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93A - 워셔액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워셔액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93A
KR20230028993A KR1020210110938A KR20210110938A KR20230028993A KR 20230028993 A KR20230028993 A KR 20230028993A KR 1020210110938 A KR1020210110938 A KR 1020210110938A KR 20210110938 A KR20210110938 A KR 20210110938A KR 20230028993 A KR20230028993 A KR 2023002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distributor
distribution unit
passag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이진희
공락경
김민석
한규원
최찬묵
이기홍
한승식
이종욱
강신원
진종현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8993A/ko
Priority to US17/889,825 priority patent/US20230059307A1/en
Priority to DE102022120858.3A priority patent/DE102022120858A1/de
Priority to CN202211011910.0A priority patent/CN115891920A/zh
Publication of KR2023002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셔액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셔액 분배 시스템은 리저버에 위치하여 워셔액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워셔펌프, 상기 워셔펌프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 상기 분배기 내의 각각의 분배유닛과 유체 연결되어 크리닝 대상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노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에 형성되는 각각의 분배유닛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워셔펌프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셔액 분배 시스템{System for Distribute of the Washer Liquid}
본 발명은 워셔액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워셔펌프를 통해 다양한 유량이 요구되는 크리닝 대상에 대응한 워셔액 분배를 수행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탑재되어 워셔탱크 내의 워셔액을 프론트 윈드실드 및 리어 윈드실드 중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워셔 펌프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윈드실드의 표면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자주 오염되기 때문에 전방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유리면에 묻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렇게 차량의 윈드실드에 묻은 이물질 등의 제거를 위해 차량에는 와이퍼 시스텝과 함께 와셔액 분사를 위한 와셔 노즐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야를 맑게 하기 위해 운전석에 설치된 와셔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와셔 스위치와 연계된 와셔 모터가 작동하고, 와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와셔액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와셔액은 와셔 노즐을 통해 윈드실드에 분사되며, 이렇게 분사된 와셔액과 와이퍼 작동을 통해 운전에 방해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는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다.
다만, 최근 자율 주행을 위해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다양한 기기(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의 오염물이 부착되는 경우 자율 주행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가능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으로서, 다양한 위치로 워셔액 분사를 수행하기 위한 유량 및 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클리닝 대상으로 충분한 유량 및 압력을 갖는 워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10-2009-00479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크리닝 대상에 대응한 워셔액 분배를 수행할 수 있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셔액 유량의 리던던시 및 분배기 리던던시를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분배기 또는 다수의 워셔펌프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워셔액 분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저버에 위치하여 워셔액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워셔펌프; 상기 워셔펌프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 상기 분배기 내의 각각의 분배유닛과 유체 연결되어 크리닝 대상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노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에 형성되는 각각의 분배유닛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워셔펌프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워셔펌프는 서로 병렬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워셔펌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워셔펌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리닝 대상에 요구되는 워셔액 유량 또는 상기 크리닝 대상과 체결되는 워셔펌프의 고장에 대응하여 상기 크리닝 대상 노즐과 연결되는 다른 워셔펌프를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워셔펌프와 상기 분배기가 체결되는 유입유로; 상기 분배기로부터 인접한 다른 분배기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유로; 및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노즐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의 내경사이즈는 상기 서브유로 및 배출유로의 내경사이즈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브유로의 내경사이즈는 상기 배출유로의 내경사이즈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크리닝 대상은 윈드실드 글라스, 리어 글라스,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리닝 대상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오염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크리닝 대상으로 워셔액을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노즐은 상기 분배유닛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유닛은 서로 인접한 분배유닛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유로; 상기 하우징의 최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유로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로 워셔액을 분배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메인 분배유닛; 및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고, 상기 메인 분배기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서브 분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분배유닛의 배출유로는 상기 메인 분배유닛의 배출유로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워셔액의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메인 분배유닛과 상기 서브 분배유닛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분배기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분배기와 각각 체결되는 메인 워셔펌프; 및 상기 메인 워셔펌프와 인접하여 상기 각각의 분배기로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되는 서브 워셔펌프;로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브 워셔펌프와 상기 분배기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 워셔펌프의 고장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리닝 대상에 대응한 유량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분배기를 제공하는바, 사용자 편의성 증대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서로 체결이 가능한 분배유닛의 결합을 통해 구성되는 분배기를 제공하여 정비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하나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두개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두개의 워셔펌프가 하나의 분배기와 체결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분배유닛의 결합구성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메인 분배유닛과 서브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분배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메인 분배유닛과 서브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분배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 1, 제 2, 및 유입, 배출, 메인, 서브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오류, 고장 및 페일로 지칭하는 것은 대상이 통상의 상태로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관계의 미작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분배유닛(110)을 포함하는 분배기(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분배유닛(110)과 유체 연결되는 다수의 노즐(300)로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워셔액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다수의 노즐(300)로 공급되는 설정된 워셔액의 유량 및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워셔펌프(200)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유체 회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배기(100)의 직렬 또는 병렬 배치되는 유체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워셔펌프(200) 및 분배기(100)의 리던던시를 해소하기 위한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워셔액 분배 시스템(1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액이 저수되어 있는 리저버(700), 리저버(700)의 배출단에 위치하여 워셔액을 분배기(100)와 유체연결되는 유입유로(600)로 토출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워셔펌프(200), 리저버(700) 내의 워셔액의 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레벨센서를 포함한다.
