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353A -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353A
KR20230029353A KR1020210111739A KR20210111739A KR20230029353A KR 20230029353 A KR20230029353 A KR 20230029353A KR 1020210111739 A KR1020210111739 A KR 1020210111739A KR 20210111739 A KR20210111739 A KR 20210111739A KR 20230029353 A KR20230029353 A KR 20230029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seling
patient
consultation
ti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011B1 (ko
Inventor
오봉근
진옥진
용영환
홍헌택
조동준
Original Assignee
아우름케어매니지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름케어매니지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우름케어매니지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SMS를 활용한 문자상담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문자상담을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의료진에게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와의 상담 참여도 및 자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시간 및 공간의 제약 없이 진료상담이 가능하여 진료상담의 효율성 및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문자 상담을 위한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환자의 미응답이 지체되면, 동일 질의어의 SMS를 재발송함과 동시에 환자의 미응답 회수가 반복되면, 전문상담원을 통한 음성상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응답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응답대기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제2 주기(T)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분석하여 상담등급(L)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의 상담등급(L)에 따라 SMS 재발송의 시간을 다르게 진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Devic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SMS를 이용하여 환자와 의료상담을 수행함과 동시에 환자의 응답내용을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되, 환자의 응답시간 및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을 선정한 후, 차후 문자 상담 시, 선정된 상담등급에 따라 문자상담 서비스 방식을 다르게 적용시킴으로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도 상담이 가능하여 보급률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상담 및 복약순응의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의학 수준, 의료 기술 및 장비가 발달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병원, 약국 등의 의료시설과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환자에게 편리하고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기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의료시설에 반해,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가 현저히 증가함에 따라, 의료진 1인당 많은 진료를 증가함에 따라, 의료진 1인당 많은 진료를 소화하게 만들며, 이는 의사의 환자 1인당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고, 진료시간의 단축은 환자 질환에 대한 의사 진단 및 처방의 정확성, 효과 및 효율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짧은 진료시간에 대한 환자의 불만을 가중시킴에 따라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례로, 2017년 보건행정학회지에 기재된 논문에 따르면, ‘2016년 8월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에 내원한 초진환자 6,9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평균 초진 진료 시간은 6.2분에 불과하고, 가장 진료 시간이 길어야 하는 정신건강의학과의 경우에는 13.9분이었으나, 실제 환자가 만족할 진료 시간인 16.2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고, 현 의료 환경에서 초진환자에게 15분 이상의 진료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의사가 환자의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처방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질환, 병력, 증상 경과, 복약 순응도 등과 같이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를 진찰 이전에 미리 인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에 따라 의사들은 진찰 이전에, 소정 시간 동안 환자와의 대화(상담)를 통해 환자의 진단 및 처방에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를 습득하도록 진료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의 경우, 진료상담 시, 환자의 심리상태, 생활 관련 내용을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환자의 진료 만족도는 진료 길이에 대한 의사의 대화 시간율과, 환자와 의사가 환자의 질병에 대한 공유, 환자와의 일상적인 대화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료상담은 의사-환자 간에 필요한 질문 및 대답만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소정 시간이 소요되는데, 통상적으로 진료상담 시에는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수준 등에 따라 의사의 진단 및 처방에 필요한 정보와는 무관한 무의미한(불필요한) 대화가 상당 부분 포함되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에 진료가 이루어져야만 하는 의사의 시간적 제약에 따라, 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대해 필수적 정찰만으로 진찰, 진단 및 처방이 이루어지는 일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특히 고령, 뇌수술, 정신질환 등과 같이 인지 저하 기능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의사의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하지 않거나 또는 질문과 무방한 대화를 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환자와의 대화 및 소통이 더욱 어렵기 때문에 진료상담의 효율성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즉 의사 및 환자의 진료상담 시, 진단 및 처방에 필요한 내용의 상담을 유도하여, 동일시간 대비 상담 효과를 극대화시켜 진단 및 처방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들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접속자(User)와의 문자대화, 음성대화 등을 수행하는 챗봇(Chat-bot) 기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챗봇 기술은 노동 집약 서비스에 적용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의 노동력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근무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각종 서비스에 널리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AI 기반 챗봇을 이용한 음성상담 서비스는 스마트폰이나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고령, 뇌수술, 정신질환 등과 같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들은 참여가 어려워 보급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41957호(발명의 명칭 : 챗봇 기반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개시된 진료예약 상담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진료예약 상담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S900)은 환자가 채팅방에 입장하면(S901), 채팅방 입장을 환영하는 메시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최상위 레벨 질의어를 검색한 후(S902), 질의어 기반으로 메뉴를 구성한 후, 텍스트 입력창과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S903).
또한 환자가 메뉴 기반으로 질의어를 선택하거나, 텍스트 입력창(text)을 통해 질의어를 입력하면(S904), 해당 질의어에 종속되는 하위 레벨 질의어들을 검색한다(S905). 이때 만약, 해당 질의어에 종속되는 하위 레벨 질의어들이 검색되면, 다시 단계903(S903)으로 재진입하여 질의어 기반으로 메뉴를 구성한 후, 텍스트 입력창과 함께 제공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S906).
