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998A -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998A
KR20230029998A KR1020237004596A KR20237004596A KR20230029998A KR 20230029998 A KR20230029998 A KR 20230029998A KR 1020237004596 A KR1020237004596 A KR 1020237004596A KR 20237004596 A KR20237004596 A KR 20237004596A KR 20230029998 A KR20230029998 A KR 2023002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vable member
rotation
radial posi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아라끼
사또시 기따오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제1 케이스(10), 제2 케이스(20), 전기 케이블(60), 및 스토퍼 구조(70)를 구비한다. 스토퍼 구조(70)는, 가동 부재(71), 회전 제한부 (72), 및 안내부(73)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71)는, 제2 케이스(20)에 대하여 제1 직경 방향 위치(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P12) 사이를 회전 축선(A1)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회전 제한부(72)는, 제1 케이스(10)에 마련되며,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P12)에 있는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가동 부재(71)와 둘레 방향(D3)으로 접촉 가능하다. 안내부(73)는, 제1 케이스(10)에 마련되며,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P11)쪽으로 안내하도록 가동 부재(71)와 접촉 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은,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에 사용되는 회전 커넥터가 기재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18639호 공보
회전 커넥터 장치의 케이블의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스테이터에 대한 로테이터의 회전 각도를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전 커넥터에서는,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의해 스토퍼 부재가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움직여 버리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가 회전 규제부와 접촉하여 고정 케이스 및 회전 케이스의 상대 회전이 규제될 가능성이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의 과제는,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스토퍼 구조의 오작동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제1 특징에 의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전기 케이블 및 스토퍼 구조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회전 축선 주위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 축선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전기 케이블은, 회전 축선 주위에 정의되는 둘레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된다. 스토퍼 구조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상대 회전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 구조는, 가동 부재, 회전 제한부, 및 안내부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는,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제1 직경 방향 위치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사이를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회전 제한부는, 제1 케이스에 마련되며, 가동 부재가 제2 직경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가동 부재와 둘레 방향으로 접촉 가능하다. 안내부는, 제1 케이스에 마련되며,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안내하도록 가동 부재와 접촉 가능하다.
제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가동 부재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가 안내부에 접촉하면, 안내부에 의해 가동 부재가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제2 케이스에 대한 가동 부재의 미소한 이동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 부재가 회전 제한부와 접촉하여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스토퍼 구조의 오작동을 억제한다.
제2 특징에 의하면, 제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회전 제한부는, 안내부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보다 큰 회전력을 회전 제한부에서 받을 수 있어, 스토퍼 구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특징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회전 제한부는, 가동 부재와 둘레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스토퍼면을 포함한다. 안내부는, 스토퍼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안내부에 의해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4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안내부는,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안내면을 포함한다.
제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안내면에 의해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보다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5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안내부는, 가동 부재가 제2 직경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가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제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가동 부재가 제2 직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 회전 제한부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와 회전 제한부의 접촉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6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 구조는, 가동 부재가 회전 제한부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 홈을 포함한다.
제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가동 부재가 제2 직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 회전 제한부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와 회전 제한부의 접촉 상태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제7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스토퍼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케이스에 연결되는 스토퍼 본체와, 스토퍼 본체로부터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회전 제한부와 둘레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돌출부의 형상이나 위치가 스토퍼 본체의 형상이나 위치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가동 부재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8 특징에 의하면,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 본체는, 전기 케이블의 상태에 따라서 전기 케이블로부터 직경 방향의 힘을 받도록 전기 케이블과 접촉 가능한 케이블 접촉면을 포함한다.
제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전기 케이블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를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제9 특징에 의하면, 제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돌출부는,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케이블 접촉면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제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돌출부를 케이블 수용 공간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제10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돌출부는, 가동 부재가 제1 직경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 제한부와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1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의도치 않게 가동 부재가 회전 제한부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1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전기 케이블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직경 방향 위치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제1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전기 케이블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제12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케이스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내주면을 포함한다. 제2 케이스는, 내주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며 케이블 수용 공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외주면을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은, 제1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서 권취되는 제1 권취부와, 제2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서 권취되는 제2 권취부와, 제1 권취부와 제2 권취부 사이에 마련되며 제1 권취부를 제2 권취부에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은,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의 제2 권취부가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들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된다. 전기 케이블은,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의 제2 권취부가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된다.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이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작아진다.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이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커진다.
