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921A -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921A
KR20230024921A KR1020227045865A KR20227045865A KR20230024921A KR 20230024921 A KR20230024921 A KR 20230024921A KR 1020227045865 A KR1020227045865 A KR 1020227045865A KR 20227045865 A KR20227045865 A KR 20227045865A KR 20230024921 A KR20230024921 A KR 20230024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nector
port
foot suppor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리사 와이 창
자미안 알 코벳
레미 피에론
스테판 랴비닌
미르자 사바노빅
아담 볼머
필립 우드만
이단 벨라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2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04B43/10Pumps having fluid drive
    • F04B43/113Pumps having fluid drive the actuating fluid being controlled by at least on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rosthes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버튼 어셈블리들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 하여금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발 지지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해]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들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제공한다. 상기 버튼 어셈블리들은 (a) 제1 버튼 액추에이터(2200A, 2200B);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2200A, 2200B)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2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2210)는 (a) 제1 두께를 보유하는 제1 베이스부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1 요홈부(2204A, 2204B)를 포함하되, 제1 요홈부(2204A, 2204B)는 제2 두께를 보유한다. [제1 요홈부(2204A, 2204B)에서의] 제2 두께는 제3 두께보다 더 작지만, 그러나 제1 베이스부와 제1 요홈부(2204A, 2204B)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2210)의 연속 층으로서 형성된다. 요홈부(2204A, 2204B) 내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2210)는, 버튼 액추에이터(2200A, 2200B)가 눌러질 때 약간 신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그리고 신장된 오버몰드 재료(2210)가 자체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할 때] 사용자의 발가락에 "반향(bounce back)" 또는 "튀어 오름(spring back)"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관련 출원 데이터
본 출원은 하기 특허출원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a)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395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and Adjustable Foot Support Pressure)";
(b)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13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c)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33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d)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44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e)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55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f)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68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g)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82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h)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23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i)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3/031,429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j)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41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51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l)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60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및
(m)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3/031,471호(제출일: 2020년05월28일) - 발명의 명칭: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3/031,395호, 제63/031,413호, 제63/031,433호, 제63/031,444호, 제63/031,455호, 제63/031,468호, 제63/031,482호, 제63/031,423호, 제63/031,429호, 제63/031,441호, 제63/031,451호, 제63/031,460호 및 제63/031,471호 각각의 내용 전체는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원 기술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하기 특허출원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술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a)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463,859호(제출일: 2017년02월27일);
(b)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463,892호(제출일: 2017년02월27일);
(c)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547,941호(제출일: 2017년08월21일);
(d)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678,635호(제출일: 2018년05월31일);
(e)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678,662호(제출일: 2018년05월31일);
(f)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772,786호(제출일: 2018년11월29일);
(g)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850,140호(제출일: 2019년05월20일);
(h) 미국 특허출원 제16/488,623호(제출일: 2019년08월26일);
(i) 미국 특허출원 제16/488,626호(제출일: 2019년08월26일);
(j) 미국 특허출원 제16/105,170호(제출일: 2018년08월20일);
(k) 미국 특허출원 제16/425,331호(제출일: 2019년05월29일);
(l) 미국 특허출원 제16/425,356호(제출일: 2018년05월29일);
(m) 미국 특허출원 제16/698,138호(제출일: 2019년11월27일); 및
(n) 미국 특허출원 제16/878,342호(제출일: 2020년05월19일).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463,859호,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463,892호,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547,941호,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678,635호,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687,662호,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772,786호,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850,140호, 미국 특허출원 제16/488,623호, 미국 특허출원 제16/488,626호, 미국 특허출원 제16/105,170호, 미국 특허출원 제16/425,331호, 미국 특허출원 제16/425,356호, 미국 특허출원 제16/698,138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16/878,342호 각각의 내용 전체는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신발류 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의 분야에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fluid flow control system)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는 유체 분배기들, 유체 전달 시스템들(fluid transfer system), 밑창 구조체들(sole structure),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신발류 물품들(article of footwear)에, 그리고/또는 밑창 구조체(또는 기타 발 지지 부재) 및/또는 신발류 물품(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 내부에서, 내로, 그리고/또는 외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예: 매니폴드, 유체 전달 시스템, 전자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들을 사용하면, 전체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충진형 블래더(fluid-filled bladder)[예: 발 지지 블래더(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기(fluid reservoir)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fluid container) 내의 유체 압력(예: 발 지지 압력, 유체 컨테이너 압력)을 변경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종래 운동화 신발류 물품들은 2개의 주요 요소, 즉 갑피(upper)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에 대하여 발을 견고하게 수용하고 위치시키는 발용 외피부(covering)를 제공한다. 또한, 갑피는 발을 보호하고 통기성을 제공하여 발을 식히고 땀을 내보내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하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발과 임의의 접촉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반력(ground reaction force)의 감쇠 및 에너지의 흡수에 추가로, 접지력(traction)을 제공하면서 과회내(over-pronation)와 같은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발 동작(foot motion)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는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류의 내부에서 공동(void)을 형성한다. 공동은 발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공동으로의 진입구(access)는 발목 개구부(ankle opening)에 제공된다. 따라서, 갑피는 발의 발등 및 발가락 부분에 걸쳐서 발의 내측면(medial side) 및 외측면(lateral side)을 따라서, 그리고 발의 뒤꿈치 부분의 둘레로 연장된다. 신발끈 조임 시스템(lacing system)은 보통 갑피 내에 포함되어, 가변하는 비율을 갖는 발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발목 개구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허용하고 사용자가 갑피의 특정 치수, 특히 둘레 치수(girth)를 수정하도록 허용한다. 게다가, 갑피는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예컨대 신발끈에 의해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신발끈 조임 시스템의 아래로 연장되는 설포(tongu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갑피는 뒤꿈치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힐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같은 "신발류(footwear)"는 발을 위한 임의 유형의 착용품(wearing apparel)을 의미하며, 이런 용어는 모든 유형의 신발, 부츠, 스니커즈, 샌들, 통 샌들(thong), 플립-플롭(flip-flops), 뮬(mules), 스커프(scuffs), 슬리퍼, (골프화, 테니스화, 야구화, 축구화, 풋볼화, 스키 부츠, 농구화, 교차 훈련화 등과 같은) 스포츠 특정 신발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같은 "발 수용 장치(foot-receiving device)"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의 적어도 일부분을 넣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발 수용 장치들은, 모든 유형의 "신발류"에 추가로, 스노우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수상 스키, 스노우보드 등에서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딩들 및 기타 장치들; 자전거, 운동 기구 등에 사용되는 페달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딩들, 클립들 또는 기타 장치들; 비디오 게임 또는 기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발을 수용하기 위한 바인딩들, 클립들 또는 기타 장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발 수용 장치들"은 (a)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구조들에 대하여 발을 위치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예컨대 신발류 갑피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발 커버링 부재들(foot-covering member)", 및 (b) 사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들)을 지지하는 (예컨대 신발류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발 지지 부재들(foot-supporting member)"을 포함할 수 있다. "발 지지 부재들"은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중창(midsole) 및/또는 겉창(outsole)을 위한 구성요소들 및/또는 중창 및/또는 겉창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구성요소들(또는 비-신발류 유형의 발 수용 장치들에서 대응하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매니폴드(manifold)"는, 유체(예컨대 기체 또는 액체)가 구성요소로 유입되고,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유출되도록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포트(port)를 정의하거나 지지하는 표면 또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포트"는, 유체(예컨대 기체 또는 액체)가 개구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구성요소의 벽부를 통과하는 개구부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포트"는, 예컨대 유체 라인과 같은 다른 객체(object), 다른 커넥터 등과 연계(engagement)되기 위한 커넥터 구조(connector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구조를 포함할 때, "포트"는 예를 들면 수형 커넥터 구조, 암형 커넥터 구조, 또는 맞댐면 연결 구조(abutting surface connecting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다. "포트"에 연결되는 객체(들)는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풀림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포트에 연결되는 객체(들)는, 개구부를 한정하는 구성요소의 벽부를 통과하는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풀림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고려할 때보다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번호들은 해당 도면번호가 보이는 모든 다양한 도면(view)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 2b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 및 그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 3d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펌핑 시스템(pumping syste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 5f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몇몇 예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 9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 내에 유체 분배기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부품들의 레이아웃 및 연계의 특징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a ~ 15g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과 유체 분배기를 연계시키는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 21d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 ~ 22e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의 사용자 입력 시스템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24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계통도 및 구성요소 위치결정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통신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 ~ 29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valve stem)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a ~ 30g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에 대한 상이한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a ~ 31d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량(fluid flow rate)의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 ~ 32c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밀봉 블록 및 매니폴드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 ~ 33f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 밀봉 커넥터(sealing connector), 매니폴드 및 압력 센서들의 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a ~ 37b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들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a 및 38b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과 매니폴드 간 연결부를 도시한 상이한 도면들이다.
도 39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 내의 위치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a ~ 40c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예시의 기어열 전동장치(geartrain transmission)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a 및 41b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예시의 유성 기어 전동장치(planetary gear transmission)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예시의 솔레노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 ~ 47b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a ~ 48f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의 동작 상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9a ~ 49d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추가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 및 가용한 동작 상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0a 및 50b는 각각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조정과 관련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기술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신발류 구조들 및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에서, 그 자체는 본원 기술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그 내에는 기술의 양태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의 구조들 및 환경들이 도해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또한, 다른 구조들 및 환경들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본원 기술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구조들, 기능들 및 방법들에 대해 구조적 및 기능적 수정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양태들의 일반적인 설명.
본원 기술의 양태들은, 예를 들면 하기에서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청구되는 유형들, 및/또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유형들의 유체 분배기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 신발류 물품들 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체 분배기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 신발류 물품들 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은, 하기에서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청구되는 실시예들, 및/또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조들, 부품들, 특징들, 특성들, 및/또는 구조들, 부품들, 특징들 및/또는 특성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설명은 3개의 주요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의 발 지지 압력을 제어하고 변경하도록 유체 분배기 내부에서, 그리고/또는 그를 통과하여 유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신발류 및/또는 발 수용 장치 구성요소들, 발 수용 장치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을 설명한다. 유체 분배기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신발류 물품을 복수의 상이한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본 설명의 다른 주요 부분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신발류 물품을 상이한 동작 상태들에 놓이게 하는 가동 밸브 스템(movable valve stem)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내부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 설명의 다른 주요 부분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신발류 물품을 상이한 동작 상태들에 놓이게 하는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내부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의 다양한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은 상기 주요 부분들 이내에서 설명된다.
A. 신발류 구성요소 및 신발류 물품의 특징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일부 양태는 발 지지 시스템들뿐만 아니라, 상기 발 지지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들은, (a) 적어도 하나의 발 지지 블래더; (b) 발 지지 블래더와 연계되는 제1 밑창 부재(예컨대 중창 구성요소, 고분자 발포체 구성요소, 겉창 구성요소 등)이며, 제1 밑창 부재는 적어도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지지 부분에서의 발바닥 지지 표면과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측벽(sidewall)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밑창 부재; (c) 신발류 갑피의 부분과, 그리고/또는 신발류 밑창 구조체와 선택적으로 연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컨테이너(예: 유체 충진형 블래더, 탱크, 저장기 등); 및 (d) 갑피 및/또는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과 연계되는 유체 분배기;를 포함한다. 이런 유체 분배기는 (i)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유입구(inlet); (ii) 유체 분배기 내부에서부터 외부 환경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유체 경로(fluid pathway); (iii)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유체 경로; 및 (iv)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유체 경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유체 분배기는 매니폴드; 밸브 하우징; 커넥터; 및/또는 이들 구성요소 중 2개 이상의 조합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는 펌프[예: 하나 이상의 발 활성화 펌프(foot activated pump), 하나 이상의 배터리 구동 펌프(battery powered pump) 등]; 압축기; 및/또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공급 라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발 지지 시스템들, 이들을 내포하는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이들을 내포하는 신발류 물품들(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의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B. 밸브 스템 특징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일부 양태는, 유체 경로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폐쇄하여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가동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을 위한 유체 전달 시스템들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들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뿐만 아니라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은, (a) 밸브 하우징; (b) 밸브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이며, 상기 밸브 스템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perimeter wall)을 포함하되,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외벽은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를 한정하고, 밸브 스템의 외벽은 내부 챔버에서부터 외벽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구(through-hole)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밸브 스템; (c) 내부 챔버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fluid inlet port); 및 (d) 밸브 하우징과 유체로 연통되는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매니폴드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fluid flow path);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및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를 포함한다. 복수의 위치로 [예컨대 회전, 활주(sliding) 등에 의한] 밸브 스템의 이동은, (외벽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 이상을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또는 제3 유체 유로와 유체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유체 전달 시스템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한다. 의도되는 경우, 추가 발 지지 블래더들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들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 밸브 스템 개구부들, 매니폴드 포트들, 유체 라인들 및/또는 동작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이들을 내포하는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이들을 내포하는 신발류 물품들(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의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C. 솔레노이드 특징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일부 양태는, 유체 경로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폐쇄하여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을 위한 유체 전달 시스템들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들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뿐만 아니라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발 수용 장치들)은, (a)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1 솔레노이드; (b)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2 솔레노이드; (c)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3 솔레노이드; (d)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 및 (e) 매니폴드이며, (i)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 (ii)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iii)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는, 유체 전달 시스템 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의도되는 경우, 추가 발 지지 블래더들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들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 솔레노이드들, 매니폴드 포트들, 유체 라인들 및/또는 동작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타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뿐만 아니라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은, (a)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를 구비한 제1 솔레노이드; (b)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한 제2 솔레노이드; 및 (c) 제1 솔레노이드 및 제2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을 포함한다. 매니폴드는 솔레노이드들과 유체로 연통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런 매니폴드는 (a)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 (b)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c)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포함한다. 제1 솔레노이드는 (a) 유체가 제1 포트와 제2 포트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1 구성과 (b) 유체가 제1 포트와 제3 포트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2 구성으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a) 제1 구성과 제2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1 솔레노이드를, 그리고 (b)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2 솔레노이드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도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의도되는 경우, 추가 발 지지 블래더들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들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 솔레노이드들, 매니폴드 포트들, 유체 라인들 및/또는 동작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이들을 내포하는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이들을 내포하는 신발류 물품들(또는 기타 신발 수용 장치들)의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D. 동작 상태 특징(operational state feature)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일부 양태는, 유체의 이동 및 분배가 제어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는 유체 전달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가 유체 소스(예: 펌프, 압축기 등)에서부터 주변 또는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제1 동작 상태[예컨대 이는, 발 지지 압력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정상 상태(steady state)" 또는 "대기(standby)" 구성일 수 있다.]; (b)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 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소스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하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 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주변 또는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 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주변 또는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 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하는 것인 제5 동작 상태; 및/또는 (f)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 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소스에서부터 유체 컨테이너로 이동하는 것인 제6 동작 상태; 중 (임의로 조합되는)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에서 확인되는 상기 동작 상태들 중 총 6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기타 실시예들은 상기 동작 상태들 중 총 6개보다 적은 개수, 예컨대 제1, 제3, 제4 및 제6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밸브 스템 관련 실시예들의 경우, 밸브 스템 내의 관통구들이 상기에 설명한 의도하는 방식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체 경로들(fluid paths) 및 포트들과 선택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여러 위치(예: 회전 위치, 종방향 위치 등)로 밸브 스템을 선택적으로 이동(예: 회전, 활주 등)시킴으로써, 유체는 상기 상이한 동작 상태들 중 2개 이상으로 분배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솔레노이드 관련 실시예들의 경우, 유체가 상기에 설명한 의도하는 방식으로 유체 경로들 및 포트들로 이동하도록, 여러 솔레노이드를 선택적으로 자신들의 가용한 구성들에 놓이게 함으로써, 유체는 상기 2개 이상의 상이한 동작 상태로 분배될 수 있다.
유체 전달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이들을 내포하는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이들을 내포하는 신발류 물품들(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을 여러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는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E. 추가 또는 대안의 특징(feature)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추가 또는 대안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본원에서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의 추가 구조들, 구성요소들 및 동작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상기 추가 또는 대안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a) 예컨대 압력 변경 정보를 입력하고, 그리고/또는 시스템(들)과 관련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신발에 포함되는 사용자 입력 버튼들; (b) 시스템(들) 내로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외부 공기 유입구 및/또는 필터링 기능부들(filtering feature); (c) 매니폴드 연결부들에 대한 커넥터, 커넥터에 대한 유체 라인, 및/또는 매니폴드 연결부들 등과 같은 여러 구성요소의 포트들 간의 연결부들; (d) 신발류 연결 기능부들에 대한 유체 분배기; (e) 밸브 스템 위치 센서 기능부들; (f) 모터에서부터 밸브 스템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기능부들(transmission feature); (g) 압력 제어 알고리즘 기능부들; (h) 신발 대 신발 및/또는 기타 시스템 전자 통신 기능부들; (i) 매니폴드 대 밸브 하우징, 매니폴드 대 솔레노이드, 및/또는 매니폴드 대 커넥터 밀봉 기능부들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시스템 밀봉 기능부들; 및/또는 (j) 압력 센서 장착, 및 매니폴드 및/또는 밀봉 커넥터와의 압력 센서 연계와 관련한 기능부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의 일부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예컨대 시스템 내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 내포식 구성요소에서 압력 설정들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들과 같은 버튼 어셈블리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상기 양태는, (a) 제1 버튼 액추에이터;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버튼을 덮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들에 관한 것이다. 이런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a) 제1 두께를 보유하는 제1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1 요홈부(groove portion)(예: U자 형상);를 포함하며, 제1 요홈부는 제2 두께를 보유하고,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더 작으며, 제1 베이스부와 제1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으로서 형성된다. 동일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을 수 있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a) 제3 두께를 보유하는 제2 베이스부(예: U자 형상); 및 (b) 제2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한 제2 요홈부;를 더 포함하되, 제2 요홈부는 제4 두께를 보유하며, 제4 두께는 제3 두께보다 작으며, 그리고 제2 베이스부와 제2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본원 기술의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1 두께는 제3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와 상이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2 두께는 제4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와 상이할 수 있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일부 추가 또는 대안의 버튼 어셈블리는 (a) 버튼 어셈블리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용량성 터치 액티베이터(capacitive touch activator); (b)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물리적 스위치 버튼 액티베이터; 및 의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또는 그 이상의) 물리적 스위치 버튼 액티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한 가지 더 특정한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는, (a) 하우징; (b)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입 유체 유입구(incoming fluid inlet); (c)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입 유체 유출구(incoming fluid outlet); (d) 유입 유체가 유입 유체 유출구에 도달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e)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펌핑식 유체 유입구(pumped fluid inlet),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펌핑식 유체 유출구(pumped fluid outlet), 및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펌핑식 유체 유입구와 펌핑식 유체 유출구를 연결하는 펌핑식 유체 라인(pumped fluid line); 및 (f)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발 지지 블래더 포트,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발 지지 블래더 포트, 및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제1 발 지지 블래더 포트와 제2 발 지지 블래더 포트를 연결하는 발 지지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들(filtered fluid flow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들은 (a)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컨테이너 포트,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컨테이너 포트, 및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제1 유체 컨테이너 포트와 제2 유체 컨테이너 포트를 연결하는 유체 컨테이너 유체 라인; 및/또는 (b)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체 릴리스 포트(fluid release port);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는, 적어도 50㎟의 면적을 보유하여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덮도록, 그리고 유입 유체 유입구를 덮도록 위치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a) 제1 포트를 구비한 매니폴드; (b) 커넥터이며, (i)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포트, (ii) 제2 포트, 및 (iii) 커넥터의 제1 포트와 커넥터의 제2 포트를 연결하는 제1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구비하는 상기 커넥터; 및 (c) 제1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통해 커넥터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추가 매니폴드 포트들은, 의도되는 경우, 커넥터 내에서 한정되는 추가 포트들 및 유체 경로들을 통해 추가 유체 라인들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는, (a)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연결하는 제1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을 구비한 매니폴드; (b)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 및 (c) 예컨대 매니폴드와 유체 경로들 사이에 중간 커넥터가 제외된 상태에서 매니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외부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가 존재할 때) 커넥터를 통과하여, 또는 (예컨대 별도의 커넥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내부 유체 경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a) 제1 축 방향; (b) 제2 축 방향; 및 (c)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조들에서,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은, 내부 유체 경로(들)의 연결부로부터 70도 이하의 각도로(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60도 이하, 50도 이하, 40도 이하, 30도 이하, 20도 이하의 각도로, 또는 심지어 평행하게) 상호 간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존재할 때) 커넥터로 유입되고 배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커넥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매니폴드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체는 서로 70도 이하의 각도 이내에서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밑창 구조체들과 연계되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들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상기 밑창 구조체들을 제조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상기 방법은, (a) 커넥터의 제1 포트와, 제1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커넥터의 제1 포트는,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에 의해, 커넥터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 (b) 유체 분배기의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커넥터의 제2 포트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 및 (c)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단일의 연결된 구성요소로서의 커넥터 및 유체 분배기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제1 밑창 구성요소 또는 다른 밑창 구성요소와 단일의 연결된 구성요소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 전에, 단일의 연결된 구성요소의 부분으로서의 커넥터와, 밑창 구성요소들에서부터 개시되는 추가 유체 라인들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a) 유체 분배기의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제1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매니폴드의 제1 포트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에 의해, 매니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 및 (b)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연계되는 제1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와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들은, 제1 밑창 구성요소 또는 다른 밑창 구성요소와 유체 분배기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 전에, 대응하는 매니폴드 포트들과 동일하거나 다른 밑창 구성요소들에서부터 개시되는 추가 유체 라인들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추가 양태들은, 밑창 구조체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특정 방법과 무관하게, 상기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에서 기인하는 밑창 구조체들(예컨대 밑창 구조체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단계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의 순서와 무관하게 상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들)에 관한 것이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a)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밸브 하우징; (b)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챔버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밸브 스템이며, (i)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밸브 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 (ii) 제1 단부의 맞은편에 있는 제2 단부, 및 (iii) 제1 단부에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외벽을 구비한 상기 밸브 스템; 및 (c) 밸브 하우징, 또는 유체 전달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밸브 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센서이며, (i) (예컨대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에서, 또는 이들 사이에서) 밸브 스템과 함께 이동 가능한(예컨대 그와 연계되는) 인코더 자석, 및 (ii) 밸브 스템의 위치로 인해 인코더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예컨대 밸브 하우징과 연계되는) 인코더 센서를 구비한 상기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유체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코더 센서는 밸브 스템의 제1 단부보다 그의 제2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다른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신발류 물품들 내에 내포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들을 위한 전동장치들(transmission)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동장치들은 (a) 모터 피니언; (b) 제1 중간 기어 클러스터이며, (i) 제1 축 방향 핀(axial pin), (ii) 제1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1 중심축을 가지면서 모터 피니언과 맞물리고 제1 지름을 보유하는 제1 기어, 및 (iii) 제1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2 중심축을 가지면서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보유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제1 중간 기어 클러스터; (c)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이며, (i) 제2 축 방향 핀, (ii) 제2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3 중심축을 가지면서 제2 기어와 맞물리고 제3 지름을 보유하는 제3 기어, 및 (iii) 제2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4 중심축을 가지면서 제3 지름과 다른 제4 지름을 보유하는 제4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 (d) 제3 축 방향 핀; 및 (e) 제3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3 중심축을 가지면서 제4 기어와 맞물리는 제5 기어이며, 이 제5 기어의 제3 중심축은 전동장치의 출력부의 회전축과 동축인 것인, 상기 제5 기어;를 포함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특정한 기능 또는 동작을 위해 추가 기어들도 포함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본원 기술의 양태들은, (a) 구동 샤프트를 구비한 모터; (b) 밸브 스템; 및 (c)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밸브 스템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샤프트와 밸브 스템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3단(또는 그 이상의 단) 전동장치;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들 내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을 위한 구동 시스템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의도되는 경우, 3단 전동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유형의 전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상이한 신발들(shoe)의 구성요소들 간의 전자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이런 양태들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신발류 시스템들은 (a) 압력 조정 능력을 갖는 제1 신발류 구성요소,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제1 안테나를 구비한 제1 신발; (b) 압력 조정 능력을 갖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한 제2 신발; 및 (c) 제1 신발류 구성요소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중앙 통신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내에 위치 결정되며, 그리고 제1 신발은,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에서부터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a) 제1 시간 기간 동안,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내에 위치 결정되고, 제1 신발은,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에서부터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리고 (b) 제2 시간 기간 동안, 중앙 통신 소스는 제2 신발 내에 위치 결정되고, 제2 신발은, 입력 데이터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2 안테나에서부터 제1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어느 곳에도 물리적으로 내포되어 있지 않은 외부 컴퓨팅 장치(예: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등)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외부 컴퓨팅 장치는 (a) 입력 데이터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b)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c) 입력 데이터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또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제1 안테나는,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상기 양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압력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의 통신은 하기와 같은 적어도 3가지 통신 구성 간에 전환될 수 있다. - (a)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 통신하되, 외부 컴퓨팅 장치는 중앙 통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1 신발 및 제2 신발 각각은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압력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주변 통신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때의 제1 통신 구성, (b)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제1 신발 또는 제2 신발과 전자 통신하지 않되, 제1 신발이 중앙 통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2 신발은 제1 신발로부터 압력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주변 통신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때의 제2 통신 구성, 및 (c)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제1 신발 또는 제2 신발과 전자 통신하지 않되, 제2 신발은 중앙 통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1 신발은 제2 신발로부터 압력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주변 통신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때의 제3 통신 구성.
상기 신발류 통신 시스템들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자 조정식 구성요소(electronically adjustable component)와 전자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전자 조정식 구성요소(들)는 제1 신발 및 제2 신발로부터 분리된 의류 물품(article of apparel) 상의 의류 기반 조정식 구성요소(apparel based adjustable component); 전동화식 의류 구성요소(motorized apparel component);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신발끈 조임 시스템들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기 위한 전동화식 신발끈 조임 시스템;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전동화식 신발 고정 시스템; 전동화식 유체 내포식 스포츠브라; 및 전동화식 유체 내포식 압박 슬리브(compression sleev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다양한 부품들 간의 밀봉식 연결부들(sealed connections)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의 밀봉식 연결부는, 자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제1 유체 포트를 구비한 주변 벽부(peripheral wall)를 구비한 회전식 밸브 스템과 적어도 제1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매니폴드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컨대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밀봉 커넥터(sealing connector)는 상기 부품들을 연결할 수 있다. 밀봉 커넥터는, (a) (주변 벽부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1 커넥터 포트; (b)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포트; 및 (c) 제1 커넥터 포트와 제2 커넥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로 회전식 밸브 스템의 회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커넥터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1 유체 포트를 일직선으로 정렬하여,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1 유체 포트가 밀봉된 조건에 있는 제1 커넥터 유체 경로를 통과하는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게 한다. 상기 밀봉식 연결부들 및 밀봉 커넥터들은 밸브 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추가 포트; 매니폴드 내의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포트; 및 밸브 스템 및 매니폴드의 대응하는 포트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내의 대응하는 추가의 하나 이상의 세트의 커넥터 포트들 및 커넥터 유체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스템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은, 한 번에 하나 이상의 세트의 유체 경로들을 개방하기 위해 포트들을 선택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포트들을 모두 포함하는)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커넥터 포트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주변 벽부의 외부 표면의 곡률(curvature)에, 그리고/또는 주변 벽부와 포트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밀봉부(seal)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만곡된 외부 표면(curved outer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만곡된 외부 표면은, 밸브 스템이 회전될 때, 주변 벽부를 따라 빠르게 이동한다(주변 벽부에 대하여 이동한다.)(그리고 회전 동안 밀봉식 접촉을 유지한다.). 윤활제는 상기 상대적 활주 작용(sliding action)을 지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밀봉식 연결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기타 밀봉식 연결부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전체 시스템들 내에도 제공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내 압력 센서들의 포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은 (a) 유체 분배기; (b) 매니폴드이며, (i) 매니폴드 몸체, (ii) 매니폴드 몸체를 통해 한정되면서, 유체 분배기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1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매니폴드 유체 경로, (iii) 매니폴드 몸체 내에서 한정되거나, 또는 매니폴드 몸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압력 센서 마운트(pressure sensor mount)[예: 리세스(recess) 또는 상승 튜브(raised tube) 중 하나 이상], 및 (iv)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와 제1 매니폴드 유체 경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개방 채널을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및 (c)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에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매니폴드 포트들, 매니폴드 유체 경로들, 압력 센서 마운트들, 및 개방 채널들은, 예컨대 다른 유체 라인들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추가 압력 센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의 대안으로, 신발류 물품들을 위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은, (a) 유체 분배기; (b) 제1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매니폴드; (c) 밀봉 커넥터이며, (i) 커넥터 몸체, (ii) 커넥터 몸체를 통해 한정되면서, 유체 분배기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커넥터 포트에서부터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커넥터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iii) 커넥터 몸체 내에서 한정되거나, 또는 커넥터 몸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예: 리세스 또는 상승 튜브 중 하나 이상), 및 (iv)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와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개방 채널을 구비한 상기 밀봉 커넥터; 및 (d)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에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들에서, 추가 매니폴드 포트들, 커넥터 포트들, 커넥터 유체 경로들, 압력 센서 마운트들 및 개방 채널들은, 예컨대 다른 유체 라인들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추가 압력 센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추가 또는 대안의 양태들은, 신발류 물품들의 구성요소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a)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유체 압력에 대한 목표 압력을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이며, 제1 신발류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 또는 유체 컨테이너인 것인, 상기 수신 단계; (b) 매니폴드의 제1 포트 또는 밀봉 커넥터와 매니폴드의 제2 포트 또는 밀봉 커넥터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속 유체 라인을 통과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이며, 제1 포트는 제1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2 포트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또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이동 단계; (c) 제1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유체가 연속 유체 라인을 통과하여 이동할 때 연속 유체 라인 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d) 측정 단계 동안 제1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체 압력을 기반으로 조정된 유체 압력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e) 결정 단계에서 결정되는 조정된 유체 압력이 목표 압력의 기결정 범위 이내일 때 연속 유체 라인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중지하는 중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된 유체 압력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유체 압력을 추정한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조정된 유체 압력은, 측정 단계 동안 제1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체 압력과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실제 유체 압력 간의 유량 의존성 오프셋(flow rate dependent offset)을 교정한다. 상기 유량 의존성 오프셋은, 예를 들면, 작은 내부 횡단면 면적 또는 지름(예: 50㎟ 미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40㎟ 미만, 30㎟ 미만, 20㎟ 미만, 또는 심지어는 16㎟ 미만)을 보유하는 유체 라인들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공되는 본원 기술 및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특징들, 실시예들, 양태들, 구조들, 공정들 및 배치들의 전반적인 설명을 고려할 때, 본원 기술에 따른 특정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 신발류 물품들 및 방법들의 보다 더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II. 본원 기술에 따른 예시의 신발류 물품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및 기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의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하기 논의를 참조하여,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 및 신발류 물품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본원 기술의 양태들은, 예를 들면, 상기에서 언급되는 여러 미국 특허출원에서 설명되는 발 지지 시스템들, 신발류 물품들(또는 기타 발 수용 장치들) 및/또는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A. 신발류 구조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는, 여러 상이한 동작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및/또는 다른 발 수용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전반적으로,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서 갑피(102), 및 이 갑피(102)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104)를 포함하는 신발류(100) 물품(측면도)이 도시되어 있다. 갑피(102) 및 밑창 구조체(104) 모두는, 신발류 기술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래 구성요소 부품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갑피(102) 및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이들의 개별 구성요소 부품들을 포함하는 신발류(100) 물품의 다양한 부품들은 신발류 기술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래 방식들을 포함한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함께 연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갑피(102)는 사용자 발을 위한 [갑피(102) 및/또는 밑창 구조체(104)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챔버 안쪽으로 열려 있는 발 수용 개구부(106)를 포함한다. 고정 시스템(108)(예컨대 비록 다른 유형들도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도시된 신발끈)은 신발류(100) 물품이 사용자 발에 풀림 가능하게 고정되게 한다.
도 1에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신발류(100) 물품은 사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구체적으로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전족부 부분(forefoot area)]을 지지하기 위한 발 지지 블래더(200)를 구비한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발 지지 시스템은 "온보드(on-board)" 유체 컨테이너(400)를 더 포함한다. 유체 컨테이너(400)는 (예컨대 압력을 받는) 유체를 내포하며, 그리고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 구성된다. 유체 컨테이너(400)는 신발류(100)의 겉창 구성요소 위쪽에, 그리고 중창 구성요소의 내부에(예컨대 발포체 부품의 공동 내에) 위치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갑피(102)와 연계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유체 분배기는, 예를 들면,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그리고/또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그리고 유체 공급부, 유체 컨테이너(4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주변 또는 외부 환경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을 선택적으로 2개 이상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한다. 유체 분배기는, 가동 밸브 스템을 구비한 구성요소;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구성요소; 밸브 스템 및/또는 솔레노이드(들)(예컨대 이들의 하우징들)와 연결되는 매니폴드; 유체 공급부 및/또는 유체 전달 라인들과 유체 분배기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전달 라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2b에는,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다양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신발류(100)의 물품의 부분들이 각각 상면도 및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 예시의 발 지지 시스템은, 사용자 발의 적어도 전족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유체 충진형 발 지지 블래더(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유체 컨테이너(400)의 부분(즉, 유체 충진형 블래더)은 발 지지 블래더(200)의 아래에 위치 결정되며, 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200)의 후방 에지(rear edge) 너머로 후방으로 연장된다(도 1도 참조). 상부 밑창 구성요소(104U)(예컨대 선택적으로 고분자 발포체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중창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200)의 위에 가로놓이고, 그리고/또는 그와 연계된다. 하부 밑창 구성요소(104L)(예컨대 선택적으로 고분자 발포체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중창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200)의 아래에 가로놓이고, 그리고/또는 그와 연계된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밑창 구성요소(104U) 및 하부 밑창 구성요소(104L) 모두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적어도 밑창 구조체(104)의 뒤꿈치 지지 부분에서 발바닥 지지 표면들(104US 및 104LS)을 각각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밑창 구성요소(104U) 및 하부 밑창 구성요소(104L) 모두는, 전족부 지지 부분에서 자신들을 완전하게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부들(104UO 및 104LO)을 각각 포함한다. 이들 개구부(104UO, 104LO)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유체 컨테이너(400)의 전족부 부분에 상응하며, 그럼으로써, 의도되는 경우, 적어도 유체 컨테이너(400)의 상단 표면(400S)(top surface) 및 발 지지 블래더(200)의 하단 표면(200S)(bottom surface)의 부분들은 최종 조립된 밑창 구조체(104)에서 적어도 자신들의 전족부 지지 부분들에서 상호 간에 직접적으로 서로 마주보고, 그리고/또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발 지지 블래더(200)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케이지 구성요소(300(cage component)가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분자 재료(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중 부품형 케이지 구성요소(300)(multi-part cage component)는 측면(lateral) 케이지 구성요소(300L), 안쪽(medial) 케이지 구성요소(300M), 및 중앙 또는 후방(middle or rear) 케이지 구성요소(300R)를 포함하고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300L)와 안쪽 케이지 구성요소(300M)는 하부 밑창 구성요소(104L)의 상응하는 측벽들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200)의 상응하는 측벽들과 연계되며, 그리고 중앙 또는 후방 케이지 구성요소(300R)는 발 지지 블래더(200)의 후방 에지와 연계된다. 의도되는 경우(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300L)와 안쪽 케이지 구성요소(300M) 중 적어도 하나는 자신들을 통해 한정되는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발 지지 블래더(200)의 측벽(들)은 최종 조립된 밑창 구조체(104)에서 노출되어 밑창 구조체(104)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도 1 참조). 이런 예시의 밑창 구조체(104)는 중족부 부분(midfoot area)에 선택적인 섕크부(120)(shank)를 더 포함한다. 이런 예시의 섕크부(120)는 발 지지 블래더(200)의 하단 측면 에지들을 지지하기 위해 아암들(arms)을 구비하고 전반적으로 U자형인 개구부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발 지지 블래더(200)의 하단 후방부(bottom rear)를 지지하기 위해 후방 베이스 부분(rear base are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상부 밑창 구성요소(104U)는 그 외부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예컨대 발바닥 지지 표면(104US)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04S)을 포함한다. 측벽(104S)의 외부 측면(exterior lateral side)은 그 내에서 한정되는 리세스(104R)를 포함한다. 이런 리세스(104R)는 유체 분배기(500)를 수용한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300L)는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리세스(104R) 내에 수용되는 베이스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그리고 이런 베이스는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유체 분배기의 적어도 일부 부분[예: 그 하우징(502)의 부품]을 형성한다.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유체 분배기(500)는,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300L)로부터 독립된 부품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부 밑창 구성요소(104U)[또는 다른 신발류 구성요소 부품 및/또는 갑피(102) 부품]의 외부 표면과 직접 연계될 수 있다.