반면, 해당 질의어에 하위 레벨 질의어 대신에 안내 정보가 링크되어 있다면(S907), 해당 질의어에 링크된 안내정보를 읽어와 환자에 안내하고(S908), 작업 프로세서가 링크되어 있다면(S909), 해당 작업 프로세서를 수행한 후, 작업 결과를 환자에게 통보하도록 한다(S910).
또한 단계907(S907) 내지 단계910(S9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질의어가 신규 예약이면, 예약 기준을 질문하는 단계와, 예약 기준으로 진료과가 선택되면, 진료과 목록을 안내하되, 예약 기준으로 질환이 선택되면, 선택 질환의 설명정보를 안내함과 동시에 관련 진료과 목록을 안내하는 단계와, 진료과 목록 기반으로 진료과가 선택되면, 선택 진료과에 속한 의료진 각각의 예약 스케줄을 안내하는 단계와, 예약 스케줄 기반으로 희망 의료진 및 시간이 결정되면, 환자 예약 사항을 기반으로 예약 프로세서를 진행한 후, 예약 결과를 환자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S900)은 챗봇을 이용하여 상담원의 별도 개입 없이 환자 상담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어 처리 방식과 규칙 기반 메뉴 방식 2가지 모두를 지원하는 챗봇 시스템을 구현 및 제공함으로써 노동력 및 근무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접근성 및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S900)은 기 설정된 질의어를 기반으로 단순히 문자 상담만을 수행하되, 문자 상담이 종료된 이후, 환자와의 상담 내용으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담 서비스 이외의 부가서비스를 전혀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이때 환자와의 문자 내용에는 환자의 생활 패턴, 복약순응 개선에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 치료에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유의미한 정보가 내포되어 있으나, 종래기술(S900)에는 문자 내용으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문자 상담의 내용을 진료상담이나 복약순응도 개선에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고령, 뇌수술, 정신질환 등과 같이 인지 저하 기능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질문에 대한 응답시간이 매우 지체되거나 또는 질문과 관련성이 적은 응답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환자들에 한해서는 환자의 특성에 맞춰, 문자 상담을 수행하는 것이 상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S900)은 인지 저하 기능을 동반한 환자와의 문자 상담 서비스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가 운영되기 때문에 환자의 응답시간이나 응답내용과는 상관없이 획일적인 방식으로 문자 상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인지 저하 기능을 동반한 환자의 참여도 및 자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기술(S900)은 인지 기능이 정상적인 사람만을 문자 상담 대상자로 고려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기 때문에 상담 대상자가 환자로 제한되는 경우, 상담의 효율성, 집중력 및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SMS를 활용한 문자상담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문자상담을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의료진에게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와의 상담 참여도 및 자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시간 및 공간의 제약 없이 진료상담이 가능하여 진료상담의 효율성 및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문자 상담을 위한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환자의 미응답이 지체되면, 동일 질의어의 SMS를 재발송함과 동시에 환자의 미응답 회수가 반복되면, 전문상담원을 통한 음성상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응답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응답대기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제2 주기(T)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분석하여 상담등급(L)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의 상담등급(L)에 따라 SMS 재발송의 시간을 다르게 진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각 환자의 이전 상담등급(L’)과, 현재 상담등급(L)의 비교를 통해, 설정시간(TH, Threshold)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우수한 상담등급(L)의 환자에 대해서는 미응답이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잦은 SMS 발송으로 인한 민원을 방지함과 동시에 낮은 상담등급(L)의 환자에 대해서는, 미응답에 대한 짧은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답률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환자 단말기들과, 전문상담원 단말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기 설정된 개시시간(t)이 되면, 기 설정된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환자의 진료상담에 필요한 최상위 질의어를 포함하는 SMS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회신 받으면, 응답내용에 대응하는 질의어를 포함하는 SMS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최하위 질의어를 발송할 때까지 동작을 반복하는 문자상담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상담 서비스부는 질의어를 발송한 이후, 응답이 오기까지의 경과시간인 미응답 경과시간(△t)을 측정한 후, 측정된 미응답 경과시간(△t)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TH, Threshold)에 도달하면, 해당 질의어를 재발송하고, 재발송이 이루어진 회수인 미응답 회수(N)를 카운팅 한 후, 카운팅 된 미응답 회수(N)가 기 설정된 기준회수(N’) 이상이면, 상기 전문상담원 단말기로 해당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문상담원 단말기는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콜-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콜-요청데이터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음성상담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문자상담 서비스부는 상기 개시시간(t)이 될 때 실행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각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모듈; AI 챗봇이 상기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환자의 전화번호로 문자상담 서비스를 수행하며, 각 질의어를 발송 시, 해당 질의어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발송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고, 동일 질의어를 재발송 시, SMS를 재발송하였다는 재발송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상담 진행모듈;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로부터 발송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실행되며, 미응답 경과시간(△t)을 측정하는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 상기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미응답 경과시간(△t)을 상기 설정시간(TH)에 비교하여 미응답 경과시간(△t)이 상기 설정시간(TH)에 도달하면, 해당 질의어의 SMS 재발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후,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로 재발송 요청데이터를 출력하는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로부터 재발송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실행되며, 미응답 회수(N)를 카운팅 하는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 상기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에 의해 카운팅된 미응답 회수(N)를 상기 기준회수(N’)와 비교하여 미응답 회수(N)가 상기 기준회수(N’) 이상이면, 해당 환자의 음성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 상기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에서 해당 환자의 음성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콜-요청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음성상담 진행모듈에 의한 각 질의어에 대한 환자의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를 포함하는 상담내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상담내역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은 상기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로부터 재발송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해당 환자 단말기로 동일 질의어의 SMS를 재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실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을 