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066A -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 Google Patents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066A
KR20230025066A KR1020210107079A KR20210107079A KR20230025066A KR 20230025066 A KR20230025066 A KR 20230025066A KR 1020210107079 A KR1020210107079 A KR 1020210107079A KR 20210107079 A KR20210107079 A KR 20210107079A KR 20230025066 A KR20230025066 A KR 2023002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socket
port
nee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395B1 (ko
Inventor
김동신
김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동신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동신, 김종대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3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약병결합부와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포트가 결합되며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되는 바이알과 포트소켓에 결합되는 수액백을 유체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구비한 연통부재; 및 바이알의 병 입구측에 장착되며 바디의 약병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바이알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이알소켓은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내면에 멈춤턱이 형성되며 내면의 상단부에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바디의 약병결합부의 벽면에는 바이알소켓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Connecting device for vial and infusion products set includ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바이알(vial, 주사약이 든 약병)과 수액백이 안전하게 또 위생적으로 유체연결(수액과 주사약의 혼합)될 수 있는 바이알 접속장치와, 이들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과 바이알 등이 하나의 세트로 포장된 수액제품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입원하면, 적정량의 수분과 전해질을 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링거액, 생리식염액, 아미노산액 등의 수액을 주사하며, 치료에 필요한 주사약을 수액에 혼합하여 주사하기도 한다.
주사약과 수액의 혼합시에는 주사기를 주로 사용하는데,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하여 간호사 등이 주사기의 바늘에 찔리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주사약과 수액의 혼합시에 주사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 접속장치를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는데, 여기서,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특허문헌 1은, 본체와, 본체 내에 배치하는 천공유닛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는, 한쪽 단부 안으로 수액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결합부와, 포트결합부의 다른쪽 단부에 이어지는 약병결합부로 구성되고, 천공유닛은, 본체의 포트결합부와 약병결합부 사이를 구분하는 벽부와, 병 속의 약물(주사약)이 수액백 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상태로 벽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약병마개 천공니들 및 포트마개 천공니들과, 약병마개 천공니들과 포트마개 천공니들의 선단부에 각각 씌워지는 위생안전 마개로 구성됨으로써, 수액백과 약병(예를 들면, 바이알)을 위생적으로 또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는, 일측 단부에 수액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약병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포트결합부에 비해 큰 직경의 약병결합부를 형성하며, 약병결합부보다 작고 포트결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에 의해 포트결합부와 약병결합부가 연결된 본체와; 약병의 약병마개가 수용되고 약병과 수액백을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니들이 설치되며, 본체의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크기가 일정한 약병마개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고 또 약병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액백과 연통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사용 가능한 약병 접속소켓을 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특허문헌 3은, 일측 단부에 수액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약병 전체 또는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포트결합부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디를 형성한 본체와; 약병의 약병마개가 수용되고 약병과 수액백을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니들이 설치되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접속유닛을 포함하는 약병 접속용 소켓으로서, 포트결합부의 하단부 내측에 수액백의 포트마개가 수용되는 마개 수용부가 형성되고, 포트결합부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마개 수용부에 수용된 포트마개에 대한 걸림 작용을 통해 수액백을 고정하고, 걸림 해제 작용을 통해 수액백이 분리되도록 하는 포트 고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사용 후, 약병과 수액백을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45524 특허문헌 2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029295 특허문헌 3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20-0126089
본 발명은 수액백과 바이알을 위생적으로 또 안전하게 유체연결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천공니들이 결합된 연통부재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바이알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니들을 가진 연통부재가 유통과정에서 오염되지 않도록 한 바이알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백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알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부재가 교체형으로 구성된 바이알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과 바이알 등이 하나의 세트로 포장된 수액제품 세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는, 큰 직경의 약병결합부와 작은 직경의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한쪽 포트가 결합되어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된 바이알과 포트소켓에 결합된 수액백을 유체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가진 연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는, 바디의 약병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호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는,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수직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포트소켓의 외측에는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는, 포트소켓의 상단에 분리벽의 구멍을 관통한 후 분리벽에 걸쳐지는 원터치 걸림턱이 구비되고, 포트소켓의 중간 부분의 내측에 수액백의 포트마개가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포트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에서, 