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640A -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640A
KR20230024640A KR1020210106648A KR20210106648A KR20230024640A KR 20230024640 A KR20230024640 A KR 20230024640A KR 1020210106648 A KR1020210106648 A KR 1020210106648A KR 20210106648 A KR20210106648 A KR 20210106648A KR 20230024640 A KR20230024640 A KR 20230024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ttress
mattresses
applic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205B1 (ko
Inventor
안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셀
Priority to KR102021010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매트리스를 적층하여 서로 접착시켜 다층 구조의 매트리스를 생산할 때, 접착제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매트리스 층의 완벽한 부착을 보장하며, 층과 층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들뜸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나아가 층과 층 사이를 정확하고 빠르게 부분 접착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접착 상태의 안정화 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대용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판, 상기 이송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매트리스 안착부를 형성하되 지지부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처짐 공간부를 갖는 지지판을 포함한 매트리스 이송유닛; 상기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도포롤러, 상기 도포롤러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수단을 포함한 접착제 도포유닛;을 포함하여, 접착제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매트리스의 상면 일부에 부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BONDING SYSTEM FOR MATTRESS}
본 발명은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매트리스를 적층하여 서로 접착시켜 다층 구조의 매트리스를 생산할 때, 접착제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매트리스 층의 완벽한 부착을 보장하며, 층과 층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들뜸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나아가 층과 층 사이를 정확하고 빠르게 부분 접착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접착 상태의 안정화 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대용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360719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소재의 매트리스를 상하로 적층시킨 다층 매트리스가 있다.
다층 매트리스는 각 층별 매트리스 소재의 특성이 혼합적으로 작용하여, 일반 단일 매트리스보다 더 뛰어난 쿠션감, 복원성(형상 유지), 항균, 항습, 탈취 작용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층 매트리스는 소재의 특성 상, 상하로 적층된 매트리스들이 서로 접착제로 접착되어 생산되는데,
종래의 다층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접면 전체에 접착제가 도포됨에 따라 통기성이 떨어지고, 접착층으로 인해 쿠션감 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면 접착으로 인한 접착제의 소모량이 많고, 접착 영역이 넓어서 면과 면을 완전하게 접착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적층된 매트리스들을 테두리부를 포함한 일부 영역에만 접착라인을 형성하여, 매트리스들을 부분 접착시킨 다층 매트리스가 전면 접착된 다층 매트리스보다 접착제 소모량이 적음은 물론, 기능성 측면에서 더 뛰어나다.
그런데 종래의 다층 매트리스 생산에 있어 매트리스들의 부분 접착을 위해선, 별도의 접착제 도포기를 접착라인을 따라 좌표 이동시켜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거나, 프레스 설비를 이용해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였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접착제 도포 라인을 정확하고 동일하게 형성하기 어렵고, 사이즈가 다른 매트리스를 생산할 때 도포기의 세팅 변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트리스 이송 중 매트리스의 부분 돌출을 이용한 접착제의 부분 도포를 통해, 접착제의 부분 도포 라인을 정확하고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접착제 도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다층 매트리스 생산 시 소모되는 접착제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매트리스 층의 완벽한 부착을 보장함은 물론, 층과 층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들뜸 방지 및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고, 접착 상태의 안정화 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대용량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판, 상기 이송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매트리스 안착부를 형성하되 지지부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처짐 공간부를 갖는 지지판을 포함한 매트리스 이송유닛;
상기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도포롤러, 상기 도포롤러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수단을 포함한 접착제 도포유닛;을 포함하여,
접착제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매트리스의 상면 일부에 부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서,