출력하기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이 저장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는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실행되며, 상기 제2 주기(T2)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상담내역정보를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에서 학습된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의 입력데이터로 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상담등급 설정부 이후에 실행되는 설정시간 최적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부는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이전 상담등급(L’) 과 이전 설정시간(TH’)을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데이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현재 상담등급(L)과 이전 상담등급(L’)을 비교하는 상담등급 비교모듈; 상기 상담등급 비교모듈에서, 1)현재 상담등급(L) 및 이전 상담등급(L’)이 동일하면,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며, 2)현재 상담등급(L)이 이전 상담등급(L’) 보다 상위 레벨이면,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며, 3)현재 상담등급(L)이 이전 상담등급(L’) 보다 하위 레벨이면, 설정시간(TH)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에서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환자의 설정시간(TH)을 이전 설정시간(TH’)과 동일하게 부여하는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에서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이전 설정시간(TH‘)에 기 설정된 상수 ‘α’를 합산하여 설정시간(TH)을 산출하는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에서 설정시간(TH)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이전 설정시간(TH‘)에 기 설정된 상수 ‘α’를 차감하여 설정시간(TH)을 산출하는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 상기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 상기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 또는 상기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에서 부여 또는 설정된 설정시간(TH)을 해당 환자의 설정시간으로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하는 설정시간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354)은 실행 시, 해당 환자에게 부여된 설정시간(TH)을 기반으로 SMS 재발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는 인공지능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는 상기 주기(T)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L)을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의 집합인 추출 모델을 도출하여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의료진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에서 문자상담 서비스가 종료될 때 실행되며, 상기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로부터 생성된 상담내역정보와,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을 가공 및 활용하여, 해당 환자의 생활패턴, 복약순응도, 치료에 필요한 정보, 복약순응 개선에 필요한 정보 및 상담등급(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담리포트; 상기 상담리포트에 의해 생성된 상담리포트를 상기 의료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담리포트에는 일자별로 미응답 경과시간(△t)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응답 차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SMS를 활용한 문자상담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문자상담을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의료진에게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와의 상담 참여도 및 자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시간 및 공간의 제약 없이 진료상담이 가능하여 진료상담의 효율성 및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문자 상담을 위한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환자의 미응답이 지체되면, 동일 질의어의 SMS를 재발송함과 동시에 환자의 미응답 회수가 반복되면, 전문상담원을 통한 음성상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응답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응답대기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제2 주기(T)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분석하여 상담등급(L)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의 상담등급(L)에 따라 SMS 재발송의 시간을 다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가 각 환자의 이전 상담등급(L’)과, 현재 상담등급(L)의 비교를 통해, 설정시간(TH, Threshold)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우수한 상담등급(L)의 환자에 대해서는 미응답이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잦은 SMS 발송으로 인한 민원을 방지함과 동시에 낮은 상담등급(L)의 환자에 대해서는, 미응답에 대한 짧은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답률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41957호(발명의 명칭 : 챗봇 기반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개시된 진료예약 상담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상담-시나리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4의 상담리포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담리포트에 노출되는 응답차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설정시간 최적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SMS를 이용하여 환자와 의료상담을 수행함과 동시에 환자의 응답내용을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되, 환자의 응답시간 및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을 선정한 후, 차후 문자 상담 시, 선정된 상담등급에 따라 문자상담 서비스 방식을 다르게 적용시킴으로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도 상담이 가능하여 보급률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상담 및 복약순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환자(User, 사용자)에게 문자 상담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문자 상담을 통한 문자내용을 분석하여, 치료에 필요하거나 또는 복약순응 파악에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이하 유효정보라고 함)를 추출한 후, 추출된 유효정보를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인 환자 단말기(5-1), ..., (5-N)들과, 의료진이 소지한 단말기인 의료진 단말기(9)와, 전문상담원이 소지한 단말기인 전문상담원 단말기(8)와, 상담서비스 관리서버(3) 및 환자 단말기(5-1), ..., (5-N)들 사이의 문자텍스트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의료진 단말기(9) 및 전문상담원 단말기(8)와 통신망(미도시)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망(10)은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 및 환자 단말기(5-1), ..., (5-N)들 사이의 SMS 송수신을 지원한다. 이때 이동통신망(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BS(Base Station), PSDN(Packet Data Serving Node), BTS(Base Transceiver Station), 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으로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
전문상담원 단말기(8)는 전문상담원이 소지하거나 콜-센터에 구비된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톱-PC(Desktop-PC),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태블릿-PC(Tablet-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문상담원 단말기(8)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부터 콜-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콜-요청데이터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환자와의 문자 상담을 통해, 질문에 대한 응답시간이 매우 지체되거나 또는 응답이 없는 등의 환자를 고위험군 환자로 선정한 후, 선정된 고위험군 환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전문상담원 단말기(8)로 전송한다.
