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577B1 -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77B1
KR101798577B1 KR1020170031208A KR20170031208A KR101798577B1 KR 101798577 B1 KR101798577 B1 KR 101798577B1 KR 1020170031208 A KR1020170031208 A KR 1020170031208A KR 20170031208 A KR20170031208 A KR 20170031208A KR 101798577 B1 KR101798577 B1 KR 10179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hearing
noise
output
impair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에이글로벌 가나안보청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에이글로벌 가나안보청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에이글로벌 가나안보청기
Priority to KR102017003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은, 난청인의 난청도를 측정하여 보청기의 소리크기(dB)와 주파수(Hz)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폭량을 조정한 프리셋을 적용하는 제1 피팅단계; 상기 난청인으로 하여금 난청인의 거주환경에서 들려오는 생활소음을 녹음하는 생활소음녹음단계; 상기 생활소음을 수신하여 소음DB에 저장하는 생활소음저장단계; 초기상태에 소음이 없는 공간으로서, 상기 생활소음이 출력되는 출력장치를 구비한 피팅룸을 설정하는 피팅룸설정단계; 상기 피팅룸에서 상기 소음DB에 저장된 상기 생활소음을 출력하는 생활소음출력단계; 상기 피팅룸의 내부에서 상기 난청인의 난청도를 재 측정하고 상기 프리셋을 재 조정하는 제2 피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The Fitting Method of Hearing Aids Using Personal Customized Living Noise}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난청인의 청력검사에 의해 최초 프리셋에 따라 보청기 피팅을 수행하되, 이후 일정 기간동안 실제 난청인이 겪는 거주환경에서 발생하는 생활소음을 저장해 두었다가 추가적인 보청기 피팅 수행 시 이 맞춤형 생활소음을 사용하여 보청기의 성능을 제어함으로써 기존 피팅과정과 대비하여 적은 조작단계를 통해 개인 맞춤형 피팅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시각과 함께 청력은 중요한 인지수단으로 정보화 사회인 현대에 정보를 얻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작업장이나 거주지 주변의 소음이 증가함에 따라 소음성 난청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난청은 급격히 청력이 손상되는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서히 진행되는 것으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난청이 발생하게 된다. 난청의 여러 가지 유형 중 하나가 감각신경성 난청인데 이 경우에는 청각세포의 손실에 의해서 발생하므로 보청기를 이용하여 청력을 보정해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보청기란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착용하는 기구이다. 보청기의 원리는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신호로 바꾸어 각 개인의 청력도에 맞도록 피팅하여 리시버를 이용하여 음파로 변환한 다음 귀에 음향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보청기의 피팅(fitting)이란 난청인의 청력도에 따라 적절한 보청기를 선택하고 보청기 주파수 대역별 증폭도와 최대출력 범위를 정확하게 맞추어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자가 잘 들을 수 있도록 조치하여 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피팅은 보청기 판매점이나 병원에서 청력검사를 받은 다음 청력도에 따라서 전문가가 직접 난청자에게 피드백을 받으면서 보청기에 피팅값을 설정 하여주는 방법으로 피팅을 진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보청기 피팅작업은 저장된 환경잡음을 출력하여 테스트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는 실제 난청인의 생활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그 특성이 달라 만족스럽지 못한 피팅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다른 방법으로서, 방음실에서 환경잡음을 발생시켜 보청기의 피팅을 수행하는 방법도 진행되고 있으나, 이 역시 저장된 환경잡음만을 난청인에게 발생시켜 검사하므로 실질적인 생활에서의 소음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 난청자의 개인적인 취향을 반영한 보청기 피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보청기 피팅 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2357호에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이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음원 발생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오디오 입력 포트를 통하여 피팅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부,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에서 피팅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피팅 파라미터에 따라 보청기의 피팅을 수행하는 피팅부 및 난청자가 상기 음원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만족하는 경우, 보청기 피팅을 실행하도록 상기 파라미터 추출부 및 피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이용하여 피팅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종래 보청기 피팅시 스피커를 통하여 음원을 입력받을 경우에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반향 또는 환경에 따른 잡음이 섞인 음원이 아닌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깨끗한 음원을 난청자가 청취하여 피팅할 수 있음으로 난청자의 청력도에 맞는 보청기 피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으나, 이러한 구성을 적용하려면 난청인 개인마다 통신이 가능하여 음원을 수신하고 이 음원을 난청인에게 출력하며, 동시에 난청인의 제어를 통해 보청기의 세팅을 변경할 수 있는 고가의 설정장비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상 문제로 실제 산업에 적용되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8648호 “보청기 조정 장치, 보청기, 및 프로그램”에 따르면, 보청기(101)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보청기 조정 장치(104)로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201)과, 소정의 환경 설정마다 파라미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203)과, 환경 설정마다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202)과, 파라미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204)을 가지고, 입력 수단(201)은, 복수의 상기 환경 설정을 선택하고, 선택된 것 중 하나의 환경 설정을 조작하며, 상기 제어 수단(202)은, 입력 수단(201)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환경 설정 내의 파라미터를 일괄 변환하는 보청기 조정 장치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보청기 조정 장치는 복수의 환경 설정을 선택한 것 중, 그 중의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모든 파라미터가 연동함으로써 일괄 변환할 수 있으므로, 기초가 되는 설정과 비슷한 설정으로 조정하고 싶다고 생각한 경우, 하나하나의 파라미터를 하나씩 변경해가지 않고 한 번에 복제를 행할 수 있으므로, 조정 시간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는 있으나, 이는 단순 전체 변환이 쉽다는 것일 뿐, 실제로 난청인에게 제공되는 보청기가 이와 같은 피팅작업만 수행하게 된다면 당연히 난청인은 착용 시 거부감이 들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다시 세부 조절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청기 피팅 수행 시 난청인마다의 맞춤형 생활소음을 사용하여 보청기의 성능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피팅 단계만으로도 각각의 난청인마다 만족스러운 피팅 결과를 낼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청인의 난청도를 측정하여 1차적으로 보청기 프리셋을 적용한 후 난청인의 거주환경에서 수집된 생활소음을 피팅룸에서 발생시킨 상태로 2차적으로 난청도를 재 측정하여 보청기 프리셋을 수정하는 개인 맞춤형 보청기 피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팅룸 내외부에 출력수단을 배치하고, 각각의 출력수단에서 차례로 생활소음을 발생시켜 보청기의 