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228A -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228A
KR20230025228A KR1020210107493A KR20210107493A KR20230025228A KR 20230025228 A KR20230025228 A KR 20230025228A KR 1020210107493 A KR1020210107493 A KR 1020210107493A KR 20210107493 A KR20210107493 A KR 20210107493A KR 20230025228 A KR20230025228 A KR 2023002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anslation
language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697B1 (ko
Inventor
이승진
홍성일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챗
Priority to KR102021010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6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28A/ko
Priority to KR1020230041559A priority patent/KR2023004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모두 번역 툴을 배치하고, 서버에서는 모든 언어를 중개언어로만 번역하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상기 중개언어를 지정된 타겟 언어로 번역하는 것에 의해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복수의 사용자들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번역 로드를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분산하고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Method for translating an instant message into multiple languages in real-time}
본 발명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 : Mobile Instant Messenger) 기술에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사용자들간에 채팅이 가능하도록 실시간 다국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대중적 보급과 일상적 사용은 이제 일상화된 풍경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스마트 폰을 마치 자신의 수족인양 늘 휴대하고 다니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실시간 소통을 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의사소통의 즉시성과 직접성을 높여줌으로써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들도 모바일 환경에 맞게 개선되어 서비스 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 이하, MIM)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용행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 또한 증폭되고 있다.
특히,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기존에는 PC에서만 가능하였으나,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도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는 유저들 사이에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대화를 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른 한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사회가 글로벌화 됨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유저들 사이에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번역 기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실시간 번역 기술로서 채팅창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기 위하여 별도의 번역엔진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20-0095040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21-0039614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104051 호 등에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71285 호)은 복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채팅방을 유지하고, 채팅방 내의 사용자로부터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채팅 메시지의 구조에 기초하여 번역 엔진에 접근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번역 엔진을 이용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의 내용을 번역한 후 번역된 메시지의 내용을 채팅방에 업로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한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에 번역서버를 포함시켜 실시간 자동번역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들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0029126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214562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053886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4-0116259 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8-0108973 호 등에 제안되었다.
특히,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8-0108973 호)는 채팅방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언어를 식별하고,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 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채팅방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시 자동번역 제공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번역 채팅방법들은 채팅방에 특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메시지로부터 번역된 번역 메시지의 내용을 함께 표시하고 있어서 가독성이 떨어지고, 번역 로드가 서버단에 집중됨으로써 혼잡 시간대에 서버의 부하가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번역 채팅방법은 외부의 전문적인 기계 번역엔진을 이용하거나 자체적으로 개발된 번역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으나 하나의 단어가 여러 품사를 갖고 있거나 여러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고, 형태소 분석 및 구문분석에서 언어의 모호성이 상시적으로 존재함으로써 어순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자연스럽지 못한 번역이 생성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138663 호)은 번역서버에서 제공하는 번역된 내용을 사용자가 검증함과 동시에 딥러닝서버에서 번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번역의 오류를 줄이고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KR 10-1271285 B KR 2018-0108973 A KR 10-2138663 B KR 2001-0029126 A KR 10-2214562 B KR 2015-0053886 A KR 2014-0116259 A KR 2020-0095040 A KR 2021-0039614 A KR 2015-0104051 A
기존의 외부 번역 엔진이나 자체적인 번역 서버를 이용하는 채팅 번역 방법의 경우 번역 로드가 서버단에 집중됨으로써 서버의 부하가 가중되고, 이로 인해 채팅 메시지의 번역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번역의 로드를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분산시킬 수 있는 번역 로드 분산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기존의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방법의 경우, 원문 메시지와 번역 메시지를 채팅창내에 동시에 함께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의 가독성이 떨어졌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원문 메시지는 백그라운드에 배치하고, 채팅창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언어(예를 들어, 모국어)로 번역된 번역 메시지만을 표시함으로써 메시지의 가독성과 시인성을 높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역 메시지를 확인한 채팅 상대방의 요구에 따라 백그라운드에 존재하는 원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고, 채팅 상대방의 요청에 따라 원문 메시지를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들간에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개언어를 지정된 타켓언어로 번역하는 