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057B1 -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057B1
KR101420057B1 KR1020130069532A KR20130069532A KR101420057B1 KR 101420057 B1 KR101420057 B1 KR 101420057B1 KR 1020130069532 A KR1020130069532 A KR 1020130069532A KR 20130069532 A KR20130069532 A KR 20130069532A KR 101420057 B1 KR101420057 B1 KR 10142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ound
unit
output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아
Original Assignee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057B1/ko
Priority to PCT/KR2013/009999 priority patent/WO20140738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들의 발달 및 수준에 맞춘 말지감 검사를 제공하며, 특히 최적의 구두 및 시각 강화 수단 및 절차를 통해 말지각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검자의 청력역치 측정을 위한 청력역치 검사부, 검사방법, 검사 문장세트, 강화방법, 정답 또는 오답 정보의 검사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입력부,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검사음을 저장하는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 및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저장부, 피검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피검자 입력부, 마지각 검사를 위한 검사음을 출력하는 검사음 출력부 및 구두 강화를 위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구두 강화 출력부 및 청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청각적 효과 출력부를 구비하는 사운드 출력부, 시각 강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관련 정보에 따라 선택된 검사음, 구두 및 시각강화 데이터를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화면 출력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Speech perception apparatus and speech percep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장애 등 의사소통능력에 제한이 있거나 언어발달 중에 있는 유아를 대상으로 오픈-셋(Open-set) 검사 및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를 수행하되,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와 오픈-셋(Open-set) 검사에 구두 또는 시각 강화를 통해 말지각 검사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한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 중 대화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요소이다. 대화란 타인의 의사가 담긴 말(단어나 문장)을 듣고 자신의 의사를 담은 말(단어나 문장)을 소리를 통해 주고 받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 중 듣기는 귀를 통해 그 울림이 뇌에 전달된 후 뇌에서 말의 의미를 인지하는 프로세스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대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듣기 능력, 즉 말소리 지각과 말 지각이 정상이어야 한다.
여기서, 말소리 지각이란 말소리가 귀를 통해 뇌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의미하며, 말지각이란 정상적인 말소리 지각을 통해 말의 의미가 뇌에서 정상적으로 인지되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결국 말소리 지각이 비정상인 경우 통상적으로 청각능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말지각이 비정상일 경우 청각능력은 정상이나 뇌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각각에 따른 치료방법은 매우 다르게 된다.
먼저, 말소리 지각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살펴보면,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는 사람의 귀는 이들 중 어느 부분에 이상이 생기면 소리를 잘못 듣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난청이라 하며, 이러한 난청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청력 검사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대별되는데, 이는 6개의 주파수 대역, 즉, 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의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하여 검사자가 음을 뚜렷하게 들을 수 있는 높은 레벨(강도)에서 차차 레벨을 낮춰가며 측정하는 하강법(descending method)과, 들리지 않는 약한 레벨에서 차츰 높여 가며 측정하는 상승법(Ascending method), 이 두가지 방법을 절충한 수정법(modified method)의 세 가지 방법이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공보 10-0917714호(청력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원에 대하여 각 청력별로 보정치가 처리된 청력 측정용 음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제 생활과 근접한 검사자의 청력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자에 적합한 보청기 보정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보정치를 실제 생활과 비슷한 환경의 음원에 적용하여 청력 측정 결과 검증용 음원을 만들어 보청기 사용 전에 보청기 사용시와 동일한 경험을 하도록 하는 청력 측정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력 측정 장치는 언어발달 중에 있는 유아에게는 검사자와의 의사소통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 적용이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를 통해 말소리 지각이 비정상이라 판단한다 하더라도 이것이 곧 말지각이 정상임을 의미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말 지각 검사를 수행해야하는 검사의 중복성이 존재한다.