피팅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피팅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팅작업 시 제공하는 음성을 변조시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난청인이 인지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팅작업 중 이상소음을 추가로 발생시켜 특수한 상황에서도 난청인이 정확히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은, 난청인의 난청도를 측정하여 보청기의 소리크기(dB)와 주파수(Hz)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폭량을 조정한 프리셋을 적용하는 제1 피팅단계; 상기 난청인으로 하여금 난청인의 거주환경에서 들려오는 생활소음을 녹음하는 생활소음녹음단계; 상기 생활소음을 수신하여 소음DB에 저장하는 생활소음저장단계; 초기상태에 소음이 없는 공간으로서, 상기 생활소음이 출력되는 출력장치를 구비한 피팅룸을 설정하는 피팅룸설정단계; 상기 피팅룸에서 상기 소음DB에 저장된 상기 생활소음을 출력하는 생활소음출력단계; 상기 피팅룸의 내부에서 상기 난청인의 난청도를 재 측정하고 상기 프리셋을 재 조정하는 제2 피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출력장치는, 센터스피커, 리어스피커, 프론트스피커 및, 사람의 목소리로 이루어진 육성을 출력하는 서브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보청기 피팅방법은, 상기 제1 피딩단계 이후 상기 난청인으로부터 상기 프리셋의 만족도를 체크하는 프리셋검증단계;를 포함 함으로써, 상기 난청인이 상기 프리셋을 만족하는 경우 보청기 피팅을 종료하고, 상기 난청인이 상기 프리셋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생활소음녹음단계로부터 상기 제2 피팅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피팅단계는, 상기 난청인의 귓 속에 진동프로브를 삽입하여 상기 보청기를 통과한 소리의 증폭량을 체크하는 증폭량체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에 의하면,
1) 난청인의 난청도를 측정하여 1차적으로 보청기 프리셋을 적용한 후 난청인의 거주환경에서 수집된 생활소음을 피팅룸에서 발생시킨 상태로 2차적으로 난청도를 재 측정하여 보청기 프리셋을 수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2) 피팅룸 내외부에 출력수단을 배치하고, 각각의 출력수단에서 차례로 생활소음을 발생시켜 보청기의 피팅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피팅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며,
3) 피팅작업 시 제공하는 음성을 변조시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난청인이 인지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며,
4) 나아가 피팅작업 중 이상소음을 추가로 발생시켜 특수한 상황에서도 난청인이 정확히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팅룸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피팅단계에서 3단계의 검시과정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피팅단계에서 유성자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변조하는 세부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팅룸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피팅룸(20)은 후술할 내용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초기상태에는 소음이 없는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되, 내부에 복수의 스피커가 위치하고 있다. 중앙부위에는 난청인(10)이 위치하며, 이 난청인(10)의 주변에는 난청인(10)의 난청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기와 육성을 출력하는 서브스피커(24), 센터스피커(21), 프론트스피커(22), 리어스피커(23)를 제어하되, 랜덤성을 부과하여 청각측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랜덤발생기(50)가 포함되기도 한다. 이 난청인(10)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에는 센터스피커(21)가 위치하고, 전면에는 프론트스피커(22)를, 후면에는 리어스피커(23)를 위치시킨다. 이 스피커들에서는 생활소음이나 육성 등 난청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소리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 외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에서 보다 상세히 진행토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은, 가장 크게 보청기를 사용하는 난청인(10)과, 보청기의 피팅작업을 수행하는 검시자 및 메인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난청인(10)의 경우, 청력이 약하여 보청기를 착용함으로써 청력의 보정을 요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검시자 및 메인시스템은 난청인(10)이 착용할 보청기의 피팅을 진행하는 대상이며, 메인시스템에는 보청기의 피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나 구성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 검시자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이 메인시스템을 통해 보청기의 피팅작업을 보조하는 사람이나 기계장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검시자의 역할을 메인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검시자는 유동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의 보청기 피팅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피팅단계로서, 난청인(10)의 난청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보청기의 음성출력 파라미터인 소리 크기(데시벨 : dB) 및 주파수(헤르쯔 : Hz)의 증폭값을 결정하는 보청기프리셋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메인시스템에는 보청기 제조사 등으로부터 제공받은 소프트웨어로서, 보청기의 기본 피팅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어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NAL-NL1(National Acoustic Laboratiries Non-Linear version1) 또는 NAL-NL2(National Acoustic Laboratiries Non-Linear version2)등의 방식을 활용하는데, 이러한 NAL 방식은 보청기의 착용 시 말소리의 명료도 및 음질을 최대화하기 위한 제어방법이다. 이에 따라 각 주파수에서 정상적인 음량을 회복할 수 있도록 이득을 산출함으로써 명료도를 높이는 방법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동일한 청력손실을 갖는 난청인(10)이 소음 환경에서 말소리의 높은 인지율을 갖는 보청기의 세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제1 피팅단계는 앞선 발명의 배경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주로 실내에서 기 저장된 소음을 출력하여 이 소음에 대해 난청인(10)의 인지능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지정된 보정값을 도출하여 보청기를 제어하는 것인데, 실내라는 환경적인 문제와 기 저장된 소음이라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기에 난청인(10)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피팅단계를 수행하여 보청기 프리셋을 설정하였더라도 난청인(10)이 만족할만한 보청기셋팅이 진행되었을 확률은 낮은 편이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생활소음녹음단계를 통해 이 보청기 프리셋을 실제로 착용한 상태에서 프리셋의 수정을 준비하는데, 약 1주 내지 1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통해 난청인(10)의 실제 거주환경에서 들리는 생활소음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때, 거주환경은 특정 소리크기나 주파수 미만의 안정공간과 이를 넘어서는 소음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난청인(10)의 요청이나 검시자의 재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 이 생활소음녹음단계에서 생활소음을 파악하기 위해서 난청인(10)은 별도의 녹음장치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녹음장치를 통해 다양한 거주환경에서 들려오는 생활소음을 녹음하여 추후 제2 피팅단계에서 최종적으로 보청기 피팅을 수행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생활소음녹음단계를 통해 녹음된 생활소음은 생활소음저장단계에서 메인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소음DB에 저장하고, 이어지는 피팅룸설정단계를 통해 이 생활소음이 출력되어 난청인(10)의 거주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갖도록 꾸민 피팅룸(20)을 설정하게 된다.