번역 어플리케이션과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매개하는 메신저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언어로 구성된 원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문 메시지의 제 1 언어를 상기 중개언어로 번역하여 1차 번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문 메시지와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의 중개언어를 상기 지정된 타겟 언어로 번역하여 2차 번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상기 2차 번역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문 메시지 및/또는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상기 제 2 차 번역 메시지와 함께 대화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시지 수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수정 요청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상기 메시지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원문 메시지를 수정한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정 메시지의 제 1 언어를 상기 중개언어로 번역하여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정 메시지와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의 중개언어를 상기 지정된 타겟 언어로 번역하여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상기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타겟 언어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메신저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버와, 상기 메신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언어를 상기 중개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번역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중개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중개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언어로 구성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중개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상기 중개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 1 언어, 상기 중개언어 및 상기 타겟 언어가 모두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상기 제 1 언어, 상기 중개언어 및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원문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그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언어적 한계를 넘어서 다국어 서비스로 확대함으로써 메신저 플랫폼을 글로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번역 로드 분산 기술을 통해 기존의 채팅 번역 서비스에 비해 번역의 속도감을 높이고, 서버의 부하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되는 번역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기반의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구현함으로써 클라이언트측의 부담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번역기가 직접적으로 채팅에 참여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함으로써 채팅창에서의 대화는 각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모국어)로만 표시되어서 사용자의 가독성과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번역 데이터 세트들을 토대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딥러닝하는 것에 의해 자동번역의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타겟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 사용자 단말의 채팅창의 화면 구성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들(110 내지 130)에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들(110 내지 130)에 설치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상기 메신저 서버(210)로부터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신저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들(110 내지 130)의 사용자 간에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 내에서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지정된 중개언어(또는 중심언어)로 번역한다.
상기 메신저 서버(210)는 자체적으로 메시지 번역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번역 DB)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메시지 번역을 위한 별도의 번역 서버(220)와 연동되어 협업할 수 있다. 번역 서버(220)는 이를 테면 번역 엔진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번역 서버(220)가 구비되는 실시예 또한 본 발명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신저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들(110 내지 130)의 사용자 간에 인스턴트 메시징 세션 내에서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이루어진 메시지와 그 번역 메시지 등을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이 빅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서 딥러닝하여 상기 번역 데이터베이스나 번역 엔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AI 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딥러닝 서버(230)와 연동하여 협업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10 내지 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내지 13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 내지 13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4)를 통해 다른 단말들 및/또는 메신저 서버(2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04)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4)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04)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신저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110 내지 130)과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메신저 서버(210)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10 내지 130)의 다수의 사용자로 하여금 1개의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된 사용자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 채팅을 위해서 사용자 단말(110 : 스마트폰)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과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지는 사용자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버(210)는 기능 모듈로서 접속 관리부(211), 사용자 정보 저장부(212), 처리부(213), 데이터베이스(214), 제 1 연동부(215) 및 제 2 연동부(216)를 포함한다. 메신저 서버(210)의 상기 기능 모듈들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로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또는 마켓에서 배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과 결합되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또는 마켓에서 함께 배포되거나 이와는 별도로 상기 메신저 서버(2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은 중개언어(예를 들어, 영어)를 사용자의 지정된 타켓언어(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메신저 서버(210)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쪽지, 문자 메시지, 파일, 자료들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실시간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채팅창' 또는 '대화창'은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는 창(Window)을 의미한다.