상기 매트리스 이송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처짐 공간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위치 이동 가능한 지지분체로 이루어진 공간 메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은 상기 이송판의 이동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도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공급수단은 접착제 노즐부가 상기 한 쌍의 도포롤러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도포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서,
상기 베이스에서 배출된 매트리스가 적층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한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승하는 매트리스들을 가압하는 압착부를 포함한 매트리스 접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은,
지지부와 처짐 공간부를 갖는 지지판으로 매트리스 안착부를 형성하여, 매트리스 안착 시 지지부에 지지된 매트리스의 상면 일부만을 부분 돌출시켜, 매트리스의 돌출부에만 접착제가 도포되게 함으로써, 접착제의 부분 도포 라인을 정확하고 동일하게 형성하여, 매트리스의 접착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다층 구조의 매트리스 생산 시 접착제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매트리스들의 완벽한 접착을 보장하며, 접착 면적을 최소화하여 매트리스들을 정확하고 빠르게 부분 접착할 수 있으면서, 매트리스들 사이에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처짐 공간부에 결합된 공간 메움판의 지지분체들을 위치 이동시켜, 매트리스에 대한 지지 부위를 가변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매트리스를 쉽고 빠르게 부분 접착시켜 생산할 수 있고,
한 쌍의 도포롤러로 접착제가 이중 도포되게 하여 정확도를 높이면서, 도포롤러들 사이로 접착제를 공급하여 접착제의 미도포가 발생하지 않으며,
접착제가 부분 도포된 매트리스들을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리프트부로 매트리스를 상승시켜 압착부로 가압되게 하여, 적층된 매트리스들이 보다 견고하게 부분 접착되어 매트리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접착 상태의 안정화 작업 시 복수개의 다층 매트리스를 동시 실시하여 대용량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요부 평면도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부분 도포 작업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메움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매트리스(M)를 상하로 적층한 다층 매트리스를 생산하기 위한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매트리스 이송유닛(10), 접착제 도포유닛(20), 매트리스 접착유닛(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매트리스 이송유닛(10)은,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판(12), 상기 이송판(12)의 상면에 결합되어 매트리스 안착부(131)를 형성하되 지지부(132)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처짐 공간부(133)를 갖는 지지판(1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과, 상기 이송판(1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된 것으로, 통상의 매트리스 좌우 너비 대비 2배 이상의 전후 길이를 갖게 제작된다.
이러한 베이스(11)의 중앙에는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20)이 설치되어,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20)의 후방측이 매트리스 투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20)의 전방측이 매트리스 배출부를 형성하며, 베이스(11)의 매트리스 배출부 전방에 상기 매트리스 접착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판(12)은 매트리스(M)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판상 부재로써, 매트리스(M)의 최대 사이즈(예를 들어 킹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송판(12)은 상기 베이스(11)의 가이드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상기 지지판(13)은 상기 이송판(12)의 상면에 결합되어 접착제 부분 도포 라인에 대응하는 매트리스(M)의 상면 일부를 상부로 부분 돌출시키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매트리스(M)의 최대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의 지지판(13) 내측에 전후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처짐 공간부(133)가 좌우로 이격하게 배열되어 지지판(13)의 지지부(132)가 형성된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처짐 공간부(133)의 배열 형태, 개수 등(즉 지지부(132)의 전체 모양)에 제한이 없다.
다만 후술하는 공간 메움판(14)의 활용을 위해 상기 처짐 공간부(133)는 매트리스(M)의 전후 또는 좌우 너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지지판(13), 즉 지지부(132)의 두께를 과장되게 두껍게 도시하였음을 밝힌다.
이러한 지지판(13)의 매트리스 안착부(131)에 매트리스(M)를 정확히 맞추어 안착시키면, 안착부(131)의 매트리스(M)는 상기 지지부(132)의 상면에 지지됨에 따라, 매트리스(M)의 소재 특성 상 지지부(132)에 지지되지 않은 부위가 처짐 공간부(133) 내부로 처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32)의 모양에 대응하는 매트리스(M)의 상면 일부만이 상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어, 상기 이송판(12)에 의해 매트리스(M)가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20)을 지날 때, 매트리스(M)의 상면 돌출부(Ma)에만 접착제(G)가 도포되고, 매트리스(M)의 상면 함몰부(Mb)에는 접착제(G)가 도포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매트리스 이송유닛(10)은 상기 지지부(132)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처짐 공간부(13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위치 이동 가능한 지지분체(141)로 이루어진 공간 메움판(14)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 메움판(14)의 각 지지분체(141)는 상기 처짐 공간부(133)의 좌우 너비에 대응하면서 상기 처짐 공간부(133)의 길이보다 짧은 면적의 판상 부재로써, 상기 이송판(12)의 테두리 지지부(132)와 동일한 너비를 갖게 제작된다.
