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297A -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6297A KR20160126297A KR1020150057203A KR20150057203A KR20160126297A KR 20160126297 A KR20160126297 A KR 20160126297A KR 1020150057203 A KR1020150057203 A KR 1020150057203A KR 20150057203 A KR20150057203 A KR 20150057203A KR 20160126297 A KR20160126297 A KR 20160126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ining
- unit
- hearing
- mobile
- bil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능 훈련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제어 유닛에 의해 난청인의 어음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음 변별 훈련 기능 및 어음 확인 훈련 기능을 구비한 훈련 유닛을 동작시키고, 훈련 유닛의 동작에 따른 훈련 데이터를 모바일 저장 유닛에 저장하고, 그리고 모바일 저장 유닛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어하며, 검사 분석 디바이스는 분석 검사 유닛에 의해 난청인의 청력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유닛에서 얻은 검사 데이터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훈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청능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규 보청기 또는 인공와우 착용자들에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청능 훈련을 제공함으로 난청인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청인들을 위한 청능 재활(aural rehabilitation)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손상된 청각 기관을 통하여 왜곡된 말소리에 대한 인식을 보상해주고, 청각 장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성공적인 청능 재활을 위하여, 먼저 청력 손실의 정도, 유형, 형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청력보장구(보청기, 인공와우 등)의 선택 및 적합, 그리고 증폭된 청력보장구를 통한 충분한 청능 훈련(auditory training)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난청인들의 잔존 청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적절히 증폭되고 정밀하게 조절된 청력보장구를 통하여 듣는 능력을 체계적으로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말 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 지각 검사 방법이 한국등록특허 제1420057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420057호는 유소아의 발달 및 수준에 맞춘 말 지각 검사를 제공하고 있을 뿐, 일반적인 청능 훈련 방법에 관한 기술적 배경 및 근거는 전혀 암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현재 임상 현장에서 시행되는 청능 훈련의 경우 난청인이 청능 재활 전문가를 직접 찾아가서 정해진 공간과 주어진 시간 내에 청능 훈련을 받고 있지만, 이러한 청능 훈련에의 참여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를 받고 일정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 소수에게 제한될 수밖에 없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증가하는 난청인들의 수요에 맞춰 난청인 개개인이 주체가 되어 저비용으로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개인용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개인별 듣기 수준에 맞춰 실시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능 훈련 시스템은, 난청인의 어음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음 변별 훈련 기능 및 어음 확인 훈련 기능을 구비한 훈련 유닛과, 상기 훈련 유닛에 동작에 따른 훈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저장 유닛과, 외부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과, 및 상기 훈련 유닛을 동작시키고, 상기 훈련 유닛의 동작에 따른 훈련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저장 유닛에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저장 유닛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어하는 모바일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및 난청인의 청력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유닛과, 난청인의 정보와 함께 상기 검사 유닛의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과, 및 상기 저장 유닛에 검사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훈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분석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훈련 유닛은 어음 변별 훈련 기능으로,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소정 수의 어음이 같았는지 혹은 서로 달랐는지를 훈련하는 소리 변별 파트와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어음이 몇 번째에 있었는지를 구별하는 변별 강화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훈련 유닛은 어음 확인 훈련 기능으로,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어음이 무엇인지 보기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정답을 구하는 폐쇄형 확인 파트와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소리가 무엇인지 직접 정답을 입력하는 개방형 확인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유닛은 소정의 주파수들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임계치를 측정하기 위한 순음 청력 검사부와, 단어 혹은 문장으로 만들어진 검사음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내용으로부터 정답 여부를 확인하여 어음 인지 능력을 검사하는 어음 청력 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능 훈련 시스템은 난청인의 듣기 능력에 따라 파라미터의 조정이 가능한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석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에서 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를 구하고, 그리고 이 파라미터를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검사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훈련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난청인의 듣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어음 인지 훈련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훈련 유닛이 다시 설정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능 훈련 방법은, 난청인에 대해 순음 및 어음 청력을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얻어진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에서 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파라미터로 조정된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를 착용한 난청인에 대해 어음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음 변별 및 어음 확인을 훈련시키는 단계와,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에서 얻어진 훈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및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얻어진 검사 데이터와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에서 얻어진 훈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를 착용한 난청인의 듣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난청인의 잔존 청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청능 훈련을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보청기 또는 인공와우 착용자들에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청능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용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개인별 듣기 능력에 맞춰 어음 인지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과 고효율 청능 훈련과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수행되고 저장된 청능 훈련 결과를 바탕으로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의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 파라미터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난청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음 인지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청능 훈련 실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정답 확인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음 인지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청능 훈련 실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정답 확인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능 훈련 시스템은, 청능을 검사하고 훈련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와, 난청인의 청력을 보장하기 위한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와, 및 난청인의 청능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70)를 포함한다.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는 청력을 검사하고 훈련 데이터와의 비교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 검사 유닛(120), 저장 유닛(130), 인터페이스 유닛(140) 및 분석 제어 유닛(150)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은 사용자 또는 피검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부(112), 스피커부(114) 및 디스플레이부(116)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2)는 사용자가 피검사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스피커부(114)는 검사 유닛(120)에서의 검사 절차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6)는 사용자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검사 등의 절차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검사 유닛(120)은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 착용의 필요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듣기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순음 청력 검사부(122)와 어음 청력 검사부(124)를 포함한다.