메신저 서버(210)의 접속 관리부(211)는 메신저 서버(210)와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101 내지 103 등)이 네트워크(104)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물리적/논리적 통신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접속 관리부(211)를 통해 처리부(213)에 전달되며, 처리부(213)가 사용자들 사이의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번역이 이루어지면 그 결과 또한 접속 관리부(211)를 통해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220)는 다양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나이, 국적, 성별 등) 및 사용자가 진행하던 대화 세션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일체의 물리적/논리적 구성을 대표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230)는 일대일 또는 일대다 채팅 방식의 서비스에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개언어로 번역하도록 번역 서버(220)와 연동하고, 채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문 메시지 세트(원문 메시지-1차 번역 메시지-2차 번역 메시지)와 수정 메시지 세트(수정 메시지-1차 번역 수정 메시지-2차 번역 수정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하며, 상기 원문 메시지 세트와 수정 메시지 세트를 딥러닝 서버(23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채팅 번역 서비스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특히,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과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을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채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원문 메시지 세트와 수정 메시지 세트를 저장한다.
상기 제 1 연동부(215)는 채팅과정의 메시지를 지정된 중개언어로 번역하기 위하여 메신저 서버(210)의 상기 처리부(213)와 상기 번역 서버(220)를 인터페이스하는 일체의 물리적/논리적 구성을 대표한다.
상기 제 2 연동부(216)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딥러닝을 위한 상기 원문 메시지 세트와 수정 메시지 세트를 딥러닝 서버(230)로 전달하기 위하여 메신저 서버(210)의 상기 처리부(213)와 상기 딥러닝 서버(230)를 인터페이스하는 일체의 물리적/논리적 구성을 대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메신저 서버(210)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상기 접속 관리부(211) 내지 제 2 연동부(216)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타겟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 사용자 단말의 채팅창의 화면 구성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방법을 설명한다.
<다국어 번역 채팅 과정>
먼저, 본 발명의 실시간 다국어 번역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 120, 130)에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과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을 다운받아 설치한다(S110).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 폰(110)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서 설명한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로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또는 마켓에서 배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하면 등록된 친구들과 대화 세션을 개설하여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과 결합되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또는 마켓에서 함께 배포되거나 이와는 별도로 상기 메신저 서버(21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은 중개언어(또는 중심언어)를 사용자의 타켓언어(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 단말(110)의 연락처 목록에 액세스하여 자동으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친구들을 친구 목록에 추가할 수 있으며, 친구를 직접 추가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초대는 사용자 단말(110) 내의 연락처에 액세스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을 사용하지 않는 친구에게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 판독을 수행하여, 인식되는 QR코드가 포함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를 친구로 추가할 수 있고, 직접 다른 사용자의 ID를 검색하여 수동으로 친구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을 설치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 언어를 설정하여 등록한다(S112). 즉, 사용자는 자신의 모국어를 제 1 타겟 언어로 설정하고, 제 2 외국어를 제 2 타겟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의 번역 언어(예를 들어, 영어에서 프랑스어로 번역)가 미리 셋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타켓 언어 설정 절차는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을 이용하여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다른 언어 사용자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한다(S114).
메신저 서버(210)의 접속 관리부(211)는 사용자 대화 세션에서 사용자가 제 1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로 입력한 메시지(이하, '원문 메시지'로 약칭)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부(213)로 전달한다(S115, S116).
상기 원문 메시지를 수신한 처리부(213)는 제 1 연동부(215)로 하여금 번역 서버(또는 번역 엔진)(220)로 액세스하여 상기 원문 메시지를 중개언어(예를 들어, 영어)로 번역할 것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연동부(215)는 상기 원문 메시지를 상기 번역 서버(220)로 전달하고(S118), 번역 서버(220)는 상기 원문 메시지의 제 1 언어를 중개언어로 번역한 1차 번역 메시지를 제 1 연동부(215)를 거쳐서 처리부(113)로 리턴한다(S120).
상기 처리부(113)는 상기 원문 메시지와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한 후(S122), 접속 관리부(211)를 통해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와 상기 원문 메시지를 상기 대화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기(110)에 송신한다(S124).