이러한 지지분체(141)는 상기 처짐 공간부(133)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매트리스(M)의 사이즈에 맞춰 지지분체(141)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매트리스(M)의 후단측 테두리에 상기 상면 돌출부(Ma)가 형성되게 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판(13)이 킹사이즈의 매트리스 크기에 대응할 때, 킹사이즈의 매트리스 생산 시에는 상기 지지분체(141)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3)만을 사용하여, 킹사이즈의 매트리스가 지지부(132)에 의해 부분 돌출되게 하고,
킹사이즈 보다 작은 퀸사이즈, 더블 사이즈, 싱글 사이즈 등의 매트리스를 생산할 경우, 상기 지지분체(141)들을 처짐 공간부(133)에 장착한 후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맞게 지지분체(141)들의 위치를 이동하여 고정시키면, 해당 사이즈의 매트리스가 지지부(132) 및 지지분체(141)들에 의해 부분 돌출되어,
접착제 도포 라인을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맞춰서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20)은, 상기 베이스(11) 상부에 구비된 도포롤러(21), 상기 도포롤러(21)에 접착제(G)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수단(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유닛(20)은, 상기 베이스(11)의 중앙부 양측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포롤러(21)는 매트리스(M)의 좌우 너비와 동일하거나 더 큰 길이를 갖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이송판(12)의 이동 속도에 맞춰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포롤러(21)는 상기 이송판(12)의 이동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도포롤러(21)로 구성되며,
한 쌍의 도포롤러(2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연동한다.
상기 접착제 공급수단(22)은 하부로 접착제(G)를 토출시키는 노즐부(221)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노즐부(221)의 상측에 접착제 용기이나 접착제 공급라인이 연결되어 일정량의 접착제(G)를 하부의 도포롤러(21)에 도포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 공급수단(22)은 접착제 노즐부(221)가 상기 한 쌍의 도포롤러(21)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도포롤러(2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노즐부(221)가 상기 한 쌍의 도포롤러(21)들이 접한 틈새를 향해 배치되어 프레임을 따라 좌우 이동하면서 일정량의 접착제(G)를 하부의 도포롤러(21)들 사이로 토출한다.
이와 동시에 도포롤러(21)들이 회전하면 도포롤러(21)들의 외주면에 접착제(G)가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며, 이렇게 도포롤러(21)의 외주면에 접착제(G)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도포롤러(21)들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이송판(12)에 의해 매트리스(M)가 도포롤러(21)들 하부를 통과하면, 매트리스(M)의 상면 돌출부(Ma)에만 접착제(G)가 도포된다.
이렇게 접착제(G)가 도포된 매트리스(M)를 상하로 적층하게 되면, 매트리스(M)들은 테두리부 일부 영역을 포함한 접착제 도포 라인만이 접착됨에 따라, 매트리스(M)들의 접면 전체가 접착되지 않고 부분 접착되어 매트리스(M)들 사이의 통기성 등이 보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매트리스 접착유닛(30)은, 상기 베이스(11)에서 배출된 매트리스(M)가 적층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한 리프트부(31)와, 상기 리프트부(3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승하는 매트리스(M)들을 가압하는 압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부(31)는 상기 매트리스(M)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갖는 판상 부재로써, 모터나 실린더 등의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승강한다.
이러한 리프트부(31)는 작업자가 접착제(G)가 도포 완료된 매트리스(M)를 올리면, 매트리스(M)의 두께만큼 하강하여, 다음 매트리스(M)의 적층을 쉽게 한다.
