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00A -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00A
KR20220000800A KR1020207019438A KR20207019438A KR20220000800A KR 20220000800 A KR20220000800 A KR 20220000800A KR 1020207019438 A KR1020207019438 A KR 1020207019438A KR 20207019438 A KR20207019438 A KR 20207019438A KR 20220000800 A KR20220000800 A KR 2022000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erver
alarm
equipmen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우
Original Assignee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701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8819A/ko
Publication of KR2022000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센서로설비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설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알람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관심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상기 설비를 점검하고, 상기 설비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경보 단계를 발령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보 단계에 대응하는 설비 이상 알림을 전문가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설비 이상 알림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비의 원격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의 각종 공정을 담당하고 있는 설비들은 장시간 사용에 따라 내구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장치의 특정 부품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여 큰 고장으로 이어지거나, 수율이 떨어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설비에 진동, 소음,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지만, 진동, 소음, 온도 등의 분석은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면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은 전문가가 방문하여 점검을 실시한다.
하지만, 전문가가 방문하여 점검을 실시하는데는 큰 비용이 발생하고, 실제로 전문가가 방문하여 점검을 실시한 후 단순 오류, 혹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밝혀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또한, 전문가가 원격으로 설비들을 진단하는 방법에 요구되는 상황이지만, 기업 측에서는 설비의 정보를 외부인에게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선제적인 대응 방법을 마련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가의 설비 방문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문가와 공유하면서, 정확하게 설비를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는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센서로 설비의 설비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설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기설정된 알람 기준값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 데이터가 상기 알람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알람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일정 시간 단위마다 상기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상기 설비를 점검하고, 상기 설비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경보 단계를 발령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보 단계에 대응하는 설비 이상 알림을 전문가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설비 이상 알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설비의 진단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설비의 진단 프로그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으로 설비의 진동, 소음,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비 데이터를 측정하는 무선 센서; 상기 설비 데이터를 제공받는 서버; 상기 서버에서 알람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제공받고,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상기 설비에 이상 상태가 감지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서버로 경보 단계를 발령하는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 및 상기 서버에서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받는 전문가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기설정된 알람 기준값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 데이터가 상기 알람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알람 지수를 생성하는 알람 지수 생성 모듈; 일정 시간 단위마다 상기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하는 관심 지수 생성 모듈; 및 상기 경보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설비 이상 알림을 생성하는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로 상기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하는 설비의 진단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가의 설비 방문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문가와 공유하면서, 정확하게 설비를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는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설비의 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설비는 모터, 터빈, 그리고 기계, 기구, 로봇 등과 같이 회전 장치(모터, 터빈)를 포함하여 진동, 소음, 열 등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비 담당자는 업체 측의 인력으로, 직원, 관리자, 연구원, 엔지니어와 같이 설비를 담당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문가는 업체 측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제3자로, 설비 진단 전문가, 설비 분석 전문가, 설비 제조사, 설비의 진동, 소음, 또는 온도 진단 전문가, 설비 진단 자격증 보유자 등과 같이 설비의 진동, 소음, 또는 온도 데이터를 확인하여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설비의 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1000)의 진단 시스템(1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1000)의 진단 시스템(10)은 서버(100),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 전문가의 단말기(300), 및 무선 센서(400)를 포함한다.
무선 센서(400)는 발전소, 변전소, 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설비(1000)의 설비 데이터를 무선으로 센싱한다. 설비 데이터는 진동, 소음 및 온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센서(400)는 센싱된 설비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무선 센서(400)로부터 제공받은 설비 데이터를 바탕으로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생성한다.
서버(100)는 알람 지수 생성 모듈(110), 관심 지수 생성 모듈(120), 및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지수 생성 모듈(110), 관심 지수 생성 모듈(120), 및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130)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된 것일 수 있다.
서버(100)는 기설정된 알람 기준값을 바탕으로 설비 데이터가 알람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 지수 생성 모듈(100)은 알람의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알람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알람 지수는 예를 들어 설비 담당자가 알람 기준값을 기 지정할 수 있다.