한편, 상기 S116에서, 상기 처리부(213)는 상기 제 1 언어와 설정된 중개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중개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언어로 구성된 원문 메시지를 그대로(즉, 중개언어로 번역하지 않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와 원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원문 메시지와 1차 번역 메시지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을 호출하여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한다(S126).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은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의 중개언어(예를 들어, 영어)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겟 언어(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2차 번역 메시지를 생성한다(S127).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타겟 언어로 번역된 상기 2차 번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1)의 메신저 대화창(즉, 채팅창)에 표시하고(S130), 메신저 서버(210)의 접속 관리부(211)로 상기 2차 번역 메시지를 전달한다(S128). 메신저 서버(210)의 처리부(213)는 상기 2차 번역 메시지를 상기 원문 메시지 및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와 함께 원문 메시지 세트(원문 메시지-1차 번역 메시지-2차 번역 메시지)로서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한다(S129). 이때, 상기 타겟 언어는 해당 사용자의 모국어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채팅창에 표시되는 상기 2차 번역 메시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S126에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중개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중개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그대로(즉, 타겟 언어로 번역하지 않고)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언어, 상기 중개언어 및 상기 타겟 언어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메신저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원문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그대로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세션 종료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기(110)들간에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그러한 내용은 상기 S115 내지 S129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번역 툴을 클라이언트측과 서버측에 각각 배치하고, 서버측에서는 모든 언어를 미리 지정된 중개언어로 번역하고,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서버에서 번역된 중개언어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각각의 타켓 언어로 번역하고 있다. 이에 따라, 1:N 다국어 채팅시 서버에서 하나의 언어를 다국의 언어로 번역할 필요없이 서버에서는 지정된 하나의 중개언어로만 번역하고, 나머지 다국어 번역은 각각의 클라이언트측에서 설정된 타겟 언어로 각각 번역하기 때문에 번역 로드의 서버 집중을 방지함으로써 번역 로드의 분산을 달성할 수 있다.
<원문 메시지의 확인>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S130에서 상기 2차 번역 메시지(116)를 메신저 대화창(114)에서 확인한 사용자는 메시지 내용의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상기 원문 메시지 및/또는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의 확인을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에 요청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신저 대화창(114)의 '체킹' 아이콘(117)을 선택하면,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임시 저장하고 있던 상기 원문 메시지(116a) 및/또는 상기 1차 번역 메시지(116b)를 상기 2차 번역 메시지(116)와 병렬적으로 메신저 대화창(114)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모국어로 번역된 2차 번역 메시지(116)와 더불어 채팅 상대방에서 송신한 원문 메시지(115 또는 116a)나 메신저 서버에서 번역한 1차 번역 메시지(116b)를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메시지 수정 요청>
설정한 타겟 언어로 번역된 상기 2차 번역 메시지와 함께 원문 메시지나 1차 번역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채팅 상대방의 메시지 진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채팅 과정에서 메시지 진의가 파악되지 않는 이유는 번역 과정의 오류나 원문 메시지 자체의 오류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번역 과정의 오류는 번역 프로그램에 의한 기계번역 자체의 한계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팅시 표준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번역이 어려운 사투리나 속어, 은어 또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였거나 번역 프로그램이 경험해 보지 못한 구문이나 다의어(polysemy)(예를 들어, 배 : abdomen, pear, ship, trophy)인 경우이다.
이때에는, 원문 메시지를 발송한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수정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 번역 메시지(116)와 함께 1차 번역 메시지(116b) 또는 원문 메시지(116a)를 확인한 사용자가 메신저 대화창(114)의 '수정' 아이콘(118)을 선택하면,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메신저 서버(210)에 메시지 수정을 요청한다(S210).
이에 따라, 메신저 서버(210)의 접속 관리부(211)는 원문 메시지를 발송한 사용자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에 채팅 상대방의 '메시지 수정' 요청을 전달한다(S211).
