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972A -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972A
KR20230025972A KR1020210107796A KR20210107796A KR20230025972A KR 20230025972 A KR20230025972 A KR 20230025972A KR 1020210107796 A KR1020210107796 A KR 1020210107796A KR 20210107796 A KR20210107796 A KR 20210107796A KR 20230025972 A KR20230025972 A KR 20230025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mpshade
honeycomb
shape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185B1 (ko
Inventor
곽재석
곽우진
Original Assignee
곽재석
곽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석, 곽우진 filed Critical 곽재석
Priority to KR102021010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1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니콤 형태의 전등갓을 각조 조절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방향 및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무드등이나 간접 조명등 및 암막 조명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전구 소켓이 형성된 상측 지지판과, 상측 지지판과 일정 거리를 갖도록 다수의 수직 지주프레임 하단에 형성된 하측 지지판을 갖는 전등 프레임; 상기 지주프레임에 수평으로 다수가 연결되어 전구 소켓을 지지하며 끝단에 탈부착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연결고리에 체결되며 허니콤 원단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허니콤 원단을 지지하는 원형의 중심 지지봉; 다수가 연결된 허니콤 원단의 측면 상측과 하측 및 중앙에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쪽 측면으로 서로 접착하여 원형으로 형성하는 전등갓; 상기 전등갓의 허니콤 원단 내부에 다수가 삽입됨과 동시에 원형의 중심 지지봉에 삽입 설치되어 조절끈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봉; 상기 원형의 허니콤 원단과 각도 조절봉의 상측과 하측 삽입공을 관통하면서 한쪽 끝단을 고정하고, 다른 쪽 끝단은 하단에 무게추가 형성되고 상,하측 지지판의 구멍에 삽입하여 하측으로 내려온 상,하측 조절끈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with shape-changing lampshade}
본 발명은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니컴 형태의 전등갓을 각조 조절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방향 및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무드등이나 간접 조명등 및 암막 조명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장 등에 부착되어 실내를 밝게하는 실내용 조명등은 일면이 개방되고 조명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정기가 내부에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어 조명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실내에 고르게 펼쳐지도록 하는 조명갓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실내용 조명등은, 몸체 내에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등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실내를 밝힘으로써 오후시간이나 저녁시간에 활동에 필요한 조명을 공급해주고 있다.
또한, 상기 조명갓은, 조명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게 하는 것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재질의 유리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판재에 다양한 무늬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조명갓은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720303호인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는 외부 형태나 모양의 볼륨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세워 고정할 수 있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바닥프레임으로 된 고정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플레이트수단, 상기 회전플레이트수단에 삽설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링부재, 부직포 또는 신축성을 갖는 부재로 하여 벌집형태로 되고 상기 회동링부재가 그 내부를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양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수단에 연결 고정되는 몸체변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선등록 특허는 복잡한 기계적 구성으로 인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각도를 조절하는데에도 어려움이 많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303호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허니컴 형태의 전등갓을 각조 조절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무드등이나 간접 조명등 및 암막 조명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구 소켓이 형성된 상측 지지판과, 상측 지지판과 일정 거리를 갖도록 다수의 수직 지주프레임 하단에 형성된 하측 지지판을 갖는 전등 프레임; 상기 지주프레임에 수평으로 다수가 연결되어 전구 소켓을 지지하며 끝단에 탈부착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연결고리에 체결되며 허니콤 원단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허니콤 원단을 지지하는 원형의 중심 지지봉; 다수가 연결된 허니콤 원단의 측면 상측과 하측 및 중앙에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쪽 측면으로 서로 접착하여 원형으로 형성하는 전등갓; 상기 전등갓의 허니콤 원단 