또한, 말지각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현재 표준화 과정에 있으며 소리 인지에서부터 문장 지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검사도구와 설문지를 이용하여 3세 이상부터 적용가능하게 개발된 EARS-K(Evaluation of Auditory Response to Speech-Korean version), 표준화 과정을 거쳤으며 단어부터 문장에 이르는 어음 검사도구인 어음청각검사(Korean Speech Audiometry), 감자 인형에 대해 듣기만으로 제시되는 지시를 따르는 방법인 Mr. Potato Head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는 검사자의 수행 능력 및 검사 환경 등의 검사 관련 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의사소통 능력에 제한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측정이 불가능하거나 결과의 신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어휘 및 언어가 발달 중에 있는 유아는 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다양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검사도구 및 설문지 등으로 구성되어진 평가 프로그램을 검사자가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결과가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3세 이하의 아동들에게는 말지각 검사가 제공되지 못하거나 클로즈드-셋(Closed-set) 수준에서의 정보 밖에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정된 오픈-셋(Open-set) 검사가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아동이 따라 말하지 않으므로 음소 수준에서의 말지각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따라 말하기를 통한 말지각 능력 측정 정도는 청각 재활에 직결되는 중요한 단계임을 고려할 때 우리말 음소의 빈도와 배열을 반영하고 유아들의 발달 과정 및 수준에 맞춘 말지각 검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서 최대한 빨리 유아의 청각능력을 평가함은 물론 검사자의 수행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말지각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아들의 발달 및 수준에 맞춘 말지각 검사를 제공하며, 특히 최적의 구두 및 시각 강화 수단와 절차를 통해 말지각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각 강화 수단에 청각적 효과를 부가하여 시각 강화 수단에 의한 강화 효과를 배가시킴으로써 말지각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한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하여 검사수행을 용이하게 하고 피검자에게는 검사에 대한 거부감을 낮춤과 동시에 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피검사 및 검사자에게 최적의 말지각 검사 환경을 제공 및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말지각 검사 장치는,
피검자의 청력역치 측정을 위한 청력역치 검사부,
검사방법, 검사 문장세트, 강화방법, 정답 또는 오답 정보의 검사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입력부,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검사음을 저장하는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 및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저장부,
피검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피검자 입력부,
말지각 검사를 위한 검사음을 출력하는 검사음 출력부, 구두 강화를 위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구두 강화 출력부 및 청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청각적 효과 출력부를 구비하는 사운드 출력부,
시각 강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관련 정보에 따라 선택된 검사방법, 검사 문장세트, 구두 및 시각강화 데이터를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화면 출력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처리부는,
상기 검사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강화방법이 시각 강화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을 호출하여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호출하여 화면 출력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화면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를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목표문장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는 동작화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화면은 화면이 전환되는 플래쉬 형태로 1초에서 10초까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처리부는,
상기 검사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강화방법이 구두 강화를 포함하는 경우에 말지각 검사시에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을 호출하여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후에 피검자가 목표문장을 포함한 반응을 산출했을 때, 정답 또는 오답 여부에 따라 검사자가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라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대응되는 구두강화 사운드를 호출하여 구두 강화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처리부는 피검자가 3회 연속으로 무응답하였을 때 말지각 검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지각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사 관련 정보를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청력역치 검사부를 통해 청력역치 검사를 하는 단계,
청력역치 및 검사음압을 검사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예문을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제어처리부에 의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에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코스웨어와 청각적 효과가 화면 출력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출력되는 단계,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주검사자가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되는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입력되는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는,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 결과 정답인 문장으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처리부에 의해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시각 강화 정보가 호출되어 화면 출력부에 출력되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각 강화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 정보가 호출되어 사운드 출력부에 출력되는 단계,
응답음에 대해 검사자에 의한 정답 또는 오답 여부가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또한 제어처리부는 피검자의 응답음을 피검자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아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검사결과를 검사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처리부는 오픈-셋(Open-set) 검사를 위한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처리부에 의해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시각 강화 정보가 호출되어 화면 출력부에 출력되며, 장검사음 데이터 저부에 저장된 시각 강화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 정보가 호출되어 사운드 출력부에 출력되는 단계,
응답음에 대해 검사자에 의한 정답 또는 오답 여부가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또한 제어처리부는 피검자의 응답음을 피검자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아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검사결과를 검사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은,
유아들의 발달 및 수준에 맞춘 말지각 검사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최적의 구두 및 시각 강화 수단와 절차를 통해 말지각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검사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하여 검사수행을 용이하게 하고 피검자에게는 검사에 대한 거부감을 낮춤과 동시에 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피검자 및 검사자에게 최적의 말지각 검사 환경을 제공 및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검사자의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간편한 기계적 조작을 이행하는 것만으로도 청력 손실의 정도나 유형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말지각 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서 말지각 검사의 표준화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문어가 아닌 구어를 기준으로 한 유아 전용 검사문장을 개발하여 적용함에 따라 검사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음운학 및 실험을 통해 전용 검사문장을 세트별로 개발하고 이를 난이도를 반영하여 연령별로 특화함에 따라 검사의 전문성이 강화된다.