상기 원문 메시지를 발송한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원문 메시지에 기계번역이 어려운 구문이나 용어(사투리, 속어, 은어, 다의어, 잘못된 단어 등)가 포함되어 있음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문 메시지를 발송한 사용자는 상기 원문 메시지를 좀더 표준적인 구문이나 용어로 변경한 '수정 메시지'를 메신저 대화창에 입력한다(S212).
메신저 서버(210)의 접속 관리부(211)는 사용자 대화 세션에서 사용자가 제 1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로 입력한 상기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부(213)로 전달한다(S214).
상기 '수정 메시지'를 수신한 처리부(213)는 제 1 연동부(215)로 하여금 번역 서버(또는 번역 엔진)(220)로 액세스하여 상기 '수정 메시지'를 중개언어(예를 들어, 영어)로 번역할 것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연동부(215)는 상기 '수정 메시지'를 상기 번역 서버(220)로 전달하고(S216), 번역서버(220)는 상기 '수정 메시지'의 제 1 언어를 중개언어로 번역한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제 1 연동부(215)를 거쳐서 처리부(113)로 리턴한다(S218).
상기 처리부(113)는 상기 수정 메시지와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상기 원문 메시지 세트(원문 메시지-1차 번역 메시지-2차 번역 메시지)와 함께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한 후(S220), 접속 관리부(211)를 통해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와 상기 수정 메시지를 상기 대화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기(110)에 송신한다(S222).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와 수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수정 메시지와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을 호출하여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한다(S224).
상기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112)은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의 중개언어(예를 들어, 영어)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겟 언어(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생성한다(S225).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111)은 타겟 언어로 번역된 상기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1)의 메신저 대화창에 표시하고(S229), 메신저 서버(210)의 접속 관리부(211)로 상기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전달한다(S226). 메신저 서버(210)의 처리부(213)는 상기 2차 번역 수정메시지, 상기 수정 메시지,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 및 상기 원문 메시지 세트(원문 메시지-1차 번역 메시지-2차 번역 메시지)를 묶어서 수정 메시지 세트(원문 메시지-1차 번역 메시지-2차 번역 메시지-수정 메시지-1차 번역 수정메시지-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한다(S228).
상기 원문 메시지 확인 절차와 같이, '체킹' 아이콘(117)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2차 번역 수정메시지와 더불어 수정 메시지 및/또는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차 번역 수정메시지와 함께 수정 메시지나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확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채팅 상대방의 메시지 진의를 여전히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수정을 한번 더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수정 요청'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정 메시지나 수정 번역 메시지들은 원문 메시지 세트와 더불어 '수정 메시지 세트'로서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된다.
<딥러닝 학습데이터의 수집과 딥 러닝>
메신저 서버(210)의 처리부(213)는 상기한 적어도 한번 이상의 '메시지 수정 '절차를 통해서 발생하게 되는 모든 '수정 메시지 세트'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한다(S228).
상기 '수정 메시지 세트'는 '원문 메시지-1차 번역 메시지-2차 번역 메시지-수정 메시지-1차 번역 수정메시지-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기본단위로 한다. 만약, 수정 절차가 2회 이상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정 메시지 세트'는 상기 기본단위에 2차 이후로 이루어진 수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정 메시지와 번역 수정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신저 서버(210)의 처리부(213)는 메시지 수정 절차가 마무리되면, 데이터베이스(214)에 생성된 상기 수정 메시지 세트를 상기 제 2 연동부(216)를 거쳐서 상기 딥러닝 서버(230)로 전달한다(S230).
딥러닝 서버(230)는 상기 수정 메시지 세트를 인공지능 엔진이 학습 가능한 형태의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코딩하는 것에 의해 학습 데이터를 생성한다(S232).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상기 학습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엔진을 심층 학습시키는 것에 의해 학습된 AI 모듈인 번역 보정 모듈을 완성한다(S234, S236).