내부에 다수가 삽입됨과 동시에 원형의 중심 지지봉에 삽입 설치되어 조절끈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봉; 상기 원형의 허니콤 원단과 각도 조절봉의 상측과 하측 삽입공을 관통하면서 한쪽 끝단을 고정하고, 다른 쪽 끝단은 하단에 무게추가 형성되고 상,하측 지지판의 구멍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내려온 상,하측 조절끈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허니콤 원단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전등갓을 각도 조절봉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각도를 조절하여 조명의 집중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등갓의 빛을 비추는 방향을 조절하여 무드등이나 간접 조명등 및 암막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등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각도 조절봉과 각도 조절봉이 중심 지지봉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전등갓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등갓에 각도 조절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허니콤 원단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전등갓을 자유롭게 형태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을 실현할 수 있는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는 상,하측 지지판(111)(112)이 수직 지주프레임(113)에 의해 연결되며, 상측 지지판(111)에 전구 소켓(114)이 형성된 전등프레임(110)과, 상기 지주프레임(113)에 수평으로 연결되며 끝단에 연결 고리(117)가 탈부착되는 지지대(118)와, 지지대(118)의 연결 고리(117))에 체결되는 중심 지지봉(120)과, 다수가 연결된 허니콤 원단(141)의 측면 상측과 하측 및 중앙에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141)(143)(142)을 형성하고, 양쪽 측면으로 서로 접착하여 원형으로 형성하는 전등갓(140)과, 상기 전등갓(140)의 허니콤 원단(141) 내부에 다수가 삽입됨과 동시에 원형의 중심 지지봉(120)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측 조절끈(150)(160)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봉(130)과, 상기 원형의 허니콤 원단(141)과 각도 조절봉(130)의 상측과 하측 삽입공(131)(133)을 관통하면서 한쪽 끝단을 고정하고, 다른 쪽 끝단은 하단에 무게추가 형성되고 상,하측 지지판(111)(112)의 구멍(111a)(112a)에 삽입하여 하측으로 내려온 상,하측 조절끈(150)(160)으로 구성한다.
상기 전등프레임(110)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 상측 지지판(111)과 원형의 하측 지지판(112)을 일정 길이를 갖는 수직 지지프레임(113)을 일정 각도를 갖도록 다수 개로 연결하고, 상측 지지판(111)의 하면 중앙에 하향 전구 소켓(114)을 형성하고, 다양한 전구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상,하측 지지판(111)(112)에는 다수의 구멍(111a)(112a)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3)은 상,하측 지지판(111)(112)의 외곽에 설치되어 중앙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지지판(111)의 상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내부에 전선(116)이 삽입되는 전선관(11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판(112)의 상면 중앙에 상향 전구 소켓(114)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지주프레임(113)의 외면에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수평으로 연결되고 끝단에 연결고리(117)가 탈부착되는 지지대(118)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118)는 전구 소켓(114)을 지지하게 되면, 전등갓(140)의 내부 중앙에서 위치하면서 좌, 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고리(117)는 후방에 지지대(118)보다 지름이 큰 삽입관(117a)을 형성하고, 삽입관(117a)으로 지지대(118)의 끝단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연결고리(117)에는 원형이면서 상,하측 지지판(111)(112) 보다 지름이 큰 중심 지지봉(120)을 체결한다.
상기 중심 지지봉(120)은 외면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한쪽 끝단에 압착돌기(121)를 형성하고, 압착돌기(121)는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압착돌기(121)는 중심 지지봉(120)에 결합된 허니콤 원단(141)을 서로 맞닿도록 한 후에 압착돌기를 외부로 돌출하여 반대편 절개면에 밀착한 후 압착하여 두개의 허니콤 원단(141)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완전한 원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허니콤 원단(141)의 한쪽 측면에 부착된 양면 접착테이프에 다른 쪽 측면을 접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중심 지지봉(120)은 허니콤 원단(141)을 원형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 조절봉(130)은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이나 사각 파이프이며, 외면 상측과 하측 및 중앙에 각각 삽입공(131)(133)(132)을 형성한다.
상기 각도 조절봉(130)은 허니콤 원단(141)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길게 다수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전등갓(140)은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변성 부재인 다수의 허니콤 원단(141)을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며, 측면에서 보면 중심선 보다 내측의 상측과 하측 및 중앙에 허니콤 원단(141)을 관통하는 상,하측(142)(144)과 중앙삽입공(14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허니콤 원단(141)의 한쪽 측면 전체면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부착한다.