유체 분배기(500)의 몇몇 특징 및 구성요소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분배기(500)는, (a) 유체 공급부에서부터(예컨대 외부 환경에서부터, 다른 내부 유체 라인에서부터, 펌프 또는 압축기 등에서부터)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유입구(inlet); (b) [예컨대 유체 공급부에 의해 유입되는 잉여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등] 외부 환경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유체 경로; (c) [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및/또는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유체 경로; 및/또는 (d)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및/또는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유체 경로;를 포함하거나 정의한다.
도 2b에는, 추가로, 발 지지 블래더(200)로 연장되는 유체 전달 라인(200F) 또는 튜브, 및 측벽 리세스(104R)의 내부에 형성되는 튜브 리세스(200R)가 도시되어 있다. 튜브 리세스(200R)는,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유체 유동 라인들로 하여금 유체 분배기(500)에 도달하여 그와 연결되도록 허용하는 공간(room)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도 2b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유형의 밑창 구조체들(104)은,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를 덮으면서 보호하기 위해] 유체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또는 겉창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펌프(예컨대 발 활성화 펌프, 배터리 작동 펌프, 압축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고 도 3a ~ 3d의 실시예들에 도시되는 것처럼,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발 활성화 펌프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펌프의 형태인 유체 공급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펌프가 존재할 때, 이 펌프는, 외부 환경에서부터 받아들여진 유체를, 외부 환경에서부터 펌프까지 연장되는 유체 경로를 경유하여, 의도되는 최종 목적지[예: 발 지지 블래더(200), 유체 컨테이너(400), 또는 되돌려 외부 환경]로의 분배를 위한 유체 분배기(5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도 3a에는, 유체 라인(602)을 매개로 (본원에서 "제2 펌프"라고도 하는) 전족부 활성화 벌브 펌프(600F)(forefoot activated bulb pump)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본원에서 "제1 펌프"라고도 하는) 뒤꿈치 활성화 벌브 펌프(600H)를 포함하는 2단 펌핑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a) 뒤꿈치 활성화 펌프(600H)의 유입구(600HI)는, [유체 라인(604)처럼,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에서부터 유입구(600HI)까지 연장되는 유체 경로에 의해]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어 있으며; (b) 뒤꿈치 활성화 펌프(600H)의 유출구(600HO)는 유체 라인(602)을 매개로 전족부 활성화 펌프(600F)의 유입구(600FI)와 유체로 연통되어 있으며, 그리고 (c) 전족부 활성화 펌프(600F)의 유출구(600FO)는 유체 라인(606)처럼 유체 분배기(500)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어 있다. 이때, 유체 유동 및 펌핑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류(upstream)" 펌프(본 설명에서 600H이나,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600F일 수 있음)는 "하류(downstream)" 펌프(본 설명에서 600F이나,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600H일 수 있음)보다 다소 더 클 수 있다. 2단 펌프는 미국 특허출원 제16/698,138호(제출일: 2019년11월27일)에서 개시되는 상응하는 구조들에서 제시되는 것들과 같은 특징들 및/또는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하나보다 많은 펌프가 존재할 때, 이런 하나보다 더 많은 펌프는 유체 분배기(500)의 유입구로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예컨대 2개 이상의 펌프는 유체 분배기(500)의 유입구에 직접 연결되는 자신들의 유출구들을 포함한다.]. 일단 유체 분배기(500) 내로 펌핑되면, 유체 분배기(500)는, 자체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유체를 그의 최종 목적지, 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 또는 유체 컨테이너(400)로, 또는 되돌려 외부 환경으로 이동시킨다. 배기 밸브 또는 체크 밸브는, 초과압 상황[예컨대 펌프들(600H, 600F)의 하류에 있는 유체 라인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이 어떤 이유로든 차단되거나 기능하지 않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임의의 펌프들(600H, 600F)을 구비할 수 있다. 펌프(들)(600F, 660H)는, 공지된 방식으로 벌브형(bulb type) 펌핑 챔버를 제조하기 위해, 예컨대 함께 결합되는 RF 용접식 TPU 필름들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a에는, 전반적으로 회전 타원체 또는 타원체 형상인 벌브 펌프들(600H, 600F)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b ~ 3d에는, 전반적으로 T자 형상인 벌브 펌프들(600H, 600F)이 도시되어 있되, 전족부 벌브 펌프(600F)는 (도 3a에서 발가락 지지 부분들 내로 보다 더 지향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밑창 구조체(104)의 중족골두(metatarsal head) 지지 부분의 아래로 보다 더 지향되어 있다. 도 3b에는, 전반적으로 밑창 구조체(104) 내에서 펌프들(600H, 600F)을 위한 가능한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는, 펌프들(600H, 600F) 및 이들의 연결 라인들의 전체 배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d에는, T자 형상인 벌브 펌프(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600H)의 보다 더 상세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되, 상기 벌브 펌프는 전족부 펌프(600F), 유체 분배기(500) 또는 다른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될 수 있다.
T자 형상인 벌브 펌프들(600H, 600F)은, 사용자 발의 상대적으로 더 큰(예컨대 더 넓은) 부위에 걸쳐서 펌프 챔버 체적을 분배하기 위해, 회전 타원체 또는 타원체보다 약간 더 넓어지고 덜 둥글게 만들어질 수 있다[따라서, 펌프(들)(600H, 600F)를 발밑에서 더 적게 인지하게 한다.]. 또한, 이런 T자 형상인 벌브 펌프들(600H, 600F)은 [예컨대 유체 라인(606)을 매개로, 예컨대 펌프(600F)의 유입구(600FI) 내로 이송하는 펌프(600H)의 유출구(600HO); 및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을 위한 유체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펌프(600F)의 유출구(600FO);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벌브 펌프들(600H, 600F)은, 하부 밑창 구성요소(104L)와 하나 이상의 겉창 구성요소(104)의 사이에서처럼, 밑창 구성요소들 사이에 끼워넣어질 수 있다. 그 대안으로서, 의도되는 경우,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는 전족부 펌프(600F)와 연계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별도의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는 뒤꿈치 펌프와 연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즉 사용자가 걸음을 걷거나 점프를 할 때, 벌브 펌프(600H 및/또는 600F)는 힘(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밑창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압축되며, 그로 인해 강제로 유체가 벌브 펌프(600H 및/또는 600F) 유출구(600HO, 600FO)에서 유출되게 하여 유체를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로 이동시킨다. 단방향 밸브들(one-way valve)은, 펌프(들)(600F, 600H)를 통한 역류 유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벌브 펌프(들)(600H, 600F)는 (예컨대 걸음마다 펌핑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평평하거나 부드럽게 만곡되는 발포체, 블래더, 겉창 또는 기타 밑창 구성요소 표면들 사이에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위치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벌브 펌프(들)(600H, 600F)는 이 펌프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리세스의 내부에(예컨대 발포체, 블래더, 겉창 또는 기타 밑창 구성요소 표면 중 하나 이상 내의 리세스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4a ~ 5f에는,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500) 및 발 지지 시스템들, 그리고 다양하고 가능한 동작 상태들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처럼, 이들 시스템은 발 지지 블래더(200), (또한,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할 수 있는) 유체 컨테이너 또는 저장기(400), 및 적어도 하나의 펌프[예컨대 도시된 유체 라인(602)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는 뒤꿈치 기반 펌프(600H) 및 전족부 기반 펌프(600F)]를 포함한다. 이들 부품은, 도 4a에 파선들로 도시된 구성요소 부품들 중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또는 유체 분배기(50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유체 분배기(500)는, 여러 출발 위치[예컨대 외부 또는 주변 환경(150) 또는 다른 유체 소스; 펌프(들)(600H, 600F); 발 지지 블래더(200); 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곳이면서 그로부터 유체가 배출되어 여러 목적지[예컨대 외부 또는 주변 환경(150); 발 지지 블래더(200); 또는 유체 컨테이너(400)]로 이동하는 곳인 중앙 허브(central hub)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유체 분배기(500)는 커넥터(700),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유체 전달 시스템(900)은 다양한 형태들 및/또는 구조들을 취할 수 있다. 도 4b에는, 유체 분배기(500) 내의 상이한 유형들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의 다양한 예시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의 상단 우측으로 향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은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포함한다. 도 4b에 도시된 중앙 유체 전달 시스템들은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 900C)이다. 또한, 도 4b의 하단 좌측으로 향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은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D)이지만, 그러나 이런 유체 전달 시스템(900D)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A) 내에 제공되는 기어열 전동장치(922)와 대조적으로, 유성 기어형 전동장치(922B)를 포함한다. 이런 상이한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A, 900B, 900C, 900D)(뿐만 아니라 이들의 변형예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유체 분배기(500)의 하우징(50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러 유체 라인은 여러 유체 출발 위치 및 목적지와 유체 분배기(500)를 연결한다. 이런 유체 라인들은 도 5a ~ 5f에 도시된 다양한 동작 상태들과 함께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5a ~ 5f에서의 대문자 "X"는 해당 동작 상태에서 폐쇄될 수 있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의 유체 경로들을 나타낸다. 필요한 경우, 상기 유체 경로들은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예컨대 밸브 스템의 특징들로 인해, 솔레노이드밸브 구성 특징들 등으로 인해, [예컨대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라인(606) 내의] 체크 밸브 또는 단방향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5a에는, 유체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이동하고 다시 외부 환경(150)으로 배출되는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는,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압력 변경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펌핑되는 유체가 계속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대기" 또는 "정상 상태" 동작 상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외부 환경(150)에서의 유입 유체(예: 공기)는 필터(702) 및 커넥터 유입구(702I)를 경유하여 커넥터(700)로 유입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필터(702)는 [예컨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시스템 내로 적절한 공기 흡입을 유지하기 위해] 탈거되고, 교환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법으로 청소될 수 있다. 어떤 의도되는 흡입 크기라도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서, 필터(702)는 적어도 50㎟의 면적, 50㎟와 100㎟ 사이의 면적, 50㎟와 150㎟ 사이의 면적, 그리고 25㎟와 250㎟ 사이의 면적, 또는 다른 의도되는 면적을 보유할 수 있다. 그리고 평면 시트(flat sheet)의 필터 재료, 평면 스크린 등처럼 어떤 의도되는 유형의 필터 매체, 필터 구조 및/또는 필터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필터(702)는 커넥터(700)의 상대적으로 큰 외부 면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5a ~ 5e, 11a, 12a 및 13b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700)의 노출된 외부 표면의 표면 면적 중 적어도 대부분을 잠재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필터는 커넥터(700)의 내부에서, 그리고/또는 유체 유로의 내부에서 다른 위치들에[예컨대 커넥터(700)의 몸체의 안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또는 전용 유체 경로(702P)의 안쪽 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펌프(들)(600H, 600F)로 향하는 유입구 이전의 어느 곳에] 제공될 수 있다.
유체는 커넥터 유입구(702I)에서부터 커넥터 몸체를 통과하여[예컨대 유체 경로(702P) 또는 커넥터(700) 안쪽의 개방된 내부 공간(710)을 통과하여] 이동하고 포트(702O)를 통해 배출된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용 유체 경로(702P)(예: 폐쇄된 유체 튜브)는, 유체가 커넥터 유입구(702I)에서부터 개방된 내부 공간(71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포트(702O)로서 제공되는 개구부에서 상기 개방된 내부 공간(710)에서부터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또는 커넥터(700)의 내부 공간(710)의 안쪽에서 개방 단부들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개방된 내부 공간(710)은 적어도 커넥터(700)를 통과하는 유체 경로(702P)의 부분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유출구(702O)는 펌프 시스템[본 실시예에서, 펌프(들)(600H, 600F) 및 이들을 연결하는 유체 라인(602)]으로 유체를 안내하는 유체 경로(604)에 연결된다. 유체는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유체 라인(606)의 아래로, 그리고 다시 커넥터(700)의 유입구 포트(704)로 이동한다. 유체 라인(606)을 따르는 단방향 밸브 또는 체크 밸브는,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 및/또는 유체 라인(606)을 통과하여 다시 펌프(들)(600H, 600F) 쪽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유체는,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에서부터 커넥터(700)를 통과하고 커넥터 유체 경로(704P)(즉, 여기서는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라고 함)를 경유하여 커넥터 유출구 포트(704O)(즉, 여기서는 "제4 유체 경로 커넥터"라고 함)로, 그리고 매니폴드(800)의 유입 유체 포트(800A)로 유동한다. 유체는 유입 유체 포트(800A)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경로(802)를 통과하여 매니폴드(800) 내로 유입되고, 유체 유입구 포트(800I)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유입된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에서 배출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804)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1 매니폴드 유체 유로(806)를 통과하고, 다른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커넥터(700)의 제1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06)로 이동하고 그 다음 제1 커넥터 유체 경로(708)를 통과하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제1 유체 경로 커넥터(706)를 통과하는 유체는 커넥터(700) 내부의 내부 공간(710)으로 흘러들 수 있고(그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은 외부 환경의 부분이 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펌프 주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상태에서, 유체가 단순히 다시 외부 환경(150)으로 배출되려고 할 때 각 걸음마다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유체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것보다는,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직접적으로 외부 환경(150)까지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유체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는, 유체 압력 변경이 필요하지 않을 때, 펌프(들)(600H, 600F)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5b에는, 유체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이동되어 발 지지 블래더(200)로 전달되는 것인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다시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는, 예컨대 (달리기처럼) 보다 더 단단한 촉감 및/또는 보다 더 격렬한 활동을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외부 환경(150)에서의 유입 유체(예: 공기)는, 도 5a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그리고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커넥터(700)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에서 배출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808)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2 매니폴드 유체 유로(810)를 통과하고, 다른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여, 커넥터(700)의 제2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12)로 이동하며, 그 다음 제2 커넥터 유체 경로(714)를 통과하고, 다른 커넥터 포트(720)를 통과하여, 발 지지 유체 라인(202) 내로, 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이동한다.
일부 사례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예컨대 보다 더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걷기 또는 평상복 활동과 같은 보다 덜 격렬한 활동을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의 실시예는 도 5c에 도시되어 있으며, 유체 유동은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 배출되고 발 지지 유체 라인(202)으로 유입되며, 그리고 커넥터 포트(720)를 경유하여 제2 커넥터 유체 경로(714)로 들어가 커넥터(700)의 제2 유체 경로 커넥터(712)로 이동한다. 유체는, 제2 유체 경로 커넥터(712)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여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2 매니폴드 유체 유로(810) 내로 이동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808)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들어간다. 이런 예시의 시스템 및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에서부터 외부 환경(150)으로 배출된다. 이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에서 배출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804)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1 매니폴드 유체 유로(806)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커넥터(700)의 제1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06)로 이동하고, 제1 커넥터 유체 경로(708)를 통과하여 [커넥터(700) 내부의 내부 공간(710)을 구성할 수 있는]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06)는, 유체 배출(fluid release)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에서 배출될 유체를 다시 커넥터(700)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트("유체 배출 포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500) 및 발 지지 시스템들을 위한 또 다른 가능한 동작 상태는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외부 환경(150)으로 전달된다. 이런 동작 상태의 유체 유동은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 배출되어 유체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으로 유입되고, 커넥터 포트(722)를 경유하여 제3 커넥터 유체 경로(716)로 들어가 커넥터(700)의 제3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18)로 이동한다. 유체는, 제3 유체 경로 커넥터(718)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여,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3 매니폴드 유체 유로(812) 내로 유입되고,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이동한다. 이런 예시의 시스템 및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에서부터 외부 환경(150)으로 배출된다. 이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에서 배출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804)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1 매니폴드 유체 유로(806)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커넥터(700)의 제1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06)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 제1 커넥터 유체 경로(708)를 통과하여 [커넥터(700) 내부의 내부 공간(710)을 구성할 수 있는]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유체 분배기들(500) 및 발 지지 시스템들의 일부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본 실시예에서는 증가시키기 위해) 온보드 유체 컨테이너(4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지면과의 발 접촉으로 인한 압력 스파이크(pressure spike)로부터 유체 유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적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보다 더 예측 가능하거나 제어되는 유체 전달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의 일례는 도 5e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 배출되어 유체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으로 유입되고, 커넥터 포트(722)를 경유하여 제3 커넥터 유체 경로(716)로 들어가 커넥터(700)의 제3 유체 경로 커넥터(718)로 이동한다. 유체는, 제3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8)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여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3 매니폴드 유체 유로(812) 내로 이동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이동한다. 이런 예시의 시스템 및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로 전달된다. 이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에서 배출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808)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2 매니폴드 유체 유로(810)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C)를 통과하여 커넥터(700)의 제2 유체 경로 커넥터(712)로 이동하고, 제2 커넥터 유체 경로(714)를 통과하고, 커넥터 포트(720)로 이동하여, 발 지지 유체 라인(202) 내로, 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f에는,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체적 및/또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로 유체를 추가하기 위한 예시의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외부 환경(150)에서의 유입 유체(예: 공기)는 필터(702) 및 커넥터 유입구(702I)를 경유하여 커넥터(700)로 유입된다. 유체는 커넥터 유입구(702I)에서부터 커넥터 몸체를 통과하여 커넥터 유출구 포트(702O)로 이동하며, 그리고 펌프 시스템[펌프(들)(600H, 600F]으로 유체를 안내하는 유체 경로(604)로 이동한다. 유체는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유체 라인(606)의 아래로, 그리고 다시 커넥터(700)의 유입구 포트(704)로 이동한다. 유체 라인(606)을 따르는 단방향 밸브 또는 체크 밸브는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 및/또는 유체 라인(606)을 통과하여 다시 펌프(들)(600H, 600F) 쪽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유체는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에서부터 커넥터 유체 경로(704P)를 경유하여 커넥터(700)를 통과하고, 커넥터 유출구 포트(704O)로, 그리고 매니폴드(800)의 유입 유체 포트(800A)로 유동한다. 유체는 유입 유체 포트(800A)에서부터 매니폴드(800) 내의 유체 라인 경로(802)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유입구 포트(800I)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으로 유동한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에서 배출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통과하고, 매니폴드(800) 내에서 한정되는 제3 매니폴드 유체 유로(812)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여, 커넥터(700)의 제3 유체 경로 커넥터(또는 포트)(718)로 이동하고, 그 다음 제3 커넥터 유체 경로(716)를 통과하고, 커넥터 포트(722)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 내로, 그리고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커넥터(700), 매니폴드(800) 및/또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500)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은 [예를 들면 프레임(504) 및 캡(506)을 포함하는] 하우징(502)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그와 연계될 수 있다(도 2a 및 2b 참조). 하우징(502)은 밑창 구조체(104)에, 그리고/또는 신발류 갑피(102)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2b 및 6 ~ 7e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 분배기(500)는, 신발류(100) 물품의 측면 표면 상에 장착될 때, 예컨대 사용자 발들 사이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갑피(102) 및/또는 밑창 구조체(104)의 측면 뒤꿈치 부분에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도 6 ~ 7e의 예시의 신발류(100) 구조들은, 유체 분배기(500)의 부착을 위한 베이스를 제공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면(700S)(base surface)을 포함한 밑창 구조체(104)를 보여주고 있다. 베이스면(700S)은 도 2b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300L)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유체 소스(예: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그리고/또는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라인들은 상기 베이스면(700S)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유체 분배기(500)와의 연계를 위해 상기 베이스면(700S)에서 노출될 수 있다.
도 6에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의도되는 경우, 유체 분배기(500)의 캡(506)은 입력 시스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스위치(도 6에 도시된 506A 및 50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스위치(506A 및 506B)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 하여금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공기 압력을 수동으로 증가시키거나(스위치 506A) 또는 감소시키도록(스위치 506B) 허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존재할 때, 스위치들(506A 및 506B)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유체 분배기(5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활성화시켜 상술한 동작 상태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추가로, 유체 분배기(500)가 광가이드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라이트(506L)[예컨대 그 하우징(502)의 주변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LED(예: 12)]를 포함할 수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이런 라이트(들)(506L)는 장식용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표시되는 라이트의 색변이(color variation)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들)(506L)는 예컨대 (a) 유체 분배기(500)의 "on" 또는 "off" 상태[예컨대 라이트(들)(506L)의 켜짐(on)은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하고 라이트(들)(506L)의 꺼짐(off)은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b) 신발류(100)의 발 지지 압력 및/또는 다른 압력 상태 정보[이는 예컨대 최대 압력, 최소 압력, 중간 압력(들) 등을 지시하는 라이트 색상 및/또는 섬광에 따라 달라진다.]; (c) 시스템 재설정 상태; (d) 공장 재설정 상태; (e) 전원 on(켜기), 전원 off(끄기) 및/또는 재부팅 상태; (f) 진행 중인 압력 조정; (g) 오류 조건; (h) 배터리 충전 상태; (i) 잔여 배터리 충전 상태; (j) 다른 신발 및/또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와 전자 통신 성공 유무 상태 정보(BTLE 확인 상태); (k) 데이터 다운로드, 업로드 및/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진행 또는 상태 정보; (l) 동작 상태 식별 및/또는 상태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예컨대 신발류에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속도 및/또는 거리 모니터링 장치에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는 라이트들[예컨대 라이트(들)(506L)의 색상(들), 점등된 라이트(들)(506L)의 수, 조명 배열의 변화, 점등된 라이트(들)(506L)의 배열, 조명 시퀀스, 라이트들의 애니메이션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라이트들을 활성화하여 발 속도 정보, 달린 거리 정보, 가속 정보, 운동 강도 정보, 배터리 수명 상태 정보, 장식용 특징들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라이트 색상들, 애니메이션들, 스타일들 등은 예컨대 상이한 신발 모델들, 상이한 신발 유형들, 상이한 신발 색채 조합들 등마다 다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라이트 "애니메이션들"은 표시되는 라이트 색상들; 표시된 라이트 색상들의 변화; 라이트 점멸 또는 섬광 비율들; 라이트 점멸 또는 섬광 비율들의 변화; 표시되는 라이트들의 수 및/또는 배열; 표시되는 라이트들의 수 및/또는 배열의 변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옵션들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도 6의 특정 실시예에서, 라이트들(506L)은 (비록 전체 환형 링이 동시에 점등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하우징(502)의 둘레에 환형 링을 형성한다.
가속도계 데이터, 속도 및/또는 거리 데이터, 충격력 데이터 및/또는 기타 데이터[예컨대 "온보드" 발 센서 시스템들에 의해 검출되는 데이터, 의류에 포함된 센서들의 데이터, 및/또는 (스마트폰 기반 속도 및/또는 거리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외부 장치의 데이터]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과 통신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더 빠른 속도 및/또는 가속도는 발 지지 압력 증가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들)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검출되는 더 느린 속도 및/또는 감속도는 발 지지 압력 감소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들)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유형들의 추가 입력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소스들 및/또는 압력 조정들은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유체 분배기들(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8a 및 8b에는, 신발류(100) 물품 내에서 유체 분배기(500)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의 다른 예시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서 형성된) 유체 컨테이너(400)는 적어도 신발류(100) 물품의 뒤꿈치 지지 부분에 제공되고, 발 지지 블래더(200)는 적어도 신발류(200) 물품의 전족부 지지 부분에 제공된다. 또한, 서로 반대되는 배치 역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a에서, (예컨대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서 형성된) 유체 컨테이너(400)는 적어도 신발류(100) 물품의 전족부 지지 부분에 제공될 수 있고, 발 지지 블래더(200)는 적어도 신발류(200) 물품의 뒤꿈치 지지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700), 매니폴드(800) 및/또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500)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은 신발류(100) 물품의 후방 뒤꿈치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체 분배기(500)는, 비록 후방 뒤꿈치 부분에서 밑창 구조체(1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계될 수 있기는 하지만, 갑피(102)와도 연계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의도되는 경우, 유체 분배기(5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예컨대 힐카운터형 구성요소처럼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갑피(102)의 부분으로서의] 신발류(100) 구조 상에 제공되는 수용부(510)(receptacle)의 내부에 풀림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화살표 508 참조).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록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예: 풀림 가능한 고정 플랩)(releasable retaining flap)(512)]은 수용부(510)에 대하여 공간 내에 유체 분배기(500)를 파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용부(510) 내에서 유체 분배기(500)를 풀림 가능하게 고정하는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은 본원 기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유체 분배기(500) 또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의 내포부(inclusion)를 포함하는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밑창 구조체(104)를 포함하는] 예시의 신발류(100) 물품의 어셈블리의 특징들을 도시하는 블록선도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 부품들에 추가로, 도 10에는, 구성요소들 및/또는 부품들을 함께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된다. 실시예들에는, 프라이머들 및 접착제들, 스냅 피트 부품들, 고정 클립들, RF 용접부들 및 직접 튜브 연결부들의 사용이 포함되어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또는 부품들을 함께 연계시키는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은, 신발류 기술들에서 종래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과 같은 커넥터들, 접착제들 등을 포함하는 본원 기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분배기(500)는 도 11a 및 11b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구성을 보유할 수 있다(상기에서 도 5a ~ 5f의 논의도 참조).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700)는 [예컨대 유입구 포트(702I)를 경유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체를 받아들이는 필터(702)를 포함한다. 커넥터(700)는 하우징(750)과 연계되는 별도의 부품을 형성하며, 그리고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은 하우징(750)의 내부에 내포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700)는 4개의 외부 유체 라인(예: 가요성 튜브들)과 연결된다. 하나의 유체 라인(604)은 외부 환경에서부터 유입 유체를 커넥터 유입구 포트(702I) 및 유출구 포트(702O)를 경유하여 펌프(들)(600H, 600F)로 안내한다. 제2 유체 라인(606)은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유체를 다시 커넥터(700)로 안내하고, 그에 따라 유체는,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압력이 증가하는 조건에서,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유체 라인(202)은 발 지지 블래더(200)까지 연장되어 그와 유체로 연통된다. 이런 유체 라인(202)은 유체 분배기(500)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4 유체 라인(402)은 유체 컨테이너(400)까지 연장되어 그와 유체로 연통된다. 이런 유체 라인(402)은 유체 분배기(500)에서부터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그리고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유체 라인들(604, 606, 202 및 402)과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700)의 포트들(702O, 704, 720 및 722)은 커넥터(700)의 하나의 표면(704S)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그리고 의도되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700)를 통과하여 병렬로 연장된다.].
또한, 도 11a 및 11b에는, 본 실시예의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위한 하우징(750)이 4개의 포트(800A, 800B, 800C 및 800D)를 포함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포트(800A)는 유체 라인(704P)과 유체로 연통되는 커넥터(700) 몸체 상의 포트(704O)와 연결되어, 유체 라인(606)에서부터[그리고 그에 따라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유입 유체를 받아들이며, 그리고 이 유입 유체를 매니폴드(800) 및/또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 내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포트(800B)는 커넥터(700) 몸체 상의 포트(706)와 연결되어 [예컨대 커넥터(700) 몸체를 통해] 과잉 또는 의도되지 않은 유체를 다시 외부 환경으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의 포트(800C)는 커넥터(700) 몸체 상의 포트(712)와 연결되어 발 지지 블래더(200)와 매니폴드(800) 간에 (어느 방향으로든) 유체를 교환한다. 본 실시예의 포트(800D)는 커넥터(700) 몸체 상의 포트(718)와 연결되어 유체 컨테이너(400)와 매니폴드(800) 간에 (어느 방향으로든) 유체를 교환한다. 특히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것처럼, 매니폴드(800)의 포트들(800A, 800B, 800C 및 800D)은 하우징(750) 및/또는 매니폴드(800)의 하나의 표면(750A)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그리고 의도되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750) 및/또는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병렬로 연장될 수 있다.]. [매니폴드 포트들(800A, 800B, 800C 및 800D)과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700)의 포트들(704O, 706, 712 및 718)은 커넥터(700)의 하나의 표면(704S)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그리고 의도되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700)를 통과하여 병렬로 연장된다.]. 이런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700)의 포트들(704O, 706, 712 및 718)은 커넥터(700)의 표면(704B) 상에서 커넥터 포트들(704, 702O, 720 및 722)로부터 다소 아래에 그리고 그로부터 오프셋되어 각각 위치 결정될 수 있다. 표면들(704S 및 704B)은 커넥터(700) 상에 공통 표면을 구성할 수 있고, 상호 간에 오프셋될 수 있고,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이한 방향들로 향해 있을 수 있다.
도 11b에는, 추가로, 커넥터 유체 경로들(704P, 714, 716) 중 하나 이상이 굽은 또는 만곡된 경로를 정의할 수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커넥터 유체 경로(704P, 714, 716)는 (a) 제1 축 방향(700AX1), (b) 제2 축 방향(700AX2) 및 (c) 제1 축 방향(700AX1)과 제2 축 방향(700AX2)을 연결하는 연결부(700C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 방향(700AX1)과 제2 축 방향(700AX2)은 70도 이하의 각도로 연결부(700CP)에서부터 상호 간에 이격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1a 및 11b에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커넥터(700)는 커넥터 몸체를 통과하여 매니폴드 포트들(800A, 800C, 800D)과 커넥터 포트들(704, 720, 722)을 연결하는 유체 경로들(704P, 714, 716)을 포함한다. 유체 경로들(704P, 714, 716)은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700) 몸체를 통과하는 굽은 또는 만곡된 경로를 형성한다. 유체는 커넥터(700)의 동일한 일반적인 측면에서부터, 그리고/또는 (예컨대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일반적인 방향으로 커넥터(700)로 유입되고 그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도 12a ~ 12c에는, 추가로, 일부 추가의 가능한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도 11a 및 11b의 커넥터(700)와 하우징(750) 간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밀봉 시스템(760)은 매니폴드(800)의 포트들(800A, 800B, 800C, 800D)과 커넥터(700)의 포트들(704O, 706, 712, 718) 사이에 각각 제공된다. 밀봉 시스템(760)은, 커넥터(700)와 매니폴드(800)를 밀봉 연계(sealing engagement)시키기 위해, 수형 맞물림 부품들(male engagement parts)[예컨대 포트들(800A, 800B, 800C, 800D)의 외부 표면들을 형성하는 관형 구조체들]의 둘레에 끼워 맞춰지는 암형 맞물림 부품들(female engagement parts)[예컨대 채널들(760A, 760B, 760C, 760D]을 포함한다. 채널들(760A, 760B, 760C, 760D)의 타측 단부들은 커넥터(700)와 밀봉 연계될 수 있고 커넥터 포트들(704O, 706, 712, 718)과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그리고/또는 이들 커넥터 포트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a ~ 13c에는, 하우징(750)과 외부 유체 라인들(202, 402, 604, 606) 간의 상이한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700)는 매니폴드(800)와 연계되는 별도의 부품이 아니라, 오히려 커넥터(700)가 매니폴드(800)의 부품을 구성하고, 그리고/또는 하우징(750) 내에 고정된다. 이런 연결부에서, 유체 라인들(202, 402, 604, 606)의 단부들은 매니폴드(800)의 커넥터(700) 부분의 포트들(704, 702O, 720, 722)을 형성하는 암형 개구부들(female openings) 내로 연장되는 수형 커넥터 부품들(male connector parts)을 형성한다. 이런 구조에서, 유체는 커넥터(700)의 상이한 측면들 또는 표면들(704S, 704B)에서부터, 그리고/또는 상이한 방향들로 커넥터(70)로 유입되고 그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도 13a ~ 13c에 도시된 커넥터(700)와 하우징(750) 간 연결부는, 도 11a ~ 12c에 도시된 커넥터(700)와 하우징(750) 간 유체 유로 형상과 다른 경로 형상을 따른다[즉, 커넥터 유체 경로들(704P, 714, 716)은 이런 실시예들에서 형상과 관련하여 서로 상이하다.]. 또한, 도 13a ~ 13c에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 클립(752)[유체 라인들(202, 402, 604, 606) 모두와 연계되는 도 13a ~ 13c에 도시된 하나의 클립(752)]에 의해 하우징(750)의 외부 표면(750S)에 고정되는 유체 라인들(202, 402, 604, 606)[이들은 신발류(100) 물품의 내부에서 내부 위치들에서부터 연장됨]이 도시되어 있다. 리테이너 클립(들)(752)은, 뒤틀림(kink), 분리 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어셈블리를 보조할 수 있는 하우징(750)에 대하여 유체 라인들(202, 402, 604, 606)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리테이너 클립(들)(752)은 고정 구조들(754) 및 마찰 끼워 맞춤(friction fit), 풀림 가능한 연계, 고정식 연계, 접착제, 기계식 커넥터 등을 통한 방식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하우징(750)과 연계될 수 있다.