또한, 구두 강화 및 시각 강화를 병행하되 시각 강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그림 강화 자료(코스웨어)를 함께 적용하는 등 새롭게 개발된 강화절차에 의해 정확도 및 신뢰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시각 강화 수단에 청각적 효과를 부가하여 시각 강화 수단에 의한 강화 효과를 배가시킴으로써 말지각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의 코스웨어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의 청각적 효과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의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의 오픈-셋(Open-set) 검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말지각 검사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함에 앞서, 주요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검사음'은 피검자의 말지각 검사를 위해 말지각 검사 장치에서 생성된 또는 말지각 검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음으로서, 다양한 오디오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다.
'검사 음압'은 검사음의 dBHL단위로 변환된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을 의미한다.
'강화'는 검사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자극을 의미한다.
'청력역치'는 청각역치, 순음역치 등으로 명명되는 것으로서, 가장 작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한계치를 의미한다.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는 반응의 수를 제한하여 피검자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반응하도록 한 검사방법을 의미한다.
오픈-셋(Open-set) 검사는 반응의 수가 제한되지 않는 개방형 검사방법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는 청력역치 검사부(10), 검사자 입력부(20), 검사자 출력부(30), 저장부(40)를 이루는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와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 및 검사 데이터 저장부(43), 피검자 입력부(50), 사운드 출력부(60), 화면 출력부(70) 및 제어처리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청력역치 검사부(10)는 통상의 청력역치 검사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청력역치 검사부(10)에서의 검사음의 강도는 아동의 500Hz, 1000Hz, 2000Hz, 4000Hz의 주파수에서 얻어진 청력역치의 평균 강도에서 40dBSL 높인 강도로 한다.
상기 검사자 입력부(20)는 검사방법{클로즈드-셋(Closed-set)인지, 오픈-셋(Open-set) 검사인지 또는 양자 모두인지 여부}, 검사 문장세트, 강화방법{구두 강화인지 아니면 시각 강화인지 여부 및 그 구체적인 방법}, 정답 또는 오답 정보{피검자의 응답 청취 후 그 응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 여부}, 검사 진행과 관련한 정보{검사 시작, 검사 중지, 검사 종료 등의 정보}, 검사관련 데이터 요청 정보 등의 검사관련 정보를 검사자가 직접 입력하는 부분으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장치나, 터치 스크린, 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자 출력부(30)는 검사 진행과정 등을 보여주고, 말지각 검사 결과를 제어처리부(80)를 통하여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고, 프린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 터치 스크린, 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는 클로즈드-셋(Closed-set) 및 오픈-셋(Open-set) 검사를 포함한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모든 검사음을 저장한다.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는 총 10개의 검사 문장세트, 후술하는 구두 강화에 제공될 구두 강화 사운드, 예문, 청각적 효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검사 문장세트는 아래의 실시예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아래의 규칙을 따르는 모든 실시예를 추가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검사 문장세트는 각 10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문장은 구어체로서 유아의 언어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2-4음절로 구성되며, 우리말 단모음 7개(ㅏ, ㅐ, ㅣ, ㅗ, ㅜ, ㅓ, ㅡ)와 이중모음, 자음 음소 19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10개의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되, 가장 많이 사용된 모음들을 ‘ㅏ, ㅓ, ㅣ’, 가장 많이 사용된 자음들을 ‘ㄴ, ㅈ, ㄱ, ㄹ, ㅁ’로 구성하고 중성 -> 초성 -> 종성의 순으로 사용빈도를 분포시키며, 각 검사 문장세트별로 총 사용 음절 수, 모음과 자음의 분포, 자음의 초성/중성/종성 비율을 발생빈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맞춤으로서 음운학에 기초한 유아의 언어발달 단계를 고려하였다.
