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62B1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62B1
KR102214562B1 KR1020200079337A KR20200079337A KR102214562B1 KR 102214562 B1 KR102214562 B1 KR 102214562B1 KR 1020200079337 A KR1020200079337 A KR 1020200079337A KR 20200079337 A KR20200079337 A KR 20200079337A KR 102214562 B1 KR102214562 B1 KR 102214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chat
user
transl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이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희 filed Critical 이강희
Priority to KR102020007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채팅방이나 메신저 등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 채팅을 수행할 때, (a)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역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채팅방에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b) 다른 사용자의 채팅을 조작함으로써, 번역언어로 음성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번역언어로 텍스트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도 사용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현지인과 직접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타언어의 습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아울러 타국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더라도 타국의 현지인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Translation system for global communicate in online communication space}
본 발명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채팅방이나 메신저 등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 채팅을 수행할 때, (a)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역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채팅방에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b) 다른 사용자의 채팅을 조작함으로써, 번역언어로 음성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번역언어로 텍스트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도 사용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현지인과 직접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타언어의 습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아울러 타국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더라도 타국의 현지인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세계에는 국가마다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도 있지만, 대부분 각각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독자적인 언어인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고, 한국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한국어만으로는 타국의 사람들과 대화하기 어렵다.
이는 한국인이 해외로 여행을 가서 해당 국가에 맞는 언어를 공부하면서도, 반대로 한국에 소재한 외국인과도 한국어로 소통되지 않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번역기술은 그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현재에는 상당한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오번역이 존재하고, 이러한 번역 마저도, 한국인 기준으로 학습용 문장으로 번역되고 있어서, 번역을 통해 외국인과의 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뿐만 아니라, 번역기술 대부분은 단일 시스템으로 작용함에 따라 번역용 어플 또는 번역 홈페이지를 통해 번역을 수행하여야 했는데,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번역된 언어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등의 기술도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번역을 위한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설치해야 하는 것은 번거로움은 여전하다.
예컨대, 커뮤니티 공간에서 타국인과 대화를 하려는 경우, 별도의 번역시스템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커뮤니티 공간에서 타국인과 대화할 수 있는 번역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종래 온라인 상에서의 번역 기술을 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259호의 자동 번역 솔루션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동 번역 솔루션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은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 관리 서버와; 이 시스템 관리 서버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다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번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웹서버와, 회원관리 서버와, 번역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번역서버는 번역을 진행하는 번역모듈과; 각 언어들의 사전적인 의미가 저장된 사전 데이터베이스와; 회화에 사용되는 문구가 저장되는 예문 데이터 베이스와; 자주 사용되는 문구가 저장되는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051호에는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언어의 제1 음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음성입력을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음성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의 제1텍스트 및 상기 제1텍스트가 번역된 제2언어의 제2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텍스트 및 상기 제2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259호(2014.1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051호(2015.09.14.)
본 발명의 목적은,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채팅방이나 메신저 등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 채팅을 수행할 때, (a)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역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채팅방에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b) 다른 사용자의 채팅을 조작함으로써, 번역언어로 음성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번역언어로 텍스트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도 사용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의 연장선 상에서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는 현지인과 직접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타언어의 습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아울러 타국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더라도 타국의 현지인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은,
단말기와 통신하고, 다수의 사용자 간에 채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채팅을 수행하는 채팅방 상에서 번역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채팅방관리부와,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가 사용할 사용언어와 사용언어에 대한 번역언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설정/선택부와, 번역정보를 제공하는 번역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채팅방에 채팅을 입력할 때,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음성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채팅방에 채팅을 입력할 때, 키보드에 기반하여 입력된 내용을 채팅방에 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채팅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음성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채팅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력하는 내용이, 상기 언어설정/선택부에서 선택된 언어로 자동 번역되도록 기능하는 입력언어 번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 입력되어 있는 채팅내용을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번역된 언어로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번역된 언어는 상기 언어설정/선택부에서 선택된 사용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특정내용을 소정의 시간 동안 눌러서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으로 판단하여 기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 입력되어 있는 채팅내용을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해당 채팅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번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 경우, 언어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을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창 상에서 언어종류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있었던 채팅내용을, 상기 창 상에서 선택된 언어종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변경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특정내용 클릭을 사용자의 조작으로 판단하여 기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의하면,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채팅방이나 메신저 등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 채팅을 수행할 때, (a)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역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채팅방에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b) 다른 사용자의 채팅을 조작함으로써, 번역언어로 음성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번역언어로 텍스트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도 사용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지인과 직접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타언어의 습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아울러 타국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더라도 타국의 현지인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이 구성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의 사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채팅방이나 메신저 등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 채팅을 수행할 때, (a)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번역언어로 자동 번역되어 채팅방에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b) 다른 사용자의 채팅을 조작함으로써, 번역언어로 음성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번역언어로 텍스트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도 사용자 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현지인과 직접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타언어의 습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아울러 타국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더라도 타국의 현지인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이 구성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여 기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기는 서버와 통신 가능하면서 채팅방의 접속과 채팅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PDA 등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를 사용자로 지칭한다.
