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645A -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645A
KR20230027645A KR1020210109664A KR20210109664A KR20230027645A KR 20230027645 A KR20230027645 A KR 20230027645A KR 1020210109664 A KR1020210109664 A KR 1020210109664A KR 20210109664 A KR20210109664 A KR 20210109664A KR 20230027645 A KR20230027645 A KR 2023002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poly
biodegradable copolymer
acid
hydroxypropi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솔이
최지환
강동균
김철웅
이호우
최정윤
이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1010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645A/ko
Publication of KR2023002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3/91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Extruded Composition for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copolymer and Preparaion Method of biodegradable copolym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은 옥수수 등의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식물 유래의 수지로서, 생분해성 특성을 갖는 동시에 인장 강도 및 탄성률 또한 우수한 친환경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등의 석유계 수지와는 달리, 석유 자원 고갈 방지, 탄산가스 배출 억제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석유계 플라스틱 제품의 단점인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폐플라스틱 등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식품 포장재 및 용기, 전자제품 케이스 등 일반 플라스틱(석유계 수지)이 사용되었던 제품 분야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트산은 기존의 석유계 수지와 비교하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떨어져 적용 범위에 제한이 있다. 또한, 신율(Elongation to break) 특성이 나빠 쉽게 깨지는 특성(Brittleness)을 보여 범용 수지로서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락트산에 다른 반복단위를 포함한 공중합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신율의 개선을 위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P; 3-hydroxypropionic acid)이 공단량체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락트산-3HP 블록 공중합체가 주목 받고 있는데,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락트산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신율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용화 측면에서, 고분자량의 락트산-3HP 블록 공중합체가 제조될 것이 요구되는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이 축중합되는 과정에서, 저분자량 고리형의 구조가 생성되어, 고분자량의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를 제조할 수 없음은 물론,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 수율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폴리(3HP)를 중합하고, 락타이드를 합성하고, 최종적으로 폴리 락트산-3HP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3단계로 수행되게 되므로, 공정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제조 수율과 공정 효율을 모두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안정적인 물성 평가가 가능한 반응 압출 공정을 통해 생분해성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 및 사슬 연장제를 압출하여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은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사슬 연장제는, 블렌드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종래 P3HP(폴리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를 합성하고, 여기에 락타이드를 투입하여 개환 중합을 수행하거나, 각각 PLA(폴리락트산)와 P3HP를 각각 별도로 중합한 뒤 이를 어닐링하는 다단계 반응이 적용되어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다단계 반응 과정 중 저분자량의 부산물, 특히 고리형의 올리고머가 생성되어, 고리형의 올리고머는 축중합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공중합체의 제조 수율이 떨어지고, 또한 부산물의 분리가 필요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정 사슬 연장제를 사용하여 폴리락트산(이하, ‘PLA’라 함)와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이하, ‘P3HP’라 함)를 압출(Extrusion) 컴파운딩하는 간단한 반응 압출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안정적인 물성 평가가 가능한 생분해성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PLA와 P3HP의 분자량과 이들의 비율에 따라 목적하는 다양한 Grade를 가지는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 및 사슬 연장제를 압출하여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 컴파운딩 단계에서, 상기 폴리락트산과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가 사슬 연장제를 통해 서로 반응하여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가 제조되는 반응 압출 공정으로, 단일의 반응 압출 공정을 통해 공정이 간소화되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상기 반응물의 분자량과 이들의 비율 조절을 통해 다양한 Grade를 가지는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반응 내에서 물성 개선을 위한 추가 첨가제 사용이 용이하다.
상기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는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되는 경우, 최종 제조되는 공중합체가 투명하고 높은 신율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상기 범위를 벗어나, 폴리락트산 수지가 50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인장 강도가 저하되어 잘 부서질 수 있으며, 폴리락트산 수지가 80wt%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함량이 작아져, 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는 광학순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폴리 L-락트산, 폴리 D-락트산 및 폴리 L, D-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축합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3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280,000, 또는 100,000 내지 25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90,000, 또는 25,000 내지 88,000일 수 있다.
폴리락트산과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최종 공중합체의 신율과 인장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필름으로 제조하기 용이하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폴리락트산과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가 서로 반응하여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하는 성분으로, 이들이 단일의 반응 압출 공정만으로 블록 공중합체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성분이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블렌드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 블렌드 수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미량으로 블록 공중합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2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지나친 가교 작용으로 압출 공정에서 토크 값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슬 연장제는, 폴리(비스페놀 A-co-에피클로로하이드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압출하는 단계는, PLA와 P3HP 블렌딩 수지와 전술한 사슬 연장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대해 압출기를 이용해서 일정한 압출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LA와 3PHA는 유사한 사이즈의 펠렛과 파우더 형태로 메인 호퍼(main hopper)에서 혼합되어 투입돈다. 사슬 연장제는 메인 호퍼(main hopper)에 블렌딩 수지와 함께 투입되거나, 사이드 호퍼(Side hopper)에서 별도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출은, 이축 압출기의 스크류 속도 40 rpm내지 200 rpm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스크류 속도가 40 rpm 미만이면, 압출기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고분자의 변색과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200 rpm을 초과하면 사슬 연장제의 분산성이 낮아져 공중합체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류 속도가 40 rpm 내지 150 rpm, 또는 80r pm 내지 120 rpm 일 수 있다.