제1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제13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케이스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터이다. 제2 케이스는,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이다. 가동 부재는, 스토퍼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로테이터에 연결된다. 회전 제한부는, 스테이터에 마련된다.
제1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스테이터에 마련하는 회전 제한부에 의해, 보다 큰 힘을 받을 수 있어, 스토퍼 구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이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스테이터에 대한 로테이터의 회전 각도를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제한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인 II-II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스토퍼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가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가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구조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대응하거나 또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는, 회전 축선 A1 주위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제2 케이스(20)는 스티어링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케이스(10)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터이다. 제2 케이스(20)는,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축선 A1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이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는, 스테이터(10)라 칭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0)는, 로테이터(20)라 칭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케이스(10)가 로테이터여도 되고, 제2 케이스(20)가 스테이터여도 된다. 즉, 본원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0)에 마련되는 구성이 로테이터(20)에 마련되어도 되고, 로테이터(20)에 마련되는 구성이 스테이터(10)에 마련되어도 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제1 전기 커넥터(30) 및 제2 전기 커넥터(40)를 구비한다. 제1 전기 커넥터(30)는 제1 케이스(10)에 설치된다. 제1 전기 커넥터(30)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 방향 D1로 제1 케이스(10)로부터 돌출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는 제2 케이스(20)에 설치된다. 제1 전기 커넥터(30)는, 예를 들어 차량 본체에 마련되는 전기 기기(예를 들어, 제어 장치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의 스위치류나 에어백 장치 등의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는, 회전 축선 A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수용 공간(50)은, 환상이며, 회전 축선 A1에 대하여 둘레 방향 D3으로 연장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전기 케이블(60)을 구비한다. 전기 케이블(60)은, 회전 축선 A1 주위에 정의되는 둘레 방향 D3으로 권취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1 전기 커넥터(30) 및 제2 전기 커넥터(40)(도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케이블(60)은, 가요성을 갖고, 평탄한 형상을 갖는다. 전기 케이블(6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케이블(60)은 복수의 플랫 케이블(61)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0)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내주면(10B)을 포함한다. 제2 케이스(20)는, 내주면(10B)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며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외주면(20B)을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1 권취부(60A), 제2 권취부(60B), 및 중간부(60C)를 포함한다. 제1 권취부(60A)는, 제1 케이스(10)의 내주면(10B)을 따라서 권취된다. 제2 권취부(60B)는, 제2 케이스(20)의 외주면(20B)을 따라서 권취된다. 중간부(60C)는, 제1 권취부(60A)와 제2 권취부(60B) 사이에 마련되며, 제1 권취부(60A)를 제2 권취부(60B)에 연결한다.
제1 권취부(60A)는, 제1 전기 커넥터(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권취부(60B)는, 제2 전기 커넥터(40)(도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간부(60C)는, 제1 권취부(60A)와 제2 권취부(60B) 사이에서 휘어 있다. 중간부(60C)는, 예를 들어 제1 회전 방향 D21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플랫 케이블(61)의 각각은, 제1 권취부(60A), 제2 권취부(60B), 및 중간부(60C)를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60B)가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들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60B)가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전기 케이블(6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1 권취부(60A)가 내주면(1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1 권취부(60A)가 내주면(1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들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그러나,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가 너무 상대 회전하면, 예를들어 전기 케이블(60)이 느슨해져 버려, 전기 케이블(60)의 중간부(60C)의 상태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구조(70)를 구비한다. 스토퍼 구조(70)는, 가동 부재(71), 회전 제한부(72), 및 안내부(73)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71)는,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로테이터(20)에 연결된다. 회전 제한부(72)는, 제1 케이스(10)에 마련된다. 안내부(73)는, 제1 케이스(10)에 마련된다. 회전 제한부(72)는, 스테이터(10)에 마련된다. 안내부(73)는, 스테이터(10)에 마련된다. 그러나, 가동 부재(71)는, 스테이터(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된다. 회전 제한부(72)는, 로테이터(20)에 마련되어도 된다. 안내부(73)는, 로테이터(20)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는, 제2 케이스 본체(21) 및 커넥터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커넥터 지지부(22)는, 제2 케이스 본체(21)와 별도 부재이며, 제2 케이스 본체(21)에 설치된다. 가동 부재(71)는,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커넥터 지지부(22)에 연결된다. 스토퍼 본체(71A)는,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커넥터 지지부(22)에 연결된다. 스토퍼 구조(70)는, 피봇 핀(74)을 포함한다. 피봇 핀(74)은,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가동 부재(71)를 제2 케이스(20)에 연결한다. 커넥터 지지부(22)가 제2 케이스 본체(21)와 단일의(one-piece) 부재로서 일체로 마련되어도 된다. 피봇 핀(74)은, 제2 케이스(20) 및 가동 부재(71) 중 한쪽과 단일의 부재로서 일체로 마련되어도 된다.
