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615B1 -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615B1
KR102379615B1 KR1020210174415A KR20210174415A KR102379615B1 KR 102379615 B1 KR102379615 B1 KR 102379615B1 KR 1020210174415 A KR1020210174415 A KR 1020210174415A KR 20210174415 A KR20210174415 A KR 20210174415A KR 102379615 B1 KR102379615 B1 KR 10237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ubject
outbound call
voic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준
유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Priority to KR102021017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6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은,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OUTBOUND CALL FOR DEMENTIA TEST OF SUBJEC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대상자의 치매 검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 검사는 인지선별검사(CIST: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진단검사 및 감별검사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별검사는 검사 대상자들이 지역별 치매안심센터, 보건소 등을 직접 방문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진단검사는 상기 선별검사 결과에 따라 치매안심센터나 협약병원 등에서 신경인지검사를 수행하거나 전문의를 통한 진료 등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감별검사는 상기 진단검사의 결과에 따라 협약병원에서 혈액검사, 뇌영상 촬영 등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치매 여부를 감별하는 방식이다.
상기에서 특히, 선별검사와 관련하여, 종래 방식에 따르면 검사 대상자들이 선별검사를 위해 해당 기관에 직접 방문을 할 정도이면 상대적으로 치매 환자일 가능성이 낮아 검사의 필요성 내지 유효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당 기관에서 선별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람이 직접 검사 대상자와의 관계에서 질의 응답을 함에 따라 인력, 비용, 시간 등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효율성은 전술한 선별검사 자체에 대한 필요성 내지 유효성까지 고려하면 더욱 떨어질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치매관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치매관리 자동화 방법은 상기 선별검사에 이용되는 검사항목의 문구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응답을 음성으로 수신한 후 응답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으로 상기 검사항목의 응답평가를 수행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검사의 효율성을 일부 개선하였으나 여전히 선별검사 이전에 검사 대상자가 선별검사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는 문제점, 선별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도 검사 대상자가 그러한 검사를 위하여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야 하는 문제점, 그리고 상기 음성으로 출력되는 선별검사에 이용되는 검사항목에 대한 응답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처리 여부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4191호 (2021.05.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선별검사 이전에 인공지능 기반 아웃바운드 콜을 통한 사전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수신 거부 및/또는 응답 거부를 최소화하여 상기 치매 여부 사전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은,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하는 전자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하는 시스템은, 상기 대상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선별검사 이전에 인공지능 기반 아웃바운드 콜을 통한 사전 검사를 수행 과정에서 수신 거부 및/또는 응답 거부를 최소화하여 상기 치매 여부 사전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효율성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선별검사의 대상자 여부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검사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검사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전 공지 메시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거부 및 응답 처리 중 통화 종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 멘트 구성 및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검사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Outbound call processing system)(이하,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은, 검사 대상자 단말(100)과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실시 예에 따라서,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된 검사 대상자 단말(100)과 서버(150)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하는 동작 수행과 관련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가 추가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에 의해 단말(100)로 아웃바운드 콜 전송 및 수신과 관련하여, 통신 서버, 기지국 등 관련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웃바운드 콜의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바운드 콜(Inbound call)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내용 중 예를 들어, 후술할 응답 거부와 관련된 내용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검사 대상자 단말(100)은 서버(150)에 의해 전송되는 아웃바운드 콜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안내 멘트를 수신하여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답 신호란 검사 대상자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응답 신호는 예를 들어, 단말의 형태, 단말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등에 따라 전술한 음성 외에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대상자 단말(100)은 TV, 모니터, 사이니지(Signage),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AI 스피커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검사 대상자 단말(100)은 스마트폰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검사 대상자 단말(100)은 상기 치매 검사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응답 등과 관련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가 아웃바운드 콜을 통해 이루어지는바, 음성 신호 처리와 관련된 스피커, 마이크로폰 등을 예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은 직접 상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더라도 해당 인터페이스와 연결 또는 페어링 상태이면 족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자 단말(100)은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 아웃바운드 콜의 음성을 문자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문자에 대한 응답을 터치 등을 통해 입력하면 이를 다시 음성으로 변환되어 전송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처리를 위한 STT(Speech to Text)와 TTS(Text to Speech)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구비하거나 연결되어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실시 예에 따라서, 전술한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에 대하여 응답은 음성이 아닌 제스처, 터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해당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150)는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50)는 메모리(memory)(210)와 프로세서(processor)(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인공지능 기반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를 위한 훈련 데이터셋(training data set), 상기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학습 모델(learning model)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치매 여부 판단 검사를 위한 사전 검사를 위한 사전 공지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 대상자 ??춤형 안내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 등 서버(150)에 의해 수집, 가공, 처리 등 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와 관련된 사전 공지 메시지와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가 포함된 아웃바운드 콜을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전송된 사전 공지 메시지와 아웃바운드 콜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을 분석하여 사전 검사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전송을 종료 제어할 수 있다.
