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769A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769A
KR20060064769A KR1020040103406A KR20040103406A KR20060064769A KR 20060064769 A KR20060064769 A KR 20060064769A KR 1020040103406 A KR1020040103406 A KR 1020040103406A KR 20040103406 A KR20040103406 A KR 20040103406A KR 20060064769 A KR20060064769 A KR 2006006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vacuum cleaner
mop
gear
attach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769A/ko
Publication of KR2006006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33Toothed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청소면의 이물 제거시에 사용되는 흡입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흡입노즐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끈끈한 오물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걸레부착판이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은 상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와, 상기 하부커버(420)의 일측에 관통 성형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구(422)와, 상기 흡입구(422)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터빈(440)과, 상기 회전터빈(440)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브러쉬(452)가 형성되는 이물제거장치(450)와, 상기 회전터빈(440)이 회동시에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연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D)와,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일측에 장착되고 일면에 걸레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D)가 구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청소 영역의 이물을 제거하는 걸레부착판(4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흡입노즐에 걸레부착판을 선택적으로 착탈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흡입노즐, 걸레부착판, 걸레, 기어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도 1은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서 상부커버를 분해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상부커버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요부구성인 걸레부착판을 보인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흡입노즐체 130. 회동레버
200. 본체 210. 조작부
220. 이동바퀴 230. 전선고정구
240. 전선 250. 흡입호스
252. 연장관 260. 호스고정홈
270. 착탈노브 280. 노즐보관홈
282. 이탈방지돌기 284. 유동방지돌기
290. 토출부 300. 집진유니트
400. 흡입노즐 410. 상부커버
412. 보스삽입홀 420. 하부커버
422. 흡입구 430. 연결부
432. 통기공 440. 회전터빈
442. 구동풀리 444. 중심축
450. 이물제거장치 452. 브러쉬
454. 종속풀리 456. 회동축
458. 전달편 460. 걸레부착판
462. 전달보스 464. 전달편수용홈
466. 회전판 468. 걸레
B . 벨트 D . 동력전달장치
G1. 제1다단기어 G2. 제2다단기어
L . 램프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청소면의 이물 제거시에 사용되는 흡입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흡입노즐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끈끈한 오물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걸레부착판을 구비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본체(70),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조작부(7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60)의 후방에는 바닥면에 대하여 구름 작용함으로써 상기 본체(7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62)와, 상기 본체(70)가 흡입노즐체(10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레버(64)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부(72)를 잡고 본체(7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본체(7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7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71)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71)는 상기 본체(7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 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71)에 전선(C)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본체(7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중앙부에는 흡입노즐체(60)를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집진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유니트(10)는 내부에 쌓인 이물을 비울 수 있도록 상기 본체(7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상부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유니트(10)의 내부로 이물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흡입호스(74)와, 상기 흡입호스(74)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70) 외부에 장착된 호스고정홈(78)이 구비된다. 즉, 상기 호스고정홈(78)의 내측에 흡입호스(73)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흡입호스(73)는 본체(7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호스(73)의 단부에는, 상기 흡입노즐체(60)로 청소하기 어려운 좁은 청소영역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악세사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관(미도시)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성형된 두개 이상의 관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70)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를 본체(70)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착탈노브(7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착탈노브(76)는 상기 집진유니트(10)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10)가 본체(70)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본체(70)의 전방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청소기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설치된다. 