가동 부재(71)는, 스토퍼 본체(71A) 및 돌출부(71B)를 포함한다. 스토퍼 본체(71A)는,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케이스(20)에 연결된다. 돌출부(71B)는, 스토퍼 본체(71A)로부터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 방향 D1로 돌출된다. 스토퍼 회전 축선 A2는, 회전 축선 A1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스토퍼 회전 축선 A2는, 회전 축선 A1에 비평행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71)는, 제2 케이스(20)에 대하여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 사이를 회전 축선 A1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 D4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부재(71)는, 제2 케이스(20)에 대하여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 사이를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는,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는,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본체(71A)는, 케이블 접촉면(75)을 포함한다. 케이블 접촉면(75)은, 전기 케이블(60)(예를 들어, 도 2 참조)의 상태에 따라서 전기 케이블(60)로부터 직경 방향의 힘을 받도록 전기 케이블(60)과 접촉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접촉면(75)은, 제1 케이블 접촉면(75A) 및 제2 케이블 접촉면(75B)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 접촉면(75B)은, 제1 케이블 접촉면(75A)의 이측에 배치된다. 제2 케이블 접촉면(75B)은, 제1 케이블 접촉면(75A)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제1 케이블 접촉면(75A)은,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케이블 접촉면(75B)은,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케이블 접촉면(75A)은, 전기 케이블(60)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부세력을 받도록 전기 케이블(60)과 접촉 가능하다. 제2 케이블 접촉면(75B)은, 전기 케이블(60)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력을 받도록 전기 케이블(60)과 접촉 가능하다.
돌출부(71B)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케이블 접촉면(75)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돌출부(71B)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1 케이블 접촉면(75A)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돌출부(71B)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케이블 접촉면(75B)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그러나, 돌출부(71B)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케이블 접촉면(75)과 동일한 직경 방향 위치에 마련되어도 되고, 케이블 접촉면(75)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제한부(72)는,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는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가동 부재(71)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하다. 돌출부(71B)는, 회전 제한부(72)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하다. 회전 제한부(72)는, 가동 부재(71)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한 스토퍼면(72A)을 포함한다. 스토퍼면(72A)은, 둘레 방향 D3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면(72A)은, 제2 회전 방향 D2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71B)는, 회전 제한부(72)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하다.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71B)의 직경 방향 위치는, 회전 제한부(72)의 직경 방향 위치와 대략 동일하다.
돌출부(71B)는,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 제한부(72)와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71B)의 직경 방향 위치는, 회전 제한부(72)의 직경 방향 위치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71B)는, 회전 제한부(72)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71B)가 회전 제한부(72)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케이스(10)는, 환상 홈(15)을 포함한다. 돌출부(71B)는,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환상 홈(15)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는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 및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 가능하다. 가동 부재(7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되는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가동 부재(71)의 돌출부(71B)가 회전 제한부(72)의 스토퍼면(72A)과 접촉하여, 제2 케이스(20)의 제1 케이스(10)에 대한 제1 회전 방향 D21로의 회전은 정지된다. 한편, 스토퍼면(72A)이 제2 회전 방향 D22를 향하고 있으므로, 가동 부재(7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되는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해도, 제2 케이스(20)의 제1 케이스(10)에 대한 제2 회전 방향 D22로의 회전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73)는,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안내하도록 가동 부재(71)와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과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 P13에 있는 상태에서, 안내부(73)는,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안내하도록 가동 부재(71)와 접촉 가능하다.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과 중간 위치 P13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 안내부(73)는,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안내하도록 가동 부재(71)와 접촉 가능하다.
회전 제한부(72)는, 안내부(73)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안내부(73)는, 스토퍼면(72A)으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돌출된다. 안내부(73)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둘레 방향 D3에 대하여 경사지는 안내면(73A)을 포함한다. 안내면(73A)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안내부(73)는, 스토퍼면(72A)으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안내면(73A)이 스토퍼면(72A)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면(73A)은, 평면이지만, 곡면이어도 된다.