상기 압출은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 온도가 150℃ 미만이면 수지의 점도가 올라가고 흐름성이 낮아져 압출 토크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200℃를 초과하면 고분자의 변색과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되어,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도 목적하는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은 이축 압출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냉식 이축 압출기 또는 공냉식 이축 압출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출 공정에서, 이축 압출기의 스크류의 마지막 토출 부분의 토출 온도가 170℃ 내지 220℃이고, 나머지 스크류 부분의 토출 온도가 150℃ 내지 200℃이며, 메인 호퍼의 온도가 120℃ 내지 180℃일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마지막 토출 부분은, 이축 압출기의 전체 스크류의 전체 길이에서 1/20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축 압출기에서 스크류의 마지막 토출 부분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흐름성이 없어서 수지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그 온도가 너무 높으면 고분자의 물성이 저하되고 변색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의 스크류의 마지막 토출 부분의 토출 온도가 180℃ 내지 200℃이고, 나머지 스크류 부분의 토출 온도가 170℃ 내지 190℃이며, 이 경우 전술한 문제 없이 공중합체 형성이 용이하다.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은 전술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단계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 및 사슬 연장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은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사슬 연장제는, 블렌드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가 전술한 중량비로 포함되는 경우, 이를 사용하여 최종 제조되는 공중합체가 투명하고 높은 신율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상기 범위를 벗어나, 폴리락트산 수지가 50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인장 강도가 저하되어 잘 부서질 수 있으며, 폴리락트산 수지가 80wt%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함량이 작아져, 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블렌드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 블렌드 수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미량으로 블록 공중합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2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지나친 가교 작용으로 압출 공정에서 토크 값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바람직한 함량, 기타 물성(중량평균분자량), 사슬 연장제의 구체적인 성분, 바람직한 함량, 기타 물성(중량평균분자량)은 전술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필요에 따라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능 개선을 위한 첨가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체)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압출 조성물을 사용한 단일의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된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4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0 내지 350,000, 또는 150,000 내지 300,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는 ASTM D 638에 따른 신율(Elongation, %)이 10% 내지 1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0%, 또는 20% 내지 130%이고, 이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며, 필름, 시트 등에 적용이 용이하다.
상기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는 ASTM D 638에 따른 인장 강도가 20MPa 내지 60MPa이고, 바람직하게는, 30MPa 내지 60MPa, 또는 35 MPa 내지 55 MPa이고, 이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며, 필름으로 적용이 용이하다.
(물품)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신규한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필름이며, 상기 필름은 예를 들어 시트라벨지, 일회용 봉투, 일회용 컵, 식탁보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해당 물품에 적용되어 신율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동시에 취성이 보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락트산과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이 특정 사슬 안정제와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일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종래의 수지와 동등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PLA(중량평균분자량 160,000) 160g와 P3HP(중량평균분자량 27,000) 40g을 혼합하여 수냉식 이축 압출기의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사슬 연장제로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4g을 사이드 호퍼에 투입하고, 하기 조건으로 반응 압출 공정을 통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 압출 screw 속도: 100 rpm
- 압출기 내부 온도: screw 마지막 토출 부분 200℃, 나머지 screw 부분 190℃, Main hopper 160℃
상기와 같이 반응 압출된 공중합체를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도그본 시편으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중량평균분자량 230,000의 PLA를 동일한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중량평균분자량 87,000의 P3HP를 동일한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중량평균분자량 230,000의 PLA 160g과 중량평균분자량 87,000의 P3HP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PLA(중량평균분자량 160,000)를 120g으로 P3HP(중량평균분자량 27,000) 80g으로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슬 연장제를 1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반응기에 락타이드 25g, P3HP(중량평균분자량 27,000) 5g, 촉매로서 Tin(Ⅱ) Ethylhexanoate:Toluene = 1:9 부피비를 가지는 용액 140μL 첨가하고,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 상기 반응기를 180℃으로 pre-heating 된 오일 배스에 넣고 1시간 30분 동안 중합을 진행하였다. 상기 반응기에서 중합 반응의 생성물을 꺼낸 다음 140℃에서 1 내지 5 torr 감압 조건에서 약 3시간 동안 devolitilization하여 잔존 모노머를 제거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슬 연장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PLA(중량평균분자량 160,000)를 180g으로 P3HP(중량평균분자량 27,000) 20g으로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PLA(중량평균분자량 160,000)를 20g으로 P3HP(중량평균분자량 27,000) 180g으로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슬 연장제를 1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공중합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1) 분자량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되는 각 단계별 공중합체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osoh ECO SEC Elite)로 중량평균분자량, 수평균분자량, 다분산 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용매: chloroform (eluent)
유속: 1.0 ml/min
컬럼온도: 40℃
Standard: Polystyrene (3차 함수로 보정)
2) 기계적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되는 공중합체에 대하여, UTM(Universal Test Machine)를 사용하여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ASTM D 638에 따라 신율(Elongation, %)과 인장 강도(Tensil Strength, MPa)를 측정하였다.