이 피팅룸(20)은 복수의 출력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 때, 난청인(10)을 기준으로 각각의 출력장치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마치 홈시어터 시스템과 유사한 형태를 갖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중앙부위에 난청인(10)이 위치하되, 난청인(10) 주변에(가장 바람직하게는 난청인(10)의 정면에) 위치하는 센터스피커(21)를 포함한다. 이 센터스피커(21)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소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발생되는 생활소음의 경우 메인시스템 상에서 제공되는 기본적으로 저장된 생활소음이 출력되거나 실제 거주환경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소음인 TV소리 등 일반적인 생활소음을 출력하는 방법, 또는 생활소음녹음단계에서 녹음된 생활소음을 소리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센터스피커(21)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경우 필요에 따라 변경 지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력장치로서 추가로 프론트스피커(22)와 리어스피커(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홈시어터시스템 등에서 실제 환경에서 소리가 들려오는 전후좌우 방향을 느낄 수 있도록 소리의 방향성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생성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채널생성방법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전방과 후방에서 소리를 출력하는 프론트스피커(22) 및 리어스피커(23)를 더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이 프론트스피커(22)와 리어스피커(23)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프론트스피커(22)의 경우 난청인(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스피커이나 전방에서도 좌우 구분이 가능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위치시키는 것이 좋고, 리어스피커(23)도 동일한 이유로 좌우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위치시키는 것이 발생되는 소리에 채널을 부여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한 프론트스피커(22) 및 리어스피커(23)는 전방과 후방의 채널을 각각 담당하게 되며 따라서 각 스피커의 위치마다 검사를 위한 육성을 출력하는 것으로 어떠한 채널(방향)에서 발생되는 육성을 인지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보청기 피팅을 보다 세부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난청인(10)의 귓속에 진동프로브를 삽입하여, 난청인(10)이 착용한 보청기를 통과한 소리의 증폭량을 체크하는 증폭량체크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증폭량은 대부분의 난청인(10)이 작은 dB의 소리를 인지하지 못하는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보청기가 소리를 크게 증폭시키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보청기 자체의 성능에도 문제가 없는지를 파악하고, 나아가 난청인(10)에게 실제 제공되는 증폭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이 증폭량체크과정을 더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먼저 여기에서 난청인(10)이 육성을 실제로 인지하였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난청인(10)이 육성을 인지한 이후 직접 육성을 인지한 방향을 이야기하거나 혹은 별도의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이 포함된 입력수단(40)을 난청인(10)에게 제공하여 육성이 들려오는 방향을 입력수단(40)에 기록하거나 혹은 입력수단(40)을 통해 입력함으로써 난청인(10)이 육성을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난청인(10)이 인식한 육성들의 특성값인 dB와 Hz값을 통해 난청인(10)이 듣지 못하는 특성값을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보청기의 피팅을 진행하는 제2 피팅단계를 마지막으로 피팅 과정이 종료되는 것이다. 기존에 이와 같은 피팅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피팅단말을 난청인(10)이 구비한 상태로 자택에서 정확하지 못한 피팅값 제어방법을 통해 피팅을 수행하게 되나, 제어미숙 등의 이유로 제대로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반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려 해도 저장된 소음음원을 통해 보청기 피팅을 진행하게 되어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오면 여전히 이질감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가의 기구를 구매하거나 잦은 피팅 작업을 진행하던 과거의 경우보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보청기의 피팅을 진행함으로써 훨씬 짧은 과정으로도 더욱 효과적인 보청기의 피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케이스이긴 하지만 제1 피팅단계에서 조정된 프리셋이 난청인(10)에게 적합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피팅단계를 진행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생활소음녹음단계 이후에 난청인(10)으로부터 프리셋의 만족도를 체크하는 프리셋검증단계를 거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프리셋검증단계에서 입력된 프리셋의 만족여부에 따라, 난청인(10)이 프리셋을 만족하는 경우 보청기 피팅을 종료하고, 반대로 난청인(10)이 프리셋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구성을 따라 진행하도록 한다.
