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25Y1 - 변기용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변기용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25Y1
KR200489025Y1 KR2020180000172U KR20180000172U KR200489025Y1 KR 200489025 Y1 KR200489025 Y1 KR 200489025Y1 KR 2020180000172 U KR2020180000172 U KR 2020180000172U KR 20180000172 U KR20180000172 U KR 20180000172U KR 200489025 Y1 KR200489025 Y1 KR 200489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frame
cleaning brush
couple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호
김민서
김강재
Original Assignee
김순호
김민서
김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호, 김민서, 김강재 filed Critical 김순호
Priority to KR2020180000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청소용구는, 내부에 배수영역, 중간영역 및 모서리영역을 포함하는 변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에 있어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2프레임의 측부 사이에 결합되고, 각각에 제1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서 일정각도로 움직이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및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된 제1청소솔,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제2청소솔 및 상기 제2청소솔에 인접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된 제3청소솔을 포함하는 청소솔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변기 내부의 배수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중간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및 좁은 틈새, 모서리 및 구석진 곳을 청소하는 청소솔을 포함하여 변기 내부의 형태에 따른 적합한 청소솔을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고, 상기 청소솔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움직일 수 있어 편리하게 변기를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용 청소용구{A cleaning tools for bathroom}
본 고안은 변기용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기 내부의 배수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중간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및 좁은 틈새, 모서리 및 구석진 곳을 청소하는 청소솔을 포함하여 변기 내부의 형태에 따른 적합한 청소솔을 사용하여 청소하고, 상기 청소솔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움직일 수 있어 편리하게 변기를 청소할 수 있는 변기용 청소용구에 관한 것이다.
주변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청소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각 청소도구는 청소할 장소나 대상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집 안팎이나 자동차에 쌓인 먼지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먼지털이, 빗자루, 걸레 또는 청소솔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청소솔인 경우 변기나 화장실의 구석에 많이 사용하나 모양이 일정하여 구석 구석을 말끔하게 청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 20-0320402로 게시된 변기 청소구는 청소솔과 보관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솔은 삽입구가 형성된 덮개가 지지봉에 억지끼워맞춤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보관통은 솔부위가 수납되는 수납공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가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여 수납공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것이나 본 발명과 같이 구석 구석 좁은 곳에 범용으로 쓰이지 못하고 변기에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0-0001620로 게시된 청소솔은 봉상의 파지부와, 둘레방향을 따라 압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솔부와, 상기 솔부를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나 솔부가 일정 크기를 유지하므로 구석진 곳은 청소가 미비할 수 있다.
등록실용 20-0423592로 게시된 청소솔은 외부봉에 삽입된 내부봉의 길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저속, 중속, 고속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조작스위치와 전기선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를 수신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봉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세제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고, 화장실, 배란다 등의 찌든 때 및 곰팡이를 청소하기 위한 세제 및 세정액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캡과,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돌기홈을 중앙에 형성하고, 하단에 솔을 장착한 장착구와, 상기 세제통의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구의 양측 끝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 및 세정액이 상기 솔로 흐르도록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을 개방 및 밀폐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고가이고 전원이 필요하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변기 내부의 배수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중간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및 좁은 틈새, 모서리 및 구석진 곳을 청소하는 청소솔을 포함하여 변기 내부의 형태에 따른 적합한 청소솔을 사용하여 청소하고, 상기 청소솔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움직일 수 있어 편리하게 변기를 청소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청소용구는, 내부에 배수영역, 중간영역 및 모서리영역을 포함하는 변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에 있어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2프레임의 측부 사이에 결합되고, 각각에 제1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서 일정각도로 움직이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및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된 제1청소솔,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제2청소솔 및 상기 제2청소솔에 인접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된 제3청소솔을 포함하는 청소솔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3프레임의 외곽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홀; 및
