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816A -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 Google Patents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816A
KR20230027816A KR1020210110021A KR20210110021A KR20230027816A KR 20230027816 A KR20230027816 A KR 20230027816A KR 1020210110021 A KR1020210110021 A KR 1020210110021A KR 20210110021 A KR20210110021 A KR 20210110021A KR 20230027816 A KR20230027816 A KR 20230027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hose
case body
cleaning
washing
cleanin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096B1 (ko
Inventor
황상두
Original Assignee
황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두 filed Critical 황상두
Priority to KR102021011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09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00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20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
    • B08B1/002
    • B08B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케이스 본체 내부에 샤워호스 외주연을 감쌀 수 있는 세척솔이 구비됨에 따라 이 세척솔을 샤워호스 외측에 위치시키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샤워호스 골 사이 사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신속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되, 샤워호스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상, 하부면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샤워호스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측방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호 형상으로 변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면에 식모된 세척모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기 관통공 중심 방향으로 세척모의 단부가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 하부면 측에 안착 고정되는 세척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샤워호스용 세척용구{WASHING TOOL FOR SHOWER HOSE}
개시된 내용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금속 자바라 형태의 샤워호스를 세척하기 위한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다용도실, 베란다, 주방 싱크대 등에는 급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호스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호스는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금속재질의 자바라 호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속재 자바라 호스는 외주연에 다수 개의 골이 형성되어 있는데, 히 샤워실에 설치된 샤워호스의 경우 그 길이가 다른 곳에 설치된 호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 장기간 사용하면 골 사이 사이가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주로 물 때나 곰팡이 등으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으로 인해 장기간 방치될 경우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샤워호스의 외부는 자주 세척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세척솔은 주로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세척솔을 여러 방향으로 돌려가며 청소해야 함에 따라 청소시간이 오래걸림은 물론 샤워호스의 골 사이 사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5818호(2018.02.21)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0893호(2000.02.22)
링 형상의 세척솔을 샤워호스 외측에 위치시키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샤워호스 골 사이 사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신속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되, 샤워호스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상, 하부면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샤워호스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측방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호 형상으로 변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면에 식모된 세척모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기 관통공 중심 방향으로 세척모의 단부가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 하부면 측에 안착 고정되는 세척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샤워호스 외주연을 감쌀 수 있는 세척솔이 구비됨에 따라 이 세척솔을 샤워호스 외측에 위치시키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샤워호스 골 사이 사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신속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의 세척솔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1)의 구성요소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케이스 본체(10)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추후에 설명될 세척솔(20)이 사용가능하게 내장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10)는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되, 샤워호스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상, 하부면 중앙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샤워호스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측방에 개방구(13)가 형성된다. 즉, 케이스 본체(10)는 개방구(13) 방향으로 샤워호스가 그 내부에 관통 위치되며 케이스 본체(10)의 중심에 샤워호스가 위치된다.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면에는 다수 개의 손잡이(14)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손잡이(14)는 사용자가 샤워호스 세척을 진행할 때 파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수 개의 손잡이(14)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사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지지될 수 있어 세척시 미끄러지지 않고 케이스 본체(1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외부면 중 손잡이(14) 사이에는 관통구(15)가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15)는 사용자가 세척솔(20)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하여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세척 중 오염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않을 때 사용자가 관통구(15)를 통해 손가락을 넣어 세척솔(20) 하부면을 샤워호스 방향으로 가압하면 샤워호스에 세척모(22)가 보다 강한 압력으로 마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케이스 본체(10) 일측에는 흡착패드(16)가 연결 구비되는데, 이 흡착패드(16)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1)가 사용되고 난 후 건조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흡착패드(16)는 흡착 방식으로 타일벽 또는 유리벽에 흡착 거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0)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 청소시에는 분리되고 보관시에는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상, 하부면 중 일측은 상기 케이스 본체(10)와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는 공간부(11) 내에 세척솔(20)이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그 일측이 분리디는 케이스 본체(10)의 상, 하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고정단턱(17)이 돌출 형성된다. 이 고정단턱(17)은 세척솔(20)의 측면이 안착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로, 고정단턱(17)에 의해 세척중 세척솔(20)이 유동되지 않고 공간부(11)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공간부(11) 내에는 세척솔(20)이 위치된다. 이 세척솔(20)은 케이스 본체(10) 내에 위치되어 케이스 본체(10)의 움직임에 따라 샤워호스 외주연의 골 사이 사이에 위치된 오염물질이 세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척솔(20)은, 도 3을 참조하면, 호 형상으로 변형되는 몸체(21)와, 이 몸체(21) 일면에 식모된 세척모(22)로 구성되되, 전술한 관통공(12) 중심 방향으로 세척모(22)의 단부가 모아질 수 있도록 몸체(21)의 측면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상, 하부면 측에 안착되고 고정단턱(17)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세척솔(20)의 몸체(21)는 경질소재로 제조되고 세척모(22)가 식모되는 고정부(211)와, 이 고정부(211)와 고정부(211) 사이에 연결되며 연질소재로 제조되어 몸체(21)가 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연결부(212)로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호스용 세척용구(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케이스 본체(10)의 상부면을 개방하고 그 내부에 세척솔(20)을 호 형상으로 변형시킨 상태로 삽입해 케이스 본체(10) 하부면에 세척솔(20) 일측면이 밀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개방된 케이스 본체(10) 상부면을 다시 케이스 본체(10) 측에 결합해 케이스 본체(10) 상부면에 세척솔(20) 타측면이 밀착되게 한다. 이때 세척솔(20)은 양측 고정단턱(17)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세척솔(20)의 세척모(22)는 관통공(12)의 중심방향을 향하게 모여진다.