관심 지수 생성 모듈(120)은 일정 시간 단위마다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일정 시간 단위마다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선을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추세선이란, 진동, 소음, 또는 온도의 추세를 직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진동, 소음의 주파수 또는 파형의 추세, 또는 온도의 추세를 일정단위 시간마다 선으로 나타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단위마다 설비 데이터의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한다. 관심 지수는 예를 들어, 설비 담당자가 지정한 것이 아니라, 설비 데이터의 추세를 바탕으로 서버(100)에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서버(100)는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로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제공한다.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는 설비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설비 담당자는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설비를 점검하여, 설비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가 높으면, 설비에 이상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실제 설비를 점검해보면, 설비가 정상인 경우도 많이 있다. 따라서, 설비의 이상 상태에 대한 판단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설비 담당자는 실제 설비를 점검하여, 설비의 이상 상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설비 담당자는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가 높아도 설비가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가 낮아도 설비를 이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설비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서 서버(100)로 경보 단계를 발령할 수 있다. 이 때,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서 서버(100)로 설비의 이상 원인에 대한 데이터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시스템(10)은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전문가의 단말기(300)로 제공하지 않고,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설비 담당자가 설비 이상 여부를 최종 판단한 후, 경보 단계의 발령 여부를 선제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전문가의 실제 조치 및 방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설비 담당자가 전문가와 공유를 원하지 않는 데이터의 공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경보 단계가 발령되면, 서버(100)는 경보에 대응하는 설비 이상 알림을 전문가의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경보 단계가 발령되면,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130)은 설비 이상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전문가의 단말기(300)는 전문가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전문가의 단말기(300)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130)은 설비의 이상 상태에 따라 관심 단계 알림 또는 주의 단계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단계 알림 및 주의 단계 알림은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진단 또는 조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단계 알림은 전문가에게 전문가의 방문은 요구하지 않고,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검토할 것을 요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 단계 알림은 전문가에게 방문을 요구하는 것일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서 서버로 설비 이상 알림에 대응하는 조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치 정보는 실제 전문가가 취한 조치에 대응하는 전문가 조치 정보 및 전문가가 설비 담당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문가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문가와 설비 담당자는 서버(100)를 통해서 설비(1000)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설비(1000)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때,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와 전문가의 단말기(300)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되, 로그인 정보를 인식하여 관리자와 담당자를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와 전문가의 단말기(300)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전문가의 단말기(300)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기 위해, 별도의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코드, 얼굴 인식 등을 통해, 기 승인된 전문가임을 확인하고, 전문가의 단말기(300)로 커뮤니케이션을 승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비 담당자가 두 개 이상의 부서들을 포함할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설비 담당자는 하나의 부서를 의미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부서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설비 담당자는 생산 부서 및 지원 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산 부서는 설비를 이용하여 물품을 생산하는 부서로, 설비가 설치된 공장에 접근이 허용된다. 생산 부서는 설비에 의해 생산되는 물품의 전문가로, 물품을 직접 제작하기 때문에 물품에 대해서는 전문가이지만, 물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설비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지원 부서는 설비의 점검 및 정비를 하는 부서를 의미할 수 있다. 지원 부서는 보안 영역인 공장 내부에, 특정한 경우에 한해서만 접근이 허락되거나, 접근이 허락되지 않은 부서를 의미할 수 있다. 지원 부서는 외주 업체일수도 있다. 지원 부서는 설비에 대해서는 전문가지만, 물품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부로의 유출을 막기 위해, 생산 부서에는 접근이 허용되는 데이터가 지원 부서에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생산 부서는 설비의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으나, 지원 부서는 설비의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을 수 있다. 설비의 제어 데이터는 생산 부서의 일부에게만 접근이 허락되는 기밀 데이터일 수 있다.
생산 부서는 설비에 대한 설비 데이터를 생산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 부서는 생산 부서의 단말기로 설비 데이터를 생산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생산 서버는 기밀 데이터, 예를 들어 설비의 제어 데이터 등을 제외하고, 설비의 진동, 소음, 또는 온도 등의 데이터만 포함하는 설비 데이터를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지원 부서의 단말기(200)로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제공할 수 있고, 지원 부서는 실제 설비를 점검하여, 설비의 이상 상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부서는 필요할 경우, 설비의 제어 데이터에 대해 생산 부서에 문의할 수 있고, 생산 부서는 최소한의 범위에서 설비의 제어 데이터를 지원 부서와 공유하거나, 공유를 거부할 수 있다.
