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810A -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 Google Patents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810A
KR20230024810A KR1020210107203A KR20210107203A KR20230024810A KR 20230024810 A KR20230024810 A KR 20230024810A KR 1020210107203 A KR1020210107203 A KR 1020210107203A KR 20210107203 A KR20210107203 A KR 20210107203A KR 20230024810 A KR20230024810 A KR 2023002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ed
housing
seed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홍
Original Assignee
민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철홍 filed Critical 민철홍
Priority to KR102021010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810A/ko
Publication of KR2023002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4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ground-engaging whe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약실에 입실하기 앞서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해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하게 적립시키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양측에 절곡된 측면판이 일체로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고 저장된 씨앗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경사면부가 전면판에 근접되게 절곡되는 후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측면판에 횡설되고,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씨앗수용홈이 형성된 씨앗배출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 타측 하부에 횡설되는 제1회전샤프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주캐스터;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판에 고정된 제1지지플레이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보조캐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캐스터의 제1회전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에 노출되는 구동스프라켓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씨앗배출샤프트는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연동되는 제1종동스프라켓이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 내측면에는 경사면부의 끝단부와 이격되어 배출구를 형성하는 경사판이 결합되어 씨앗을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Seed accumulator for pollen sprayer}
본 발명은 개약실에 입실하기 앞서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해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한 두께로 살포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씨앗배출샤프트를 통해 하우징에 저장된 씨앗을 균일하게 살포하여 건조판에 적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클린수단을 통해 씨앗배출샤프트에 형성된 씨앗수용홈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뭉침방지수단을 통해 덩어리로 뭉친 씨앗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계속에서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화분(꽃가루)은 씨앗 채취 -> 개약(開葯) → 정선(精選) → 화분포장 등의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
정선(精選) 공정은 화분 이외에 수술대나 쭉정이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에 대한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04-0049865호('꽃가루의 불순물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 개약(開葯)은 개약실에서 씨앗을 발아시켜 화분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 때 개약실에 입실하기 앞서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해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한 두께로 살포하는 적립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건조판에 씨앗을 손으로 고루 펼치거나, 밀판과 같은 도구로 씨앗을 펼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건조판에 씨앗이 고루 펼쳐지지 않고 부분적으로 뭉친 상태로 개약실에 입실되어 씨앗의 일부분이 발아되지 않아 화분의 채취량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98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한 두께로 살포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클린수단을 통해 씨앗배출샤프트에 형성된 씨앗수용홈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뭉침방지수단을 통해 덩어리로 뭉친 씨앗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계속에서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개약실에 입실하기 앞서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해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하게 적립시키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양측에 절곡된 측면판이 일체로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고 저장된 씨앗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경사면부가 전면판에 근접되게 절곡되는 후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측면판에 횡설되고,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씨앗수용홈이 형성된 씨앗배출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 타측 하부에 횡설되는 제1회전샤프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주캐스터;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판에 고정된 제1지지플레이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보조캐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캐스터의 제1회전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판에 노출되는 