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216A - 액자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액자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216A
KR20230029216A KR1020210111456A KR20210111456A KR20230029216A KR 20230029216 A KR20230029216 A KR 20230029216A KR 1020210111456 A KR1020210111456 A KR 1020210111456A KR 20210111456 A KR20210111456 A KR 20210111456A KR 20230029216 A KR20230029216 A KR 20230029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frame
lighting device
power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266B1 (ko
Inventor
오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엘이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엘이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엘이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1011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2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액자형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는,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된 LED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평면을 이루고, 전원 공급시 불투명 또는 전원 차단시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한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1 LED; 및 상기 제1 LED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살균광을 조사 가능한 제2 LE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는,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된 LED 모듈;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평면을 이루고, 전원 공급시 불투명 또는 전원 차단시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한 도광판;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광판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플레이트에 거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자형 조명 장치{FRAME TYPE ILLUMINATING APPARATUS ADOPTING}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 기능은 물론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액자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 가능한 반도체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이다. 발광 소자는 수명이 길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해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LED 조명 장치는, LED 광원을 외부로 발광하여 조명으로 사용 가능하다. 조명 장치에서 LED 배치 방식에 따라 직하형(direct lighting)과 에지형(edge lighting)으로 나뉠 수 있다.
직하형은, LED가 피조명 영역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전방의 피조명 영역에 직접 조명 방식에 의한다. 이와 달리 에지형은, LED가 피조명 영역과 수직으로, 측면에 설치되어, LED에서 발광한 빛이 수직 마련된 도광판에 의해 면광원으로 바꿔줘 피조명 영역에 비추는 간접 조명 방식에 의한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8-0084203호와 같은 에지형 조명 장치는, 측면에 LED가 위치하나, 측면이 둘러싼 중앙 영역에 불투명의 도광판이 배치됨으로써, 직하형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불투명한 도광판에 의해 중앙 영역이 차단되어 조명 장치로만 사용되며, 사용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8-0084203호(공개일자: 2018.07.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조명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분위기 있는 공간연출로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 가능한 액자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명한 밝기의 조명을 제공하는 동시에 유해한 세균을 살균해 청정한 환경을 제공 가능한 액자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명 또는 전시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 가능한 액자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자형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는,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된 LED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평면을 이루고, 전원 공급시 불투명 또는 전원 차단시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한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1 LED; 및 상기 제1 LED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살균광을 조사 가능한 제2 LE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LED는 395 내지 415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는,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된 LED 모듈;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평면을 이루고, 전원 공급시 불투명 또는 전원 차단시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한 도광판;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광판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플레이트에 거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이미지를 표시 가능하고, 상기 LED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과 액자 기능이 서로 호환되도록 도광판을 불투명 또는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조도 이상의 광량 확보가 가능한 제1 LED와 살균 효과를 가지는 제2 LED를 선택적으로 호환하여 발광시킴으로써, 피조명 영역을 환하게 비추면서도 피조명 영역을 청정하게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내부, 플레이트에 디스플레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를 제공 가능해 액자형 조명 장치를 다양한 목적에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ED 모듈과 디스플레이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전원을 공급하도록 컨트롤러를 제어함으로써, 조명과 전자 액자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모두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a)과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과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LED의 도광판 투과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의 B-B'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a)과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a)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과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LED의 도광판 투과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는 도 5(a)의 B-B'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300a, 300b 또는 300c)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a) 내지 도 3(b), 도 5(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는, 피조명 영역에 광을 조사하거나, 선택적으로 공간상 심미감을 헤치지 않고 미려한 조형물로 활용 가능한 조명 장치이다. 액자형 조명 장치(10)는, LED 모듈(100)과 도광판(200)을 포함하고, 고정수단(300a, 300b 또는 300c)과 컨트롤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a) 내지 도 3(b),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LED 모듈(100)은, 프레임(11)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은,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며, 내측벽인 지지벽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LED 모듈(100)을 지지하고, 액자형 조명 장치(10)의 외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a)와 도 3(a)에 도시된 대로 프레임(11)은, 소정 두께를 이루며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LED 모듈(100)이 마련될 수 있도록 프레임(11)이 지지벽을 제공할 경우,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프레임(11)은, 제1 평면(12)에 대해 수직의 지지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a) 내지 도 3,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프레임(11)은, 제1 평면(12)에 대한 90도의 경사 각도를 제공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11)은, 후술할 제1 LED(110)와 제2 LED(120) 각각에 대한 경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가질 수 있다. 즉, 제1 LED(110)와 제2 LED(120)의 서로 다른 입사각도와 휘도를 고려해, 제1 LED(110)와 제2 LED(120)가 배치되는 지지벽의 피조사 영역에 대한 경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LED(110)가 지지되는 프레임(110)의 지지벽은 피조사영역을 기준으로 90도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제2 LED(120)가 지지되는 프레임(110)의 지지벽은 피조사영역을 기준으로 100도 이상의 둔각으로 된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LED 모듈(100)은, 제1 LED(110)와 제2 LED(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110)는, 피조사 영역을 비롯한 특정 공간을 밝히기 위한 조명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LED(110)은, 백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LED(110)는, 에지형 타입의 조명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LED(110)는, 프레임(11)의 지지벽 상에 마련되며, 복수개가 구비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광량을 확보해 주 조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LED(12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 효과가 우수한 가시광선 영역대의 살균광을 발광해 피조사 영역을 살균 가능한 조명 기구일 수 있다.