의료진 단말기(9)는 의료진이 소지하거나 또는 의료진의 집무공간에 배치되는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톱-PC(Desktop-PC),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태블릿-PC(Tablet-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불가피한 경우, 인쇄된 형태의 문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의료진 단말기(9)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부터 문자 상담을 기반으로 한, 상담리포트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상담리포트를 의료진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한다.
즉 의료진은 의료진 단말기(9)를 통해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받은 상담리포트의 내용을 참조하여, 제한된 진료상담시간 동안, 치료에 필요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자와의 상담 내용 중 대화 방해요소(무의미한 대화)를 현저히 절감시켜 상담 효율성 및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치료/진단의 정확성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환자 단말기(5-1), ..., (5-N)들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S, Mobile Station)이며,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와 SMS를 송수신한다.
이때 환자 단말기(5-1), ..., (5-N)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터치패널 등의 입력수단(51)과, 문자, 숫자, 사진, 영상 콘텐츠 등이 전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53)과,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수단(55)을 포함하여 후술되는 도 5의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의 AI 챗봇(Chat-bot)과의 문자 상담을 지원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지원하는 기술 및 방법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환자 단말기(5)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부터 질의어를 포함하는 문자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문자 내용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고, 환자로부터 질의어에 해당하는 응답 내용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응답 내용을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AI 챗봇을 이용하여, 매일 기 설정된 개시시간(t)이 되면, 환자 단말기(5-1), ..., (5-N)들 각각으로 기 설정된 상담-시나리오에 따른 질의어를 포함하는 SMS를 발송한다. 이때 개시시간(t)은 환자의 일상이 이루어지는 시간대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의 AI 챗봇은 환자 단말기(5-1), ..., (5-N)들로부터 응답 내용을 회신 받으면,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회신 받은 응답 내용에 대응하는 대화 및 질의어를 해당 환자 단말기(5)로 발송하고, 이러한 방식을 반복하여 문자 상담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가 SMS를 기반으로 환자와의 의료상담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폰이나 어플리케이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들의 참여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담 효율성 및 참여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각 환자 단말기(5)로 SMS를 발송한 이후, 응답 문자를 회신 받지 못하는 경과시간(이하 미응답 경과시간이라고 함)(△t)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TH, Threshold)에 도달하면, 동일한 내용의 SMS를 반복하여 발송한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개시시간(t) 이후로, 환자의 미응답 회수(N)가 기 설정된 기준회수(N‘)에 도달하면, 해당 환자를 고위험군 환자로 선정한 후, 선정된 고위험군 환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전문상담원 단말기(8)로 전송한다. 이때 전문상담원 단말기(8)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부터 콜-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고위험군 환자에게 음성통화를 수행하여, 상담-시나리오에 따른 질의 및 대화를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1)문자 상담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환자에게는 문자 상담을 수행하되, 2)문자 상담까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고위험군 환자에게만 별도의 음성 상담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음성 상담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 낭비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의료 상담이 가능하여 상담 효율성 및 집중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최하위 질의어에 대한 응답을 환자 단말기(5)로부터 회신 받으면, 해당 환자의 문자 상담을 종료한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문자 상담이 종료되면, 해당 환자의 응답 내용을 가공 및 활용하여, 상담리포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담리포트를 의료진 단말기(9)로 전송한다. 즉 상담리포트에는 치료에 필요한 유효한 정보, 환자의 생활패턴, 복약순응도, 복약순응 개선에 필요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의 의료용 상담 리포트의 전송 방식은 암호화된 이-메일, 문자메시지, 전용프로그램, 우편 발송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문자 상담이 종료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내역정보(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를 분석하여, 각 환자의 상담등급(L)을 검출한다.
이때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은 상담내역정보(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와, 상담등급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의 집합인 추출 모델을 도출한다.
또한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상담등급(L)이 검출되면, 검출된 상담등ㄱ브(L)에 따라 각 환자의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하며, 상세하게로는 1)상담등급(L)이 우수한 환자의 경우,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키되, 2)상담등급(L)이 낮은 환자의 경우, 설정시간(TH)을 축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상담등급(L)이 높은 환자는 문자 상담의 참여도 및 자발성이 높고, 이에 따라 상담등급(L)이 높은 환자가 문자 응답을 못하는 이유로는, 업무, 바쁜 개인 사정 등과 같이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담등급(L)이 낮은 환자는 문자 상담의 참여도 및 자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문자 응답을 못하는 이유로는, 인지 저하로 인한 미응답인 경우가 많은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SMS 발송 시,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에 따라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하여 미응답으로 인한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담 효과 및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담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 낭비를 절감시키도록 하였다.