이 번역 보정 모듈은 상기 번역 서버(번역 엔진)나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갖는 기계 번역의 한계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준어 번역에 더하여 사투리, 속어, 은어 또는 다의어(polysemy) 등에 대한 번역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간의 채팅 과정에서 사용자의 참여에 의해 발생하는 수정 메시지 데이터와 이 수정 메시지의 번역 데이터들을 토대로 인공지능 엔진을 심층 학습시키는 것에 의해 기계 번역의 정확성을 보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간 다국어 번역 채팅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의 참여에 의한 딥러닝을 위한 학습데이터가 많이 축적될수록 본 발명에 따른 번역의 정확성은 점점 높아질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120,130 : 사용자 단말, 104 : 네트워크, 111 :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112 : 번역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114 : 대화창, 115, 116a : 원문 메시지, 116 : 2차 번역 메시지, 116b : 1차 번역 메시지, 210 : 메신저 서버, 211 : 접속 관리부, 212 : 사용자 정보 저장부, 213 : 처리부, 214 : 데이터베이스, 215 : 제 1 연동부, 216 : 제 2 연동부, 220 : 번역 서버, 230 : 딥러닝 서버

Claims (9)

  1.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들간에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개언어를 지정된 타켓언어로 번역하는 번역 어플리케이션과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매개하는 메신저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언어로 구성된 원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문 메시지의 제 1 언어를 상기 중개언어로 번역하여 1차 번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문 메시지와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번역 메시지의 중개언어를 상기 지정된 타겟 언어로 번역하여 2차 번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상기 2차 번역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문 메시지 및/또는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상기 제 2 차 번역 메시지와 함께 대화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시지 수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수정 요청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상기 메시지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원문 메시지를 수정한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정 메시지의 제 1 언어를 상기 중개언어로 번역하여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정 메시지와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번역 수정메시지의 중개언어를 상기 지정된 타겟 언어로 번역하여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상기 2차 번역 수정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언어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버와,
    상기 메신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언어를 상기 중개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번역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중개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중개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언어로 구성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중개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상기 중개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1차 번역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타겟 언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원문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KR1020210107493A 2021-08-13 2021-08-13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KR10252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93A KR102525697B1 (ko) 2021-08-13 2021-08-13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KR1020230041559A KR20230047352A (ko) 2021-08-13 2023-03-29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93A KR102525697B1 (ko) 2021-08-13 2021-08-13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559A Division KR20230047352A (ko) 2021-08-13 2023-03-29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28A true KR20230025228A (ko) 2023-02-21
KR102525697B1 KR102525697B1 (ko) 2023-04-25

Family

ID=853284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493A KR102525697B1 (ko) 2021-08-13 2021-08-13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KR1020230041559A KR20230047352A (ko) 2021-08-13 2023-03-29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559A KR20230047352A (ko) 2021-08-13 2023-03-29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5697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126A (ko) 1999-09-29 2001-04-06 장영길 국제 다국어 실시간 자동 통번역 채팅시스템
JP2003058481A (ja) * 2001-08-10 2003-02-28 Logo Vista Corp 多言語チャットシステム
JP2006350661A (ja) * 2005-06-15 2006-12-28 Fuji Xerox Co Ltd 翻訳システムおよび翻訳方法
KR20110088776A (ko) * 2010-01-29 2011-08-04 김건노 실시간 다국어 동시통역 및 동시번역단말기
KR101271285B1 (ko) 2011-12-28 2013-06-04 (주)카카오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