검사 문장세트 A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1
검사 문장세트 B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2
검사 문장세트 C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3
검사 문장세트 D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4
검사 문장세트 E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5
검사 문장세트 F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6
검사 문장세트 G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7
검사 문장세트 H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8
검사 문장세트 I
Figure 112013054011997-pat00009
검사 문장세트 J
Figure 112013054011997-pat00010

또한, 구두강화음은 말지각 검사에 제공되는 강화 중 구두 강화에 제공되는 ‘잘했어요’, ‘맞았어요’ 및 ‘그렇죠’로 이루어진 음성을 의미한다. 또한 예문은 ‘엄마’, ‘아빠’, 및 ‘앉아’등의 쉬운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각적 효과는 후술하는 화면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할 경우에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와 매칭되는 사운드 정보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는 클로즈드-셋(Closed-set) 및 오픈-셋(Open-set) 검사를 포함한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모든 화면, 즉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말지각 검사에 제공되는 강화 중 시각 강화에 제공되는 모든 동영상, 화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시각적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코스웨어는 유아들이 말소리 자극에 보다 잘 집중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반응을 산출하도록 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형태의 그림 자극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연령에 맞는 문장 표현의 의미와 표상 간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유아들의 반응에 근거하여 문장을 더 잘 표상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는 코스웨어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①은 하기할 예문에 사용되는 ‘엄마’를 나타내는 코스웨어로서 엄마가 반짝이며 진해지고 아이들은 흐려지며, ②는 검사음 C세트 5번 문항 ‘밥 먹어’에 사용되는 코스웨어로서 숟가락이 입 가까이 올라갔다 내려가고, ③은 검사음 C세트 3번 문항 ‘바이바이’에 사용되는 코스웨어로서 손이 좌우로 흔들리는 애니메이션을 도시하고 있다. 이 또한 반드시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시각 강화의 규칙을 따르는 모든 실시예를 추가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검사 데이터 저장부(43)는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 결과 검사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답 또는 오답 정보를 제어처리부(80)를 통하여 입력받아 저장하고, 오픈-셋(Open-set) 검사시 피검자가 따라 말한 소리, 즉 응답음을 바탕으로 검사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든 정답 또는 오답 정보와 피검자의 모든 응답음을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검자 입력부(50)는 검사음 출력부(61)를 통해 출력된 검사음 및 화면 표시부을 통해 출력된 화면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을 입력받아 제어처리부(80)로 전달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계적 버튼뿐만 아니라 키패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60)는 검사음 출력부(61), 구두 강화 출력부(62) 및 청각적 효과 출력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60)는 상기 제어처리부(8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 즉, 검사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리시버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음 출력부(61)는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의해 저장된 검사 주파수와 검사음압에 해당하는 검사음을 출력한다. 즉,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 및 오픈-셋(Open-set) 검사를 위한 검사 문장세트를 출력한다.
상기 구두 강화 출력부(62)는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의해 저장된 구두 강화 사운드를 출력한다.
상기 청각적 효과 출력부(63)는 후술하는 화면 출력부(70)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청각적 효과는 말소리 자극에 보다 집중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반응을 산출하도록 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형태의 그림 자극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각 강화에 부가하여 제공되는 사운드 형태의 청각적 자극이다.
도 3은 청각적 효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시각 강화로 화면 출력부(70)를 통해 사람이 걸어가는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청각적 효과로 발걸음 소리인 '또각또각' 소리를 상기 청각적 효과 출력부(63)을 통해 출력하며, (B)는 시각 강화로 화면 출력부(70)를 통해 머리를 좌우로 흔들어 싫어하는 표현을 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청각적 효과로 싫음을 나타내는 '싫어' 라는 음성을 상기 청각적 효과 출력부(63)을 통해 출력하며, (C)는 시각 강화로 화면 출력부(70)를 통해 두 사람이 서로 만나는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청각적 효과로 만날 때 인사에 해당되는 '안녕' 이라는 음성을 상기 청각적 효과 출력부(63)을 통해 출력한다. 이 또한 반드시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모든 실시예를 추가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화면 출력부(70)는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에 저장되어 있는 코스웨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클로즈드-셋(Closed-set) 및 오픈-셋(Open-set) 검사를 위한 화면 또는 동영상을 출력한다. 화면 표시부는 통상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응답음 입력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음 입력부는 말지각 검사시 피검자가 따라 말하는 음성, 즉 아날로그신호로 된 응답음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제어처리부(8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통상의 마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처리부(80)는 말지각 검사 장치의 각종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든 프로세스를 제어 및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검사자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관련 정보에 따라 해당 검사음, 구두 및 시각 강화 데이터, 청각적 효과 데이터를 저장부(40)로부터 호출하여 사운드 출력부(60)와 화면 출력부(70)로 출력하고, 피검자 입력부(50)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검사자 출력부(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처리부(80)에는 음압 결정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음압 결정수단은 검사음 주파수 및 음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청력역치 검사부(10)로부터 측정된 청력역치에서 40dB SL 높은 값으로 결정하여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저장한다. 이는 일반적인 대화음의 강도가 정상청력역치로부터 30 - 40dBSL에 위치하는 것에 근거하는 것임을 밝힌다.