제2 LED(120)는, 에지형 타입의 조명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LED(120)는, 제1 LED(110)와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 LED(110)와 나란하게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제2 LED(120)는, 임의 단위로 묶여 배열되거나, 일정 간격을 따라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 LED(110)와 순차적으로 나란히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LED(110)와 제2 LED(120)는, 영역별 개수와 피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LED(110)와 제2 LED(120)는, 서로 다른 피치로 배열되어 프레임(11)의 지지벽 상에서 특정한 배열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a)와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LED(120)는, 프레임(11)의 지지벽 상에 제1 LED(110)와 교차하며 배열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배치 관계와 수량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LED(120)의 살균광은, 가시광 영역대 파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LED(120)의 살균광은, 가시광 영역대 파장 중 395~415nm 파장대일 수 있다. 제2 LED(120)의 살균광은 바람직하게 405nm의 근자외선 파장의 광일 수 있다. 제2 LED(120)의 살균광은, 박테리아 내 포피린과 반응해 활성산소를 유발, 세포를 파괴해 사멸, 불활성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악취발생원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박테리아에는 포도구균, CONS, 연쇄구균, 장구균 등이 있다.
다시 도 1(a) 내지 도 3(b), 도 5(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도광판(200)은, 프레임(11) 내부에 장착되어, 제1 평면에 대응되도록 배치 마련될 수 있다. 즉 도광판(200)은 제1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도광판(200)은,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불투명 또는 투명으로 형질 변환이 가능하다. 도광판(200)은, 복수개의 도광패턴(2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광판(200)은, 전원 공급부(14)의 전원 공급시 불투명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광판(200)이 불투명한 경우, LED 모듈(100)의 빛이 도광판(200)을 거쳐 피조명 영역으로 빛을 산란시켜 광을 조명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광판(200)이 투명한 경우, 사용자는 제1 평면 너머의 시야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도광패턴(210)은, LED 모듈(1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광패턴(210)은, LED 모듈(100)의 측후방에 마련되어, 제1 LED(110)에서 발광된 백색광 또는 제2 LED(120)에서 발광된 살균광의 광 경로를 피조명 영역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광패턴(210)은, 제1 LED(110)에서 발광된 백색광 또는 제2 LED(120)에서 발광된 살균광의 광 조사 경로 상 마련될 수 있다.
도광패턴(210)은, 정면 발광하는 제1 LED(110)의 백색광 또는 제2 LED(120)의 살균광을 분산 굴절시키기 위해 특정 패턴과 임의 배열을 이루며 도광판(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유리 재질의 도광판(200)의 광 투과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200)은, 제2 LED(120)가 가지는 395 내지 415nm의 파장대에 대해 우수한 투과율로 광투과할 수 있다. 에지형 조명 장치인 제2 LED(120)가 도광판(200)에 의해 광 조사 경로가 변경되더라도 제2 LED(120)의 살균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1(a) 내지 도 3,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패턴(210)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 마련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광판(20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원 공급부(14)의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불투명으로 선택적으로 형질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광판(200)은, 유리,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200)은, 백색광 또는 살균광을 투과하여 피조명 영역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400)는, LED 모듈(100)과 도광판(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LED 모듈(100)과 도광판(20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원 공급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0)는,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조형 장치로 사용할 경우, LED 모듈(100)과 도광판(200)에 전류 인가를 차단하도록 전원 공급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400)는, 제1 LED(110)와 제2 LED(120)의 온/오프(ON/OFF)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컨트롤러(400)는, 제1 LED(110)와 제2 LED(120)의 광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선택적으로 제1 LED(110)를 구동시키는 조명 모드와 제2 LED(120)를 구동시키는 살균 모드, 제1 LED(110)와 제2 LED(120)를 구동시키는 조명-살균 혼합 모드, 제1 LED(110)와 제2 LED(120) 모두를 점멸하는 소등 모드로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액자형 조명 장치(10)는, 도 4(a)와 도 4(c)에 도시된 대로 조명 기구 또는 도 4(b)와 도 4(d)에 도시된 대로 전자 액자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 가능한 복합 조명 장치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액자형 조명 장치(10)는, LED 모듈(100)과 도광판(200), 고정수단(300a, 300b 또는 300c),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조명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고정수단(300a, 300b 또는 300c)은, 피조사 영역과 마주하여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제공해,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조명 이외의 기능으로 사용시,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a, 300b 또는 300c)은, 제1 평면 상에 마련된 플레이트(13) 상에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고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a)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이미지일 수 있다.