그런 다음, 세척이 필요한 샤워호스에 청소용 세제를 분사한 뒤 개방구(13) 내로 샤워호스가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관통 위치시켜 그 중심에 샤워호스가 위치되게 한다.
그런 다음, 손잡이(14)가 손가락 사이에 지지되도록 케이스 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정 구간씩 케이스 본체(10)를 상하방향 왕복 이동시켜가며 샤워호스를 세척해준다. 오염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관통구(15)를 통해 세척솔(20)을 손가락으로 가압해 보다 강한 압력으로 세척솔(20)이 오염물질에 마찰될 수 있게 한다.
세척이 종료된 후에는 케이스 본체(10) 상부면을 다시 개방해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세척 및 건조하고 다시 역순으로 조립해 준 뒤, 흡착패드(16)를 이용해 화장실 일측에 거치 보관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샤워호스용 세척용구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샤워호스 외주연을 감쌀 수 있는 세척솔이 구비됨에 따라 이 세척솔을 샤워호스 외측에 위치시키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샤워호스 골 사이 사이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신속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10 : 케이스 본체
11 : 공간부
12 : 관통공
13 : 개방구
14 : 손잡이
15 : 관통구
16 : 흡착패드
17 : 고정단턱
20 : 세척솔
21 : 몸체
211 : 고정부
212 : 연결부
22 : 세척모

Claims (7)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되, 샤워호스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상, 하부면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샤워호스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측방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호 형상으로 변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면에 식모된 세척모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되, 상기 관통공 중심 방향으로 세척모의 단부가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 하부면 측에 안착 고정되는 세척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에는 다수 개의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샤워호스 세척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세척솔이 가압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는 상기 샤워호스용 세척용구가 타일벽 또는 유리벽에 흡착 거치될 수 있도록 흡착패드가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 하부면 중 일측은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 하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세척솔이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솔의 몸체는 경질소재로 제조되고 세척모가 식모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며 연질소재로 제조되어 상기 몸체가 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KR1020210110021A 2021-08-20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KR10267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21A KR102672096B1 (ko) 2021-08-20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21A KR102672096B1 (ko) 2021-08-20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16A true KR20230027816A (ko) 2023-02-28
KR102672096B1 KR102672096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893Y1 (ko) 1999-11-30 2000-05-15 서현주 청소용 세척구
KR200485818Y1 (ko) 2017-09-01 2018-02-27 이종훈 샤워 호스 세척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893Y1 (ko) 1999-11-30 2000-05-15 서현주 청소용 세척구
KR200485818Y1 (ko) 2017-09-01 2018-02-27 이종훈 샤워 호스 세척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3320B2 (ja) 電動モップ用収納台を自動掃除する汚水排水システム
KR101294703B1 (ko) 다용도 세척기
US8157466B2 (en) Cleaning device
JP2004515294A (ja) 哺乳瓶洗浄ブラシ
US20070061952A1 (en) Toilet cover and seat structure
KR20230027816A (ko)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KR102672096B1 (ko)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KR101089800B1 (ko) 세척용 브러시
JP3237735U (ja) シャワーホース掃除機
JPH114798A (ja) 多機能洗浄ブラシ
KR200236230Y1 (ko) 칫솔모와 스폰지가 부착된 휴대용 비누
CN217592644U (zh) 一种带有清洁刷的洗手池
JP3000803U (ja) 水洗式便器用の洗浄具
KR200297447Y1 (ko) 변기 청소기
KR20140070202A (ko) 다목적 청소기
JP4339965B2 (ja) 掃除具
CN214864495U (zh) 一种舒适型手持喷吸花洒
KR200333018Y1 (ko) 자동세척기
CN209770215U (zh) 一种用于清洁的刷子
CN217565226U (zh) 按摩清洁刷
KR200489025Y1 (ko) 변기용 청소용구
KR200462561Y1 (ko) 변기 세척 브러쉬
TWM596597U (zh) 噴水馬桶刷
JP2002177049A (ja) 用途によってブラシやスポンジ等の付け替えができる多目的充電式電動洗浄器
JP3000276B1 (ja) 清掃用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