상기 제어처리부(80)는 상기 검사자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강화방법이 시각 강화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을 호출하여 검사음 출력부(61)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호출하여 화면 출력부(7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 데이터도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로부터 호출하여 사운드 출력부(60)의 청각적 효과 출력부(63)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목표문장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는 동작화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화면은 화면이 전환되는 플래쉬 형태로 1초에서 10초까지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짧은 시간에 제공되는 플래쉬 형태로 한 것은 강화의 길이가 짧을수록 강화의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어처리부(80)는 상기 검사자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강화방법이 구두 강화를 포함하는 경우에 말지각 검사시에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을 호출하여 검사음 출력부(61)를 통해 출력한 후에 피검자가 목표문장을 포함한 반응을 산출했을 때, 정답 또는 오답 여부에 따라 검사자가 검사자 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라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대응되는 구두강화 사운드를 호출하여 구두 강화 출력부(62)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처리부(80)는 피검자가 오답을 산출하여도 10개의 검사문항을 모두 시행하도록 하나, 피검자가 3회 연속으로 무응답 오답을 산출하였을 때, 말지각 검사를 중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3회 연속으로 무응답할 경우 오답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말지각 검사의 수행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어처리부(80)는 검사 결과 중 오답으로 체크된 것을 제외하고 정답으로 체크된 문장만으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통상의 방음실에서 주검사자가 자극을 본 장치를 통해 제시하고 보조검사자는 피검자인 아동과 함께 방음실에 들어가서 검사를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아동의 분리 능력에 따라 보호자가 필요한 경우 함께 입실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보호자는 아동에게 검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먼저 아동이 방음실에 입실하게 되면 S1단계에서는 주검사자가 연령 및 성별 등 검사 관련 정보를 검사자 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하고 S2단계에서 청력역치 검사부(10)를 통해 청력역치 테스트를 실시한다.
S2단계에서 측정된 청력역치를 바탕으로 제어처리부(80)는 말지각 검사의 진행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검사를 계속 진행할 수 없을 정도의 청능으로 판정되면 청력 손실정도 및 유형을 검사자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하면서 검사를 종료하게 되고, 검사를 계속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청능으로 판정되면 S3단계에서 그 청력역치 및 검사음압을 검사자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하면서 검사를 진행한다. 이때 청력에 손실이 있는 경우 보청기기(보청기나 인공와우 등)를 사용한 청력역치를 산출하도록 한다.
S4단계에서부터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가 실시되는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저장된 예문을 검사음 출력부(61)를 통해 출력하면서 장치의 정상 작동여부 확인 및 피검자의 적응을 돕도록 한다.
예문으로는 엄마, 아빠, 앉아 등의 간단한 단어로 함이 바람직하며, 출력된 예문에 대해 3회 연속해서 손으로 가리키는 반응이 없을 경우 보조검사자 또는 보호자가 검사반응의 모델을 보이도록 하며, 모델을 제공할 때에도 아동이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검사를 중단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S5단계에서는 검사자 입력부(20), 즉 터치스크린 등의 화면이나 구비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제어처리부(80)에 의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61)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코스웨어를 포함하는 3개의 화면(총 4개의 화면)을 정지화면으로 화면 출력부(70)에 출력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코스웨어에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를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로부터 호출하여 사운드 출력부(6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주검사자 및 보조검사자는 피검자에게 목표문장이 지시하는 내용과 일치하는 화면을 손으로 가리키도록 유도한다. 이때 총 10개 세트로 이루어진 문장세트별로 각 10개씩 총 100개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1개 세트 또는 검사 목적에 따라 그 이상의 검사 문장세트를 진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S6단계에서는 주검사자가 검사자 입력부(20)를 통해 S5단계에서 제시되는 문장 및 화면을 통해 피검자가 가리키는 내용에 따라 정답, 오답으로 해당 버턴을 누르게 되어 정답 또는 오답 여부가 입력된다.