설비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지원 부서의 단말기(200)에서 서버(100)로 경보 단계를 발령할 수 있다.
경보 단계가 발령되면, 서버(100)는 경보에 대응하는 설비 이상 알림을 전문가의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 경보 단계가 해제되기 전까지 일정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 경보 단계가 해제되기 전까지 하루에 한 번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서 서버로 설비 이상 알림에 대응하는 조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와 지원 부서, 전문가와 생산 부서, 또는 전문가, 지원 부서, 및 생산 부서는 설비(1000)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전문가의 단말기(300), 생산 부서의 단말기, 및 지원 부서의 단말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시스템은 전문가의 설비 방문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문가와 공유하면서, 정확하게 설비를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비의 진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설비의 진단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설비의 진단 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방법은 무선 센서로 설비의 설비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S100), 설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S200), 알람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300), 관심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400),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500), 경보 단계를 발령하는 단계(S600), 및 설비 이상 알림 제공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센서(400)로 설비(1000)의 설비 데이터를 측정한다(S100). 무선 센서(40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무선 센서(400)는 설비(1000)의 진동, 소음,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무선 센서(400)는 설비(1000)의 제어 데이터를 더 측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 때에도 무선 센서(400)는 설비 데이터를 생산 서버에 제공하고, 제어 데이터를 생산 서버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센서(400)에서 제공받은 설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한다(S200). 예를 들어, 생산 서버는 서버(100)에 설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생산 서버는 일부 설비 담당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된 서버일 수 있다. 생산 서버는 서버(100)에 설비(1000)의 제어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알람 지수를 생성한다(S300). 예를 들어, 알람 지수 생성 모듈(110)은 기설정된 알람 기준값을 바탕으로 설비 데이터가 알람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알람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알람 기준값을 설비 담당자, 예를 들어, 생산 부서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관심 지수를 생성한다(S400), 예를 들어, 관심 지수 생성 모듈(120)은 일정 시간 단위마다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일정 시간 단위마다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선을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S500). 서버(100)는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로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제공한다.
경보 단계를 발령한다(S600). 설비 담당자는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설비를 점검하여, 설비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설비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서 서버(100)로 경보 단계를 발령할 수 있다. 이 때,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서 서버(100)로 설비의 이상 원인에 대한 데이터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방법은 알람 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전문가의 단말기(300)로 제공하지 않고,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설비 담당자가 경보 단계의 발령 여부를 선제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전문가의 실제 조치 및 방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설비 담당자가 전문가와 공유를 원하지 않는 데이터의 공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한다(S700). 경보 단계가 발령되면, 서버(100)는 경보에 대응하는 설비 이상 알림을 전문가의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 경보 단계가 해제되기 전까지 일정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 경보 단계가 해제되기 전까지 하루에 한 번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경보 단계가 발령되면,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130)은 설비 이상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130)은 설비의 이상 상태에 따라 관심 단계 알림 또는 주의 단계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단계 알림 및 주의 단계 알림은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진단 또는 조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의 단말기(300)에서 서버로 설비 이상 알림에 대응하는 조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800).
전문가와 설비 담당자는 서버(100)를 통해서 설비(1000)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방법은 전문가의 설비 방문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문가와 공유하면서, 정확하게 설비를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진단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설비 방문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전문가와 공유하면서, 정확하게 설비를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설비

Claims (10)

  1. 무선 센서로 설비의 설비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설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기설정된 알람 기준값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 데이터가 상기 알람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알람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일정 시간 단위마다 상기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상기 설비를 점검하고, 상기 설비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경보 단계를 발령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보 단계에 대응하는 설비 이상 알림을 전문가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설비 이상 알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에서 상기 설비 이상 알림에 대응하는 조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이상 알림 제공 단계는
    상기 설비의 이상 상태에 따라 관심 단계 알림 또는 주의 단계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설비의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설비의 진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이상 알림 단계는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에, 상기 경보 단계가 해제되기 전까지 일정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상기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
  6.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설비의 진단 프로그램.
