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474A - 도어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474A
KR20230028474A KR1020237002519A KR20237002519A KR20230028474A KR 20230028474 A KR20230028474 A KR 20230028474A KR 1020237002519 A KR1020237002519 A KR 1020237002519A KR 20237002519 A KR20237002519 A KR 20237002519A KR 20230028474 A KR20230028474 A KR 2023002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nsmission member
guide
sliding surfa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일라이슨
안톤 한쓴
Original Assignee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3002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parts connected at their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parts connected at their edges
    • E05D15/242Hinge connections between th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5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05Y2201/724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industrial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구(2)의 제1 측면(5)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개구(2)의 제2 측면(7)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6)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3); 폐쇄(C) 위치와 개방(O)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8); 상기 도어(8)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8)를 상기 폐쇄(C) 위치에서 상기 개방(O)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0); 및 상기 개구(2)의 상기 제1 측면(5) 및 상기 제2 측면(7)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모터(11)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하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에 의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따라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를 구동하도록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어(8)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와 접촉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표면(101)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표면(101)은 만곡부를 가지며, 이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휘어지고 상기 만곡부를 따르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 작동 시스템
본 발명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door operator system)에 관한 것이다.
도어 작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도어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도어 프레임을 따라 또는 그 반대로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도어들은 일반적으로 차고 도어 또는 산업용 도어로서 사용되었다. 스프링 또는 서포트 모터와 같은 기계적 유닛이나 모터가 도어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오버헤드 섹셔널 도어(overhead sectional door)에서는, 도어 위에 장착된 전기 모터가 도어에 부착된 와이어들을 사용하여 도어를 끌어당긴다. 이러한 오버헤드 섹셔널 도어는 종종 도어를 여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이기 위해 밸런싱 스프링(balancing spring)을 구현한다.
다른 유형의 알려진 도어들은 도어의 의도된 이동 궤적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 랙(fixed rack)과 인터페이싱하는 피동 피니언(driven pinion)들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도어는 밸런싱 스프링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또 다른 유형의 공지된 도어들은 서로 연결된 단단한 패널들의 보호 배리어 또는 도어 커튼을 갖는다. 개방 위치에서, 도어는 수평 위치로 위쪽으로 이동되었거나 드럼에서 롤로 감겨 있다. 여는 과정동안, 도어는 도어 개구의 양쪽에 그리고 도어 양쪽 상의 도어 린텔(door lintel) 위에 위치하는 고정 트랙 내로 슬라이딩된다. 타이밍 벨트, 롤러 체인 또는 스틸 로프와 같은 리프팅 장치가, 구동 유닛에 연결된다. 리프팅 장치는 패널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도어를 위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개방 위치에서 수평으로 배치되는 도어의 단점은 도어의 최하단부가 도어의 양쪽에 위치한 고정 트랙에 의해 지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도어의 최하단 부분은 도어의 수직의 폐쇄 위치에서 수평의 개방 위치 사이의 트랜지션 영역(transition area) 또는 트랙 벤드(track bend)에서 고정 트랙의 경로를 따르지 않을 것이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 유닛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구동 유닛은 상기 도어의 최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들은 도어의 최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가이드 롤러들은 도어 개구의 양쪽에 있는 고정 트랙들 또는 프레임 섹션들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들은 도어의 최하단 부분이 고정 트랙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전술한 결함 및 단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저감하기 위해 감소된 복잡성을 갖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용 효율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작동력(operating force)이 가능한 한 낮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술한 본 기술 분야의 결점 및 단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도어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유지 보수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복잡성이 감소된 도어 작동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비용 효율적인 요소를 사용하는, 도어 작동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작동력이 가능한 낮은 도어 작동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위에서 약술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이 제안된다. 제안된 해결책에서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이 설명된다.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개구의 일측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 및 상기 개구의 제2 측면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개구의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wrapping)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따라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도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표면은 만곡부(curvature)를 갖는데, 이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구부러지고 상기 만곡부를 따르는 것을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 작동 시스템은 전술한 본 기술 분야의 결점들 및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작동 시스템의 복잡성이 줄어들 것이고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줄어든다. 도어 작동 시스템의 작동력은 가능한 낮다. 추가로, 상기 도어 작동 시스템에는 비용 효율적인 요소들이 사용된다.
