장에서 보내온 물을 저장하여 각 가정으로 보내는 배수지와, 정수장의 물을 배수지로 보낼 때(송수과정) 펌핑에 의한 가압 송수 및 중계 송수하는 가압장 및 중계펌프장과, 상수도 블록화 사업으로 구분되어진 중/소블록의 유입유량계와, 수질계측기 등을 포함한다.
상하수도 시설의 관리를 위하여 제어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처리장의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수위, 수온, 오염도, 압력, 유량, 유속, 이산화탄소 농도, 수질 상태 등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요소들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검출 장비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상하수도 시설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관리서버에서 감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원격의 상하수도 시설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지를 감시하며, 이상이 발생된 시설들에 대하여는 별도의 원격 제어시스템으로 제어하거나 수리직원을 파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통합 감시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그라나, 종래 상하수도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는, 낙뢰 등에 의해 통신라인이 단선되거나, 감시 단말기에 이상 전압이 유기되어 감시 단말기가 작동불능 상태에서 빠지게 되면, 감시 단말기와 관리서버 간 통신이 두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통신 두절 상황에서는 상하수도 시설 감시 기능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상하수도 시설의 장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전자 방식에 의한 센서를 사용함에 따라 우천이나 낙뢰 등으로 인하여 잦은 오동작을 일으키며 따라서 상하수도 시설의 수조에서 상하수가 범람하여 대형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웹 알람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영역 또는 지리적 공간에 위치한 상하수도 시설에서 계측한 계측 데이터의 정상 및 비정상 상태에 따른 상황별 알람 서비스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 설정값에 따라 상하수도 시설상태에 대한 예외상황, 복합상황을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른 상황별 알람 서비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지원하는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에서 계측된 복수의 현장 계측 데이터 간에 상호 연관성을 설정하여 해당 연관성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 복합상황으로 인지하고, 복합 알람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복합상황은 상기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황으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 low이고, 정수장의 유입밸브 개도율 low인 상태를 배수지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가압장의 토출압력이 low 기준인 상태에서 가압장 펌프의 가동이 off 상태로 5분이상 지속될 경우 가장압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가 low이고, 가압장 펌프가동이 off일 때 배수지 시설물과 송수 가압장 시설물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유출유량계와 배수지 유입유량계 합산 차이로 복합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시설물의 유출유량계와 각 배수지 시설물의 유입유량계의 합산을 비교한 결과로 복합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정한 지역의 상하수도 시설물의 알람 대상 항목(유량, 수압, 유속, 수질)에 대해 구역별, 시간대별로 최대기준값, 최소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가 발생될 경우,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에서 제공된 현장 계측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동인 고정값 또는 이전값으로 유지될 경우, 통신장애 또는 현장 계측기 센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홀딩 상태로 판단한 알람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알람 항목(유량, 수압, 유속, 수질)에 대해 데이터 흐름 중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알람 예외 기준을 설정하여 예외 기준을 벗어 나기전까지는 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고, 예외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벗어나는 정도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 알람대상, 알람단계(주의, 경고)별 발생횟수, 알람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색상별로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물의 알람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은 관리자 단말에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수도 시설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기기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기기들로부터 현장계측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설정한 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와의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한 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에 해당하는 현장계측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해당 상황에 부합하는 알람문자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에서 계측된 복수의 현장 계측 데이터 간에 상호 연관성을 설정하여 해당 연관성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 복합상황으로 인지하고, 복합 알람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 상황은 현장계측값에 대한 홀딩(Holding), 예외상황(Hunting), 피칭(Pitching) 및 복합상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Holding)는 상하수도 시설에서 제공된 현장계측 데이터의 상태값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값 또는 이전값으로 지속되는 상태이고, 상기 복합상황은 상기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황으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 low이고, 정수장의 유입밸브 개도율 low인 상태를 배수지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가압장의 토출압력이 low 기준인 상태에서 가압장 펌프의 가동이 off 상태로 5분이상 지속될 경우 가장압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가 low이고, 가압장 펌프가동이 off일 때 배수지 시설물과 송수 가압장 