도 14a 및 14b에는, 신발류(100) 물품 또는 [밑창 구조체(104)의 부품과 같은] 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하는 특징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2a 및 2b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그 실시예의 유체 분배기(500)는 밑창 구조체(104)의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300L)와 연계되었다. 본 실시예의 유체 분배기(500)는, 적어도 [선택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커넥터(700)와 연계되는]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750)을 포함한다. 프레임(504)은 예컨대 접착제, 기계식 커넥터들, 3D 프린팅 등과 같은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케이지 구성요소(300L) 또는 다른 밑창(104) 및/또는 갑피(102) 구성요소와 연계될 수 있거나 그와 통합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예컨대 상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하우징(750)이 커넥터(700)와 연계되고, 그리고/또는 커넥터(700)는 외부 유체 라인들과 연계되면, 하우징(750)은 프레임(504)의 리세스(504R)의 내부에서 연계되어 그곳에 (영구적 고정 방식 또는 풀림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750)은 프레임(504)의 측벽(504W)의 내부에 제공되는 고정 리세스들(504A) 내로 연장되어 끼워 맞춰지는 고정 요소들(750R)(retaining elements)에 의해 프레임(504)의 측벽(504W)과 연계된다. 압력 감응 접착제("PSA")(770)는, 하우징 및 캡 부품들을 함께 파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하우징(750)의 상단 표면 및/또는 캡(506)의 하단 내부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캡(506)은, 예컨대 프레임(504)의 측벽(504W)의 외부에 제공되는 고정 리세스들(504B) 내로 연장되어 그곳에 끼워 맞춰지는 고정 요소들(506R)에 의해, 프레임(504)의 측벽(504W)과 (영구적으로, 또는 풀림 가능하게) 연계될 수 있다. 존재할 때, 캡(506)의 고정 요소(들)(506R)는 [예컨대 프레임(504) 상에서 캡(506)의 덜거덕거림(rattling)을 줄이기 위해] 우수한 저온 가요성 및 댐핑 특성을 보유하는 폴리에테르 기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15a ~ 15c에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신발류 구조 내에[예컨대 신발류 밑창 구조체(104) 내에] 유체 분배기(500)를 내포시키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 15c에 도시된 연결은 예컨대 도 11a ~ 12c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커넥터(700) 구조와 연계되는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내포하는 하우징(75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5a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신발류 구성요소 부품들에서부터 개시되는 제1 유체 라인들은 커넥터(700)에 도달하여 그와 연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라인들은 (a) 커넥터 유입구(702I)에서부터 펌프(들)(600H, 600F)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604), (b)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다시 커넥터(700)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606), (c) 발 지지 블래더(200)와 커넥터(700)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라인(202), 및 (d) 유체 컨테이너(400)와 커넥터(700)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라인(402)을 포함한다. 유체 라인들(604, 606, 202, 402)은, 접착제, 기계식 커넥터들, 마찰 끼워 맞춤, 연계된 수형/암형 커넥터들 등의 사용을 통한 방식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각각의 커넥터 포트들(702O, 704, 720, 722)과 연계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것처럼,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포함하는 하우징(750)은 [예컨대 본 실시예의 완전한 유체 분배기(500)를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700)와 연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매니폴드 포트들(800A, 800B, 800C, 800D)을 각각 커넥터 포트들(704O, 706, 712, 718)에서 각각 커넥터 유체 경로들(704P, 708, 714, 716)과 유체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a ~ 5f 및 11a ~ 12c와 관련되는 상술한 논의가 참조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도시된 본 실시예는 매니폴드(800)의 수형 포트들(male ports)(800A ~ 800D)을 각각 수용하는 채널들(760A ~ 760D)을 구비한 밀봉 시스템(760)을 포함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접착제는, 연결 부품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매니폴드 포트들(800A, 800B, 800C, 800D), 커넥터(700)의 포트들(704O, 706, 712, 718) 및/또는 (존재할 때) 밀봉 채널들(sealed channels)(760A, 760B, 760C, 760D)에 도포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750)이 [하우징 리세스(750B) 내에서] 커넥터(700)와 연계되어 있을 때, -연계된 커넥터(700)를 포함하는- 하우징(750)은 프레임(504)의 리세스(504R) 내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하우징(750)은 도 14a 및 14b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예컨대 제자리에 스냅식 끼워 맞춤, 접착 결합, 기계식 커넥터들 등의 방식으로) 프레임(504)과 연계되게 된다. 그 다음에, 도 15b 및 15c의 비교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캡(506)은, 예컨대 도 14a 및 14b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예컨대 제자리에 스냅식 끼워 맞춤, 압력 감응 접착제(770)를 이용한 접착 결합, 기계식 커넥터들 등의 방식으로] 하우징(750) 및/또는 프레임(504)과 연계될 수 있다. 도 15c에는, 본 실시예의 최종 조립된 밑창 구성요소(104)가 도시되어 있다. 밑창 구성요소(104)는, [하우징(750)이 프레임(504) 내로 연계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전체 신발류(100)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갑피(102)와 연계될 수 있다.
도 15d ~ 15g에는, 커넥터(700)가 그 내에서 매니폴드(800) 구조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조립 이전에 하우징(750)에 포함되어 있는 곳인 연결부의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d 및 15e에 도시된 것처럼, 우선 다양한 신발류 구성요소 부품들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라인들은 하우징(750)의 내부 측면에 위치 결정되는 커넥터(700) 포트들에 도달하여 이들과 연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라인들은 (a) 커넥터 유입구(702I)에서부터 펌프(들)(600H, 600F)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604), (b)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다시 커넥터(700)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606), (c) 발 지지 블래더(200)와 커넥터(700)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라인(202), 및 (d) 유체 컨테이너(400)와 커넥터(700)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라인(402)을 포함한다. 유체 라인들(604, 606, 202, 402)은, 접착제, 기계식 커넥터들, 마찰식 끼워 맞춤 등의 사용을 통한 방식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각각의 커넥터 포트들(702O, 704, 720, 722)과 연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체 라인들(604, 606, 202, 402)의 단부들은 커넥터 포트들(702O, 704, 720, 722)을 구비한 수형의 개별 커넥터들 위로 끼워 맞춰지는 암형 케넉터들을 구성하거나 포함한다. 그 대안으로, 604, 606, 202, 402의 단부들은 커넥터 포트들(702O, 704, 720, 722)을 구비한 암형의 개별 커넥터들의 내부에 끼워 맞춰지는 수형 커넥터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유체 분배기(500) 상의 모든 연결부가 동일한 유형 및/또는 구조일 필요는 없다.
도 15d와 15f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 라인들(604, 606, 402, 202)이 커넥터(700)와 연계된 후에, 하우징(750)은 프레임(504)의 리세스(504R) 내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하우징(750)은, 예컨대 도 14a 및 14b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제자리에 스냅식 끼워 맞춤, 접착 결합, 기계식 커넥터들 등의 방식으로) 프레임(504)과 연계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15f 및 15g의 비교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캡(506)은, 예컨대 도 14a 및 14b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예컨대 제자리에 스냅식 끼워 맞춤, 압력 감응 접착제(770)를 이용한 접착 결합, 기계식 커넥터들 등의 방식으로] 하우징(750) 및/또는 프레임(504)과 연계될 수 있다. 도 15g에는, 본 실시예의 최종 조립된 밑창 구성요소(104)가 도시되어 있다. 밑창 구성요소(104)는, [하우징(750)이 프레임(504) 내에 연계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전체 신발류(100)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갑피(102)와 연계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예컨대 유체 분배기(500) 및/또는 그 부분들],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들,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은 예컨대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원(power source)을 요구할 수 있다. 전력을 요구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입력 시스템;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중 하나 또는 두 구성요소 모두의 내부에서 압력 변경을 위한 시스템들;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구동하고, 그리고/또는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라이트들(506L)(존재하는 경우); 가속도계들 및/또는 기타 센서들; 펌프들; 압축기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원은 하우징(750) 내에 내포된 재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 21c에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시스템들(무선 시스템들)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례로서, 도 16a ~ 16c에는, [예컨대 전력선들(1104 및 1108)을 통해] AC 어댑터(1110)와 연계될 수 있는 충전퍽(charge puck)(1102)이 도시되어 있다. 충전퍽(1102)은 충전 스테이션(502C)에서 신발(100)과 연계되는 자석(1106)을 포함한다. [유체 분배기(500)의 부품으로서 포함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502C)은 관련 기술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처럼 종래 방식들[예: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로 배터리를 무선으로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퍽(1102)의 전송기 코일과 작동 가능하게 연계되는 수신기 코일(514)을 포함한다. 도 16a에는, 신발(100)의 후방 뒤꿈치 부분과 연계될 수 있는 충전퍽(110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b 및 16c에는, 신발(100)의 측면(예: 옆면, 뒤꿈치 측면)과 연계되는 충전퍽(110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b에는, 추가로, AC 어댑터(1110)와 연결되는 단일 전력선(1108)까지 연장되는 커넥터(1108A)와 연계되는 개별 전력선들(1104)을 포함하는 한 쌍의 충전퍽들(1102)이 도시되어 있다. 재충전형 배터리보다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는 비-재충전형 배터리들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7a 및 17b에는,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충전퍽들(1102A 및 1102B)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a의 충전퍽(1102A)은, 충전 스테이션(502C) 자석과 충전퍽(1102A)을 자기로 연계시키기 위해, 환형 전송기 코일(1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석(1106)을 포함한다. 도 17b의 충전퍽(1102B)은, 자체의 둘레에 배치되는 환형 전송기 코일(1112)을 구비한 중앙 자석(1106)을 포함한다.
도 18a ~ 18c에는, 수신기 코일(514)이 예컨대 [캡(506)의 아래에, 또는 그 부품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유형들의 유체 분배기(500) 내에 내포될 수 있게 하는 여러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유체 분배기(500)[예컨대 그 하우징(750), 캡(506) 등]는 유도 결합 및 충전을 위한 충전퍽(예컨대 1102, 1102A, 1102B, 다른 구조)을 풀림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자석(520)을 포함한다. 수신기 코일(514)은, 유도 충전을 위한 충전퍽 내에서 전송기 코일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포함된다. [하우징(750)의 부분, 캡(506) 등과 같은] 하우징(522)은 수신기 코일(514)과 충전퍽(1102, 1102A, 1102B)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퍽 내에서 전송기 코일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수신기 코일(514)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출력은 예컨대 여러 기술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방식으로 재충전형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8b 및 18c에는, 유체 분배기(500) 내[예컨대 캡(506)의 아래]의 유도 충전 시스템에 대한 대안의 구조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b에는, 페라이트(524)(ferrite)의 박층[예컨대 페라이트(524)의 환형 링]을 포함한 인쇄회로기판(526)으로부터 분리된 수신기 코일(51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c에는, 자석(520)의 아래에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526)으로부터 자석(520)을 분리하는 페라이트(524)를 포함하는 추가 페라이트(524) 및/또는 보다 더 두꺼운 층의 페라이트(524)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c의 실시예의 추가 페라이트(524)는 인쇄회로기판(526)으로부터 충전 시스템을 차폐하는 데 도움을 주고, 그리고/또는 과열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시 말해, 도 18c의 실시예의 추가 페라이트(524)는 자석(들)(520)이 예컨대 솔레노이드들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 및/또는 유체 분배기들(500)을 위한 솔레노이드들의 작동에 간섭하지 못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전력원과 배터리 간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에 의존하는 재충전형 배터리들이 (유도 충전 시스템들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신발들 중 하나 또는 두 신발(100)은 전력원을 요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체 분배기(500)의 여러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재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a ~ 21c에는, 한 쌍의 신발들(100)을 위한 충전 시스템들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a ~ 19d에는, 무선 충전을 사용하여 한 쌍의 신발들(100L 및 100R)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한 예시의 시스템(19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충전 시스템(1900)은, 각 신발(100L, 100R)을 위한 충전퍽(1902L 및 1902R) 각각을 포함한 한 쌍의 유선 이어폰들(wired earbud)과 유사하다. (관련 기술들에서 공지된 것처럼 절연 외부 커버의 내부에 위치 결정될 수 있는) 충전퍽들(1902L, 1902R)에서부터 개시되는 와이어들(1904)은 중간 커넥터(1906)에서 만나며, 그리고 하나의 와이어(1908)는 커넥터(1906)에서부터 AC 전력 어댑터(1910)까지 연장된다. 신발류(100)를 위한 재충전 시스템의 문맥에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와이어"란 용어는 단일 와이어들, 다중 와이어들, 케이블들, 전도성 트랙들 또는 트레이싱들(tracings)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전기 커넥터를 의미한다. 커넥터(1906)는 2개의 분리된 와이어(1904)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되, 전력은 각 충전퍽(1902L, 1902R)으로 이동한다. 도 19a에는, 좌측 신발(100L) 및 우측 신발(100R) 각각의 외측면들 상에서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되는 충전퍽들(1902L, 1902R)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b와 19c에는, AC 전력 어댑터(1910)를 포함하지 않고(도 19b) AC 전력 어댑터(1910)를 포함하는(도 19c),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한 충전 시스템(1900)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옵션들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본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전력선(1908)은 USB 커넥터 구성요소(1912)에서 종결될 수 있고, AC 전력 어댑터(1910)는 USB 커넥터 구성요소(1912)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9d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시스템에서 전력선(1904)은, 퍽(puck)(1902L, 1902R)의 측면 표면(1902S)을 통해 퍽(1902L, 1902R)의 몸체와 연계된다.
또한, 도 19b와 19c에는, 보관을 위해, 충전퍽들(1902L, 1902R)의 자석들은 커넥터(1906) 및/또는 AC 전력 어댑터(1910) 내의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magnetic attracting material)와 연계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충전퍽들(1902L, 1902R)은, 예컨대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자기 연계 및 자력에 의해, 커넥터(1906) 및/또는 AC 전력 어댑터(1910)에 풀림 가능하게 고정된다. 필요한 경우,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는, 상기 자기인력 연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넥터(1906) 및/또는 AC 전력 어댑터(1910) 내에[예컨대 커넥터(1906 및/또는 AC 전력 어댑터(1910)의 내부 또는 외부 측면 표면들에] 내포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커넥터(1906) 및/또는 AC 전력 어댑터(1910)의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를 위한 가능한 위치들은 도 19b 및 19c에 파선들(1914)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작은 금속판들, 패널들, 링들 등으로서 제공된다.).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2개의 충전퍽(1902L, 1902R)은 그들 내에 포함되는 자석들에 의해 상호 간에 연계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자체 내에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를 포함하는 별도의 커버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충전퍽들(1902L, 1902R)의 자석들은 커버와 연계될 수 있다. 커버는 AC 전력 어댑터(1910), 커넥터(1106) 및/또는 전체 충전 시스템(1900)을 파지하기 위한 커버 또는 컨테이너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9e ~ 19g에는, 도 19a ~ 19d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유선 이어폰" 스타일의 충전 시스템(195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충전 커넥터들(1952L 및 1952R)은 퍽들(1902L, 1902R)보다는 노(paddle)와 더 유사하게 형성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강성 플라스틱 "핸들"(1960)은 충전 베이스(1962)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충전 베이스(1962)에서부터 개시되는 와이어들(1954)은 핸들(1960)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관련 기술들에서 공지된 것처럼 절연 외부 커버의 내부에 위치 결정될 수 있는) 각 충전 커넥터(1952L, 1952R)에서부터 개시되는 와이어들(1954)은 중간 커넥터(1956)에서 만나며, 그리고 하나의 와이어(1958)는 커넥터(1956)에서부터 AC 전력 어댑터(1910)까지 연장된다. 커넥터(1956)는 2개의 분리된 와이어(1954)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되, 전력은 각 충전퍽(1952L, 1952R)으로 이동한다. 도 19e에는, 좌측 신발(100L) 및 우측 신발(100R) 각각의 외측면들 상에서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되는 충전 커넥터들(1952L, 1952R)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f와 19g에는, AC 전력 어댑터(1910)를 포함하지 않고(도 19f) AC 전력 어댑터(1910)를 포함하는(도 19g),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한 충전 시스템(1950)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e ~ 19g의 충전 시스템(1950)은, 예컨대 도 19b 및 19c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식으로, AC 전력 어댑터(1910) 내에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19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9e와 19f에는, 중간 커넥터(1956)가 와이어들(1954)의 단부들(1954A)과 연계되는 와이어(1958)에서의 단부(1956A)에 의해 와이어들(1954)에 풀림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풀림 가능한 경우, 관련 기술들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과 같은 소켓들, 플러그들, 클립들 및/또는 기타 풀림 가능한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의도되는 유형의 풀림 가능한 전기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9f에는, 자신들 내에 포함된 자석들에 의해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상호 간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기로 연계되는 충전 커넥터들(1952L, 1952R)이 도시되어 있다. 그에 추가로, 와이어들(1954, 1958)은 예컨대 도 19f에 도시된 것처럼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조밀한 방식으로 핸들들(196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도 20a ~ 20d에는,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유형들의 무선 충전을 사용하여 한 쌍의 신발들(100L 및 100R)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한 다른 예시의 시스템(20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충전 시스템(200)은 각 신발(100L, 100R)을 위한 각각의 충전퍽(2002L 및 2002R)을 포함하는 한 쌍의 헤드폰들과 유사하다. 충전퍽들(2002L, 2002R)에서 개시되는 와이어들은 보통 아치형 구조를 보유한 가요성 커넥터(2004)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충전퍽들(2002L, 2002R)에서 개시되는 와이어들은 아치형 커넥터(2004)에서부터 AC 전력 어댑터(2010)까지 연장되는 와이어(2008)에 연결된다. 아치형 커넥터(2004) 내부의 내부 회로 및/또는 개폐부(switching)는 2개의 충전퍽(2002L, 2002R)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도 20a에는, 좌측 신발(100L)의 외측면 상에서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되는 충전퍽(2002L)과 우측 신발(100R)의 외측면 상에서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되는 충전퍽(2002R)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b와 20c에는, AC 전력 어댑터(2010)를 포함하지 않고(도 20b) AC 전력 어댑터(2010)를 포함하는(도 20c),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한 충전 시스템(2000)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0a 및 20d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시스템(200)에서는, 아치형 커넥터(2004)가 퍽(2002L, 2002R)의 몸체의 측면(및/또는 상단) 표면과 연계된다. 또한, 도 20b에는, 자신들 내에 포함된 자석들에 의해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상호 간에 직접 연계되는 충전 커넥터들(2002L, 2002R)이 도시되어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도 20a ~ 20d의 충전 시스템(200)은 예컨대 도 19b 및 19c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식으로, AC 전력 어댑터(2010) 내에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a ~ 21d에는,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유형들의 무선 충전을 사용하여 한 쌍의 신발들(100L 및 100R)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한 다른 예시의 시스템(2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충전 시스템(2100)은 각 신발(100L, 100R)을 위한 각각의 충전퍽(2102L 및 2102R)을 포함한다. AC 전력 어댑터(2110)에서 개시되는 와이어(2108)는 충전퍽들 중 하나[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퍽(2102R)]에 연결되며, 다른 와이어(2104)는 상기 충전퍽에서부터 타측 충전퍽(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2102L)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도 21d에 도시된 것처럼, 충전퍽(2102R) 내부의 회로는 와이어(2108)에서 유입되는 유입 전력을 분할하여 (a) 퍽(2102R)에서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고, (b) 퍽(2102R)을 통과하여 와이어(2104) 및 퍽(2102L)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와이어들(2108 및 2014)은 충전퍽들(2102R, 2102L)을 직렬로 연결한다. 도 21a에는, 우측 신발(100R)의 외측면 상에서 유체 분배기(500)와 연계되는 충전퍽(2102R); 및 좌측 신발(100L)의 외측면과 충전퍽(2102L)의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b 및 21c에는, AC 전력 어댑터(2110)를 포함하지 않고(도 21b), AC 전력 어댑터(2110)를 포함하는(도 21c),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한 충전 시스템(2100)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1b에는, 자신들 내에 포함되는 자석들에 의해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상호 간에 직접 연계되는 충전 커넥터들(2102L, 2102R)이 도시되어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도 21a ~ 21d의 충전 시스템(2100)은, 예컨대 도 19 및 19c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식으로, AC 전력 어댑터(2110) 내에 자석 또는 자기인력 재료(19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1b 및 21c에는, 와이어(2108)와 AC 전력 어댑터(2110) 간의 상이한 커넥터(2112)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2112)는 전력 어댑터(2110) 상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계식 커넥터를 포함한다(예컨대 플러그형 연결부). 커넥터(2112)(뿐만 아니라 도 19a ~ 20d에서 상기에 설명되는 다른 커넥터들)와 그의 대응하는 AC 전력 어댑터(2110) 사이의 임의의 의도되는 유형의 연결부는, 관련 재충전형 전자 및 전기 장치 기술들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정식 전기 연결부들, 풀림 가능한 전기 연결부들, USB 플러그 연결부들 및/또는 기타 적합한 플러그들, 소켓들, 클립들 및/또는 전기 연결부들을 포함하여, 본원 기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예컨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하우징(502)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500)는, 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및/또는 신발류(100)의 다른 부분들] 내의 압력을 변경/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506A, 506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체 분배기(500)는, 예컨대 장식으로서, 그리고/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신발류(100) 및/또는 전체 시스템에 대한 일부 상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라이트(506L)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a ~ 22e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발 지지 시스템의 일부 부분에서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의 가능한 실시예들과 관련한 추가 정보가 제공되어 있다. 도 22a에 도시된 "킵-아웃(keep-out)" 구역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자기 충전(magnetic charging)을 위한 코일을 포함하는 하우징(502)의 영역에 대응한다["킵-아웃"은, 해당 영역 아래의 "실제 구역(real estate)"이 이미 코일 또는 다른 구조들을 위해 요구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2200)를 위한 회로 및/또는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도 22a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의 잠금 해제 및 사용과 그 작동에 대한 다양한 옵션들의 도표가 제공되어 있다. 도 22b ~ 22e에는, (도 22a에 특별히 도시된 실시예 4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시스템을 위해 가능한 구조들의 도면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22a의 실시예 1에서, 버튼은 (예컨대 관련 기술들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과 같은 구조들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검출하는) 용량성 유형 버튼이다. 이런 예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은 버튼의 스와이프 동작(swipe action)에 의해 잠금 해제되며, 그리고 압력의 변경은 스와이프 동작에 의해 입력된다[예컨대 (도 22b에서 506B로 향하는) 우측 스와이프는 기결정된 양 또는 단계만큼 압력을 감소시키며, (도 22b에서 506A로 향하는) 좌측 스와이프는 기결정된 양 또는 단계만큼 압력을 증가시킨다.]. 한 번의 스와이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의 잠금 해제 및 압력 변경 입력의 진행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터치" 및 스와이프의 시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잠금 해제할 수 있으며(필요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연속적인 스와이프 동작(좌측 또는 우측)은 압력 변경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2회의 스와이프는, 예컨대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잠금 해제하고, 그리고/또는 웨이크업하기 위해, 그리고 두 번째로는 압력 변경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요구될 수 있다.
도 22a의 실시예 2에서, 버튼은 (예컨대 관련 기술들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용량성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용량성 유형 버튼이다. 이런 예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은 버튼의 스와이프 동작에 의해 잠금 해제되고, 압력의 변경은 중앙의 각 측면에서 터치 동작에 의해 입력된다[예컨대 우측 측면(506B)을 터치하면, 기결정된 양만큼 압력을 감소시키고, 좌측 측면(506A)을 터치하면, 기결정된 양만큼 압력을 감소시킨다.].
도 22a의 실시예 3 및 4 각각에는, 2개의 가능한 입력 옵션에 대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3 및 4의 각각에서 하나의 옵션(도표에 표시된 상단 옵션들)으로서, 버튼들(2200A, 2200B)은 2회의 물리적 누름을 요구하는 [본원에서는 "촉각 버튼(tactile button)"이라고도 하는] 물리적 버튼들일 수 있되, 한 번 누르면 사용자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잠금 해제하고, 한 번 더 누르면 의도되는 압력 증가 또는 압력 감소 정보를 입력한다. 다른 옵션(도표에 표시된 실시예 3 및 4의 하단 옵션들)으로서는, 버튼들(2200A, 2200B)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량성 터치 버튼 및 (압력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촉각 버튼의 조합 버튼일 수 있다. 이런 실시예 3 및 4의 하단 옵션들에서, 시스템들은 (a) 초기의 "터치" 동작에 의해 작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또는 시스템(2200)을 잠금 해제하고, 그리고/또는 웨이크업하며, 그런 다음 (b) [버튼들(2200A, 2200B)에서]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여 압력 설정들을 변경한다. 도 22a의 실시예 3 및 4의 버튼들 간의 한 가지 차이는, "킵-아웃" 구역에 대한 버튼들(2200A, 2200B)의 위치들에 관련된다. 실시예 3에서, 버튼들(2200A, 2200B)은 버튼의 동일한 측면에서, 그리고 킵-아웃 구역의 동일한 측면에서 상호 간에 인접한다. 실시예 4에서, 버튼들(2200A, 2200B)은 킵-아웃 구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버튼의 상이한 단부들 상에 위치된다. 도 22a에서 "버튼 누름" 또는 "누름" 라벨을 포함한 버튼들은 물리적 스위치 유형 버튼 액티베이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관련 기술에서 공지되고 사용되는 구조의) 촉각 버튼들은 뚜렷한 촉감을 제공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일측 버튼[예: 압력 증가 버튼(2200A)]의 노출된 누름 표면은 볼록한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타측 버튼[예: 압력 감소 버튼(2200B)]의 노출된 누름 표면은 오목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뚜렷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버튼(506)의 일측 측면은 함몰되거나 상승된 "플러스" 기호("+")로 표시될 수 있고 타측 측면은 함몰되거나 상승된 "마이너스"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는, 신발을 착용하고 있더라도, 의도하는 압력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 정확한 버튼의 위치를 보다 더 쉽게 결정하여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22b ~ 22e에는, 도 22a의 실시예 4의 "터치/누름" 옵션에 대한 예시의 버튼 구성의 다양한 도면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22b에는, 고무 또는 다른 폴리머(예: 실리콘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조성물로 오버몰딩 성형되는[또는 투샷 몰딩 공정(two-shot molding process)에서 형성되는] 물리적 촉각 버튼 위치들(2200A, 2200B)에 상응하는 가요성 부분들(flex area)(2202A, 2202B)이 도시되어 있다. 버튼 액추에이터 부분 둘레의 오버몰드 재료(2210)를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연장되는 요홈들(groove)(2204A 및 2204B)은, 버튼들(2200A, 2200B)을 누를 때 구부림(flexion)을 더욱더 충분히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고무 또는 다른 재료(예: 탄성중합체)의 보다 더 얇은 층을 생성한다. 또한, 이들 요홈(2204A, 2204B)은 상기에서 설명한 촉감 특징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가요성 부분들(2202A, 2202B)은 제1 두께(예: 2㎜ 내지 10㎜ 두께)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가지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요홈들(2204A, 2204B)은, 제1 두께보다 더 얇은 제2 두께(예: 0.5㎜ 내지 3㎜ 두께)를 보유할 수 있다. 베이스부에서 오버몰드 재료의 제1 두께는 요홈들(2204A, 2204B) 내의 오버몰드 재료의 제2 두께보다 1.5배 내지 20배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들(2200A, 2200B)이 눌러질 때, 요홈들(2204A, 2204B) 내의 오버몰드 재료는 힘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어느 정도 신장된다. 버튼 누름에서 기인하는 힘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때, 요홈들(2204A, 2204B) 내의 신장된 재료는 다시 그의 비신장 배치 형태로 복귀하면서 복귀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런 복귀 에너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다소 "탄력" 또는 "트램폴린" 효과의 흥미로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버몰드 재료(2210)는 버튼 부분을 폐쇄하여, 물, 부스러기, 또는 다른 원하지 않는 물질이 하우징(5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가요성 부분들(2202A, 2202B)은 유체 분배기(500)의 하우징(750) 위쪽에 배치되는 캡(506)의 부품으로서, 그리고/또는 유체 분배기(500)의 하우징(750)의 상단 표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의도되는 경우, 가요성 부분들(2202A 및/또는 2202B) 내의 요홈들(2204A 및/또는 2204B)은 관통구들로 대체될 수 있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들에서는, 다른 밀봉 구성요소들(예: 탄성중합체, 가스켓들, O 링들 등. 도 22 참조)이 버튼 개구부들을 밀봉하고, 그리고/또는 (의도되는 경우) "탄력" 또는 "트램폴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2b에서 요홈들(2204A 및 2204B)은 본원 기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임의의 의도되는 형상(들)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요홈들은 버튼 액추에이터 부분들에 인접하여(예컨대 버튼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의 위쪽에, 그리고/또는 그 둘레에)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도 22b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요홈들(2204A 및 2204B)은 일반적으로 U자로 형성되고, 자신들의 자유 또는 개방 단부들은 상호 간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그뿐만 아니라, 자유 또는 개방 단부들은, 상호 간의 이격 방향, 버튼의 다른 표면들로 향하는 방향 등을 포함하여 다른 방향(들)으로 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요홈들(2204A 및/또는 2204B)은 버튼 액추에이터 부분의 둘레에 폐쇄된 경로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3에는, 본원 기술의 양태에 따른 일부 예시의 유체 분배기(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에서 구성요소들의 전기 블록도(2300)가 제공되어 있다. 도 23에는,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유체 분배기들(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 내에 내포되는 여러 구성요소 및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구성요소들 및 시스템들의 임의의 의도되는 부분 집합 또는 조합도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3에서 확인되는 상기 구성요소들 및 시스템들 대부분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4에는,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500)의 하우징(502) 내부의(그리고/또는 회로 기판 상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예시의 레이아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하우징(502)의 외부 둘레의 주위에 배치되는 다양한 라이트들(506L)이 도시되어 있다. 라이트 드라이버(2410)("LED 드라이버")는 (예컨대 프로그램된/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하에서) 라이트들의 12 RGB LED 링을 구성할 수 있는 라이트들(506L)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도 24에는, 상기 시스템이 [컴퓨팅 장치, 모바일 컴퓨팅 장치(예: "스마트폰")에서 개시되는 것과 같은] 무선 입력을 수신하기; 한 쌍의 타측 신발로부터 전자 정보를 수신하기; 의류 및/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전자 정보를 수신하기; 다른 센서들[예: 온보드 신발 센서(들), 의류 기반 센서들, 외부 컴퓨팅 장치 내에 속도 및/또는 거리 모니터로서 포함되는 센서들 등]으로부터 전자 정보를 수신하기; 등을 위한; 안테나(2402)[예: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2404)("MCU")는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들 및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기능들(그리고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능들 및/또는 하드웨어)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가속도계("ACC"), 자력계("MAG")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관성 측정 유닛들("IMU들")(2406)은 신발류(100) 물품에서 사용자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성 측정 유닛들 또는 다른 가용한 센서들에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하나의 신발 또는 두 신발 모두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 설정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모터 드라이버(2408)는, 예컨대 유체 분배기(500) 내 임의의 모터(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존재한다(예컨대 그뿐만 아니라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하우징(502)의 내부에서 외견상 "개방 공간(open space)"은,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 재충전형 배터리, 및/또는 다른 의도되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 또는 그 모두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도 25에는, 중앙 컨트롤러(2500)와 (예컨대 사용자가 착용 중인) 한 쌍의 신발들 간의 여러 가능한 통신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런 통신들은, 관련 기술에서 종래 공지되고 사용되는 것처럼, 하드웨어, 시스템들, 통신 프로토콜들 등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한 쌍의 두 신발 모두가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은) 의도되는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도 25에서 "중앙" 신발(2502)로서 "연결된] 일측 신발은 의도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발(2502)은 예컨대 무선 방식으로, 즉 안테나(2402)를 통해 [도 25에서 "주변" 신발(2504)로서 "연결된"] 타측 신발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신발 한 쌍에 대해 전체 하드웨어 비용은 일측 신발에 보다 더 적은 하드웨어를 제공함으로써 절감될 수 있다. 중앙 컨트롤러(2500)는 일측 신발의 부품으로서[예컨대 상기 신발을 위한 유체 분배기(500)의 하우징(52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앙 컨트롤러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매개로 상기 신발과 통신할 수 있다. 그 대신, 중앙 컨트롤러(2500)를 포함하는 신발은 예컨대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무선 연결을 매개로 타측 신발과 통신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중앙 컨트롤러(2500)는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팅 장치, 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압력 변경 정보는 외부 컴퓨팅 장치(예: 스마트폰)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하우징(502) 내의 안테나(2402)를 통해 일측 또는 양측 신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25에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수면(asleep)" 모드(2506)로 들어가고 그로부터 나오기 위해 동작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구성요소(들)는, 예를 들면 "발 존재 감지 센서(foot presence sensor)" 또는 "FPS" 데이터가 일측 또는 양측 신발에 대해 기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일측 또는 양측 신발로부터 연결이 끊기는 경우, (예컨대 발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 타임아웃 기간 이후의 경우 등일 때, "수면" 모드(2506)에 들어갈 수 있다. 신발(2502, 2504) 내부의 발 존재는, 정전용량 센서들, 힘/압력 센서들, 스위치형 센서들 등에 의한 것처럼,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발 압력이 적어도 하나의 신발(100)에서 감지되는 경우, 입력 장치[예: 입력 버튼들(506A, 506B), 모바일 컴퓨팅 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와 사용자 상호작용이 수신되는 경우 등일 때, "수면" 모드에서부터 "각성(awake)"될 수 있다. 일단 각성되면, 중앙 컨트롤러(2500)는 적어도 신발(2502)과 연계되는 가용한 무선 연결을 "통지(advertise)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앙 컨트롤러(2500)는 주변 신발(2504)이 가용하다는 정보를 중앙 신발(2502)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앙 신발(2502)과 주변 신발(2504)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그리고 선택적으로 연결 중개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 상호작용 및 통신 상태들은 도 25에 도시되어 있되, 이는, 예컨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상호 간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호 간의 연결 유지를 시도하고, 그리고/또는 상호 간의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시점 및 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배치에서, 신발들(2502, 2504)은 상호 간에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연결 프로토콜들에서, 직접적으로 통신할 때, (a) 어느 하나의 신발(2502, 2504)이 (타측 신발에 입력 및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통신 지점(communication point) 및/또는 컨트롤러(2500)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b) 어느 하나의 신발(2502, 2504)이 [타측 신발 및/또는 컨트롤러(2500)로부터 입력 및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 통신 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정해진 쌍의 신발들의 경우, 동일한 신발이 항상 중앙 신발 및/또는 컨트롤러(2500)일 필요가 없고, 동일한 신발이 항상 주변 신발일 필요는 없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배치에서,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등과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한 것처럼, 신발들(2502, 2504)과 외부 컴퓨팅 장치 간의 통신이 일어날 때, 양측 신발(2502, 2504)은 주변 장치들이 되고, 외부 컴퓨팅 장치는 중앙 장치가 된다. 외부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런 입력(예: 압력 변경 입력)을 관련 신발 또는 신발들(2502, 2504)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의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신발(2502, 2504) 및/또는 상기 신발들(2502, 2504)과 통신하는 외부 통신 장치는, 의류(2510)[(예컨대 유체 압력 변경이 그 내에서 예컨대 스포츠브라 내에 내포된 유체 기밀형 블래더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를 변경하는 곳인) 예컨대 전동화식 유체 내포식 스포츠브라; 전동화식 유체 내포식 압박 슬리브들(예컨대, 그 내에서 슬리브의 유체 기밀식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이 제공되는 압축의 레벨을 변경하는 곳인 유체 기밀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중공 관형 슬리브); 그들 내에 내포되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들의 (예컨대 유체 기밀식 블래더들을 포함한) 유체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류; 전동화식 신발 신발끈 조임 구성요소들; 등] 내에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신발(2502, 2504) 및/또는 상기 신발(2502, 2504)과 통신하는 외부 통신 장치는, 신발 내/상의, 또는 의류(예: 스포츠브라, 압박 슬리브 등) 내/상의 전동화식 및/또는 적응식 신발끈 조임 및 지지 시스템들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들로 통신을 송신한다. 의류(2510) 내에 제공되는 다른 상기 시스템들과 통신할 때, 의류(2510)는 주변부로서의 두 신발(2502, 2504)과 통신하는 중앙 통신 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신발(2502, 2504)이 의류(2510)와 통신하는 중앙 통신 지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타측 신발은 주변부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들에서, 외부 컴퓨팅 장치가 통신 루프(communication loop) 내에 들어가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는 중앙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두 신발(2502), 및 의류(2510) 내에 포함된 임의의 장치들은 주변 장치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신발들(2502, 2504)과의 무선 연결(들)은, 전동화식 신발끈 등과 같은 자동 및/또는 전동화식 신발 고정 메커니즘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의류(2510)는 신발류 내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위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전자장치들, 통신 능력, 및/또는 유체 전달 능력 중 임의의 부분 또는 그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의 구조 및 작동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기 단원들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의 일부 양태는, 매니폴드(800)를 통과하는 다양한 유체 경로들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밸브 하우징 내부의 밸브 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 기술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의 다른 양태들은 매니폴드(800)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기반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B.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 특징
도 26a ~ 26d에는,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가동 밸브 스템 유형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포함하는 예시의 유체 분배기(500)의 다양한 도면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런 예시의 유체 분배기(500)는,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이 그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곳인 하우징(502);뿐만 아니라, 유체 소스[예: 외부 환경,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 외부 환경(150); 적어도 하나의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컨테이너(400);와 하우징(502)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연계시키는 커넥터(700) 역시도 포함한다. 또한, 도 26a ~ 26d에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A); 및 여러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형 배터리(2602);의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a ~ 29에는,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예시의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의 구성요소들과 관련한 추가 세부사항이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매니폴드(800)는 매니폴드 몸체 또는 하우징(82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 5a ~ 5f를 참조하면, 매니폴드 몸체(820)의 일측 표면(822A) 또는 측면은 커넥터(700)의 대응하는 포트들(704O, 706, 712, 718)과 각각 유체로 연통되는 연결부들을 구비한 포트들(800A, 800B, 800C, 800D)을 포함한다. 매니폴드 몸체(820)의 맞은편 표면(822B)(비록 이는 다른 표면일 수도 있지만)은 유입구 포트(800I), 제1 매니폴드 포트(804), 제2 매니폴드 포트(808) 및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구 경로(802)는 포트(800A)와 유체 유입구 포트(800I)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유체 유로(806)는 포트(800B)와 제1 매니폴드 포트(804)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2 유체 유로(810)는 포트(800C)와 제2 매니폴드 포트(808)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3 유체 유로(812)는 포트(800D)와 제3 매니폴드 포트(814)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매니폴드(800)는 자신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4개의 분리된 유체 경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매니폴드(80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도 27a ~ 28에 도시된 2개의 압력 센서(850A, 805B)]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들)(850A, 850B)는 제1 유체 유로(806), 제2 유체 유로(810) 및 제3 유체 유로(8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부 보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850A)는 제3 유체 유로(812) 내[그에 따라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압력 센서(850B)는 제1 유체 유로(806)와 제2 유체 유로(810)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결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O 링들(852)(또는 가스켓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밀봉 장치들)은 매니폴드 몸체(820)와 압력 센서(들)(850A, 850B)를 밀봉 연계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은 밸브 하우징(902)과, 이 밸브 하우징(902) 내에 이동 가능하게(예컨대 회전, 활주 등이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9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밸브 스템(910)은 제1 단부(910A)[예: 피동 단부(driven end)]와, 이 제1 단부(910A)의 맞은편에 있는 제2 단부(910B)(예: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외벽(910W)은 제1 단부(910A)와 제2 단부(910B)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단부(910A), 제2 단부(910B) 및 외벽(910W)은 밸브 스템(910)의 내부 챔버(910I)를 한정한다. 다시 말해,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은 내부 챔버(910I)에서부터 외벽(910W) 및 밸브 스템(910)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구(910H)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30a ~ 30g와 함께)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복수의 위치로 밸브 스템(910)의 이동은, 복수의 관통구(900H) 중 하나 이상이 제1 유체 유로(806), 제2 유체 유로(810) 및/또는 제3 유체 유로(812)와 유체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예컨대 유체 분배기(500), 유체 전달 시스템(900A), 조합된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A) 등]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한다.
