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053B1 -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053B1
KR101250053B1 KR1020060057775A KR20060057775A KR101250053B1 KR 101250053 B1 KR101250053 B1 KR 101250053B1 KR 1020060057775 A KR1020060057775 A KR 1020060057775A KR 20060057775 A KR20060057775 A KR 20060057775A KR 101250053 B1 KR101250053 B1 KR 10125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upled
main
suction nozz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186A (ko
Inventor
서진욱
하건호
윤창호
김진영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0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 구석 청소가 가능한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주 브러시 조립체;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와 함께 회전되는 보조 브러시; 상기 보조 브러시와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와 결합되는 외측 결합 부재와, 상기 외측 결합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보조 브러시가 고정되도록 하는 내측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청소 부재는 주 브러시와, 상기 주 브러시의 양측에 결합되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결합되는 홀더 부재와, 상기 홀더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주 브러시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보조 브러시와, 상기 보조 브러시와 상기 주 브러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홀더 부재와 결합되는 외측 결합 부재와, 상기 외측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브러시가 고정되는 내측 결합 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 브러시의 양측에 보조 브러시가 제공됨에 따라,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실내 구석 등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청소 부재, 주 브러시, 보조 브러시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 노즐{Cleaning apparatus and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eqipped it}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상기 흡입 노즐의 저면도.
도 3은 상기 흡입 노즐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흡입 노즐을 구성하는 청소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 노즐 100 : 노즐 바디
102 : 흡입구 200 : 청소 부재
210 : 주 브러시 220 : 홀더 부재
230 : 고정 부재 250 : 보조브러시
260 : 내측 결합 부재 270 : 외측 결합 부재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 구석 청소가 가능한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이물이 포함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캐니스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모터 등이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피청소면의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본체와 흡입 노즐을 흡입하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은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는 피청소면의 이물을 털어내올리는 역할을 하는 아지테이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의 내부에는 상기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되는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청소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진공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흡입 노즐의 회전 모터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가 회전되면서 피청소면의 이물을 털어올린다.
그리고,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이물질이 분리되어, 분리된 이물은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저장되고,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흡입 노즐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 노즐의 저면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아지테이터는 상기 흡입구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 노즐 저면의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흡입 노즐의 양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와 흡입 노즐의 양측 단부 사이는 비청소 영역(dead space)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실내 구석이나 각종 가구 등이 설치된 구석의 청소는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석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청소를 해야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실내 구석 등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주 브러시 조립체;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와 함께 회전되는 보조 브러시; 상기 보조 브러시와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와 결합되는 외측 결합 부재와, 상기 외측 결합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보조 브러시가 고정되도록 하는 내측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청소 부재는 주 브러시와, 상기 주 브러시의 양측에 결합되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결합되는 홀더 부재와, 상기 홀더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청소 부재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주 브러시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보조 브러시와, 상기 보조 브러시와 상기 주 브러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홀더 부재와 결합되는 외측 결합 부재와, 상기 외측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브러시가 고정되는 내측 결합 부재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흡입 노즐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입 노즐(10)은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미도시)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4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100)와,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부 커버(15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노즐 바디(100)에는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102)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02)의 내측에는 피청소면의 이물을 상기 흡입구(102) 측으로 털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청소 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200)는 주 브러시(210)와 상기 주 브러시(210)의 양측에 제공되는 보조 브러시(250)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주 브러시(210)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저면 부분의 청소를 수행하며, 상기 보조 브러시(250)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양측 단부 또는 실내 구석 등의 청소를 수행한다. 상기 청소 부재(200)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200)는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외부 구동원으로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청소 부재(200)로 전달하는 전달 벨트이거나, 상기 흡입구(102)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청소 부재(200)로 전달하는 전달 벨트일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진공 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공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02)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청소 부재(200)는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주 브러시(210) 및 보조 브러시(250)가 회전되면서 피청소면의 이물을 털어내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청소 부재(2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흡입 노즐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흡입 노즐을 구성하는 청소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 부재(200)는 상기 노즐 바디(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바디(100)에는 상기 청소 부재(20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청소 부재(200)는 상기 노즐 바디(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노즐 