따라서, 식탁 밑이나 구석진 모서리등 어두운 곳의 청소를 수행할 시에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L)의 우측면(도 1에서 볼 때)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본체(7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7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79)의 내측에는 배기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기필터는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내어 실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상측 외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2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흡입노즐(20)을 삽입함으로써 흡입노즐(20)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노즐보관홈(7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20)을 사용할 시에는 흡입노즐(20)을 노즐보관홈(75)으로 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서 상부커버를 분해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20)은 흡입노즐체(60)를 사용하여 청소하기 어려운 좁은곳이나 카펫의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서 별도로 구비된 악세사리이며,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21)와, 상기 상부커버(21)와 체결되고 저면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커버(30)와, 상기 연장관(미도시)의 단부와 결합되는 연결부(32)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30)의 하부에는 바닥면의 이물이 상기 흡입노즐(20)내부로 유입되도록 천공 형성된 흡입구(36)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2)의 단부에는 소정의 크기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흡입노즐(2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흡입되는 통기공(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34)의 타단은 상기 연장관(미도시)의 단부와 대략 비슷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연장관(미도시)과 결합되며, 상기 본체(70)와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34)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36)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회동되도록 구비된 회전터빈(38)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터빈(38)은 물레방아의 회동원리로 회동된다. 즉 상기 통기공(34)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터빈(38)의 외주면 일측에만 접촉함으로써, 상기 통기공(34)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회전터빈(38)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터빈(38)의 단부에는 회전터빈(38)의 회전력이 아래에서 설명할 이물제거장치(40)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풀리(39)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풀리(39)의 외주면에는 벨트(50)가 접촉하도록 걸어진다. 즉, 상기 회전터빈(38)이 회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풀리(39)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39)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벨트(50)도 회동함으로써 상기 이물제거장치(40)는 연동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40)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흡입노즐(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물제거장치(40)의 양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성형된 회동축(42)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축(42)은 상기 하부커버(30)의 전반부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제거장치(4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40)의 외주면에는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이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브러쉬(44)가 구비된다. 상기 브러쉬(44)는 이물제거장치(40)의 외주면에서 상측 및 하측에 나선을 그리며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제거장치(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회전터빈(38)이 회전시에 이물제거장치(40)가 연동되도록 하는 종속풀리(46)가 장착된다. 즉, 상기 종속풀리(46)는 상기 구동풀리(39)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벨트(50)의 타단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구동풀리(39)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종속풀리(46)도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제거장치(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이물차단판(48)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물차단판(48)은 상기 브러쉬(44)에 의해서 상기 흡입노즐 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벨트(50)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기 벨트(50)가 접촉하는 종속풀리(46)의 양단부에 대략 중심이 천공된 원판모양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구동풀리(39)와 종속풀리(46)는 서로 멀리 이격되어 있어서, 벨트(50)에 의해서 연동되더라도 풀리의 미끄러짐 등의 이유로 그 전달력이 감소되므로 청소 수행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소 수행중에 눌러 붙은 음료수 등의 이물이 있을 시에는 흡입노즐로는 제거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손걸레를 따로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청소면의 이물 제거시에 사용되는 흡입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흡입노즐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끈끈한 오물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걸레부착판을 구비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은 상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 관통 성형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터빈과, 상기 회전터빈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형성되는 이물제거장치와, 상기 회전터빈이 회동시에 상기 이물제거장치가 연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이물제거장치의 일측에 장착되고 일면에 걸레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구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청소 영역의 이물을 제거하는 걸레부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회전터빈의 일단부와 간섭되어 상기 회전터빈이 회동시에 연동되는 제1다단기어와, 상기 제1다단기어의 일측과 맞물리게 결합되어 상기 제1다단기어가 회동시에 연동되는 제2다단기어와, 상기 제2다단기어와 이물제거장치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하며 상기 제2다단기어가 회동시에 상기 이물제거장치가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레부착판은, 상기 이물제거장치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물제거장치가 회전시에 그 회전력을 상기 걸레부착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보스와, 상기 전달보스의 일단부에서 원판모양 형성되어 상기 전달보스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청소영역의 이물을 제거하는 걸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보스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걸레부착판이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보스삽입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의 일단부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고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달보스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제거장치가 회동시에 상기 걸레부착판이 미끄러짐없이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보스의 일단부에는 상기 전달편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전달편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달편수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흡입노즐에 걸레부착판을 선택적으로 착탈하여 사용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진공청소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100)와, 상기 흡입노즐체(100) 