또한, 도 27a ~ 29에는, 상기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이 구동 시스템[예: 모터(920)] 및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출력 기어, 노즈 핀(nose pin), 컵 씰, 및 기타 기어들을 포함한] 전동장치(922)를 포함한다. 전동장치(922) 구성요소들은 모터(920)에서부터 밸브 시스템(910)의 제1 단부(910A)로 동력을 전달하여, 밸브 하우징(902)[및 매니폴드(800)]에 대하여 밸브 스템(910)을 이동시킨다(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시킨다.). [예컨대 재충전형 배터리(2602)에서 개시되는] 전력원, 및 예컨대 유체 분배기(500)를 구비하고 도 27a ~ 29d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선택적으로 모터(920)를 구동하여, 의도되는 출발점들에서부터 의도되는 위치들로 유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밸브 스템(910)을 복수의 위치 중 하나에 위치시킨다.
본 실시예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은 추가로 하우징(902)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 부품들에 대한 밸브 스템(910)의 위치(예: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인코더 자석(932) 및 인코더 보드(934)를 구비하는 인코더 시스템[예: ON 액시스 자기 인코더 시스템(on-axis magnetic encoder system), OFF 액시스 자기 인코더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인코더 시스템은 상기 위치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제공한다. 상기 인코더 시스템들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그 작동은 관련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런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에서, 밸브 하우징(902)은 밀봉되는 방식으로 매니폴드 몸체(820)와 연계된다. 이런 밀봉이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밀봉 커넥터(840)가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과; 유체 유입구 포트(800I), 제1 매니폴드 포트(804), 제2 매니폴드 포트(808) 및/또는 제3 매니폴드 포트(8140)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제공된다. 밀봉 커넥터(840)는 밸브 하우징(902)의 일측 측면 상의 리세스(902R) 내로 연장된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단일의 밀봉 커넥터(840) 또는 씰 블록(seal block)은 3개의 밀봉 포트(sealing port)(840A, 840B, 840C)를 포함한다. 밀봉 커넥터(840)를 통과하는 3개의 밀봉 채널(sealed channel)(842A, 842B, 842C)은 제1 매니폴드 포트(804), 제2 매니폴드 포트(808) 및 제3 매니폴드 포트(814)와 각각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은 매니폴드 몸체(820)의 제1 유체 유로(806), 제2 유체 유로(810) 및 제3 유체 유로(812)와 각각 유체로 연통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다른 밀봉 포트 및 다른 밀봉 채널이 밀봉 커넥터(840) 내에 제공되어 밸브 하우징(902)과 매니폴드(800) 유체 유입구 포트(800I)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9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 포트(800A)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800I)까지의 유체 유입구 경로(802)는 밸브 하우징(902)에 직접 연결되며, 그리고 유체 흡입 경로(902A)는 밸브 하우징(902)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유입 유체가 밸브 스템(910)의 개방된 제2 단부(910B)를 통과하여 밸브 스템(910)의 내부 챔버(910I) 내로 유입되게 한다.
도 29에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 제1 매니폴드 포트(804), 제2 매니폴드 포트(808) 및 제3 매니폴드 포트(814)는 매니폴드(800)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매니폴드 포트들(800A, 800B, 800C, 800D)은 매니폴드(800)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그리고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포트들(804, 808, 814)에서 개시되는 매니폴드(800)의 맞은편 측면 상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유체 유로들(802, 806, 810 및 812) 중 임의의 2개 이상은 매니폴드 몸체(820)를 통과하여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서로 병렬로 연장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밀봉 커넥터(840)의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중 임의의 2개 이상은 밀봉 커넥터(840) 몸체를 통과하여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서로 병렬로 연장될 수 있다.
밸브 스템(910)은 하우징 몸체(902)에 대한 밸브 스템(910)의 위치에 따라서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이 2개 이상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밸브 스템(910)의 이동은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을 통과하는 관통구들(910H)의 포지셔닝을 변경하고 상이한 구멍들(910H)이 밀봉 커넥터(840)의 포트들(840A, 840B, 840C)과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한다. 밸브 스템(910)은 모터(92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조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될 수 있다. 도 30a ~ 30g에는,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500); 신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 신발류(100) 물품들; 내에 제공되고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 상태들에 대한 추가 세부사항들이 제공되어 있다. 본 논의에서는,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하기 사항들이 상정된다. - (a) 매니폴드 포트(800A)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A) 내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예컨대 커넥터 포트들(702I 및 704O) 및 이들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들, 또는 다른 적절한 유체 라인들을 매개로] 펌프(들)(600H, 600F)와 같은 유체 소스와 유체로 연통되고; (b) 매니폴드 포트(800B)는, 외부 환경(150)으로 유체 전달 시스템(900A) 내의 임의의 과잉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예컨대 커넥터 포트(706) 및 유체 경로(708) 및/또는 다른 적절한 유체 라인들을 매개로] 외부 환경(150)과 유체로 연통되고; (c) 매니폴드 포트(800C)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예컨대 커넥터 포트들(712 및 720) 및 유체 라인(714), 및/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매개로] 발 지지 블래더(200)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d) 매니폴드 포트(800D)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커넥터 포트들(718 및 722) 및 유체 라인(716), 및/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매개로]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로 연통된다. 또한, 도 5a ~ 5f와 결부하여 도시되고 논의되는 연결부들 및 동작 상태들의 논의 역시도 참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예시의 유체 분배기(500) 내에서, 밸브 스템(910)은 상이한 위치들로 회전되어,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이한 동작 상태들에 놓이게 한다. 얼마든지 동작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밸브 스템(910)은 도 30a ~ 30g에 도시된 것처럼 6개의 분명한 동작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0a에는, 밸브 스템(910)이 시계 방향으로(예컨대 동작 상태 1에서 동작 상태 6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예컨대 동작 상태 6에서 동작 상태 1로) 회전할 때 상기 밸브 스템의 다양한 위치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일부 압력 제어 방법에서, "대기" 상태는 대부분의 시간(압력 변경이 발생하지 않을 때) 동안의 전형적인 상태(typical state)일 수 있다. 밸브 스템(910)은 의도되는 동작 상태(예: 동작 상태 2 ~ 6)에 들어가기 위해 적당량 회전하고, 압력이 [압력 센서(들)(850A, 850B)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의도되는 레벨에 도달하도록 대기하며, 그런 다음 다시 대기 상태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 상태 1은, 각 걸음으로 펌핑되는 유체가 시스템을 통과하는, 예컨대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매니폴드(800)를 통과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통과하고 다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150)으로 유동하는 것인 "대기" 또는 "아이들(idle)" 상태이다(도 30b 참조). 동작 상태 1은, 예컨대 발 활성화 펌프가 사용되고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각 걸음에서 활성화될 때, 전체 발 지지 시스템의 임의의 부품이 초과 가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작 상태 2[예컨대 밸브 스템(910)이 동작 상태 1에서부터 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는 펌프(들)(또는 다른 유체 소스)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핑" 상태이다. 동작 상태 2에서, 걸음 동안 펌핑되는 유체는 시스템을 통과하여[예컨대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매니폴드(800)를 통과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통과하고, 다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유동한다(도 30c 참조). 이런 동작 상태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을 빠르게 그리고/또는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 발 지지 블래더(200) "팽창(inflate)" 구성].
동작 상태 3[예컨대 밸브 스템(910)이 동작 상태 2에서부터 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은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외부 환경(150)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이브(live)" 상태이다. 동작 상태 3에서, 유체는 시스템을 통과하여[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매니폴드(800)를 통과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통과하고, 다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150)으로 유동한다(도 30d 참조). 이런 동작 상태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를 방출하고 그 내의 유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 발 지지 블래더(200) "수축(deflate)" 구성].
동작 상태 4[예컨대 밸브 스템(910)이 동작 상태 3에서부터 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외부 환경(150)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이브" 상태이다. 동작 상태 4에서, 유체는 시스템을 통과하여[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매니폴드(800)를 통과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통과하고, 다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150)으로 유동한다(도 30e 참조). 이런 동작 상태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를 방출하고 그 내의 유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 유체 컨테이너(400) "수축" 구성].
또한, 동작 상태 5[예컨대 밸브 스템(910)이 동작 상태 4에서부터 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이브" 상태이다. 동작 상태 5에서, 유체는 시스템을 통과하여[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매니폴드(800)를 통과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통과하며 다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동한다(도 30f 참조). 이런 동작 상태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 발 지지 블래더(200) "팽창" 구성]. 이런 동작 상태는 사용자가 펌프(600H, 600F)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 걸음 이상 나아갈 필요 없이(예컨대 사용자가 서 있거나 또는 가만히 그리고/또는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는 동안)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 변경을 허용한다. 또한, 이런 동작 상태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에서 보다 더 제어되고 미세 조정되는 압력 변경을 허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그 이유는 걸음을 걷거나 점프하는 착용자에서 기인하는 높은 압력 스파이크가 상기 동작 상태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와의 직접적인 유체 연통으로 인해 차단되기 때문이다[예컨대 발 활성화 펌프(들)(600H, 600F)에서 개시되는 유체 라인(606)이 폐쇄되기 때문이다.].
동작 상태 6[예컨대 밸브 스템(910)이 동작 상태 5에서부터 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은 펌프(들)(또는 다른 유체 소스)에서부터 유체 컨테이너(400)로의 "펌핑" 상태이다. 동작 상태 6에서, 유체는 시스템을 통과하여[예컨대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매니폴드(800)를 통과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통과하고, 다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유동한다(도 30g 참조). 이런 동작 상태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빠르게 그리고/또는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 유체 컨테이너(400) "팽창" 구성].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일부 압력 감지 알고리즘 및 방법은, 사용할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 감지에 추가로 센서 입력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계, 발 힘 센서, 및/또는 속도 및/또는 거리 모니터의 데이터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 증가가 동작 상태 2[발 활성화 펌프 시스템(600H, 600F)에서 전달되는 유체 이용]로, 또는 동작 상태 5[유체 컨테이너(400)에서 전달되는 유체 이용]로 수행되어야 하는지 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이동하고 있다면, 특히 유체 컨테이너(400)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 상태라면, 동작 상태 2를 통한 전달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고, 그리고/또는 발 펌프들(600H, 600F)에 높은 접촉력을 가하고 있다면, (예컨대 지면과 밑창의 접촉으로 인해 압력 스파이크가 없는 보다 더 일정한 유체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동작 상태 5가 선호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가속도계, 발 힘 센서, 및/또는 속도 및/또는 거리 모니터 데이터가 동작 상태들을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해, 예컨대 이동 속도, 접촉력 등에 따라서 발 지지 블래더 내의 발 지지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전히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본원 기술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법[예컨대 하루 중 특정 시간에 달리기하거나 운동하는 경향, 특정한 유형의 지면에서 달리기하는 경향, (예컨대 운동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가변 속도로 달리기하는 경향 등]을 "학습"하기 시작하며, 그리고 이런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되는 동작 변화에 매칭시키기 위해 동작 상태들의 변경을 예측하고 적용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 지지 시스템에 대한 압력 변경은 "실시간"으로, 또는 외견상 실시간으로 사용자 동작의 변화에 맞춰 보다 더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디지털 코칭 시스템(digital coaching system)에 연결되어 있을 때, 자동(또는 시스템 생성) 동작 상태 변경은, 의도되는 성과에 매칭시키거나 상해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디지털 코칭 시스템에서부터 수신되는 의도되는 운동 변화에 맞춰 조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는 사용자에 대한 통신 시스템이 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지면과의 사용자 접촉력 및/또는 사용자 동작의 다양한 특징들과 관련한 단계적 메트릭스(step-by-step metrics)[예컨대 사용자의 달리기 또는 기타 동작 기술(들)에 관련된 메트릭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걸음 메트릭스(step metrics)를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릭스는 하기 사항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a) (예컨대 발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힘이 50N보다 더 클 때 시간 기간처럼, 발 힘 신호를 사용하는) 걸음마다 발을 통한 접촉 시간; (b) (예컨대 해당 발이 다시 50N보다 더 큰 힘을 생성할 때까지 발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힘이 50N 미만일 때 발을 통한 시간처럼, 발 힘 신호를 사용하는) 걸음마다 발을 통한 스윙 시간 기간; (c) (예컨대 각 발에 대한 접촉 시간과 스윙 시간의 합의 역처럼, 발 힘 신호를 사용하는) 걸음 보조(step cadence); (d) (예컨대 접촉 및 스윙 시간 x 평균 속도의 합처럼, 발 힘 신호를 사용하는) 보장(step length); (e) [예컨대 수직 지면 반발력의 상승의 피크율(peak rate), 수직 지면 반발력의 능동 피크(active peak) 등처럼, 발 힘 신호를 사용하는] 충격; (f) (예컨대 접촉 동안 지면 반발력 크기의 적분처럼, 발 힘 신호를 사용하는) 걸음마다 발을 통한 임펄스; 및 (g) (예컨대 걸음마다 발 접촉의 시간에 수평선에 상대적인 발 각도, 후족부 접촉 각도, 중족부 접촉 각도, 전족부 접촉 각도 등처럼, 동작 캡처 데이터를 사용하는) 걸음마다 발을 통한 접촉 유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은 상기 동작 상태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및 임의의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 동작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일부 특정 실시예는 총 6개의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본원 기술의 일부 특정 실시예는 동작 상태들 1, 3, 5 및 6, 또는 1, 3, 4, 5 및 6을 포함할 수 있다[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200) 내에서의 임의의 의도되는 압력 증가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들(500),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 물품들은, 예컨대 해당 구성요소들의 초과 가압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각각 동작 상태 3 및/또는 4에 놓이는)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로 연통되는 감압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에 대해 보다 더 상세한 세부사항이 도 5a ~ 5f, 29 및 30b ~ 30g와 함께 설명된다. 도 5a, 29 및 30b에 도시된 동작 상태 1에서, 즉 밸브 스템(910)의 제1 회전 위치에서, 유체는 (a) 유체 공급부에서부터[예컨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커넥터 유입구(702I)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702P)를 통과하고, 커넥터 유출구(702O)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604)를 통과하고, 뒤꿈치 펌프(600H)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602)를 통과하고, 전족부 펌프(600F)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606)을 통과하여], (b)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를 통과하고, (c) 커넥터 유체 경로(704P)를 통과하고, (d) 커넥터 유출구 포트(704O)를 통과하고, (e)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f) 매니폴드 유체 유입구 경로(802)를 통과하고, (g) 매니폴드 유체 유입구 포트(800I)를 통과하고, (h) 유체 흡입 경로(902A)를 통과하고, (i) 밸브 스템(910)의 개방 단부(910B) 내로 이동하고, (j) 내부 챔버(910I)를 통과하고, (k) 제1 관통구(940A)를 통과하고, (l) 밀봉 포트(840A)를 통과하고, (m) 제1 밀봉 채널(842A)을 통과하고, (n) 제1 매니폴드 포트(804)를 통과하고, (o) 제1 매니폴드 유체 유로(806)를 통과하고, (p)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고, (q) 제1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06)를 통과하고, (r) 제1 커넥터 유체 경로(708)를 통과하며, 그리고 (s) [예컨대 커넥터(700)의 내부 공간(710)을 통과하여]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한다. 특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기 부품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별도의 커넥터(700)가 없고, 밀봉 블록(840)이 없고, 하나 이하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가 있다면, 등등], 상기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유로 내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b, 29 및 30c에 도시된 동작 상태 2에서, 즉 밸브 스템(910)의 제2 회전 위치에서, 유체는 (a) 유체 공급부에서부터[예컨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커넥터 유입구(702I)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702P)를 통과하고, 커넥터 유출구(702O)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604)를 통과하고, 뒤꿈치 펌프(600H)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602)를 통과하고, 전족부 펌프(600F)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606)을 통과하여], (b)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를 통과하고, (c) 커넥터 유체 경로(704P)를 통과하고, (d) 커넥터 유출구 포트(704O)를 통과하고, (e)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f) 매니폴드 유체 유입구 포트(802)를 통과하고, (g) 매니폴드 유체 유입구 포트(800I)를 통과하고, (h) 유체 흡입 경로(902A)를 통과하고, (i) 밸브 스템(910)의 개방 단부(910B) 내로 이동하고, (j) 내부 챔버(910I)를 통과하고, (k) 제2 관통구(940B)를 통과하고, (l) 밀봉 포트(840B)를 통과하고, (m) 제2 밀봉 채널(842B)을 통과하고, (n) 제2 매니폴드 포트(808)를 통과하고, (o) 제2 매니폴드 유체 유로(810)를 통과하고, (p)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고, (q) 제2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2)를 통과하고, (r) 제2 커넥터 유체 경로(714)를 통과하고, (s) 커넥터 포트(720)를 통과하고, (t) 블래더 유체 라인(202)을 통과하며, 그리고 (u)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이동한다. 특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기 부품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별도의 커넥터(700)가 없고, 밀봉 블록(840)이 없고, 하나 이하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가 있다면, 등등], 상기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유로 내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c, 29 및 30d에 도시된 동작 상태 3에서, 즉 밸브 스템(910)의 제3 회전 위치에서, 유체는 (a)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b) 블래더 유체 라인(202)을 통과하고, (c) 커넥터 포트(720)를 통과하고, (d) 제2 커넥터 유체 경로(714)를 통과하고, (e) 제2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2)를 통과하고, (f)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고, (g) 제2 매니폴드 유체 유로(810)를 통과하고, (h) 제2 매니폴드 포트(808)를 통과하고, (i) 제2 밀봉 채널(842B)을 통과하고, (j) 밀봉 포트(840B)를 통과하고, (k) 제3 관통구(940C)를 통과하고, (l) 내부 챔버(910I)를 통과하고, (m) 제4 관통구(940D)를 통과하고, (n) 밀봉 포트(840A)를 통과하고, (o) 제1 밀봉 채널(842A)을 통과하고, (p) 제1 매니폴드 포트(804)를 통과하고, (q) 제1 매니폴드 유체 유로(806)를 통과하고, (r)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고, (s) 제1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06)를 통과하고, (t) 제1 커넥터 유체 경로(708)를 통과하며, 그리고 (u) [예컨대 커넥터(700)의 내부 공간(710)을 통과하여]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경로 내 어딘가의[예컨대 유체 라인(606) 내의] 단방향 밸브는 유체가 밸브 스템(910)의 제2 단부(910B) 외로, 그리고 유체 유입구(800I)를 통과하여, 그리고/또는 유체 유입구 경로(802)를 통과하여 채널(902A)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기에서 확인되는 부품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별도의 커넥터(700)가 없고, 밀봉 블록(840)이 없고, 하나 이하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가 있다면, 등등], 상기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유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d, 29 및 30e에 도시된 동작 상태 4에서, 즉 밸브 스템(910)의 제4 회전 위치에서, 유체는 (a)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b)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을 통과하고, (c) 커넥터 포트(722)를 통과하고, (d) 제3 커넥터 유체 경로(716)를 통과하고, (e) 제3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8)를 통과하고, (f)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g) 제3 매니폴드 유체 유로(812)를 통과하고, (h)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통과하고, (i) 제3 밀봉 채널(842C)을 통과하고, (j) 밀봉 포트(840C)를 통과하고, (k) 제5 관통구(940E)를 통과하고, (l) 내부 챔버(910I)를 통과하고, (m) 제6 관통구(940F)를 통과하고, (n) 밀봉 포트(840A)를 통과하고, (o) 제1 밀봉 채널(842A)을 통과하고, (p) 제1 매니폴드 포트(804)를 통과하고, (q) 제1 매니폴드 유체 유로(806)를 통과하고, (r)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고, (s) 제1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06)를 통과하고, (t) 제1 커넥터 유체 경로(708)를 통과하며, 그리고 (u) [예컨대 커넥터(700)의 내부 공간(710)을 통과하여]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경로 내 어딘가의[예컨대 유체 라인(606) 내의] 단방향 밸브는 밸브 스템(910)의 제2 단부(910B) 외로, 그리고 유체 유입구(800I)를 통과하여, 그리고/또는 유체 유입구 경로(802)를 통과하여 채널(902A)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기에서 확인되는 부품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별도의 커넥터(700)가 없고, 밀봉 블록(840)이 없고, 하나 이하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가 있다면, 등등], 상기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유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e, 29 및 30f에 도시된 동작 상태 5에서, 즉 밸브 스템(910)의 제5 회전 위치에서, 유체는 (a)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b)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을 통과하고, (c) 커넥터 포트(722)를 통과하고, (d) 제3 커넥터 유체 경로(716)를 통과하고, (e) 제3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8)를 통과하고, (f)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g) 제3 매니폴드 유체 유로(812)를 통과하고, (h)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통과하고, (i) 제3 밀봉 채널(842C)을 통과하고, (j) 밀봉 포트(840C)를 통과하고, (k) 제7 관통구(940G)를 통과하고, (l) 내부 챔버(910I)를 통과하고, (m) 제8 관통구(940H)를 통과하고, (n) 밀봉 포트(840B)를 통과하고, (o) 제2 밀봉 채널(842B)을 통과하고, (p) 제2 매니폴드 포트(808)를 통과하고, (q) 제2 매니폴드 유체 유로(810)를 통과하고, (r)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고, (s) 제2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2)를 통과하고, (t) 제2 커넥터 유체 경로(714)를 통과하고, (u) 커넥터 포트(720)를 통과하고, (v) 블래더 유체 라인(202)을 통과하며, 그리고 (w)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이동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유체 공급부에서 개시되는 유체 경로 내 어딘가의[예컨대 유체 라인(606) 내의] 단방향 밸브는 유체가 밸브 스템(910)의 제2 단부(910B) 외로, 그리고 유체 유입구(800I)를 통과하여, 그리고/또는 유체 유입구 경로(802)를 통과하여 채널(902A)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기에서 확인되는 부품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별도의 커넥터(700)가 없고, 밀봉 블록(840)이 없고, 하나 이하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가 있다면, 등등], 상기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유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e, 29 및 30g에 도시된 동작 상태 6에서, 즉 밸브 스템(910)의 제6 회전 위치에서, 유체는 (a) 유체 공급부에서부터[예컨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커넥터 유입구(702I)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702P)를 통과하고, 커넥터 유출구(702O)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604)를 통과하고, 뒤꿈치 펌프(600H)를 통과하고, 유체 경로(602)를 통과하고, 전족부 펌프(600F)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606)을 통과하여], (b) 커넥터 유입구 포트(704)를 통과하고, (c) 커넥터 유체 경로(704P)를 통과하고, (d) 커넥터 유출구 포트(704O)를 통과하고, (e)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f) 매니폴드 유체 유입구 경로(802)를 통과하고, (g) 매니폴드 유체 유입구 포트(800I)를 통과하고, (h) 유체 흡입 경로(902A)를 통과하여, (i) 밸브 스템(910)의 개방 단부(910B) 내로 이동하고, (j) 내부 챔버(910I)를 통과하고, (k) 제9 관통구(940I)를 통과하고, (l) 밀봉 포트(840C)를 통과하고, (m) 제3 밀봉 채널(842C)을 통과하고, (n) 제3 매니폴드 포트(814)를 통과하고, (o) 제3 매니폴드 유체 유로(812)를 통과하고, (p)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q) 제3 유체 경로 커넥터 포트(718)를 통과하고, (r) 제3 커넥터 유체 경로(716)를 통과하고, (s) 커넥터 포트(722)를 통과하고, (t)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을 통과하며, 그리고 (u)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이동한다. 특정 유체 분배기(500),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상기 부품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별도의 커넥터(700)가 없고, 밀봉 블록(840)이 없고, 하나 이하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가 있다면, 등등] 상기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유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밸브 스템(910)은 자체 외벽(910W)을 통해 정의되는 복수의 관통구(910H)(및 940A ~ 940I)를 포함한다. 도 30b ~ 30g에서 분명한 점으로서, 밸브 스템(910)의 회전은 밀봉 커넥터(840) 내의 포트들(840A, 840B, 840C)과[그리고/또는 별도의 밀봉 커넥터(840)가 생략된다면, 그리고/또는 매니폴드(800) 자체가 밀봉 커넥터로서 기능한다면, 매니폴드(800) 내의 포트들(804, 808, 814)과] 여러 특정 구멍(910H)을 일직선으로 정렬시킨다. 밸브 스템(910)의 개별 동작 상태들에서 포트들(840A, 840B, 840C, 804, 808, 814)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구멍들(910H)은 원주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되며, 그럼으로써 의도되는 유체 유동 연결부 및 경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구멍만이 적절한 포트들과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된다. 외벽(910W)을 통과하는 2개(또는 그 이상)의 관통구(910)에 의존하는 동작 상태들(예컨대 상기에서 동작 상태 3, 4 및 5)의 경우, 유체 유동 연결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관통구들은 (a) 밸브 스템(910)의 축 방향 길이 및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고, 그리고/또는 (b) 외벽(910W)을 통과하여 서로 병렬로 연장된다.
유체 전달 시스템(900A) 내로의, 그리고/또는 외로의 유체 유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 스템(910) 내 관통구(910H)의 둘레가 상기 관통구가 연결되는 포트[예컨대 밀봉 커넥터 포트들(840A, 840B, 840C)]와 완전히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구멍(910H) 및 정렬된 포트를 통과하는 최대 유량은 [예컨대 유체 소스 방향과 유체 목적지 방향 간의 압력 미분(pressure differential)에 따라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사례에서, 최대 유량은 의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자가 발 지지 블래더(200) 내에 적은 압력 변경을 하고자 할 경우, 잠재적 초과 압력 상황이 다가오고 있는 경우 등일 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의도될 때, 임의의 동작 상태에서, 밸브 스템(910)은, 관통구(910H)가 자신이 연결되는 포트와 완전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대응하는 연결 포트(예: 840A, 840B, 840C, 804, 808, 814)와 관련한 위치로 이동(예: 회전)될 수 있다. 도 31a ~ 31d에는, 구성요소들을 통과하는 유량, 및 구성요소들 간의 유체 교환율을 감소시키고 제어하기 위해, 해당 연결 포트에 대하여 관통구(910H)의 축 방향으로 상기 유형의 "오프셋"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31a ~ 31d에는, 2개의 관통구(940G, 940H)가 도 30f에서의 상기 동작 상태 5에서부터 상응하는 2개의 밀봉 포트(840B, 840C) 및 2개의 밀봉 채널(842B, 842C)과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동일한 유형들의 변형예들은, 다른 동작 상태들에서, 그리고/또는 하나의 관통구만 및/또는 다른 관통구들이 포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적용될 수 있다. 도 31a ~ 31d의 실시예들에는, 관통구와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은 밀봉 커넥터 포트(840A) 및 밀봉 채널(842A)이 도시되어 있다[그에 따라 외벽(910W)은 포트(840A) 및 채널(842A)을 통해 보일 수 있다.].
