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868A -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868A
KR20190086868A KR1020180004938A KR20180004938A KR20190086868A KR 20190086868 A KR20190086868 A KR 20190086868A KR 1020180004938 A KR1020180004938 A KR 1020180004938A KR 20180004938 A KR20180004938 A KR 20180004938A KR 20190086868 A KR20190086868 A KR 20190086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raining
auditory
unit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221B1 (ko
Inventor
한우재
김세아
곽찬범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2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훈련 결과 정보 및 청각 재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훈련용 문제를 실행하는 재활 콘텐츠 실행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시각적 요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오디오모듈 및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AUDITORY FUNCTION}
본 발명은 난청인의 청각 기능을 훈련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난청인의 청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사운드를 제공하되 점차 난이도를 변경하여 사용자 개인에 알맞은 훈련 단계에서 재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신속한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빠르게 급증하고 있으며, 노인의 3대 만성질환 중 하나인 노인성난청이 청각장애 등록 장애인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청각장애의 등록인구는 더 증가할 것으로 청각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최근, 정부 보조금 지원 등의 이유로 보청기의 구입 비율은 높아지고 있으나, 보청기 적합 후 사후관리 프로그램인 청각 재활 서비스는 아직 효율적이고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는 난청 노인들의 보청기 착용의 부적응 혹은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 난청 노인들의 청각재활이 어려운 이유로는 장기간의 청각재활 비용의 경제적 부담, 거동의 불편으로 인한 재활센터 접근의 어려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난청 노인들에게는 재활센터로부터 원거리에 거주하더라도 적은 비용으로 장기적인 재활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원격 청각 재활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노인성 난청의 경우, 일반적 난청과 비교하면, 1차적으로 말초청각기관의 손실로 고주파수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하고, 2차적으로는 중추청각기관의 손실로 주변의 배경소음 혹은 반향음이 있는 공간에서 상대방의 말소리를 이해하기가 어려우며, 시간처리 기능의 저하로 상대방이 빠르게 이야기할 때 말소리를 이해하기 힘든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기억 등의 인지 기능의 노화로 인해 긴 문장을 이해하거나 다화자의 대화 흐름을 원활하게 따라가기가 어렵다. 따라서, 앞서 열거한 노인성 난청의 특징들을 고려한 재활콘텐츠의 개발 또한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05-0012890호(청각 훈련용 음처리 방법 및 청각 훈련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간편한 방법으로 난청 여부를 판단하며, 난청인들의 청각 기능 재활 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재활센터로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의 고령 난청인들이 직접 재활 센터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적은 비용으로 장기적인 청각재활 서비스를 제공받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청인 개개인의 특징을 분석하여 개인화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과, 정기적으로 난청인의 청각 능력 상태에 대응하여 보청기의 설정값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훈련 결과 정보 및 청각 재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훈련용 문제를 실행하는 재활 콘텐츠 실행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시각적 요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오디오모듈 및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 방법은 청각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 개인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자가 진단용 질문 및 청각 기능 검사용 질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자가 진단용 질문 및 청각 기능 검사용 질문에 대한 응답을 토대로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난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재활 훈련용 문제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답변 점수 및 오답 유형에 기반하여 추가 제공할 문제의 난이도 및 문제 유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검사용 질문 및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난청 자가진단, 청각 재활 및 보청기 조절을 위한 결과 분석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지속적으로 재활센터의 방문이 없더라도 난청인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청각 재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환자의 청각 능력에 따라 훈련 강도 및 종류를 다르게 적용하므로 개인 맞춤형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청각 재활 결과에 기반하여 청력보조기의 설정값을 정밀하게 재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기능 훈련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기능 훈련 장치에서의 사용자 개인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재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 및 훈련 결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재활 기관 및 보청기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콘텐츠 생성 동작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 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난청 여부 테스트 콘텐츠 및 청각 재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청각 기능 훈련 장치는 자체적으로 혹은 상기 설치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되거나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재활 훈련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청각 기능 훈련 장치의 일례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청각 기능 훈련 장치는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청각 기능 훈련 