상기 도어 작동 시스템은 도어 개구 위로 수평이 될 수 있는 각도로 구부러지는, 프레임 섹션이 구비되는 오버헤드 섹셔널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작동 시스템은 수직 리프트 오버헤드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벽에 있는 도어 개구 위의 벽은 적어도 도어와 동일한 높이이며, 도어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도어가 열릴 때 프레임 섹션들에 의해 도어 개구 위쪽으로 완전히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도어 작동 시스템은 도어가 열릴 때 도어가 도어 개구 위로 나선형으로 말려 올라가는 스파이럴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서 도어를 가이드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은 도어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도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개구의 제1 측면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은 도어의 제1 측면 상에서 도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개구의 제2 측면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은 도어의 제2 측면 상에서 도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작동 시스템이 오버헤드 도어 작동 시스템인 경우, 제1 프레임 섹션 및 제2 프레임 섹션 각각은 수직 연장 부분, 수평 연장 부분 및 벤트(bent)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프레임,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섹션(4) 및 제2 프레임 섹션에 의해 형성된 궤적을 따르는 가이드 방식으로 프레임을 따를 수 있다.
개구는 건물에, 벽에 또는 펜스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는 건물, 벽 또는 펜스의 특정 목적에 적합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건물이 차량용 차고인 경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이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도어는 개구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를 통한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 또는 제한하기 위해 및/또는 건물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개폐 동안 도어가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게 위해 상기 도어는 구부릴 수 있거나, 유연하거나 또는 접을 수 있다. 상기 도어는 강도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열 및/또는 냉(heat and/or cold)으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개구로부터 그리고 개구로 이동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상기 도어는 개구 또는 개구의 일부를 커버한다.
개방 위치에서, 상기 도어는 전체 개구로부터 또는 개구의 일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다.
상기 구동 유닛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유닛은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이 도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유닛도 도어의 이동을 따라간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전기 모터, 유압 모터 및/또는 공압 모터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도어 프레임을 따라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도어 프레임을 따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개구의 제1 측면에 인접한 도어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의 제2 측면에 인접한 도어의 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개구의 제1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개구의 제2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개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모두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모터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기어박스는 모터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사이의 이동 가능한 연결은 구동 유닛의 이동성, 따라서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따라 도어의 이동성을 가져온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이동 가능한 연결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하는 점에서 얻어질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할 때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와 맞물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구동 유닛의 일부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구동 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구동 유닛을 통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크기가 작을 수 있고 따라서 도어에 작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간의 상호 작용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하는 것을 가져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와 접촉하도록 가이드한다.
슬라이딩 표면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와 접촉한다. 슬라이딩 표면은 낮은 마찰계수를 가져,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슬라이딩 표면 상에서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과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제와 같은 마찰 감소 부재가 슬라이딩 표면 및/또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에 공급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과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은 도어에 의한 개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과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은 도어 작동 시스템의 낮은 작동력에 기인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도어 작동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유지보수의 필요성도 감소된다.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형상, 유형 및 특성에 맞춰질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 상에서 슬라이딩하거나 놓일 때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구부러지고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를 따를 것이다.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 및 또한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표면의 위치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사이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표면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위한 가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를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신장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신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 간의 상호 작용을 증가시켜,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한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트랙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보다 더 소프트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에 작용하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로부터의 표면 압력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또한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 간의 마모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보다 단단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보다 내마모성이 더 큰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가이드 부재 또는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에 초기 큰 표면 압력을 가져오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의 초기 생성 이후, 표면 압력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여 감소할 것이다. 감소된 표면 압력은 가이드 트랙의 추가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는 15 mm - 50 mm 범위의 반경을 갖는다.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형상, 유형 및 특성에 맞춰질 수 있다. 15 mm - 50 mm 범위의 반경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가 구부러지고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를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또한 15 mm - 50 mm 범위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반경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suspended bendable transmission member)의 형태이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도어 프레임에 현수될(suspended)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도어 개구를 포함하는, 건물, 벽 또는 펜스에 현수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벤딩가능할 수 있다.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도어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의 벤딩가능 특성은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의 벤딩가능 특성은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가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를 따르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도어에 부착되고 도어의 바닥 수평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널은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개구의 플로어(floor)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탄성 패널은 도어에 탄성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 패널이 도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벤딩되거나 피벗될 수 있다. 탄성 패널은 도어에 탄성적으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탄성 패널은 탄성적이고 유연할 수 있다. 개구를 닫기 위해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탄성 패널은 도어의 바닥 수평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플로어와 접촉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벨트이다. 벨트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벨트에는 톱니가 구비될 수 있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벨트에 많은 양의 토크와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톱니형 풀리일 수 있다. 따라서 벨트와 톱니형 풀리는 이동 가능한 연결을 갖는다. 톱니형 풀리와 벨트는 함께 높은 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은 신뢰성이 있으며 소량의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달은 또한 컴팩트하고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벨트는 또한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를 따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는 구동 체인이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큰 토크와 힘을 구동 체인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스프로킷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체인과 스프로킷은 이동가능한 연결을 갖는다. 스프로킷과 구동 체인은 함께 높은 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은 신뢰성이 있으며 소량의 유지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전달은 또한 컴팩트하고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구동 체인은 또한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를 따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표면은 표면 경도를 가지며, 이는 슬라이딩 표면에서 구동 체인을 위한 가이드 트랙을 형성하도록 구동 체인을 제공한다.