시설물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유출유량계와 배수지 유입유량계 합산 차이로 복합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시설물의 유출유량계와 각 배수지 시설물의 유입유량계의 합산을 비교한 결과로 복합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외상황(Hunting) 상태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계측되는 횟수에 대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횟수 미만일 경우, 정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지정한 횟수를 초과할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피칭(Pitching) 상태는 알람 대상 항목에 대해 (유량, 수압, 유속, 수질)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데이터의 흐름 중에 이전 값과 다음값을 비교하여 이전값보다 설정한 비율(%)을 초과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알람 설정 방식(범위값 지정, 홀딩, 복합알람, 피칭 등)을 지원함에 따라 통신장애, 센서 고장 등의 상황을 미리 대응하여 현장 상황에 선 조치(통신 및 센서 점검 상태 확인)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수관 내부의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수질관리, 관파손 등에 대한 선 조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예외적 알람 설정을 통해 알람 경고 발생 횟수를 줄임으로써, 담당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복합적인 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복합 알람을 통해 해당 설비에 대해 더 세밀하게 상황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람 단계(정상, 주의, 경고, 알람)에 따른 화면에 보여주는 색상을 달리하여 해당 시스템에 집중하지 않더라고 경고, 알람인 경우 확 튀는 색상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갖게하여 한번이라도 더 알림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지원하며, 알람 경고 사운드를 다양한 설정기능(1시간, 12시간, 24시간 ON/OFF)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지원해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람이 발생한 경우, 해당 알람 발생 정보를 보관하여 알람 설정방식별 발생하는 알람주기, 시기 등을 분석 판단할 수 있고, 해당 블록별, 알람 설정 방식별로 관리가 됨으로 해당 블록에서 발생한 알람 형태를 분석하여 해당 블록 내의 상수관, 또는 장비들에 대한 점검시기 점검 대상 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상황별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범위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현장계측 데이터의 홍딩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현장계측 데이터의 예외상황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복합상황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피칭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상황별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범위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현장계측 데이터의 홍딩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현장계측 데이터의 예외상황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복합상황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피칭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상황별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범위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현장계측 데이터의 홍딩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현장계측 데이터의 예외상황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복합상황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현장계측 데이터의 피칭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200) 및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각 구성은 네트워크로 통신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200)은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지역의 상하수도 시설의 정상, 비정상, 잠재적 위험상황, 복합적 위험상황 등에 대한 알람 서비스를 제공받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상하수도 시설과 연동되는 계측기기의 계측값에 대한 계측범위 지정/선택, 홀딩(Holding), 예외상황(Hunting), 피칭(Pitching) 등에 대한 설정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센서들의 계측 데이터를 통합한 자료를 분석하여 복합적인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지역의 상하수도 시설, 예컨대, 블록 유량계, 정수장, 스마트 관망 인프라, 가압장 또는 배수지의 관리정보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맞춤형 알람 단계별 색상, 경보음을 설정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오픈 API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 아래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후술하는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와 연동되며, 상하수도 시설과 연동되는 계측기기의 계측범위 지정/선택 설정기능, 계측값에 대한 홀딩(Holding) 알람설정 기능, 예외상황(Hunting) 알람, 피칭(Pitching) 알람설정 기능, 복합상황 알람설정 기능을 지원한다.
계측범위 지정/선택 설정기능은 도 8 참조, 알람시간대(주간, 야간), 정상범위, 주의범위, 통신구분, 홀딩구분, 헌팅구분, 피칭기분비율(%) 등에 대해 설정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다음을, 계측값에 대한 홀딩(Holding) 알람기능은 관리자 단말(200)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 데이터의 홀딩 상태 유무를 판단하고, 홀딩 상태일 경우, 홀딩 알람을 수신받도록 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여기서, 홀딩 상태는 상하수도 시설에서 제공된 계측 데이터의 상태값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값 또는 이전값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홀딩 상태는 통신장애 또는 계측센서의 고장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상술한 홀딩 상태의 판단은 후술하는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의 홀딩 설정 및 판단부(320)에서 수행하며, 관리자 단말(200)에서 설정한 홀딩 설정값(홀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홀딩 판단 범위값(최대값~최소값)) 내에서 지속적으로 반응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홀딩 상태 유무를 판단한다.
