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512B1 -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512B1
KR101538512B1 KR1020150004133A KR20150004133A KR101538512B1 KR 101538512 B1 KR101538512 B1 KR 101538512B1 KR 1020150004133 A KR1020150004133 A KR 1020150004133A KR 20150004133 A KR20150004133 A KR 20150004133A KR 101538512 B1 KR101538512 B1 KR 10153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shape
cover plate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연
Original Assignee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512B1/ko
Priority to US14/930,663 priority patent/US20160201872A1/en
Priority to CN201510739118.0A priority patent/CN106122895B/zh
Priority to PCT/KR2016/000249 priority patent/WO20161145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6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형의 형태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구 소켓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링연결부재와 상기 링연결부재에 삽설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프레임 및 상기 작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는 벌집형태 또는 다수개의 얇은 판형상이 연이어 연결되는 판재형태의 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추구하도록 함은 물론 링연결부재를 상하로 회전하여 전구의 노출에 따라 밝기의 정도가 변하도록 하는 동시에 다양한 전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명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an interior cover and an illuminator}
본 발명은 외형의 형태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구 소켓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링연결부재와 상기 링연결부재에 삽설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프레임 및 상기 작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는 벌집형태 또는 다수개의 얇은 판형상이 연이어 연결되는 판재형태의 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추구하도록 함은 물론 링연결부재를 상하로 회전하여 전구의 노출에 따라 밝기의 정도가 변하도록 하는 동시에 다양한 전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명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어두운 곳을 밝게 비추어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가로등과 같은 실외용 조명기구와 실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조명기구로 크게 나뉘게 된다.
그리고 실내 조명기구는 다시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식 조명기기와 책상이나 가구의 상부면에 이동식으로 설치되어 부분적으로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텐드형 이동식 조명기기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조명기기나 스텐드형 이동식 조명기기는 대부분 전기가 설치되는 소켓의 외부에 전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가 구비되며, 이러한 커버는 또한 전구를 보호하는 동시에 실내의 장식을 미려하게 연출하도록 다양한 구성과 디자인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기기에 구비되는 커버는 대부분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일부 스탠드형 조명기기에는 부드러운 천부재를 사용하여 미려함을 연출하고 있으나, 이들 모두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전구가 노출되지 못함으로써 전구의 밝기가 커버에 의해 가려져 본래의 전구 조도의 밝기보다 더 어둡게 실내를 비추어 전구의 조명 효율을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내의 미려함을 추구는 조명기기의 커버는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구식으로 변하게 되어 미려함이 떨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등 커버의 형태가 현형되는 '스탠드형 조명기구'가 등록특허 제10-1270894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상기 '스탠드형 조명기구'에 대해 구성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에 구비되는 소켓부(20), 회전력을 생산하는 구동부(30), 상기 구동부(3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30)의 회전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전등 커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등 커버(40)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구동부(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전등 커버(40)를 밀고/당김에 의해 상기 전등 커버(4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커버변형지지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20)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전구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30)는 회전력을 생산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T'형 지지부(11)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0)는 소형의 모터로 상기 전등 커버(4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등 커버(4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등 커버(40)를 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전등 커버(40)는 상기 구동부(3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T' 형 지지부 및 상기 소켓부(2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벌집형태로 둥글게 에워싸고, 접힘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으로 전등 커버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전등 빛의 형태 및 분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공간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하게 된다.