장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환경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객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중계 서버, 중개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일예로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각 기능 훈련 장치와 상기 서버의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청각 기능 훈련 장치 서버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 장치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 모듈 150, 제어부 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20는 결과 관련 정보 121, 청각 재활 콘텐츠 122, 재활이력정보 123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60는 훈련 단계 설정부 161,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 결과 분석부 163, 신규콘텐츠 생성부 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서버는 예컨대, 난청 재활 클리닉 측 서버 또는 청각기능훈련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타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 110는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및 보청기 등의 주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 검색 서버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업데이트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청각기능 테스트 및 재활훈련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점수, 그래프, 통계 등의 결과 관련 정보 121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과 관련 정보 121는 아이디별, 문제 유형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청각재활 콘텐츠 122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 122는 청각 재활을 위한 다양한 유형(주관식, 객관식 등)의 테스트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 122는 동일한 사운드와 상이한 사운드를 섞은 항목들을 제시하고 그 중 상이한 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테스트 또는 훈련시키는 방식의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 122는 음절, 단어 뿐 아니라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 122는 TTS(Text to sound)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 12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 형태로 변환시키는 것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활 이력 정보 123는 날짜별, 월별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재활 이력 정보 123는 또한 사용자의 재활 훈련을 수행한 시간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재활 이력 정보 123는 사용자가 꾸준히 본인이 작정한 재활훈련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재활 훈련 일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사용자의 동의 하에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측에 전송될 수 있으며, 서버는 수집된 정보들을 담당 전문가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난청인과 재활 전문가는 각각 자신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상에서 대화 및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130는 키 입력부, 터치 패널,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 160에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130는 사용자가 재활 훈련을 위한 주관식 문제 및 객관식 문제에 대한 응답을 입력할 경우 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 130는 사용자의 정보 및 보청기 설정 정보 등의 입력 및 변경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4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 14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40는 상기 터치 패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140는 청각 훈련을 위한 테스트 문제 및 훈련용 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40는 상기 테스트 및 청각 훈련을 수행한 결과 및 결과 추이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5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50은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디오 모듈 150은 청각 기능 훈련 장치 100에서 제공되는 사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디오 모듈 150은 스피커를 통해 청각재활 콘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16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저장부 120에 저장되어 제어부 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0는 훈련 단계 설정부 161,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 결과 분석부 163,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 161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난이도 설정에 대응하여 훈련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 161는 재활 훈련을 위해 재활 훈련용 문제를 풀고 난 후 해당 결과에 대응하여 난이도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 161는 사용자가 재활 훈련용 문제를 푼 결과,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 난도가 높은 문제가 제공되는 훈련 단계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 161는 사용자가 재활 훈련용 문제를 푼 결과,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 난도가 낮은 훈련 단계로 변경하거나 난도 변경을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저장부에 저장된 청각 재활 콘텐츠 122에 기반하여 재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청각 능력 검사부 1621, 어음 훈련부 1622, 문장 훈련부 16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초기 문제 출제 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옵션을 설정하여 출제할 문제의 수준에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사용자의 연령대 및 관심사 등에 대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의 단어나 문장을 포함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제공되는 사운드의 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하되, 사용자 개인정보로부터 확인된 연령대에 대응하여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운드의 속도를 늦추도록 설정 변경할 수 있다.