구동 체인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에 가이드 트랙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은 구동 체인보다 더 소프트하다. 가이드 트랙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에 작용하는 구동 체인으로부터의 표면 압력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또한 구동 체인과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 간의 마모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구동 체인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보다 단단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체인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보다 내마모성이 더 큰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체인의 형상에 기인하여, 구동 체인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 상에 초기 큰 표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의 초기 형성 후, 표면 압력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여 감소될 것이다. 감소된 표면 압력은 가이드 드랙의 추가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도어는 복수의 수평 및 상호 연결된 섹션들을 포함한다. 섹션들은 단단할 수 있다. 섹션들은 서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섹션들은 힌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섹션들은 수평으로 배향된다. 상호 연결부들은 기계적 힌지들이나 가요성 또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힌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및 상호 연결된 섹션들은, 도어 프레임에 수직 연장 부분, 수평 연장 부분 및 벤트 연결 부분이 제공되는 경우, 도어의 이동 중에 이러한 부분들을 따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섹션들 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복수의 섹션들에 장착될 수 있다. 2개의 구동 유닛들은 섹션들 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개구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섹션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동 유닛은 개구의 제2 측면에 인접한 섹션의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제1 프레임 섹션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도어에 장착된 제1 가이드 롤러 세트 및 제2 프레임 섹션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 롤러 세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들은 프레임,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섹션과 제2 프레임 섹션에 의해 형성된 궤적을 따라 가이드 방식으로 도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유닛은 도어의 최하단 섹션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 세트는 최하단 섹션의 바닥 수평 단부면(bottom horizontal end phase)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어의 우수한 피벗 위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들은, 도어 작동 시스템이 도어가 개방 위치에서 수평 위치에 있는 업 앤 오버(up and over) 도어 작동 시스템일 때, 도어가 그 개방 위치(O)에 접근할 때 도어에 대한 공통의 낮은 피벗 포인트(common low pivot point)를 생성한다. 이는 예를 들어 고정 랙을 활용하는 피동 섹션들이 있는 도어와 비교하여 도어 개구 위의 필요한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일 양태에 따르면, 구동 유닛는 도어의 섹션 상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롤러는 섹션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 및 제2 프레임 섹션을 향해 각각 연장되고,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는 섹션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과 제2 프레임 섹션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롤러는 따라서 섹션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 및 제2 프레임 섹션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는 섹션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 및 제2 프레임 섹션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이는 구동 유닛이 장착될 수 있는 섹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구동 유닛는 도어(8)의 최하단 섹션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는 최하단 섹션의 바닥 수평 단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들이 구비된 섹션은 최하단 섹션일 수 있고, 하부 가이드 롤러들은 상기 최하단 섹션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는 도어의 우수한 피벗 위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하부 가이드 롤러들은, 도어 작동 시스템이 도어가 개방 위치에서 수평 위치에 있는 업 및 오버 도어 작동 시스템일 때, 도어가 개방 위치(O)에 접근할 때 도어에 대한 공통의 낮은 피벗 포인트를 생성한다. 이는 예를 들어 고정 랙을 활용하는 피동 섹션들이 있는 도어와 비교하여 도어 개구 위에 필요한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열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축 배열은 도어가 움직이는 동안 프레임과 가이드 롤러가 하중의 일부를 차지하는 것에 기인하여 가이드 부재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구동 유닛 및/또는 가이드 부재의 도어 섹션들 및 베어링들에 대한 결과적인 힘이 감소된다. 또한, 동축 배열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더 많은 것이 가이드 롤러들의 뒤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노출을 감소시킨다.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의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의해 가이드 부재를 통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 상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과 샤프트의 중심 축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의 동축 배열은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이 공통 수평 축을 따라 선형 연장부를 갖는결과를 가져온다. 수평 축은 제1 및 제2 프레임 섹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상부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이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열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축 배열은 도어가 움직이는 동안 프레임과 제1 가이드 롤러가 하중의 일부를 차지하는 것에 기인하여 상부 가이드 부재 상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구동 유닛 및/또는 상부 가이드 부재의 도어 섹션들 및 베어링들에 대한 결과적인 힘이 감소된다. 