순음 청력 검사부(122)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주파수들에서 소리를 지각하는 임계치를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순음 청력 검사부(122)는, 일반적으로 옥타브 간격의 6개의 주파수들, 즉, 0.25, 0.5, 1, 2, 4, 8 kHz와, 좀 더 자세한 청력 손실 형태를 알기 위해 반옥타브 간격의 8개의 주파수들, 즉, 0.25, 0.5, 1, 2, 3, 4, 6, 8 kHz에서 순음 청력의 임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어음 청력 검사부(124)는 말소리를 듣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단어(1음절어, 2음절어) 혹은 문장으로 검사의 자극음을 만들 수 있다. 어음 청력 검사부(124)에는 검사하고자 하는 문장 세트가 마련될 수 있는데, 한국등록특허 제1420057호의 말 인지 검사의 구성이 본 실시예의 일예로 참고될 수 있다.
저장 유닛(130)은 피검사자의 정보와 함께 검사 유닛(120)의 검사에 따른 피검사자의 듣기 능력 평가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조정 파라미터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170)의 훈련 결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인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 및 모바일 디바이스(17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특히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 제어 유닛(150)은 검사 유닛(120)의 검사 결과에 저장된 저장 유닛(130)으로부터 검사 데이터를 불러 와서 분석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착용할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얻을 수 있다. 분석 제어 유닛(150)은 이 얻어진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로 송신한다.
또한, 분석 제어 유닛(150)은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70)로부터 훈련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저장 유닛(130)에 저장하고 저장 유닛(130)에 저장된 검사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재설정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70)의 훈련 프로세스를 변경할 수 있다.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는 손실된 청력으로 인해 감소된 소리를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난청인들이 이득을 얻도록 고안된 보조기기로서, 보청기 디바이스 또는 인공와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70)는 난청인의 청능 훈련을 위한 디바이스로, 특히 난청인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를 착용한 경우에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 착용자의 성공적인 청능 재활을 위해 체계적으로 청능 훈련을 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 검사 유닛(120), 저장 유닛(130), 인터페이스 유닛(140) 및 분석 제어 유닛(150)이 하나의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는 검사 유닛(120)과 분석 제어 유닛(150)을 기준으로 각각 별도의 디바이스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70)는 모바일 단말기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70)는, 난청인의 청능 훈련을 위해,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10), 훈련 유닛(220), 모바일 저장 유닛(230),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240) 및 모바일 제어 유닛(250)을 포함한다.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10)은 난청인이 청능 훈련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모바일 사용자 입력부(212), 모바일 스피커부(214) 및 모바일 디스플레이부(216)를 포함한다.