결과 분석부 163는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에서 실행한 청각 능력 검사 또는 훈련용 문제 제공에 대응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점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과 분석부 163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입력한 오답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과 분석부 163는 사용자가 빈번한 확률로 틀리는 유형의 자모음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 분석부 163는 사용자가 빈번한 확률로 틀리는 음절 관계(예컨대, '이-의'의 혼동, '아-어'의 혼동 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새로운 훈련용 문제 및 청각 능력 검사용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에서 훈련 단계를 재설정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답 확률을 보이는 자모음으로 구성된 음절을 포함하는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ㅅ'과 'ㄱ'의 오답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음이 포함된 단어(예, 사과, 승강장, 수건 등)를 추출하여 문제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상기 결과 분석부 163에서 산출한 사용자의 오답 유형, 자주 사용하는 단어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상기 결과 분석부 163에서 산출한 사용자의 오답 내용, 검색창 입력 단어, 문자 메시지 입력 단어 등을 토대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사용자의 관심사를 판단하고 관심사에 기반하여 새로운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관심사는 사용자의 통화 내용, 메시지 내용, 검색어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빈번하게 입력하는 검색어가 '레시피', '반찬', '나물 반찬 종류'와 같은 요리 분야의 단어들이라면,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사용자의 관심사를 '요리'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요리와 관련된 주제, 단어 등을 기반으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가 분류하는 관심사의 종류는 '요리', '스포츠', '정치', '영화', '여행', '상식', '드라마', '책'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사용자의 관심사가 '드라마'나 '책'일 경우, 일부 장면의 대사, 또는 일부 페이지의 책 내용의 문장을 기반으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사용자 관심사에 기반하여 문제를 생성하여, 보다 실생활에서 들을 법한 문장의 청취 능력을 향상시키고, 재활에 임하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청각 능력 검사부 1621, 어음 훈련부 1622, 문장 훈련부 16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청각 능력 검사부 1621는 재활 훈련에 돌입하기 전에,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청각 능력 검사부 1621는 노인성 난청 여부의 판단에 이용될 사용자의 연령, 성별 등의 개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 능력 검사부 1621는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설문조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 설문조사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 능력 검사부 1621는 사용자의 보청기 착용 여부, 보청기 설정값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청각 능력 검사부 1621는 또한 난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간단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청각 능력 검사부 1621는 난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 설문조사 등의 결과를 결과 분석부 163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과 분석부 163는 상기 청각 능력 검사부 1621에서 실시한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어음 훈련부 1622와 문장 훈련부 1623는 난청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가 청각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해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어음 훈련부 1622는 음절단위의 소리 및 어절단위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음 훈련부 1622는 음절 및 어절 단위의 소리를 구분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문장 훈련부 1623는 문장 단위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장 훈련부 1623는 사용자로 하여금 소리 성분 파악 능력 뿐 아니라 문장 전체의 의미 유추 능력이 향상되도록 훈련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더욱 다양한 방식(드라마 화면 및 소리로 문제 제공, 언어별 문제 제공(영어, 일본어 등), 속담 및 관용어구로의 문제제공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일치/불일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다수개의 항목을 제시하고 제시된 항목들의 소리가 일치하는지 또는 불일치하는지 여부를 묻는 방식의 문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3개 이상의 보기 항목 중 불일치하는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사용자에게 특정 단어 또는 문장 등의 소리를 문제로 제공하고 이에 대하여 받아쓰도록 요청하는 방식의 주관식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타이핑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노인의 경우 문자 타이핑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2는 들은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해보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 때 마이크가 수신하는 사용자의 음성은 텍스트로 변환되어 문제로 제공된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답처리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기능 훈련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훈련 장치의 제어부 16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301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청각 기능의 재활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 1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가 진단 질문을 제공하는 3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 질문은 예컨대 '수돗물 소리를 듣는데 어려움이 있습니까?'와 같이 텍스트로 제공되며, 사용자 개인의 판단에 의한 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청각 기능에 대한 검사(난청 여부 검사)를 실행하는 31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11동작은 문장이나 단어 형태의 소리 뿐 아니라 임의의 가청 사운드를 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311동작을 통해 제어부 160는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상기 311동작이 수행될 당시 사용자는 제공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여 본인에게 적당한 수준을 맞출 수 있다. 