상기 손잡이 하단부의 고정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고정버튼이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은 원호형상으로 배치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 중 최외각에 위치된 제2고정홀에 상기 고정버튼이 결합될 때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에 고정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3청소솔은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청소솔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한 쌍의 제3프레임은 부채꼴 형태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변기 내부의 배수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중간영역을 청소하는 청소솔 및 좁은 틈새, 모서리 및 구석진 곳을 청소하는 청소솔을 포함하여 변기 내부의 형태에 따른 적합한 청소솔을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고, 상기 청소솔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움직일 수 있어 편리하게 변기를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변기 청소구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 손잡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 및 3의 손잡이 및 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 변기의 청소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은 일 실시 예로 청소솔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 손잡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및 3의 손잡이 및 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청소용구는 손잡이(10), 몸체(20) 및 청소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0)는 제1프레임(21), 제2프레임(22) 및 제3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2)은 상기 제1프레임(21)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프레임(23)은 상기 제1프레임(21) 및 상기 제2프레임(22) 측부에 결합되고, 제1고정홀(26)을 포함한다. 상기 제3프레임(23)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한 쌍의 제3프레임(23)은 부채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프레임(23)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어떤것도 무방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10)는 막대형상으로 일측에 축고정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축고정부(12)는 상기 손잡이(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홀(26)에 결합되고 고정부재(13)에 의해 제1고정홀(26)에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임(21) 및 상기 제2프레임(22) 사이에서 일정 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23)은 상기 제1프레임(21) 및 상기 제2프레임(22) 측부에 한 쌍으로 겹합되고, 상기 제3프레임(23)은 복수의 제2고정홀(2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27)은 상기 제3프레임(23)에 원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는 하단에 고정버튼(1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버튼(11)은 상기 제3프레임(23)의 복수의 제2고정홀(2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0)를 고정한다.
상기 제1프레임(21) 및 상기 제2프레임(22)은 각각 상단에 손잡이 고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고정버튼(10)과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27)중 하나의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27)중 최외각 제2고정홀(27)에 상기 고정버튼(11)이 결합되면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제1프레임(21) 또는 상기 제2프레임(22)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0)가 상기 제1프레임(21) 또는 상기 제2프레임(22) 상단에 구성된 손잡이 고정부(25)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0)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청소솔부는 제1청소솔(31), 제2청소솔(32) 및 제3청소솔(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청소솔(31)은 상기 제1프레임(21) 외측에 결합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1청소솔(31)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청소솔(32)은 상기 제2프레임(22) 외측에 결합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2청소솔(32)은 상기 제2프레임(22)과 수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제3청소솔(33)은 상기 제2프레임(22) 외측에 결합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3청소솔(23)은 상기 제2청소솔(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3청소솔(33)은 상기 제2프레임(22)과 나란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3청소솔(33)은 각기 길이가 다른 청소솔 두개의 결합일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 변기의 청소영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은 일 실시 예로 청소솔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인 변기용 청소용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변기(50)의 청소영역은 배수영역(51), 중간영역(52) 및 모서리영역(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수영역(51)은 변기(50)의 오물이 배수관으로 나가는 부분으로 도 7과 같이 제1청소솔(31)을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배수영역(51)의 형상은 아래로 뚫린 홈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청소솔(31)은 상기 배수영역(51)의 형상과 적합하도록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제2프레임(22)과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2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0)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중간영역(52)은 변기(50)의 물이 내려가는 곡선의 넓은 면 형상으로 제2청소솔(32)을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청소솔(32)은 제2프레임(22)과 수직으로 솔이 나있는 넓은 면을 차지하는 빗자루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중간영역(52)의 넓은 곡선 면을 청소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0)는 도 8과 같이 복수의 제2고정홀(27) 중 중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2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0)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모서리영역(53)은 변기(50)의 좁은 틈새 또는 구석진 곳으로, 도 9와 같이 제3청소솔(33)을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3청소솔(33)은 폭이 좁고 긴 형태의 청소솔 일수 있으며, 상기 형태는 변기(50)의 좁은 틈새 또는 구석진 상기 모서리영역(53)과 같은 곳의 청소를 하는데 있어 적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0)는 도 9와 같이 복수의 제2고정홀(27) 중 상기 제1프레임(21)과 나란하도록 최외각 제2고정홀(27)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2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0)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손잡이 11 고정버튼
12 축고정부 13 고정부재
20 몸체 21 제1프레임
22 제2프레임 23 제3프레임
25 손잡이 고정부 26 제1고정홀
27 제2고정홀 31 제1청소솔
32 제2청소솔 33 제3청소솔
50 변기 51 배수영역
52 중간영역 52 모서리영역