도 4는 도 2의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데이터베이스부(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인공지능 학습부(33), 의료진 매칭부(34),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 상담리포트 생성부(36),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 설정시간 최적화부(38), 부가서비스부(39)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 (38), (3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인공지능 학습부(33)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매일 기 설정된 개시시간(t)이 되면,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가 특정 환자의 문자 상담을 종료하면, 상담리포트 생성부(36)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상담리포트 생성부(36)에 의해 상담리포트가 생성되면, 생성된 상담리포트가 매칭된 의료진 단말기(9)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 등록된 각 환자의 기본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기본정보는 해당 환자의 개인정보, 전화번호, 질환종류, 이전 진료를 수행하였던 의료시설 및 의료진 정보 또는 진료를 희망하는 의료시설 및 의료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의료진 매칭부(34)에 의해 생성된 환자 및 의료진의 매칭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 설정된 상담-시나리오가 저장된다. 이때 상담-시나리오는 상담에 필요한 정보를 유추하기 위한 질의어들과, 각 질의어의 트리구조 관계, 각 질의어에 대응하는 응답문구들, 각 응답문구에 대응하는 하위 질의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상담-시나리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즉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의 AI 챗봇은 개시시간이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질의어(910)의 상담 내용을 포함하는 SMS를 환자 단말기(5-1), ..., (5-N)들로 각각 발송한 후, 환자 단말기(5-1), ..., (5-N)들로부터 최상위 질의어에 대한 응답(920)을 회신 받으면, 응답 내용(920)에 대응하는 질의어(930)를 포함하는 SMS를 각 환자 단말기(5)로 발송하고, 이러한 방식을 반복하여 최하위 질의어(980)에 대한 응답(990)을 회신 받을 때까지 문자 상담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매일 개시시간이 되면,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를 통해 환자 단말기(5)들과의 문자 상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AI 챗봇이 저장된다.
이러한 AI 챗봇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접속된 환자와 문자 대화를 수행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환자의 응답에 대응하는 질의어를 선별하여 문자 상담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에 의해 생성된 상담내역정보(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상담리포트 생성부(36)에서 생성된 상담리포트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 및 설정시간 최적화부(38)에서 설정 및 최적화된 각 환자의 상담등급(L) 및 설정시간(TH)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상담등급 설정부(38)에서 설정된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인공지능 학습부(33)에 의해 학습된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이때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은, 상담내역정보(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와, 상담등급을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의 집합인 추출 모델을 도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는 이동통신망(10)에 접속하여, 환자 단말기(5-1), ..., (5-N)들과 SMS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인공지능 학습부(33)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며, 후술되는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에서 활용되는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을 학습화한다.
이때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은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을 출력하기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이다.
또한 인공지능 학습부(33)는 상담내역정보(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와, 상담등급을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의 집합인 추출 모델을 도출한다.
의료진 매칭부(34)는 기 설정된 각 환자의 기본정보와, 기본정보에 포함된 질환종류, 이전 진료를 수행하였던 의료시설 및 의료진 정보 또는 진료를 희망하는 의료시설 및 의료진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를 수행할 의료진을 매칭시킨다.
이때 의료진 매칭부(34)는 입력된 기본정보에 포함된 환자가 희망하는 의료시설 및 의료진을 해당 환자와 매칭하거나 또는 입력된 기본정보에 포함된 환자가 이전에 진료하였던 의료시설 및 의료진을 해당 환자와 매칭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 매칭부(34)에 의해 생성된 매칭정보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도 6은 도 4의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추출모듈(351)과, 문자상담 진행모듈(352),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353),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354),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355),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356), 콜-요청데이터 생성모듈(357), 상담내역정보 생성모듈(358)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추출모듈(351)은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개시시간(t)이 될 때 실행되며, 데이터베이스부(31)로부터 각 환자의 기본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기본정보에는 해당 환자의 개인정보, 전화번호, 질환종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추출모듈(351)은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각 환자의 상담등급(L) 및 설정시간(TH) 정보를 추출한다.
문자상담 진행모듈(352)은 AI 챗봇이 기 설정된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데이터 추출모듈(351)에 의해 추출된 환자의 전화번호의 환자 단말기(5)로 최상위 질의어를 포함하는 SMS를 발송한다.
또한 문자상담 진행모듈(352)은 환자로부터 응답을 회신 받으면, 회신 받은 응답내용을 분석 및 인식한 후, 인식된 응답내용에 대응하는 질의어를 환자 단말기(5)로 전송하고, 최하위 질의어의 SMS를 발송할 때까지 이러한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문자상담 진행모듈(352)은 환자 단말기로 질의어를 발송하면, 해당 질의어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발송데이터를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353)로 출력한다.