바디(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 브러시(210)와 보조 브러시(2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102)의 내측에는 상기 주 브러시(210)가 안착되는 주 브러시 안착부(106)가 소정 깊이로 함몰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주 브러시 안착부(106)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10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 파이프(40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 유로(10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 브러시 안착부(106)의 양측에는 상기 보조 브러시(250)가 안착되는 보조 브러시 안착부(108)가 소정 깊이로 함몰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주 브러시(210)와 보조 브러시(250)는 상기 주 브러시 안착 부(106)와 상기 보조 브러시 안착부(108)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10)에 안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 브러시(210)는 외형을 이루는 브러시 몸체(212)와, 상기 브러시 몸체(212)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주 브러시 모(214)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브러시 몸체(212)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주 브러시 모(214)가 상기 몸체(212)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 브러시 모(214)는 피청소면의 이물이 용이하게 털어지도록 정전성이 강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로 나일론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브러시(210)의 양측에는 상기 주 브러시(210)와 결합되어 상기 주 브러시(210)와 함께 회전되는 홀더 부재(22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 부재(220)의 일측에는 상기 브러시 몸체(212)가 삽입되는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2)은, 상기 홀더 부재(220)가 상기 브러시 몸체(212)와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되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 몸체(212)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 부재(220)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 브러시(250)와 결합되는 결합축(224)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축(224)의 단부에는, 상기 보조 브러시(250)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축(224)이 상기 보조 브러시(250)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축(224)이 상기 보조 브러시(250)에 대해서 헛도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더 부재(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달 벨트(130)가 인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둘러지는 연결 풀리(2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부재(220)에 상기 전달 벨트(130)가 둘러진 상태에서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상기 전달 벨트(130)가 회전되면, 상기 홀더 부재(220) 및 상기 홀더 부재(220)와 결합된 주 브러시(21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 부재(220)의 결합축(224)에는 상기 청소 부재(200)가 상기 노즐 바디(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23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 부재(23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 바디(100)에 고정되는 고정단(23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230)에는 상기 결합축(224)이 관통되는 관통공(2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230)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축(224)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축(224)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236)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 부재(200)는 상기 고정 부재(230)에 의해서 상기 노즐 바 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 바디(100)에는 상기 홀더 부재(220)와 고정 부재(230)가 안착되는 안착단(110)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안착단(110)에는 상기 홀더 부재(220)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홈(112)과, 상기 고정 부재(230)가 결합되는 결합 리브(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30)가 상기 결합 리브(114)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청소 부재(200)는 상기 노즐 바디(100)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홀더 부재(220)는 상기 안착홈(112)에 의해서 상기 고정 부재(230)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23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2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축(224)에는 상기 보조 브러시(25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보조 브러시(250)는 보조 브러시 모(254)와, 상기 보조 브러시 모(254)가 결합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 결합부(25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브러시 모(254)는 상기 주 브러시 모(214)와 마찬가지로 피청소면의 이물이 용이하게 털어지도록 정전성이 강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로 나일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브러시(250)는 내측 결합 부재(260)와 외측 결합 부재(270)에 의해서 상기 결합축(224)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내측 결합 부재(26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결합축(224)이 관통되는 관통홀(2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62)의 둘레에는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의 돌출부(274)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홈(264)이 복수 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보조 브러시(250)의 모 결합부(252)가 안착되는 보조 브러시 안착단(272)과, 상기 돌출부 삽입홈(264)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27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브러시 안착단(272)에는 상기 결합축(224)이 삽입되는 삽입홀(276)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삽입홀(276)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축(224)에 형성되는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 브러시 안착단(272)과 상기 돌출부(274)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브러시 안착단(272)과 상기 돌출부(274) 사이에는 상기 모 결합부(25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공간(27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274)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각 돌출부(274) 사이에는 브러시 노출 공간(27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의 보조 브러시 안착단(272)과 상기 돌출부(274) 사이의 안착 공간(277)에 상기 보조 브러시(250)를 삽입하면, 상기 보조 브러시(250)의 모 결합부(252)가 상기 안착 공간(27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브러시 모(254)가 상기 브러시 노출 공간(278)을 통하여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청소 부재(200)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주 브러시(210)의 양측에 상기 홀더 부재(220)를 결합시켜, 상기 주 브러시(210) 및 상기 홀더 부재(220)가 일체로 된 주 브러시 조립체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부재(220)의 연결 풀리(226)에 상기 전달 벨트(130)가 둘러지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주 브러시 조립체에 상기 고정 부재(230)를 결합시킨다. 상세히, 상기 홀더 부재(220)의 결합축(224)을 상기 고정 부재(230)의 관통공(234)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축(224)의 소정 부분이 상기 관통공(234)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2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의 안착 공간(277)에 상기 보조 브러시(250)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보조 브러시 모(254)는 상기 가 돌출부(274) 사이의 브러시 노출 공간(278)을 통하여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와 상기 내측 결합 부재(260)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외측 결합 부재(270)의 돌출부(274)를 상기 내측 결합 부재(260)의 돌출부 삽입홈(264)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보조 브러시(250), 내외측 결합 부재(260)(270)가 일체로 된 보조 브러시 조립체가 완성된다.