연통부재는 바이알의 약병마개를 천공하도록 단부(端部)가 날카롭게 형성된 천공부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니들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되며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삽입부로 이루어진 천공니들과, 니들결합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천공니들이 설치되는 몸체와, 니들결합부에 고정되도록 몸체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며 하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벽에 구비된 고정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연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에서, 연통부재는 천공니들의 천공부에 씌우는 니들고무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에서, 천공니들은 바이알의 약병마개를 천공하도록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된 제1 천공부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니들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천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약병결합부와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한쪽 포트가 결합되며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되는 바이알과 포트소켓에 결합되는 수액백을 유체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구비한 연통부재; 및 바이알의 병 입구측에 장착되며 바디의 약병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바이알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이알소켓은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내면에 멈춤턱이 형성되며 내면의 상단 일측에 고정턱이 형성되고, 바디의 약병결합부의 벽면에는 바이알소켓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제품 세트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이 하나의 세트로 포장되거나, 주사약이 든 바이알까지 포함하는 형태로 포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바디에 결합되는 연통부재의 천공니들을 통해 수액백과 바이알을 위생적으로 또 안전하게 유체연결시킬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천공니들과 함께 연통부재를 분리한 다음, 바디 및 포트소켓과는 별도로 배출해서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니들로 인한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바디와 포트소켓의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에 따르면, 바디의 상단이 보호캡으로 덮여지므로, 연통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에 따르면, 바디의 가이드홀에 포트소켓의 돌기가 삽입되므로, 포트소켓이 회전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어 포트소켓을 바디에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포트소켓의 상단에 원터치 걸림턱이 구비됨에 따라, 포트소켓을 바디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포트소켓을 바디에 고정할 수 있으며, 포트소켓의 중간 부분에는 포트걸림턱이 구비되어, 수액백의 포트가 포트소켓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일이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구비된 연통부재를 바디의 니들결합부에 삽입한 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연통부재를 바디에 고정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연통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디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천공니들의 천공부에 니들고무마개가 씌워지므로, 천공니들에 손이 찔려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알 접속장치는, 바이알의 병 입구측에 장착되는 바이알소켓이 바디의 약병결합부에 마련된 가이드홈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수액백과 바이알의 유체연통이 더욱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제품 세트는, 본 발명에 따른 어느 하나의 바이알 접속장치가 수액백 및 바이알과 함께 포장되어 세트로 제공되므로, 환자에 대한 주사행위가 신속하게 또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연통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가 수액백의 한쪽 포트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에 바이알과 수액백이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분해 단면도로서, 수액백의 포트가 함께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연통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통부재를 가지는 다른 실시예의 바이알 접속장치가 수액백의 한쪽 포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포트소켓이 제외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B)는 (A)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바이알 접속장치가 수액백의 한쪽 포트에 결합된 상태로 바이알이 함께 포장되어 있는 수액제품 세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과 바이알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수액제품 세트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과 바이알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수액제품 세트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일부가 수액백의 한쪽 포트에 결합되고, 바이알소켓이 바이알의 병 입구측에 결합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수액제품 세트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과 바이알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수액제품 세트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일부와 바이알소켓이 분리된 상태로 수액백 및 바이알과 함께 포장되어 있는 수액제품 세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도 1∼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약병결합부(11)와 약병결합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소켓결합부(12)가 분리벽(17)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바디(10)와; 수액백(100)의 한쪽 포트(110)가 결합되고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트소켓(20)과; 약병결합부(1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30)과; 약병결합부(11)에 끼워넣은 바이알(200)과 포트소켓(20)에 끼워넣은 수액백(100)의 포트(110)를 유체연결(주사액과 수액을 혼합)하는 천공니들(51)을 갖고 바디(10)의 분리벽(17)에 마련된 니들결합부(18)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통부재(50)를 구비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약병결합부(11)의 상부 내측에는 보호캡(30)이 결합되는 결합홈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부(13)보다 아래로서 약병결합부(11)의 내측면에는 바이알(200)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방향의 지지돌기(1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결합부(12)에는 2개의 수직방향의 가이드홀(16)이 대향(對向)하여 형성되고, 2개의 가이드홀(16) 사이의 둘레면의 중간 부위에 포트소켓(20)을 안내하는 확경부(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가이드홀(16) 사이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2개의 확경부(15) 사이를 잇는 가상의 직선이 직교한다.