서버(150)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와 관련된 서비스의 일부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서비스(web servic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서버(150)는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와 관련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데이터베이스(DB)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어, 국내외의 치매 관련 의료 서비스와 관련된 민간/국가 기관 서버, 의료 전문 기관의 서버, 의료 논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검사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전 공지 메시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거부 및 응답 처리 중 통화 종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 멘트 구성 및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6의 동작들은 도 1의 서버(150) 특히, 도 2의 프로세서(2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1에서, 서버(150)는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2에서, 서버(150)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미리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동작 13에서, 서버(150)는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에서, 서버(150)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동작 15에서, 서버(150)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동작 11 즉, 사전 공지 메시지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검사 대상자가 수신을 거부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왜 전화가 왔는지 알지 못하여 받지 않는 경우, 자기가 신청하지 않은 경우, 모르는 번호이어서 스팸이나 보이스피싱으로 오해하는 경우 등이다. 그 밖에, 검사 대상자가 수신하였으나 동작이 느려 안내 멘트를 제대로 듣지 못해 수신을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유사한 방식으로 검사 대상자가 응답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기계적인 자동 음성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자동 진행 검사에 따라 검사 대상자가 의도한 대로 검사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경우, 검사 중간에 질려서 응답을 거부하고 수신 종료하는 경우, 초반 일부만 응답하고 마음이 바껴 이후에는 생각이 안난다는 식으로 응답에 불응하거나 거부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활동이 작은 시간대 예를 들어, 오전 시간인 경우, 도보 또는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 중인 경우, 치매가 아닌 다른 질병으로 인한 통증이 있는 경우 등에도 수신 거부나 응답 거부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전 공지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검사 대상자에게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이러한 사전 정보의 전송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웃바운드 콜 전송 시에 수신 거부방지의 목적이 있다.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는, 상기 검사 대상자뿐만 아니라 나이, 병력 등을 기준으로 잠재적 검사 대상자, 또는 본인 또는 제3자에 의해 요청된 검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치매검사의 선별검사 이전 또는 선별검사를 대체하는 사전 검사에 관한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는 검사 대상자의 식별을 위한 정보, 검사 일정에 관한 정보, 검사 소요 시간에 관한 정보,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트 콜 수락 여부에 관한 정보, 검사 일정 연기, 변경 등 재설정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공지 메시지는 서버(150)에 의해 전송되는 것으로, 전화, 문자,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푸쉬 알림, 이메일 등 그 형식에 구애받지 않으며, 검사 대상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150)는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 정보를 통합 문자 발송처럼 통합 인공지능 콜 발신을 통하여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사전 검사의 공지 메시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는 이러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동작 21에서,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사전 공지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동작 21의 확인 결과 만약, 검사 대상자 단말(150)에서 기 전송된 사전 공지 메시지 수신이 확인되지 않으면, 사전 공지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의 내용과 재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는 기존 전송 방식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최초 사전 공지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하여, 재전송 메시지임을 표시하고, 일정 기간 내에 재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새롭게 변경된 검사 일정으로 사전 공지 메시지가 재재전송될 수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최초 또는 기존 사전 공지 메시지가 문자 형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인 경우에는, 이후 재차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문자 형식 외에 추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전송 방식(예를 들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나 이메일 등)을 참고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서버(150)는 상기 동작 21의 확인 결과 만약, 검사 대상자 단말(150)에서 기 전송된 사전 공지 메시지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면, 전송된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에 포함된 검사 일정(날짜 및 시간)에 아웃바운드 콜 전송(동작 22-1), 상기 사전 검사 일정과 관계없이 즉, 사전 검사 일정 안내에도 불구하고 확인 즉시 아웃바운드 콜 전송(동작 22-2), 및 새로운 검사 일정 예약을 위한 동작(동작 22-3)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작 22-2와 관련하여, 서버(150)는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검사 대상자 단말(100)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해당 응답이 지금 치매 사전 검사를 진행하고 싶다는 의사 표현으로 해석된 경우, 기 안내된 사전 검사 일정에도 불구하고 즉시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50)는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의 응답 분석 과정에서 STT 기술을 참고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동작 22-3과 관련하여, 서버(150)는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검사 대상자 단말(100)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해당 응답이 안내된 치매 사전 검사일정에 아웃바운드 콜 수신이 어렵거나 다른 일정으로 변경을 원한다는 의사의 표현으로 해석된 경우, 새로운 검사 일정 예약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상기 분석된 응답에 검사 대상자가 원하는 일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기 안내된 검사 