모바일 사용자 입력부(212)는 난청인이 청능 훈련을 하기 위해 훈련 유닛(220)을 동작시키고 또한 훈련 유닛(220)의 동작에 따라 어음 등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모바일 스피커부(214)는 훈련 유닛(220)에서의 훈련 프로세스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며, 그리고 모바일 디스플레이부(216)는 모바일 사용자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훈련 등의 프로세스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훈련 유닛(220)은 난청인의 청능 훈련을 위한 구성으로, 특히 난청인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를 착용한 경우에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 착용자의 성공적인 청능 재활을 위해 체계적으로 청능 훈련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어음 인지 훈련부(222)와 문장 인지 훈련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어음 인지 훈련부(222)는 난청인에게 어음 인지 능력을 훈련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난청인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를 착용한 후 어음 인지 훈련을 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어음 인지 훈련부(222)는 제시된 소리들이 같은지 혹은 다른지를 훈련하는 변별(discrimination) 훈련과, 그리고 여러 개의 사물들 중 하나의 사물의 명칭을 듣고 정확하게 가리킬 수 있는지를 훈련하는 확인(identification) 훈련을 포함한다.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주파수 특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어음별 주파수 분포가 다르다. 예를 들어, 입 모양 및 발음 위치에 따라 포먼트(formant)의 분포가 달라지는 모음과, 에너지 구성 분포가 주파수(125 ~ 8000Hz)별로 분석될 수 있는 자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서 예를 들어 ㄱ, ㄲ, ㅋ을 살펴보면, 주파수 대역이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음 인지 훈련을 위해, 훈련음으로 자음 10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ㅆ, ㅊ, ㅎ)와 1개의 모음(ㅏ)만을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모음만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이유는 일반 난청인의 경우 이미 언어를 배운 후에 난청이 발생하였는바 모든 모음을 인지하기 위한 훈련을 반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문장 인지 훈련부(224)는 난청인에게 문장 인지를 훈련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 착용자에게 문장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문장 인지 훈련부(224)는 예를 들어 난청인에게 원문장에 다양한 소음(백색 소음, 다화자 소음 등)을 섞고 신호 대 소음비(signal-to-noise ratio)를 적절히 조절하여 들려줌으로써 여러 소음 상황에서도 말소리를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고, 원문장의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출력하면서 다양한 화자들의 말 변화 속도에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저장 유닛(230)은 훈련 유닛(220)에 훈련 프로세스에 따른 훈련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240)은 외부 디바이스인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의 인터페이스 유닛(140)과 연결되면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의 분석 제어 유닛(150)의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제어 유닛(250)은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240)을 통해 수신된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의 분석 결과를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하고 또한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제어 유닛(250)은 훈련 유닛(220)의 훈련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또한 훈련 유닛(220)의 훈련 결과, 예를 들어 자음 ㄱ의 인지가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ㄱ, ㄲ, ㅋ과 모음을 결합하여 다양하게 훈련함으로써 이들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인지 능력을 증가시키도록 훈련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음 인지 훈련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청능 훈련 실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정답 확인 화면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음 인지 훈련부(222)는 소리 변별 파트(410), 변별 강화 파트(420), 폐쇄형 확인 파트(430) 및 개방형 확인 파트(440)를 포함하며, 3개의 기준음과 변별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리 변별 파트(410)는 3개의 소리를 제시해주고, 3개의 소리가 같았는지 혹은 서로 달랐는지를 구별하는 훈련이고, 변별 강화 파트(420)는 3개의 소리를 들려주고 다른 한 개의 소리가 몇 번째에 나왔는지를 구별하기 훈련이다. 소리 변별 파트(410)와 변별 강화 파트(420)의 청능 훈련 실시 화면이 도 5의 A 및 B에 각각 도시되어 있고, 소리 변별 파트(410)와 변별 강화 파트(420)의 정답 확인 화면이 도 6의 A 및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소리 변별 파트(410)와 변별 강화 파트(420) 모두 훈련의 목적에 부합되게 정답 확인 화면에서 피검사자에게 정답의 유무만 알려주고 틀렸을 경우에는 정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폐쇄형 확인 파트(430)에서는 3개의 소리를 들려주고 다른 한 개의 소리가 무엇인지 보기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정답을 구하는 훈련이며, 개방형 확인 파트(440)에서는 3개의 소리를 들려주고 한 개의 다른 소리가 무엇이었는지 직접 모바일 디스플레이부(216)의 화면에 정답을 입력한 후 확인하는 훈련이다. 폐쇄형 확인 파트(430)와 개방형 확인 파트(440)의 청능 훈련 실시 화면이 도 5의 C 및 D에 각각 도시되어 있고, 폐쇄형 확인 파트(430)와 개방형 확인 파트(440)의 정답 확인 화면이 도 5의 C 및 D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폐쇄형 확인 파트(430)와 개방형 확인 파트(440) 모두 훈련의 목적에 부합되게 정답 확인 화면에서 피검사자에게 정답의 유무를 알려주며 틀렸을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오답에 대한 정정기회를 부여한다.