예외상황(Hunting) 알람설정 기능은 관리자 단말(200)에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계측되는 횟수에 대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횟수 미만일 경우, 정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지정한 횟수를 초과할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도록 예외상황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즉, 설정된 상하수도 시설들의 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발생한 회수가 기 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를 예외적 상황(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하여 예외적 상항 이외의 상황에서만 알람이 수신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복합상황 알람설정 기능은 관리자 단말(200)에서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 상황에 대해 판단하고, 이에 대한 알림을 설정하는 기능으로, 예컨대, 배수지 수위가 Low 상태이고, 유입밸브 개도율이 Low 상태일 경우, 복합상황으로 인지한 후, 복합상황에 대한 알람 출력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배수지의 경우 배수지 수위가 low 기준에 도달할 경우 정수장에서 물을 받기 위해 유입밸브가 기준이상(low 이상) 개도율로 열려야 하는데 그렇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배수지 수위와 밸브 개도율에 대한 상황을 점검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합알람 알람설정의 예시 상황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1. 배수지 시설물 (수위 low + 유입밸브 개도율 low)
배수지의 경우 배수지 수위가 low 기준에 도달할 경우 정수장에서 물을 받기 위해 유입 밸브가 기준이상(low 이상) 개도율로 열려야 하는데 그렇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배수지 수위와 밸브 개도율에 대한 복합알람 상황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2. 가압장 시설물( 토출압력 low + 펌프가동 off)
가압장의 경우 가압장의 토출압력이 low 기준인 상태에서 가압장 펌프의 가동이 off 상태로 5분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가압장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수용가에 물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가압장 시설물의 토출압력+펌프가동에 대한 복합알람 상황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3. 배수지 시설물 과 송수 가압장 시설물 (배수지 수위 low + 가압장 펌프가동 off)
지대가 높은 배수지와 그 배수지에 물을 송수하기 위한 송수 가압장의 경우 배수지의 수위가 low 인 경우 송수 가압장의 펌프 동작이 off 가 되는 상태를 복합알람 상황으로 인지하여 알람을 발생한다. 가압장의 펌프가 가동되지 않으면 단순 알람으로 처리될 수 있지만 배수지 수위가 low 이면서 가압장의 펌프가 가동되지 않으면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복합알람 상황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4. 송수관 제수변 수질계측기 + 배수지 수질계측기
정수장에서 생산될 물을 송수관로를 통해 배수지로 유입될 때 각 송수관로 제수변 시설물에 설치되는 수질계측기와 배수지에 설치되는 수질계측기의 각각 수질데이터(잔류염소 , 탁도 등)를 복합알람으로 설정하여 수질관련 감시 관리할 수 있다.
5. 정수장 유출유량계와 배수지 유입유량계 합산 차이(정수장 운영시스템에서는 필요에 의해 알람 발생하여 관리하고 있는 상태임)
정수장 시설물의 유출유량계와 각 배수지 시설물의 유입유량계의 합산을 비교 하여 정수장에서 생산한 물이 각 배수지에 누수없이 잘 유입되고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해 복합알람 설정하여 관리한다. 두 값의 차이가 클수록 중간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해당 상태를 복합상황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6. 소블록 유량계실 (순시유량 high + 수압 low)
순시유량 , 수압에 대해 각각의 범위 알람으로 확인하지만 동시에 두 알람 기준에 도달시는 급격하게 관로에 문제가 발생(관파손 등)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복합알람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상술한 예외상황(Hunting) 알람설정 기능 및 복합상황 알람설정 기능은 후술하는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의 예외 및 복합상황 설정부(330)에서 지원한다.
피칭(Pitching) 알람설정 기능은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의 피칭 확인부(340)에서 지원하고, 알람 대상 항목에 대해 (유량, 수압, 유속, 수질)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데이터의 흐름 중에 이전 값과 다음값을 비교하여 이전값보다 설정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피칭 알람 대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피칭 알람은 일정한 범위의 정상적인 물의 흐름을 보이다 갑작스런 사용량이 많아지는 경우 누수 또는 관파손의 경우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물의 흐름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9를 참조, 본원에서 소개하는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상술한 알람상황 및 발행횟수에 따른 서로 다른 색 및 소리로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알람 시청각 기능을 지원한다.