일정이 검사 대상자가 원하는 일정으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별도의 공지 메시지가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검사 일정 변경 및 재설정을 위하여,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구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하여 해당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의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 의한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하여, 서버(150)는 해당 아웃바운드 콜이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스팸 처리 방지를 위하여 기 전송된 사전 공지 메시지에 포함된 치매 안심센터와 같은 기관의 번호를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도록 레터링(lettering) 처리를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150)는 검사 대상자 단말(150)의 위치 정보와 이동 여부 정보를 수집 또는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 여부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검사 대상자 단말(150)의 GPS 정보 기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집안과 같은 내부에 있는지 아니면 거리와 같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예정된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지연은 검사 대상자 단말(150)의 위치가 내부로 판단되는 경우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서버(150)는 검사 대상자 단말(150)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중 여부를 판단하여, 검사 대상자가 이동 중이 아닌 경우에 예정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50)는 실시 예에 따라서, 검사 대상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접근 가능한 센서 예를 들어, 모니터의 카메라 센서, 검사 대상자 단말(100)의 카메라 센서나 가속도 센서, CCTV 등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검사 대상자 단말(100)이 비록 이동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실제 검사 대상자가 검사 대상자 단말(100)과 현재 떨어져 있다거나 수신 거부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예정된 아웃바운드 콜의 전송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150)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미리 생성된 학습 모델을 참조하여, 시간대별 아웃바운드 콜 수신 거부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150)는 예정된 아웃바운드 콜이 만약 영상 통화의 형태인 경우에는, 시각적 기능을 활용 가능한바 이를 활용하여 검사 대상자 단말(100)의 아웃바운드 콜 수신 화면 또는 수신 대기 화면에 이름과 같은 수신자 정보, 검사 기관, 검사 진행 프로그램 등에 관한 발신자 정보, 치매 검사 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안내 및 수신 거부 방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개별 아웃바운드 콜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알고리즘은 어느 하나만 적용될 수도 있고, 조합된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바운드 콜 수신 후 수신 거부 및 응답 거부 방지에 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도 4의 사전 공지 메시지를 통하여 1차로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거부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웃바운드 콜을 통한 치매 사전 검사 전송시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수신 거부를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신 거부의 방지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함에 있어서, 전술한 도 3의 동작 12와 같이, 미리 검사 대상자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는데, 상기 구성되는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수신 거부 방지 목적의 제1 메시지와 응답 거부 방지 목적의 제2 메시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메시지는 사전 공지된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해당 아웃바운드 콜의 목적 등 기본 안내 정보 제공 목적 및 수신 거부 방지 목적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음성으로 제공된다. 반면,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종료 이후에 제공되는 음성 정보로서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보상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상 안내 정보(reward guide information)는 보상 수령을 위하여 해당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과 관련된 태스크(task)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 정도에 따른 보상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태스크는, 통화 유지 시간 측정 모듈(미도시)를 통한 상기 전송된 아웃바운드 콜의 통화 유지 시간, 상기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에 대한 응답 여부(예를 들어, '검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 '검사를 더 진행하겠습니까?' 등), 치매 검사 완료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미리 검사 대상자에 관하여 수집한 정보가 저장된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의 정보를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되는 정보는 단지 수집한 정보가 로 데이터(raw data) 형태로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수집 정보를 기초로 치매 검사와 관련하여 생성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처리된 후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관련하여,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어느 하나이거나 그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는 검사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하여 휴먼 음성으로 제공하고, 제2 메시지는 인공지능 음성 또는 휴먼 음성과의 조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공지능 음성 및/또는 휴먼 음성은 검사 대상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바운드 콜에 대한 수신 거부 또는 응답 거부를 하지 않도록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공지능 음성 및/또는 휴먼 음성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검사 대상자의 지인, 뉴스 앵커, 연예인 등 인풀루어서 등의 음성을 참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버(150)는 상기 음성 서비스를 위하여 미리 데이터를 수집하여 훈련 데이터 셋을 구성하고 학습하여 학습 모델을 생성하여,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음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학습을 위한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샘플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신하거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련 샘플링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상기 대상자의 나이, 성별, 주거 지역, 및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맞춤형 