그 다음, 상기 고정 부재(230)의 외측으로 노출된 결합축(224)에 상기 보조브러시 조립체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결합축(224)의 요철 및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요철에 의해서 상기 결합축(224)과 상기 보조 브러시 조립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완전한 청소 부재(20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 부재(200)를 상기 노즐 바디(100)에 안착시킨 다. 그러면, 상기 주 브러시(100)는 상기 주 브러시 안착부(106)에 안착되고, 상기 홀더 부재(220)는 상기 안착단(110)의 안착홈(112)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230)는 상기 안착단(110)의 결합 리브(114)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브러시(250)는 상기 보조 브러시 안착부(108)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200)가 상기 노즐 바디(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140)를 결합시키면, 상기 청소 부재(200)의 결합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흡입 노즐(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진공 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공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02)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청소 부재(200)는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 부재(220)에 둘러진 전달 벨트(130)에 의해서 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홀더 부재로(220) 전달되면, 상기 홀더 부재(220)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홀더 부재(220)와 결합된 주 브러시(210)가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주 브러시(210)의 회전에 의해서 피청소면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 측으로 털어올려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 부재(220)의 결합축(224)에 결합된 보조 브러시(25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보조 브러시(25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10)의 측방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소 부재(200)가 주 브러시(210) 및 보조 브러시(250)로 구성됨에 따라, 실내 구석의 청소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 브러시의 양측에 보조브러시가 제공됨에 따라,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실내 구석 등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구석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 브러시 및 보조브러시의 브러시 모로서 정전성이 강한 재질이 사용됨으로써, 피청소면의 이물이 용이하게 털어지게 되어 청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며, 브러시 몸체 및 상기 브러시 몸체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주 브러시 모가 구비되는 주 브러시;
    상기 주 브러시에 결합되어 상기 주 브러시와 함께 회전되며, 결합축이 구비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축에 결합되는 보조 브러시;
    상기 홀더부재와 보조 브러시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결합축이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제공되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내측 결합부재; 및
    상기 보조 브러시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결합부재의 반대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축이 결합되는 삽입홀 및 돌출부를 가지는 외측 결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조 브러시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시에는, 중공의 모 결합부 및 상기 모 결합부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보조 브러시 모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합 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모 결합부가 안착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 브러시 안착단이 포함되고,
    상기 브러시 안착단은 상기 결합축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 돌출부 사이 공간에 의해서 상기 보조 브러시 모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4. 삭제
  5. 삭제
KR1020060057775A 2006-06-27 2006-06-27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KR10125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75A KR101250053B1 (ko) 2006-06-27 2006-06-27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75A KR101250053B1 (ko) 2006-06-27 2006-06-27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86A KR20080000186A (ko) 2008-01-02
KR101250053B1 true KR101250053B1 (ko) 2013-04-02

Family

ID=3921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775A KR101250053B1 (ko) 2006-06-27 2006-06-27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2902B2 (en) 2009-06-30 2014-09-16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DE102019112667A1 (de) * 2019-05-15 2020-11-19 Miele & Cie. Kg Saugroboter zur autonomen Reinigung von Bodenfläch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970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Tec Corp 回転清掃体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60064769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970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Tec Corp 回転清掃体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60064769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86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2856B (zh) 用於吸塵器的吸嘴
EP1604603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EP0061826A1 (en) A vacuum cleaner tool for use on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KR102467325B1 (ko) 진공청소기
US20210330153A1 (en) Cleaner
EP1604602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JP200901790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250053B1 (ko)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US20040078922A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JP6500994B2 (ja) バキューム掃除機用の掃除機ヘッド、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KR101250121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CN109561801B (zh) 吸尘器吸嘴以及真空吸尘器
KR100572892B1 (ko) 청소기의 호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업라이트형진공청소기
JP2020039417A (ja) 吸込具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5177124A (ja) ふとん用吸込具
KR102206564B1 (ko) 청소기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JP2012071008A (ja) 付属ブラシ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110047597A (ko) 진공청소기
KR200150055Y1 (ko) 진공청소기
JP6288149B2 (ja) 掃除具及び電気掃除機
KR20090071231A (ko) 진공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KR930007016Y1 (ko) 진공청소기
JPH0924826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