상기 다수 연결된 허니콤 원단(141)의 중앙 삽입공(143)을 중심 지지봉(120)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삽입한 후에 좌,우로 잡아당기면 허니콤 원단(141)이 벌어지면서 내부 공간이 넓어지면서 원형을 이루게 되고, 한쪽 측면에 형성된 양면 접착테이프에 다른 쪽 면을 접착하여 원형을 완성한다.
이때, 벌어진 허니콤 원단(141)의 연결 부분 내측으로 중심 지지봉(120)이 일부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고리(117)를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벌어진 허니콤 원단(141)의 연결 부분 사이에 다수 개를 체결하고, 삽입관(117a)에 지지대(118)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중심 지지봉(120)은 전등갓(140)의 외형을 원형 형태를 유지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고리(117)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봉(130)은 중심 지지봉(120)을 기본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허니콤 원단(141)의 한쪽 면을 암막 원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조절끈(150)은 전등갓(140)의 상측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니콤 원단(141)의 상측 삽입공(142)에 삽입됨과 동시에 허니콤 원단(14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각도 조절봉(130)의 상측 삽입공(131)을 관통시킨 후에, 한쪽 끝단을 각도 조절봉(130)에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상측 지지판(111)에 형성된 구멍(111a)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내려 하측 지지판(112)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하측 조절끈(160)은 전등갓(140)의 하측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허니콤 원단(141)의 하측 삽입공(144)에 삽입됨과 동시에 허니콤 원단(14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각도 조절봉(130)의 하측 삽입공(133)을 관통시킨 후에, 한쪽 끝단을 각도 조절봉(130)에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하측 지지판(112)에 형성된 구멍(112a)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내려 하측 지지판(112)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상,하측 조절끈(150)(160)의 하단에 무게추 역할을 손잡이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허니콤 원단(141)으로 이루어진 전등갓(14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중심 지지봉(120)과 수직으로 세워진 각도 조절봉(130)에 의해 전등갓(140)은 원통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각도 조절봉(130)은 중심 지지봉(120)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각도를 조절하며,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조절끈(150)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허니콤 원단(141)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중심 지지봉(130)의 중심 삽입공(132)에 삽입되어 있는 각도 조절봉(130)의 상측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측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측 조절끈(160)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각도 조절봉(130)의 하측이 외부로 넓게 벌어지면서 개방 지름이 넓어지게 되고, 전구 소켓(113)에 결합된 전구의 조명은 하측으로 집중 조명하게 된다.
상기 상측 조절끈(150)은 상측 지지판(111)의 구멍(111a)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지지대(118)에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여 내려오고, 하측 조절끈(160)은 상측으로 올라간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 손잡이(160)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허니콤 원단(141)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중심 지지봉(130)의 중심 삽입공(132)에 삽입되어 있는 각도 조절봉(130)의 하측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하측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측 조절끈(150)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각도 조절봉(130)의 상측이 외부로 넓게 벌어지면서 개방 지름이 넓어지게 되고, 전구 소켓(113)에 결합된 전구의 조명은 상측으로 집중되어 무드등이나 간접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조절끈(160)은 하측 지지판(112)의 구멍(112a)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고, 상측 조절끈(150)은 상측으로 올라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측 조절끈(150)(160)을 통해 전등갓(140)의 상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110:전등프레임 111,112:상,하측 지지판
113:지주프레임 114:전구 소켓
117:연결고리 118:지지대
120:중심 지지봉 130:각도 조절봉
140:전등갓 141:허니콤 원단
150,160:상,하측 조절끈

Claims (3)

  1. 전구 소켓이 형성된 상측 지지판과, 상측 지지판과 일정 거리를 갖도록 다수의 수직 지주프레임 하단에 형성된 하측 지지판을 갖는 전등 프레임;
    상기 지주프레임에 수평으로 다수가 연결되어 전구 소켓을 지지하며 끝단에 탈부착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연결고리에 체결되며 허니콤 원단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허니콤 원단을 지지하는 원형의 중심 지지봉;