도 31a에서, 밸브 스템(910)은, 관통구들(940G, 940H)의 중심축들이 10 회전도(rotational degree)만큼 밀봉 포트들(840C, 840B)의 중심축들로부터 각각 오프셋되도록 회전 위치된다. (예컨대 유체 압력들, 구멍 크기들, 상대 구멍 크기들 등에 따르는) 적어도 일부 배치에서, 오프셋량의 결과로, 구멍들과 부품들이 완전히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전체 유량의 약 41%로 유체 유량이 감소된다. 도 31b에서, 밸브 스템(910)은, 관통구들(940G, 940H)의 중심축들이 15 회전도만큼 밀봉 포트들(840C, 840B)의 중심축들로부터 각각 오프셋되도록 회전 위치된다. 이런 실시예의 결과로, 구멍들과 부품들이 완전히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전체 유량의 약 25%로 유체 유량이 감소된다. 도 31c에서, 밸브 스템(910)은, 관통구들(940G, 940H)의 중심축들이 20 회전도만큼 밀봉 포트들(840C, 840B)의 중심축들로부터 각각 오프셋되도록 회전 위치된다. 이런 실시예의 결과로, 구멍들과 부품들이 완전히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전체 유량의 약 10%로 유체 유량이 감소된다. 도 31d에서, 밸브 스템(910)은, 관통구들(940G, 940H)의 중심축들이 25 회전도만큼 밀봉 포트들(840C, 840B)의 중심축들로부터 각각 오프셋되도록 회전 위치된다. 이런 실시예의 결과로, 구멍들과 부품들이 완전히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전체 유량의 약 1%로 유체 유량이 감소된다. 도 31d에서는, 오직 구멍들(940G, 940H)의 매우 작은 폭만이 보일 수 있다. 감소된 유량은, 예를 들면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대해 압력을 적게 또는 느리게 조정하기 위해, 의도하는 압력으로 미세 조정하는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2a 및 32b에는, 일 실시예의 매니폴드(800)(강성 플라스틱) 및 카트리지 스타일 밀봉 커넥터(840)가 조합된 구조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 예시의 매니폴드(800)는 (a) 일측 표면(800E)에 있는(선택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된) 4개의 포트(800A, 800B, 800C, 800D); (b) 유체 유입구 포트(800I); (c) 타측 표면(800F)[예컨대 표면(800E)의 맞은편 표면]에 있는, 예컨대 포트들(804, 808, 814)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의 제1 포트(804), 제2 포트(808) 및 제3 포트(814); 및 (d) 매니폴드 몸체(820)를 통과하는(선택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고, 그리고/또는 병렬로 연장되는) 4개의 유체 유로(802, 806, 810, 812);를 포함한다. 도 32a 및 32b에는, 매니폴드 몸체(820)의 맞은편 측면의 단부 표면들(800E 및 800F)과, 표면(800E)에서부터 표면(800F)까지 매니폴드 몸체(820)를 통과하여 직선으로 연장되는 유체 유로들(806, 810, 812)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다른 배치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체 유로들(802, 806, 810, 812) 중 하나 이상은, 유체 유로들의 일측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포트(800A, 800B, 800C, 800D)가 유체 유로의 타측 단부에서 상응하는 포트(800I, 804, 808, 814)로부터 맞은편 표면에 위치 결정되지 않도록, 만곡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각이 질 수 있다. 포트들 및/또는 경로 형상들의 임의의 의도되는 배치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배치는 상대적으로 조밀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매니폴드(800)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의 포트들(804, 808, 814)[뿐만 아니라 표면(800F)]은 매니폴드 몸체(820) 내에서 한정되는 리세스(800R)의 내부에 위치 결정된다. 밀봉 커넥터(840)는 상기 리세스(800R) 내에 수용되어 화학 본드 또는 대향면 밀봉부(opposing face seal)에 의해 고정된다[그리고 선택적으로 둘레 밀봉부(perimeter seal)에 의해서만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밀봉 커넥터(840)는 (a) 일측 표면(840E)의 3개의 포트(840A, 840B, 840C); 및 (b) 포트들(840A, 840B, 840C)에서부터 표면(840F)의 개구부들까지 연장되는 3개의 밀봉 채널(842A, 482B, 842C);을 포함한다[또한, 표면(840F)의 밀봉 커넥터 내 개구부들도 밀봉 커넥터(840)의 "포트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밀봉 커넥터(840)의 표면(840F)은 매니폴드(800)의 표면(800F)에 인접하며, 그리고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은 매니폴드(800)의 유체 유로들(806, 810, 812)과 각각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밀봉 커넥터(840)와 매니폴드(800)를 유체로 연통시킨다. 도 32a 및 32b에는, 밀봉 커넥터(840)의 맞은편 측면의 단부 표면들(840E 및 840F)과, 표면(840E)에서부터 표면(840F)까지 밀봉 커넥터(840)를 통과하여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다른 배치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중 하나 이상은, 유체 유로들의 일측 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포트(840A, 840B, 840C)가 유체 유로의 타측 단부에서 상응하는 개구부로부터 맞은편 표면에 위치 결정되지 않도록, 만곡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각이 질 수 있다. 포트들, 개구부들 및/또는 경로 형상들의 임의의 의도되는 배치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배치는 상대적으로 조밀한 크기 및 형상으로 밀봉 커넥터(840)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29 ~ 32b에 도시된 예시의 구조들은, 매니폴드(800) 내의 3개의 유체 유로(806, 810, 812)와 유체로 연통되는 3개의 밀봉 채널(842A, 842B, 842C)을 구비한 밀봉 커넥터(840)를 포함한다. 이들 구조에서, 매니폴드(800)를 통과하는 유체 유입구 경로(802)는 밀봉 커넥터(840)를 통과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유체 유입구 경로는 하우징(900)의 유체 흡입 경로(902A)와 직접 연결된다[하우징(900)은 도 32a 및 32b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32c에 도시된 것처럼, 또 다른 대안으로서, 밀봉 커넥터(840)는 (a) 일측 표면(840E)의 4개의 포트(840A, 840B, 840C, 840D)와 (b) 포트들(840A, 840B, 840C, 840D)에서부터 표면(840F)의 개구부들까지 연장되는 4개의 밀봉 채널(842A, 842B, 842C, 840D)을 포함한다[다시 말해, 표면(840F)의 밀봉 커넥터 내의 개구부들은 "포트들"로서도 고려될 수 있다.]. 도 32c의 실시예의 추가 포트(840D) 및 밀봉 채널(842D)은 유체 유입구 포트(800I)와 연계될 수 있고 유체 유입구 경로(802)와 유체로 연통되어 유동한다. 상기 구조에서 매니폴드(800)의 리세스(800R)는, 연장되어 유체 유입구 포트(800I)를 포함하고 추가 포트(840D), 밀봉 채널(842D), 및 유체 유입구 경로(802)와의 유체 연통부를 수용하기 위해, 크기에서 증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형상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의도되는 경우,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32c의 실시예의 추가 포트(840D) 및 밀봉 채널(842D)은, 다른 발 지지 블래더(존재하는 경우), 다른 유체 컨테이너(존재하는 경우) 등과 같은, 전체 발 지지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통로(fluid passageway)와 연계될 수 있다.
도 28a ~ 31g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밀봉 커넥터 포트들(840A, 840B, 840C)은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의 외부 표면과 직접 연계된다. 밸브 스템(910)은 이동(예: 회전)하여 본 실시예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이 다양한 동작 상태들에 놓이게 한다. 도 32c에는, 밀봉 커넥터(840)와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 간의 밀봉식 연결부를 유지하는 데 보조할 수 있는 밀봉 커넥터 포트들(840A, 840B, 840C)(및 본 실시예에서는 840D)의 특징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의 외부 표면은 원형 원통형 형상과 만곡된 둘레(예: 원형 주연) 및 횡단면 형상을 보유한다. 심지어 상대 회전 중에도, 밀봉 커넥터(840)와 외벽(910W) 간의 보다 더 적합한 접촉 및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밀봉 커넥터 포트들(840A, 840B, 840C)(및 840D)은 아치형 외부 표면 형상(840S)을 보유한다. 이런 아치형 외부 표면 형상(840S)은 외벽(910W)의 곡률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아치형 외부 표면 형상(840S)은 밸브 스템(910)의 회전 방향에서 포트들(840A, 840B, 840C)의 맞은편 측면들에 2개의 대향하는 곡선 변곡점(curve inflection point)(예: 국부 최댓값)(844A); 및 밸브 스템(910)의 축 방향에서는 포트들(840A, 840B, 840C)의 맞은편 측면들에 2개의 대향하는 곡선 변곡점(예: 국부 최솟값)(844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아치형 외부 표면 형상(840S)은 베이스면(840E)으로부터 상승되어 아치형 외부 표면 형상(840S)에 어느 정도 "물고기 입술(fish-lip)"형 외관을 부여한다. 이런 형상들은 외벽(910W)의 만곡된 표면에 상응하면서 상기 만곡된 표면과 보다 더 충분한 접촉을 유지한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외벽(910W) 및/또는 포트들(840A, 840B, 840C)은, 840A, 840B 및/또는 840C에 대하여 외벽(910W)의 활주 및 밀봉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윤활제로 처리될 수 있다(또는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들,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함유 재료들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3a ~ 37b에는, 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 유체 컨테이너(400), 및/또는 본원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 내부의 유체 압력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 내에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내포하는 것에 관한 본원 기술의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Honeywell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MPR 시리즈 압력 센서들(예: 압전 저항형 실리콘 압력 센서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들의 압력 센서들이 본원 기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서,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압력 센서들은, (a) 기압에서부터 적어도 +40psi(예: 14.7 내지 54.7psi)까지의 감지 압력 범위; (b) 소형 규격(예: 5㎜ x 5㎜ 이하); (c) (비선형성, 히스테리시스, 및 비반복성을 포함하는) 0.15psi 미만의 상대적 정확도 또는 오류 레벨; (d) 1psi 미만의 절대적 정확도; (e) 온보드 온도 보상식 디지털 출력부; 및/또는 (f) 50 Hz 이상의 업데이트 속도; 중 하나 이상을 보유한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전형적으로 (a) 일측 압력 센서(850A)는 [도시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커넥터 유체 경로(716) 및 컨테이너 유체 경로(402)를 경유하여 유체 유로(812)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3 유체 유로(812)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b) 타측 압력 센서(850B)는 [도시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커넥터 유체 경로(714) 및 발 지지 유체 경로(202)를 경유하여 유체 유로와 유체로 연통되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2 유체 유로(810)와 유체로 연통된다. 도면들 중 일부는 다른 분류된 경로들에 압력 센서들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력 센서들(850A, 850B) 및 이들의 포트들의 묘사가 명확성 유지를 위해 충분히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한 유형들의 압력 센서들, 구조들 및/또는 장착부들(mounting)은 그 내에서 압력이 측정되는 곳인 특정 유체 채널과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밀봉 커넥터(840), 매니폴드(800) 및/또는 커넥터(700)를 통과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개시되거나 그 위치로 이동하는- 유체 경로들의 임의의 의도되는 배치도 사용될 수 있다. 의도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전형적인" 압력 센서들(850A, 850B)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서, [압력 센서들(850A, 850B)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는, 외부 환경(150)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 내 유체 압력, 및/또는 [예컨대 펌프(들)(600H, 600F)와 같은 유체 소스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유입구 경로(802) 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1 유체 유로(806)와 유체로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3a ~ 33f에는, 밸브 하우징(902), 밸브 스템(910), 밀봉 블록(840) 및 매니폴드(800)가 조합되어 있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되, 상기 매니폴드 내에는,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유형들의) 2개의 압력 센서(850A 및 850B)가 매니폴드 몸체(820) 내에 형성된 별도의 리세스들(820R)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리세스들(820R)은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 마운트들을 제공하며, 그리고 매니폴드 몸체(820)의 베이스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다. 압력 센서들(850A, 850B)은 O 링들(852)에 의해 매니폴드 몸체(820)의 리세스들(820R)의 내부에 밀봉 연계된다. 개방 채널(3302)은 리세스(820R)에서부터 유체 채널(도 33a에 도시된 812)까지 연장되어, 채널 내의 유체 압력에 압력 센서(850A, 850B)를 노출시킨다[개방 채널의 유사한 배치는 다른 압력 센서 마운트 리세스들(820R) 내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33a의 실시예에서, 매니폴드(800)는 밸브 하우징(902)으로부터 분리된 구성요소 부품으로서 제공되어 (예컨대 기계식 커넥터들, 접착제 등을 매개로) 밸브 하우징(902)과 연계된다. 도 33a에 도시된 예시의 구조에서, 압력 센서(들)(850A, 850B)를 수용하기 위한 압력 센서 마운트 리세스(들)(820R)는 개방 채널(3302)의 위치(들)에서 매니폴드 유체 경로(예: 812)를 통과하여 유체 유동 방향(화살표 812F)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매니폴드 몸체(820) 내로 연장된다. 개방 채널(들)(3302)은 리세스(820R)의 연장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33b ~ 33f에는, 밸브 하우징(902), 밸브 스템(910), 밀봉 블록(840) 및 매니폴드(800)가 조합된 다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들이 제공되어 있되, 상기 매니폴드 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유형들의) 2개의 압력 센서(850A 및 850B)가 제공되어 있다. 본 예시의 구조(3300)에서, 매니폴드 몸체(820)와 밸브 하우징(902)은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된다. 밀봉 블록(840)과 밸브 스템(910)은, 예컨대 인코더 보드 또는 센서(934)가 추후에 장착될 수 있는 곳인 개방 단부에서, 매니폴드 몸체(820) 및 밸브 하우징(902)의 상기 조합된 구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3b ~ 33f에 도시된 다양한 부품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들에 대해 상기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사용한다(그에 따라 대부분의 중첩되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850A 및/또는 850B)는 본원 기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체 시스템 내의 다른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4a 및 34b에는, 밀봉 커넥터(840)의 부품으로서 압력 센서(예: 850A, 850B)의 장착을 위한 리세스(840R)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 마운트, 예컨대 튜브[도 34a 및 34b에 도시된 2개의 튜브(854A, 854B)]를 포함하는 예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밀봉 커넥터(840)는 (a) 포트들(840A, 840B, 840C, 840D)을 구비한 베이스면(840E); (b) 매니폴드(800)(도 34a 및 34b에는 매니폴드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포트들(800I, 804, 808, 814)과 연계되기 위한 개구부들(또는 포트들)(846A, 846B, 846C, 846D)을 구비한 유출구 표면(840F); 및 (c) 표면들(840E 및 840F)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을 포함한다. 표면(840F)은, 압력 센서 튜브(들)(예: 854A, 854B)가 그 내에서 한정되고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가 장착되는 곳인 재료의 블록(848)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다. 의도되는 경우, 밀봉 유체 채널(842A, 842B, 842C, 842D)을 한정하는 관형 구조들은, 블록(848)이 예컨대 용이한 조립, 공차 제공 등을 위해 표면(840E)에서 하우징(902)에 대한 연결부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압력 센서 튜브(들)(예: 854A, 854B)는 채널들(842A, 842B, 842C, 842D), 및/또는 이들과 유체로 연통되는 장치들 중 어느 곳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 33a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개방 채널들을 경유하여, 표면들(840E 및 840F)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 중 임의의 채널과 유체로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들(850A, 850B)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 판독값들을 공급한다. 도 33a ~ 33f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의도되는 경우, 매니폴드 몸체(820) 내의 압력 센서 마운트들은 도 34a ~ 34b에 도시된 유형들의 관형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그뿐만 아니라 도 35a ~ 3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압력 센서 마운트들 역시도 그렇다.).
도 35a 및 35b에는,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가 밀봉 커넥터(840)와 연계되어 있는 것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a 및 34b의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밀봉 커넥터(840)는 도 32c에 도시된 것과 보다 더 유사하며, 즉, 가요성이고, 그리고/또는 개별적으로 분명한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 실시예의 밀봉 커넥터(840)는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을 형성하는 재료의 블록(848)에 가깝다. 도 35a 및 35b에서는 밀봉 채널들(842B, 842D)과 유체로 연통되어 도시되어 있는 반면, 압력 센서 튜브(들)(예: 854A, 854B)-및 그에 따른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는, 예컨대 채널들(842A, 842B, 842C, 842D) 및/또는 이들과 유체로 연통되는 장치들 중 어느 곳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들(840E 및 840F)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 중 임의의 채널과 유체로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들(850A, 850B)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 판독값들을 공급한다.
도 36a 및 36b에는,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가 밀봉 커넥터(840)와 연계되어 있는 것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a ~ 35b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본 밀봉 커넥터(840)는 좀 더 강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O 링들, 가스켓들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밀봉부들로 밀봉되는 밸브 하우징(902)과의 여러 가지 연결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902)과 표면(840E)의 접합부(junction)는 하나 이상의 O 링, 가스켓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밀봉부(858A)에 의해 밀봉되며, 그리고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과 포트들(840A, 840B, 840C, 840D)의 접합부들은 O 링들, 가스켓들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밀봉부들(858B)로 밀봉된다[도 36a ~ 36b에는 하나의 밀봉부(858B)만이 도시되어 있음]. 본 실시예의 밀봉 커넥터(840)는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을 형성하는 재료의 블록(848)이다. 도 36 ~ 36b에서 밀봉 채널들(842B, 842D)과 유체로 연통되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밀봉 커넥터 재료의 블록 내에서 한정되는 리세스(들)(예: 856A, 856B)-및 그에 따라 리세스(들)(예: 856A, 856B) 내에 수용된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는, 예컨대 채널들(842A, 842B, 842C, 842D) 및/또는 이들과 유체로 연통되는 장치들 중 어느 곳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들(840E 및 840F)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유체 채널들(842A, 842B, 842C, 842D) 중 어느 채널과 유체로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들(850A, 850B)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 판독값들을 공급한다. 압력 센서들(850A, 850B)은, O 링들(852)(또는 가스켓들 또는 다른 적절한 밀봉부들)에 의해, 리세스들(856A, 856B) 내부에서 밀봉 커넥터(840)와 연계된다.
다시 말해, 도 36a ~ 36b에는, 매니폴드(800)와 연계되는 밀봉 커넥터(8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매니폴드(8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매니폴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매니폴드(800)는, 밀봉 커넥터(840)의 표면(840F)과 연계되기 위한 베이스면(820B)을 구비한 베이스(820A); 및 이 베이스(820A)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4개의 매니폴드 포트(800A, 800B, 800C, 800D);를 포함한다. 이들 매니폴드 포트(800A, 800B, 800C, 80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커넥터(700)와 연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컨대 유체 공급부[예: 펌프들(600H, 600F)], 외부 환경(150),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유체 컨테이너(400)[예컨대 커넥터(700)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서부터 개시되는 유체 튜브들과 직접 연계될 수 있다.
도 37a 및 37b에는, 2-부품 밀봉 커넥터(840)를 포함하는 예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일측 부품(840G)은 가요성이고 타측 부품(840H)은 보다 더 강성이다. 도 37a 및 37b에 도시된 것처럼, 보다 구체적으로, 밀봉 커넥터(840)의 가요성 부품(840G)은 밸브 하우징(902) 및 밸브 스템(910)의 외벽(910W)과의 직접적인 경계면(direct interface)을 형성한다. 밀봉 포트들(seal ports)(840A, 840B, 840D)은, 표면(840E)에서부터 안쪽으로, 그리고 하우징(902) 내에 한정되는 리세스(902R) 내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품(840G)의 연장부(840I) 상에 제공된다. 또한, 본 예시의 가요성 부품(840G)은 압력 센서들(850A, 850B)과 연계되기 위한 튜브들(850A 및 854B)을 포함한다. 본 예시의 가요성 부품(840G)은 압력 센서들(850A, 850B)과 밸브 하우징(902) 사이에서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의 일부분의 상단 반부(top half)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가요성 부품(840G)은, 압력 센서들(850A, 850B)과; 매니폴드(800)[또는 예컨대 매니폴드(800) 및 밀봉 커넥터(840)가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된 경우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로의 연결을 위한 개구부들(846A, 846B, 846C, 846D)을 포함하는 밀봉 커넥터(840)의 표면(840F); 사이의 전체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을 한정한다.
강성 부품(840H)은 압력 센서들(850A, 850B)과 밸브 하우징(902) 사이에서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의 일부분의 하단 반부(bottom half)를 형성한다. 따라서, 압력 센서들(850A, 850B)과 밸브 하우징(902) 사이에서, 가요성 부품(940G)과 강성 부품(840H)은 상호 작용하여 압력 센서들(850A, 850B)과 밸브 하우징(902) 사이에서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의 부분을 한정한다. 다시 말해, 강성 부품(840H)은 채널들(842A ~ 842D)의 맞은편의 압력 센서(들)(850A, 850B)의 바로 다른 편에서 밀봉 채널들(842A, 842B, 842C, 842D)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이런 2-부품 밀봉 커넥터(840)는, 여전히 견고한 전체 구조를 제공하는 동안, 예컨대 용이한 조립을 위해 약간의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8 ~ 30g, 32a, 32b 및 33과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하우징(902)은 밀봉 커넥터(840)가 그 내에 삽입되어 있는 곳인 리세스(800R)를 포함하는 강성 매니폴드(800) 구성요소와 연계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902)과 매니폴드(800)는, 기계식 커넥터들, 접착제,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및/또는 기타 융합 기술들 등과 같은 임의의 의도되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38a 및 38b에는, [의도되는 경우, 비록 유사한 연결부들이, 예컨대 도 34a ~ 37b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 하우징(902)과 밀봉 커넥터(840)를 연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연결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 하우징(902) 및 매니폴드(800)의 4개의 코너 및/또는 에지 각각은 부품들을 함께 파지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함께 스냅 결합된다. 밸브 하우징(902)과 매니폴드(800)의 경계면에서, 도 38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들(flat face)(3800)이, 예컨대 여러 인접 측면 표면(interfacing side surface)의 둘레에서, (의도되는 경우, 비록 요홈 표면들이 제공될 수 있기는 하지만) 밸브 하우징(902) 및 매니폴드(800) 각각 상에 제공된다. 부품들을 함께 스냅 결합하기 전에, 접착제(예컨대 액상 분산형 접착제)가 매니폴드(800)에 밸브 하우징(902)을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인접면들(interfacing surface)(3800)에 제공될 수 있다. 작은 챔퍼들(chamfer)(3802)은, 예컨대 인접면들(3800)에서 압착되어 나올 과잉 접착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902) 및 매니폴드(800)의 인접면들(3800) 중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중첩 립들(overlapping lips)(3804)이 부품들 사이에, 예컨대 평면들(3800)에서부터 안쪽에 제공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A)은 밸브 하우징(902)에 대하여[그리고/또는 (어느 하나 또는 2개 모두 존재할 때) 밀봉 커넥터(840) 및/또는 매니폴드(800) 대부분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밸브 스템(910)의 위치(예: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도 39에는, 위치 센서(930)가 그 내에 제공되어 있는 곳인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이 도시되어 있다. 위치 감지는,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절대 회전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인코딩 시스템, 또는 특정한 절대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추가 인덱스 채널을 포함하는 상대 위치 측정 센서(relative positioning sensor)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위치 센서는, 인코더 자석(932) 및 센서(934)를 포함하는 자기 인코더 시스템(930)(예컨대 ON 액시스 자기 인코더 시스템, OFF 액시스 자기 인코더 시스템 등)을 구성한다. 이런 자기 인코더 시스템(930)은 절대 위치 센서이다. 인코더 자석(932)은 [예컨대 제2 단부(910B)에서 내부 챔버(932)의 내부에 있는] 가동(예: 회전 가능한) 밸브 스템(91)과 연계되어 밸브 스템(910)과 함께 회전한다. 센서(934)에서 측정되는 자계 강도의 변화는 하우징(902)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석(932)의 위치[및 그에 따른 밸브 스템(910)의 위치]를 지시한다. 또한, 하우징(902)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석(932)[및 밸브 스템(910)]의 상대 위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그리고/또는 동작 상태의 결정을 허용한다.). 다른 유형들의 위치 센서들(930)도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예: 광학 인코더, 기타 회전 센서 등). 그러나 자기 인코더 시스템들(930)은, 부품들의 물리적 접촉을 요구하지 않으며, 그리고 전형적으로 접착제, 윤활제, 파편, 또는 내부 챔버(910I) 내로 나아가는 기타 의도하지 않은 물질로 인한 고장에 대해 전형적으로 민감성이 적다는 점에서 일부 장점을 제공한다. 광학 인코더들은, 예컨대 광학 소스 또는 광학 검출기를 가리거나 차단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물질로 인해 고장에 대해 보다 더 민감할 수 있다. 자기 인코더 시스템들(930)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 센서 시스템들 역시도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도 40a ~ 40c(도 28 및 기타 도면과 함께)에는, 밸브 스템(910)의 제1 단부(910A)로 동력을 전달하여 밸브 스템(910)을 밸브 하우징(902)[및/또는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 등]에 대하여 이동(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920) 및 전동장치(922)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의 다양한 도면들이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배터리에서 개시되는) 전력원, 및 예컨대 유체 분배기(500)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도 40a 및 40b에는 미도시)는 선택적으로 모터(920)를 구동하여 밸브 스템(910)을 복수의 다양한 위치 및 동작 상태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의도되는 위치들 사이에서 유체를 이동시킨다. 모터(920)는 (예컨대 Constar Micromotor Col, Ltd. 또는 다른 상업적 출처에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DC 코어리스 브러시 모터를 구성할 수 있다.
전동장치(92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924)(예: 다이캐스트 아연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그리고 (예컨대 금속으로 제조되는) 커버판(926)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런 특정한 예시의 전동장치(922)-3단 전동장치-는 도 40a ~ 40c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모터(920)의 샤프트(920S)는 모터 피니언(928)과 맞물린다. 모터 피니언(928)은, 대형 기어(928A)를 포함한 공통 회전 핀(928D)[예: 강재 핀(steel pin)] 상에 장착되는 소형 기어(928C)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제1 중간 기어 클러스터(928B)의 대형 기어(928A)와 맞물린다. 제1 중간 기어 클러스터(928B)의 소형 기어(928C)는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928F)의 대형 외접 기어(928E)(large outer gear)와 맞물린다.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928F)의 대형 외접 기어(928E)는,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928F)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소형 기어(928H)를 포함한 공통 회전 핀(928G)(예: 강재 핀) 상에 장착된다.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928F)의 보다 더 작은 소형 기어(928H)는 출력 기어(928J)의 외접 기어열(928I)과 맞물린다. 출력 기어(928J)의 중앙 개구부(928K)는 밸브 스템(910)의 기어식 단부(geared end)(910G)와 맞물리는 내접 기어열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컵 씰(910S), O 링, 가스켓 또는 기타 밀봉 장치는, 유체가 하우징(902)에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스템(910)의 제1 단부(910A)에 제공될 수 있다. 노즈 핀(928L)은 출력 기어(928J)와, 프레임(922)을 포함한 그 연계 구성요소들을 고정한다.
도 40a 및 40b에 도시된 예시의 전동 시스템(922)에서, 모터 샤프트(920S)의 축(920T)은 밸브 스템(910)의 회전축(910T)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도 41a 및 41b에는, 모터 샤프트(920S)의 축(920T)이 밸브 스템(910)의 회전축(910T)과 일직선으로, 그리고 동일 선형(colinear)으로 정렬되어 있는, 모터(920) 및 밸브 스템(910)의 상이한 배치 구조들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900D)이 도시되어 있다. 유성 전동장치(922B) 또는 유성 기어박스는 상기 상황에서 모터(920)에서부터 밸브 스템(910)으로 동력 및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유성 전동장치들(922B)은 [예컨대 모터(920)의 샤프트(920S)에 의해 구동되는] 중앙 "선기어(sun gear)"; 및 모터에서부터 피동 샤프트(driven shaft)[예컨대 밸브 스템(910)의 기어(910G)]로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협력하는 방식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planet gear)";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유성 전동장치들(922B)은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유체 전달 시스템(900A)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발 지지 시스템들 및 유체 분배기들(500)은 단일의 발 지지 블래더(200)와 단일의 유체 컨테이너(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의도되는 경우,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들, 유체 분배기들(500),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은 하나보다 많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유체 컨테이너(400)에 유체 압력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발 지지 블래더(200)가 존재할 때, 유체는 모든 블래더로 동시에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발 지지 블래더는, 상응하는 개별 발 지지 블래더들로 향해 가는 개별 발 지지 블래더 공급 라인들로 유체 라인(202)을 분기함으로써 동시에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류(100) 물품 내의 모든 발 지지 블래더는 발 지지 블래더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유체 라인들에 의해 동시에 채워질 수 있다. 그와 유사하게, 2개 이상의 유체 컨테이너(400)는, 동일한 방식이지만, 그러나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을 개별 라인들로 분기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유체 컨테이너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동시에 채워질 수 있다.
다중 발 지지 블래더들(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들(400)이 단일의 신발(100)에 존재하고 블래더들(200) 및/또는 컨테이너들(400) 내에 상이한 유체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예컨대 유체가 커넥터(700)에서 배출되어 발 지지 유체 라인(202) 및/또는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으로 유입된 후에, 적절한 밸빙(valving) 또는 스위칭 메커니즘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커넥터(700), 매니폴드(800) 및 밀봉 커넥터(840)(존재하는 경우)를 통과하는 별도의 유체 경로가 각각의 개별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추가 발 지지 블래더(들)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들)를 위한 별도의 관통구들(910H)이 밸브 스템(910) 내에 [예컨대 다른 관통구들(910H)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 동작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도시된 것처럼 포트들, 유체 채널들 등의 추가 세트가 신발(100) 내의 각각의 추가 발 지지 블래더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도시된 것처럼 포트들, 유체 채널들 등의 추가 세트가 신발 내의 각각의 추가 유체 컨테이너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컨대 외부 컴퓨팅 장치 상에서, "온보드" 스위칭 시스템(2200)의 부품 등인] 입력 시스템은 각각의 추가 발 지지 블래더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의 별도의 입력 및 제어를 허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C.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 특징
상기에서 설명한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은, 유체 분배기(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이 2개 이상의 상이한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들로 이동될 수 있는 가동(예컨대 회전 가능한) 밸브 스템(910)을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유형들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도, 상기 시스템들 및 구성요소들이 도 5a ~ 5f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 상태들 중 임의의 2개 이상을 포함한 2개 이상의 상이한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논의는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들의 솔레노이드들, 및/또는 이들 솔레노이드의 조합체들은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기술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일부 솔레노이드는 "래칭 솔레노이드(latching solenoid)"이다. 도 42에 도시된 래칭 솔레노이드(4200)와 같은 일부 래칭 솔레노이드는 2개의 안정 상태(stable state)-개방 상태(open state) 및 폐쇄 상태(closed state)-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들은, 전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안정 상태들 중 어느 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2에는, 플런저(4202)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유체로 하여금 일측 포트(4206)와 타측 포트(420) 사이에서(어느 방향으로든) 솔레노이드 몸체(4204)를 통과하여 유동하도록 허용하는 것인 개방 상태에 있는 솔레노이드(4200)가 도시되어 있다(유체 유동 화살표 4212 참조). 폐쇄 상태에서, 스프링(4210) 또는 다른 편향 수단(biasing means)이 강제로 플런저(4202)를 앞으로 이동시켜 포트들(4206, 4208)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포트 모두를 폐쇄(밀봉)한다. 이런 상태에서, 유체는 솔레노이드 몸체(4204)를 통과하여 유동하지 않는다.
래칭 솔레노이드들의 경우, 플런저(4204)의 이동을 개시하고 일측 상태에서 타측 상태로 솔레노이드(4200)를 변경하기 위해 전력이 요구된다. 전형적으로, 일측 위치에서 타측 위치로 솔레노이드(4200)의 플런저(4202)를 이동시키기 위해 짧은 전력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래칭 솔레노이드들은 전형적으로 "정상 상태(normal state)"를 보유한다. "정상 상태"는 "래치들(latch)"이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플런저(4200)를 유지하기 위해 활성화되지 않을 때 [예컨대 플런저(4204) 상의 편향력(biasing force)으로 인해] 플런저(4200)가 기본 설정(default)이 되는 상태이다.
양방향 래칭 솔레노이드들(two-way latching solenoid)의 경우, 솔레노이드는, 유체가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는 "평상시 개방(normally open)"(또는 "NO")될 수 있거나, 또는 유체가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할 수 없는 "평상시 폐쇄(normally closed)"(또는 "NC")될 수 있다. 전력은, (a) 개방 구성에서 폐쇄 구성으로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b) 전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폐쇄 위치에서 솔레노이드를 유지하기 위해 래칭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기 위해; 평상시 개방된 솔레노이드로 상대적으로 짧은 펄스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런 솔레노이드를 다시 그 개방 구성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펄스로 래치를 해제하거나 플런저를 "래치 해제(unlatch)"하도록 전력이 인가되고, 그런 다음 편향 시스템(예: 스프링)은 플런저를 그 개방 구성으로 복귀시킨다. "평상시 폐쇄되는" 솔레노이드는 다소 반대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전력은, (a) 폐쇄 구성에서 개방 구성으로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b) 전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개방 위치에서 솔레노이드를 유지하기 위해 래칭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기 위해; 평상시 폐쇄된 솔레노이드로 상대적으로 짧은 펄스로 인가된다. 이런 솔레노이드를 다시 그 폐쇄 구성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펄스로 래치를 해제하거나 플런저를 "래치 해제"하기 위해 전력이 인가되고, 그런 다음 편향 시스템(예: 스프링)은 플런저를 그 폐쇄 구성으로 복귀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그 상이한 구성들 간에 래칭 솔레노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며, 그리고 오랜 시간 기간 동안 전력의 연속적인 인가는 필요하지 않다. 도 42에서 스프링(4210)의 위치로 인해, 도시된 솔레노이드(4200)는 "평상시 폐쇄된" 솔레노이드이다. 스프링(4210)이 이동되어 그 편향력을 포트(4206)와 플런저(4202)의 전면 표면(front surface) 사이(영역 A)에 인가했다면,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개방된"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또한, 래칭 솔레노이드들처럼, 비-래칭 솔레노이드들(non-latching solenoid)은 하나의 "정상(normal)" 위치(예: NO 또는 NC)와 하나(또는 그 이상)의 비정상(non-normal)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래칭 솔레노이드들과 달리, 비-래칭 솔레노이드들은, 2개(또는 그 이상)의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서 밸브를 유지하기 위해 전력의 연속적인 인가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평상시 개방된("NO") 비-래칭 밸브(non-latching valve)는 밸브를 폐쇄 상태로 이동시켜 그곳에서 유지하기 위해 전력의 연속적인 인가를 요구하지만, 그러나 밸브는 전력이 차단될 때(예컨대 플런저에 편향력이 인가되는 조건에서) 개방 상태로 다시 복귀한다. 유사하게, 평상시 폐쇄된("NC") 밸브는 밸브를 개방 상태로 이동시켜 그곳에서 유지하기 위해 전력의 연속적인 인가를 요구하지만, 그러나 밸브는 전력이 차단될 때(예컨대 플런저에 편향력이 인가되는 조건에서) 폐쇄 상태로 다시 복귀한다. 따라서, 사용 중에, 전력 소모량 및/또는 배터리 수명 관점에서, 밸브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기간 동안 폐쇄되기만 하면 되는 적용을 위해 평상시 개방된 비-래칭 솔레노이드를 선택하고, 그리고/또는 밸브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기간 동안 개방되기만 하면 되는 적용을 위해서는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a 및 4b(및 다른 도면들)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들(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은 유체 유동 방향을 제어하고 유체 경로들을 개방/폐쇄하기 위한 유체 전달 시스템(900)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은)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은 도 4a에 도시된 유체 전달 시스템(900)처럼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은,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A, 900D)이 하기에서 설명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과 대체된다는 점만 제외하면, (예컨대 도 1 ~ 41과 함께) 상기에서 설명되는 발 지지 블래더(들)(200), 유체 컨테이너(들)(400), 하우징(502), 커넥터(700), 매니폴드(800), 밀봉 커넥터(840) 등의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3에는, 도 4a 및 4b(및 다른 도면들)의 실시예에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의 개략도가 제공되어 있다. 도 43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은 3개의 2x2 래칭 솔레노이드밸브(4300A, 4300B, 4300C)를 포함한다. 다른 옵션들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본 특정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밸브(4300A)는 평상시 개방된 래칭 솔레노이드밸브이며, 솔레노이드밸브들(4300B 및 4300C)은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밸브들이다.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은 [예컨대 경계면(4302)에서, 선택적으로는 의도되는 경우 밀봉 커넥터(840)를 매개로] 매니폴드(800)에 연결되되, 이런 매니폴드는 (a) 포트들(800A 및 800I)과 [하나 이상의 펌프(600H, 600F)와 같은 유체 소스에서 개시되는] 유체 유입구 경로(802); (b) 포트들(800B 및 804)과 (외부 환경으로 이어지는) 제1 유체 경로(806); (c) 포트들(800C 및 808)과 [발 지지 블래더(200)로 이어지고 그로부터 개시되는] 제2 유체 경로(810); 및 (d) 포트들(800D 및 814)과 [유체 컨테이너(400)로 이어지고 그로부터 개시되는] 제3 유체 경로(812);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밸브들(4300A, 4300B, 4300C)은 매니폴드(800)의 포트들(800I, 804, 808, 814)과 연계하기 위한 [예컨대 포트들(800A, 800B, 800C, 800D) 또는 다른 유형들의 커넥터 구조들 등과 같은] 포트들을 포함하는 공통 하우징(4304) 내에 내포되어 있을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들(4300A, 4300B, 4300C)의 구조 및 작동과, 매니폴드(800)와 상기 밸브들의 연결부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4a는 도 26c의 도면과 유사한 유체 분배기(500)의 분해도이지만, 그러나 도 26b의 밸브 스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A)은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B)으로 대체되어 있다. 도 44b에는, 상기 유체 분배기(500)의 조립도가 제공되어 있다. 본 예시의 유체 분배기(500)는, 매니폴드(800) 및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이 그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곳인 하우징(502)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502)은, 유체 소스[예컨대 외부 환경,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 외부 환경(150); 적어도 하나의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컨테이너(400);와 하우징(502)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커넥터(700)와 연계하기 위한 공간(500A)을 한정한다. 또한, 도 44a 및 44b에는, 하우징(502) 내부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 및 예컨대 솔레노이드들을 포함하는 상기에서 또는 하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다양한 전기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형 배터리(2602);의 가능한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예시의 스위칭 구성요소들(506A, 2200A, 506B, 2200B)은 도 44a에 도시되어 있다(그리고 상기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들 및/또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5 ~ 47b에는, 본원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매니폴드(800)와 연계되는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의 예시의 물리적 구조들; 및 유체 경로들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 및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은 (a) 제1 포트(4310A)와 제2 포트(4310B)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1 솔레노이드(4300A); (b) 제1 포트(4312A) 및 제2 포트(4312B)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2 솔레노이드(4300B); 및 (c) 제1 포트(4314A) 및 제2 포트(4314B)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3 솔레노이드(4300C);를 포함한다.