KR 10-1270894 (등록번호) 2013.05.28. KR 10-0973693 (등록번호) 2010.07.28. KR 10-0375322 (등록번호) 2012.11.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270894호의 '스탠드형 조명기구'는 전등커버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용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형 조명기구'는 소켓의 전등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전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못함으로 인해 전등의 조도를 폭넓게 변경시킬 수가 없어 조명기구로써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즉, 전등커버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만 전구의 최대 조도가 비추어지게 되며 측면으로는 전등커버로 인해 더 낮은 조도가 조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형 조명기구'는 전등커버 내부에 소켓이 고정되어 있어 손을 넣어 전구 등을 교환할 때 좁은 공간으로 인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조명기구는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실내 인테리어 연출을 추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구 소켓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링연결부재와 상기 링연결부재에 삽설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프레임 및 상기 작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는 벌집형태 또는 다수개의 얇은 판이 연이어 연결되는 판재형태의 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태와 볼륨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전구의 노출에 따라 밝기의 정도가 변하도록 하여 조명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태나 볼륨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전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명 설치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구와 소켓을 대신하여 이들을 샤프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삽설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성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형태나 모양의 볼륨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테리어용 커버에 있어서,
샤프트 또는 지지부재가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브라케트와, 상기 지지브라케트의 외측으로 설치되되 다수 개의 얇은 판형상이 연이어 연결되면서 벌집형태나 판재형태로 되고 이들이 상하 회전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그 외형이 변형되는 커버수단, 상기 커버수단의 골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작동에 의해 상기 커버수단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수단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끼워 고정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상기 커버수단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원 형상의 축을 이루며 직경의 크기가 변형되는 링연결부재, 일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케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링연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연결부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커버수단의 외형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와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는 벌집형태의 부직포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얇은 판이 연이어 연결되는 판재형태의 부직포로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구의 노출 형태가 변하면서 밝기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의 내부에 다양한 형태와 모양의전구 설치가 가능하여 조명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변형시킴으로써 전구가 끼워지는 소켓의 위치가 바뀌게 되어 전구교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또 전구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어 커버의 상하부측 이외에 측면에도 전구의 최대 밝기로 조사할 수 있어 전구의 효용성이 향상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구와 소켓을 대신하여 이들을 샤프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삽설하여 상기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상이나 볼륨이 다양하면서도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여러가지로 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원하는 형태의 커버로 그 외형을 변형시킬 수가 있어 실내 인테리어의 연출에 매우 실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커버지지프레임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요부에 대한 작동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커버가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변형을 통한 인테리어용 커버에 샤프트가 삽설되어 실내 인테리어가 연출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구(110)가 탈·장착되는 소켓몸체부재(120)를 이용하여 조명기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샤프트 또는 지지부재(A)가 내측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브라케트(130)와,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의 외측으로 설치되되 다수 개의 얇은 판형상이 연이어 연결되면서 벌집형태나 판재형태로 되고 이들이 상하 회전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그 외형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수단(140),
상기 커버수단(140)의 골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작동에 의해 상기 커버수단(14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플레이트(150),
상기 커버수단(140)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150)가 끼워 고정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50)가 회동되면서 상기 커버수단(140)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원 형상의 축을 이루는 링연결부재(160),
일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링연결부재(16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연결부재(1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부재(17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변형이 자유로운 커버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를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에 연결 설치된 상기 커버수단(14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그 형태가 커거나 또는 작아지면서 외형이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올려주거나 눌러주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17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링연결부재(160)가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의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170)의 회동가능한 일단부의 회동부는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해 주어야 회전이 가능하도록 빡빡하게 설치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내에 상기 샤프트 또는 지지브재(A)를 설치 고정하여 상기 커버수단(140)를 펼쳐주거나 접어주게 되면 그 외부 형태가 변형되면서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A)를 대신하여,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에 상기 전구(110)가 탈·장착되는 상기 소켓몸체부재(120)를 설치하게 되면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를 포함하는 조명기구(100)가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조명기구(100)는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의 하부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소켓몸체부재(120)에 설치된 상기 전구(110)가 상기 커버수단(140)의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를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수단(14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다양한 형태로 그 외형이 변형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링연결부재(160)가 신축됨으로써 그 직경이 변화되어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의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 형태나 볼륨이 변형되게 된다. 