정답 또는 오답이 입력되는 경우 S7단계에서는 그 내용을 검사 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하고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를 종료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휴식 시간을 가지게 된다.
계속해서 S8단계에서부터는 오픈-셋(Open-set)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제어처리부(80)는 오픈-셋(Open-set) 검사를 위한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처리부(80)는 S6단계에서 진행되었던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 결과 중 오답으로 체크된 것을 제외하고 정답으로 체크된 문장만으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할 수 있다.
계속해서 S9단계에서는 제어처리부(80)에 의해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41)에 저장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61)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42)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시각 강화 정보가 호출되어 화면 출력부(70)에 출력되며, 이와 동시에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각 강화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 데이터가 호출되어 사운드 출력부(60)에 출력된다. 이때, 주검사자 및 보조검사자는 피검자에게 목표문장을 들리는 데로 따라 말하도록 유도한다.
이어서 S10단계에서는 피검자가 따라 말한 소리, 즉 응답음에 대해 검사자에 의한 정답 또는 오답 여부가 검사자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고, 또한 이 단계에서는 제어처리부(80)는 피검자의 응답음을 피검자 입력부(50)로부터 전달받아 검사 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하게 되고, 만일 응답음 입력부로부터 입력이 없을 때는 동일한 목표문장 및 시각 강화를 반복하되 3회를 초과하여 응답음 입력부로부터 입력이 없을 경우 해당 검사를 종료한다.
S11단계에서는 상기 S10까지의 검사결과를 검사자 출력부(30)를 통해 화면 및 프린터로 출력하면서 검사를 종료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청력역치 검사 후에 오픈-셋(Open-set) 검사를 먼저 수행한 후에 오픈-셋(Open-set) 검사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따라서, S1단계 --> S2단계 --> S3단계(청력역치검사) --> S8단계 --> S9단계 --> S10단계(오픈-셋 검사) --> S4단계 --> S5단계 --> S6단계 --> S7단계(클로즈드-셋 검사)의 순으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10: 청력역치 검사부
20: 검사자 입력부
30: 검사자 출력부
40: 저장부 41: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
42: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 43: 검사 데이터 저장부
50: 피검자 입력부
60: 사운드 출력부 61: 검사음 출력부
62: 구두 강화 출력부 63: 청각적 효과 출력부
70: 화면 출력부 71: 시각 강화 출력부
80: 제어처리부

Claims (6)

  1. 피검자의 청력역치 측정을 위한 청력역치 검사부,
    검사방법, 검사 문장세트, 강화방법, 정답 또는 오답 정보를 입력하는 검사자 입력부,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검사음을 저장하는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 및 말지각 검사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저장부,
    피검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피검자 입력부,
    말지각 검사를 위한 검사음을 출력하는 검사음 출력부, 구두 강화를 위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구두 강화 출력부 및 청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청각적 효과 출력부를 구비하는 사운드 출력부,
    시각 강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방법, 검사 문장세트, 강화방법, 정답 또는 오답 정보에 따라 선택된 검사방법, 검사 문장세트, 구두 및 시각강화 데이터를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화면 출력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처리부는,
    상기 검사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강화방법이 시각 강화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을 호출하여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호출하여 화면 출력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화면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를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목표문장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는 동작화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화면은 화면이 전환되는 플래쉬 형태로 1초에서 10초까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지각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는,
    상기 검사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강화방법이 구두 강화를 포함하는 경우에 말지각 검사시에 상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을 호출하여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후, 피검자의 정답 또는 오답 여부에 따라 검사자가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른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대응되는 구두강화 사운드를 호출하여 구두 강화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지각 검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는 피검자가 3회 연속으로 무응답하였을 때 말지각 검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지각 검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에 있어서,
    검사 관련 정보를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청력역치 검사부를 통해 청력역치 검사를 하는 단계,
    청력역치 및 검사음압을 검사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예문을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제어처리부에 의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에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코스웨어와 청각적 효과가 화면 출력부 및 사운드 출력부에 출력되는 단계,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주검사자가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되는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의 입력되는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는,
    클로즈드-셋(Closed-set) 검사 결과 정답인 문장으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처리부에 의해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시각 강화 정보가 호출되어 화면 출력부에 출력되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각 강화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 정보가 호출되어 사운드 출력부에 출력되는 단계,
    응답음에 대해 검사자에 의한 정답 또는 오답 여부가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또한 제어처리부는 피검자의 응답음을 피검자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아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검사결과를 검사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에 있어서,