본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B)에서 솔레노이드들(4300A, 4300B, 4300C) 각각의 제1 포트들(4310A, 4312A, 4314A)은 공통 유체 라인(4320)과 유체로 연통된다. 따라서, 공통 유체 라인(4320) 역시도 솔레노이드들(4300A, 4300B, 43300C)의 제1 포트들(4310A, 4312A, 4314A)을 (적어도 일부 조건에서) 상호 간에 유체로 연통되게 한다. 실시예로서, 공통 유체 라인(4320)은 (a)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1 포트(4310A)로 나아가는] 유체 라인(4310F); (b)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1 포트(4312A)로 나아가는] 유체 라인(4312F); 및 (c)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1 포트(4314A)로 나아가는] 유체 라인(4314F);으로 분기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한, 공통 유체 라인(4320)은, 예컨대 매니폴드(800) 포트(800A), 유체 유입구 경로(802), 유체 유입구 포트(800I), 커넥터(700) 등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하여, 유체 소스[예컨대 펌프(600H, 600F), 압축기, 외부 환경(150) 등 중 하나 이상]와 유체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2 포트(4310B)는, 예컨대 매니폴드 포트(804), 제1 유체 유로(806), 매니폴드 포트(800B), 커넥터(700) 등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하여, 외부 환경(150)과 유체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평상시 개방된 구성을 갖는 래칭 솔레노이드이다. 본 실시예의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2 포트(4312B)는, 예컨대 매니폴드 포트(808), 제2 유체 유로(810), 매니폴드 포트(800C), 커넥터(700) 등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하여, 발 지지 블래더(200)와 유체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평상시 폐쇄된 구성을 갖는 래칭 솔레노이드이다. 본 실시예의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2 포트(4314B)는, 예컨대 매니폴드 포트(814), 제3 유체 유로(812), 매니폴드 포트(800D), 커넥터(700) 등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하여,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로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평상시 폐쇄된 구성을 갖는 래칭 솔레노이드이다.
도 47a에 도시된 것처럼, 본 예시의 구조에서, 솔레노이드들(4300A, 4300B 및 4300C) 각각은 솔레노이드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자신의 제1 포트(4310A, 4312A, 4313A)와 솔레노이드의 맞은편 단부에 위치하는 자신의 제2 포트(4310B, 4312B, 4313B)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예: "양면(dual sided)" 솔레노이드]. 이런 방식으로, 제1 포트들(4310A, 4312A, 4313A)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의 일측 단부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2 포트들(4310B, 4312B, 4313B)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의 맞은편 단부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47b에 도시된 것처럼, 본 예시의 구조에서, 솔레노이드들(4300A, 4300B 및 4300C) 각각은 솔레노이드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자신의 제1 포트(4310A, 4312A, 4314A)와 솔레노이드의 측면 표면에 위치하는 자신의 제2 포트(4310B, 4312B, 4314B)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예: "단면(single sided)" 솔레노이드]. 이와 관련하여, 도 42에서의 솔레노이드 포트들(4206 및 4208) 및 도 43의 솔레노이드 포트들의 "단면" 배치 역시도 참조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포트들(4310A, 4312A, 4314A)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의 일측 단부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그리고 모든 포트는 상기 동일 단부를 향해 위치 결정된다. 이런 유형들의 "단면" 배치는, 예컨대 신발류(100) 물품 및/또는 밑창 구조체(104)와의 연계를 위해 적합한 조밀한 설치공간(compact footprint)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8a ~ 48f에는, 도 5a ~ 5f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한 6개의 동작 상태에 놓이는 하나의 예시의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B)의 개략도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5a에 더하여) 도 48a에는, 유체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이동하여 다시 외부 환경(150)으로 배치되는 것인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도 5a 및 48a에서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는, 심지어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대해 압력 변경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펌핑되는 유체가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지속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대기" 또는 "정상 상태(steady state)"의 동작 상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외부 환경(150)에서의 유입 유체(예: 공기)는, 예컨대 도 5a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B)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런 제1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폐쇄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소스[예: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3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1 포트(43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2 포트(4310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자체의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환경(150)]로 유동한다.
그 대안으로,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상태에서는, 유체가 단순히 다시 외부 환경(150) 내로 배출되려고 할 때, 각 걸음으로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유체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기보다는,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직접 외부 환경(150)까지 유체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펌프(들)(600H, 600F)는 이런 동작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5b에 더하여) 도 48b에는, 유체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이동되어 발 지지 블래더(200)로 전달되는 것인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도 5b 및 48b에서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는, 보다 더 견고한 촉감을 위해, 그리고/또는 (달리기와 같은) 보다 더 격렬한 활동을 보조하도록,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외부 환경(150)에서의 유입 유체(예: 공기)는, 도 5a 및 5b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B)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런 제2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폐쇄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소스[예: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3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2F)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1 포트(4312A)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2 포트(4312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여, 자체의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동한다.
일부 사례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예컨대 보다 더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걷기 또는 평상복 활동과 같은 보다 덜 격렬한 활동을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c에 더하여) 도 48c에는, 상기 동작 상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금,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도 5c 및 48c에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제3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폐쇄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2 포트(4312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4312A)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2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3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1 포트(43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2 포트(4310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외부 환경(150)]로 유동한다.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900B) 및 발 지지 시스템들을 위한 다른 가능한 동작 상태는 (도 5d에 더하여) 도 48d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유체는,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외부 환경으로 전달된다. 이런 동작 상태의 유체 유동은 도 5d 및 48d에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제4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개방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2 포트(4314B)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1 포트(4314A)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4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3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1 포트(43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300A)의 제2 포트(4310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환경(150)]로 유동한다.
본원 기술의 양태들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 및 발 지지 시스템들의 일부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본 실시예에서는 증가시키기) 위해 온보드 유체 컨테이너(4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의 실시예는 (도 5e에 더하여) 도 48e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제5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개방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 컨테이너(400) 압력이 발 지지 블래더(200) 압력보다 더 높을 때, 유체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2 포트(4314B)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1 포트(4314A)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4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3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2F)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1 포트(4312A)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300B)의 제2 포트(4312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동한다.
(도 5f에 더하여) 도 48f에는,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체적 및/또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에 유체를 부가하기 위한 예시의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제6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300A)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300B)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4300C)는 개방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소스[예: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3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314F)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1 포트(4314A)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300C)의 제2 포트(4314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유체 컨테이너(400)]로 유동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총 6개의 동작 상태 모두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그보다, 보다 더 많은 동작 상태, 보다 더 적은 동작 상태 및/또는 상이한 동작 상태들이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용할 수 있다. 도 49a ~ 49d에는, 하나의 발 지지 블래더(200) 및 하나의 유체 컨테이너(400)가 존재할 때, 4개의 동작 상태를 갖는 예시의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이 도시되어 있다.
이런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2개의 솔레노이드, 즉, (a) 제1 포트(4910A), 제2 포트(4910B) 및 제3 포트(4910C)를 구비한 제1 솔레노이드(4900A); 및 (b) 제1 포트(4912A) 및 제2 포트(4912B)를 구비한 제2 솔레노이드(4900B);를 포함한다. 본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00C)에서 솔레노이드들(4900A, 4900B) 각각의 제1 포트들(4910A 및 4912A)은 공통 유체 라인(4920)과 유체로 연통된다. 따라서, 공통 유체 라인(4920)은 또한 솔레노이드들(4900A, 4900B)의 제1 포트들(4910A, 4912A)이 (적어도 일부 조건에서) 상호 간에 유체로 연통되게 한다. 실시예로서, 공통 유체 라인(4920)은, (a)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로 나아가는] 유체 라인(4910F) 및 (b) [제2 솔레노이드(4900B)의 제1 포트(4912A)로 나아가는] 유체 라인(4912F)으로 분기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공통 유체 라인(4920)은 또한 예컨대 매니폴드(800) 포트(800A), 유체 유입구 경로(802), 유체 유입구 포트(800I), 커넥터(700) 등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하여, 유체 소스[예컨대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외부 환경(150) 등 중 하나 이상]와 유체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의도되는 경우, 비록 다른 특정 유형들의 솔레노이드들도 사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3-포트 및 2-상태 래칭 솔레노이드(3/2 솔레노이드)일 수 있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는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2/2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유형들의 매니폴드(800)(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유형들의 4-포트 및 4-유체 경로 매니폴드)와 연계될 수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a) 유체가 제1 포트(4910A)와 제2 포트(4910B)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1 구성과 (b) 유체가 제1 포트(4910A)와 제3 포트(4910C)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2 구성으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포트(4910A) 및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항상 개방 상태로 유지되며, 그리고 플런저(4910P)는 (a) 솔레노이드 포트(4910B)가 개방되고 제3 포트(4910C)는 폐쇄되어 있는 일측 위치와 (b) 제2 포트(4910B)가 폐쇄되고 제3 포트(4910C)는 개방되어 있는 타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평상시" [편향 시스템(biasing system)이 제3 포트(4910C)를 폐쇄하는] 제1 구성에 있도록 편향된다. 본 실시예의 제2 솔레노이드(4900B)는 [유체가 제1 포트(4912A)와 제2 포트(4912B) 사이에서 솔레노이드(4900B)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개방 구성과 [유체가 솔레노이드(4900B)를 통과하여 유동하지 않는 것인]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런 유체 전달 시스템(900C)에서, (a) 제1 구성과 제2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그리고 (b)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2 솔레노이드(4900B)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900C)도 선택적으로 복수(예: 2개 이상)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런 동작 상태들의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9a ~ 49d에는, 4개의 동작 상태에 놓이는 솔레노이드 기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의 개략도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5a에 더하여) 도 49a에는, 유체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이동하고 다시 외부 환경(150)으로 배출되는 것인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도 5a 및 49a에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는, 심지어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대해 압력 변경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펌핑되는 유체가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지속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대기" 또는 "정상 상태(steady state)"의 동작 상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 외부 환경(150)에서의 유입 유체(예: 공기)는, 예컨대 도 5a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매니폴드(800)를 통과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C)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런 제1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는 폐쇄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소스[예: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9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2 포트(4910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외부 환경(150)]로 유동한다.
그 대안으로,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상태에서는, 유체가 단순히 다시 외부 환경(150) 내로 배출되려고 할 때, 각 걸음마다 유체 분배기(500)를 통과하여 유체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기보다는, 펌프(들)(600H, 600F)에서부터 직접적으로 외부 환경(150)까지 유체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펌프(들)(600H, 600F)는 이런 동작 상태를 수행하기 위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5f에 더하여) 도 49b에는, [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유체 체적 및/또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컨테이너(400)에 유체를 부가하기 위한 예시의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제2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는 폐쇄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소스[예: 펌프들(600H, 600F), 압축기 등]에서부터 매니폴드 포트(800A)를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9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3 포트(4910C)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유체 컨테이너(400)]로 유동한다.
이런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에서는, 온보드 유체 컨테이너(400)가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런 동작 상태의 실시예는 (도 5e에 더하여) 도 49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제3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는 개방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 컨테이너(400) 압력이 발 지지 블래더(200) 압력보다 더 높을 때, 유체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3 포트(4910C)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0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9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2F)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900B)의 제1 포트(4912A)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900B)의 제2 포트(4912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로 유동한다.
일부 사례에서,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예컨대 보다 더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걷기 또는 평상복 활동과 같은 보다 덜 격렬한 활동을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c에 더하여) 도 49d에는, 상기 동작 상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동작 상태에서의 유체 유동은 두껍고 화살표가 있는 파선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제4 동작 상태에서, 제1 솔레노이드(4900A)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는 개방 구성에 있다. 따라서, 유체는 발 지지 블래더(200)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800C)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900B)의 제2 포트(4912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900B)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4900B)의 제1 포트(4912B)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2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9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2 포트(4910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외부 환경(1500)]로 유동한다.
따라서, 유체 전달 시스템(900B)과 비교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B)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한 6개의 동작 상태보다는 최대 4개의 동작 상태를 포함한다. 특히, 도 49a ~ 49d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유체가 외부 환경(150)에서부터 유체 분배기(500) 내로 이동하여 곧바로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전달되는 것인 동작 상태(도 5b 및 48b에 도시된 상태들)를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도 49a ~ 49d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에서는, 유체 압력은 발 지지 블래더(200) 내에서 오직 (도 49c의 동작 상태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로 전달되는 유체에 의해서만 증가된다. 또한, 유체 전달 시스템(900B)과 비교하여,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외부 환경(150)으로 이동하는 것인 동작 상태(도 5d 및 48d에 도시된 상태들)를 포함하지 않는다. 필요하거나 의도되는 경우, 유체 컨테이너(400)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과잉 유체를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을 통과하게 하기보다는] 유체 컨테이너(400)의 초과 가압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환경으로 열려 있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유체 소스에서의 유체 압력[예컨대 하나 이상의 발 활성화 펌프(600H, 600F)에 의해 생성되는 유체 압력]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유체 컨테이너(400)로 나아가는 개방된 유체 경로 내의 유체 압력 미만이라면, 유체는 소스에서부터 유체 컨테이너(400)로 전달되지 않는다. 여전히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다른 압력 감압 밸브 및/또는 유체 경로들은, [예컨대 유체가 이동할 다른 장소가 없는 경우, 펌프(들)(600H, 600F)에 의해 배출되는 유체에서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해] 시스템들의 임의의 부품의 초과 가압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유체 전달 시스템(900C), 유체 분배기(500),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 내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B)에서 사용되는 3개의 솔레노이드와 비교하여 단지 2개의 솔레노이드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유체 전달 시스템(900B)과 비교하여, 약간 더 가볍고 더 작고 덜 비싸고, 그리고/또는 보다 더 에너지 효율적이다(예컨대 보다 더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모한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들(900B 및 900C)은 단일의 발 지지 블래더(200)와 단일의 유체 컨테이너(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의도되는 경우,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들, 발 지지 시스템들, 유체 분배기들(500), 밑창 구조체들(104) 및/또는 신발류(100) 물품들은 하나보다 많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유체 컨테이너(400)에 대한 유체 압력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발 지지 블래더(200)가 존재할 때, 유체는 모든 블래더로 동시에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발 지지 블래더는, 상응하는 개별 발 지지 블래더들로 향해 가는 개별 발 지지 공급 라인들 내로 유체 라인(202)을 분기함으로써 동시에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류(100) 물품 내의 모든 발 지지 블래더는 발 지지 블래더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유체 라인들에 의해 동시에 채워질 수 있다. 그와 유사하게, 2개 이상의 유체 컨테이너(400)는, 동일한 방식이지만, 그러나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을 개별 라인들로 분기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유체 컨테이너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동시에 채워질 수 있다.
다중 발 지지 블래더들(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들(400)이 단일의 신발(100)에 존재하고 블래더들(200) 및/또는 컨테이너들(400) 내에 상이한 유체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예컨대 유체가 커넥터(700)에서 배출되어 발 지지 유체 라인(202) 및/또는 컨테이너 유체 라인(402)으로 유입된 후에, 적절한 밸빙 또는 스위칭 메커니즘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의도되는 경우, 커넥터(700), 매니폴드(800) 및 밀봉 커넥터(840)(존재하는 경우)를 통과하는 별도의 유체 경로가 각각의 개별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별도의 솔레노이드들은 각각의 추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를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 동작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 지지 블래더(200)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도시된 것처럼 포트들, 유체 채널들, 솔레노이드들 등의 추가 세트가 각각의 추가 발 지지 블래더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도시된 것처럼 포트들, 유체 채널들, 솔레노이드들 등의 추가 세트가 신발 내의 각각의 추가 유체 컨테이너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컨대 외부 컴퓨팅 장치 상에서, "온보드" 스위칭 시스템(2200) 등의 부품인] 입력 시스템은 각각의 추가 발 지지 블래더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의 별도의 입력 및 제어를 허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도 49a ~ 49d에는, ("선택적인" 것으로) 유체 전달 시스템(900C) 내의 제2 발 지지 블래더(25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런 유체 전달 시스템(900C) 내에는, 제3 솔레노이드(4900C)가 제2 발 지지 블래더(250)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런 제3 솔레노이드(4900C)는 제1 포트(4914A)와 제2 포트(4914B)를 포함하며, 그리고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 예컨대 2/2 솔레노이드로서 구조화될 수 있다. 제3 솔레노이드(4900C)의 제1 포트(4914A)는 공통 유체 라인(4920)과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4914F)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솔레노이드(4900C)의 제2 포트(4914B)는 임의의 의도되는 방식으로 제2 발 지지 블래더(250)와 유체로 연통된다. 특히, 제2 포트(4914B)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50)까지의 유체 경로는, 일반적으로 구조 및/또는 기능과 관련하여 제2 솔레노이드(4900B)의 제2 포트(4912B)와 발 지지 블래더(200) 사이의 유체 경로에 상응하면서, 매니폴드(800), 밀봉 커넥터(840)(존재하는 경우), 커넥터(700)(존재하는 경우) 등을 통과하는 포트들 및 유체 경로들의 별도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9a ~ 49d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제1 솔레노이드(4900A) 및 제2 솔레노이드(4900B)가 도 49a ~ 49d에 도시된 구성에 놓이게 하고 제3 솔레노이드(4900C)는 폐쇄 구성에서 유지함으로써, 도 49a ~ 49d에 도시된 모든 동작 상태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예시의 유체 전달 시스템(900C)은 (a) 제2 발 지지 블래더(250) 내 유체 압력의 증가; 및 (b) 제2 발 지지 블래더(250) 내 유체 압력의 감소;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추가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 지지 블래더(250)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5 동작 상태는 제2 구성에 있는 제1 솔레노이드(4900A), 폐쇄 구성에 있는 제2 솔레노이드(4900B) 및 개방 구성에 있는 제3 솔레노이드(4900C)를 활용한다. 따라서, 도 49c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체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800D)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3 포트(4910C)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0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9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4F)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900C)의 제1 포트(4914A)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900C)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900B)의 제2 포트(4914B)를 통과하여, 이곳에서부터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발 지지 블래더(250)]로 이동한다.
유사하게, 제2 발 지지 블래더(250) 내의 유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6 동작 상태는, 제1 구성에 있는 제1 솔레노이드(4900A), 폐쇄 구성에 있는 제2 솔레노이드(4900B) 및 개방 구성에 있는 제3 솔레노이드(4900C)를 활용한다. 따라서, 도 49d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체는 발 지지 블래더(250)에서부터 (이를 통해 어떤 유체 경로들이 제공되든지 간에) 제3 솔레노이드(4900C)의 제2 포트(4914B)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900C)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4900C)의 제1 포트(4914A)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4F)을 통과하고, 공통 유체 라인(4920)을 통과하고, 유체 라인(4910F)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1 포트(491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4900A)의 제2 포트(4910B)를 통과하고, 매니폴드 포트(800B)를 통과하여, 자체 최종 목적지[본 실시예에서 외부 환경(150)]로 이동한다.
추가 솔레노이드(예: 2/2 비-래칭 솔레노이드)와 적절한 구조들 및 동작 상태들은 상기에서 논의한 블래더들(200 및 250) 이후의 임의의 추가 발 지지 블래더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본원 기술의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충진형 블래더들일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기(400)와 같은 다양한 신발류 구성요소들 내 압력의 제어 및 변경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예시의 구조들에서,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은, 상응하는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안쪽에 직접 위치 결정되지 않거나, 또는 그들과 직접 연계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되는 유형들의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에 직접적으로, 또는 그들과 함께 압력 센서(들)(850A, 850B)를 내포하는 점은, 예컨대 유연한 블래더 구조들로 인해, 신발류 내부에서 그들의 위치들로 인해, 신발류 조립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제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매니폴드(800)의 내부에서, 또는 밀봉 커넥터(840)의 내부에서 유체 라인들 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들에 압력 센서(들)(850A, 850B)를 제공한다. 그 대신, 상기 유체 라인들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로 연통된다. 이런 방식으로, 압력 센서(들)(850A, 850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외부 유체 분배기(5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유체 분배기(500)가 신발(100)과 연결되는 것처럼 전체 신발류(100) 구조 내에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내포될 수 있다.
유체가 센서들(850A, 850B)을 구비한 관련 유체 라인들을 통과하여 유동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센서들(850A, 850B)은 일반적으로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그 이유는 센서들(850A, 850B)이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와 개방되어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들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압력 센서(들)(850A, 850B)는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직접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체가 관련 유체 라인들을 통과하여 유동하고 있을 때 매니폴드(800) 또는 밀봉 커넥터(840) 내부의 압력 센서(들)(850A, 850B)에서 이루어진 압력 측정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부에 존재하는 실제 압력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는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 내부에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예: 작은 횡단면 면적 및/또는 지름의) 유체 라인들을 통과하여 유동하기 때문에,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유체 상에 유의적인 유동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압력 센서(850A, 850B) 위치들에서 이런 유동 저항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서의 실제 압력들과 비교하여, 센서들(850A, 850B)에서[그리고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에서] 얻는 압력 판독 값들에서 그에 상응하는 차이를 야기한다. 감지되는 압력 대 실제 압력에서 이런 "차이"는 보통 "오프셋"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유동 동안, 이런 유동 저항 오프셋은 압력 센서들(850A, 850B)을 통과한 유량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즉, 유량 의존성 오프셋(flow rate dependent offset)]. 또한, 유동 저항 오프셋은, 유체 유동이 시작하고, 중지하고, 그리고/또는 유량을 유의적으로 변경한 직후에 보다 더 분명해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원 기술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 내부의 압력 센서(들)(예: 850A, 850B)에서 얻은 압력 판독 값들을 기반으로 "조정된"(예컨대 오프셋에 대해 조정된)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런 조정된 압력(들)은 유체 유동의 시작 및 중지 시점[예컨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을 조정할 때 밸브 스템(910)의 회전 시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예: 4300A ~ 4300C, 4900A ~ 4900C)의 구성 변경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입력(예: 온보드 유체 분배기(5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입력 데이터, 압력 변경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컴퓨팅 장치에 대한 입력 데이터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압력 변경 제어를 위한 조정된 압력(들)의 사용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 하여금 압력 변경 입력에 대응하여 목표 압력에 보다 더 잘 도달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850A, 850B)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되는 압력들과는 대조적으로, 조정된 압력의 사용은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로 하여금 [실제 압력 센서(850A, 850B) 판독 값들을 사용하는 것에 비교해서]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에서 보다 더 직접적으로, 그리고/또는 보다 더 적은 압력 변경 "오버슈트(overshoot)"(즉, 너무 많은 팽창) 또는 "언더슈트(undershoot)"(너무 많은 수축)로 목표 압력에 도달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이는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로 하여금 최종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 위한 유체 유동의 "시작" 및 "중지"의 보다 더 적은 주기로[그리고 특히 최종 목표 압력으로 압력을 미세 조정 및 조정하기 위한 시작의 보다 더 적은 짧은 버스트(short burst)로] 목표 압력에 도달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런 본원 기술의 양태의 일부 실시예에서, 유량 의존성 오프셋으로 인한 조정된 압력들은 상태 관측기 모델(state observer model)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태 관측기 모델은 실제 시스템의 측정치들[본 실시예에서는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에서 압력 센서들(850A, 850B)에서의 압력 측정치들(P850A, 850B)]로부터 정해진 실제 시스템의 내부 상태의 추정치[본 실시예에서는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실제 압력(PACTUAL)]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도 50a 및 50b에는, 하나의 가능한 상태 관측기 모델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면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50a에는, 실제 시스템이 하나의 발 지지 블래더(200)("쿠션") 및 하나의 유체 컨테이너(400)("탱크")를 포함하는 것인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들의 공압 제어 시스템의 전기 등가 모델(5000)(electrical equivalent model)이 도시되어 있다. 이런 모델에서, 유체 컨테이너(400) 및 발 지지 블래더(200)는 커패시터들로서 모델링되고 압력을 저장한다.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저항체로서 모델링된다[예컨대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 전달 시스템(900) 사이의 유체 유동은 저항체(5020)로서 도시되고, 유체 전달 시스템(900)은 저항체(5022)로서 도시되며, 발 지지 블래더(200)와 유체 전달 시스템(900) 사이의 유체 유동은 저항체(5024)로서 도시된다.].
도 50b에는, 도 50a의 상태 관측기 모델(5000)이 센서들(850A, 850B) 내의 실제 압력 측정치들(및 다른 관련 정보)에 어떻게 상응하는지 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라인(5002)은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의도되는 목표 압력을 나타내며, 그리고 시간 358.5 직전에 약 18psi에서 약 27psi로의 의도되는 압력 변경을 보여준다. 라인들(5004 및 5006)은 유체 컨테이너(400) 및 발 지지 블래더(200) 각각을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들의 작동을 나타낸다. 이런 라인들(5004, 5006)은, 의도되는 압력 변경이 (시간 358.5 직전에) 트리거될 때, 두 솔레노이드밸브가 구성을 변경하는 것을 보여준다. 밸브 구성 변경은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400)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200)로 전달되게 허용하도록 솔레노이드들을 구성한다[그렇게 함으로써 발 지지 블래더(200)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압력은 감소시킨다.]. 곡선(5008)은 유체 컨테이너(400)와 유체로 연통되는 매니폴드/밀봉 커넥터 유체 라인 내에서 센서(850A)에 의해 얻어지는 실제 압력 측정치들을 보여주며, 그리고 곡선(5010)은 발 지지 블래더(200)와 유체로 연통되는 매니폴드/밀봉 커넥터 유체 라인 내에서 센서(850B)에 의해 얻어지는 실제 압력 측정치들을 보여준다. 곡선들(5008, 5010)에서 분명해지는 것처럼, 실제 센서(850A, 850B) 측정치들은, 유동이 유동 저항 오프셋으로 인해 시작하고 중지할 때, 유의적으로 갑자기 변한다. 이런 유동 저항 오프셋은 전형적으로 심지어 유체 라인 횡단면 면적이 감소할 때보다 더욱 분명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곡선들(5012 및 5014)은 도 50a의 모델(5000)에 의해 예측/계산되는 압력 값들을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이런 곡선들(5012, 5014)은 실질적인 "갑작스런 변화(jump)"가 없으며, 그에 따라 유체 컨테이너(4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200) 내부의 실제 유체 압력들에 보다 더 잘 상응한다. 압력 센서들(850A 및/또는 850B)에서의 실제 측정된 압력 판독 값들에서는, 상태 관측기 압력 값들이 모델(5000)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들(850A, 850B)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과 상관관계가 있는] 압력 센서 측정치들(850A, 850B)을 기반으로, 그리고 모델(5000)에서 다양한 저항체들(5020, 5022, 5024) 및 커패시턴스(탱크 및 쿠션)에 할당되는 공지된 값들의 관점에서, 유체 컨테이너 모델 위치(5026) 및 발 지지 블래더 모델 위치(5028)에서의 전압들이 계산될 수 있다. 이런 계산된 전압들은 압력의 계산된 상태 관측기 압력 값들에 상응한다.
그런 다음, 이런 계산된 상태 관측기 압력 값들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 압력에 상응하는 입력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입력 및 데이터로서, 계산된 상태 관측기 압력 값들의 사용은, 본원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로 하여금 압력 변경을 보다 더 잘 제어하도록 허용하며, 즉, 보다 더 직접적으로, 그리고/또는 보다 더 적은 압력 변경 "오버슈트"(즉, 너무 많은 팽창) 또는 "언더슈트"(너무 많은 수축)로, 그리고/또는 (예컨대 "갑작스런 변화"의 결여로 인해)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 위한 유체 유동의 "시작" 및 "중지"의 보다 더 적은 주기로 목표 압력에 도달하도록 허용한다.
조정된 압력 값을 결정하기 위해[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 내의 실제 압력을 추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들(850A, 850B)에서의 실제 압력 판독 값들을 사용하는 다른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체 발 지지 시스템의 실험실 물리적 모델은 상호 연결된 동일한 발 지지 블래더(200), 유체 라인들(400), 유체 분배기(500)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그러나 모델은 상기 구성요소들 내에서 실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발 지지 블래더(200) 및 유체 컨테이너(400)와 함께 압력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런 물리적 모델을 사용하여, 압력 측정치들은, 다양한 작동 조건들(예컨대 상이한 유량들의 사용, 상이한 출발 압력들의 사용, 상이한 압력 변경량들의 사용 등)에서 물리적 모델의 부품으로서, (a)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에 위치 결정된 압력 센서(들)(850A, 850B)(P850A, 850B)에서, 그리고 (b)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포함되는 추가 압력 센서(들)에서(PACTUAL) 얻어질 수 있다. 부품 (b)의 실제 압력 측정치들과 부품(a)의 실제 압력 측정치들을 비교함으로써, 실제 측정 압력들에서의 차이들은, 실제 압력 측정치들이 오직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에서만[즉, 추가 압력 센서(들)가 발 지지 블래더(200) 및/또는 유체 컨테이너(400)에 직접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용 중인 실제 신발들에서만] 가용한 것인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사용될 교정 계수들을 전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교정 계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P850A, 850B를 PACTUAL로 변환하기 위한 수학 공식 또는 방정식, "최적 적합(best fit)" 곡선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제 압력 판독 값들(P850A, 850B)에 적용될 수 있다. 매니폴드(800) 및/또는 밀봉 커넥터(840)에서의 압력 센서 측정치들(P850A, 850B)에 이루어지는 조건들에 대한 적절한 교정 계수의 적용은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압력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조정된 압력 값을 제공한다.
III. 결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그리고 첨부 도면들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목적은 본 발명과 관련한 다양한 특징들 및 개념들의 일례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것처럼,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수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정할 것이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하여, 본원 출원, 기술 및 발명은 적어도 번호를 붙인 하기 항목들에 설명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항목 1.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발 지지 블래더와 연계되는 제1 밑창 부재이며, 제1 밑창 부재는 적어도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지지 부분에 위치하는 발바닥 지지 표면, 및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밑창 부재;
유체 컨테이너; 및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과 연계되는 유체 분배기이며, 유체 분배기는 (a)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유입구, (b) 외부 환경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유체 경로, (c)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유체 경로 및 (d)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펌프를 구비한 유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고,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분배기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3.
항목 1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구비한 유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고,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분배기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
항목 3에 있어서, 제2 펌프는 발 활성화 펌프인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
항목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되, 제1 단부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고, 제2 단부는 제1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
항목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는 발 활성화 펌프인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a) 제1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포트, (b) 제2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포트 및 (c) 제2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3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는 하우징의 측면 표면 상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9.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a) 유입구, (b) 제1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포트, (c) 제2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포트 및 (d) 제3 유체 경로 내에 열려 있는 제3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유입구,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는 하우징의 측면 표면 상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유체 충진형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분은 발 지지 블래더의 하단 표면 아래에서 연장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컨테이너와 연계되는 제2 밑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제2 밑창 부재의 뒤꿈치 지지 부분은 제1 밑창 부재의 뒤꿈치 지지 부분과 연계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
항목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은 그 안쪽에서 한정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분배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
항목 15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제1 밑창 부재 및 다른 밑창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에 부착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
항목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의 노출된 외부 표면은 발 지지 블래더 내 압력의 조정을 트리거링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8.
항목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원격 장치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9.
항목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제1 밑창 부재의 외측면 뒤꿈치 부분에서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과 연계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
항목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적어도 발 지지 시스템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
항목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발 지지 시스템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고, 유체 컨테이너는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
항목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고, 유체 컨테이너는 발 지지 시스템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3.
항목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적어도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4.
항목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적어도 발 지지 시스템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
항목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적어도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1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27.
항목 26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의 일부분은 갑피와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8.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제1 밑창 부재;
제1 밑창 부재와 연계되는 발 지지 블래더;
갑피 및 제1 밑창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유체 컨테이너; 및
갑피 및 제1 밑창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a)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유입구, (b) 외부 환경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유체 경로, (c)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유체 경로 및 (d)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은 제1 펌프를 구비한 유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고,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분배기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0.
항목 28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은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구비한 유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고,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분배기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1.
항목 30에 있어서, 제2 펌프는 발 활성화 펌프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2.
항목 29 내지 3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되, 제1 단부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고, 제2 단부는 제1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3.
항목 29 내지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는 발 활성화 펌프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4.
항목 28 내지 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a) 제1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포트, (b) 제2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포트 및 (c) 제3 유체 경로 내에 열려 있는 제3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5.
항목 34에 있어서,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는 하우징의 측면 표면 상에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6.
항목 28 내지 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a) 유입구, (b) 제1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포트, (c) 제2 유체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포트 및 (d) 제3 유체 경로 내에 열려 있는 제3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7.
항목 36에 있어서, 유입구,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는 하우징의 측면 표면 상에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8.
항목 28 내지 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9.
항목 38에 있어서, 유체 충진형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분은 발 지지 블래더의 하단 표면 아래에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0.
항목 28 내지 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은 유체 컨테이너와 연계되는 제2 밑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1.
항목 40에 있어서, 제2 밑창 부재의 뒤꿈치 지지 부분은 제1 밑창 부재의 뒤꿈치 지지 부분과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2.
항목 28 내지 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은 그 안쪽에서 한정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분배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3.