안내부(73)는,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 구조(70)는, 회전 제한부(72) 및 안내부(73)에 의해 정의되는 스토퍼 홈(72B)을 포함한다. 가동 부재(71)가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토퍼 홈(72B)에 삽입된다. 돌출부(71B)가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돌출부(71B)가 부분적으로 스토퍼 홈(72B)에 삽입된다. 안내부(73)가 스토퍼면(72A)으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토퍼 홈(72B)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부(73)는, 제한면(73B)을 포함한다. 제한면(73B)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한면(73B)은, 안내면(73A)의 이측에 마련된다. 제한면(73B)은, 스토퍼면(72A)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연장된다. 회전 제한부(72)는, 돌출부(71B)를 스토퍼면(72A)에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도입면(72C)을 포함한다. 도입면(72C)은, 스토퍼면(72A)으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연장된다. 제한면(73B)은, 도입면(72C)으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연장되어, 도입면(72C)과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토퍼면(72A), 도입면(72C), 및 제한면(73B)에 의해 스토퍼 홈(72B)이 구성된다.
도 1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으로부터 제1 회전 방향 D21로 36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으로부터 제1 회전 방향 D21로 72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전기 케이블(60)은 4매의 플랫 케이블(61)로 구성되지만,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전기 케이블(60)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에 있는 상태에서는,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60B)가 외주면(20B)에 2 내지 3주(周) 정도 권취되어 있으므로, 가동 부재(71)는, 전기 케이블(60)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부세된다. 한편, 가동 부재(71)는 전기 케이블(60)의 도출부(60D)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되지만, 가동 부재(71)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권취부(60B)의 매수쪽이 가동 부재(71)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도출부(60D)의 매수보다도 많다. 따라서,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에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71)는 전기 케이블(60)의 부세력에 의해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보유 지지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71)는, 전기 케이블(60)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로 이동 가능하다.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이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작아진다.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이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60B)가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든다. 한편,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제2 권취부(60B)가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드는 분만큼, 전기 케이블(60)의 제1 권취부(60A)가 내주면(1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으로부터 제1 회전 방향 D21로 360도 회전하면, 중립 위치 P20에 비해,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제2 권취부(60B)의 매수가 줄어든다.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6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부세력이 약해져,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제2 케이스(20)에 대한 가동 부재(71)의 미소한 이동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과 중간 위치 P13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71)의 돌출부(71B)가 안내부(73)의 안내면(73A)과 접촉한다. 따라서, 가동 부재(71)는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안내되어, 제2 케이스(20)의 제1 케이스(10)에 대한 제1 회전 방향 D21로의 회전이 스토퍼 구조(70)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한 정도의 상대 회전 각도에서는, 스토퍼 구조(70)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으로부터 제1 회전 방향 D21로 720도 회전하면, 중립 위치 P20으로부터 360도 회전한 경우에 비해,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제2 권취부(60B)의 매수가 더 줄어든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중립 위치 P20으로부터 제1 회전 방향 D21로 720도 회전하면,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제2 권취부(60B)의 매수가 제로가 된다. 한편, 전기 케이블(60)의 도출부(60D)에 의해 가동 부재(7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된다.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60)의 도출부(60D)에 의해 가동 부재(7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되는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더 회전하면, 가동 부재(71)의 돌출부(71B)가 회전 제한부(72)의 스토퍼면(72A)과 접촉하여, 제1 회전 방향 D21에 있어서의 제2 케이스(20)의 제1 케이스(10)에 대한 회전이 정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1 회전 방향 D21에 있어서의 제2 케이스(20)의 제1 케이스(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스토퍼 구조(70)에 의해 대략 720도로 제한된다.
한편,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60B)가 외주면(20B)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나므로, 가동 부재(71)는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면(72A)이 제2 회전 방향 D22를 향하고 있으므로,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해도, 가동 부재(71)의 돌출부(71B)는 회전 제한부(72)의 스토퍼면(72A)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스토퍼 구조(70)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이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 사이에서 인장되는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에 대한 제2 케이스(20)의 회전은 정지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1)의 특징을 이하에 정리한다.