훈련 유닛(220)은 피검사자의 청능 훈련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처음 시작시 기준음과 다양한 변별음을 제공하다가, 해당 음을 맞출 경우에 전체 목록에서 그 음을 제외하고 변별이 어려운 음만을 제공하여 확률적으로 오류음에 대한 충분한 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
훈련 유닛(220)은 더 이상 틀리는 음이 없이 모든 음을 맞췄을 시에는 다시 목록이 초기화되어 처음부터 훈련을 이행토록 설정하여 우연성을 배제한다. 또한, 훈련 유닛(220)은 다음날 훈련을 시작할 경우에는 전날 수행하였던 수준에서 바로 이어서 시작할 수 있도록 메모리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프로그램 내의 자체 저장 기능을 통해 피검사자의 수행력을 모니터링하고 어려워하는 자음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검사 유닛(120)은 피검사자의 순음 및 어음 청력 검사를 실시한다(S702). 이를 위해, 먼저, 순음 청력 검사부(122)는 피검사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들, 예를 들면, 0.25, 0.5, 1, 2, 3, 4, 6, 8 kHz에서 순차적으로 순음 청력의 임계치를 측정한다. 피검사자는 소정의 주파수들에서 각각 말소리를 지각할 때마다 이에 반응하여 사용자 입력부(112)를 통해 응답한다. 어음 청력 검사부(124)는 피검사자의 어음 인지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단어 혹은 문장으로 검사음을 만들어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된 결과로부터 정답 여부를 확인한다.
분석 제어 유닛(150)은 검사 유닛(120)의 검사 결과에 저장된 저장 유닛(130)으로부터 검사 데이터를 불러 와서 분석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착용할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얻는다. 분석 제어 유닛(150)은 이 얻어진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로 송신하고,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는 수신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 파라미터를 조절한다(S704).
검사 유닛(120)은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를 착용한 난청인에 대해 순음 및 어음 청력 검사를 다시 실시한다(S706). 분석 제어 유닛(150)은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를 착용한 후의 검사 데이터를 불러 와서 분석하여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다시 얻을 수 있다. 분석 제어 유닛(150)은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의 조절이 필요하면(S708), 이 얻어진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파라미터 값들을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로 송신하고,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는 수신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 파라미터를 다시 조절한다(S710). 또한, 도 7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계 S724 이후에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의 주파수 파라미터와 증폭 파라미터가 조절될 수 있다.
난청인 등은 모바일 디바이스(170)에 청능 훈련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712). 난청인이 모바일 디바이스(170)에 설치된 청능 훈련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모바일 제어 유닛(250)은 첫째 주에는 소리 변별 파트(410)를 동작시켜 소리의 변별 단계를 훈련하게 한다(S714). 소리의 변별 훈련 단계는 하루 40분씩 주 6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훈련 결과는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다(S722).
모바일 제어 유닛(250)은 둘째 주에는 변별 강화 파트(420)를 동작시켜 소리의 변별 강화 단계를 훈련하게 한다(S716). 소리의 변별 강화 훈련 단계 역시 하루 40분씩 주 6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훈련 결과는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다(S722).
모바일 제어 유닛(250)은 셋째 주에는 폐쇄형 확인 파트(430)를 동작시켜 보기가 주어진 상황에서 소리의 확인 단계를 훈련하게 한다(S718). 소리의 폐쇄형 확인 단계 역시 하루 40분씩 주 6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훈련 결과는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다(S722).
모바일 제어 유닛(250)은 마지막 주에는 개방형 확인 파트(440)를 동작시켜 보기가 주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소리의 확인 단계를 훈련하게 한다(S720). 소리의 개방형 확인 단계 역시 하루 40분씩 주 6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훈련 결과는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다(S722).