또한, 바디(10)의 분리벽(17)의 중앙부에는 연통부재(50)가 설치되는 니들결합부(18)가 형성되어 있고, 니들결합부(18)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연통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19)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포트소켓(20)은 통(筒) 모양의 몸체(21)와, 포트마개(115)를 탄성 지지하도록 몸체(2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부 내측에 포트마개(115)가 걸리는 포트걸림턱(26)이 구비된 탄성걸림부(23)와, 소켓결합부(12)에 형성된 가이드홀(16)에 삽입되도록 탄성걸림부(23)와 직교하는 위치에서 돌출해 있는 한 쌍의 돌기(25)와, 몸체(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22)와, 탄성걸림부(23)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24)와, 분리벽(17)에 형성된 구멍(17')을 관통한 후 분리벽(17)에 걸쳐지도록 몸체(21)의 상단에 마련된 한 쌍의 원터치 걸림턱(27)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2개의 탄성걸림부(23) 사이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직교하는 방면으로, 확장부(22)와 돌기(25)와 원터치 걸림턱(27)이 각각 형성된다.
보호캡(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로 된 마개(3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32)와, 마개(31)의 하단에 형성되어 바디(10)의 결합홈부(13)에 체결되는 결합부(33)를 가지며, 결합부(33)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의 약병마개(250)를 천공하기 위해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된 천공부(51a)와 포트마개(115)를 관통할 수 있도록 니들결합부(18)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18')에 삽입되며 단부가 평평한 삽입부(51b)로 이루어진 천공니들(51)과, 니들결합부(18)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천공니들(51)이 설치되는 몸체(52)와, 니들결합부(18)에 고정되도록 몸체(52)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고 하단에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벽(17)에 구비된 고정부(19)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54)가 구비된 연결부(53)와, 천공니들(51)의 천공부(51a)에 씌우는 니들고무마개(55)를 가진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연통부재(50)를 바디(10)에 결합시킨 후 보호캡(30)을 결합하고,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 포트소켓(20)을 장착한 상태로 포장하여 유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바이알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바이알(200)과 수액백(100)을 유체접속(주사약과 수액을 혼합)할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액백(100)의 한쪽 포트(110)를 포트소켓(20)에 끼워넣어, 포트(110) 단부의 포트마개(115)가 포트소켓(20)의 포트걸림턱(26)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포트마개(115)가 포트걸림턱(26)에 걸리면, 누름부(24)의 조작을 통해, 탄성걸림부(23)가 움직여서 포트걸림턱(26) 사이가 벌어지기 전까지는, 수액백(100)의 포트(110)가 포트소켓(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바디(10)의 분리벽(17)을 향해 포트소켓(20)을 밀어넣으면, 포트소켓(20)의 상단에 구비된 원터치 걸림턱(27)이 바디(10)의 분리벽(17)에 형성된 구멍(17')을 통과한 후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분리벽(17)의 구멍(17')의 주변에 걸린다. 이에 의해, 포트소켓(20)이 바디(1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또 니들결합부(18)의 관통부(18')가 포트마개(115)를 관통하여 천공니들(51)의 삽입부(51b)가 포트(110) 안으로 삽입된다.
한편, 바디(10)의 약병결합부(11)에 결합된 보호캡(30)을 분리한 후, 천공니들(51)의 니들고무마개(55)를 제거하고 나서, 바이알(200)의 병 입구측을 약병결합부(11)에 끼워넣어 밀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공니들(51)의 천공부(51a)가 약병마개(250)를 천공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바이알(200) 속의 주사약이 천공니들(51)을 통해서 수액백(100)의 포트(110)로 공급되어, 바이알(200)과 수액백(100)이 유체연결된다.