상기 305동작과 311동작은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으로 서로 그 순서가 변경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 160는 305동작과 311동작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3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315에서 추출된 개인별 검사 결과에 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재활 문제를 실행하는 32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321동작에서 초기에 실행되는 재활 문제의 난이도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사용자의 난이도 선택), 사용자의 개인 정보(연령, 성별 등), 자가진단 테스트 및 청각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상기 재활 문제에 대한 결과 및 결과 추이를 제공하는 3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기능 훈련 장치에서의 사용자 개인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311동작 내지 321동작까지의 과정을 세분화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 160는 청각 검사를 실행하는 40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검사 결과 기 설정 기준 이상의 점수가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4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의 청각 능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 160가 획득한 사용자의 테스트 점수가 기 설정 기준 이상인 경우, 청각 능력이 정상임을 판정하는 415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테스트 점수가 기 설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 160는 해당 사용자를 난청으로 판정하는 41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에게 난청 판정에 대한 정보를 화면으로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재활 치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청각 검사를 실행하는 401동작에서부터 난청여부를 판단하는 411, 415동작은 동일 사용자에 한하여 차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로부터 재활 치료에 대한 요청 이벤트를 확인하고 재활 치료를 위한 문제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로부터 재활 치료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로부터 재활 치료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재활 훈련용 문제를 제공하는 4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활 훈련용 문제는 초기에 제공될 시, 사용자의 청각 검사 테스트 결과, 자가진단 테스트 결과 및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연령)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된 난이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점수 및 오답 유형에 기반하여 난이도의 조절, 문제 유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사용자 맞춤형 재활 문제를 제공하는 43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또는 사용자의 이전 점수들의 평균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높은 점수를 취득하면), 난도를 높여 보다 어려운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수치 미만이면 난도를 낮춰 보다 쉬운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0는 상기 431동작 이후 재활 과정의 종료 요청을 확인하는 4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재활 과정의 종료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 160는 해당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 160는 재활 과정의 종료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계속하여 사용자의 훈련용 문제에 대한 점수 및 오답 유형에 기반하여 훈련 단계 및 문제 난이도를 변경한 새로운 훈련용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각 기능 재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의 510은 청각기능 재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5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능력 검사를 위한 자가 진단 테스트용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답변 보기 중 자신에게 해당하는 답변을 선택하여 제출할 수 있다.
5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의 540은 사용자의 청각 능력에 맞춰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540화면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기능 훈련 장치는 재활 훈련에 돌입하기 전 사용자가 청각 수준에 맞는 볼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550은 사용자로 하여금 훈련용 문제의 유형을 선택하도록 문제 유형을 종류별로 제시한 화면이다. 사용자는 55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제시된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 중 자신이 원하는 유형의 문제를 선택하여 재활 훈련에 돌입할 수 있다.
560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재활 훈련용 문제의 난이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560에서 제시되는 것과 같은 화면에서 본인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c의 570은 객관식 유형의 훈련용 문제가 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570에서는 3가지의 사운드 항목이 제공되고 있으며 현재 첫 번째 사운드 항목이 재생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570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유형은 3가지 항목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체크 표시를 선택하고 3가지 사운드 항목이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X'표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객관식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난도를 높일 경우 상기 사운드 항목은 증가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사운드가 제시될 경우 어떤 항목이 다른 종류의 사운드인지를 질문하는 방식이 추가될 수 있다.
580은 주관식 유형의 문제가 실행되는 동작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580에서 제시되는 화면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운드를 확인한 후 이를 텍스트로 받아 적는 동작을 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내용 입력칸에 사용자가 들은 내용을 입력하면 제어부 160는 수신된 답변 텍스트가 음성으로 들려준 내용과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답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590은 사용자의 검사 및 훈련 결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 제공 화면이다. 590과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사용자는 청력 검사 결과, 재활 훈련 결과, 오류 패턴 결과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청력 검사 결과는 예컨대, 난청 여부, 청각 기능의 상태 등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자료이고, 재활 훈련 결과는 사용자의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점수 및 점수의 변동 그래프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오류 패턴 결과는 빈번하게 틀리는 음절 관계, 오답 단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 및 훈련 결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먼저 6a는 청력 검사 결과에 대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의 610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검사 외에 오프라인 재활 클리닉에서의 검사한 자료를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620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한 결과 및 결과 추이에 대한 자료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검사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620화면에 도시되는 그래프 상의 자료 수가 증가될 수 있다.
도 6b의 630은 재활 훈련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재활 훈련 결과에 표시되는 정보는 예컨대, 훈련 기간, 문제 유형, 점수, 문제 유형별 성적 변화 추이 등이 될 수 있다.