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본체(200),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조작부(21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후방에는 바닥면에 대하여 구름작용함으로써 상기 본체(20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220)와, 상기 본체(200)가 흡입노즐체(10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레버(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130)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부(210)를 잡고 본체(2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200)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본체(20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230)는 상기 본체(20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2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240)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중앙부에는 흡입노즐체(100)를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집진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내부에 쌓인 이물을 비울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는 집진유니트(300)의 내부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된 흡입호스(250)와, 상기 흡입호스(250)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200) 외부에 장착된 호스고정홈(2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호스고정홈(260)의 내측에 흡입호스(250)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흡입호스(250)는 본체(200)로부터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호스(250)의 단부에는, 상기 흡입노즐체(100)로 청소하기 어려운 좁은 청소영역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악세사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연장관(252)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관(252)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성형된 두개 이상의 관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상기 본체(200)의 외부로 분리시에 사용되는 착탈노브(270)가 돌출 구비된다. 즉, 상기 착탈노브(270)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본체 (2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전방 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청소기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L)는 식탁 밑이나 구석진 모서리등 어두운 곳의 청소를 수행할 시에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200)의 우측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 기 본체(20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29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토출부(290)의 내측에는 배기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기필터는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내어 실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0)의 상측 외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40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흡입노즐(400)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흡입노즐(40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노즐보관홈(28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흡입노즐(400)을 사용할 시에는 흡입노즐(400)을 노즐보관함(280)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보관홈(280)에는 상기 흡입노즐(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해 돌출 성형된 이탈방지돌기(282)와, 상기 이탈방지돌기(282)에 의해서 상부가 고정된 상기 흡입노즐(400)이 유동되지 않도록 돌출 성형된 유동방지돌기(284)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상부커버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요부구성인 걸레부착판을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400)은 흡입노즐체(100)로는 청소 수행이 난해한 계단 등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악세사리이며, 크게 상하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와, 상기 연장관(252)의 단부와 결합되는 연결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410)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 성형된 보스삽입홀(412)이 구비된다. 상기 보스삽입홀(412)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걸레부착판(460)의 일측을 수용함으로써 걸레부착판의 미사용시에 용이하게 보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420)의 하부에는 바닥면의 이물이 유입되도록 천공 형성된 흡입구(422)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연결부(430)의 단부에는 소정의 크기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흡입노즐(40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흡입되는 통기공(4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432)의 타단은 상기 연장관(252)의 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252)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200)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432)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422)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회동하는 회전터빈(44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터빈(440)은 물레방아의 회동원리로 회동된다. 즉 상기 통기공(432)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터빈(440)의 일측 외주면에만 접촉함으로써, 상기 통기공(432)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회전터빈(440)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터빈(440)의 단부에는 회전터빈(440)의 회전력을 아래에서 설명할 이물제거장치(450)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풀리(44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풀리(442)는 회전터빈(440)의 중심축(444)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고정됨으로 써 상기 회전터빈(440)과 연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터빈(44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전방 즉, 상기 흡입구(422)의 상측에는 대략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된 이물제거장치(45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450)는 외주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브러쉬(452)가 나선형을 그리며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브러쉬(452)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회전터빈(440)이 회전시에 이물제거장치(450)가 연동되도록 하는 종속풀리(454)가 장착된다. 