구동스프라켓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씨앗배출샤프트는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연동되는 제1종동스프라켓이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 내측면에는 경사면부의 끝단부와 이격되어 배출구를 형성하는 경사판이 결합되어 씨앗을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손잡이가 고정되는 제2지지플레이트가 더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폭을 조절하는 격판이 더 결합되되, 상기 격판은 하단에 상기 씨앗배출샤프트에 근접되는 호형의 함몰구가 더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할 할 수 있게 구성되고,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면 상단에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가로질러 체결되는 한쌍의 손잡이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는 씨앗수용홈을 청소할 수 있도록 씨앗배출샤프트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클린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씨앗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씨앗배출샤프트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뭉침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클린수단은 전면판의 하부에 형성된 격실을 가로질러 상기 격실에 수용된 스프링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탄력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타단에 결합되어 씨앗수용홈와 접촉되는 브러쉬와, 상기 승강판의 끝단에 접촉되는 캠을 갖는 캠샤프트로 구성되되, 상기 캠샤프트는 상기 측면판에 노출되어 제1종동스프라켓과 연동되는 제2종동스프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뭉침방지수단은 씨앗배출샤프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측면판에 횡설되는 제2회전샤프트와, 상기 제2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핀봉 및 교반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샤프트의 핀봉과 교반날개는 상호 간 어긋 나게 2열 배치되고, 상기 측면판에 노출되어 구동스프라켓과 연동되는 제3종동스프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에 따르면, 빠른 시간에 씨앗을 뭉침 없이 일정 두께로 건조판에 살포할 수 있어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고, 이에 따라 화분의 채취량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린수단을 통해 씨앗배출샤프트에 형성된 씨앗수용홈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씨앗의 살포량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뭉침방지수단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뭉친 씨앗을 알갱이로 분리시켜 뭉친 씨앗이 하우징에서 계속해서 잔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씨앗배출샤프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발췌된 뭉침방지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발췌된 클린수단의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적립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씨앗배출샤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에는 개약실에 입실하기 앞서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해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한 두께로 살포하여 적립시키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우징(10)과, 씨앗배출샤프트(20)와, 주캐스터(30)와, 보조캐스터(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씨앗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을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11)은 양측에 절곡된 측면판(111)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후면판(12)은 상기 측면판(111)과 결합되고 씨앗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면부(121)가 전면판(11)에 근접되게 절곡되어 바닥판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전면판(11) 내측면에는 별도의 경사판(113)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경사판(113)은 경사면부(121)의 끝단부와 이격되게 결합되어 씨앗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3)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부(121)와 경사판(113)은 하우징(10)의 상부로 투입된 씨앗이 배출구(13)를 향하도록 미끄러져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씨앗배출샤프트(20)는 배출구(13) 상에 회전가능하게 측면판(111)에 횡설되고, 원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는 씨앗수용홈(21)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씨앗수용홈(21)은 하우징(10)에 저장된 씨앗을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배출구(13)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씨앗수용홈(21)은 실시예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다수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씨앗의 배출은 씨앗배출샤프트(20)가 회전하면 경사면부(121)의 간섭에 의해 씨앗수용홈(21)에 수용되지 않은 씨앗은 선별하여 배출하지 않게 되고, 씨앗수용홈(21)에 수용된 씨앗은 경사면부(121)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됨으로, 이는 결국 씨앗수용홈(21)에 수용된 씨앗만이 배출구(13)를 통해 낙하되기 때문에 건조판의 살포되는 씨앗을 균일한 두께로 적립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주캐스터(30)는 상기 측면판(111) 타측 하부에 횡설되는 제1회전샤프트(31)의 양측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샤프트(31)는 측면판(111)에 노출되는 구동스프라켓(311)이 축설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후면판(12)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22a)가 고정되는 제2지지플레이트(122)가 더 결합되어 있어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를 강제 주행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씨앗배출샤프트(20)는 상기 구동스프라켓(311)과 체인(C)을 통해 연동되는 제1종동스프라켓(22)이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1)에 고정된 제1지지플레이트(41)를 매개로 보조캐스터(40)가 