  7. 무선으로 설비의 진동, 소음,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비 데이터를 측정하는 무선 센서;
    상기 설비 데이터를 제공받는 서버;
    상기 서버에서 알람지수 및 관심 지수를 제공받고, 상기 알람 지수 및 상기 관심 지수를 기준으로, 상기 설비에 이상 상태가 감지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서버로 경보 단계를 발령하는 설비 담당자의 단말기; 및
    상기 서버에서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받는 전문가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기설정된 알람 기준값을 바탕으로 상기 설비 데이터가 상기 알람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알람 지수를 생성하는 알람 지수 생성 모듈;
    일정 시간 단위마다 상기 설비 데이터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여, 관심 지수를 생성하는 관심 지수 생성 모듈; 및
    상기 경보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설비 이상 알림을 생성하는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를 포함하는 설비의 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에서 상기 설비 이상 알림에 대응하는 조치 정보를 제공받는 설비의 진단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이상 알림 생성 모듈은
    상기 설비의 이상 상태에 따라 관심 단계 알림 또는 주의 단계 알림을 생성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문가의 단말기에 상기 경보 단계가 해제되기 전까지 일정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상기 설비 이상 알림을 제공하는 설비의 진단 시스템.
KR1020207019438A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20220000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6791A KR20230078819A (ko)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8222 WO2021261614A1 (ko)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791A Division KR20230078819A (ko)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00A true KR20220000800A (ko) 2022-01-04

Family

ID=792814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38A KR20220000800A (ko)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20237016791A KR20230078819A (ko)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791A KR20230078819A (ko) 2020-06-24 2020-06-24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00800A (ko)
WO (1) WO20212616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70B1 (ko) * 2022-11-17 2023-03-07 (주)퓨쳐아이씨티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242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뉴젠스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622186B1 (ko) * 2014-03-11 2016-05-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기 상태 진단 장치
KR101595549B1 (ko) * 2015-04-22 2016-02-22 김광우 진단지식교류서비스 연계형 설비진단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403189B1 (ko) * 2017-04-04 2022-05-27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189950A1 (ko) * 2018-03-27 2019-10-03 테크와이드 주식회사 설비의 원격 진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70B1 (ko) * 2022-11-17 2023-03-07 (주)퓨쳐아이씨티 IoT 센서 기반 양배수장 설비 이상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614A1 (ko) 2021-12-30
KR20230078819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9303B (zh) 工厂智能诊断方法、装置及系统
CN109001649B (zh) 一种电源智能诊断系统及保护方法
RU251730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овещения о пожаре и воспламеняющемся газе
BR102016011297B1 (pt) Sistema e método para avaliar a condição e o gerenciamento de uma plataforma estrutural ou de uma pluralidade de plataformas
CN105551549A (zh) 一种核电设备运行状况在线监测方法及系统
CN105758661B (zh) 一种锅炉受热面寿命评估系统和方法
JP5991329B2 (ja) 制御装置、管理装置、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WO2012049771A1 (ja) 自動遠隔監視診断システム
CN116758656B (zh) 用于车辆监管的车载终端、系统及方法
CN116611712B (zh) 基于语义推断的电网工作票评估系统
KR102470112B1 (ko) 원전의 지능형 상태감시 방법 및 시스템
EP4038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 estimation and representation of risk
KR20220000800A (ko) 설비의 진단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20230125116A (ko) 머신러닝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통계적 기법을 이용해 고장 데이터가 부재한 시스템의 결함 탐지 및 고장 진단 예측 방법
KR102054743B1 (ko) 설비의 원격 진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2003029818A (ja) 故障診断システム及び故障診断プログラム
KR20190128420A (ko) 클라우드 기반 가상 센서를 이용한 IoT 센서 이상 진단 방법 및 시스템
CN113544486A (zh) 故障诊断系统、预测规则生成方法及预测规则生成程序
JP6742014B1 (ja) 構造物の異常判別方法及び異常判別システム
KR20230150977A (ko) 원자로 내부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RU2735296C1 (ru) Способ многопараметр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сложных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KR20070107454A (ko)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73254B1 (ko) 연합 학습을 이용한 기계설비 고장 예지 분석 시스템
CN116307719A (zh) 一种安全仪表系统的检测方法及装置
KR102574441B1 (ko) 수소 설비 실시간 위험성 예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