주사약과 수액의 혼합이 완료되면, 환자에게 주사를 행하기 전이나 환자에게 주사를 행한 직후에, 수액백(100)의 포트(110)를 포트소켓(20)에서 분리하고, 바이알(200)도 약병결합부(11)에서 분리한다. 즉, 포트마개(115)가 이동 가능하도록 포트소켓(20)의 누름부(24)를 조작하여 포트걸림턱(26) 사이를 벌려서 수액백(100)을 분리하고, 약병결합부(11)에 결합된 바이알(200)도 잡아당겨 분리하는 것이다.
수액백(100)과 바이알(200)이 모두 분리되면, 바디(10)의 니들결합부(18)에 결합된 연통부재(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하고, 연통부재(50)를 잡아당겨 니들결합부(18)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하여, 천공니들(51)이 구비된 연통부재(50)를 바디(10)나 포트소켓(20)과는 별도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 폐기 과정에서 천공니들(51)에 손이 찔리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연통부재(50)는, 사용 후, 바디(10)와는 별개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통부재(50)의 천공니들(51)은, 약병마개(250)를 천공하도록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된 천공부(제1 천공부)(51a)와, 포트마개(115)를 관통하도록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니들결합부(18)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천공부(51c)를 가진 형태로 이루어져도 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통부재(50)의 몸체(52)와 연결부(53)와 결합돌기(54)는 그 구성이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포트소켓이 제외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A)의 결합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바이알의 병 입구측에 결합되는 바이알소켓(300)이 더 구비되고, 바이알소켓(300)이 삽입될 약병결합부(11)의 벽면의 대략 중간에서부터 상단면의 바로 아래 위치까지 소정 길이의 가이드홈(11a)이 약병결합부(11)의 높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약병결합부(11)의 벽면의 하단부에 확장부(11c)가 돌출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가이드홈(11a)의 상부에는, 후술할 바이알소켓(300)의 돌기(310)가 가이드홈(11a)에 진입되도록 하는 경사면(11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1b)의 하단부에 이어진 가이드홈(11a)의 상단부에는 걸림홈부(11d)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홈부(11d)에 바이알소켓(300)의 돌기(310)가 걸려져 있다가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이드홈(11a)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서, 바이알소켓(300)의 외면에는 한 쌍의 돌기(310)가 180°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바이알소켓(300)의 내면에는 바이알의 약병마개(250)가 더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약병마개(250)의 선단을 가로막는 멈춤턱(320)이 형성되어 있고, 바이알소켓(300)의 내면의 상단부에는 약병마개(250)의 후단에 걸리는 고정턱(3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알(200)의 병 입구측에 바이알소켓(300)을 결합하면, 약병마개(250) 부분이 멈춤턱(320)과 고정턱(330)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제3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약병결합부(11)의 내면에 지지돌기(14)를 형성하지 않고, 바이알소켓(300)의 외면이 약병결합부(11)의 내면에 접하게 해도 된다.
<수액제품 세트의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액제품 세트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1∼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제품 세트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는, 수액백(100) 및 바이알(200)과 함께, 포장지(400)로 포장되어, 수액제품 세트를 구성한다. 제1∼제3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알 접속장치가 채택될 수 있는데,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예는 제1 실시예의 바이알 접속장치가 채용된 예이다.
도 13∼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바이알 접속장치를 이용할 경우, 바이알소켓(300)은 바이알(200)의 병 입구측에 미리 조립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되고, 조립되지 않고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함께 포장되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 포트소켓(20)이 결합되고, 포트소켓(20)에 수액백(100)의 포트(110)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다르게,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 포트소켓(20)이 결합되지 않고, 포트소켓(20)이 수액백(100)의 포트(110)에 장착되지 않아도 된다.