분배기(100)는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1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분배유닛(110)은 배출유로(620)를 통해 크리닝 대상(500)과 마주하는 노즐(300)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유체회로를 구성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10)은 분배기(100)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배기(100)와 분배기(100)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유로(610)를 통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분배기(100)를 구성하는 분배유닛(110)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유로(130)를 구성하고, 분배유닛(110)의 측면을 따라 인접한 분배유닛(110)이 순차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각각의 분배유닛(110)에 형성되는 유로(130)는 해당 분배유닛(110) 측면에 위치하는 분배유닛(110)의 유로(130)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크리닝 대상(500)은 윈드실드 글라스, 리어 글라스, 전후 또는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크리닝 요청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워셔펌프(200)의 구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배기(100)를 이루는 다수의 분배유닛(110) 각각의 밸브유닛(150)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밸브유닛(150)이 개방되는 경우, 분배유닛(110)의 배출유로(620)를 통해 워셔액이 노즐(300)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제어부(400)는 메인 분배유닛(110a)과 서브 분배유닛(110b)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메인 분배유닛(110a)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크리닝 대상(500)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워셔액 유량이 메인 분배유닛(110a)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워셔액 유량보다 큰 경우 서브 분배유닛(110b)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다수의 워셔펌프(2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메인 워셔펌프(200a)의 고장을 판단하고, 메인 워셔펌프(200a) 고장에 따른 리던던시를 확보하기 위해 서브 워셔펌프(200b)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400)는 크리닝 대상(500)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오염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분배기(100)로부터 해당 크리닝 대상(500)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되는 워셔액의 유량, 압력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워셔액의 유량 및 압력에 기인하여 워셔펌프(200)의 구동 개수, 분배기(100)를 구성하는 분배유닛(110)의 개방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분배기(100)가 직렬로 체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700)에 위치하는 워셔액이 분배기(100)의 유입유로(600)를 통해 제 1분배기(100a)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제 1분배기(100a)는 다수의 분배유닛(1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1분배기(100a)를 구성하는 분배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는 크리닝 대상(500)과 유체 연결되도록 노즐(300)과 연결된다. 또한, 제 1분배기(100a)의 분배유닛(11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분배기(100b)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2분배기(100b)는 다수의 분배유닛(1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 1분배기(100a)로부터 워셔액이 유입되어 노즐(300)을 통해 크리닝 대상(500)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제 1분배기(100a)를 구성하는 분배유닛(110)의 개폐를 제어하고, 제 2분배기(100b)를 구성하는 분배유닛(110)의 개폐를 각각 또는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 1분배기(100a)와 제 2분배기(100b)를 유체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서브유로(610)의 내경사이즈는 제 2분배기(100b)로부터 노즐(30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배출유로(620)의 내경사이즈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압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더욱이, 리저버(700)로부터 워셔액이 제 1분배기(100a)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유로(600)의 내경사이즈는 서브유로(610) 및 배출유로(620)의 내경사이즈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리저버(700)로부터 노즐(300)까지 이송되는 워셔액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2개의 워셔펌프(200)가 병렬로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있다.