    제어처리부는 오픈-셋(Open-set) 검사를 위한 검사 문장세트를 구성하여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처리부에 의해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새로운 검사 문장세트의 목표문장이 호출되어 검사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코스웨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코스웨어 중 목표문장과 매칭되는 시각 강화 정보가 호출되어 화면 출력부에 출력되며, 검사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각 강화 정보와 매칭되는 청각적 효과 정보가 호출되어 사운드 출력부에 출력되는 단계,
    응답음에 대해 검사자에 의한 정답 또는 오답 여부가 검사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또한 제어처리부는 피검자의 응답음을 피검자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아 검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검사결과를 검사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지각 검사 장치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KR1020130069532A 2012-11-07 2013-06-18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KR10142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532A KR101420057B1 (ko) 2013-06-18 2013-06-18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PCT/KR2013/009999 WO2014073849A1 (ko) 2012-11-07 2013-11-06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532A KR101420057B1 (ko) 2013-06-18 2013-06-18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057B1 true KR101420057B1 (ko) 2014-07-15

Family

ID=5174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532A KR101420057B1 (ko) 2012-11-07 2013-06-18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297A (ko) 2015-04-23 2016-11-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2440A (ko) 2020-12-10 2022-06-1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환경 하 언어인지 청능훈련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860A (ko) * 2006-10-13 2009-08-05 러트거스,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청각 처리에서 결함들을 나타내는 유아들의 스크리닝 및 치료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10313315A1 (en) 2009-02-02 2011-12-22 Joseph Attias Auditory diagnosis and trai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278330B1 (ko) 2012-11-07 2013-06-24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860A (ko) * 2006-10-13 2009-08-05 러트거스,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청각 처리에서 결함들을 나타내는 유아들의 스크리닝 및 치료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10313315A1 (en) 2009-02-02 2011-12-22 Joseph Attias Auditory diagnosis and trai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278330B1 (ko) 2012-11-07 2013-06-24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297A (ko) 2015-04-23 2016-11-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2440A (ko) 2020-12-10 2022-06-1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환경 하 언어인지 청능훈련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7362B1 (ja) 認知機能評価装置、及び、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
US11826161B2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149202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adjustment of hearing aid
Lawson et al. Speech audiometry
JP6312014B1 (ja) 認知機能評価装置、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iu et al. Predicting intelligibility deficits in Parkinson's disease with perceptual speech ratings
KR20160126297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uo et al. Acoustic and perceptual correlates of faster-than-habitual speech produced by speaker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multiple sclerosis
JP6729923B1 (ja) 難聴判定装置、難聴判定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認知機能レベル補正方法
Nagle et al. Effect of fundamental frequency on judgments of electrolaryngeal speech
Wenrich et al.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perception in children using hearing aids
KR20170010602A (ko)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
KR101420057B1 (ko)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KR101278330B1 (ko) 말지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지각 검사방법
Müller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wo cochlear implant fine structure coding strategies on speech perception
Venail et al. Validation of the French-language version of the OTOSPEECH automated scoring software package for speech audiometry
JP6639857B2 (ja) 聴力検査装置、聴力検査方法および聴力検査プログラム
Öster Computer-based speech therapy using visual feedback with focus on children with profound hearing impairments
Middag et al. DIA: a tool for objective intelligibility assessment of pathological speech.
WO2020208889A1 (ja) 認知機能評価装置、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Rødvik Speech sound confusions in wellperforming adults an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measured by repetition of mono-and bisyllabic nonsense words
Yu Improving the Precision and Application of Speech Diagnostic Tests
Pak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motional Prosody in the Speech of Mandarin-Speaking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Taylor Further characterisation of the University of Canterbury Paediatric Auditory-Visual Matrix Sentence Test.
RU2203621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логокоррекции заик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