항목 42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제1 밑창 부재 및 다른 밑창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측면 케이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와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4.
항목 28 내지 4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의 노출된 외부 표면은 발 지지 블래더 내 압력의 조정을 트리거링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5.
항목 28 내지 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원격 장치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6.
항목 28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적어도 신발류 물품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7.
항목 28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신발류 물품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고, 유체 컨테이너는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8.
항목 28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고, 유체 컨테이너는 신발류 물품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9.
항목 28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적어도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0.
항목 28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적어도 신발류 물품의 전족부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1.
항목 28 내지 4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적어도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지지 영역에 위치 결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2.
항목 28 내지 5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제1 밑창 부재의 외측면 뒤꿈치 부분에서 제1 밑창 부재의 외부 표면과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3.
항목 28 내지 5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분배기는 갑피의 후방 뒤꿈치 부분에서 갑피와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4.
항목 53에 있어서, 갑피의 후방 뒤꿈치 부분은 하나 이상의 후방 뒤꿈치 갑피 구성요소에 부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유체 분배기는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5.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밸브 하우징;
밸브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이며, 밸브 스템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외벽은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를 한정하며, 밸브 스템의 외벽은 내부 챔버에서부터 외벽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밸브 스템;
내부 챔버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 및
밸브 하우징과 유체로 연통되는 매니폴드이며, 매니폴드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및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로 밸브 스템의 이동은,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 이상이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또는 제3 유체 유로와 유체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6.
항목 55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여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벽을 통과하여 제1 유체 유로 내로 유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1 위치에서의 제1 동작 상태,
(b)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여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벽을 통과하여 제2 유체 유로 내로 유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2 위치에서의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외벽을 통과하고, 내부 챔버를 통과하고, 외벽을 통과하여, 제1 유체 유로 내로 유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3 위치에서의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외벽을 통과하고, 내부 챔버를 통과하고, 외벽을 통과하여, 제1 유체 유로 내로 유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4 위치에서의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외벽을 통과하고, 내부 챔버를 통과하고, 외벽을 통과하여, 제2 유체 유로 내로 유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5 위치에서의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여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벽을 통과하여 제3 유체 유로 내로 유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6 위치에서의 제6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7.
항목 55 또는 56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8.
항목 55 내지 5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는 밸브 스템의 제2 단부에서 유체를 내부 챔버로 유입시키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9.
항목 55 내지 5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 및 밸브 하우징을 연계시키는 밀봉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0.
항목 59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외벽에서부터 제1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1 밀봉 채널, 외벽에서부터 제2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2 밀봉 채널 및 외벽에서부터 제3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3 밀봉 채널을 구비한 씰 블록 몸체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1.
항목 60에 있어서, 제1 밀봉 채널, 제2 밀봉 채널 및 제3 밀봉 채널은 씰 블록 몸체를 통과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2.
항목 60 또는 61에 있어서, 제1 밀봉 채널, 제2 밀봉 채널 및 제3 밀봉 채널의 축 방향들은 씰 블록 몸체 내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3.
항목 60 내지 6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씰 블록 몸체의 외부 표면은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 제2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2 개구부, 및 제3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동작 상태 각각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 이상과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또는 제3 개구부의 정렬 정도(extent of alignment)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4.
항목 59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의 관통구와 제1 개구부의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5.
항목 55 내지 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밸브 하우징, 밸브 스템, 매니폴드 및 밀봉 커넥터를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6.
항목 55 내지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에서 연계되는 구동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구동 시스템은 적어도 복수의 위치로 밸브를 이동시키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7.
항목 66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8.
항목 67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은 모터의 출력부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9.
항목 66 내지 6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밸브 하우징, 밸브 스템, 매니폴드 및 구동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0.
항목 66 내지 6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구동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1.
항목 70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2.
항목 70 또는 71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밸브 하우징, 밸브 스템, 매니폴드, 구동 시스템 및 전력원을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3.
항목 55 내지 7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밸브 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4.
항목 73에 있어서, 센서는 자기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5.
항목 73 또는 74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밸브 하우징, 밸브 스템, 매니폴드 및 센서를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6.
항목 55 내지 7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및 제3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7.
항목 76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는 제3 유체 유로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및 제2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8.
항목 55 내지 7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밸브 하우징, 밸브 스템 및 매니폴드를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79.
항목 78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하우징과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및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0.
항목 79에 있어서, 커넥터는,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1.
항목 80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커넥터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2.
항목 81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커넥터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3.
항목 82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4.
항목 80 내지 8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는, 외부 환경에서부터 외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5.
항목 84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6.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매니폴드이며, (a)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유체 유입구 포트까지 연장되는 유체 유입구 경로, (b)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 (c)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및 (d)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매니폴드와 유체로 연통되는 밸브 하우징이며, 밸브 하우징은, 매니폴드의 유체 유입구 경로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흡입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밸브 하우징; 및
밸브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이며, 밸브 스템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외벽은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를 한정하며, 그리고 밸브 하우징의 유체 흡입 경로는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 위치로 밸브 스템의 회전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되, 상기 복수의 동작 상태는 하기 동작 상태들, 즉
(a) 유체 흡입 경로를 통과하여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벽의 제1 관통구를 통과하여, 제1 유체 유로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1 회전 위치에서의 제1 동작 상태,
(b) 유체 흡입 경로를 통과하여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벽의 제2 관통구를 통과하여, 제2 유체 유로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2 회전 위치에서의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외벽의 제3 관통구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를 통과하고, 외벽의 제4 관통구를 통과하여, 제1 유체 유로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3 회전 위치에서의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외벽의 제4 관통구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를 통과하고, 외벽의 제6 관통구를 통과하여, 제1 유체 유로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4 회전 위치에서의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외벽의 제7 관통구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를 통과하고, 외벽의 제8 관통구를 통과하여, 제2 유체 유로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5 회전 위치에서의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 흡입 경로를 통과하여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벽의 제9 관통구를 통과하여, 제3 유체 유로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6 회전 위치에서의 제6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7.
항목 86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8.
항목 86 또는 87에 있어서, 유체 흡입 경로는 밸브 스템의 제2 단부에서 내부 챔버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89.
항목 86 내지 8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 및 밸브 하우징을 연계시키는 밀봉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0.
항목 89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외벽에서부터 제1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1 밀봉 채널, 외벽에서부터 제2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2 밀봉 채널 및 외벽에서부터 제3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3 밀봉 채널을 구비한 씰 블록 몸체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1.
항목 90에 있어서, 제1 밀봉 채널, 제2 밀봉 채널 및 제3 밀봉 채널은 씰 블록 몸체를 통과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2.
항목 90 또는 91에 있어서, 제1 밀봉 채널, 제2 밀봉 채널 및 제3 밀봉 채널의 축 방향들은 씰 블록 몸체 내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3.
항목 90 내지 9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씰 블록 몸체의 외부 표면은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 제2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2 개구부, 및 제3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제3 회전 위치, 제4 회전 위치, 제5 회전 위치 및 제6 회전 위치 각각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관통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씰 블록 몸체의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또는 제3 개구부의 회전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4.
항목 89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관통구들 중 하나와 제1 개구부의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5.
항목 86 내지 9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에서 연계되는 회전 구동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회전 구동 시스템은 적어도 복수의 회전 위치로 밸브 스템을 이동시키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6.
항목 95에 있어서, 회전 구동 시스템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7.
항목 96에 있어서, 회전 구동 시스템은 모터의 출력부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8.
항목 95 내지 9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회전 구동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99.
항목 98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0.
항목 86 내지 9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밸브 스템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1.
항목 100에 있어서, 센서는 자기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2.
항목 86 내지 10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및 제3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3.
항목 102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는 제3 유체 유로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및 제2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4.
항목 86 내지 10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매니폴드, 밸브 하우징 및 밸브 스템을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5.
항목 104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하우징과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및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6.
항목 105에 있어서, 커넥터는,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7.
항목 106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커넥터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8.
항목 107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커넥터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09.
항목 108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10.
항목 106 내지 10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는, 외부 환경에서부터 외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11.
항목 110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12.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및
발 지지 블래더 내로 및 외로, 그리고 유체 컨테이너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항목 55 내지 11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3.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 및
항목 112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밑창 구조체와 연계되거나, 또는 그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14.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유체 공급부;
밸브 하우징;
밸브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이며, 밸브 스템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외벽은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를 한정하며, 그리고 밸브 스템의 외벽은 내부 챔버에서부터 외벽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밸브 스템;
유체 공급부가 내부 챔버와 유체로 연통되게 하는 유체 유입구 포트; 및
매니폴드이며, (a)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매니폴드 포트, (b)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c)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발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로 밸브 스템의 이동은, 밸브 스템의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 이상이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또는 제3 유체 유로와 유체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발 지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5.
항목 114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1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1 위치에서의 제1 동작 상태,
(b)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2 위치에서의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1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3 위치에서의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1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4 위치에서의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5 위치에서의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6 위치에서의 제6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6.
항목 114 또는 115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7.
항목 114 내지 1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는 밸브 스템의 제2 단부에서 유체를 내부 챔버로 유입시키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8.
항목 114 내지 1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매니폴드 및 밸브 하우징을 연계시키는 밀봉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9.
항목 118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외벽에서부터 제1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1 밀봉 채널, 외벽에서부터 제2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2 밀봉 채널 및 외벽에서부터 제3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3 밀봉 채널을 구비한 씰 블록 몸체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0.
항목 119에 있어서, 제1 밀봉 채널, 제2 밀봉 채널 및 제3 밀봉 채널은 씰 블록 몸체를 통과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씰 블록 몸체 내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1.
항목 119 또는 120에 있어서, 씰 블록 몸체의 외부 표면은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 제2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2 개구부, 및 제3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동작 상태 각각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 이상과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또는 제3 개구부의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2.
항목 118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복수의 관통구 중 하나의 관통구와 제1 개구부의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3.
항목 114 내지 1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에서 연계되는 구동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구동 시스템은 적어도 복수의 위치로 밸브를 이동시키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4.
항목 123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5.
항목 124에 있어서, 구동 시스템은 모터의 출력부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6.
항목 123 내지 1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구동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7.
항목 126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8.
항목 114 내지 1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밸브 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9.
항목 128에 있어서, 센서는 자기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0.
항목 114 내지 12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및 제3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1.
항목 130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는 제3 유체 유로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발 지지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및 제2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2.
항목 114 내지 13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적어도 밸브 하우징, 밸브 스템 및 매니폴드를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3.
항목 132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하우징과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및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4.
항목 114 내지 1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까지 연장되는 유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5.
항목 114 내지 13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외부 환경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6.
항목 114 내지 1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이 발 지지 시스템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발 지지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7.
항목 114 내지 13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컨테이너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8.
항목 114 내지 1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9.
항목 138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0.
항목 138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1.
항목 138 내지 14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2.
항목 141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1 펌프에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3.
항목 138 내지 14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외부 환경에서 제1 펌프로 유체를 공급하는 외부 유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4.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114 내지 143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145.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유체 공급부;
매니폴드이며, (a) 유체 공급부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체 유입구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유체 유입구 포트, (b)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매니폴드 포트, (c)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d)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매니폴드와 유체로 연통되는 밸브 하우징이며, 밸브 하우징은 매니폴드의 유체 유입구 경로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흡입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밸브 하우징; 및
밸브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이며, 밸브 스템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외벽은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를 한정하며, 그리고 밸브 하우징의 유체 흡입 경로가 밸브 스템의 내부 챔버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발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 위치로 밸브 스템의 회전은, 발 지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되, 상기 복수의 동작 상태는 하기 동작 상태들, 즉
(a)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1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1 회전 위치에서의 제1 동작 상태,
(b)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2 회전 위치에서의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1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3 회전 위치에서의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1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4 회전 위치에서의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2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5 회전 위치에서의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내부 챔버 내로 이동하고, 제3 유체 유로를 통과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밸브 스템의 제6 회전 위치에서의 제6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6.
항목 145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7.
항목 145 또는 146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8.
항목 147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9.
항목 148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0.
항목 147 내지 14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1.
항목 150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1 펌프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2.
항목 147 내지 14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외부 환경에서부터 제1 펌프로 유체를 공급하는 외부 유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3.
항목 145 내지 15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4.
항목 145 내지 15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흡입 경로는 밸브 스템의 제2 단부에서 내부 챔버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5.
항목 145 내지 15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매니폴드 및 밸브 하우징을 연계시키는 밀봉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6.
항목 155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외벽에서부터 제1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1 밀봉 채널, 외벽에서부터 제2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2 밀봉 채널 및 외벽에서부터 제3 유체 유로까지 연장되는 제3 밀봉 채널을 구비한 씰 블록 몸체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7.
항목 156에 있어서, 제1 밀봉 채널, 제2 밀봉 채널 및 제3 밀봉 채널은 씰 블록 몸체를 통과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씰 블록 몸체 내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8.
항목 156 또는 157에 있어서, 씰 블록 몸체의 외부 표면은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 제2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2 개구부, 및 제3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제3 회전 위치, 제4 회전 위치, 제5 회전 위치 및 제6 회전 위치 각각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에 대한 씰 블록의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또는 제3 개구부의 회전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9.
항목 155에 있어서, 밀봉 커넥터는 제1 밀봉 채널로 열려 있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복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서, 밸브 스템의 외벽 내 관통구와 제1 개구부의 정렬 정도는 밀봉 커넥터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유량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0.
항목 145 내지 15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에서 연계되는 회전 구동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회전 구동 시스템은 적어도 복수의 회전 위치로 밸브 스템을 이동시키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1.
항목 160에 있어서, 회전 구동 시스템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2.
항목 161에 있어서, 회전 구동 시스템은 모터의 출력부와 밸브 스템의 제1 단부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3.
항목 160 내지 16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회전 구동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4.
항목 163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5.
항목 145 내지 1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밸브 스템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6.
항목 165에 있어서, 센서는 자기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7.
항목 145 내지 16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제2 유체 유로 및 제3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8.
항목 167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는 제3 유체 유로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발 지지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어, 제1 유체 유로 및 제2 유체 유로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9.
항목 145 내지 16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적어도 매니폴드, 밸브 하우징 및 밸브 스템을 내포하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0.
항목 169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하우징과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및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1.
항목 145 내지 17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까지 연장되는 유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2.
항목 145 내지 17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외부 환경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3.
항목 145 내지 17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이 발 지지 시스템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발 지지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4.
항목 145 내지 17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컨테이너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5.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145 내지 17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176.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1 솔레노이드;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2 솔레노이드;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3 솔레노이드;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 및
매니폴드이며, (a)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 (b)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c)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77.
항목 176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제2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를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를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6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78.
항목 176 또는 177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개방된 래칭 솔레노이드이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이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79.
항목 176 내지 17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0.
항목 176 내지 17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1.
항목 180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2.
항목 176 내지 18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를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간에 전환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3.
항목 182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4.
항목 176 내지 18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및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5.
항목 184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커넥터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6.
항목 185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7.
항목 186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8.
항목 187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89.
항목 185 내지 18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는 외부 환경에서부터 외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0.
항목 189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에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1.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매니폴드이며, (a)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유체 유입구 포트까지 연장되는 유체 유입구 경로, (b)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 (c)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및 (d)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1 솔레노이드이며,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1 유체 유로를 경유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2 솔레노이드이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2 유체 유로를 경유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3 솔레노이드이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3 유체 유로를 경유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제3 솔레노이드; 및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유체 유입구 경로를 경유하여서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동작 상태는 하기 동작 상태들, 즉
(a) 유체를 유체 유입구 포트에서부터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유입구 포트에서부터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이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제2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를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를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를 유체 유입구 포트에서부터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6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2.
항목 191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3.
항목 191 또는 192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개방된 래칭 솔레노이드이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이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4.
항목 191 내지 19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를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간에 전환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5.
항목 194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6.
항목 191 내지 19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 및 (d)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유체 유입구 포트에 연결된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7.
항목 196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8.
항목 197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199.
항목 198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00.
항목 196 내지 19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는 외부 환경에서부터 외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01.
항목 200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에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02.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및
발 지지 블래더 내로 및 외로, 그리고 유체 컨테이너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항목 176 내지 20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3.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 및
항목 202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밑창 구조체와 연계되거나, 또는 그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04.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유체 공급부;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1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2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3 솔레노이드;
유체 공급부와, 그리고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 및
매니폴드이며, (a)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 및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 (b)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 및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c)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 및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발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는, 발 지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5.
항목 204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 내로 이동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 내로 이동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6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6.
항목 204 또는 205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개방된 래칭 솔레노이드이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이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7.
항목 204 내지 20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8.
항목 204 내지 20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라인 및 유체 공급부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9.
항목 208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0.
항목 204 내지 20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를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간에 전환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1.
항목 210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2.
항목 204 내지 2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제1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3.
항목 212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4.
항목 213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5.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204 내지 21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216.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유체 공급부;
매니폴드이며, (a) 유체 공급부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체 유입구 경로 내로 열려 있는 유체 유입구 포트, (b)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1 매니폴드 포트, (c)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d) 유체 컨테이너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 유체 유로 내로 열려 있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1 솔레노이드이며,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1 유체 유로를 경유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2 솔레노이드이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2 유체 유로를 경유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여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제3 솔레노이드이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3 유체 유로를 경유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제3 솔레노이드; 및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유체 유입구 경로를 경유하여서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발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는, 발 지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동작 상태는 하기 동작 상태들, 즉
(a)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5 동작, 및
(f)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6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7.
항목 216에 있어서, 유체 컨테이너는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8.
항목 216 또는 217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9.
항목 218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0.
항목 219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1.
항목 218 내지 2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입구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2.
항목 221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1 펌프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3.
항목 218 내지 2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외부 환경에서부터 제1 펌프까지 연장되는 유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4.
항목 216 내지 2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5.
항목 216 내지 2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 제2 솔레노이드 및 제3 솔레노이드를 자신들의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간에 전환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6.
항목 225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7.
항목 216 내지 2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유입구 포트까지 연장되는 유체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8.
항목 216 내지 2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외부 환경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9.
항목 216 내지 2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발 지지 시스템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발 지지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30.
항목 216 내지 22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컨테이너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3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216 내지 230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232.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를 구비한 제1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한 제2 솔레노이드;
제1 솔레노이드 및 제2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 및
매니폴드이며, (a)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 (b)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c)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a) 유체가 제1 포트와 제2 포트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1 구성, 및 (b) 유체가 제1 포트와 제3 포트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2 구성으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그리고
(a) 제1 구성과 제2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1 솔레노이드를, 그리고 (b)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2 솔레노이드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도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3.
항목 232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제2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및
(d) 유체를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4.
항목 233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1 동작 상태, 제2 동작 상태, 제3 동작 상태 및 제4 동작 상태 각각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전환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5.
항목 232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한 제3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되, 유체 라인은 제3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4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6.
항목 235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라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제2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를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를 제2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4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를 제4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6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7.
항목 236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1 동작 상태, 제2 동작 상태, 제3 동작 상태, 제4 동작 상태, 제5 동작 상태 및 제6 동작 상태 각각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전환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8.
항목 235 내지 2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3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39.
항목 232 내지 23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3-포트 및 2-상태 래칭 솔레노이드이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0.
항목 232 내지 2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1.
항목 232 내지 24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2.
항목 241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3.
항목 232 내지 24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를 제1 구성과 제2 구성 간에 전환하고 제2 솔레노이드를 개방 구성에서 유지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4.
항목 243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5.
항목 232 내지 2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매니폴드와 연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a)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b)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및 (c)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6.
항목 245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커넥터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7.
항목 246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8.
항목 247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와 유체 유입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 결정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49.
항목 248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유입구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50.
항목 246 내지 24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51.
항목 250에 있어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외부 유체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에 유입되기 전에, 외부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52.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및
발 지지 블래더 내로 및 외로, 그리고 유체 컨테이너 내로 및 외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항목 232 내지 25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3.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 및
항목 252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는 밑창 구조체와 연계되거나, 또는 그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54.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유체 컨테이너;
유체 공급부;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를 구비한 제1 솔레노이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한 제2 솔레노이드;
제1 솔레노이드 및 제2 솔레노이드 각각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라인; 및
매니폴드이며, (a)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 (b)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c)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발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a) 유체가 제1 포트와 제2 포트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1 구성, 및 (b) 유체가 제1 포트와 제3 포트 사이에서 제1 솔레노이드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인 제2 구성으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그리고
(a) 제1 구성과 제2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1 솔레노이드를, 그리고 (b)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제2 솔레노이드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발 지지 시스템도 선택적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5.
항목 254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 내로 이동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그리고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 내로 이동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및
(d)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그리고 외부 환경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6.
항목 255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동작 상태, 제2 동작 상태, 제3 동작 상태 및 제4 동작 상태 각각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전환될 수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7.
항목 254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2 발 지지 블래더;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한 제3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되, 유체 라인은 제3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는 제4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8.
항목 257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 상태는
(a)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 내로 이동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1 동작 상태,
(b) 유체를 유체 공급부에서부터 유체 라인 내로 이동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2 동작 상태,
(c)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3 동작 상태,
(d)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3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2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1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는 것인 제4 동작 상태,
(e) 유체를 유체 컨테이너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3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4 매니폴드 포트로, 그리고 제2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2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를 제2 발 지지 블래더에서부터 제4 매니폴드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고, 제3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유체 라인을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1 포트를 통과하고, 제1 솔레노이드의 제2 포트를 통과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로, 그리고 외부 환경 내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는 제1 구성에 있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폐쇄 구성에 있으며, 제3 솔레노이드는 개방 구성에 있는 것인 제6 동작 상태 중
2개 이상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59.
항목 258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동작 상태, 제2 동작 상태, 제3 동작 상태, 제4 동작 상태, 제5 동작 상태 및 제6 동작 상태 각각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전환될 수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0.
항목 257 내지 25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3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1.
항목 254 내지 26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솔레노이드는 3-포트 및 2-상태 래칭 솔레노이드이고, 제2 솔레노이드는 평상시 폐쇄된 비-래칭 솔레노이드인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2.
항목 254 내지 26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3.
항목 254 내지 26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라인 및 유체 공급부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4.
항목 263에 있어서, 유체 유입구 포트, 제1 매니폴드 포트, 제2 매니폴드 포트 및 제3 매니폴드 포트는 매니폴드의 외부 측면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5.
항목 254 내지 2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를 제1 구성과 제2 구성 간에 전환하고 제2 솔레노이드를 개방 구성에서 유지하기 위한 전력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6.
항목 265에 있어서, 전력원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7.
항목 254 내지 26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제1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8.
항목 267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69.
항목 268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유출구는 제2 펌프의 유입구와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제2 펌프의 유출구는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70.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254 내지 269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271.
버튼 어셈블리로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 및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a) 제1 두께를 보유하는 제1 베이스부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1 요홈부를 포함하되, 제1 요홈부는 제2 두께를 보유하며,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제1 베이스부와 제1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2.
항목 271에 있어서, 버튼 어셈블리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으며,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a) 제3 두께를 갖는 제2 베이스부 및 (b) 제2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2 요홈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요홈부는 제4 두께를 가지며, 제4 두께는 제3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제2 베이스부와 제2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3.
항목 272에 있어서, 제1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제2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제1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는 제2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고 있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4.
항목 272 또는 273에 있어서,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2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5.
항목 271 내지 27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1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6.
버튼 어셈블리로서,
버튼 어셈블리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용량성 터치 액티베이터;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물리적 스위치 버튼 액티베이터;를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7.
항목 276에 있어서, 버튼 어셈블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물리적 스위치 버튼 액티베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항목 278.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a)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 (b)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소스, (c) 하우징, (d) 유체 소스에서부터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체 유로이며, 하우징을 통과하는 상기 제1 유체 유로, 및 (e) 하우징과 연계되거나, 또는 그와 통합 형성되는, 항목 271 내지 277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는 것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279.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 및 항목 278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는 밑창 구조체와 연계되며, 그리고 하우징은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80.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a)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 (b)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소스, (c) 하우징, (d) 유체 소스에서부터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체 유로이며, 하우징을 통과하는 상기 제1 유체 유로, 및 (e) 하우징과 연계되거나, 또는 그와 통합 형성되는, 항목 271 내지 277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밑창 구조체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항목 281.
신발류 물품용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로서,
하우징;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입 유체 유입구;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입 유체 유출구;
유입 유체가 유입 유체 유출구에 도달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펌핑 유체 유입구,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펌핑 유체 유출구,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펌핑 유체 유입구와 펌핑 유체 유출구를 연결하는 펌핑 유체 라인; 및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발 지지 블래더 포트,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발 지지 블래더 포트,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 발 지지 블래더 포트와 제2 발 지지 블래더 포트를 연결하는 발 지지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
항목 282.
항목 281에 있어서,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는,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컨테이너 포트,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컨테이너 포트,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 유체 컨테이너 포트와 제2 유체 컨테이너 포트를 연결하는 유체 컨테이너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
항목 283.
항목 281 또는 282에 있어서,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는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체 배출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
항목 284.
항목 281 내지 28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필터는, 적어도 50㎟의 면적을 보유하여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덮도록, 그리고 유입 유체 유입구를 덮도록 위치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
항목 285.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이며, 제1 발 지지 블래더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포함하는 상기 밑창 구조체; 및 항목 281 내지 28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여과식 유체 유동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하우징은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86.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제1 포트를 포함한 매니폴드;
커넥터이며, (i)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포트, (ii) 제2 포트, 및 (iii) 커넥터의 제1 포트와 커넥터의 제2 포트를 연결하는 제1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1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경유하여서는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87.
항목 286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2 포트를 포함하며, 커넥터는 (i) 매니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포트, (ii) 제4 포트, 및 (iii) 커넥터의 제3 포트와 커넥터의 제4 포트를 연결하는 제2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의 제4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2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경유하여서는 매니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88.
항목 287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3 포트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i) 매니폴드의 제3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5 포트, (ii) 제6 포트, 및 (iii) 커넥터의 제5 포트와 커넥터의 제6 포트를 연결하는 제3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의 제6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3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을 경유하여서는 매니폴드의 제3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89.
항목 288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4 포트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매니폴드의 제4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7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0.
항목 286 내지 28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은 밀봉된 방식으로 커넥터의 상응하는 포트와 매니폴드의 각 포트를 연계시키기 위한 개별 챔버들을 구비한 밀봉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1.
항목 286 내지 29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은 굽은 또는 만곡된 경로를 정의하는 것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2.
항목 286 내지 29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은 (a) 제1 축 방향, (b) 제2 축 방향, 및 (c)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정의하며, 그리고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은 70도 이하의 각도로 연결부에서부터 상호 간에 이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3.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연결하는 제1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을 구비한 매니폴드;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매니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외부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4.
항목 293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3 포트, 제4 포트, 및 제3 포트와 제4 포트를 연결하는 제2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을 포함하며, 제3 포트는 유체 전달 시스템과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은 매니폴드의 제4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외부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5.
항목 294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5 포트, 제6 포트, 및 제5 포트와 제6 포트를 연결하는 제3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을 포함하며, 제5 포트는 유체 전달 시스템과 유체로 연통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은
매니폴드의 제6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외부 유체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6.
항목 295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4 외부 유체 라인과 유체로 연통되는 제7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7.
항목 295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유체 전달 시스템과 유체로 연통되는 제7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
항목 298.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는 밑창 구조체; 및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항목 286 내지 297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299.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커넥터의 제1 포트와, 제1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커넥터의 제1 포트는,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에 의해, 커넥터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
유체 분배기의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커넥터의 제2 포트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 및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단일의 연결된 구성요소로서의 커넥터 및 유체 분배기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의 제조 방법.
항목 300.
항목 299에 있어서, 제조 방법은
커넥터의 제3 포트와, 제2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2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커넥터의 제3 포트는,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에 의해, 커넥터의 제4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 및
유체 분배기의 제2 매니폴드 포트와 커넥터의 제4 포트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단일의 연결된 구성요소는 커넥터의 제3 포트와 연계되는 제2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의 제조 방법.
항목 301.
항목 300에 있어서, 제조 방법은
커넥터의 제5 포트와, 제3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3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커넥터의 제5 포트는, 커넥터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 내부 커넥터 유체 라인에 의해, 커넥터의 제6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 및
유체 분배기의 제3 매니폴드 포트와 커넥터의 제6 포트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단일의 연결된 구성요소는 커넥터의 제5 포트와 연계되는 제3 유체 라인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의 제조 방법.
항목 302.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체 분배기의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제1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매니폴드의 제1 포트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에 의해, 매니폴드의 제2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 및
매니폴드의 제1 포트와 연계되는 제1 유체 라인을 포함한 유체 분배기와,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의 제조 방법.
항목 303.
항목 302에 있어서, 제조 방법은, 매니폴드의 제3 포트와, 제2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2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매니폴드의 제3 포트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에 의해, 매니폴드의 제4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를 더 포함하며, 유체 분배기와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가 일어날 때, 제2 유체 라인이 매니폴드의 제3 포트와 연계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의 제조 방법.
항목 304.
항목 303에 있어서, 제조 방법은, 매니폴드의 제5 포트와, 제3 밑창 구성요소에서부터 연장되는 제3 유체 라인을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이며, 매니폴드의 제5 포트는, 매니폴드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 내부 매니폴드 유체 라인에 의해, 매니폴드의 제6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연계 단계를 더 포함하며, 유체 분배기와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다른 밑창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연계시키는 연계 단계가 일어날 때, 제3 유체 라인이 매니폴드의 제5 포트와 연계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의 제조 방법.
항목 305.
항목 299 내지 304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밑창 구조체.
항목 306.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연계되는, 항목 305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307.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으로서,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밸브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챔버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밸브 스템이며, (i)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밸브 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단부, (ii) 제1 단부의 맞은편에 있는 제2 단부, 및 (iii) 제1 단부에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외벽을 포함하는 상기 밸브 스템; 및
밸브 하우징, 또는 유체 전달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밸브 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센서이며, (i) 밸브 스템과 함께 이동 가능한 인코더 자석 및 (ii) 밸브 스템의 위치로 인해 인코더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인코더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08.
항목 307에 있어서, 인코더 자석은 밸브 스템과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09.
항목 307 또는 308에 있어서, 인코더 센서는 밸브 하우징과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10.
항목 309에 있어서, 인코더 센서는, 밸브 스템의 제1 단부보다, 밸브 스템의 제2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밸브 하우징과 연계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11.
항목 307 내지 3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밸브 스템의 외벽은 밸브 스템 내부의 내부 채널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12.
항목 311에 있어서, 밸브 스템의 외벽은, 내부 채널에서부터 밸브 스템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13.
항목 312에 있어서, 밸브 스템의 내부 채널로의 유체 유입구는 밸브 스템의 제2 단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복수의 관통구는, 유체가 내부 챔버 내로 또는 외로 이동할 때 통과하는 포트들을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전달 시스템.
항목 314.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고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항목 307 내지 313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목 315.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a)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 (b)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소스, 및 (c)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위한 유체를 제공하는, 항목 307 내지 313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항목 316.
신발류 물품 내 유체 전달 시스템용 전동장치로서,
모터 피니언;
제1 중간 기어 클러스터이며, (i) 제1 축 방향 핀, (ii) 제1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1 중심축을 가지면서 모터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기어이며, 제1 지름을 보유하는 상기 제1 기어, 및 (iii) 제1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2 중심축을 갖는 제2 기어이며,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보유하는 상기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제1 중간 기어 클러스터;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이며, (i) 제2 축 방향 핀, (ii) 제2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3 중심축을 가지면서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이며, 제3 지름을 보유하는 상기 제3 기어, 및 (iii) 제2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4 중심축을 갖는 제4 기어이며, 제3 지름과 다른 제4 지름을 보유하는 상기 제4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제2 중간 기어 클러스터;
제3 축 방향 핀; 및
제3 축 방향 핀과 동축인 제3 중심축을 가지면서 제4 기어와 맞물리는 제5 기어이며, 이 제5 기어의 제3 중심축은 전동장치의 출력부의 회전축과 동축인 것인, 상기 제5 기어;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용 전동장치.
항목 317.
신발류 물품 내 유체 전달 시스템용 구동 시스템으로서,
구동 샤프트를 구비한 모터;
밸브 스템; 및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밸브 스템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샤프트와 밸브 스템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3단 전동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용 구동 시스템.
항목 318.
항목 317에 있어서, 3단 전동장치는 항목 316에 따른 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 전달 시스템용 구동 시스템.
항목 319.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고 착용자 발의 발다박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유체 전달 시스템은 항목 316에 따른 전동장치 및/또는 항목 317 또는 318에 따른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20.
신발류 물품의 구성요소 내 유체 압력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유체 압력에 대한 목표 압력을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이며, 제1 신발류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 또는 유체 컨테이너인 것인, 상기 수신 단계;
매니폴드의 제1 포트 또는 밀봉 커넥터와 매니폴드의 제2 포트 또는 밀봉 커넥터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속 유체 라인을 통과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이며, 제1 포트는 제1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고, 제2 포트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또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상기 이동 단계;
제1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유체가 연속 유체 라인을 통과하여 이동할 때 연속 유체 라인 내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 단계 동안 제1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유체 압력을 기반으로 조정된 유체 압력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결정 단계에서 결정되는 조정된 유체 압력이 목표 압력의 기결정 범위 이내일 때 연속 유체 라인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중지하는 중지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1.
항목 320에 있어서, 제1 신발류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이고, 제2 포트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2.
항목 320에 있어서, 제1 신발류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이고, 제2 포트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3.
항목 322에 있어서, 제2 신발류 구성요소는 유체 컨테이너인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4.
항목 320에 있어서, 제1 신발류 구성요소는 유체 컨테이너이고, 제2 포트는 외부 환경과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5.
항목 320에 있어서, 제1 신발류 구성요소는 유체 컨테이너이고, 제2 포트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는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6.
항목 325에 있어서, 제2 신발류 구성요소는 발 지지 블래더인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7.
항목 320 내지 3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조정된 유체 압력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유체 압력을 추정하는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8.
항목 320 내지 3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조정된 유체 압력은, 측정 단계 동안 제1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체 압력과,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실제 유체 압력 간의 유량 의존성 오프셋을 교정하는 것인, 유체 압력의 변경 방법.
항목 329.
신발류 시스템으로서,
압력 조정 능력을 갖는 제1 신발류 구성요소,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제1 안테나를 구비하는 제1 신발;
압력 조정 능력을 갖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한 제2 신발; 및
제1 신발류 구성요소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중앙 통신 소스;를 포함하는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0.
항목 329에 있어서,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내에 위치 결정되며, 그리고 제1 신발은,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에서부터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1.
항목 329에 있어서, (a) 제1 시간 기간 동안,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내에 위치 결정되고, 제1 신발은,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에서부터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리고 (b) 제2 시간 기간 동안, 중앙 통신 소스는 제2 신발 내에 위치 결정되고, 제2 신발은, 입력 데이터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2 안테나에서부터 제1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2.