640과 650은 오류패턴 분석에 관한 자료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화면이다. 먼저 640은 사용자가 열람하고자 하는 문제 유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열람하기 원하는 문제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650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문제 유형에 대응하는 오류 패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예컨대, 오류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틀리는 자모음에 대한 정보를 65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재활 기관 및 보청기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7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재활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재활 관련 정보에는 '기관 정보'와 '보청기 정보' 항목이 포함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720은 사용자가 다니고 있는 재활 기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720에 입력되는 재활 기관에 대한 정보는 추후 사용자의 재활 기록 및 문의 사항 등에 대하여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그에 대한 재활 기관 측의 피드백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73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보청기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730에 도시되는 화면상에서는, 보청기 착용 유무, 보청기 착용 시, 보청기의 제조사 및 모델명을 입력받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730에는 보청기의 설정 값을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예, 보청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정보, 보청기 현재 설정값 정보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콘텐츠 생성 동작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매칭부 8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칭부 800는 저장부 120에 저장된 정보들(결과 관련 정보 121 및 사용자 관심사 정보 등)을 자체 매칭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매칭부 800는 단계별 매칭(예컨대, 1단계 매칭 및 2단계 매칭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1단계 매칭은 2단계 매칭에 비해 보다 난도가 상향된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또는 상기 1단계 매칭은 재활 훈련 초기(예, 훈련 10일 이내의 사용자)의 사용자를 위한 문제 생성 동작이고, 상기 2단계 매칭은 재활 훈련 중기(예, 훈련 10일 이후의 사용자)의 사용자를 위한 문제 생성 동작일 수 있다.
상기 1단계 매칭 동작은 사용자의 관심사 영역들 중 가장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제 1순위 관심사 항목과 오답 유형들 중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틀린 제 1순위 오답 유형을 매칭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 1순위 관심사 항목이 '요리'이고 사용자의 제 1순위 오답 유형이 'ㄱ, ㄴ'인 경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매칭부 800가 수행하는 1단계 매칭에 따라, 요리와 관련된 단어들 중 'ㄱ','ㄴ'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예, 가늠, 군내 등) 또는 'ㄱ'과 '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어(예, 가위, 국자, 농약 등)를 문제로 생성할 수 있다.
제 1단계 매칭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문제는 사용자가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단어 위주로 훈련을 시키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실제 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제 2단계 매칭 동작은 제 1단계 매칭 동작에 비해 보다 업그레이드된 방식의 문제 생성일 수 있으며, 제 2단계 매칭 동작은 사용자의 관심사 항목들 중 후순위(예, 10순위) 항목과 오답 유형들 중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틀린 유형인 제 1순위 오답 유형을 매칭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 10순위 관심사 항목이 '기계'이고 사용자의 제 1순위 오답 유형이 'ㄱ,ㄴ'인 경우,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는 기계와 관련된 단어들 중 'ㄱ, ㄴ'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예, 기능, 격납, 가늠쇠, 가능성, 내구성 등) 또는 'ㄱ'과 '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어(예, 기동성, 궤도, 나사 등)를 문제로 생성할 수 있다.
제 2단계 매칭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문제는 사용자가 관심이 없는 분야의 용어를 문제로 출제함에 따라, 사용자가 청각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유추능력만으로 정답을 맞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 2단계 매칭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문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잘 모르는 단어라 하더라도 청각 능력에 의지해 해당 단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을 하게 한다.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에서 문제 생성시 활용하는 사용자의 관심사 항목 정보(관심사의 순위 정보 포함)와 오답 유형 정보(오답 유형의 순위 정보 포함)는 저장부 120로부터 불러들인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심사 항목 정보와 오답 유형 정보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결과 분석부 163의 결과 분석 동작에 의해 산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신규 콘텐츠 생성부 164에서 활용하는 저장부 120에 기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운영자에 의해 초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청각 기능 훈련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오디오 모듈
160 : 제어부
161 : 훈련 단계 설정부
162 : 재활 콘텐츠 실행부
163 : 결과 분석부
164 : 신규 콘텐츠 생성부

Claims (10)

  1. 청각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훈련 결과 정보 및 청각 재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훈련용 문제를 실행하는 재활 콘텐츠 실행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시각적 요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오디오모듈; 및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를 문제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실행하되,
    청각 능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문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청각 능력 검사부;
    적어도 하나의 음절을 포함하는 음절 또는 어절의 소리를 제시하고, 제시된 소리들의 일치 여부 또는 상기 소리들 중 불일치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형의 문제를 실행하는 어음 훈련부; 및