또한 문자상담 진행모듈(352)은 환자 단말기(5)로 동일 질의어를 재발송하면, SMS를 재발송하였다는 내용의 재발송 데이터를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355)로 출력한다.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353)은 문자상담 진행모듈(352)로부터 질의어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발송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타이머를 이용하여 미응답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
이때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353)은 문자상담 진행모듈(352)로부터 발송데이터를 입력받을 때까지 미응답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353)은 차후 문자상담 진행모듈(352)로부터 1)동일한 질의어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발송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해당 환자에게 SMS 재발송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미응답 경과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한 후, 다시 측정하고, 2)이전과 다른 질의어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발송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해당 환자의 응답이 이루어져 다른 질의어의 SMS가 발송되었다고 판단하여 미응답 경과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한 후, 다시 측정하고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354)은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353)에 의해 측정된 미응답 경과시간(△t)과, 데이터 추출모듈(351)에 의해 추출된 해당 환자의 설정시간(TH)을 비교하며, 1)만약 미응답 경과시간(△t)이 설정시간(TH)에 도달하지 않으면, SMS를 재발송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만약 미응답 경과시간(△t)이 설정시간(TH)에 도달하면, SMS 재발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문자상담 진행모듈(352)로 재발송 요청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문자상담 진행모듈(352)은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354)로부터 재발송 요청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해당 환자에게 이전과 동일한 질의어를 갖는 SMS를 재발송하며,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355)로 재발송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AI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는 AI 챗봇을 이용하여, 환자와의 SMS를 활용한 문자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되, 환자의 이전 상담내역정보에 에 따라 결정된 상담등급(L) 및 설정시간(TH)에 따라 환자로부터 미응답이 이루어질 때, 질의어 재발송 시간을 최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담등급(L)이 우수한 환자에게는 잦은 SMS 발송으로 인한 민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담등급(L)이 낮은 환자에게는 불필요한 응답대기시간을 절감시켜 문자 상담의 효율성 및 응답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우수한 상담등급(L)의 환자인 경우, 미응답이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낮은 상담등급(L)의 환자인 경우, 미응답에 대한 짧은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답률을 높일 수 있다.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355)은 문자상담 진행모듈(352)로부터 재발송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미응답 회수(N)를 ‘0’에서부터 카운팅 한다.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356)은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355)에 의해 카운팅 된 미응답 회수(N)를 기 설정된 기준회수(N’)와 비교하며, 1)만약 미응답 회수(N)가 기준회수(N’) 미만이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2)만약 미응답 회수(N)가 기준회수(N’) 이상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음성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즉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356)은 해당 일자에 미응답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환자의 경우, 신속하게 음성통화를 수행하여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문자 상담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콜-요청데이터 생성모듈(357)은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356)에서 해당 환자의 음성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환자의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콜-요청데이터 생성모듈(357)에 의해 생성된 콜-요청데이터를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전문상담원 단말기(8)로 전송되고, 전문상담원 단말기(8)는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로부터 콜-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콜-요청데이터에 포함된 기본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환자에게 음성통화를 통한 상담을 수행한다.
상담내역정보 생성모듈(358)은 문자상담 진행모듈(352)에서 문자상담이 종료될 때 실행되며, 환자의 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를 매칭시켜 상담내역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도 7은 도 4의 상담리포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담리포트에 노출되는 응답차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담리포트 생성부(36)는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35)에 의해 문자상담이 완료될 때 실행되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상담내역 데이터와,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담내역데이터에 포함된 각 질의어에 대한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회수(N), 상담등급(L)을 가공 및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리포트를 생성한다.
이때 상담리포트는 해당 환자의 생활패턴, 복약순응도, 치료에 필요한 정보, 복약순응 개선에 필요한 정보, 상담등급(L) 정보, 도 7의 응답 차트(990) 등을 포함하고, 응답 차트(900)는 일자별로 미응답 경과시간(△t)이 그래프로 표시된다.
또한 상담리포트 생성부(36)에서 생성된 상담리포트 생성부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의료진 단말기(9)로 전송된다.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는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는 제2 주기(T2) 동안 수집된 해당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상담내역정보를 인공지능 학습부(33)에서 학습된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의 입력데이터로 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을 출력한다.
이때 상담등급(L)은 상위부터 하위까지의 복수개의 레벨들로 분류되되, 1)미응답 경과시간(△t)에 비례하여 하위레벨로 설정되고, 2)미응답 회수(N)에 비례하여 하위레벨로 설정되고, 3)응답내용의 적합성에 따라 상위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에 의해 설정된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 정보는 설정시간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됨과 동시에 설정시간 최적화부(38)로 입력된다.
도 8은 도 4의 설정시간 최적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정시간 최적화부(3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모듈(381)과, 상담등급 비교모듈(382),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383),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384),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385),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386), 설정시간 저장모듈(387)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입력모듈(381)은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37)에 의해 설정된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데이터 입력모듈(381)은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이전 상담등급(L’) 정보와 설정시간(TH’)을 입력받는다.
상담등급 비교모듈(382)은 데이터 입력모듈(381)을 통해 입력된, 현재 상담등급(L)과 이전 상담등급(L’)을 비교한다.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383)은 상담등급 비교모듈(382)에서, 1)현재 상담등급(L) 및 이전 상담등급(L’)이 동일하면,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384)을 실행시키며, 2)현재 상담등급(L)이 이전 상담등급(L’) 보다 상위 레벨이면,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385)을 실행시키며, 3)현재 상담등급(L)이 이전 상담등급(L’) 보다 하위 레벨이면, 설정시간(TH)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386)을 실행시킨다.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384)은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383)에서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환자의 설정시간(TH)을 이전 설정시간(TH’)과 동일하게 부여한다.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385)은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383)에서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이전 설정시간(TH‘)에 기 설정된 상수 ‘α’를 합산하여 설정시간(TH)을 산출한다.