이제, 신속하고 정확한 보청기의 피팅작업을 위해 어떠한 공정이 진행되는지 더욱 상세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1. 생활소음의 분석과정
생활소음출력단계는 가장 먼저, 난청인(10)으로부터 수집되어 제공된 생활소음을 분석하는 과정인 생활소음분석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생활소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바로 메인환경음과 주변잡음이다. 메인환경음의 경우, 난청인(10)이 위치한 거주환경에서 기본적으로 들리는 소음으로서 예를 들어 난청인(10)이 자택 내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텔레비전소리나 애완동물의 소리, 청소하는 소리, 부엌에서 요리하는 소리 등이 들릴 수 있는데 이를 메인환경음이라 한다. 이 때, 주변잡음으로는 갑자기 외부에서 들려올 수 있는 소리로서, 강풍이 부는 소리, 비오는 소리, 비행기소리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이렇게 메인환경음과 주변잡음을 나누는 것은, 주변잡음의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이 아니기 때문이며, 따라서 메인환경음을 생활소음의 주요성분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변잡음을 제거하여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메인환경음을 생활소음으로 활용하고, 주변잡음을 제거하지 않고 따로 추출하여 후술할 아우터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되는 잡음으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실제 상황과 유사한 형태의 생활소음을 제공토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2. 피팅룸(20)의 세팅과정
다시 피팅룸(20)에 대하여 설명하면, 피팅룸(20)은 바로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센터스피커(21)와 리어스피커(23) 및 프론트스피커(22)가 구비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피커들은 앞선 설명에서도 한번 설명하였듯이 각각이 세트로 구동되거나 혹은 별개로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피팅작업을 위해 난청인(10)에게 테스트할 목적으로 육성을 출력하는 별도의 서브스피커(24)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피팅룸(20)은 다시, 센터스피커(21), 리어스피커(23), 프론트스피커(22)가 위치하는 내부피팅룸(20)과 내부피팅룸(20)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우터스피커(25)가 위치하는 잡음형성공간(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피팅룸(20)에서는 생활소음(메인환경음+주변잡음 또는 메인환경음)을 센터스피커(21), 리어스피커(23), 프론트스피커(22)를 통해 발생하는 것이며, 잡음형성공간(30)에서는 주변잡음 혹은 별도의 추가적인 소음으로서 이상음원을 발생시켜 추가적인 소음효과를 통해 난청인(10)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소음환경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피팅단계에서 3단계의 검시과정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3. 보청기 피팅과정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세팅된 피팅룸(20)과 생활소음을 활용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 이 때, 보청기를 피팅하기 위해서는 검시자나 기존의 출력수단 또는 별도의 서브스피커(24)를 통해 난청인(10)의 인식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육성을 난청인(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육성은 간단한 단어나 문장이 될 수도 있으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충분한 길이(1분 내지 10분 정도)의 육성을 준비하여 이 육성을 모두 난청인(10)이 인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가장 기본적인 보청기 피팅 과정의 운영법으로서, 피팅룸(20) 구성을 통해 생활소음(혹은 이상음원까지)을 발생시킨 상태로 육성을 제공하여 난청인(10)이 육성을 인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청기의 세팅이 올바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다음의 구성을 통해 보청기의 제2 피팅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센터스피커(21)에서 메인환경음을 출력하는 센터출력과정과, 센터스피커(21)에서 메인환경음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추가로 서브스피커(24)에서 육성을 출력하여 난청인(10)의 난청도를 측정하는 제1 검시과정을 거친다. 이후 센터스피커(21)에서 메인환경음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리어스피커(23)를 통해 메인환경음을 추가로 출력하는 리어출력과정을 통해 센터스피커(21)와 리어스피커(23) 모두에서 메인환경음이 발생되는 상황을 형성하고, 이 때 난청인(10)의 난청도를 재 측정하는 제2 검시과정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센터스피커(21) 및 리어스피커(23)에서 메인환경음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프론트스피커(22)를 통해 메인환경음을 추가로 출력하는 프론트출력과정과, 프론트출력과정 이후 센터스피커(21), 리어스피커(23), 프론트스피커(22)에서 모두 메인환경음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난청인(10)의 난청도를 재 측정하는 제3 검시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각의 검시과정은 검시 결과에 따라 난청자가 제대로 인지를 못하는 경우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서, 다양한 방향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면서 난청도를 검시하기 때문에 난청인(10)이 프리셋을 재조정한 이후 보다 만족스러운 피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센터스피커(21)와 프론트스피커(22)를 사용할 때 출력되는 소음은 다화자잡음, 부엌소음, 청소소음 등의 소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센터스피커(21), 프론트스피커(22) 및 리어스피커(23)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출력되는 소음은 차량소음, 다화자잡음, 식당소음 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출력되는 채널과 방향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프론트스피커(22)만 활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실내의 소음을, 리어스피커(23)까지 모두 활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실외의 소음을 적용하여 보다 실제와 같은 소음환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이상음원은 파열음이나 큰 소리 등 다양한 음성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이상음원의 발생은 검시자나 메인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이상음원의 발생 시점에 따라 난청인(10)이 느끼는 문제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육성에서 변조된 유성자음이 출력되는 시점에 이상음원을 함께 출력되도록 설정하면 이상음원에 의해 육성이 잘 들리지 않게 될 수 있으며, 이상음원을 변조된 유성자음이 출력되는 시점 주위에 배치시킨다면 오히려 난청인(10)의 주위를 환기하는 역할을 하여 보다 육성에 집중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음원은 제1 방법으로서, 이러한 복합적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변조된 유성자음이 발생하는 시점을 고려하여 미리 배치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2 방법으로서, 이러한 변조된 유성자음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이상음원을 배치하여 활용하는 방법, 제3 방법으로서, 육성이 출력되는 도중에 제어되어 난청인(10)의 집중력이 저하되었을 때 이 이상음원을 통해 주의를 환기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3회의 검시과정에는 모두 아우터스피커(25)를 통해 주변잡음 또는 이상음원을 발생시킴으로써 돌발 상황의 발생 시에도 난청인(10)이 소리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과정으로도 보청기의 피팅작업은 가능하지만, 보다 다양한 음역대와 음색을 갖는 육성 또한 인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세부 세팅을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피팅단계에서 유성자음을 포함하는 음절을 변조하는 세부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3-1. 육성 설정파트
육성은 10초 내지 10분 정도의 시간 동안 연속 출력이 가능한 분량을 갖는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육성이 그대로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난청인(10)이 피팅 과정동안 육성의 출력에 익숙해져 인지가 점차 쉬워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난청인(10)에게 자극을 주어 익숙함을 잊은 상태로 인식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트릭장치가 필요하다.