    문장으로 된 소리를 제시하고, 해당 문장을 입력하도록 하는 유형의 문제를 실행하는 문장 훈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토대로 사용자의 점수 및 오답 유형을 산출하되, 사용자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답 확률을 보이는 자모음을 산출하는 결과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 및
    신규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는
    상기 결과 분석부에서 산출한 사용자 점수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사용자 점수 및 오답 유형에 기반하여 실행할 문제의 난도 및 유형을 변경하여 훈련 단계를 재설정하고,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훈련 단계 설정부에서 훈련 단계를 재설정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답 확률을 보이는 자모음으로 구성된 음절을 포함하는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는
    테스트 결과에 따라 훈련 단계의 난도가 상향 변경되면, 문제로 제시되는 보기 항목을 추가하되, 추가되는 보기 항목은 오답 이력에 존재하는 음절 관계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오답으로 입력하는 단어, 사용자가 검색창에 입력하는 단어 및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에 자주 입력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집합을 관리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훈련 단계의 난도가 상향 변경되면, 문제로 제시되는 보기 항목을 추가하되, 추가 되는 보기 항목은 상기 단어 집합에 존재하는 단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콘텐츠 생성부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통화 음성 중 자주 사용되는 단어 및 문장을 추출하며, 상기 단어 및 문장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판단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기반한 문장 및 단어를 포함하는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8. 청각 기능 훈련 방법에 있어서,
    청각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 개인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자가 진단용 질문 및 청각 기능 검사용 질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자가 진단용 질문 및 청각 기능 검사용 질문에 대한 응답을 토대로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난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재활 훈련용 문제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답변 점수 및 오답 유형에 기반하여 추가 제공할 문제의 난이도 및 문제 유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검사용 질문 및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방법.
  9. 청각 기능 훈련 방법에 있어서,
    청각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 개인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자가 진단용 질문 및 청각 기능 검사용 질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 자가 진단용 질문 및 청각 기능 검사용 질문에 대한 응답을 토대로 사용자의 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난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재활 훈련용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점수 및 오답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답변 점수에 기반하여 출제할 문제의 난이도를 조정하되, 답변 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난도를 상향 조정하고, 객관식 문제의 경우 보기 항목의 개수를 증가시키며, 증가되는 보기 항목에 포함되는 단어는 사용자가 제시한 오답 단어, 검색창 입력 단어, 문자 메시지 입력 단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추출되는 단계;
    조정된 난이도로 재활 훈련용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검사용 질문 및 재활 훈련용 문제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방법.
  10. 청각 기능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훈련 결과 정보 및 청각 재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청각 기능 훈련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에 기반한 청각 기능 훈련용 문제를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시각적 요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오디오모듈; 및
    상기 청각 재활 콘텐츠의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답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청각 기능 훈련 장치; 및
    상기 청각 기능 훈련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업데이트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동의하에 사용자의 결과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담당 전문가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기능 훈련 시스템.
KR1020180004938A 2018-01-15 2018-01-15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KR10202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38A KR102024221B1 (ko) 2018-01-15 2018-01-15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38A KR102024221B1 (ko) 2018-01-15 2018-01-15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68A true KR20190086868A (ko) 2019-07-24
KR102024221B1 KR102024221B1 (ko) 2019-09-23

Family

ID=6748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38A KR102024221B1 (ko) 2018-01-15 2018-01-15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2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1167A (zh) * 2019-11-29 2020-02-28 杭州南粟科技有限公司 听觉康复训练系统
KR20210110550A (ko) * 2019-08-13 2021-09-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난청환자를 위한 청능 훈련시스템
KR20210147277A (ko) * 2020-05-28 2021-12-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음성 분석 기반의 이명 상담 치료 시스템
KR102377414B1 (ko) * 2020-09-16 2022-03-2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 청각 재활 시스템
WO2022092663A1 (ko) * 2020-10-29 2022-05-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방향성 분별능 훈련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4716A (ko) * 2020-11-12 2022-05-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래 부르기를 기반으로 청능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15409A (ko) * 2021-02-10 2022-08-17 임정택 청각장애인 음성언어훈련 시스템