즉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385)은 환자의 상담등급(L)이 이전보다 상승하면, 이전 설정시간(TH’)에서 상수 ‘α’를 합산한 값을 설정시간(TH)으로 설정한다.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386)은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383)에서 설정시간(TH)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이전 설정시간(TH‘)에 기 설정된 상수 ‘α’를 차감하여 설정시간(TH)을 산출한다.
즉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386)은 환자의 상담등급(L)이 이전보다 하락하면, 이전 설정시간(TH’)에서 상수 ‘α’를 차감한 값을 설정시간(TH)으로 설정한다.
설정시간 저장모듈(387)은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384),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385) 또는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386)에서 부여/설정된 설정시간(TH)을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부가서비스부(39)를 살펴보면, 부가서비스부(39)는 진료예약, 민원처리 등과 같이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의 운용에 필요한 기타 부가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SMS를 활용한 문자상담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문자상담을 기반으로 상담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의료진에게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와의 상담 참여도 및 자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시간 및 공간의 제약 없이 진료상담이 가능하여 진료상담의 효율성 및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문자 상담을 위한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가 환자의 미응답이 지체되면, 동일 질의어의 SMS를 재발송함과 동시에 환자의 미응답 회수가 반복되면, 전문상담원을 통한 음성상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응답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응답대기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가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제2 주기(T)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분석하여 상담등급(L)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의 상담등급(L)에 따라 SMS 재발송의 시간을 다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3)가 각 환자의 이전 상담등급(L’)과, 현재 상담등급(L)의 비교를 통해, 설정시간(TH, Threshold)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우수한 상담등급(L)의 환자에 대해서는 미응답이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잦은 SMS 발송으로 인한 민원을 방지함과 동시에 낮은 상담등급(L)의 환자에 대해서는, 미응답에 대한 짧은 대기시간을 주어 SMS 재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답률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1: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3:상담 서비스 관리서버 5-1, ..., 5-N:환자 단말기들
8:전문상담원 단말기 9:의료진 단말기
10:이동통신망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인공지능 학습부 34:의료진 매칭부
35: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
36:상담리포트 생성부 37: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
38:설정시간 최적화부 39:부가서비스부
351:데이터 추출모듈 352:문자상담 진행모듈
353: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 354:재발송 여부 판단모듈
355: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 356: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
357:콜-요청데이터 생성모듈 358상담내역정보 생성모듈
381:데이터 입력모듈 382:상담등급 비교모듈
383: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 384: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
385: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 386: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
387:설정시간 저장모듈

Claims (7)

  1. 환자 단말기들과, 전문상담원 단말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기 설정된 개시시간(t)이 되면, 기 설정된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환자의 진료상담에 필요한 최상위 질의어를 포함하는 SMS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회신 받으면, 응답내용에 대응하는 질의어를 포함하는 SMS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최하위 질의어를 발송할 때까지 동작을 반복하는 문자상담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상담 서비스부는
    질의어를 발송한 이후, 응답이 오기까지의 경과시간인 미응답 경과시간(△t)을 측정한 후, 측정된 미응답 경과시간(△t)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TH, Threshold)에 도달하면, 해당 질의어를 재발송하고, 재발송이 이루어진 회수인 미응답 회수(N)를 카운팅 한 후, 카운팅 된 미응답 회수(N)가 기 설정된 기준회수(N’) 이상이면, 상기 전문상담원 단말기로 해당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문상담원 단말기는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콜-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콜-요청데이터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음성상담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상담 서비스부는
    상기 개시시간(t)이 될 때 실행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각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모듈;
    AI 챗봇이 상기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환자의 전화번호로 문자상담 서비스를 수행하며, 각 질의어를 발송 시, 해당 질의어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발송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고, 동일 질의어를 재발송 시, SMS를 재발송하였다는 재발송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상담 진행모듈;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로부터 발송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실행되며, 미응답 경과시간(△t)을 측정하는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
    상기 미응답 경과시간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미응답 경과시간(△t)을 상기 설정시간(TH)에 비교하여 미응답 경과시간(△t)이 상기 설정시간(TH)에 도달하면, 해당 질의어의 SMS 재발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후,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로 재발송 요청데이터를 출력하는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로부터 재발송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실행되며, 미응답 회수(N)를 카운팅 하는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
    상기 미응답 회수 카운팅모듈에 의해 카운팅된 미응답 회수(N)를 상기 기준회수(N’)와 비교하여 미응답 회수(N)가 상기 기준회수(N’) 이상이면, 해당 환자의 음성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
    상기 음성통화 여부 판단모듈에서 해당 환자의 음성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환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콜-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콜-요청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음성상담 진행모듈에 의한 각 질의어에 대한 환자의 응답내용, 각 질의어에 대한 미응답 경과시간(△t), 미응답 회수(N)를 포함하는 상담내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상담내역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상담 진행모듈은