알람 시청각 기능은 알람단계(주의, 경고)별, 발생횟수별 색상을 각각 지정하여 알람 발생 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람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알람 모니터링 중 설정한 색상별로 알람 리스트 배경색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멀리서도 인지할 수 있거나 또는 알람에 사운드의 on/off 및 시간설정 및 웹 브라우져에서 팝업되도록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알람 시청각 기능은 도 10을 참조, 알람 발생시 경고음을 5가지 제공하여 동일 알람 발생 횟수(1~5)에 따라 경고음 강도가 다르게 출력되도록 지원하고, 소리지정 기능을 통해 알람 발생시에도 경고음을 안 들리게 조정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알람 시청각 기능은 상하수도 시설물의 계측기기들과의 통신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상기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알람 이력관리 및 활용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알람 이력관리 및 활용 기능은 알람의 발생이력을 관리하고, 발생순서대로 정렬된 알람 히스토리를 지원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을 참조, 사용자가 코멘트를 위한 메모기능 및 알람이력 내역에 대한 기간 저장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다음으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300)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설정한 상하수도 시설과 연동되는 계측기기의 계측범위 지정/선택, 홀딩(Holding), 예외상황(Hunting), 피칭(Pitching), 복합상황 정보에 따른 알람 정보를 관리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는 데이터 수집부(310), 홀딩 설정부(320), 예외 및 복합상황 설정부(330), 피칭 설정부(340), 알람 단계 설정부(350), 알람 출력부(360) 및 알람이력 관리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310)는 상하수도 시설의 IoT 기기로부터 상하수도 시설, 예컨대, 블록 유량계, 정수장, 스마트 관망 인프라, 가압장 또는 배수지의 시설관리정보 및 계측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310)는 상하수도 시설의 IoT 기기로부터 상하수도의 구간별 유속, 유량, 유압, 수질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일 있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310)는 상하수도 위치, 상하수도 시설의 종류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분류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계측값 설정부(311)는 상하수도 시설과 연결된 계측 기기들의 계측 범위(하한~상한)를 설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홀딩 판단부(320)는 관리자 단말(200)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 데이터의 홀딩 상태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홀딩 설정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홀딩 상태는 상하수도 시설에서 제공된 계측 데이터의 상태값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값 또는 이전값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홀딩 상태는 통신장애 또는 계측센서의 고장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이때, 홀딩 판단부(320)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설정한 홀딩 설정값(홀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홀딩 판단 범위값(최대값~최소값)) 내에서 지속적으로 반응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홀딩 상태 유무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예외 및 복합상황 판단부(330)는 관리자 단말(200)에 설정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계측되는 횟수에 대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횟수 미만일 경우, 정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지정한 횟수를 초과할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설정된 상하수도 시설들의 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발생한 회수가 기 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를 예외적 상황(정상)으로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외 및 복합상황 판단부(330)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설정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 상황에 대해 판단하고, 이에 대한 알림을 설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배수지 수위가 Low 상태이고, 유입밸브 개도율이 Low 상태일 경우, 복합상황으로 인지한 후, 복합상황에 대한 알람 출력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배수지의 경우 배수지 수위가 low 기준에 도달할 경우 정수장에서 물을 받기 위해 유입밸브가 기준이상(low 이상) 개도율로 열려야 하는데 그렇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배수지 수위와 밸브 개도율에 대한 상황을 점검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합알람 알람설정의 예시 상황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1. 배수지 시설물 (수위 low + 유입밸브 개도율 low)
배수지의 경우 배수지 수위가 low 기준에 도달할 경우 정수장에서 물을 받기 위해 유입 밸브가 기준이상(low 이상) 개도율로 열려야 하는데 그렇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여 배수지 수위와 밸브 개도율에 대한 복합알람 상황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2. 가압장 시설물( 토출압력 low + 펌프가동 off)
가압장의 경우 가압장의 토출압력이 low 기준인 상태에서 가압장 펌프의 가동이 off 상태로 5분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가압장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수용가에 물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가압장 시설물의 토출압력+펌프가동에 대한 복합알람 상황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3. 배수지 시설물 과 송수 가압장 시설물 (배수지 수위 low + 가압장 펌프가동 off)
지대가 높은 배수지와 그 배수지에 물을 송수하기 위한 송수 가압장의 경우 배수지의 수위가 low 인 경우 송수 가압장의 펌프 동작이 off 가 되는 상태를 복합알람 상황으로 인지하여 알람을 발생한다. 가압장의 펌프가 가동되지 않으면 단순 알람으로 처리될 수 있지만 배수지 수위가 low 이면서 가압장의 펌프가 가동되지 않으면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복합알람 상황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4. 송수관 제수변 수질계측기 + 배수지 수질계측기
정수장에서 생산될 물을 송수관로를 통해 배수지로 유입될 때 각 송수관로 제수변 시설물에 설치되는 수질계측기와 배수지에 설치되는 수질계측기의 각각 수질데이터(잔류염소 , 탁도 등)를 복합알람으로 설정하여 수질관련 감시 관리할 수 있다.