다수의 워셔펌프(200)가 리저버(700)에 위치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10)을 포함할 수 있는바, 도 3에서는 분배기(100)와 체결되는 메인 워셔펌프(200a)와 유입유로(600)에 위치하는 밸브(210)를 더 포함하는 서브 워셔펌프(200b)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메인 워셔펌프(200a) 및 서브 워셔펌프(200b)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 서브 워셔펌프(200b)의 유입유로(600)에 위치하는 밸브(21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메인 워셔펌프(200a)의 구동 오류 또는 페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메인 워셔펌프(200a)의 작동 불능 상태에서 서브 워셔펌프(200b)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400)는 메인 워셔펌프(200a) 구동이 가능한 경우에도 분배기(100)에서 요구되는 워셔액의 압력 및 유량이 메인 워셔펌프(200a)의 구동량을 초과하는 경우, 서브 워셔펌프(200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2개 이상의 워셔펌프(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통해, 제어부(400)는 워셔펌프(200) 고장 또는 크리닝 대상(500)의 워셔액 유량 및 압력 요청에 대응하여 서브 워셔펌프(200b)의 구동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는 2개의 워셔액 분배기(100)가 각각 위치되는 서로 다른 2개의 유체 시스템에 하나의 서브 워셔펌프(200b)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 1메인 워셔펌프(200a)는 제 1분배기(100a)와 유체 연결되는 제 1회로를 포함하고, 제 2메인 워셔펌프(200a)는 제 2분배기(100b)와 유체 연결되는 제 2회로로 구성된다. 서브 워셔펌프(200b)는 제 1유입유로(600)와 제 2유입유로(600)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서브 워셔펌프(200b)의 토출단에는 유로(130)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밸브(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분배기(100)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워셔펌프(200b)로부터 토출되는 워셔액은 제어부(400)의 제 3분배기(100) 개폐 제어에 따라 제 1메인 워셔펌프(200a)의 토출단 및/또는 제 2메인 워셔펌프(200a)의 토출단으로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 1분배기(100a)를 포함하는 제 1회로와 제 2분배기(100b)를 포함하는 제 2회로는 서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 3분배기(100c)를 포함하는 서브 워셔펌프(200b)가 제 1회로와 제 2회로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서브 워셔펌프(200b)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서브 워셔펌프(200b)의 토출단에 위치하는 제 3분배기(100c)를 통해 제 1회로와 제 2회로에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 워셔펌프(200b)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400)는 제 1메인 워셔펌프(200a) 또는 제 2메인 워셔펌프(200a)의 고장에 따른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 1메인 워셔펌프(200a) 또는 제 2메인 워셔펌프(200a)의 고장시 서브 워셔펌프(200b)가 각각 제 1회로와 제 2회로로 워셔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회로 및 제 2회로에 요구되는 워셔액 유량 및 압력에 대응하여 서브 워셔펌프(200b)가 선택적으로 제 1회로 또는 제 2회로로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배기(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분배유닛(11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도 5a의 AA측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분배유닛(110)은 서로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크리닝 대상(500)과 마주하는 각각의 노즐(300)은 상기 분배유닛(110)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분배유닛(110)은 분배유닛(110) 각각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유로(130)를 포함한다. 분배유닛(110) 중 최외각 일단에 위치하는 분배유닛(110)은 유입유로(600)와 유체 연결되어 하우징(120)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130)와 연결된다. 더 바람직하게, 분배유닛(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130)는 배출유로(620)를 통해 노즐(300)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분배유닛(110) 중 최외각 타단에 위치하는 분배유닛(110)의 유로(130)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140)가 위치하고, 하우징(120) 내측을 관통하는 유로(130)의 끝단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커버(140)는 하우징(120)에 고정되도록 위치되고, 커버(140) 내측은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유로(130) 내측으로 유입되는 워셔액이 하우징(120) 외측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20)은 서로 인접한 하우징(120)과 체결될 수 있는바, 용접, 볼팅 등에 의해 인접한 하우징(120)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분배유닛(110)의 하우징(120)은 인접한 타 분배유닛(110)의 하우징(120)과 걸림구조, 삽입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바, 하우징(120)간의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분배유닛(110)은 밸브(210) 유닛을 포함하여 제어부(400)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400)는 크리닝 요청에 대응되는 위치의 밸브(210) 유닛을 개방하여 노즐(300)로 하우징(120) 내측에 위치하는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밸브(210) 유닛은 하우징(120) 내측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분배유닛(110)은 일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유로(60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분배유닛(110a)을 포함하고, 메인 분배유닛(110a)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서브 분배유닛(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분배유닛(110b)은 