이는 상기 커버수단(140)의 내측 공간이 커지거나 작게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내부 공간의 변형으로 인해 그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전구(110)를 크기가 다른 것으로 교체 적용하기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기 전구(110)의 크기와 형태를 불문하고 용이하게 교환하여 활용할 수 있어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수단(140)은 신축성 부재의 부직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는 상기 커버수단(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연결부재(160)을 따라 2개 이상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와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연결 지지하는 상기 링크부재(170)도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2개 이상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상기 소켓몸체부재(120)의 외부에 삽설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체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삽설되는 상기 지지부재(A)나 상기 소켓몸체부재(120)의 크기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지지부재(A) 또는 상기 소켓몸체부재(120)의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는 그 일단부에 작동손잡이(15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링연결부재(160)가 삽설되는 라운드부(152)가 형성 구비되되 상기 작동손잡이(151)가 구비되는 일단부에서 상기 라운드부(152)가 형성되는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손잡이(151)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152)에는 요홈(152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52a)에는 상기 링연결부재(160)가 삽설 고정되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가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153)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53)는 몸체하우징(153a)과 상기 링크부재(170)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하우징(153a)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링연결부재(160)가 삽설 고정되고 원주면에 요철부(t)가 형성되는 디스크 형상의 스프라켓부재(153b), 상기 몸체하우징(153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t)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로드(153c), 및 상기 록킹로드(153c)에 삽설되는 탄성스프링부재(153d)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에 구비된 상기 작동손잡이(151)를 잡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15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150)가 회동된다.
즉,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는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삽설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록킹로드(153c)가 상기 요철부(t)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53d)의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로드(153c)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53d)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록킹로드(153c)의 단부가 상기 요철부(t)에 걸려(물려)지거나 해제(빠지게)될 수 있도록 되면서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의 양측면에는 벌집형상의 부직포로된 상기 커버수단(140)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의 회전에 의해 그 형태나 모양이 변형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로드(153c)가 삽설되는 상기 몸체하우징(153a)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53d)의 일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지지턱(153a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록킹로드(153c)에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53d)의 타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지지턱(153c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로드(153c)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53d)의 탄성력에 의해 왕복 슬라이딩운동을 하면서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에 걸려지거나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커버플레이트(150)가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가 구비되는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는 서로 대칭되는 제1플레이트(150a)와 제2플레이트(150b)를 서로 연결 고정하여 설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50a)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b)에는 이들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탄성력을 갖는 복수개의 클램프수단(154)이 설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수단(154)은 나사체결식이나 암수 끼움수단 등과 같이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수단(140)이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장착수단(15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착수단(155)으로는 자석수단이나 벨크로테이프 수단 등 다양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53)의 상기 몸체하우징(153a)은 서로 대칭되면서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암하우징(156)과 수하우징(15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암하우징(156)의 내부에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와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53d)가 설치된 상기 록킹로드(153c)를 삽설한 다음 상기 수하우징(157)을 끼워 고정 결합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분해 조립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 링연결부재(160)는 그 크기(직경)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수단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예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가 있다.
즉, 상기 링연결부재(160)의 상기 신축수단은 연결마디(161)를 다수 개 연결 조립하여 하나의 원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연결마디(161)는 일단부에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끼움돌기로드부(161a)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는 끼움요홈(161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마디(161)를 다수 개 연이어 삽설하여 원형의 링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마디(161)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상기 끼움돌기로드부(161a)에 형성된 상기 돌기가 상기 끼움요홈(161b)에 형성된 상기 요홈에 신축적으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링연결부재(160)는 상기 연결마디(161)를 신축하여 그 직경을 크게 또는 작게할 수가 있어 상기 커버수단(140)의 크기나 볼륨을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연결부재(160)의 직경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로드(161)의 끼움 상태를 일부 빼내게 되면 직경이 늘어나 커진 상태로 원형의 링형상이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연결마디의 수단 이외에도 안테나 형식의 신축수단이나 청소기 연결봉의 길이 신축수단 또는 끼움수단을 외측에서 삽설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기술을 응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신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링연결부재(160)의 직경을 크게하거나 작게(신축)하면서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상기 링크부재(170)의 회동에 의해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하부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소켓몸체부재(120)에 끼워진 상기 전구(110)가 외부로 노출될 수가 있고 이로 인해 외부의 조명이 더 밝아지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전구(110)를 용이하게 교환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링연결부재(160)의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커버수단(140)의 볼륨을 크게하거나 작게 조절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전구(110)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것으로 변경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변화를 만들어 줌으로써, 전구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조명기구가 사용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커버수단(140)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인테리어 소품으로 가장 적합한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몸체부재(120)는 그 하부측에 배터리수단을 연결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전구(11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를 이용한 조명기구(100)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를 상기 작동손잡이(151)를 이용하여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회동부재(153)가 상기 스프라켓부재(153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커버수단(140)의 형상이나 모양이 변형되게 된다.