또한, 동축 배열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더 많은 것이 제1 가이드 롤러들의 뒤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의 노출을 감소시킨다. 제1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의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의해 상부 가이드 부재를 통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샤프트는 상부 가이드 부재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는 상부 가이드 부재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샤프트는 상부 가이드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 상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과 상기 샤프트의 중심 축은 상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과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의 동축 배열은 제1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과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이 공통 수평 축을 따라 선형 연장부를 갖는 것을 가져온다. 수평 축은 제1 및 제2 프레임 섹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들 중 하나는 가이드 롤러의 중심 축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열된 위치에서 그리고 도어의 바닥 수평 에지에 인접한 가이드 부재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도어의 우수한 피벗 위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가이드 롤러 및 가이드 부재는 따라서, 도어 작동 시스템이 업 앤 오버 도어 작동 시스템일 때, 도어가 그 개방 위치에 접근할 때 도어에 대한 공통의 낮은 피벗 포인트를 생성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는 그 중심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의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의해 가이드 부재를 통해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 상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샤프트는 가이드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 상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설명된 장치의 특정한 요소 부품들 또는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하는데, 이는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은, "하나", "어느", "그" 및 "상기"는 문맥에서 다르게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닛" 또는 "상기 유닛"에 대한 언급은 여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 "함유하는" 및 유사한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또한 부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받아들일 때,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어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는 본 개시의 현재 바람직한 예시적 양태들 및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개시된 양태들 및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어(8)가 폐쇄 위치에 있다. 도어 작동 시스템(1)은 개구(2)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 프레임(3)은 개구(2)의 제1 측면(5)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4)과 개구(2)의 제2 측면(7)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6)을 포함한다. 도어(8)는 폐쇄(C) 위치와 개방(O)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도 2a). 도어(8)는 도어 프레임(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2개의 구동 유닛(10)은 도어(8) 상에 장착된다. 도어(8)는 복수의 수평 및 상호 연결된 섹션들(9a-e)을 포함한다. 도 1의 도어 작동 시스템(1)은 오버헤드 도어 작동 시스템을 도시하는데, 제1 프레임 섹션(4) 및 제2 프레임 섹션(6) 각각은 수직 연장 부분(4a, 6a), 수평 연장 부분(4b, 6b) 및 벤트 연결 부분(4c, 6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어(8)가 개방(O) 및 폐쇄(C) 위치에 있다. 도어(8)는 개구(2)를 개폐하기 위해 개구(2)로부터 그리고 개구(2)로 이동할 수 있다. 폐쇄(C) 위치에서, 도어(8)는 개구(2) 또는 개구(2)의 일부를 커버한다. 폐쇄(C) 위치에서, 도어는 8은 플로어(floor)(15)에 놓일 수 있다. 개방(O) 위치에서, 도어는 개구(2) 또는 개구(2)의 일부에서 멀어지게 움직이고 도어(2)는 개구(2) 위에 수평적으로 배치된다.
도어 작동 시스템은 오버헤드 도어 작동 시스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구동 유닛(10)은 도어(8)를 폐쇄(C) 위치에서 개방(O)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한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개구(2)의 제1 측면(5) 및 제2 측면(7)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된다. 구동 유닛(10)은 모터(11)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를 추가로 포함한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하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에 의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따라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의 형태이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벨트 또는 구동 체인일 수 있다. 도 3에서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구동 체인이다.
도어(8)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와 접촉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표면(101)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표면(101)은 만곡부를 가지며, 이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구부러지고 만곡부를 따르는 것을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표면(101)의 만곡부는 반경(R)을 가지며, 이는 15 mm - 50 mm 범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도어(8)에 대해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101)은 도어(8)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슬라이딩 표면(101) 간의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열된 슬라이딩 표면(101)을 포함한다.
탄성 패널(91)은 도어(8)에 부착되고 도어(8)의 바닥 수평 에지(2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탄성 패널(91)은 도어(8)가 폐쇄 위치(C)에 있을 때 개구(2)의 바닥(15)(도 2b)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딩 표면(101)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위한 가이드 트랙(12)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표면(101)은 표면 경도를 갖는데, 이는 슬라이딩 표면(101)에서 구동 체인(19)을 위한 가이드 트랙(12)을 형성하도록 구동 체인(19)을 제공한다.