KR20140116259A (ko) 2013-03-20 2014-10-02 주식회사 아이유커뮤니케이션즈 자동 번역 솔루션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53886A (ko) 2015-04-27 2015-05-1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 통번역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051A (ko) 2014-03-04 2015-09-14 헬로챗 주식회사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16531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55630A (ko) * 2015-11-12 2017-05-22 이현옥 다국어 번역 방법
KR20170132715A (ko) * 2015-02-09 2017-12-04 가부시키가이샤 퓨트렉 통신 단말, 메시지 번역 시스템, 메시지 번역 방법 및 메시지 번역용 프로그램
KR20180108973A (ko)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KR20200017600A (ko) * 2018-08-01 2020-02-19 김민철 번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38663B1 (ko) 2019-03-29 2020-07-2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번역 제공방법
KR20200095040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네오픽시스 다국어 채팅을 위한 서버 및 번역 방법
KR102214562B1 (ko) 2020-06-29 2021-02-08 이강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KR20210039614A (ko) 2019-10-02 2021-04-12 강병중 다국어 번역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126A (ko) 1999-09-29 2001-04-06 장영길 국제 다국어 실시간 자동 통번역 채팅시스템
JP2003058481A (ja) * 2001-08-10 2003-02-28 Logo Vista Corp 多言語チャットシステム
JP2006350661A (ja) * 2005-06-15 2006-12-28 Fuji Xerox Co Ltd 翻訳システムおよび翻訳方法
KR20110088776A (ko) * 2010-01-29 2011-08-04 김건노 실시간 다국어 동시통역 및 동시번역단말기
KR101271285B1 (ko) 2011-12-28 2013-06-04 (주)카카오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
KR20140116259A (ko) 2013-03-20 2014-10-02 주식회사 아이유커뮤니케이션즈 자동 번역 솔루션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4051A (ko) 2014-03-04 2015-09-14 헬로챗 주식회사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16531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32715A (ko) * 2015-02-09 2017-12-04 가부시키가이샤 퓨트렉 통신 단말, 메시지 번역 시스템, 메시지 번역 방법 및 메시지 번역용 프로그램
KR20150053886A (ko) 2015-04-27 2015-05-1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 통번역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5630A (ko) * 2015-11-12 2017-05-22 이현옥 다국어 번역 방법
KR20180108973A (ko)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KR20200017600A (ko) * 2018-08-01 2020-02-19 김민철 번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95040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네오픽시스 다국어 채팅을 위한 서버 및 번역 방법
KR102138663B1 (ko) 2019-03-29 2020-07-2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번역 제공방법
KR20210039614A (ko) 2019-10-02 2021-04-12 강병중 다국어 번역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14562B1 (ko) 2020-06-29 2021-02-08 이강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697B1 (ko) 2023-04-25
KR20230047352A (ko)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049B2 (en) Proxy email server for routing messages
US10614173B2 (en) Auto-translation for multi user audio and video
US11061700B2 (en) Virtual assistants using stat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S9990591B2 (en) Automated assistant invocation of appropriate agent
US20190370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tli-lingual communications
US8145472B2 (en) Language translation using a hybrid network of human and machine translators
US8660244B2 (en) Machine translatio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US9519638B2 (en) Feed translation for a social network
US9785628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cloud-based shared vocabulary/typing history for efficient social communication
US783167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offline chat messages
US9286292B2 (en) Real-time jargon trans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7273415A (zh) 通过基于即时消息接发的主题索引的可搜索对等系统
US95297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on using a translation tree structure in a portable terminal
KR20020002527A (ko) 실시간 다 국어 다중 번역 대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9241409B (zh) 用于发送信息、接收信息的方法和设备
CN107342929A (zh) 一种新消息通知的发送方法、装置及系统
KR102525697B1 (ko)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US10320726B2 (en) Predictive message personalization
KR102542362B1 (ko) 자동 번역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다국어 다중 번역 채팅 방법
CN112148847B (zh) 一种语音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192447B1 (ko)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KR20210039614A (ko) 다국어 번역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76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n input content item based on contexts
CN116545965A (zh) 一种社交app的语音信息自动回复方法
JP2022161008A (ja) 対話メッセージの翻訳結果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