음성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연령대, 동일 성별, 및 동일 지역(고향이나 현주거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음성을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 전송 이후에 제공되는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음성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재생 속도 제어는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 내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재생 속도 제어는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 내 우선 제공되는 제1 메시지는 단지 해당 아웃바운드 콜의 목적 등에 관한 간략한 정보를 안내함으로 수신 거부 방지의 목적에 맞게 제1 재생 속도로 제공하나, 제2 메시지는 치매 여부 판단과 관련된 실제 정보 즉, 전술하 바와 같은 단계 치매 검사 질문 등을 포함하므로 제2 재생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음성 재생 속도 제어는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 내 제1 메시지를 통하여 재생 속도를 임의로 조정하면서 검사 대상자에 적합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에 따라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메시지의 경우에도 단계에 따라 재생 속도는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이 영상 통화인 경우에는, 전술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 구성에 이용한 방식과 관련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자의 수신 거부/응답 거부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로 검사 대상자의 지인, 검사 대상자가 선호하는 인풀루언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자의 아웃바운드 콜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해당 아웃바운드 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 전송 후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수신 또는 응답 거부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동작 31에서, 서버(150)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2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1에서 전송된 제1 메시지를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33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2에서 수신 확인 결과 만약 검사 대상자 단말(100)에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응답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동작 33에서 확인 결과 만약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았거나 미리 정의된 응답인 경우에는, 제1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동작 34에서, 서버(150)는 서버(150)는 상기 동작 33에서 확인 결과 만약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었으나 해당 응답이 미리 정의된 응답이 아닌 경우에는, 제1 메시지의 응답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35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4에서 산출한 응답 시간이 임계시간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36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5에서 판단 결과, 만약 산출된 음답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이면, 단계별 제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7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6에서 전송한 개별 단계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응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동작 37에서 판단 결과, 만약 특정 단계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해당 단계 또는 전체 단계의 제2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8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7에서 판단 결과, 만약 해당 단계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응답이 미리 정의된 응답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동작 38에서 판단 결과, 만약 수신된 응답이 미리 정의된 응답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단계 또는 전체 단계의 제2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동작 39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38에서 판단 결과, 만약 수신된 응답이 미리 정의된 응답이 아니면, 해당 단계가 마지막 단계인지 판단하여 안내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상기 동작 39에서 판단 결과 만약 안내 종료가 아니거나 남은 단계가 있으면, 다음 단계의 제2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련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동작 40에서, 서버(150)는 만약 상기 동작 39에서 판단 결과 만약 안내 종료로 판단되면, 제2 메시지의 통화 유지 시간 또는 전체 통화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동작 33과 동작 38에서 미리 정의된 응답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33에서의 미리 정의된 응답(제1 정의 응답)에는, '여보세요?', '뭐라구요?', '잘 안들려요?', '다시 말씀해 주세요?' 등과 같은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동작 38에서 미리 정의된 응답(제2 정의 응답)에는, 상기 제1 정의 응답으로 정의된 음성 메시지뿐만 아니라 '이해를 못 하겠어요?', '예?' 등과 같은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리 정의된 응답이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대로 된 응답으로 볼 수 없어 관련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치매 검사의 대상자는 주로 노인일 가능성이 높은데, 노인들의 경우 전화를 수신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느려서 여보세요와 같은 첫 응답 지연에 따른 제1 메시지의 전달이 누락되어 어디서 온 전화인지 인지가 제대로 안 되어 수신 또는 응답 거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를 위해 검사 대상자의 첫 응답 후(사전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시작, 제1 메시지 전송 중 첫 응답 감지 시, 상기 제1 메시지 재시작 or 리액션(ex. 아 잘 못 들으셨나요?) 음성 제공 후 제1 메시지 재시작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응답 거부 방지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응답 거부 방지 알고리즘은 해당 아웃바운드 콜에 대한 검사 대상자의 응답 등 태스크 수행과 상기 태스크 수행에 따른 보상을 기반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41에서, 서버(150)는 통화 유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출되는 통화 유지 시간의 정의 내지 설정은 치매 여부 판단을 위한 아웃바운드 콜의 전송부터 종료까지의 전체 통화 유지 시간, 상기 전체 통화 유지 시간에서 제2 메시지에 해당하는 부분만의 통화 유지 시간, 상기 전체 통화 유지 시간에서 노이즈(noise)에 해당하는 시간을 제외한 통화 유지 시간 등 중 어느 하나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이즈라 함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잡음뿐만 아니라 해당 아웃바운드 콜의 목적과 관련된 없는 내용, 묵음 등 의미없는 내용을 포함하는 용어로 나타낼 수 있다.