이러한 사용자는 다수의 그룹(도 1의 점선 참조)이 1개의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서버를 통해 그룹화되고, 그룹화된 다수의 사용자 그룹은 다수의 그룹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로 하여금 1개의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된 사용자 간에는 소통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버를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서버와 통신하여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App,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채팅방관리부; 언어설정/선택부; 번역데이터베이스;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채팅방관리부는, 채팅방의 생성에서부터 채팅방의 삭제까지 채팅방의 모든 것을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은 통상의 채팅방을 운용하는 기술을 참조하도록 한다.
상기 언어설정/선택부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가 사용할 언어종류와 그리고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력한 언어를 자동으로 번역할 언어종류를 설정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국인이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할 언어종류(예컨대, 키보드)는 한국어일 수 있고, 채팅방에 입력한 언어를 자동으로 번역할 언어종류도 한국어일 수 있다. 이때, 채팅방에 입력한 언어의 번역이 영어로 되도록 설정한다면, 도 3과 같이 한국어 입력시 영어로 채팅방으로 자동 번역된 채팅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번역데이터베이스는, 다국(多國)의 언어정보를 저장하고, 그에 기반한 번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예컨대 구글번역, 파파고 등의 데이터베이스가 그 예이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자에 선택에 따라 신규하게 설계할 수도 있지만, 종래 번역기술이 채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거나 연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음성입력 인터페이스; 채팅입력 인터페이스; 입력언어 번역 인터페이스;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 및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음성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채팅방에 채팅을 입력할 때,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스피커와 연동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스피커를 활성화한 상태로 말하면,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채팅방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채팅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채팅방에 채팅을 입력할 때, 키보드에 기반하여 입력된 내용을 채팅방에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입력언어 번역 인터페이스는, 상기 음성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채팅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력하는 내용이 해당 사용자가 설정하여 선택한 번역을 위한 언어종류로 자동으로 번역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 입력되어 있는 채팅내용을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번역된 언어로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번역된 언어는 상기 언어설정/선택부에서 선택된 사용언어일 수 있다.
상기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 입력되어 있는 채팅내용을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해당 채팅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번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되는 일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의 사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3의 (가)에서는 채팅입력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음성입력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의 (가)와 같은 입력을 통해 채팅방에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 언어설정/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언어로 도 3의 (나)와 같이 채팅방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는 입력언어 번역 인터페이스에 의한 것이다.
도 3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하였고, 번역언어를 영어로 설정한 경우이다.
다음으로, 도 4의 경우에는 채팅창에 입력되어 있는 내용을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예컨대, 2~5초) 동안 누름을 유지하는 경우 해당 내용이 음성으로 번역되어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는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에 의한 것이다.