    다수가 연결된 허니콤 원단의 측면 상측과 하측 및 중앙에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쪽 측면으로 서로 접착하여 원형으로 형성하는 전등갓;
    상기 전등갓의 허니콤 원단 내부에 다수가 삽입됨과 동시에 원형의 중심 지지봉에 삽입 설치되어 조절끈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봉;
    상기 원형의 허니콤 원단과 각도 조절봉의 상측과 하측 삽입공을 관통하면서 한쪽 끝단을 고정하고, 다른 쪽 끝단은 하단에 무게추가 형성되고 상,하측 지지판의 구멍에 삽입하여 하측으로 내려온 상,하측 조절끈으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은 다수의 허니콤 원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조절끈이 중심 지지봉의 위쪽과 아래쪽에 허니콤 원단을 원형으로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KR1020210107796A 2021-08-17 2021-08-17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KR10251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796A KR102510185B1 (ko) 2021-08-17 2021-08-17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796A KR102510185B1 (ko) 2021-08-17 2021-08-17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972A true KR20230025972A (ko) 2023-02-24
KR102510185B1 KR102510185B1 (ko) 2023-03-15

Family

ID=8533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796A KR102510185B1 (ko) 2021-08-17 2021-08-17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1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9567A2 (en) * 1990-12-03 1992-06-10 Joseph F. Hyland Universal foldable lamp shade overshade
JP2004253172A (ja) * 2003-02-18 2004-09-09 Ssc:Kk バルーン型照明装置
JP2011216191A (ja) * 2010-03-31 2011-10-27 Hiyoshiya Co Ltd 照明器具
KR101270894B1 (ko) * 2012-09-06 2013-06-05 한국과학기술원 스탠드형 조명기구
KR101538512B1 (ko) * 2015-01-12 2015-07-22 아이투엠 주식회사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20170007034A (ko) * 2015-07-10 2017-01-18 아이투엠 주식회사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9567A2 (en) * 1990-12-03 1992-06-10 Joseph F. Hyland Universal foldable lamp shade overshade
JP2004253172A (ja) * 2003-02-18 2004-09-09 Ssc:Kk バルーン型照明装置
JP2011216191A (ja) * 2010-03-31 2011-10-27 Hiyoshiya Co Ltd 照明器具
KR101270894B1 (ko) * 2012-09-06 2013-06-05 한국과학기술원 스탠드형 조명기구
KR101538512B1 (ko) * 2015-01-12 2015-07-22 아이투엠 주식회사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20170007034A (ko) * 2015-07-10 2017-01-18 아이투엠 주식회사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
KR101720303B1 (ko) 2015-07-10 2017-03-27 아이투엠 주식회사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185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1872A1 (en) Transformable lamp shad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60098444A1 (en) Lighting system
US11035533B1 (en) Bendable lamp
US20090207611A1 (en) Lighting Device
KR102027038B1 (ko) 매립형 led 조명장치
KR102510185B1 (ko)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US7758216B2 (en) Decorative lamp illuminations structure
KR101750721B1 (ko) 교체형 기능성 장식틀체가 결합된 조명등
US10690303B2 (en)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KR101474909B1 (ko) 천정매다는등용 조명장식체
KR102187798B1 (ko) 펜던트형 조명등
GB2177488A (en) Diffuser, lampshade and frame for use with a compact fluorescent lamp
US2437350A (en) Lighting system and lantern for use therein
US4616299A (en) Electric gaslight simulative for candelabra light socket
US20130148358A1 (en) Detachable cover apparatus for compact fluorescent light (CFL) bulbs that affects illumination clarity, quality and color
US1216819A (en) Lighting-fixture.
KR20140127607A (ko) 조명기구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0660439B1 (ko) 장식용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CN211345192U (zh) 一种灯罩及其灯具
CN110985934B (zh) 一种角度可调的led灯
CN220228873U (zh) 一种可变换灯影的灯具
US20020176256A1 (en) Lighting fixture
JP2018045982A (ja) 容易に直接・間接照明の切り替えおよび、傘の着せ替えができ、多様・多彩な光の演出を可能とした簡単取り付けのランプシェード
JP4741679B6 (ja) 照明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