항목 329에 있어서,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어느 곳에도 물리적으로 내포되어 있지 않은 외부 컴퓨팅 장치를 구성하며, 그리고 외부 컴퓨팅 장치는 (a) 입력 데이터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b)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3.
항목 329에 있어서, 중앙 통신 소스는,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어느 곳에도 물리적으로 내포되어 있지 않은 외부 컴퓨팅 장치를 구성하고, 외부 컴퓨팅 장치는, 입력 데이터가 제1 신발류 구성요소 또는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1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리고 제1 안테나는, 입력 데이터가 제2 신발류 구성요소 내의 압력 변경을 지시할 때, 제2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4.
항목 329에 있어서, 압력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데이터의 통신은 적어도 3가지 통신 구성 간에 전환될 수 있되, 상기 3가지 통신 구성은
(a)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 통신하되, 외부 컴퓨팅 장치는 중앙 통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1 신발 및 제2 신발 각각은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압력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주변 통신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때의 제1 통신 구성, (b)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제1 신발 또는 제2 신발과 전자 통신하지 않되, 제1 신발이 중앙 통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2 신발은 제1 신발로부터 압력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주변 통신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때의 제2 통신 구성, 및 (c) 외부 컴퓨팅 장치가 제1 신발 또는 제2 신발과 전자 통신하지 않되, 제2 신발은 중앙 통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1 신발은 제2 신발로부터 압력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주변 통신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때의 제3 통신 구성인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5.
항목 329 내지 33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중앙 통신 소스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자 조정식 구성요소와 전자 통신하는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6.
항목 335에 있어서, 추가 전자 조정식 구성요소는 제1 신발 및 제2 신발로부터 분리된 의류 물품 상의 의류 기반 조정식 구성요소; 전동화식 의류 구성요소;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신발끈 조임 시스템들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기 위한 전동화식 신발끈 조임 시스템; 제1 신발 및 제2 신발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전동화식 신발 고정 시스템; 전동화식 유체 내포식 스포츠브라; 및 전동화식 유체 내포식 압박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시스템.
항목 337.
밀봉식 연결부로서,
자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포트를 포함한 외벽을 구비하는 회전식 밸브 스템;
제1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매니폴드; 및
밀봉 커넥터이며, (a)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1 커넥터 포트, (b) 제1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된 제2 커넥터 포트, 및 (c) 제1 커넥터 포트와 제2 커넥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커넥터 유체 경로를 구비한 상기 밀봉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기 밀봉식 연결부에 있어서,
제1 위치로 회전식 밸브 스템의 회전은, 제1 커넥터 유체 경로를 경유하여 제1 매니폴드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1 유체 포트를 유체로 연통시키기 위해, 제1 커넥터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1 유체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 것인, 밀봉식 연결부.
항목 338.
항목 337에 있어서, 회전식 밸브 스템의 주변 벽부는 자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포트를 더 포함하고, 매니폴드는 제2 매니폴드 포트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밀봉 커넥터는 (a)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3 커넥터 포트, (b)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되는 제4 커넥터 포트, 및 (c) 제3 커넥터 포트와 제4 커넥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며, 제2 위치로 회전식 밸브 스템의 회전은, 제2 커넥터 유체 경로를 경유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2 유체 포트를 유체로 연통시키기 위해, 제3 커넥터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2 유체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 것인, 밀봉식 연결부.
항목 339.
항목 338에 있어서, 회전식 밸브 스템의 주변 벽부는 자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 유체 포트를 더 포함하고, 매니폴드는 제3 매니폴드 포트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밀봉 커넥터는 (a)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5 커넥터 포트, (b) 제3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되는 제6 커넥터 포트, 및 (c) 제5 커넥터 포트와 제6 커넥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며, 제3 위치로 회전식 밸브 스템의 회전은, 제3 커넥터 유체 경로를 경유하여 제3 매니폴드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3 유체 포트를 유체로 연통시키기 위해, 제5 커넥터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3 유체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 것인, 밀봉식 연결부.
항목 340.
항목 339에 있어서, 회전식 밸브 스템의 주변 벽부는 자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4 유체 포트를 더 포함하고, 매니폴드는 제4 매니폴드 포트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밀봉 커넥터는 (a)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7 커넥터 포트, (b) 제4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되는 제8 커넥터 포트, 및 (c) 제7 커넥터 포트와 제8 커넥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며, 제4 위치로 회전식 밸브 스템의 회전은, 제4 커넥터 유체 경로를 경유하여 제4 매니폴드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4 유체 포트를 유체로 연통시키기 위해, 제7 커넥터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4 유체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 것인, 밀봉식 연결부.
항목 341.
항목 337에 있어서, 회전식 밸브 스템의 주변 벽부는 자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유체 포트를 더 포함하고, 매니폴드는 제2 매니폴드 포트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밀봉 커넥터는 (a)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3 커넥터 포트, (b) 제2 매니폴드 포트에 연결되는 제4 커넥터 포트, 및 (c) 제3 커넥터 포트와 제4 커넥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커넥터 유체 경로를 더 포함하며, 제1 위치로 회전식 밸브 스템의 회전은, 제2 커넥터 유체 경로를 경유하여 제2 매니폴드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2 유체 포트를 유체로 연통시키기 위해, 제3 커넥터 포트와 회전식 밸브 스템의 제2 유체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 것인, 밀봉식 연결부.
항목 342.
항목 337 내지 3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주변 벽부와 직접 접촉하는 커넥터 포트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주변 벽부의 외부 표면의 곡률에 상응하도록, 그리고/또는 주변 벽부와 해당 포트를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만곡된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밀봉식 연결부.
항목 343.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고 착용자 발의 발다박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유체 전달 시스템은 항목 337 내지 342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밀봉식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44.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유체 분배기;
매니폴드이며, (i) 매니폴드 몸체, (ii) 매니폴드 몸체를 통해 한정되면서, 유체 분배기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1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매니폴드 유체 경로, (iii) 매니폴드 몸체 내에서 한정되거나, 또는 매니폴드 몸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압력 센서 마운트, 및 (iv)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와 제1 매니폴드 유체 경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개방 채널을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및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에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45.
항목 344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i) 매니폴드 몸체를 통해 한정되면서, 유체 분배기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매니폴드 포트에서부터 제2 신발류 구성요소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4 매니폴드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2 매니폴드 유체 경로, (ii) 매니폴드 몸체 내에서 한정되거나, 또는 매니폴드 몸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2 압력 센서 마운트, 및 (iii) 제2 압력 센서 마운트와 제2 매니폴드 유체 경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개방 채널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제2 압력 센서 마운트에 장착되는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46.
항목 345에 있어서, 제2 압력 센서 마운트는 제2 압력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되, 이 리세스는 제2 개방 채널의 위치에서 제2 매니폴드 유체 경로를 통과하여 유체 유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매니폴드 몸체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47.
항목 344 내지 3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는 제1 압력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되, 이 리세스는 제1 개방 채널의 위치에서 제1 매니폴드 유체 경로를 통과하여 유체 유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매니폴드 몸체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48.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유체 분배기;
제1 매니폴드 포트를 구비한 매니폴드;
밀봉 커넥터이며, (i) 커넥터 몸체, (ii) 커넥터 몸체를 통해 한정되어, 유체 분배기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1 커넥터 포트에서부터 제1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2 커넥터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iii) 커넥터 몸체 내에서 한정되거나, 또는 커넥터 몸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압력 센서 마운트, 및 (iv)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와 제1 커넥터 유체 경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개방 채널을 구비한 상기 밀봉 커넥터; 및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에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49.
항목 348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제2 매니폴드 포트를 포함하고, 밀봉 커넥터는 (i) 커넥터 몸체를 통해 한정되어, 유체 분배기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3 커넥터 포트에서부터 제2 매니폴드 포트와 유체로 연통되는 제4 커넥터 포트까지 연장되는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ii) 커넥터 몸체 내에서 한정되거나, 또는 커넥터 몸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2 압력 센서 마운트, 및 (iii) 제2 압력 센서 마운트와 제2 커넥터 유체 경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개방 채널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제2 압력 센서 마운트에 장착되는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50.
항목 349에 있어서, 제2 압력 센서 마운트는 커넥터 몸체의 베이스부에서부터 이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튜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51.
항목 349에 있어서, 제2 압력 센서 마운트는 커넥터 몸체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52.
항목 348 내지 35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는 커넥터 몸체의 베이스부에서부터 이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튜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53.
항목 348 내지 35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압력 센서 마운트는 커넥터 몸체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54.
항목 348 내지 35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를 통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커넥터 유체 경로는, 상기 개별 유체 경로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커넥터 몸체 구성요소; 및 상기 개별 유체 경로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커넥터 몸체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355.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와 연계되고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유체 충진형 블래더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항목 344 내지 35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Claims (20)

  1. 버튼 어셈블리로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 및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a) 제1 두께를 보유하는 제1 베이스부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1 요홈부를 포함하되, 제1 요홈부는 제2 두께를 보유하며,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제1 베이스부와 제1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버튼 어셈블리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으며,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a) 제3 두께를 갖는 제2 베이스부 및 (b) 제2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2 요홈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요홈부는 제4 두께를 가지며, 제4 두께는 제3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제2 베이스부와 제2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제2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제1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는 제2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고 있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2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1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는 용량성 터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는 조합된 용량성 터치 버튼 및 스위치 활성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는 버튼 어셈블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용량성 터치 버튼; 및 버튼 어셈블리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 활성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버튼 어셈블리.
  9.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발 지지 블래더;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이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하우징 및 제1 유체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제1 유체 포트에 연결되어, 하우징에서부터 발 지지 블래더까지 연장되는 제1 유체 라인; 및
    하우징과 맞물리는 버튼 어셈블리이며, 버튼 어셈블리는 (a) 제1 버튼 액추에이터 및 (b)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포함하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i) 제1 두께를 보유한 제1 베이스부 및 (ii) 제1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1 요홈부를 포함하며, 제1 요홈부는 제2 두께를 보유하고,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제1 베이스부와 제1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인, 상기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발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버튼 어셈블리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버튼 어셈블리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을 덮으며,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는 (i) 제3 두께를 보유한 제2 베이스부 및 (ii) 제2 버튼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제2 요홈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요홈부는 제4 두께를 보유하며, 제4 두께는 제3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제2 베이스부와 제2 요홈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의 연속 층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a) 제1 버튼 액추에이터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고, (b) 제2 버튼 액추에이터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제2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제1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는 제2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고 있으며,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1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며, 그리고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2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제2 요홈부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한 U자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제1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는 제2 요홈부의 2개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고 있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2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2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통해 제1 버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은 제1 요홈부를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튼 어셈블리는 하우징을 폐쇄하는 외부 커버를 형성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 지지 시스템은 하우징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는 용량성 터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8.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는 조합된 용량성 터치 버튼 및 스위치 활성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19.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버튼 액추에이터는 버튼 어셈블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용량성 터치 버튼; 및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유체 압력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 활성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시스템.
  20.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갑피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상기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은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27045865A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20230024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1455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51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23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71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60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82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68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41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13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44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29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395P 2020-05-28 2020-05-28
US202063031433P 2020-05-28 2020-05-28
US63/031,441 2020-05-28
US63/031,423 2020-05-28
US63/031,455 2020-05-28
US63/031,460 2020-05-28
US63/031,482 2020-05-28
US63/031,413 2020-05-28
US63/031,429 2020-05-28
US63/031,395 2020-05-28
US63/031,468 2020-05-28
US63/031,451 2020-05-28
US63/031,471 2020-05-28
US63/031,444 2020-05-28
US63/031,433 2020-05-28
PCT/US2021/034726 WO2021243130A1 (en) 2020-05-28 2021-05-28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and adjustable foot support pressur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and adjustable foot support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921A true KR20230024921A (ko) 2023-02-21

Family

ID=7652351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866A KR20230022888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1020227045865A KR20230024921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1020227045856A KR20230026358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1020227045879A KR20230025410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1020227045892A KR20230025411A (ko) 2020-05-28 2021-05-28 발 지지 시스템에서 유체 이동의 제어 방법
KR1020227045857A KR20230024920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866A KR20230022888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856A KR20230026358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1020227045879A KR20230025410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1020227045892A KR20230025411A (ko) 2020-05-28 2021-05-28 발 지지 시스템에서 유체 이동의 제어 방법
KR1020227045857A KR20230024920A (ko) 2020-05-28 2021-05-28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9) US12035779B2 (ko)
EP (7) EP4157011A1 (ko)
JP (9) JP7508595B2 (ko)
KR (6) KR20230022888A (ko)
CN (6) CN115867162A (ko)
TW (2) TWI847579B (ko)
WO (13) WO2021243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3278B (zh) * 2017-08-21 2021-04-01 荷蘭商耐基創新公司 包括流體填充囊室的可調節足部支撐系統及鞋類物品
USD958507S1 (en) * 2021-04-29 2022-07-26 Donghui Li Sole
USD988660S1 (en) * 2021-07-27 2023-06-13 Frampton E. Ellis Lateral side extension for the midfoot of a shoe sole

Family Cites Families (1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7477B (de) 1961-07-08 1969-01-16 Opel Georg Von Pneumatische Sohle fuer Schuhe
US3721265A (en) 1971-04-29 1973-03-20 Fmc Corp Three-way valve
US4358902A (en) 1980-04-02 1982-11-16 Cole George S Thrust producing shoe sole and heel
GB2114425B (en) 1982-02-05 1985-05-30 Clarks Ltd Sole units for footwear
US4446634A (en) * 1982-09-28 1984-05-08 Johnson Paul H Footwear hav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US4670995A (en) 1985-03-13 1987-06-09 Huang Ing Chung Air cushion shoe sole
US4674200A (en) * 1985-12-12 1987-06-23 Peter Sing Slip resistant footwear
US4991317A (en) * 1987-05-26 1991-02-12 Nikola Lakic Inflatable sole lining for shoes and boots
US5846063A (en) 1987-05-26 1998-12-08 Nikola Lakic Miniature universal pump and valve for inflatable liners
US6014823A (en) 1987-05-26 2000-01-18 Lakic; Nikola Inflatable sole lining for shoes and boots
US5025575A (en) 1989-03-14 1991-06-25 Nikola Lakic Inflatable sole lining for shoes and boots
US5199191A (en) * 1987-05-29 1993-04-06 Armenak Moumdjian Athletic shoe with inflatable mobile inner sole
US4936030A (en) * 1987-06-23 1990-06-26 Rennex Brian G Energy efficient running shoe
US5295314A (en) * 1987-07-17 1994-03-22 Armenak Moumdjian Shoe with sole including hollow space inflatable through removable bladder
CA2046640A1 (en) 1989-02-08 1990-08-09 Spencer White Article of footwear
US4999932A (en) * 1989-02-14 1991-03-19 Royce Medical Company Variable support shoe
US5257470A (en) * 1989-03-17 1993-11-02 Nike, Inc. Shoe bladder system
AU650270B2 (en) 1990-05-30 1994-06-16 Reebok International Ltd. Athletic shoe having inflatable bladder
US5179792A (en) * 1991-04-05 1993-01-19 Brantingham Charles R Shoe sole with randomly varying support pattern
US5222312A (en) * 1991-07-02 1993-06-29 Doyle Harold S Shoe with pneumatic inflating device
US5319866A (en) 1991-08-21 1994-06-14 Reebok International Ltd. Composite arch member
US5406719A (en) * 1991-11-01 1995-04-18 Nike, Inc. Shoe having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US5598645A (en) 1992-01-02 1997-02-04 Adidas Ab Shoe sole, in particular for sports shoes, with inflatable tube elements
AU3231793A (en) 1992-01-31 1993-09-01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system for footwear
DE4213054B4 (de) 1992-04-21 2005-09-15 Robert Bosch Gmbh Tastenanordnung
DE9205628U1 (de) 1992-04-25 1992-06-11 Blaupunkt-Werke Gmbh, 31139 Hildesheim Tastenanordnung zur Betätigung von Mikro-Tippschaltern
MX9206826A (es) * 1992-04-30 1994-05-31 Gear L A Inc Zapato de deporte que cuenta con medio indicador de presion de la bolsa de aire.
US5335382A (en) * 1992-11-23 1994-08-09 Huang Yin Jun Inflatable cushion device
JPH0723802A (ja) * 1993-05-12 1995-01-27 Fukuoka Kagaku Kogyo Kk 換気靴
US5384977A (en) * 1993-06-25 1995-01-31 Global Sports Technologies Inc. Sports footwear
US5375345A (en) * 1993-09-29 1994-12-27 Djuric; Zoran Shoe with integral reversible air pump
US6453577B1 (en) 1996-02-09 2002-09-24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5771606A (en) 1994-10-14 1998-06-30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960016572B1 (ko) 1994-03-10 1996-12-16 권중택 다기능 신발
US5456027A (en) * 1994-04-08 1995-10-10 Vincent G. Tecchio Athletic shoe with a detachable sole having an electronic breakaway system
US6230501B1 (en) * 1994-04-14 2001-05-15 Promxd Technology, Inc. Ergonomi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intelligent adaptive surfaces and temperature control
US5671552A (en) * 1995-07-18 1997-09-30 Pettibone; Virginia G. Atheletic shoe
US5918383A (en) 1995-10-16 1999-07-06 Fila U.S.A., Inc. Sports shoe having an elastic insert
US5673500A (en) 1995-12-11 1997-10-07 Raymond Hwang Shoe with weighing means
US5813142A (en) * 1996-02-09 1998-09-29 Demon; Ronald S. Shoe sole with an adjustable support pattern
US5816290A (en) 1996-03-13 1998-10-06 Fleck Controls, Inc. Rotary control valve for a water conditioning system
US5820133A (en) * 1996-03-15 1998-10-13 Fleck Controls, Inc. Rotary control valve and seal mechanism
TW394675B (en) * 1996-06-17 2000-06-21 Huang Ying Jiun Automatic inflatable air cushion
US6725573B2 (en) * 1997-06-03 2004-04-27 Harold S. Doyle Pneumatic inflating device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US6305102B1 (en) * 1997-06-03 2001-10-23 Harold S. Doyle Pneumatic inflating device
RU2193857C2 (ru) 1997-06-16 2002-12-10 Инг Чунг ХУАНГ Самонаполняющаяся воздушная подушка (варианты)
US7107706B1 (en) * 1997-08-14 2006-09-19 Promdx Technology, Inc. Ergonomi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intelligent adaptive surfaces and temperature control
US7219449B1 (en) * 1999-05-03 2007-05-22 Promdx Technology, Inc. Adaptively controlled footwear
US6290662B1 (en) * 1999-05-28 2001-09-18 John K. Morris Portable, self-contained apparatus for deep vein thrombosis (DVT) prophylaxis
US6354020B1 (en) 1999-09-16 2002-03-12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463679B1 (en) * 1999-10-21 2002-10-15 Yamamoto Limited Forced ventilation system inside soles
US6571490B2 (en)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US6402879B1 (en) 2000-03-16 2002-06-11 Nike, Inc. Method of making bladder with inverted edge seam
US6430843B1 (en) 2000-04-18 2002-08-13 Nike, Inc. Dynamically-controlle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20194747A1 (en) * 2001-06-21 2002-12-26 Passke Joel L. Footwear with bladder filter
KR100404102B1 (ko) * 2001-09-04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장치
GB2391110B (en) 2002-06-20 2005-07-13 In2Tec Ltd Switches
US6785985B2 (en) * 2002-07-02 2004-09-07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US7278445B2 (en) * 2002-07-02 2007-10-09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US6946050B2 (en) * 2003-01-27 2005-09-20 Nike, Llc Method for flange bonding
US7631382B2 (en) * 2003-03-10 2009-12-1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6889451B2 (en) * 2003-04-23 2005-05-10 Mike, Inc. Fluid system with internal filter
KR100534033B1 (ko) 2003-07-12 2005-12-08 주식회사 피스포스 신발의 펌핑구조
US7448150B1 (en) * 2004-02-26 2008-11-11 Reebok International Ltd. Insert with variable cushioning and support and article of footwear containing same
US7093818B2 (en) * 2004-08-03 2006-08-22 Harris Corporation Embedded control valve using homopolar motor
US7013585B2 (en) * 2004-08-12 2006-03-21 Chie-Fang Lo Cushion device for shoes
WO2006073214A1 (en) 2005-01-06 2006-07-13 Jong Soo Cho Footwear with ventilat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US7331121B2 (en) * 2005-01-19 2008-02-19 Chie-Fang Lo Inflatable shoe sole
US20070006489A1 (en) * 2005-07-11 2007-01-11 Nike, Inc. Control systems and foot-receiving device products containing such systems
US7546696B1 (en) * 2005-10-17 2009-06-16 Reebok International Ltd. Inflation mechanism and outlet valve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nflatable bladder
US7451554B2 (en) * 2005-10-19 2008-11-18 Nike, Inc. Fluid system having an expandable pump chamber
US7478488B1 (en) * 2005-10-31 2009-01-20 Reebok International Ltd. Inflatable and ventilat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404263B2 (en) * 2006-01-11 2008-07-29 Bbc International, Llc Footwear with force sensing device
FR2898017B1 (fr) * 2006-03-03 2008-05-09 Philippe Biesse Semelle universelle.
TWM327665U (en) 2006-10-27 2008-03-01 Osim Int Ltd An air bag and an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08051164A1 (en) 2006-10-27 2008-05-02 Osim International Ltd A valve body and massaging system using the same
US7694438B1 (en) 2006-12-13 2010-04-13 Reebok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djustable ride
US7578077B2 (en) * 2006-12-18 2009-08-25 Michel Marc Shoe sole construction
US7934521B1 (en) * 2006-12-20 2011-05-03 Reebok International, Ltd. Configurable fluid transfer manifold for inflatable footwear
US8230874B2 (en) 2006-12-20 2012-07-3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Configurable fluid transfer manifold for inflatable footwear
US8015730B2 (en) 2007-01-08 2011-09-13 Nike, Inc. Footwear with vertically-arranged pump and pressure chambers
US8414275B1 (en) 2007-01-11 2013-04-09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ump and valve combination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nflatable bladder
KR100777252B1 (ko) * 2007-03-16 2007-11-28 광 지 진 공기 유입 밸브가 결합되고 외부로 표시되는 에어 튜브를형성한 신발의 바닥창
US7552717B2 (en) * 2007-08-07 2009-06-30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ors
US20100199518A1 (en) * 2007-08-28 2010-08-12 Prontopharma-Europe S.R.L. Sole including a system of blisters and devices for their deflation
GB0720706D0 (en) 2007-10-23 2007-12-05 Shadowfax Medica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WO2009114808A1 (en) * 2008-03-13 2009-09-17 Kcl Licensing, Inc. Foot manifolds,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o a tissue site on a foot
EP2468323B1 (en) * 2008-03-13 2014-10-15 KCI Licensing, Inc. System for reduced pressure treatment
US9549585B2 (en) * 2008-06-13 2017-01-24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8250782B2 (en) 2009-03-26 2012-08-28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Valve for regulating pressure in a fluid system
US8307569B2 (en) * 2009-04-01 2012-11-1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Training footwear
SE537288C2 (sv) 2009-05-18 2015-03-24 Nordhydraulic Ab Strömbrytar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sådan
US20110047817A1 (en) 2009-08-25 2011-03-03 Francello Gene A Sole construction for shoe having self-pumping extendable spikes
US8691118B2 (en) 2009-08-26 2014-04-08 Lg Chem, Ltd. Conductive metal ink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conductive pattern
US8800167B2 (en) 2009-09-19 2014-08-12 Harold S. Doyle Pneumatic inflating device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US9521877B2 (en) * 2013-02-21 2016-12-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20110131839A1 (en) * 2009-12-03 2011-06-09 C-Boot Ltd. Pneumatic Alternating Pressure Relief of a Foot
KR101008305B1 (ko) * 2010-07-05 2011-01-14 김성순 에어백을 갖는 신발 안창
US20150305436A1 (en) * 2010-09-24 2015-10-29 Harold S. Doyle Pneumatically inflatable air bladder devices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or configured as shoe inserts
US20120073161A1 (en) * 2010-09-24 2012-03-29 Doyle Harold S Pneumatically inflatable air bladder devices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or configured as shoe inserts
GB201102637D0 (en) * 2011-02-15 2011-03-30 Shadowfax Medica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PE20141322A1 (es) * 2011-03-25 2014-10-05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 2) Limited Ciclopropilaminas como inhibidores de desmetilasa 1 especifica de lisina
US9060564B2 (en) * 2011-04-06 2015-06-23 Nike, Inc. Adjustable multi-bladder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857076B2 (en) * 2011-04-06 2014-10-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daptive fluid system
US8844165B2 (en) * 2011-04-06 2014-09-30 Nike, Inc. Adjustable bladder system with external valv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813389B2 (en) * 2011-04-06 2014-08-26 Nike, Inc. Adjustable bladder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770624B2 (en) * 2011-10-14 2017-09-26 Chris Norcross Bender Sport-boot pressure monitor and method of use
US8935860B2 (en) * 2011-10-28 2015-01-20 George Torres Self-tightening shoe
US9609913B2 (en) * 2011-12-29 2017-04-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y
US20130213147A1 (en) 2012-02-22 2013-08-22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20130213144A1 (en) * 2012-02-22 2013-08-22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11071344B2 (en) * 2012-02-22 2021-07-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US8914994B2 (en) * 2012-03-02 2014-12-23 Nike, Inc. Guitar-shaped bladder for footwear
US20130278436A1 (en) 2012-04-18 2013-10-24 Frampton E. Ellis Smartphone-controlled active configuration of footwear including with concavely rounded soles
US9030335B2 (en) * 2012-04-18 2015-05-12 Frampton E. Ellis Smartphones app-controlled configuration of footwear soles using sensors in the smartphone and the soles
US9420847B2 (en) 2012-04-25 2016-08-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blad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10646B2 (en) 2012-07-17 2016-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CA2883193C (en) * 2012-08-23 2018-05-22 Djo, Llc Brace having an inflation control
WO2014043157A1 (en) 2012-09-11 2014-03-20 Eaton Corporation Self-closing filter
US9259047B2 (en) 2012-09-13 2016-02-16 Thomas Nikita Krupenkin Apparatus for footwear-embedded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system based on dual-loop channel
US10849387B2 (en) * 2012-09-20 2020-12-01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9066558B2 (en) * 2012-12-17 2015-06-30 Nike,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bladder assembly
US11006690B2 (en) * 2013-02-01 2021-05-18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9410857B2 (en) * 2013-03-15 2016-08-09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9603414B2 (en) 2013-03-15 2017-03-28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WO2014186112A1 (en) 2013-05-17 2014-11-20 Ninepoint Medical, Inc. Inflation apparatus with pressure relief, related systems, methods and kits
US9781200B2 (en) * 2013-07-01 2017-10-03 Stepbuddies Internationa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umber of user steps
JP2015051065A (ja) * 2013-09-05 2015-03-19 株式会社安川電機 歩行支援情報提示装置
EP3174080B1 (en) 2014-07-26 2018-11-28 Power Idea Technology (Shenzhen)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button on electronic product and waterproof mobile phone using same
CN104791522B (zh) 2015-04-15 2017-05-10 华中科技大学 一种油路切换装置
EP3135966A1 (en) * 2015-08-31 2017-03-01 bNovate Technologies SA Rotary valve
US11103030B2 (en) 2015-10-07 2021-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0932523B2 (en) * 2015-11-30 2021-03-02 Nike, Inc. Electrorheological fluid structure with attached conduc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US10709206B2 (en) * 2015-11-30 2020-07-14 Nike, Inc. Method of filling electrorheological fluid structure
DE102015225209A1 (de) * 2015-12-15 2017-06-22 VPAM Holding GmbH Vorrichtung mit einem veränderlichen Kammersystem
US10102722B2 (en) * 2015-12-18 2018-10-16 Immersion Corporation Wearable article having an actuator that performs non-haptic and haptic operations
US11202484B2 (en) * 2016-03-15 2021-12-21 Nike, Inc. Standoff unit for a control device in an article of footwear
US20170296096A1 (en) * 2016-04-13 2017-10-19 Hepta 7291 LLC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flective zones using sensors
WO2017190049A1 (en) * 2016-04-29 2017-11-02 Lifelens Technologies, Llc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hysiologic parameters of a subject
US20180008005A1 (en) * 2016-07-06 2018-01-11 Patricia Vandervoort Footwear with deployable and retractable tractive features
US11172731B2 (en) * 2016-11-28 2021-11-16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sity of Texas Systems Dual-layer insole apparatuses for diabetic foot lesion prevention and related methods
TWI665973B (zh) * 2016-12-16 2019-07-21 欣合信股份有限公司 Sole air cushion device
EP3932242B1 (en) * 2017-02-27 2023-05-31 NIKE Innovate C.V.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filled bladder chambers
US10258102B2 (en) 2017-03-07 2019-04-16 Welter's Co., Ltd. Airbag device with pressure regulating function
JP6908436B2 (ja) * 2017-05-30 2021-07-28 京セラ株式会社 履物およびシステム
US11285778B2 (en) 2017-06-14 2022-03-29 Denso Corporation Valve device
US10883619B2 (en) 2017-06-27 2021-01-05 Hayward Industries, Inc. Multi-position valve
TWI678978B (zh) 2017-07-03 2019-12-1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動態控壓氣墊裝置
TWI723278B (zh) * 2017-08-21 2021-04-01 荷蘭商耐基創新公司 包括流體填充囊室的可調節足部支撐系統及鞋類物品
FR3071898B1 (fr) * 2017-10-04 2020-07-10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Actionneur et vanne de circulation de fluide le comprenant
US10524539B2 (en) 2018-01-02 2020-01-07 Chih-Fang Lo Inflatable air pad of shoe
FR3079734A1 (fr) * 2018-04-06 2019-10-11 Zhor Tech Systeme pour la detection d'un trouble de la demarche chez un utilisateur et procedes associes.
US20190366668A1 (en) * 2018-05-30 2019-12-05 Nike, Inc. Manufacturing system for a cushioning footwear
WO2019231970A1 (en) 2018-05-31 2019-12-05 Nike Innovate C.V. Fluid flow control devices usable in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KR102699400B1 (ko) 2018-05-31 2024-08-2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유체-충전식 블래더 챔버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
EP4316299A3 (en) 2018-11-29 2024-04-10 NIKE Innovate C.V.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filled bladders with movement of fluid between bladders
US11523657B2 (en) 2019-05-20 2022-12-13 Nike, Inc.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JP6968128B2 (ja) 2019-07-18 2021-11-17 株式会社日本トリム 弁装置及び電解水生成装置
US11653712B2 (en) * 2020-02-10 2023-05-2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utomatic inflation pump bladder system
CN118317715A (zh) * 2021-11-24 2024-07-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流体移动控制器和可调节足部支撑压力的足部支撑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2712A (zh) 2023-06-16
US20210368937A1 (en) 2021-12-02
JP2023528365A (ja) 2023-07-04
US11969052B2 (en) 2024-04-30
WO2021243128A1 (en) 2021-12-02
US20210368929A1 (en) 2021-12-02
EP4157008A1 (en) 2023-04-05
KR20230022888A (ko) 2023-02-16
US12089692B2 (en) 2024-09-17
US20240041159A1 (en) 2024-02-08
TW202207830A (zh) 2022-03-01
US11825905B2 (en) 2023-11-28
KR20230025410A (ko) 2023-02-21
US12096819B2 (en) 2024-09-24
WO2021243150A1 (en) 2021-12-02
WO2021243138A1 (en) 2021-12-02
US20210368934A1 (en) 2021-12-02
JP2023529076A (ja) 2023-07-07
US20210368926A1 (en) 2021-12-02
WO2021243181A1 (en) 2021-12-02
US20240315393A1 (en) 2024-09-26
CN115867162A (zh) 2023-03-28
JP7512438B2 (ja) 2024-07-08
EP4157021A1 (en) 2023-04-05
CN115835795A (zh) 2023-03-21
JP7512435B2 (ja) 2024-07-08
CN115835797A (zh) 2023-03-21
JP2023528364A (ja) 2023-07-04
WO2021243164A1 (en) 2021-12-02
WO2021243232A1 (en) 2021-12-02
US11957207B2 (en) 2024-04-16
US20240251910A1 (en) 2024-08-01
US20240285029A1 (en) 2024-08-29
US20240065377A1 (en) 2024-02-29
WO2021243124A1 (en) 2021-12-02
EP4157010A1 (en) 2023-04-05
US20240090619A1 (en) 2024-03-21
WO2021243130A1 (en) 2021-12-02
US20210368938A1 (en) 2021-12-02
US20210368927A1 (en) 2021-12-02
CN115867165A (zh) 2023-03-28
JP2023529078A (ja) 2023-07-07
KR20230025411A (ko) 2023-02-21
WO2021243228A1 (en) 2021-12-02
WO2021243135A1 (en) 2021-12-02
EP4393340A3 (en) 2024-10-02
JP2023529075A (ja) 2023-07-07
EP4157019A1 (en) 2023-04-05
US20210368931A1 (en) 2021-12-02
JP7512437B2 (ja) 2024-07-08
EP4157011A1 (en) 2023-04-05
JP2024138304A (ja) 2024-10-08
US12075882B2 (en) 2024-09-03
JP2024138303A (ja) 2024-10-08
JP2023529077A (ja) 2023-07-07
US20210368933A1 (en) 2021-12-02
US12035779B2 (en) 2024-07-16
KR20230024920A (ko) 2023-02-21
EP4393340A2 (en) 2024-07-03
TWI847579B (zh) 2024-07-01
WO2021243130A8 (en) 2022-11-24
WO2021243146A1 (en) 2021-12-02
JP7508595B2 (ja) 2024-07-01
EP4157020A1 (en) 2023-04-05
US12075881B2 (en) 2024-09-03
US11864618B2 (en) 2024-01-09
EP4157010B1 (en) 2024-05-29
JP2024129065A (ja) 2024-09-26
US11832686B2 (en) 2023-12-05
US12011060B2 (en) 2024-06-18
JP7512436B2 (ja) 2024-07-08
TWI831014B (zh) 2024-02-01
WO2021243140A1 (en) 2021-12-02
US20210368930A1 (en) 2021-12-02
KR20230026358A (ko) 2023-02-24
US20210368932A1 (en) 2021-12-02
WO2021243187A1 (en) 2021-12-02
CN115915992A (zh) 2023-04-04
US20210368935A1 (en) 2021-12-02
US20210368928A1 (en) 2021-12-02
US20210368936A1 (en) 2021-12-02
CN115776853A (zh)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4921A (ko) 유체 이동 컨트롤러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20240090918A (ko) 유체 이동 제어기 및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압력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