검사 유닛(120)은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16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70)를 이용하여 청능 훈련을 한 난청인에 대해 순음 및 어음 청력 검사를 다시 실시한다(S724).
분석 제어 유닛(150)은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제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70)의 모바일 저장 유닛(230)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수신한다(S726).
분석 제어 유닛(150)은 검사 유닛(120)에서의 최종 검사 데이터와 인터페이스 유닛(140)을 통해 수신한 훈련 데이터를 비교하고(S728), 선택적 재훈련이 필요하면(S730), 필요한 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112: 사용자 입력부 114: 스피커부
116: 디스플레이부 120: 검사 유닛
122: 순음 청력 검사부 124: 어음 청력 검사부
130: 저장 유닛 140: 인터페이스 유닛
150: 분석 제어 유닛 160: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
170: 모바일 디바이스 210: 모바일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220: 훈련 유닛 222: 어음 인지 훈련부
224: 문장 인지 훈련부 230: 모바일 저장 유닛
240: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 250: 모바일 제어 유닛
410: 소리 변별 파트 420: 변별 강화 파트
430: 폐쇄형 확인 파트 440: 개방형 확인 파트
112: 사용자 입력부 114: 스피커부
116: 디스플레이부 120: 검사 유닛
122: 순음 청력 검사부 124: 어음 청력 검사부
130: 저장 유닛 140: 인터페이스 유닛
150: 분석 제어 유닛 160: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
170: 모바일 디바이스 210: 모바일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220: 훈련 유닛 222: 어음 인지 훈련부
224: 문장 인지 훈련부 230: 모바일 저장 유닛
240: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 250: 모바일 제어 유닛
410: 소리 변별 파트 420: 변별 강화 파트
430: 폐쇄형 확인 파트 440: 개방형 확인 파트
Claims (8)
- 난청인의 어음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음 변별 훈련 기능 및 어음 확인 훈련 기능을 구비한 훈련 유닛과, 상기 훈련 유닛에 동작에 따른 훈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저장 유닛과, 외부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과, 및 상기 훈련 유닛을 동작시키고, 상기 훈련 유닛의 동작에 따른 훈련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저장 유닛에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저장 유닛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어하는 모바일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및
난청인의 청력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유닛과, 난청인의 정보와 함께 상기 검사 유닛의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과, 및 상기 저장 유닛에 검사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훈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분석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청능 검사 분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유닛은 어음 변별 훈련 기능으로,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소정 수의 어음이 같았는지 혹은 서로 달랐는지를 훈련하는 소리 변별 파트와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어음이 몇 번째에 있었는지를 구별하는 변별 강화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유닛은 어음 확인 훈련 기능으로,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어음이 무엇인지 보기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정답을 구하는 폐쇄형 확인 파트와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소리가 무엇인지 직접 정답을 입력하는 개방형 확인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유닛은 소정의 주파수들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임계치를 측정하기 위한 순음 청력 검사부와, 단어 혹은 문장으로 만들어진 검사음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내용으로부터 정답 여부를 확인하여 어음 인지 능력을 검사하는 어음 청력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난청인의 듣기 능력에 따라 파라미터의 조정이 가능한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에서 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를 구하고, 그리고 이 파라미터를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검사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훈련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난청인의 듣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어음 인지 훈련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훈련 유닛이 다시 설정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시스템. - 난청인에 대해 순음 및 어음 청력을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얻어진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에서 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파라미터로 조정된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를 착용한 난청인에 대해 어음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음 변별 및 어음 확인을 훈련시키는 단계와,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에서 얻어진 훈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및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얻어진 검사 데이터와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에서 얻어진 훈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상기 청력 보장구 디바이스를 착용한 난청인의 듣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는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소정 수의 어음이 같았는지 혹은 서로 달랐는지를 훈련하는 소리 변별 훈련과,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어음이 몇 번째에 있었는지를 구별하는 변별 강화 훈련과,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어음이 무엇인지 보기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정답을 구하는 폐쇄형 확인 훈련과, 및 소정 수의 어음을 들려주고 다른 하나의 소리가 무엇인지 직접 정답을 입력하는 개방형 확인 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능 훈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7203A KR20160126297A (ko) | 2015-04-23 | 2015-04-23 |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7203A KR20160126297A (ko) | 2015-04-23 | 2015-04-23 |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6297A true KR20160126297A (ko) | 2016-11-02 |