동작 42에서, 서버(150)는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3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42에서 판단 결과, 만약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을 기초로 다른 보상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보상 조건이라 함은 전술한 통화 유지 시간 태스크 외에 다른 태스크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44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43의 판단 결과 비록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미만이나 다른 보상 조건이 만족하면, 만족한 해당 보상 조건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보상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45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42에서 판단 결과, 만약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2 임계 시간 이상인지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6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45에서 판단 결과, 만약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이상이나 제2 임계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보상을 지급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동작 47에서, 서버(150)는 상기 동작 45에서 판단 결과, 만약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2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제2 보상을 지급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 보상은 적어도 제1 보상에 비하여 상대적인 경제적 가치가 더 높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작 48에서, 서버(150)는 동작 44, 동작 46 또는 동작 47에서 결정된 보상의 내용에 관한 가이드 정보(수령 일정, 수령 방법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50)는 상기 동작 41에서 통화 유지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에,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주기/비주기로 제공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면,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통화 유지 시간이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였으며 대응 보상 내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후, 서버(150)는 산출된 통화 유지 시간이 제2 임계 시간에 도달하면,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 통화 유지 시간이 제2 임계 시간에 도달하였으며 대응 보상 내용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비록 제1 및 제2 임계 시간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서버(150)는 검사 대상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 치매 검사 질의가 완전히 종료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검사 대상자가 더 이상 응답을 거부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응답의 정확도 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에는, 현재 산출된 응답 유지 시간과 대응 보상 내용뿐만 아니라 추가 응답에 따른 보상 내용에 대한 가이드 정보(예를 들면, 몇 초만 더 응답하면, 아니면 다음 단계의 치매 검사 질의까지 응답하면 추가 보상이 있음 등)를 제공하여 응답 거부를 방지하거나 추가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통화 유지 시간은 제2 메시지 내 단계별 치매 검사 질의의 각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임계 시간은 제1 단계의 검사 질의 종료, 제2 임계 시간은 제2 단계의 검사 질의 종료 등으로 변경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동작 순서는 해당 도면에서 도시된 순서와 다르게 처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동작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단말
150 : 어플리케이션 서버
210 : 메모리
220 : 프로세서

Claims (10)

  1. 전자 장치에서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는 상기 전송된 아웃바운드 콜의 통화 유지 시간, 상기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에 대한 응답 여부, 및 치매 검사 완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된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대상자와 연관된 사람의 단말을 통해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을 통한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 셋으로서 상기 대상자와 연관된 사람의 음성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에 참조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상기 대상자의 나이, 성별, 주거 지역, 및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맞춤형 음성 타입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음성 재생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되, 상기 제1 메시지를 통하여 재생 속도를 임의로 조정하면서 대상자에 적합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서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응답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대상자의 첫 음성 응답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대상자의 첫 응답 시간이 임계치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응답 데이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메시지를 처음부터 재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서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는,
    스팸 처리 방지를 위하여 상기 사전 공지 메시지에 포함된 치매 안심센터 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도록 레터링 처리, 상기 대상자 단말이 위치 정보와 이동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 여부 결정, 및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한 시간대별 수신 거부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 여부 결정에 관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수신 거부 방지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자 장치에서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8. 삭제
  9.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태스크에는 상기 전송된 아웃바운드 콜의 통화 유지 시간, 상기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에 대한 응답 여부, 및 치매 검사 완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대상자와 연관된 사람의 단말을 통해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을 통한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 셋으로서 상기 대상자와 연관된 사람의 음성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에 참조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상기 대상자의 나이, 성별, 주거 지역, 및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맞춤형 음성 타입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음성 재생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되, 상기 제1 메시지의 재생 속도를 임의로 조정하면서 대상자에 적합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10.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치매 검사에 관한 사전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수신 거부 방지를 위한 제1 메시지와 상기 대상자의 응답 거부 방지를 위한 제2 메시지가 포함된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아웃바운드 콜을 전송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에 따른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 대한 대상자의 음성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 응답을 분석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 전송을 종료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맞춤형으로 작성된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바운드 콜의 수신 및 응답에 따른 보상 안내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보상 안내 정보는 보상을 위한 태스크와 상기 태스크에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태스크에는 상기 전송된 아웃바운드 콜의 통화 유지 시간, 상기 단계별 치매 검사 질문에 대한 응답 여부, 및 치매 검사 완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대상자와 연관된 사람의 단말을 통해 상기 인공지능 기반 생성된 학습 모델을 통한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 셋으로서 상기 대상자와 연관된 사람의 음성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인공지능 음성과 휴먼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에 참조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는 상기 대상자의 나이, 성별, 주거 지역, 및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맞춤형 음성 타입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상자 맞춤형 안내 메시지의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음성 재생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되, 상기 제1 메시지의 재생 속도를 임의로 조정하면서 대상자에 적합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제2 메시지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시스템.