이는 상기 커버수단(140)이 벌집 또는 판재형상으로 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특유의 신축성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b)의 형상은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를 최대로 아래쪽으로 회전된 상태이나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커버플레이트(150)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상기 커버수단(140)의 형상을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수단(140)의 형상을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줌으로써 실내의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의 조명도 적절히 변하도록 함으로써 실내분위기가 살아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1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연결부재(160)의 직경이 상기 연결마디(161)의 신축기능에 의해 크게 되거나 작게 변형되면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연결부재(160)를 하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50)를 하부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전구(110)가 외부측으로 노출되면서 외부의 조도를 더욱 밝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구를 교환하면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천장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설치되는 샹들리에로 활용하여 실내 공간을 연출할 수도 있고 또 스탠드형 조명기구로 활용될 수도 있어 그 활용성이 매우 다양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형태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를 갖는 조명기구는 전구가 삽설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링연결부재와 상기 링연결부재에 삽설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프레임 및 상기 작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는 벌집 또는 판재형태의 부직포 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의 조작으로 커버부재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추구하도록 하는 동시에 링연결부재의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커버부재의 볼륨을 크게하거나 작게 조절 할 수 있고, 또 이는 전구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것으로 변경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변화를 만들어 줌으로써, 전구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조명기구가 사용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커버부재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인테리어 소품으로 가장 적합한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조명기구이다.
100:형태기 변형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110:전구 120:소켓몸체부재
130:지지브라케트 140:커버수단
150:커버플레이트 150a:제1플레이트 150b:제2플레이트
151:작동손잡이 152:라운드부 152a:요홈 153:회동부재
153a:몸체하우징 153ab:하우징지지턱 153b:스프라켓부재
153c:록킹로드 153ca:로드지지턱 153d:탄성스프링부재
154:클램프수단 155:장착수단 156:암하우징 157:수하우징
160:링연결부재 161:연결마디 161a:끼움돌기로드 161b:끼움요홈
170:링크부재

Claims (8)

  1. 외부 형태나 모양의 볼륨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테리어용 커버에 있어서,
    샤프트 또는 지지부재가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브라케트와,
    상기 지지브라케트의 외측으로 설치되되 다수 개의 얇은 판형상이 연이어 연결되면서 벌집형태나 판재형태로 되고 이들이 상하 회전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그 외형이 변형되는 커버수단,
    상기 커버수단의 골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작동에 의해 상기 커버수단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수단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끼워 고정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상기 커버수단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원 형상의 축을 이루며 직경의 크기가 변형되는 링연결부재,
    일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케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링연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연결부재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커버수단의 외형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전구가 탈장착되는 소켓몸체부재로 이루어지는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그 일단부에 작동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링연결부재가 삽설되는 라운드부가 형성 구비되되, 상기 작동손잡이가 구비되는 일단부에서 상기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상기 링연결부재가 삽설 고정되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링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가 삽설 구비되는 조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몸체하우징과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링연결부재가 삽설 고정되고 원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디스크 형상의 스프라켓부재,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라켓부재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로드, 및 상기 록킹로드에 삽설되는 탄성스프링부재로 구성되는 조명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로드가 삽설되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의 일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지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로드에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의 타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지지턱이 구비되는 조명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서로 대칭되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이들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탄성력을 갖는 복수 개의 클램프수단이 설치 구비되는 조명기구.