5. 정수장 유출유량계와 배수지 유입유량계 합산 차이(정수장 운영시스템에서는 필요에 의해 알람 발생하여 관리하고 있는 상태임)
정수장 시설물의 유출유량계와 각 배수지 시설물의 유입유량계의 합산을 비교 하여 정수장에서 생산한 물이 각 배수지에 누수없이 잘 유입되고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해 복합알람 설정하여 관리한다. 두 값의 차이가 클수록 중간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해당 상태를 복합상황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6. 소블록 유량계실 (순시유량 high + 수압 low)
순시유량 , 수압에 대해 각각의 범위 알람으로 확인하지만 동시에 두 알람 기준에 도달시는 급격하게 관로에 문제가 발생(관파손 등)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복합알람으로 설정하여 점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칭 확인부(340)는 알람 대상 항목에 대해 (유량, 수압, 유속, 수질)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데이터의 흐름 중에 이전 값과 다음값을 비교하여 이전값보다 설정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피칭 알람 대상으로 확인하고, 후술하는 알람 전송부로 피칭 알람 전송을 요청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범위의 정상적인 물의 흐름을 보이다 갑작스런 사용량이 많아지는 경우 누수 또는 관파손의 경우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물의 흐름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음으로, 알람 단계 설정부(350)는 관리기준이 다른 상하수도 시설별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를 설정하는 기능을 관리자 단말로 지원하고, 알람 종류(예컨대, 범위, 통신 Holding, Hunting, 피칭)에 대해 알람단계(주의, 경고)별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주야간 시간대 설정 값을 24시간대에 일괄 적용(매시간대 마다 기준 적용)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알람문자 발송부(360)는 홀딩(Holding), 예외상황(Hunting), 피칭(Pitching), 복합상황 정보에 따른 알람문자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한 연락처로 발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알람문자 발송부(360)는 SMS 문자발송, 카카오톡 문자발송 및 SMTP를 활용한 이메일 문자발송 중 어느 하나로 발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알람이력 관리부(370)는 홀딩상황, 예외상황, 복합상황 등에 대한 알람 발생이력을 관리하고, 알람 발생순서대로 정렬된 알람 히스토리를 생성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0)에서 입력한 코멘트 및 알람이력 내역에 대한 기간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S700)은 먼저, 관리자 단말에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수도 시설을 지정(S710)한다. 이후,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서 상기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기기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를 설정(S720)하면,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서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기기들로부터 현장계측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설정한 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와의 비교를 수행(S730)한다. 이후, 상기 설정한 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에 해당하는 현장계측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해당 상황에 부합하는 알람문자 및/또는 알람음을 상기 관리자 단말(200)로 발송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 상황은 현장계측값에 대한 홀딩(Holding) 상태, 예외상황(Hunting) 상태, 피칭(Pitching) 상태 및 복합상황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상태는 상하수도 시설에서 제공된 현장계측 데이터의 상태값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값 또는 이전값으로 지속되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예외상황(Hunting) 상태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계측되는 횟수에 대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횟수 미만일 경우, 정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지정한 횟수를 초과할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피칭(Pitching) 상태는 알람 대상 항목에 대해 (유량, 수압, 유속, 수질)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데이터의 흐름 중에 이전 값과 다음값을 비교하여 이전값보다 설정한 비율(%)을 초과하는 상태이다.