KR20220165455A (ko) * 2021-06-08 2022-12-15 (주)디지털팜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개선을 위한 단계별 훈련 및 검사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84982A (ko) * 2021-12-06 2023-06-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70222B1 (ko) * 2022-08-12 2023-08-25 올리브유니온(주) 청능 수준 평가 및 청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209598A1 (en) * 2022-04-27 2023-11-02 Cochlear Limited Dynamic list-based speech tes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578A (ko) * 2010-06-17 2011-12-23 (주)퍼펙트에듀케이션 언어 영역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6297A (ko) * 2015-04-23 2016-11-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8578A (ko) * 2015-04-29 2016-11-08 (주)코어테크놀로지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578A (ko) * 2010-06-17 2011-12-23 (주)퍼펙트에듀케이션 언어 영역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6297A (ko) * 2015-04-23 2016-11-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8578A (ko) * 2015-04-29 2016-11-08 (주)코어테크놀로지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550A (ko) * 2019-08-13 2021-09-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난청환자를 위한 청능 훈련시스템
CN110841167A (zh) * 2019-11-29 2020-02-28 杭州南粟科技有限公司 听觉康复训练系统
CN110841167B (zh) * 2019-11-29 2022-02-08 杭州南粟科技有限公司 听觉康复训练系统
KR20210147277A (ko) * 2020-05-28 2021-12-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음성 분석 기반의 이명 상담 치료 시스템
KR102377414B1 (ko) * 2020-09-16 2022-03-2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 청각 재활 시스템
WO2022092663A1 (ko) * 2020-10-29 2022-05-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방향성 분별능 훈련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7212A (ko) * 2020-10-29 2022-05-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방향성 분별능 훈련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4716A (ko) * 2020-11-12 2022-05-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래 부르기를 기반으로 청능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15409A (ko) * 2021-02-10 2022-08-17 임정택 청각장애인 음성언어훈련 시스템
KR20220165455A (ko) * 2021-06-08 2022-12-15 (주)디지털팜 인지 기능 및 청각 기능 개선을 위한 단계별 훈련 및 검사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07535A (ko) * 2021-06-08 2023-07-17 (주)디지털팜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가창 훈련 및 악기변별 훈련을이용한 청각 기능 개선 장치
KR20230107536A (ko) * 2021-06-08 2023-07-17 (주)디지털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이용한 청각 기능 개선 장치
KR20230110690A (ko) * 2021-06-08 2023-07-25 (주)디지털팜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청각기능 개선 장치
KR20230084982A (ko) * 2021-12-06 2023-06-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106802A1 (ko) * 2021-12-06 2023-06-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209598A1 (en) * 2022-04-27 2023-11-02 Cochlear Limited Dynamic list-based speech testing
KR102570222B1 (ko) * 2022-08-12 2023-08-25 올리브유니온(주) 청능 수준 평가 및 청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4034723A1 (ko) * 2022-08-12 2024-02-15 올리브유니온(주) 청능 수준 평가 및 청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221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221B1 (ko)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US20210338113A1 (en) Detecting medical status and cognitive impairment utilizing ambient data
US10130287B2 (en) Hearing test system
WO2020172612A1 (en) Systems & methods for automated emergency response
Keidser et al. Self-fitting hearing aids: Status quo and future predictions
CN108431764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电子设备操作的方法
KR101984991B1 (ko) 사용자 특성 기반의 청능 훈련 장치
WO2017070496A1 (en) Automatic test personalization
CN110199350A (zh) 用于感测语音结束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US10338939B2 (en) Sensor-enabled feedback on social interactions
WO2017085714A2 (en) Virtual assistant for generating personal suggestions to a user based on intonation analysis of the user
US20210022603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computer assisted eye examinations
KR10239071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4913A (ko) 복수의 마이크들을 이용한 잡음 제거 전자 장치 및 잡음 제거 방법
KR20180081922A (ko) 전자 장치의 입력 음성에 대한 응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53580B1 (ko) 사용자 청취 능력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설정하는 청능 훈련 장치
Willberg et a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Finnish digit triplet test
KR102142033B1 (ko) 수화 통역 검증 시스템
CN110012359B (zh) 答案提示方法及装置
van Wieringen et al. Home-Based speech perception monitoring for clinical use with cochlear implant users
Thoidis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ablet-based diagnostic audiometer
Veispak et al. Speech audiometry in Estonia: Estonian words in noise (EWIN) test
CN113632179A (zh) 健康分析服务提供装置及方法
Shehieb et al. Intelligent Hearing System using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Impaired Patients
KR20190023025A (ko) 정신 질환 고위험군 조기 개입 및 자가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