상기 종속풀리(454)와 구동풀리(442)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동력전달장치(D)에 발생된 장력에 의해서 서로 연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중앙에는 이물제거장치(450)의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축(456)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축(456)은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부에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며,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전방 일측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축(456)의 일단부에는 사각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고 연장 성형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걸레부착판(460)의 일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회동시에 상기 걸레부착판(460)이 미끄러짐없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전달편(458)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흡입노즐(4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터빈(440)의 회전력을 이물제거장치(45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D)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D)는 각각의 일측이 서로 간섭되는 다수개 부품에 의해서 연동됨으로써 힘을 손실 없이 전달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장치(D)는 구동풀리(442)의 외주면과 간섭되어 상기 회전터빈(440)이 회동시에 연동하는 제1다단기어(G1)와, 상기 제1다단기어(G1)의 일측과 맞물리게 결합되어 상기 제1다단기어(G1)와 연동되는 제2다단기어(G2)와, 상기 제2다단기어(G2)와 종속풀리(454)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둘러짐으로써 상기 제2다단기어(G2)와 이물제거장치(450)가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다단기어(G1)와 제2다단기어(G2)는 도 5에 보인 것과 같이 두개의 원판이 동일한 중심선상에 접합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동일한 크기의 치차(齒車)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다단기어(G1)의 큰기어는 상기 제2다단기어(G2)의 큰기어의 외경보다 작게 성형됨으로써 상기 제1다단기어(G1)의 작은기어와 상기 제2다단기어(G2)의 큰기어가 서로 맞물리더라도 상기 제1다단기어(G)의 큰기어와 상기 제2다단기어(G2)의 작은기어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다단기어(G1)의 큰기어는 상기 구동풀리(442)에 맞물려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노즐(400)의 우측(도 4에서 볼 때)에는 걸레부착판(46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걸레부착판(460)은 흡입노즐(400)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바닥면의 말라붙은 음료수등의 오물을 제거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물의 상태에 따라 물에 적셔서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걸레부착판(460)은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달편(458)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달보스(462)와, 상기 전달보스(462)의 일단부에서 원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달보스(46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466)과, 상기 회전판(466)의 일면에 부착되어 이물을 제거하는 걸레(46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달보스(462)의 중심에는 상기 전달편(458)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전달판수용홈(46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달판수용홈(464)에는 전달편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회동에 의해서 전달편(458)으로 전해진 회전력이 상기 걸레부착판(46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걸레(468)는 회전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는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걸레(468)가 오염시에 상기 회전판(466)으로부터 분리하여 세탁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466)과 걸레(468)가 접촉하는 각각의 면에는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부직포 등의 결합부재(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및 걸레부착판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본체(200)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노즐체(100)에 의하여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집진유니트(300) 내부로 유동되어 필터링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에 의해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외부 로 배출되고 상기 집진유니트(300)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모터(미도시)를 경유한 다음, 상기 본체(200)의 외면에 장착된 토출부(290)를 통해서 청소기 외부로 토출되면서 청소는 수행된다.
한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는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계단이나 좁은 곳에서는 상기 흡입노즐(400)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흡입노즐(4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흡입노즐(40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430)를 잡고 노즐보관홈(280)으로부터 잡아당겨서 상기 흡입노즐(400)이 노즐보관홈(280)으로부터 분리해야한다.(도 3참조).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연장관(252)을 분리하여 상기 흡입노즐(400)의 연결부(43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장관(252)과 흡입노즐(400)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연장관(252)의 길이를 적당히 조절한 후에 사용자는 조작부(210)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미도시)에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흡입노즐(400)을 이용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흡입노즐(400)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본체(200)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노즐(400)에 구비된 흡입구(422)로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노즐(40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통기공(432)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터빈(440)을 회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터빈(440)의 단부에 구비된 구동풀리(442)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442)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은 동력전달장치(D)에 의해서 상기 이물제거장치(450)로 전달되어 이물제거장치(450)는 회동축(45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회동되면 외주면에 구비된 브러쉬(452)도 동시에 회동하게 되어 청소영역의 바닥면에 쌓인 이물을 접촉에 의해서 비산(飛散)시키게 된다.
즉, 상기 브러쉬에 의해서 비산된 이물은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은 상기 브러쉬(452)의 회전에 의해서 흡입노즐(400)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연장관(252) 및 흡입호스(250)를 거쳐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내부에서 집진됨으로써 청소는 수행된다.
그리고, 청소 수행중에 흡입노즐(400)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오물 즉, 비산되지 않게 바닥면에 말라붙은 음료수등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레부착판(460)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걸레부착판(46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노즐(400) 상면으로부터 상기 걸레부착판(460)을 분리해야 한다.