상기 복합상황 상태는 상기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알람 설정 방식(범위값 지정, 홀딩, 복합알람, 피칭 등)을 지원함에 따라 통신장애, 센서 고장 등의 상황을 미리 대응하여 현장 상황에 선 조치(통신 및 센서 점검 상태 확인)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수관 내부의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수질관리, 관파손 등에 대한 선 조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예외적 알람 설정을 통해 알람 경고 발생 횟수를 줄임으로써, 담당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복합적인 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복합 알람을 통해 해당 설비에 대해 더 세밀하게 상황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람 단계(정상, 주의, 경고, 알람)에 따른 화면에 보여주는 색상을 달리하여 해당 시스템에 집중하지 않더라고 경고, 알람인 경우 확 튀는 색상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갖게하여 한번이라도 더 알림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지원하며, 알람 경고 사운드를 다양한 설정기능(1시간, 12시간, 24시간 ON/OFF)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방식으로 제공하도록 지원해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람이 발생한 경우, 해당 알람 발생 정보를 보관하여 알람 설정방식별 발생하는 알람주기, 시기 등을 분석 판단할 수 있고, 해당 블록별, 알람 설정 방식별로 관리가 됨으로 해당 블록에서 발생한 알람 형태를 분석하여 해당 블록 내의 상수하수관, 또는 장비들에 대한 점검시기 점검 대상 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200: 관리자 단말
300: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
310: 데이터 수집부
311: 상황별 계측값 설정부
320: 홀딩 판단부
330: 예외 및 복합상황 판단부
340: 피칭 판단부
350: 일람단계 설정부
360: 알람 출력부
370: 알람이력 관리부
200: 관리자 단말
300: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
310: 데이터 수집부
311: 상황별 계측값 설정부
320: 홀딩 판단부
330: 예외 및 복합상황 판단부
340: 피칭 판단부
350: 일람단계 설정부
360: 알람 출력부
370: 알람이력 관리부
Claims (12)
- 웹 알람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영역 또는 지리적 공간에 위치한 상하수도 시설에서 계측한 계측 데이터의 정상 및 비정상 상태에 따른 상황별 알람 서비스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 설정값에 따라 상하수도 시설상태에 대한 예외상황, 복합상황을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른 상황별 알람 서비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지원하는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에서 계측된 복수의 현장 계측 데이터 간에 상호 연관성을 설정하여 해당 연관성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 복합상황으로 인지하고, 복합 알람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복합상황은 상기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황으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 low이고, 정수장의 유입밸브 개도율 low인 상태를 배수지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가압장의 토출압력이 low 기준인 상태에서 가압장 펌프의 가동이 off 상태로 5분이상 지속될 경우 가장압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가 low이고, 가압장 펌프가동이 off일 때 배수지 시설물과 송수 가압장 시설물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유출유량계와 배수지 유입유량계 합산 차이로 복합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시설물의 유출유량계와 각 배수지 시설물의 유입유량계의 합산을 비교한 결과로 복합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정한 지역의 상하수도 시설물의 알람 대상 항목(유량, 수압, 유속, 수질)에 대해 구역별, 시간대별로 최대기준값, 최소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가 발생될 경우,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에서 제공된 현장 계측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동인 고정값 또는 이전값으로 유지될 경우, 통신장애 또는 현장 계측기 센서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 홀딩 상태로 판단한 알람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알람 항목(유량, 수압, 유속, 수질)에 대해 데이터 흐름 중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알람 예외 기준을 설정하여 예외 기준을 벗어 나기전까지는 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고,
예외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벗어나는 정도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 알람대상, 알람단계(주의, 경고)별 발생횟수, 알람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색상별로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물의 알람발생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 관리자 단말에서 통합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수도 시설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기기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의 계측기기들로부터 현장계측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설정한 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와의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한 상황 별, 단계 별 계측범위에 해당하는 현장계측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해당 상황에 부합하는 알람문자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에서 계측된 복수의 현장 계측 데이터 간에 상호 연관성을 설정하여 해당 연관성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 복합상황으로 인지하고, 복합 알람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 상황은 현장계측값에 대한 홀딩(Holding), 예외상황(Hunting), 피칭(Pitching) 및 복합상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Holding)는 상하수도 시설에서 제공된 현장계측 데이터의 상태값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값 또는 이전값으로 지속되는 상태이고,
상기 복합상황은 상기 등록된 상하수도 시설물의 현장계측 데이터들 중 상호 연관되어 이중으로 확인 및 점검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황으로,
상기 웹 알람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 low이고, 정수장의 유입밸브 개도율 low인 상태를 배수지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가압장의 토출압력이 low 기준인 상태에서 가압장 펌프의 가동이 off 상태로 5분이상 지속될 경우 가장압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 수위가 low이고, 가압장 펌프가동이 off일 때 배수지 시설물과 송수 가압장 시설물의 복합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유출유량계와 배수지 유입유량계 합산 차이로 복합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상하수도 시설물 중 정수장 시설물의 유출유량계와 각 배수지 시설물의 유입유량계의 합산을 비교한 결과로 복합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상황(Hunting)은