    상기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로부터 재발송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해당 환자 단말기로 동일 질의어의 SMS를 재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실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을 출력하기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이 저장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는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실행되며, 상기 제2 주기(T2)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상담내역정보를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에서 학습된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의 입력데이터로 하여,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상담등급 설정부 이후에 실행되는 설정시간 최적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부는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상담등급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이전 상담등급(L’) 과 이전 설정시간(TH’)을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데이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현재 상담등급(L)과 이전 상담등급(L’)을 비교하는 상담등급 비교모듈;
    상기 상담등급 비교모듈에서, 1)현재 상담등급(L) 및 이전 상담등급(L’)이 동일하면,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며, 2)현재 상담등급(L)이 이전 상담등급(L’) 보다 상위 레벨이면,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며, 3)현재 상담등급(L)이 이전 상담등급(L’) 보다 하위 레벨이면, 설정시간(TH)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에서 설정시간(TH)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환자의 설정시간(TH)을 이전 설정시간(TH’)과 동일하게 부여하는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에서 설정시간(TH)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이전 설정시간(TH‘)에 기 설정된 상수 ‘α’를 합산하여 설정시간(TH)을 산출하는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
    상기 설정시간 최적화여부 판단모듈에서 설정시간(TH)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이전 설정시간(TH‘)에 기 설정된 상수 ‘α’를 차감하여 설정시간(TH)을 산출하는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
    상기 동일 설정시간 부여모듈, 상기 제1 설정시간 산출모듈 또는 상기 제2 설정시간 산출모듈에서 부여 또는 설정된 설정시간(TH)을 해당 환자의 설정시간으로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하는 설정시간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발송 여부 판단모듈(354)은
    실행 시, 해당 환자에게 부여된 설정시간(TH)을 기반으로 SMS 재발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는 인공지능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는
    상기 주기(T) 동안 수집된 각 환자의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L)을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담내역정보와 상담등급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의 집합인 추출 모델을 도출하여 상담등급 검출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의료진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에서 문자상담 서비스가 종료될 때 실행되며, 상기 AI 챗봇 기반 문자상담 서비스부로부터 생성된 상담내역정보와, 해당 환자의 상담등급(L)을 가공 및 활용하여, 해당 환자의 생활패턴, 복약순응도, 치료에 필요한 정보, 복약순응 개선에 필요한 정보 및 상담등급(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담리포트;
    상기 상담리포트에 의해 생성된 상담리포트를 상기 의료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리포트에는 일자별로 미응답 경과시간(△t)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응답 차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11739A 2021-08-24 2021-08-24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7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39A KR102578011B1 (ko) 2021-08-24 2021-08-24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39A KR102578011B1 (ko) 2021-08-24 2021-08-24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53A true KR20230029353A (ko) 2023-03-03
KR102578011B1 KR102578011B1 (ko) 2023-09-13

Family

ID=8551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739A KR102578011B1 (ko) 2021-08-24 2021-08-24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0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899A (ko) * 2014-11-27 2016-06-07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80005876A (ko) *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모모스뱅크 음성데이터 기반 인성평가를 통한 인공지능형 개인신용평가 및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256A (ko) * 2018-10-31 2020-05-08 박해유 인공지능 챗봇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28480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인공지능기반 상담지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899A (ko) * 2014-11-27 2016-06-07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80005876A (ko) *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모모스뱅크 음성데이터 기반 인성평가를 통한 인공지능형 개인신용평가 및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256A (ko) * 2018-10-31 2020-05-08 박해유 인공지능 챗봇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28480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인공지능기반 상담지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011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naik et al. Evaluating the accuracy of data collection on mobile phones: A study of forms, SMS, and voice
US201301496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mptom based reporting
US11074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ptimal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 for subject engagement
KR20150078032A (ko) 치매 예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30101984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mutli-party collocation
CN104010030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进行数据管理的方法和系统
CN110675922A (zh) 基于多模态的智能随访方法及系统
CN112185533A (zh) 远程医疗系统及远程医疗的医生资源分配方法、存储介质
JP2018195164A (ja) 解析装置、解析プログラム及び解析方法
CN110598887A (zh) 就业培训管理方法及相关装置
US11322139B2 (en) Presentation of indications with respect to questions of a communication session
Nakash et al. Patient initiation of information: Exploring its role during the mental health intake visit
CN113643798A (zh) 为失能人员匹配照护人员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210110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ystem compliance with measures to improve system health
KR102578011B1 (ko) 디바이스리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0383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digital virtual sponsor for behavioral health and wellness of a user
KR102314332B1 (ko) 머신러닝 자연어 처리를 활용한 의사-환자의 진료상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11145907A (zh) 体检数据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03385701A (zh) 一种远程血压监测与医护装置
CN114220526A (zh) 一种医院预约挂号系统及预约方法
US20190385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digital virtual sponsor
JP6336668B1 (ja) 医療相談システム
CN115547474B (zh) 一种分级诊疗引导方法及装置
WO2016040025A1 (en) Virtual-account-initiated communication of protected information
KR102379615B1 (ko)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