Family
ID=5751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7203A KR20160126297A (ko) | 2015-04-23 | 2015-04-23 |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6297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6868A (ko) * | 2018-01-15 | 2019-07-24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
KR20200061709A (ko) * | 2018-11-26 | 2020-06-03 | 강병국 | 앱을 활용한 보청기 사업 방법 |
KR20200093388A (ko) * | 2019-01-28 | 2020-08-05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청각 재활 훈련 모듈 |
KR20210110550A (ko) * | 2019-08-13 | 2021-09-08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난청환자를 위한 청능 훈련시스템 |
KR20230084982A (ko) * | 2021-12-06 | 2023-06-1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570222B1 (ko) * | 2022-08-12 | 2023-08-25 | 올리브유니온(주) | 청능 수준 평가 및 청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0057B1 (ko) | 2013-06-18 | 2014-07-15 |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
-
2015
- 2015-04-23 KR KR1020150057203A patent/KR201601262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0057B1 (ko) | 2013-06-18 | 2014-07-15 |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6868A (ko) * | 2018-01-15 | 2019-07-24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
KR20200061709A (ko) * | 2018-11-26 | 2020-06-03 | 강병국 | 앱을 활용한 보청기 사업 방법 |
KR20200093388A (ko) * | 2019-01-28 | 2020-08-05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청각 재활 훈련 모듈 |
KR20210110550A (ko) * | 2019-08-13 | 2021-09-08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난청환자를 위한 청능 훈련시스템 |
KR20230084982A (ko) * | 2021-12-06 | 2023-06-1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WO2023106802A1 (ko) * | 2021-12-06 | 2023-06-1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570222B1 (ko) * | 2022-08-12 | 2023-08-25 | 올리브유니온(주) | 청능 수준 평가 및 청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WO2024034723A1 (ko) * | 2022-08-12 | 2024-02-15 | 올리브유니온(주) | 청능 수준 평가 및 청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26297A (ko) |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
Ciocca et al. | The perception of Cantonese lexical tones by early-deafened cochlear implantees | |
Wolfe et al. | Evaluation of nonlinear frequency compression for school-age children with moderate to moderately severe hearing loss | |
Evans et al. | Acoustic voice analysis of prelingually deaf adults before and after cochlear implantation | |
Lawson et al. | Speech audiometry | |
US8655439B2 (en) | System and method of speech discriminability assessment,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 |
CN110662151A (zh) | 使用语音信号确认用于婴幼儿的助听器的系统及方法 | |
Andreetta et al. | Evaluation of speech amplification devices in Parkinson's disease | |
Paglialonga et al. | A user-operated test of suprathreshold acuity in noise for adult hearing screening: The SUN (Speech Understanding in Noise) test | |
Shafiro et al. | Development of the basic auditory skills evaluation battery for online testing of cochlear implant listeners | |
Turgeon et al. | Vowel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 acoustic and articulatory study | |
EP2924676A1 (en) | Hearing-based adaptive training systems | |
Whitehill et al. | Single‐word intelligibility in speakers with repaired cleft palate | |
Dawson et al. | Electrode discrimination and speech perception in young children using cochlear implants | |
Kumar et al. |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of adults: a proposal for a battery for telugu | |
Pals et al. | Effects of additional low-pass–filtered speech on listening effort for noise-band–vocoded speech in quiet and in noise | |
AU2010347009B2 (en) | Method for training speech recognition, and training device | |
Galvin et al. | A comparison of tactaid II and tactaid 7 use by adults with a profound hearing impairment | |
Hull | Introduction to aural rehabilitation: Serving children and adults with hearing loss | |
Müller et al.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wo cochlear implant fine structure coding strategies on speech perception | |
KR101420057B1 (ko) |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 |
KR101278330B1 (ko) |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 |
Han et al. | Substitution patterns of phoneme errors in hearing aid and cochlear implant users | |
KR101798577B1 (ko) |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 |
Pittman et al. | Vocal biomarkers of mild-to-moderate hearing loss in children and adults: Voiceless sibil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