(1)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제1 케이스(10), 제2 케이스(20), 전기 케이블(60), 및 스토퍼 구조(70)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는, 회전 축선 A1 주위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 축선 A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형성한다. 전기 케이블(60)은, 회전 축선 A1 주위에 정의되는 둘레 방향 D3으로 권취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스토퍼 구조(70)는,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 구조(70)는, 가동 부재(71), 회전 제한부(72), 및 안내부(73)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71)는, 제2 케이스(20)에 대하여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 사이를 회전 축선 A1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회전 제한부(72)는, 제1 케이스(10)에 마련되며,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는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가동 부재(71)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하다. 안내부(73)는, 제1 케이스(10)에 마련되며,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안내하도록 가동 부재(71)와 접촉 가능하다.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는, 예를 들어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안내부(73)에 접촉하면, 안내부(73)에 의해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제2 케이스(20)에 대한 가동 부재(71)의 미소한 이동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하여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품의 개체차나 치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스토퍼 구조(70)의 오작동을 억제한다.
(2) 회전 제한부(72)는, 안내부(73)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보다 큰 회전력을 회전 제한부(72)에서 받을 수 있어, 스토퍼 구조(7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3) 회전 제한부(72)는, 가동 부재(71)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한 스토퍼면(72A)을 포함한다. 안내부(73)는, 스토퍼면(72A)으로부터 둘레 방향 D3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안내부(73)에 의해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4) 안내부(73)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둘레 방향 D3에 대하여 경사지는 안내면(73A)을 포함한다. 따라서, 안내면(73A)에 의해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보다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5) 안내부(73)는,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어서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와 회전 제한부(72)의 접촉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6) 스토퍼 구조(70)는, 가동 부재(71)가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 홈(72B)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동 부재(71)가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에 있어서 회전 제한부(72)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가동 부재(71)와 회전 제한부(72)의 접촉 상태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7) 가동 부재(71)는,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케이스(20)에 연결되는 스토퍼 본체(71A)와, 스토퍼 본체(71A)로부터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 방향 D1로 돌출되고 회전 제한부(72)와 둘레 방향 D3으로 접촉 가능한 돌출부(71B)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돌출부(71B)의 형상이나 위치가 스토퍼 본체(71A)의 형상이나 위치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가동 부재(71)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8) 스토퍼 본체(71A)는, 전기 케이블(60)의 상태에 따라서 전기 케이블(60)로부터 직경 방향의 힘을 받도록 전기 케이블(60)과 접촉 가능한 케이블 접촉면(75)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60)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71)를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9) 돌출부(71B)는, 회전 축선 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케이블 접촉면(75)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돌출부(71B)를 케이블 수용 공간(50)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10) 돌출부(71B)는, 가동 부재(71)가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 제한부(72)와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가동 부재(71)가 회전 제한부(72)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11) 가동 부재(71)는, 전기 케이블(60)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60)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12) 제1 케이스(10)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내주면을 포함한다. 제2 케이스(20)는, 내주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며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외주면을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1 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서 권취되는 제1 권취부와, 제2 케이스(20)의 외주면을 따라서 권취되는 제2 권취부와, 제1 권취부와 제2 권취부 사이에 마련되며 제1 권취부를 제2 권취부에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가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들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의 제2 권취부가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 D21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이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작아진다. 제2 케이스(20)가 제1 케이스(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 D22로 회전하면, 전기 케이블(60)이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커진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 및 제2 케이스(20)의 상대 회전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71)를 제1 직경 방향 위치 P11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P12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13) 제1 케이스(10)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터이다. 제2 케이스(20)는, 스테이터(10)에 대하여 회전 축선 A1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이다. 가동 부재(71)는, 스토퍼 회전 축선 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로테이터에 연결된다. 회전 제한부(72)는, 스테이터(10)에 마련된다. 따라서, 스테이터(10)에 마련되는 회전 제한부(72)에 의해, 보다 큰 힘을 받을 수 있어, 스토퍼 구조(7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구비하고 있다」 및 그 파생어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설명하는 비제한 용어이며,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것은, 「갖고 있다」, 「포함하고 있다」 및 그것들의 파생어에도 적용된다.
본원에 있어서, 「제1」이나 「제2」 등의 서수는, 단순히 구성을 식별하기 위한 용어이며, 다른 의미(예를 들어 특정 순서 등)는 갖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요소」가 있다고 해서 「제2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암암리에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또한 「제2 요소」가 있다고 해서 「제1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암암리에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평행」 「직교」 및 「일치」의 표현은, 엄밀하게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실질적인 평행」 「실질적인 직교」 및 「실질적인 일치」의 의미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그 밖의 배치에 관한 표현도, 엄밀하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하는 표현은, 예를 들어 (1) A만, (2) B만, 및 (3) A 및 B 양쪽의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하는 표현은, 예를 들어 (1) A만, (2) B만, (3) C만, (4) A 및 B, (5) B 및 C, (6) A 및 C, (7) A, B 및 C 모두의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는,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하는 표현은,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고는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개시 내용으로부터 생각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원의 구체적인 개시 내용과는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이 실시되어도 된다.