이 때, 언어의 구조에는 자음과 모음이 있으며, 특히 자음은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성자음은 발음 시 목청이 떨리면서 나는 소리로서, 우리말의 경우 ㄴ,ㄹ,ㅁ,ㅇ의 4개의 자음이 유성자음으로 분류되고 나머지 자음은 무성자음으로 분류된다. 단어의 발음 시 이 유성자음에 변화를 주게되면 발음을 듣는 청자의 입장에서는 강한 소리가 변화되기 때문에 단어의 인식에 상당히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이 유성자음에 변화를 준 상태로 출력하였을 때, 해당 단어를 난청인(10)이 제대로 인지하는 경우에는 확실하게 해당 주파수나 데시벨값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보청기가 제어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성자음의 변조를 위해서, 다음의 구성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첫 번째로 육성을 텍스트화하는 텍스트화과정과, 이 텍스트를 복수의 어절로 구분하는 어절분류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문장에서 어절을 분석하여 각각의 어절을 분리한다. 이렇게 나뉜 어절마다 포함된 자음을 판단하게 되면 하나의 어절에 포함된 자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자음 중 유성자음을 도출하고, 이 유성자음이 포함된 글자의 발음을 변조토록 할 수 있다. 즉, 어절을 이루는 음절 중 유성자음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자음분류과정과, 유성자음이 포함된 음절을 유성음절로 설정하는 유성음절설정과정과, 유성음절을 기존 육성에서 소리크기(dB)와 주파수(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조한 변조육성을 생성하는 유성음절변조과정 및, 변조육성을 원래 육성에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출력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너는 어제 저녁에 뭘 먹었니’라는 문장이 있을 때, 맨 마지막 어절인 ‘먹었니’에서 유성자음이 포함된 단어는 ‘었’과 ‘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었’과 ‘니’의 발음에서 dB 값과 Hz값을 변경시키게 된다면 난청인(10)은 이 ‘먹었니’라는 단어를 들을 때에 쉽게 인지하기 어렵게 되며, 따라서 이 ‘먹었니’를 올바르게 인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생활소음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소리를 인식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지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 난청인(10)에게 입력수단(4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입력수단(40)은 피팅룸(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난청인(10)으로 하여금 변조된 육성을 인지한 경우 누르는 동작을 통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후 육성에서 변조된 육성이 포함된 단어를 블랭크 처리한 문장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인지테스터를 생성하는 테스터생성스텝과, 이 인지테스터를 난청인(10)에게 제공하는 테스터제공스텝과, 난청인(10)으로 하여금 변조된 육성을 인지한 경우 입력수단(40)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입력신호를 제공받는 신호입력스텝 및,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난청인(10)의 변조된 육성에 대한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인지판단스텝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입력수단(40)을 난청인(10)에게 제공하여 난청인(10)이 입력수단(40)에 인지한 단어를 직접 적거나 혹은 키보드와 같이 다양한 문자선택지를 통해 인지한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인지여부의 빠른 판단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유성자음의 변조 시 앞서 들었던 설명과 같이 ‘먹었니’라는 단어의 경우 총 3글자의 문자 중 ‘었’과 ‘니’의 2 개의 문자가 유성자음이기 때문에 이 2 개의 문자를 모두 변조하였을 때, 쉽게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분명히 소리는 들었으나 변조에 의해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없게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유성자음을 변조하지 않고, 특정 유성자음만을 변조시키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먼저, 연속유성판단스텝에서는 하나의 어절 내부에 복수의 유성자음이 존재하여 둘 이상의 음절이 변조 처리되는 경우, 이 음절들을 포함하는 연속유성어절을 도출하고, 이어 테스트변환스텝에서는 이 연속유성어절을 발음하여 테스트음성신호를 생성한다. 우리말의 경우 일반적으로 받침을 포함하는 문자가 받침을 포함하지 않는 문자보다 강한 소리를 내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유성자음 이외의 무성자음의 경우에도 끝소리가 ‘ㄴ’, ‘ㅁ’인 문자 다음에 위치하게 되면 강한 소리인 된소리로 발음되기 때문에 이러한 된소리로 발음되는 무성자음의 앞에 위치한 음절 또한 소리가 묻힐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리말의 특징을 고려하여 선택변조출력스텝을 통해 유성자음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유성자음이 포함된 음절을 다 변조하지 않고 가장 큰 소리가 나는 유성자음을 포함하는 음절의 소리크기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변조시키도록 구성하게 되면, 난청인(10)의 인지시험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불나방’이라는 단어가 있을 때, ‘불’과 ‘나’를 모두 변조시키는 경우라면 난청인(10)이 아닌 일반인이 듣더라도 해당 단어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받침이 존재하는‘불’의 경우 실제 발음에서 ‘나’보다 센 소리로 발음하게 되며, 이에 따라‘불’을 변조하고 ‘나’는 그대로 두어 정상적인 단어의 인식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3-2. 육성 변조파트
다만, 이러한 우리말의 발음규칙을 메인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프로그램이 매우 무거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메인시스템에서는 단어에서 유성자음의 위치를 파악하고, 유성자음이 포함된 문자만을 인지하되, 발음규칙을 판단하는 구성을 갖추지 않는다. 대신, 발음규칙을 대신할 수 있는 다음의 수학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2
는 최고음의 발생위치이고, Z는 0 내지 1 사이의 평활상수이며, W(p)는 피크위치의 dB값, W(p-n)은 상기 dB값의 주변시간(0 내지 t초)에서의 dB값을 의미한다.)