메인 분배유닛(110a)의 배출유로(620)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400)는 메인 분배유닛(110a)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또는 크리닝 대상(500)에 많은 유량이 요구되는 경우 서브 분배유닛(110b)의 밸브(210) 유닛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메인 분배유닛(110a)의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으며, 또는 크리닝 대상(500)으로 메인 분배유닛(110a)에 설정되어 있는 워셔액 유량 이상의 유량을 상기 크리닝 대상(500)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분배유닛(110)에 형성되는 유로(130)는 유입유로(6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더욱이, 서브 분배유닛(110b)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배유닛(110)의 하우징(120)은 서로 인접한 분배유닛(110)과 유체 연결을 수행하도록 유로(130)와 마주하는 일단이 인접한 분배유닛(110) 하우징(12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유로(130)가 연결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밸브유닛(150)은 상방향 개방 또는 하방향 개방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방된 밸브유닛(150)이 원복되도록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메인 분배유닛(110a)과 서브 분배유닛(110b)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에서는 도 6a의 BB 측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유입유로(6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메인 분배유닛(110a)이 서로 체결되어 위치하고,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서브 분배유닛(110b)이 하나 이상 메인 분배유닛(110a)과 체결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분배유닛(110b)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분배유닛(110a)과 인접하여 메인 분배유닛(110a)의 유로(13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서브 분배유닛(110b)은 메인 분배유닛(110a) 내측에 형성되는 유로(130)와 유체 연결되도록 서브 분배유닛(110b) 하우징(120) 내측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서브 분배유닛(110b)은 크리닝 대상(500)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을 분배하거나, 또는 주행환경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크리닝 대상(500)과 유체 연결되는 메인 분배유닛(110a)과 체결될 수 있다.
즉, 메인 분배유닛(110a) 하우징(120) 내측에 위치하는 배출유로(620)의 일단을 중심으로 메인 분배유닛(110a) 하우징(120)의 둘레에 위치하는 유로(130)는 서브 분배유닛(110b) 내측에 형성되는 유로(130)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서브 분배유닛(110b)의 배출유로(620)는 메인 분배유닛(110a) 배출유로(620)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서브 분배유닛(110b)의 밸브유닛(150)이 개방되는 경우, 메인 분배유닛(110a)의 배출유로(620)와 유체 연결되는 크리닝 대상(500) 노즐(300)로 워셔액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메인 분배유닛(110a)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크리닝 대상(500)으로 분사되는 워셔액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바, 크리닝 대상(500)의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분배유닛(110a)의 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메인 분배유닛(110a)의 고장에 대응하여 서브 분배유닛(110b)을 개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크리닝 대상(500)의 워셔액 유량이 메인 분배유닛(110a) 단일 유량 이상 요청되는 경우 서브 분배유닛(110b)을 개방하여 요청된 유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분배유닛(11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10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워셔펌프(200)가 직렬 또는 병렬형태로 체결되는 유체 회로를 제공하는바, 분배기(100) 또는 워셔펌프(200)의 리던던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다수의 크리닝 대상(500)으로 워셔액이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10)을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워셔액 분배 시스템
100: 분배기
100a: 제 1분배기
100b: 제 2분배기
110: 분배유닛
110a: 메인 분배유닛
110b: 서브 분배유닛
120: 하우징
130: 유로
140: 커버
150: 밸브유닛
200: 워셔펌프
200a: 메인 워셔펌프
200b: 서브 워셔펌프
210: 밸브
300: 노즐
400: 제어부
500: 크리닝 대상
600: 유입유로
610: 서브유로
620: 배출유로
700: 리저버

Claims (14)

  1. 리저버에 위치하여 워셔액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워셔펌프;
    상기 워셔펌프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
    상기 분배기 내의 각각의 분배유닛과 유체 연결되어 크리닝 대상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노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유닛에 형성되는 각각의 분배유닛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워셔펌프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펌프는 서로 병렬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워셔펌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워셔펌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기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리닝 대상에 요구되는 워셔액 유량 또는 상기 크리닝 대상과 체결되는 워셔펌프의 고장에 대응하여 상기 크리닝 대상 노즐과 연결되는 다른 워셔펌프를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펌프와 상기 분배기가 체결되는 유입유로;