즉,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인식, 조작에 따른 선택범위 결정, 해당 언어의 번역, 그리고 음성으로의 출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물론 인식 등의 범주는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루어진 인식에 대한 값을 서버가 수신하여 정보처리하는 것이 인터페이스의 기능범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쉬운 설명을 위하여 전문적인 내용은 생략하고, 제3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인식이나 조작에 따른 선택범위의 결정 등은, 이미 다양한 채팅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인터페이스적인 요소의 기능범주를 이해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를 부연하면, 사용자의 조작을 단말기가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서버와 공유하고, 인식된 범위의 텍스트에 대한 번역정보를 서버가 단말기로 다시 제공하면 단말기로 번역된 언어로 출력이 되는 것인데, 이를 인터페이스로 통칭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5의 경우에는,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로서, 도 5의 (가)와 같이 채팅방의 특정 내용을 1회 또는 더블클릭 또는 도 4의 누름유지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눌린 경우라면, 도 5의 (나)와 같이 소정의 창을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창에는 각 국가별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특정 국가의 언어를 선택한 경우, 도 5의 (가)에서 선택되었던 채팅내용이 도 5의 (다)와 같이, 도 5의 (나)에서 선택된 국가의 언어로 번역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현지인과 직접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타언어의 습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아울러 타국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더라도 타국의 현지인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번역에는 크고 작은 오번역이 존재한다. 이는 기계적 그리고 시스템적인 한계의 문제도 있지만, 가장 큰 요인으로는 국가별로 문장의 나열이 다른 것이 주요 원인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여도 한국어로는 '나는 학교에 간다'와 같이 주어+목적어+동사가 위치되는 반면, 영어의 경우에는 'I go to shool'와 같이 주어+동사+목적어가 위치되기 때문에, 단순한 문장에서는 오번역의 확률이 낮지만 문장이 길어지면 번역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에는 채팅방을 이용하여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가 있기 때문에 오번역에 대한 부분을 지적해줄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의미가 일맥상통되는 작은 오류 정도의 경우일 뿐이고, 큰 오류에 따른 오번역으로 인해 상대방과 소통이 안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고, 아니면 잘못된 의미 전달 혹은 비속어 사용으로 인해 소통이 막혀버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내용을 자동으로 번역하여 채팅방에 출력할 때, 학습과 언어추정에 기반한 번역내용을 확인하는 알림창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확인하여 채팅방에 번역된 언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학습이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의 정보를 딥 러닝 기술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다.
그리고 언어추정은 예컨대, 사용자가 '파리의 주요 여행지를 알고 싶다.'라고 입력한 경우, 채팅방에 'I want to know the main destinations of Paris.'라고 입력되는데, 다만 다른 사용자에게는 입력된 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자에게 다음의 알림창을 띄우는 것이다.
'ooo님이 입력한 단어는 <파리의 주요 여행지를 알고 싶다>입니다. 이 경우에는 <I want to know the main destinations of Paris>의 번역이 정확한 번역입니다. 반영하시겠습니까 ?'
따라서, 사용자는 시스템이 자신이 의도한 내용을 제대로 인식한 것인지 확인함과 동시에 제대로 번역된 언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학습부, 언어추정부, 채팅내용 입력 지연부, 메시지출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언어추정부의 언어추정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문장 중 조사(에, 는, 를, 을, 이, 가, of, is 등)를 제거하고, 남은 단어를 텍스트 추출에 기반하여 분석한다.
이때, 남은 단어를 주어, 동사, 목적어로 분류하는데, 이는 사전적인 의미이기 때문에 분류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남은 단어를 대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데, 여기서 동사인 단어에 50%의 가중치를 부가하고, 나머지 50%를 주어와 목적어에 부여하되, 주어의 가중치 < 목적어의 가중치의 비중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어의 가중치 20%, 목적어의 가중치 30%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언어추정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의 행동목적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행동목적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부와 연계하여 언어추정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 대한 바람직한 번역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위의 메시지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예를 들면, 종래 번역기술을 통하면 '파리의 주요 여행지를 알고 싶다'를 영어로 번역하게 되면 'I want to know the main destinations of Paris'로 번역되는데, 이러한 문장보다는 'I want to know popular tourist spots in Paris'의 문장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의미는 일맥상통하는 경우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소통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는데, 위와 같이 기능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사용자의 언어를 추정하여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번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6)

  1. 단말기와 통신하고, 다수의 사용자 간에 채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채팅을 수행하는 채팅방 상에서 번역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채팅방관리부와, 상기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가 사용할 사용언어와 사용언어에 대한 번역언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설정/선택부와, 번역정보를 제공하는 번역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와, 사용정보를 학습하는 학습부와, 상기 학습부에 기반한 학습에 의해 언어추정을 수행하는 언어추정부와, 사용언어에 기반하여 번역된 번역언어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하여 번역언어를 다른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지연하는 채팅내용 입력 지연부와, 사용언어에 기반하여 번역된 번역언어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메시지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채팅방에 채팅을 입력할 때,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음성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채팅방에 채팅을 입력할 때, 키보드에 기반하여 입력된 내용을 채팅방에 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채팅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음성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채팅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력하는 내용이, 상기 언어설정/선택부에서 선택된 언어로 자동 번역되도록 기능하는 입력언어 번역 인터페이스와,
    채팅방에 입력되어 있는 채팅내용을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번역된 언어로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와,