즉, Z는 0 내지 1 사이의 상수값을 갖게 되는데, 이 상수값에 따라 +를 기준으로 앞쪽에서는 W(p)인 피크위치의 dB값으로부터 앞쪽으로 어느 정도 범위의 이전 음높이를 함께 최고음의 발생위치로 지정할지 결정하게 된다. 또한 +의 뒤쪽인 W(p-n)의 경우 피크 위치로부터 이후 t초 사이동안 발생한 dB값 중 함께 최고음의 발생위치로 지정될 부분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음의 앞쪽에는 항상 자음이 위치하고, 뒤쪽에는 자음 또는 모음이 위치하게 되므로 유성자음을 변조하여 이를 인지하는지 확인하는 본 실험에서는 자음이 무조건 위치하게 되는 전방의 발음부터 크게 범위를 잡아 변조폭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음의 공식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큰 소리가 나는 dB 피크값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일정 범위를 변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조과정은 메인시스템이 우리말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단순히 유성자음의 유무여부와 dB 피크값만을 통해 음성변조를 진행하기 때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보청기 피팅을 진행하기 위한 육성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3. 생활소음 및 육성 출력의 재설정
이렇게 육성이 준비되면 다시 육성의 출력과 생활소음의 출력을 세팅하여야 할 것이다. 생활소음은 계속해서 언급하듯이 메인환경음과 주변잡음으로 나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상음원이 포함될 수 있다고 하였다.
먼저, 육성을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앞서 피팅룸(20)에 위치하는 서브스피커(24)를 통한 출력도 가능하지만, 보다 난청인(10)의 난청도 측정에 알맞은 출력을 위해 센터스피커(21), 프론트스피커(22), 리어스피커(23)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활용하여 육성을 다양하게 출력할 수도 있다.
즉, 피팅룸(20)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육성을 출력하는 초기출력선택스텝과, 초기출력선택스텝에서 선택된 출력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출력장치에 동일한 선택가중치를 부여한 상태에서 선택가중치에 비례하는 임의의 선택값을 출력하는 랜덤발생기(50)를 통해 출력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 육성을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는 랜덤출력선택스텝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임의의 하나의 출력장치가 선택되어 다양한 스피커 중 하나의 스피커에서 육성이 출력되도록 하되, 동일한 스피커에서 계속해서 육성이 출력된다면, 난청자가 이 소리방향에 익숙해지게 되어 난청도를 테스트하는 의미가 옅어지게 되므로, 육성이 다양한 스피커에서 랜덤하게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육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선택하는 특수한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이 패턴은 동일한 패턴으로 육성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스피커마다 선택가중치를 부여하여 육성이 출력될 스피커가 선택될 확률을 변경한 상태로 이 확률에 따라 자동 선택되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새로운 패턴을 갖기 때문에 난청인(10)이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장 먼저, 랜덤발생기(50)를 통해 복수의 스피커 중 선택된 하나의 스피커에서 최초로 육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랜덤발생기(50)는 일정한 확률에 따라 상기한 4가지의 스피커 중 하나를 추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시작 시에는 모두 동일한 확률을 갖되, 추첨될 때마다 확률이 큰 폭으로 낮아져 뽑힐 수 있는 확률을 조절함으로써 결론적으로는 고르게 랜덤으로 추첨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때, 육성을 출력하면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난청인(10)이 육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육성을 인지하지 못한 스피커를 기준스피커로 설정하고, 이 기준스피커에 랜덤발생회로에서 뽑힐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가중치를 일정 량 제공한다.