    상기 분배기로부터 인접한 다른 분배기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유로; 및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노즐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의 내경사이즈는 상기 서브유로 및 배출유로의 내경사이즈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의 내경사이즈는 상기 배출유로의 내경사이즈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대상은 윈드실드 글라스, 리어 글라스,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리닝 대상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오염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크리닝 대상으로 워셔액을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즐은 상기 분배유닛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유닛은 서로 인접한 분배유닛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유로;
    상기 하우징의 최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유로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로 워셔액을 분배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메인 분배유닛; 및
    상기 유로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고, 상기 메인 분배기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서브 분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분배유닛의 배출유로는 상기 메인 분배유닛의 배출유로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워셔액의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메인 분배유닛과 상기 서브 분배유닛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분배기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분배기와 각각 체결되는 메인 워셔펌프; 및
    상기 메인 워셔펌프와 인접하여 상기 각각의 분배기로 선택적으로 유체 연결되는 서브 워셔펌프;로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워셔펌프와 상기 분배기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 워셔펌프의 고장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 시스템.

KR1020210110938A 2021-08-23 2021-08-23 워셔액 분배 시스템 KR20230028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938A KR20230028993A (ko) 2021-08-23 2021-08-23 워셔액 분배 시스템
US17/889,825 US20230059307A1 (en) 2021-08-23 2022-08-17 System for distributing washer liquid
DE102022120858.3A DE102022120858A1 (de) 2021-08-23 2022-08-18 System zur verteilung von waschflüssigkeit
CN202211011910.0A CN115891920A (zh) 2021-08-23 2022-08-23 用于分配清洗液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938A KR20230028993A (ko) 2021-08-23 2021-08-23 워셔액 분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93A true KR20230028993A (ko) 2023-03-03

Family

ID=8513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938A KR20230028993A (ko) 2021-08-23 2021-08-23 워셔액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59307A1 (ko)
KR (1) KR20230028993A (ko)
CN (1) CN115891920A (ko)
DE (1) DE1020221208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963A (ko) 2007-11-09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963A (ko) 2007-11-09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사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20858A1 (de) 2023-02-23
CN115891920A (zh) 2023-04-04
US20230059307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4159B2 (en) Washer fluid vehicle reservoir
US9573159B2 (en) Metering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ensing two different adhesives from a single metering device or applicator onto a common substrate
KR101681895B1 (ko) 도장 로봇 및 그 작동방법
KR20190133241A (ko) 자동차용 자율 세정 시스템
US20200114880A1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transparent cover of an optical or optoelectronic device
US7124961B2 (en) Sprayer system
US20200070194A1 (en) Modified impingement spray nozzle
JP2003223226A (ja) バイパス付き流体圧力調整装置モジュール
EP0562888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lying coating material and cleaning of a spry nozzle
KR100720188B1 (ko)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장치
JP2006029457A (ja) 塗料用切換弁
KR101044526B1 (ko) 도로 표지병
KR20230028993A (ko) 워셔액 분배 시스템
KR20210150034A (ko) 워셔액 분배장치
CN111940162A (zh) 流体分配系统、流体分配器和使用该系统的流体喷射方法
US20180141522A1 (en) Washer fluid vehicle reservoir
US8262003B2 (en) Two-part spray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7106917B (zh) 用于喷射水并排放残留水的喷射设备及其控制方法
US5693150A (en) Automatic paint gun cleaner
US7611071B2 (en) Intermittently operable recirculating control module and dispensing nozzle having internally disposed fixed orifice
US20230382352A1 (en) Clea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200070978A1 (en) Concentric pump spray system
KR20210119166A (ko)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US7328854B2 (en) Fluid control valve and droplet ejection device
KR20230079563A (ko) 지원되는 센서 클리닝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