KR1020210174415A 2021-12-08 2021-12-08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7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415A KR102379615B1 (ko) 2021-12-08 2021-12-08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415A KR102379615B1 (ko) 2021-12-08 2021-12-08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615B1 true KR102379615B1 (ko) 2022-03-31

Family

ID=8093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415A KR102379615B1 (ko) 2021-12-08 2021-12-08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6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099A (ko) * 2003-07-18 2005-01-27 강호석 아웃바운드 콜센터를 위한 통화 추천 시스템
KR20110026341A (ko) * 2009-09-07 2011-03-15 송정근 사례금 지급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설문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3458A (ko) * 2012-08-13 2014-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 유창성 기반 치매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81929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03893B1 (ko) * 2020-06-30 2021-01-15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의 오토콜을 통한 고객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6649B1 (ko) * 2019-10-29 2021-02-17 주식회사 솔트룩스파트너스 아웃바운드 콜 시스템 및 아웃바운드 콜 방법
KR20210054191A (ko) 2019-11-05 2021-05-13 이권영 치매관리 자동화 방법, 치매관리 자동화 장치 및 치매관리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099A (ko) * 2003-07-18 2005-01-27 강호석 아웃바운드 콜센터를 위한 통화 추천 시스템
KR20110026341A (ko) * 2009-09-07 2011-03-15 송정근 사례금 지급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설문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3458A (ko) * 2012-08-13 2014-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 유창성 기반 치매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81929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16649B1 (ko) * 2019-10-29 2021-02-17 주식회사 솔트룩스파트너스 아웃바운드 콜 시스템 및 아웃바운드 콜 방법
KR20210054191A (ko) 2019-11-05 2021-05-13 이권영 치매관리 자동화 방법, 치매관리 자동화 장치 및 치매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2203893B1 (ko) * 2020-06-30 2021-01-15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의 오토콜을 통한 고객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ghes et al. Social connectedness and perceived listening effort in adult cochlear implant users: A grounded theory to establish content validity for a new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
Ratanjee-Vanmali et al. Patient uptak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using web-based and face-to-face hearing health services: process evaluation study
Holube et al.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in hearing research: Current stat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US8184779B2 (en) Outbound dialogue system and dialogue operation method
Meyer et al. Investigation of the actions taken by adults who failed a telephone-based hearing screen
Sindahl et al. Texting for help: Processes and impact of text counseling with children and youth with suicide ideation
EP3179913A1 (en) System for defining and executing audiometric tests
KR10232766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멘탈 케어 시스템
KR20190086868A (ko)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US20220076694A1 (en) Cognitive impairment detected through audio recordings
US20170293730A1 (en) Remote controlled medical assistance device
Dietz et al. Characteristics and international comparability of the Finnish matrix sentence test in cochlear implant recipients
CN113636421A (zh) 用于发送信息的方法和装置
Parmar et al. Experienced hearing aid users’ perspectives of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within audiology: a qualitative study using digital methods
Grote et al. How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who are D/deaf or have hearing loss
US20240153528A1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20020053256A (ko) 지능형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의 사용자의 일정에 따른동작 방법
KR102379615B1 (ko) 인공지능 기반 대상자의 치매 검사를 위한 아웃바운드 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70351820A1 (en) Scheduling interaction with a subject
Jenstad et al.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a field evaluation of subjective ratings of speech in noise
US10958788B1 (en) Third-party outdial process for establishing a language interpretation session
Schönborn et al. Characteristics and help-seeking behavior of people failing a smart device self-test for hearing
KR102406561B1 (ko) 완공률이 향상된 인공지능 콜 기반의 치매 검사 방법 및 서버
US9749386B1 (en) Behavior-driven service quality manager
van Wieringen et al. Home-Based speech perception monitoring for clinical use with cochlear implant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