이 때, 랜덤출력 시 선택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3
(여기서, q는 선택가중치이고, m은 출력장치의 총 개수이며, Am은 전체 확률(100%)을, A1은 하나의 출력장치가 선택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이 수학식은 선택되지 않은 출력장치에 동일한 선택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전체 확률대비 하나의 출력장치가 선택될 수 있는 확률을 나누어 분배하는 것이며, 이러한 분배작업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출력장치가 계속해서 선택가중치를 부여받게 되어 선택확률을 높이게 된다. 다만, 결론적으로는 이것도 확률이기 때문에 아무리 높은 선택가중치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계속해서 선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아무리 낮은 선택가중치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계속해서 선택될 수도 있으나, 수많은 시행을 겪게되면 결론적으로는 모든 출력장치가 동일한 확률로 랜덤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러한 선택가중치를 적용하여 임의의 선택값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이 적용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4
(여기서, u는 출력된 선택값이고, zp는 이전 단계에서 선택된 출력장치의 선택확률, zo는 선택되지 않은 출력장치의 선택확률의 평균이며,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5
는 전체 출력장치의 선택확률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먼저, 이 단계는 최초로 하나의 출력장치가 선택된 이후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선택된 출력장치와 선택되지 않은 출력장치의 선택확률을 각각 더한 것을 전체 개수로 나누게 된다. 이것은 결국 모든 선택확률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인데, 여기에 추가적으로 표준편차값을 더함으로써 평균에 표준편차만큼의 합이 더해진 확률이 도출된다. 이 때, u를 선택하는 경우, 모든 선택확률이 평균에 표준편차를 더한 확률과 동일한 값을 가질 확률은 적으므로, 이 값과 가장 가까운 선택확률을 갖는 출력장치를 u로서 도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력장치를 도출하게 된다면, 반복횟수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패턴으로 출력장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난청인(10)에게 육성을 제공할 때에 다양한 패턴으로 출력이 가능하므로, 계속해서 발생하는 임의의 상황에서 난청인(10)의 가청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기존의 단조로운 패턴방식에 의한 난청측정 상황과 대비할 때, 동일한 시간동안 다양한 패턴의 측정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채롭고 확실한 피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3-6. 이상음원 출력 제어파트
이 때, 이 랜덤발생기(50)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상음원의 출력시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앞선 설명에서 이상음원은 랜덤발생하거나 혹은 변조된 육성와 대응되도록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다만, 육성와 대응되도록 발생시키는 경우는 난청인(10)의 집중도가 저하된 경우 정도에만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며, 일반적으로는 실제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잡음과 같이 불시에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이상음원이 발생할 기준 시점을 유성자음이 변조된 시점으로 설정한다. 즉, 유성자음의 변조음이 발생한 시점을 계수하는 카운터스텝을 설정하는 것이다. 앞선 구성 중 랜덤발생기(50)에서는 스피커가 출력되는 것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상태에서 랜덤으로 다음 출력될 스피커를 결정하였는데, 이러한 랜덤값 부여를 이상음원의 출력에도 적용하도록 가중치부여스텝을 포함한다. 이 때 적용 가능한 랜덤값의 예를 들면, 설정된 기준 시점에 랜덤발생기(50)에서 랜덤 선택된 스피커에 따라 일정 시간을 증감하여 도출된 발생 시점을 생성하는 것이다. 즉, 좌측 프론트스피커(22)를 2초, 우측 프론트스피커(22)를 0.5초, 우측 리어스피커(23)를 0초, 좌측 리어스피커(23)를 1.5초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랜덤발생기(50)를 통해 우측 프론트스피커(22)가 선택되었다고 하면, 마지막으로 이상음원출력스텝을 통해 유성자음이 변조된 시점에서 0.5초 빠른 시점에 이상음원을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다만, 이러한 유성자음이 문장 내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증감값이 4개의 경우의 수만 존재하기에 단조롭게 될 수도 있겠지만, 유성자음이 둘 이상 존재하게 되면, 다양한 시점에 이상음원이 출력될 수 있으며, 뒤쪽의 이상음원 발생시점이 앞쪽의 유성자음의 변조시점과 겹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결론적으로는 다양한 시점에 이상음원이 랜덤으로 발생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난청인 20: 피팅룸
21: 센터스피커 22: 프론트스피커
23: 리어스피커 24: 서브스피커
25: 아우터스피커 30: 잡음형성공간
40: 입력수단 50: 랜덤발생기

Claims (13)

  1.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난청인의 난청도를 측정하여 보청기의 소리크기(dB)와 주파수(Hz)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폭량을 조정한 프리셋을 적용하는 제1 피팅단계;
    상기 난청인으로 하여금 난청인의 거주환경에서 들려오는 생활소음을 녹음하는 생활소음녹음단계;
    상기 생활소음을 수신하여 소음DB에 저장하는 생활소음저장단계;
    초기상태에 소음이 없는 공간으로서, 상기 생활소음이 출력되는 출력장치를 구비한 피팅룸을 설정하는 피팅룸설정단계;
    상기 피팅룸에서 상기 소음DB에 저장된 상기 생활소음을 출력하는 생활소음출력단계;
    상기 피팅룸의 내부에서 상기 난청인의 난청도를 재 측정하고 상기 프리셋을 재 조정하는 제2 피팅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장치는,
    센터스피커, 리어스피커, 프론트스피커 및, 사람의 목소리로 이루어진 육성을 출력하는 서브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육성이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10초 내지 10분 정도의 분량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피팅단계는,
    상기 육성을 텍스트화 하는 텍스트화과정과, 상기 텍스트를 복수의 어절로 구분하는 어절분류과정 및, 상기 어절을 이루는 음절 중 유성자음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자음분류과정과, 상기 유성자음이 포함된 음절을 유성음절로 설정하는 유성음절설정과정 및, 상기 유성음절을 기존 육성에서 소리크기(dB)와 주파수(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조한 변조육성을 생성하는 유성음절변조과정과, 상기 변조육성을 원래 육성에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피팅방법은,
    상기 제1 피팅단계 이후 상기 난청인으로부터 상기 프리셋의 만족도를 체크하는 프리셋검증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난청인이 상기 프리셋을 만족하는 경우 보청기 피팅을 종료하고, 상기 난청인이 상기 프리셋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생활소음녹음단계로부터 상기 제2 피팅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팅단계는,
    상기 난청인의 귓 속에 진동프로브를 삽입하여 상기 보청기를 통과한 소리의 증폭량을 체크하는 증폭량체크과정을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룸설정단계는,
    상기 피팅룸의 내부에 상기 난청인으로 하여금 상기 변조된 육성을 인지한 경우 누르는 동작을 통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을 더 제공하고,
    상기 유성음절설정과정은,
    상기 육성에서 변조된 육성이 포함된 단어를 블랭크 처리한 문장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인지테스터를 생성하는 테스터생성스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출력과정은,
    상기 인지테스터를 상기 난청인에게 제공하는 테스터제공스텝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공받는 신호입력스텝 및,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난청인의 변조된 육성에 대한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인지판단스텝을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출력과정은,
    상기 육성에서 하나의 어절에 유성자음이 포함된 두 개 이상의 음절을 보유하는 연속유성어절을 도출하는 연속유성판단스텝과,