Claims (6)

  1. 내부에 배수영역, 중간영역 및 모서리영역을 포함하는 변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에 있어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2프레임의 측부 사이에 결합되고, 각각에 제1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서 일정각도로 움직이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및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된 제1청소솔,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제2청소솔 및 상기 제2청소솔에 인접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나란하게 결합된 제3청소솔을 포함하는 청소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3청소솔은 상기 변기의 청소 영역에 따라 그 사용을 달리하고,
    상기 제1 및 2프레임은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의 외곽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홀; 및
    상기 손잡이 하단부의 고정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고정버튼이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청소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은 원호형상으로 배치된 청소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 중 최외각에 위치된 제2고정홀에 상기 고정버튼이 결합될 때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에 고정되는 청소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청소솔은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청소솔을 포함하는 청소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프레임은 부채꼴 형태인 청소용구.






KR2020180000172U 2018-01-12 2018-01-12 변기용 청소용구 KR200489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2U KR200489025Y1 (ko) 2018-01-12 2018-01-12 변기용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2U KR200489025Y1 (ko) 2018-01-12 2018-01-12 변기용 청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025Y1 true KR200489025Y1 (ko) 2019-04-18

Family

ID=6624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72U KR200489025Y1 (ko) 2018-01-12 2018-01-12 변기용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2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34U (ja) * 1993-09-14 1995-04-04 ▲よし▼雄 三原 便器清掃用ブラシ
KR20100053921A (ko) * 2008-11-13 2010-05-24 고병조 교체형 이중 청소솔
KR200466368Y1 (ko) * 2011-11-04 2013-04-11 안동시 창틀 청소용 솔
KR20180001348A (ko) * 2016-06-27 2018-01-04 윤상규 폴리싱 머신의 높낮이 조절용 핸들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34U (ja) * 1993-09-14 1995-04-04 ▲よし▼雄 三原 便器清掃用ブラシ
KR20100053921A (ko) * 2008-11-13 2010-05-24 고병조 교체형 이중 청소솔
KR200466368Y1 (ko) * 2011-11-04 2013-04-11 안동시 창틀 청소용 솔
KR20180001348A (ko) * 2016-06-27 2018-01-04 윤상규 폴리싱 머신의 높낮이 조절용 핸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2856B (zh) 用於吸塵器的吸嘴
US715006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6058558A (en) Auxiliary brush holder for a vacuum cleaner
KR100545266B1 (ko) 진공청소기의 접이식 브러시
KR200489025Y1 (ko) 변기용 청소용구
KR200466368Y1 (ko) 창틀 청소용 솔
KR100843267B1 (ko) 컵 세척기
KR200437022Y1 (ko) 청소용구
KR200205512Y1 (ko) 길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빗자루
JPH01249026A (ja) トイレブラシ
KR102672096B1 (ko) 샤워호스용 세척용구
AU2015101062A4 (en) Multi-functional floor mop brush
KR101250053B1 (ko)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KR100231438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KR20210013642A (ko) 청소 장치
KR100536137B1 (ko) 교체 사용이 용이한 청소기
US20240065495A1 (en) Cleaning brush and kit thereof
US2152272A (en) Fountain brush
CN213216770U (zh) 一种用于icu病房的清洁消毒装置
KR102187014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청소용 브러쉬
RU2003112285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чистя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ылесоса
KR200466440Y1 (ko) 되감기형 걸레 청소기
KR200288566Y1 (ko) 다용도 물걸레 청소기
CN112427357A (zh) 清洁装置
KR100299426B1 (ko) 진공청소기용보조브러쉬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