구분 분자량 특성 평가 기계적 물성 평가
Mn Mw PDI 신율 인장 강도
실시예 1 65,860 233,085 3.54 94.9 52.5
실시예 2 71,479 340,921 4.77 130 49
실시예 3 80,131 165,428 2.06 116.3 39.1
실시예 4 76,429 265,751 3.48 58.8 40.4
실시예 5 36,191 151,873 4.2 84.4 39.6
실시예 6 62,119 195,539 3.15 29.74 40.5
비교예 1 87,665 135,322 1.54 82 36.6
비교예 2 108,003 160,371 1.49 3.2 35.1
비교예 3 114,730 324,282 2.83 2.1 30.8
비교예 4 177,158 241,040 1.36 2.38 11
비교예 5 166,053 232,083 1.4 9.62 44.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리락트산과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이 에폭시계 사슬 안정제와 특정 함량 비율로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어, 단순 공정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 종래 중합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실시예와 유사한 정도의 신율 및 인장 강도의 특성을 가지나, 다단계 반응으로 실시예 대비 공정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며, 상대적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실시예 대비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PLA와 P3HP의 혼합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목적하는 정도의 신율 특성와 인장 강도를 구현할 수 없다. 또한, 사슬 안정제의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5의 경우, 목적하는 정도의 신율 특성와 인장 강도를 구현할 수 없으며, 제조 과정에서 압출기의 Torque 값이 실시예 1에 비해 최대 4배 정도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 및 사슬 연장제를 압출하여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은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사슬 연장제는, 블렌드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 연장제는, 폴리(비스페놀 A-co-에피클로로하이드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시계 화합물인,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은,
    이축 압출기의 스크류 속도 40 rpm 내지 200 rpm에서 수행되는,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은,
    상기 이축 압출기의 스크류의 마지막 토출 부분의 토출 온도가 170℃ 내지 220℃이고, 나머지 스크류 부분의 토출 온도가 150℃ 내지 200℃이며, 메인 호퍼의 온도가 120℃ 내지 180℃인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은,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되는,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300,000인,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인,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400,000인,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9.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 및 사슬 연장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트산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은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사슬 연장제는, 블렌드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KR1020210109664A 2021-08-19 2021-08-19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230027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664A KR20230027645A (ko) 2021-08-19 2021-08-19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664A KR20230027645A (ko) 2021-08-19 2021-08-19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45A true KR20230027645A (ko) 2023-02-28

Family

ID=8532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664A KR20230027645A (ko) 2021-08-19 2021-08-19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8185B (zh) 一种聚对苯二甲酸-己二酸丁二酯/聚甲基乙撑碳酸酯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KR20200075252A (ko) 폴리락틱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EP2710076B1 (en) Biologically 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with high deformability
CN113563570B (zh) 一种聚乳酸透明增韧剂及其制备方法
CN113501942B (zh) 一种聚乳酸可降解增韧改性剂及其制备方法
JP2008266572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共重合体
CN110088197B (zh) 基于聚碳酸亚烷基酯的树脂膜
CN102020746A (zh) 一种环氧官能化丙烯酸酯类聚合物的应用
CN113831702A (zh) 可降解塑料餐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30027645A (ko) 생분해성 공중합체 제조용 압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N116285284A (zh) 一种co2基生物可降解共聚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10200315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biodegradable film therefrom
KR20220042083A (ko)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1978685B (zh) 一种生物医用型热塑性硫化胶及其制备方法
KR101490951B1 (ko) 자동차 내외장재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282030A1 (en) Biopolymer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for same and bioplastic using same
KR100683941B1 (ko) 전단 담화와 강인성이 향상된 신규한 폴리락티드/클레이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405869B1 (ko) 색상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의 제조방법
KR100656986B1 (ko) 전단 담화와 강인성이 향상된 신규한 폴리락티드/클레이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CN114573968B (zh) 聚碳酸丁二醇酯生物可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98027B1 (k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90564B1 (ko) 폴리에스터재생섬유의제조방법
CN117165051A (zh) 生物降解缠绕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986545A (zh) 一种具有低熔点和低结晶温度的聚羟基烷酸共聚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2106560A1 (en) Polyester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