KR1020150004133A 2015-01-12 2015-01-12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10153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33A KR101538512B1 (ko) 2015-01-12 2015-01-12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US14/930,663 US20160201872A1 (en) 2015-01-12 2015-11-03 Transformable lamp shad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510739118.0A CN106122895B (zh) 2015-01-12 2015-11-04 装饰用可变形灯罩及包括该灯罩的灯具
PCT/KR2016/000249 WO2016114537A1 (ko) 2015-01-12 2016-01-11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33A KR101538512B1 (ko) 2015-01-12 2015-01-12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512B1 true KR101538512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133A KR101538512B1 (ko) 2015-01-12 2015-01-12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01872A1 (ko)
KR (1) KR101538512B1 (ko)
CN (1) CN106122895B (ko)
WO (1) WO201611453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4724A (zh) * 2016-05-19 2016-08-17 张传开 一种可旋转遮光灯座
KR101655703B1 (ko) * 2015-10-28 2016-09-07 주식회사 아뜨레 조명등의 반사갓장치
KR101656343B1 (ko) * 2015-11-12 2016-09-13 아이투엠 주식회사 외형을 자동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 조명기구
KR101661864B1 (ko) * 2015-11-04 2016-09-30 최명주 전등갓 장치
WO2017179787A1 (ko) * 2016-04-11 2017-10-19 아이투엠 주식회사 형상 가변형 조명기구
KR20180010828A (ko) *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로운컴퍼니 책자형 조명
KR102208788B1 (ko) * 2020-07-16 2021-01-28 도도한 주식회사 갓을 이용한 전등
KR20230025972A (ko) * 2021-08-17 2023-02-24 곽재석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2273B (zh) * 2017-05-24 2023-06-16 广东工业大学 一种视觉光源装置
CN109237432A (zh) * 2018-07-20 2019-01-18 芜湖飞信信息科技有限公司 多功能led灯罩
CN109268779A (zh) * 2018-07-20 2019-01-25 芜湖飞信信息科技有限公司 新型led灯罩
SE542936C2 (en) * 2018-11-07 2020-09-15 Inter Ikea Systems B V [Nl] Ligth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altering its appearance and light dispersion pattern
US20230220940A1 (en) * 2022-01-07 2023-07-13 Inventions, Plus LLC Disk with adjustable outer diame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817A (ja) * 1994-09-01 1996-03-22 Toyo Kako Kk 照明カバー
KR101270894B1 (ko) * 2012-09-06 2013-06-05 한국과학기술원 스탠드형 조명기구
KR101300011B1 (ko) * 2011-10-11 2013-08-26 고만기 엘이디 조명램프
KR101302730B1 (ko) * 2013-02-08 2013-09-10 조동연 부직포의 표면적 변화에 따라 가습량이 조절되는 자연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9744A (en) * 1923-04-07 1924-09-23 Rose E Wilson Lamp shade
US2123582A (en) * 1935-09-23 1938-07-12 David Brussell Lamp shade adapter
US4841424A (en) * 1988-05-31 1989-06-20 Modulite Corporation Knockdown ring frame for lamp shade
US4868727A (en) * 1989-01-06 1989-09-19 Innovative Controls, Inc. Light fixture with integral reflector and socket shield
US4994949A (en) * 1989-07-14 1991-02-19 Yeh Chao H Stretching device for a pleated lampshade
CN2485516Y (zh) * 2001-01-31 2002-04-10 吴耀军 折叠式宫廷走马灯
CN2596190Y (zh) * 2002-12-20 2003-12-31 林珀浈 一种旋转折叠式圆口灯罩