    상기 연속유성어절을 별도의 테스트음성신호로 변환하는 테스트변환스텝과,
    상기 테스트음성신호에서 상기 유성자음이 포함된 음절 중 가장 높은 dB값을 갖는 음절을 소리크기(dB)와 주파수(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선택변조출력스텝을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변조출력스텝은,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가장 높은 dB값을 갖는 음성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7
    는 최고음의 발생위치이고, Z는 0 내지 1 사이의 평활상수이며, W(p)는 피크위치의 dB값, W(p-n)은 상기 dB값의 주변시간(0 내지 t초)에서의 dB값을 의미한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룸설정단계는,
    상기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장치를 개별 제어하는 랜덤발생기를 더 설치하고,
    상기 합성출력과정은,
    상기 피팅룸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육성을 출력하는 초기출력선택스텝과,
    상기 초기출력선택스텝에서 선택된 출력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출력장치에 동일한 선택가중치를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랜덤발생기를 통해 하나의 선택값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선택값에 대응되는 출력장치에서 다음 육성을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는 랜덤출력선택스텝을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출력선택스텝은,
    다음의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가중치를 부여하고, 다음의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8

    (여기서, q는 선택가중치이고, m은 출력장치의 총 개수이며, Am은 전체 확률을, A1은 하나의 출력장치가 선택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7024751034-pat00009

    (여기서, u는 선택값이고, zp는 이전 단계에서 선택된 출력장치의 선택확률, zo는 선택되지 않은 출력장치의 선택확률의 평균이며,
    Figure 112017024751034-pat00010
    는 전체 출력장치의 선택확률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출력과정은,
    상기 유성자음의 변조음이 발생한 시점을 계수하는 카운터스텝과,
    상기 출력장치마다 임의의 시간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스텝과,
    상기 계수된 결과값에 상기 랜덤출력선택스텝에서 선택된 출력장치가 부여받은 시간 가중치를 합산한 시점에 상기 생활소음과 소리크기(dB), 주파수(Hz)가 모두 다른 별도의 이상음원을 상기 랜덤출력선택스텝에서 선택된 출력장치에서 추가로 출력하는 이상음원출력스텝을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KR1020170031208A 2017-03-13 2017-03-13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KR10179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08A KR101798577B1 (ko) 2017-03-13 2017-03-13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08A KR101798577B1 (ko) 2017-03-13 2017-03-13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577B1 true KR101798577B1 (ko) 2017-11-16

Family

ID=6080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08A KR101798577B1 (ko) 2017-03-13 2017-03-13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473A (ko) * 2020-11-23 2022-10-18 임화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피팅 모듈 및 이에 의한 피팅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76A (ja) * 2004-03-30 2005-10-13 Harmony Hochoki Kk 環境音提示装置及び補聴器調整装置
KR101490331B1 (ko) * 2013-06-21 2015-02-05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피팅 환경을 제공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를 이용한 보청기 피팅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76A (ja) * 2004-03-30 2005-10-13 Harmony Hochoki Kk 環境音提示装置及び補聴器調整装置
KR101490331B1 (ko) * 2013-06-21 2015-02-05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피팅 환경을 제공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를 이용한 보청기 피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473A (ko) * 2020-11-23 2022-10-18 임화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피팅 모듈 및 이에 의한 피팅 방법
KR102628840B1 (ko) * 2020-11-23 2024-01-24 임화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피팅 모듈 및 이에 의한 피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s et al. The selection of hearing aids Part II.
US7206416B2 (en) Speech-based optimization of digital hearing devices
Diehl et al. On explaining certain male-female differences in the phonetic realization of vowel categories
Lawson et al. Speech audiometry
US20070286350A1 (en) Speech-based optimization of digital hearing devices
US10334376B2 (en) Hearing system with user-specific programming
Castellana et al. Intra-speaker and inter-speaker variability in speech sound pressure level across repeated readings
Kleczkowski et al. Lombard effect in Polish speech and its comparison in English speech
JP2023171663A (ja) 発話信号を使っての幼児のための補聴器の有効確認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126297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청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Zhu et al. Study on linguistic information and speaker individuality contained in temporal envelope of speech
Messing et al. A non-linear efferent-inspired model of the auditory system; matching human confusions in stationary noise
KR101798577B1 (ko) 개인 맞춤형 생활소음을 적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Yadav et al. Autophonic loudness of singers in simulated room acoustic environments
RU2713984C1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людей с нарушением слуха 1 - 4 степени и дефектами речи на тренажере слухоречевого развития
AU2010347009B2 (en) Method for training speech recognition, and training device
Scharine et al. Auditory percep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WO2008110016A1 (en) Wireless headphones for use with a portable auditory and voice system
Pickett Some applications of speech analysis to communication aids for the deaf
Monson High-frequency energy in singing and speech
Liu et al. Audibility of American English vowels produced by English-, Chinese-, and Korean-native speakers in long-term speech-shaped noise
TWI498104B (zh) 聽力檢測方法及系統
Boothroyd Selection of hearing aids for children
JP6702539B2 (ja) きこえの診断装置、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Ooster et al. Potential of self-conducted speech audiometry with smart sp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