상기 걸레부착판(460)이 분리되면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회동축(456) 단부에 구비된 전달편(458)을 상기 전달보스(462) 내부에 형성된 전달편수용홈(464)에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걸레부착판(460)이 상기 전달편(458)과 결합되어 장착이 완료되면 전원을 인가하여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걸레부착판(460)에 회전력이 발생되는 과정은 전술한 이물제거장치(450)의 회동과정과 일맥상통하다. 즉,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걸레부착판(460)은 이물제거장치(450)의 회동축에 연장 성형된 전달편(458)의 회동에 의해서 회동되어 오물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은, 흡입노즐 일측에 보관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걸레부착판을 더 구비하여 흡입노즐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끈끈한 오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청소 수행중에 따로 걸레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진공청소기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레부착판의 보관이 용이하여 걸레부착판의 분실 및 파손이 방지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청소기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물제거장치와 걸레부착판이 동일한 동력전달장치에 의해서 회동되어 걸레부착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가 보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상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와,
    상기 하부커버(420)의 일측에 관통 성형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구(422)와,
    상기 흡입구(422)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터빈(440)과,
    상기 회전터빈(440)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브러쉬(452)가 형성되는 이물제거장치(450)와,
    상기 회전터빈(440)이 회동시에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연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D)와,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일측에 장착되고 일면에 걸레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D)가 구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청소 영역의 이물을 제거하는 걸레부착판(4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D)는,
    상기 회전터빈(440)의 일단부와 간섭되어 상기 회전터빈(440)이 회동시에 연동되는 제1다단기어(G1)와,
    상기 제1다단기어(G1)의 일측과 맞물리게 결합되어 상기 제1다단기어(G1)가 회동시에 연동되는 제2다단기어(G2)와,
    상기 제2다단기어(G2)와 이물제거장치(450)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하며 상기 제2다단기어(G2)가 회동시에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부착판(460)은,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물제거장치(450)가 회전시에 그 회전력을 상기 걸레부착판(460)으로 전달하는 전달보스(462)와,
    상기 전달보스(462)의 일단부에서 원판모양 형성되어 상기 전달보스(46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전판(466)과,
    상기 회전판(466)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청소영역의 이물을 제거하는 걸레(46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410)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보스(462)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걸레부착판(460)이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보스삽입홀(41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장치(450)의 일단부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고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달보스(46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제 거장치(450)가 회동시에 상기 걸레부착판(460)이 미끄러짐없이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편(45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보스(46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전달편(458)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전달편(458)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달편수용홈(46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20040103406A 2004-12-09 2004-12-0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60064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406A KR20060064769A (ko) 2004-12-09 2004-12-0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406A KR20060064769A (ko) 2004-12-09 2004-12-0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769A true KR20060064769A (ko) 2006-06-14

Family

ID=3716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406A KR20060064769A (ko) 2004-12-09 2004-12-09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7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21B1 (ko) * 2006-06-27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250053B1 (ko) * 2006-06-27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21B1 (ko) * 2006-06-27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250053B1 (ko) * 2006-06-27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청소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흡입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544B2 (en) Agitator drive system with bare floor shifter
US7979952B2 (en) Wet/dry floor cleaning device
US7412750B2 (en) Floorcloth attached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ES2672983T3 (es) Aspirador de suelos desnudos
US20050172447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twin agitato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US7377010B2 (en)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US7418764B2 (en) Mode control arrangement for a floor care appliance
US20050160555A1 (en) Vacuum cleaner with twin independently driven agitators
KR20060068792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WO2020006182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02313986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CA2741156A1 (en) Agitator with internal twin motor drive system
KR20060064769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A2464577C (en) Holder for alternately receiving wand or cleaning tool
KR20200084213A (ko) 브러쉬가 구비된 물걸레 겸용 청소기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010081426A (ko) 진공청소기의 걸레 부착용 흡입구체
JP747057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S6346057Y2 (ko)
KR970010414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KR200397181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6000792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04358117A (ja) 電気掃除機
KR20060116998A (ko) 공기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