    채팅방에 입력되어 있는 채팅내용을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해당 채팅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번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a)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번역된 언어는 상기 언어설정/선택부에서 선택된 사용언어이고,
    (b) 상기 채팅방언어 음성번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특정내용을 소정의 시간 동안 눌러서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으로 판단하여 기능되며,
    (c) 상기 채팅방언어 문자번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 경우, 언어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을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창 상에서 언어종류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있었던 채팅내용을, 상기 창 상에서 선택된 언어종류에 따른 언어로 번역하여 변경 출력하고,
    사용자의 특정내용 클릭을 사용자의 조작으로 판단하여 기능되며,
    (d) 상기 언어추정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문장 중 조사를 제거하여 남은 주어, 동사 및 목적어를 대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되, 동사에 50%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나머지 50% 중 목적어가 주어보다 높은 가중치를 가지도록 부여하여 언어를 추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의 행동목적을 우선적으로 추정한 후 행동목적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추정하는 순서로 언어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9337A 2020-06-29 2020-06-29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KR10221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37A KR102214562B1 (ko) 2020-06-29 2020-06-29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37A KR102214562B1 (ko) 2020-06-29 2020-06-29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562B1 true KR102214562B1 (ko) 2021-02-08

Family

ID=7456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37A KR102214562B1 (ko) 2020-06-29 2020-06-29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28A (ko)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애니챗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US11610192B2 (en) * 2020-09-21 2023-03-21 Paypal,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language localiz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738A (ja) * 1997-02-25 1998-09-11 Sharp Corp 訳語推論装置及び訳語推論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4313967B2 (ja) * 2001-11-16 2009-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自然言語変換システム
KR101406981B1 (ko) * 2013-09-17 2014-06-13 김길원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5673A (ko) * 2013-02-22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116259A (ko) 2013-03-20 2014-10-02 주식회사 아이유커뮤니케이션즈 자동 번역 솔루션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4051A (ko) 2014-03-04 2015-09-14 헬로챗 주식회사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108973A (ko) *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738A (ja) * 1997-02-25 1998-09-11 Sharp Corp 訳語推論装置及び訳語推論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4313967B2 (ja) * 2001-11-16 2009-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自然言語変換システム
KR20140105673A (ko) * 2013-02-22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116259A (ko) 2013-03-20 2014-10-02 주식회사 아이유커뮤니케이션즈 자동 번역 솔루션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6981B1 (ko) * 2013-09-17 2014-06-13 김길원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4051A (ko) 2014-03-04 2015-09-14 헬로챗 주식회사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108973A (ko) *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0192B2 (en) * 2020-09-21 2023-03-21 Paypal,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language localization
KR20230025228A (ko)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애니챗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KR20230047352A (ko) 2021-08-13 2023-04-07 주식회사 애니챗 실시간 다국어 채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38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lingual communication
CN110462730B (zh) 促进以多种语言与自动化助理的端到端沟通
KR101583181B1 (ko) 응답 스티커 추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239207B2 (en) Speech-enabled language 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interactive user supervision of translation and speech recognition accuracy
US20170315983A1 (en) Input method editor having a secondary language mode
CN109325091B (zh) 兴趣点属性信息的更新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80089172A1 (e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ended-language messages
CN106251869B (zh) 语音处理方法及装置
JP2016218995A (ja) 機械翻訳方法、機械翻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7929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dialogue sticker based on similar situation detection
KR20090106937A (ko) 철자 오류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562B1 (ko)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글로벌 소통을 위한 번역 시스템
TW201606750A (zh) 使用外國字文法的語音辨識
KR101695348B1 (ko) 메신저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20076179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тегов для оте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2937834B (zh) 混合型输入的方法、客户端及系统
US20200042604A1 (en) Translation device
US20120065957A1 (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201801076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formality in translations of text
Lee et al. Impact of out-of-vocabulary words on the twitter experience of blind users
KR20150104051A (ko)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138613A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자동통역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nsari et al. Multilingual speech to speech translation system in bluetooth environment
WO20212187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sign language
KR20140104605A (ko)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