1: 회전 커넥터 장치
10: 제1 케이스, 스테이터(stator)
10B: 내주면
15: 환상 홈
20: 제2 케이스, 로테이터(rotator)
20B: 외주면
30: 제1 전기 커넥터
40: 제2 전기 커넥터
50: 케이블 수용 공간
60: 전기 케이블
60A: 제1 권취부
60B: 제2 권취부
60C: 중간부
60D: 도출부
70: 스토퍼 구조
71: 가동 부재
71A: 스토퍼 본체
71B: 돌출부
72: 회전 제한부
72A: 스토퍼면
72B: 스토퍼 홈
72C: 도입면
73: 안내부
73A: 안내면
73B: 제한면
75: 케이블 접촉면
75A: 제1 케이블 접촉면
75B: 제2 케이블 접촉면
A1: 회전 축선
A2: 스토퍼 회전 축선
D1: 축 방향
D21: 제1 회전 방향
D22: 제2 회전 방향
D3: 둘레 방향
D4: 직경 방향
P11: 제1 직경 방향 위치
P12: 제2 직경 방향 위치
P13: 중간 위치

Claims (13)

  1. 회전 축선 주위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전 축선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상기 회전 축선 주위에 정의되는 둘레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는 전기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상대 회전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제1 직경 방향 위치 및 제2 직경 방향 위치 사이를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직경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회전 제한부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가동 부재와 접촉 가능한 안내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안내부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스토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스토퍼면으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안내면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직경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회전 제한부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 홈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스토퍼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케이스에 연결되는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로부터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 제한부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본체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의 힘을 받도록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접촉 가능한 케이블 접촉면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케이블 접촉면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직경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 제한부와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1 직경 방향 위치 및 상기 제2 직경 방향 위치로 이동 가능한 회전 커넥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내주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을 따라서 권취되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서 권취되는 제2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와 상기 제2 권취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권취부를 상기 제2 권취부에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기 케이블의 상기 제2 권취부가 상기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줄어들도록,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기 케이블의 상기 제2 권취부가 상기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기 케이블이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작아지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기 케이블이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1 직경 방향 위치쪽으로 부세하는 상기 부세력이 커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터이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기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이며,
    상기 가동 부재는, 스토퍼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로테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스테이터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237004596A 2020-07-13 2021-07-01 회전 커넥터 장치 KR20230029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20064 2020-07-13
JP2020120064 2020-07-13
PCT/JP2021/025012 WO2022014349A1 (ja) 2020-07-13 2021-07-01 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998A true KR20230029998A (ko) 2023-03-03

Family

ID=7955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596A KR20230029998A (ko) 2020-07-13 2021-07-01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70656A1 (ko)
EP (1) EP4178049A4 (ko)
JP (1) JPWO2022014349A1 (ko)
KR (1) KR20230029998A (ko)
CN (1) CN115917891A (ko)
WO (1) WO2022014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2466A1 (zh) * 2022-07-12 2024-01-18 杭州巨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疏通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639A (ja) 2001-01-15 2002-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875U (ko) * 1989-04-26 1990-11-22
JP2540938Y2 (ja) * 1992-09-04 1997-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JP5940728B2 (ja) * 2013-03-27 2016-06-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639A (ja) 2001-01-15 2002-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349A1 (ja) 2022-01-20
CN115917891A (zh) 2023-04-04
US20230170656A1 (en) 2023-06-01
EP4178049A4 (en) 2023-12-20
EP4178049A1 (en) 2023-05-10
JPWO2022014349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4570B1 (en) Rotating connector
US7175454B2 (en) Rotary connector
JP6868610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8758024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9124022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EP2597734B1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9070496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JP5117595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8033845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8851901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JP2011258546A5 (ko)
KR20230029998A (ko) 회전 커넥터 장치
US6213797B1 (en) Clockspring having non-compliant and compliant roller members
US20140235082A1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JP4004692B2 (ja) 回転コネクタ
JP689344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71436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20230170657A1 (en) Rotary connector device
JP2702626B2 (ja) ケーブルリール
US20230163544A1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US7097478B2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JP3188801B2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2020170644A (ja) 回転コネクタ
JPH07177642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2001351757A (ja) 回転接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