WO2007107555A1 (de) * 2006-03-21 2007-09-27 Niels Kleindienst Verstellmechanismus für eine leuchte mit einem plissierten lampenschirm
KR100973693B1 (ko) * 2009-08-21 2010-08-03 (주)수성전자 보행등 및 경관 조명기능을 갖는 가로등주 커버
CN201636607U (zh) * 2010-03-17 2010-11-17 李军 一种可折叠灯
JP5603141B2 (ja) * 2010-05-31 2014-10-08 株式会社アジアン・マーケット 中空球状体、同中空球状体の組立キット、及びランプシェード
CN103851399A (zh) * 2012-12-04 2014-06-11 重庆星维烽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落地灯
CN203115831U (zh) * 2013-01-09 2013-08-07 易玺国际有限公司 可折叠薄片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817A (ja) * 1994-09-01 1996-03-22 Toyo Kako Kk 照明カバー
KR101300011B1 (ko) * 2011-10-11 2013-08-26 고만기 엘이디 조명램프
KR101270894B1 (ko) * 2012-09-06 2013-06-05 한국과학기술원 스탠드형 조명기구
KR101302730B1 (ko) * 2013-02-08 2013-09-10 조동연 부직포의 표면적 변화에 따라 가습량이 조절되는 자연가습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03B1 (ko) * 2015-10-28 2016-09-07 주식회사 아뜨레 조명등의 반사갓장치
KR101661864B1 (ko) * 2015-11-04 2016-09-30 최명주 전등갓 장치
KR101656343B1 (ko) * 2015-11-12 2016-09-13 아이투엠 주식회사 외형을 자동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 조명기구
US9739442B2 (en) 2015-11-12 2017-08-22 I2M Co., Ltd. Transformable lighting appartus
WO2017179787A1 (ko) * 2016-04-11 2017-10-19 아이투엠 주식회사 형상 가변형 조명기구
CN105864724A (zh) * 2016-05-19 2016-08-17 张传开 一种可旋转遮光灯座
KR20180010828A (ko) *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로운컴퍼니 책자형 조명
KR102208788B1 (ko) * 2020-07-16 2021-01-28 도도한 주식회사 갓을 이용한 전등
KR20230025972A (ko) * 2021-08-17 2023-02-24 곽재석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KR102510185B1 (ko) * 2021-08-17 2023-03-15 곽재석 형태 변형 전등갓을 갖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4537A1 (ko) 2016-07-21
US20160201872A1 (en) 2016-07-14
CN106122895A (zh) 2016-11-16
CN106122895B (zh)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512B1 (ko)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101656343B1 (ko) 외형을 자동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 조명기구
US6176598B1 (en) Light fixture flexible reflector
US11035533B1 (en) Bendable lamp
KR101270894B1 (ko) 스탠드형 조명기구
US10082261B2 (en) Pivotable light fixture
KR200394755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101720303B1 (ko) 외형이 변형되는 조명장치
AU2018395234B2 (en)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CN108488750A (zh) 立式台灯
RU81557U1 (ru) Светильник
KR20210157563A (ko) 형태가 변형되는 인테리어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101383453B1 (ko) 손전등 기능을 겸한 스탠드형 조명장치
JPH10223014A (ja) 照明器具
KR20200007147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CN215411471U (zh) 一种便携式户外工作灯
KR101637014B1 (ko) 접철식 조명장치
US20200263852A1 (en) Lampshade
CN215636886U (zh) 一种多分支结构的可见变光照范围灯具
KR101812134B1 (ko) 외형이 변형되는 주름형상의 갓을 갖는 조명기구
CN209569681U (zh) 室内装饰照明装置
CN208967528U (zh) 模组化灯体及模组化灯具
KR100660439B1 (ko) 장식용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KR200317422Y1 (ko) 조명기구용 여닫이식 커버장치
KR200264968Y1 (ko) 조명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