플레이트(13)는,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에 면접촉한 채로,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a)는, 인화된 사진, 평면 형태의 그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a)는, 전자 액자(digital photo frame)으로서, 전류 인가에 따라 디지털 소정의 이미지를 피조사영역을 향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정적이거나 동영상과 같은 동적인 이미지일 수 있으며. 컨트롤러(400)에 의해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전환하며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3)는, 디스플레이(13a)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3a)는, 액정 표시 장치(LCD)와 발광 표시 장치(L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도 7(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300a)은,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의 어느 가장자리를 양방향에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a)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의 슬릿을 가짐으로써, 슬릿에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고정할 수 있다.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는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탈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6과 도 7(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300b)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지점에서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b)은, 플레이트(13) 상에 고정된 채,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의 일부 영역을 면접촉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b)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가 탈부착할 수 있다.
다시 도 7(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300c)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지점에서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300c)은,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고정수단(300c) 중 어느 하나는 플레이트(13) 상에 고정되어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와 플레이트(13) 사이에 개재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수단(300c)이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고정수단(300c)과 인력이 작용해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13a)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400)는, LED 모듈(100)과 디스플레이(13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LED 모듈(10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원 공급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0)는, 액자형 조명 장치(10)를 소정의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액자로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3a)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원 공급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의 동작에 의해, LED 모듈(100)과 디스플레이(13a)에는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할 뿐, 조명과 액자의 기능이 동시에 구현될 수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액자형 조명 장치
100 : LED 모듈 110 : 제1 LED
120 : 제2 LED
200 : 도광판 210 : 도광패턴
300a, 300b 또는 300c : 고정수단
400 : 컨트롤러
11 : 프레임
12 : 제1 평면
13 : 플레이트 13a : 디스플레이
14 : 전원 공급부

Claims (4)

  1.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된 LED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평면을 이루고, 전원 공급시 불투명 또는 전원 차단시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한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백색광을 조사 가능한 제1 LED; 및
    상기 제1 LED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살균광을 조사 가능한 제2 LED을 포함하는, 액자형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ED는 395 내지 415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액자형 조명 장치.
  3. 제1 평면의 둘레를 이루는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 배열 마련된 LED 모듈;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평면을 이루고, 전원 공급시 불투명 또는 전원 차단시 투명으로 선택적 전환 가능한 도광판;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광판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플레이트에 거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액자형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이미지를 표시 가능하고,
    상기 LED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액자형 조명 장치.
KR1020210111456A 2021-08-24 2021-08-24 액자형 조명 장치 KR10254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56A KR102544266B1 (ko) 2021-08-24 2021-08-24 액자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56A KR102544266B1 (ko) 2021-08-24 2021-08-24 액자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16A true KR20230029216A (ko) 2023-03-03
KR102544266B1 KR102544266B1 (ko) 2023-06-16

Family

ID=8551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56A KR102544266B1 (ko) 2021-08-24 2021-08-24 액자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2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788A (ko) * 1988-01-29 1989-08-22 박창준 액정을 이용해서 투명도나 명암, 색상등의 가역적 조절이 가능한 유리창
KR20110055198A (ko) * 2009-11-19 2011-05-25 주식회사 씨엔엘(C&L) Led 조명액자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480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KR20170099200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엔비에스코리아 멀티광고 조명장치
KR20180084203A (ko) 2017-01-16 2018-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200082453A (ko) * 2018-12-28 2020-07-08 박덕배 스마트 윈도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788A (ko) * 1988-01-29 1989-08-22 박창준 액정을 이용해서 투명도나 명암, 색상등의 가역적 조절이 가능한 유리창
KR20110055198A (ko) * 2009-11-19 2011-05-25 주식회사 씨엔엘(C&L) Led 조명액자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480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KR20170099200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엔비에스코리아 멀티광고 조명장치
KR20180084203A (ko) 2017-01-16 2018-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200082453A (ko) * 2018-12-28 2020-07-08 박덕배 스마트 윈도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266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0287B (zh) 照明装置
JP2011243410A (ja) 照明装置
KR101532417B1 (ko) 이중리플렉터를 이용한 led 무영등
JPH11353920A (ja) 多色発光型面状光源ユニット
JP6964242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2007059163A (ja) 発光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発光物
JP2011100701A (ja) 両面発光型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9224030A (ja) Le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544266B1 (ko) 액자형 조명 장치
JP2010277901A (ja) 液晶表示装置
KR101098742B1 (ko) 측광형 거울조명장치
US20130027971A1 (en) Dazzle prevention lighting fixture with light guide means to disperse emitted light uniformly
KR1005965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1028997A (ja) 面発光装置
JP2011070922A (ja) 照明器具
CN110892471B (zh) 图像显示装置
KR1012387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1813B1 (ko) 살균 조명 장치
KR102262415B1 (ko) 살균 조명 장치
JP2008234876A (ja) 照明装置
JP7283090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CN110892468B (zh) 图像显示装置
KR101462256B1 (ko)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는 투명 액정 표시 장치
JP2008004511A (ja) 多色照明装置
WO2014045644A1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用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