결합되어 있어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의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사이에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폭을 조절하는 격판(14)이 더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격판(14)은 씨앗이 배출되는 폭을 조절하여 건조판의 크기에 맞게 씨앗이 배출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격판(14)은 하단에 상기 씨앗배출샤프트(20)에 근접되는 호형의 함몰구(141)가 더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분할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판(14)은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면 상단에는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H)을 가로질러 체결되는 한쌍의 손잡이볼트(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판(14)은 1개 또는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H)을 따라 손잡이볼트(142)를 슬라이딩 이송시켜 격판(14)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볼트(142)를 가압하여 격판(14)을 고정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술된 제1실시예의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는 씨앗을 균일하게 건조판에 살포하여 개약실에 투입된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판의 너비에 따라 씨앗의 살포 범위를 격판(14)을 이용해 조절하여 씨앗이 건조판에서 벗어나 살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발췌된 뭉침방지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발췌된 클린수단의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제2실시예의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는 씨앗수용홈(21)을 청소할 수 있는 클린수단(5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저장된 씨앗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뭉침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클린수단(50)은 상기 씨앗수용홈(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씨앗수용홈(21)에서 낙하되지 않는 씨앗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클린수단(50)은 씨앗배출샤프트(2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재진입되는 씨앗수용홈(21)을 청소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린수단(50)은 전면판(11)의 하부에 형성된 격실(114)을 가로질러 상기 격실(114)에 수용된 스프링(114a)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탄력 설치되는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의 타단에 결합되어 씨앗수용홈(21)와 접촉되는 브러쉬(511)와, 상기 승강판의 끝단에 접촉되는 캠(521)을 갖는 캠샤프트(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샤프트(52)는 측면판(111)의 일측 하부에 횡설되어 지지되고, 상기 측면판(111)에 노출되어 제1종동스프라켓(22)과 체인(C)을 통해 연동되는 제2종동스프라켓(522)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클린수단(50)은 씨앗수용홈(21)에 씨앗이 끼이거나 이물질이 삽입되면 해당 부위에 씨앗이 배출되지 않은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씨앗수용홈(21)에 끼인 씨앗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린수단(50)은 주캐스터(30)의 주행에 의해 구동스프라켓(311)이 회전하면, 제1종동스프라켓(22)과 제2종동스프라켓(522)이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2종동스프라켓(522)의 회전에 의해 캠샤프트(5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샤프트(52)의 회전에 따라 캠(521)이 승강판(51)을 승강시켜 승강판(51)에 결합된 브러쉬(511)가 씨앗수용홈(21)에 끼인 씨앗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뭉침방지수단(6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저장된 씨앗의 뭉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뭉침방지수단(60)은 씨앗배출샤프트(20)의 상부에 이격되게 측면판(111)에 횡설되는 제2회전샤프트(61)와, 상기 제2회전샤프트(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핀봉(611) 및 교반날개(6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회전샤프트(61)의 핀봉(611)과 교반날개(612)는 상호 간 어긋 나게 2열 배치되어 구성되어 씨앗의 교반과 분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핀봉(611)은 씨앗을 알갱이로 분리시켜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교반날개는 씨앗을 상/하로 교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제2회전샤프트(61)의 단부에는 측면판(111)에 노출되어 구동스프라켓(311)과 체인(C)을 통해 연동되는 제3종동스프라켓(613)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뭉침방지수단(60)을 통해 하우징(10)에 저장된 씨앗이 뭉처 씨앗수용홈(21)에 수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뭉친 씨앗이 씨앗수용홈(21)에 수용되지 못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계속에서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제2실시예는 클린수단(50)을 통해 씨앗수용홈(21)을 청소하여 씨앗이 수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뭉침방지수단(60)을 통해 뭉친 씨앗이 하우징(10)에서 계속해서 잔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는 수동식으로 설명되었지만, 트렉에 건조판을 올려 놓고, 트렉을 따라 주행하는 주캐스터에 모터를 결합시켜 자동으로 주행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트렉의 양끝단에 센서를 구비하여 건조판 전체에 걸쳐 씨앗이 살포가 끝나면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하우징 11: 전면판 111: 측면판
113: 경사판 114: 격실
114a: 스프링 12: 후면판
121: 경사면부 122: 제2지지플레이트
122a: 손잡이 13: 배출구
H: 가이드홈 14: 격판
141: 함몰구 142: 손잡이볼트
20: 씨앗배출샤프트 21: 씨앗수용홈 22: 제1종동스프라켓
30: 주캐스터 31: 제1회전샤프트 311: 구동스프라켓
40: 보조캐스터 41: 제1지지플레이트
50: 클린수단 51: 승강판 511: 브러쉬
52: 캠샤프트 521: 캠
522: 제2종동스프라켓
60: 뭉침방지수단 61: 제2회전샤프트 611: 핀봉
612: 교반날개 613: 제3종동스프라켓
100: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C: 체인
200: 건조판 210: 씨앗

Claims (5)