수액제품 세트의 포장지(400)는 합성수지 시트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제품 세트는 바이알(200)이 제외된 형태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제품 세트가 바이알(200)을 포함할 경우, 의약품(주사약)의 종류 등이 포장지(400)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는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대로의 구성과 작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바디
11…약병결합부 11a…가이드홈
11b…경사면 11c…확장부
11d…걸림홈부 12…소켓결합부
13…결합홈부 14…지지돌기
15…확경부 16…가이드홀
17…분리벽 17'…구멍
18…니들결합부 18'…관통부
19…고정부
20…포트소켓
21…몸체 22…확장부
23…탄성걸림부 24…누름부
25…돌기 26…포트걸림턱
27…원터치 걸림턱
30…보호캡
31…마개 32…돌출부
33…결합부 34…절개부
50…연통부재
51…천공니들 51a…천공부(제1 천공부)
51b…삽입부 51c…제2 천공부
52…몸체 53…연결부
54…결합돌기 55…니들고무마개
100…수액백
110…포트 115…포트마개
200…바이알
250…약병마개
300…바이알소켓
310…돌기 320…멈춤턱
330…고정턱
400…포장지

Claims (2)

  1. 약병결합부와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포트가 결합되며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되는 바이알과 포트소켓에 결합되는 수액백을 유체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구비한 연통부재; 및
    바이알의 병 입구측에 장착되며 바디의 약병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바이알소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이알소켓은, 외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내면에 멈춤턱이 형성되며, 내면의 상단부에 고정턱이 형성되고,
    바디의 약병결합부의 벽면에는, 바이알소켓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접속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이알 접속장치와 수액백과 바이알이 하나의 포장지에 의해 세트로 포장된 수액제품 세트.
KR1020210107079A 2021-08-13 2021-08-13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KR102597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79A KR102597395B1 (ko) 2021-08-13 2021-08-13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79A KR102597395B1 (ko) 2021-08-13 2021-08-13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066A true KR20230025066A (ko) 2023-02-21
KR102597395B1 KR102597395B1 (ko) 2023-11-03

Family

ID=8532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079A KR102597395B1 (ko) 2021-08-13 2021-08-13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3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524A (ko) 2014-06-20 2015-12-3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60060303A (ko) * 2014-11-20 2016-05-3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80029295A (ko) 2016-09-12 2018-03-21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 접속 소켓
KR102171701B1 (ko) * 2020-03-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약물 혼합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밀봉팩
KR20200126089A (ko) 2019-04-29 2020-11-0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210026371A (ko) * 2019-08-30 2021-03-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524A (ko) 2014-06-20 2015-12-3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60060303A (ko) * 2014-11-20 2016-05-3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80029295A (ko) 2016-09-12 2018-03-21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 접속 소켓
KR20200126089A (ko) 2019-04-29 2020-11-0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210026371A (ko) * 2019-08-30 2021-03-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KR102171701B1 (ko) * 2020-03-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약물 혼합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밀봉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395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2099B2 (ja) 完全なままの個別注射バイアル解放ツール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液剤移動装置
EP1396250B1 (en) Transfer needle assembly
CN103501751B (zh) 容易联接的传送系统
EP2173409B1 (en) Cannula insertion device
JP2802982B2 (ja) 薬物放出システム
JP2004194953A (ja) 液体移注具
DK2872100T3 (en) Telescopic female adapter for drug ampoule
JP3303095B2 (ja) バイアルアクセスカニューレアセンブリ
KR101095961B1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제조용 안전소켓 및 수액 키트
JP4357611B2 (ja) 流体移送装置
JP2002177392A (ja) 注射器安全装置
KR20100129317A (ko) 주사액 준비를 위해, 천공되는 병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JP2009545341A (ja) カニューレ及び送出デバイス
JPH10502568A (ja) 針のないバイアルアクセス器具
EP1858578A2 (en) Syringe safety device
PT1773431E (pt) Sistema de reconstituição médica
JP2008504928A (ja) 使い捨て注射器
CN117562807A (zh) 手持式流体转移装置和系统
KR101657150B1 (ko)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2307797B1 (ko) 약병접속소켓
KR101536584B1 (ko) 의료용 주사 바늘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KR102245535B1 (ko)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150145524A (ko)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1758126B1 (ko) 정맥 주사용 안전 주사기
KR20230025066A (ko)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