상기 관리자 단말에 지정한 상하수도 시설들의 현장계측 데이터가 최대값 초과 및 최소값 미만으로 계측되는 횟수에 대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횟수 미만일 경우, 정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지정한 횟수를 초과할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칭(Pitching)은
알람 대상 항목에 대해 (유량, 수압, 유속, 수질)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데이터의 흐름 중에 이전 값과 다음값을 비교하여 이전값보다 설정한 비율(%)을 초과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5365A KR102554715B1 (ko) | 2023-04-06 | 2023-04-06 |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5365A KR102554715B1 (ko) | 2023-04-06 | 2023-04-06 |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4715B1 true KR102554715B1 (ko) | 2023-07-13 |
Family
ID=8716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5365A KR102554715B1 (ko) | 2023-04-06 | 2023-04-06 |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71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370818A (zh) * | 2023-12-05 | 2024-01-09 | 四川发展环境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 基于人工智能的供排水管网智能诊断方法及智慧环保系统 |
CN117534139A (zh) * | 2023-11-01 | 2024-02-09 | 广东佛水建设有限公司 | 养殖尾水排放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
CN118430197A (zh) * | 2024-07-05 | 2024-08-02 | 海纳云物联科技有限公司 | 排水井的污水排放报警方法、装置、设备和介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7596A (ko) | 2012-04-18 | 2013-10-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에이치엠아이 시스템의 알람 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2346377B1 (ko) * | 2020-11-27 | 2022-01-03 | 주식회사 이엘 |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리 시설 자율 점검 및 운영 관리 시스템 |
KR102505770B1 (ko) * | 2022-11-17 | 2023-03-07 | (주)퓨쳐아이씨티 |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102512955B1 (ko) * | 2022-08-29 | 2023-03-22 |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 스마트 붕괴위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3
- 2023-04-06 KR KR1020230045365A patent/KR1025547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7596A (ko) | 2012-04-18 | 2013-10-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에이치엠아이 시스템의 알람 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2346377B1 (ko) * | 2020-11-27 | 2022-01-03 | 주식회사 이엘 |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리 시설 자율 점검 및 운영 관리 시스템 |
KR102512955B1 (ko) * | 2022-08-29 | 2023-03-22 |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 스마트 붕괴위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505770B1 (ko) * | 2022-11-17 | 2023-03-07 | (주)퓨쳐아이씨티 |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34139A (zh) * | 2023-11-01 | 2024-02-09 | 广东佛水建设有限公司 | 养殖尾水排放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
CN117370818A (zh) * | 2023-12-05 | 2024-01-09 | 四川发展环境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 基于人工智能的供排水管网智能诊断方法及智慧环保系统 |
CN117370818B (zh) * | 2023-12-05 | 2024-02-09 | 四川发展环境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 基于人工智能的供排水管网智能诊断方法及智慧环保系统 |
CN118430197A (zh) * | 2024-07-05 | 2024-08-02 | 海纳云物联科技有限公司 | 排水井的污水排放报警方法、装置、设备和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4715B1 (ko) |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계측 데이터의 홀딩, 예외상황, 복합상황에 대한 웹 알람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37524B1 (ko) | 상하수도 시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US9100728B2 (en) | Server monitoring of flow and sampling apparatus and/or logger | |
EP2580731B1 (en) | Blind logger dynamic caller | |
US8886482B2 (en) | Predictive and internet-based sampler control | |
TWI354051B (en) | Integrated supervision and diagnosis apparatus | |
KR101479513B1 (ko) |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 통합운영 제어장치 | |
Kara et al. |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for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 |
JP2017091032A (ja) | 水道施設の維持管理支援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監視制御システム | |
JP2017207945A (ja) | 水処理設備の維持管理支援装置及び維持管理支援システム | |
CN115525691A (zh) | 污水监控系统及方法 | |
Chafa et al. | Design of a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 |
Bharani Baanu et al. | Smart water grid: a review and a suggestio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 |
US20200396913A1 (en) | Fluid Conserv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 |
Sai et al. | IoT based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 |
CN111727361B (zh) | 建筑物类型分类 | |
US12043992B2 (en) | Determining backflow condi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 |
US20220198911A1 (en) | Determining Alternative Outcome or Event Based on Aggregated Data | |
JP5925585B2 (ja) | 幹線マンホール緊急時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3231313A5 (ko) | ||
Tangella et al. | An IoT Application for Detection and Monitoring of Manhole | |
Vikram et al. | Small Single Board Computers based Smart Manhole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 | |
Jeevanantham et al. | Wastewater Monitoring and Control Using Cloud Based IoT System | |
Kijak et al. | Application of water 4.0 technologies and solutions | |
US2023026629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ater quality in a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