  1. 개약실에 입실하기 앞서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해 건조판에 씨앗을 일정하게 적립시키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에 있어서,
    양측에 절곡된 측면판(111)이 일체로 형성된 전면판(11)과, 상기 측면판(111)과 결합되고 저장된 씨앗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3)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경사면부(121)가 전면판(11)에 근접되게 절곡되는 후면판(12)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측면판(111)에 횡설되고,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씨앗수용홈(21)이 형성된 씨앗배출샤프트(20);
    상기 하우징(10)의 측면판(111) 타측 하부에 횡설되는 제1회전샤프트(31)의 양측에 결합되는 주캐스터(30); 및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1)에 고정된 제1지지플레이트(41)를 매개로 결합되는 보조캐스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캐스터(30)의 제1회전샤프트(31)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면판(111)에 노출되는 구동스프라켓(3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씨앗배출샤프트(20)는 상기 구동스프라켓(311)과 연동되는 제1종동스프라켓(22)이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상기 전면판(11) 내측면에는 경사면부(121)의 끝단부와 이격되어 배출구(13)를 형성하는 경사판(113)이 결합되어 씨앗을 배출구(13)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2)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22a)가 고정되는 제2지지플레이트(122)가 더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사이에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폭을 조절하는 격판(14)이 더 결합되되,
    상기 격판(14)은 하단에 상기 씨앗배출샤프트(20)에 근접되는 호형의 함몰구(141)가 더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분할 할 수 있게 구성되고,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면 상단에는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H)을 가로질러 체결되는 한쌍의 손잡이볼트(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100)는 씨앗수용홈(21)을 청소할 수 있도록 씨앗배출샤프트(2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는 클린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저장된 씨앗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씨앗배출샤프트(2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뭉침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수단(50)은 전면판(11)의 하부에 형성된 격실(114)을 가로질러 상기 격실(114)에 수용된 스프링(114a)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탄력 설치되는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의 타단에 결합되어 씨앗수용홈(21)와 접촉되는 브러쉬(511)와, 상기 승강판(51)의 끝단에 접촉되는 캠(521)을 갖는 캠샤프트(52)로 구성되되,
    상기 캠샤프트(52)는 상기 측면판(111)에 노출되어 제1종동스프라켓(22)과 연동되는 제2종동스프라켓(5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뭉침방지수단(60)은 씨앗배출샤프트(20)의 상부에 이격되게 측면판(111)에 횡설되는 제2회전샤프트(61)와, 상기 제2회전샤프트(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핀봉(611) 및 교반날개(6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샤프트(61)의 핀봉(611)과 교반날개(612)는 상호 간 어긋 나게 2열 배치되고, 상기 측면판(111)에 노출되어 구동스프라켓(311)과 연동되는 제3종동스프라켓(6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KR1020210107203A 2021-08-12 2021-08-12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KR20230024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03A KR20230024810A (ko) 2021-08-12 2021-08-12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03A KR20230024810A (ko) 2021-08-12 2021-08-12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810A true KR20230024810A (ko) 2023-02-21

Family

ID=8532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203A KR20230024810A (ko) 2021-08-12 2021-08-12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48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865A (ko) 2001-10-10 2004-06-12 지리 토메크 꽃가루의 불순물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865A (ko) 2001-10-10 2004-06-12 지리 토메크 꽃가루의 불순물 제거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5178B1 (en) Rethreshing system for a combine
US7585213B2 (en) Auger trough clean-out door
JP2013009652A (ja) 播種機の繰出装置
US50706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ching of grass, leafage, or similar material
CN103348816A (zh) 一种毛豆收割机
CN109874581A (zh) 田地残膜回收装置
WO2001031992A2 (en) Modular dethatcher and seeder
EP0094036B1 (de) Erntebergungsvorrichtung für eine Saatgut-Erntemaschine
CN113795421B (zh) 用于甘蔗收割机的模块化框架组件和系统
KR20230024810A (ko)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KR20230039107A (ko) 화분 채취용 씨앗 적립기
CN109640619B (zh) 用于农作物收割机的作物残余物撒布器
RU2285380C2 (ru)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растений
US7121070B2 (en) Harvester
US3381455A (en) Peanut combine
CN109042549B (zh) 一种僵蚜自动化处理系统
CN115945302A (zh) 一种吡氟草胺原药生产用离心过滤系统
US5718629A (en) Machine for vining peas and the like
CN2701244Y (zh) 大豆联合收割机
KR200239362Y1 (ko) 고추 이물질 제거장치
CN214592853U (zh) 一种万寿菊种植用施肥装置
CN110791373A (zh) 一种菜籽油压榨设备
CN216873991U (zh) 一种双筛脱籽装置
CN212876647U (zh) 一种农业辅助播种装置
KR101140382B1 (ko) 수확한 농작물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