슬라이딩 표면(101)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 재료일 수 있다.
가이드 롤러(17)는,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치된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9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은 상이한 중심 축 배치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17)는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13)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101)의 만곡부의 중심 축(14)과 동축으로 배치된 위치에서 도어(8)의 바닥 수평 에지(20)에 인접한 가이드 부재(92)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 롤러(17)는 그 중심 축(13)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는 모터(11)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11)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모터(11)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에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1)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사이에 기어박스(16)가 배치될 수 있다.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 사이의 이동가능한 연결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따라 구동 유닛(10), 따라서 도어(8)(도 3)의 이동성(moveability)을 가져온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의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9)의 이동 가능한 연결은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에서 얻어질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쌀 때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맞물릴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도어(8)가 폐쇄 위치(C)에 있다. 도 5a에 따르면, 제1 가이드 롤러(17) 세트는 제1 프레임 섹션(4)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도어(8)에 장착되고 제2 가이드 롤러(17) 세트는 제2 프레임 섹션(6)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모터들(11)은 도어의 섹션들(9c 및 9e) 상에 장착된다.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가이드 부재(92)가 배치된다. 도 5b에 따르면, 모터들(11)은 도어(8)의 최하단 섹션(9e)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롤러(17)가 섹션(9e)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4)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17)가 섹션(9e)으로부터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17)는 최하단 섹션(9e)의 바닥 수평 단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부 가이드 부재(92)는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은,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이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92)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들(11)은 각각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에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작동 시스템(1)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도어 프레임에 현수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도어 프레임(3)에 현수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건물, 벽, 도어 개구(2)를 포함하는 펜스(22)에 현수될 수 있다.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벤딩가능할 수 있다.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19)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도어(2)의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 프레임 섹션(4, 6)의 형상을 따른다.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19)의 벤딩가능 특성은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19)가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19)의 벤딩가능 특성은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19)가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101)의 만곡부를 따르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한다. 또한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인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양태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은 도면,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스터디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할 때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영향을 받을 수 있다.

Claims (16)

  1. 개구(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작동 시스템(1)으로서,
    상기 개구(2)의 제1 측면(5)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개구(2)의 제2 측면(7)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6)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3);
    폐쇄(C) 위치와 개방(O)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8);
    상기 도어(8)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8)를 상기 폐쇄(C) 위치에서 상기 개방(O)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0); 및
    상기 개구(2)의 상기 제1 측면(5) 및 상기 제2 측면(7)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모터(11)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핑하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에 의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따라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를 구동하도록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어(8)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상기 피동 트랜스미션 부재(18)와 접촉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표면(101)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표면(101)은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가 휘어지고 상기 만곡부를 따르는 것을 촉진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표면(101)은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를 위한 가이드 트랙(12)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표면(101)의 만곡부는 15 mm - 50 mm 범위의 반경(R)을 갖는,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현수형 벤딩가능 트랜스미션 부재(19)의 형태인,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8)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8)의 바닥 수평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패널(91)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탄성 패널(91)은 상기 도어(8)가 폐쇄 위치(C)에 있을 때 상기 개구(2)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벨트인, 시스템(1).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트랜스미션 부재(19)는 구동 체인인, 시스템(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표면(101)은 표면 경도를 가지며, 이는 상기 슬라이딩 표면(101)에서 상기 구동 체인(19)을 위한 가이드 트랙을 형성하도록 상기 구동 체인(19)을 제공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8)는 복수의 수평 및 상호 연결된 섹션들(9a-e)을 포함하는, 시스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상기 도어(8)에 장착된 제1 가이드 롤러(17) 세트 및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 롤러(17)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도어(8)의 섹션(9a-e)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롤러(17)가 상기 섹션(9a-e)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해 각각 연장되며,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17)가 상기 섹션(9a-e)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시스템 (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도어(8)의 최하단 섹션(9e)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17)는 상기 최하단 섹션(9e)의 바닥 수평 단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시스템(1).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가이드 롤러(17)는 상기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13)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101)의 만곡부의 중심 축(14)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92)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는 상기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13)이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14)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 부재(9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10).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17)들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롤러(17)의 중심 축(13)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의 슬라이딩 표면의 만곡부의 중심 축(14)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8)의 바닥 수평 에지에 인접한 상기 가이드 부재(92)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10).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17)는 그 중심 축(13)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시스템(10).
KR1020237002519A 2020-06-25 2021-06-24 도어 작동 시스템 KR20230028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030212-1 2020-06-25
SE2030212 2020-06-25
PCT/EP2021/067276 WO2021260085A1 (en) 2020-06-25 2021-06-24 A door oper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474A true KR20230028474A (ko) 2023-02-28

Family

ID=7673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519A KR20230028474A (ko) 2020-06-25 2021-06-24 도어 작동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265705A1 (ko)
EP (1) EP4172442A1 (ko)
JP (1) JP2023531040A (ko)
KR (1) KR20230028474A (ko)
CN (1) CN115885080A (ko)
AU (1) AU2021295855A1 (ko)
CA (1) CA3184211A1 (ko)
MX (1) MX2022015474A (ko)
WO (1) WO2021260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7239A (zh) * 2019-06-10 2022-03-18 亚萨合莱自动门系统有限公司 门操作器系统
WO2023170089A1 (en) * 2022-03-08 2023-09-14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Entrance system and safety mechanism for an entrance system
WO2024056904A1 (en) 2022-09-15 2024-03-2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Automatic floor alignment calibration for an entrance system (i)
WO2024100112A1 (en) 2022-11-10 2024-05-16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Automatic floor alignment calibration for an entrance system (ii)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5081A (en) * 1951-10-08 1956-07-17 Johnson Clarence Garage door operators
DE4123575A1 (de) * 1991-07-16 1993-01-21 Kurz Rudolf Gmbh & Co Antrieb fuer sektionaltore
US6719032B1 (en) * 1999-10-08 2004-04-13 Edward Miers Shutter with articulated elements equipped with an electrical driving device
US6176039B1 (en) * 1999-11-22 2001-01-23 Terry A. Craig Garage door mounted object sensor system
US6622431B1 (en) * 2000-09-26 2003-09-23 John C. Simons Adjustable independent draft blocks for sealing garage doors or the like
US6651385B2 (en) * 2000-10-02 2003-11-25 Miller Edge, Inc. Retractable non-contact sensor system
EP1462601B1 (de) * 2003-03-22 2018-01-10 Novoferm GmbH Sektionaltor
US20090193716A1 (en) * 2005-01-25 2009-08-06 Clopay Building Products Company, Inc. Garage door panel with thermoset overlay element and related methods
DE202009000929U1 (de) * 2009-01-24 2009-03-26 Sommer Antriebs- Und Funktechnik Gmbh Antriebssystem für ein Tor
EP2933417B1 (de) * 2014-03-17 2017-11-15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Schiebetüranordnung
US11761250B2 (en) * 2017-09-06 2023-09-19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ectional door operator system
WO2023166047A1 (en) * 2022-03-01 2023-09-07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Tension arrangement for a door operator system
CA3195099A1 (en) * 2022-04-06 2023-10-06 Grigore Ion Doo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65705A1 (en) 2023-08-24
JP2023531040A (ja) 2023-07-20
CN115885080A (zh) 2023-03-31
WO2021260085A1 (en) 2021-12-30
CA3184211A1 (en) 2021-12-30
MX2022015474A (es) 2023-01-16
EP4172442A1 (en) 2023-05-03
AU2021295855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8474A (ko) 도어 작동 시스템
US20230090663A1 (en) A door operation system
CA2935969C (en) Rolle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way
KR101520253B1 (ko) 이동가능한 문짝 안내기구를 구비하는 승강 문
US6076589A (en) Articulated overhead gate for particularly small drop heights
US20230012351A1 (en) Door operator system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US6719033B2 (en) Power operated multi-paneled garage door opening system
JP2000505850A (ja) 回転ドア
CN111542673B (zh) 一种门
US20080083167A1 (en) Chain guide insert for a garage door
KR20100001237U (ko) 직선운동기구와 링크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자동문
EA039816B1 (ru) Нижнее звено ворот, имеющее откидной роликовый держатель
EP3707333A1 (en) High speed overhaead door
WO1999061742A1 (en) Slatted door
JP2022535596A (ja) ドア操作システム
AU2009243840A1 (en) Sectional door
US2721610A (en) Door construction
EP1366261B1 (en) Device in door arrangement
US20060180404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hoistway door and door-closing device
RU98118681A (ru) Потолочные сочлененные ворота для проемов с особенно низкой высотой перемычки
US9021740B2 (en) Hinged rail for barrier operators
AU748085B2 (en) Slatted door
ITVI20130181A1 (it)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per porte verticali, basculanti o simili
WO2020074384A1 (en) Overhead do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