상기 압착부(32)는 상기 리프트부(31)에 대응하는 크기로 리프트부(31)의 상부 소정 높이(예를 들어 천장 등)에 고정, 설치되며, 매트리스(M) 가압을 위한 경질 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부(31)에 매트리스(M)들의 적층이 완료되면(다층 매트리스의 최상부 매트리스는 접착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2개 이상의 다층 매트리스가 적층되어도 무관함), 상기 리프트부(31)가 상승하고,
상기 리프트부(31)의 상승으로 최상단 다층 매트리스의 상면이 상기 압착부(32)에 접촉하면, 상기 리프트부(31)의 가압으로 리프트부(31)와 압착부(32) 사이의 다층 매트리스가 압착되면서, 매트리스(M)들 간의 접착이 보다 견고하게 완료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매트리스를 적층하여 서로 접착시켜 다층 구조의 매트리스를 생산할 때, 접착제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매트리스 층의 완벽한 부착을 보장하며, 층과 층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나아가 층과 층 사이를 정확하고 빠르게 부분 접착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접착 상태의 안정화 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대용량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간 메움판(14)의 지지분체(141)들은 처짐 공간부(133)들 사이의 지지부(132)에 의해 서로 분리된 형태로써 지지분체(141)들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켜야 부분 도포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판(12)은 인접한 처짐 공간부(133)들 사이에 배열된 지지부(132)의 저면을 따라 오목 형성되어 처짐 공간부(133)들을 서로 연통되게 하는 가이드홈(134)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 메움판(14)은 상기 가이드홈(134)에 끼워져 각 처짐 공간부(133)의 지지분체(141)들을 연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134)은 소정 깊이로 지지부(132)의 저면 일부가 절삭 가공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판(13)이 상기 이송판(12)의 상면에 결합되었을 시, 상기 가이드홈(134)이 이송판(12)의 상면 상부로 이격되어 인접한 처짐 공간부(133)들 사이가 연통되며, 이때 상기 이송판(12)에 대하여 상기 지지판(13)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면, 상기 공간 메움판(14)의 탈착이 가능해진다.
상기 연결부(142)는 각 지지분체(141)의 좌우 양측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가이드홈(134)의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공간 메움판(14)은, 좌우 최외측에 배열된 지지분체(141)를 잡고 이동시키면, 나머지 지지분체(141)들도 연결부(142)에 의해 함께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지지분체(141)들의 이동 후 고정 위치가 항상 동일선 상에 유지됨에 따라, 매트리스(M)의 사이즈 변경으로 인한 지지분체(141)들의 위치 조정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매트리스 Ma : 상면 돌출부
Mb : 함몰부 G : 접착제
10 : 매트리스 이송유닛 11 : 베이스
12 : 이송판 13 : 지지판
131 : 안착부 132 : 지지부
133 : 처짐 공간부 14 : 공간 메움판
141 : 지지분체 20 : 접착제 도포유닛
21 : 도포롤러 22 : 접착제 공급수단
221 : 노즐부 30 : 매트리스 접착유닛
31 : 리프트부 32 : 압착부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판, 상기 이송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매트리스 안착부를 형성하되 프레임부의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처짐 공간부를 갖는 지지판을 포함한 매트리스 이송유닛;
    상기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도포롤러, 상기 도포롤러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수단을 포함한 접착제 도포유닛;을 포함하여,
    접착제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된 매트리스의 상면 일부에 부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이송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처짐 공간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위치 이동 가능한 분체들로 이루어진 공간 메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유닛은 상기 이송판의 이동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도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공급수단은 접착제 노즐부가 상기 한 쌍의 도포롤러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도포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서 배출된 매트리스가 적층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한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승하는 매트리스들을 가압하는 압착부를 포함한 매트리스 접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KR1020210106648A 2021-08-12 2021-08-12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KR10253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648A KR102534205B1 (ko) 2021-08-12 2021-08-12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648A KR102534205B1 (ko) 2021-08-12 2021-08-12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40A true KR20230024640A (ko) 2023-02-21
KR102534205B1 KR102534205B1 (ko) 2023-05-26

Family

ID=8532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648A KR102534205B1 (ko) 2021-08-12 2021-08-12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633A (ko) * 2003-12-31 2006-12-19 드림웰, 리미티드 봉입형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KR20100011041U (ko) * 2009-05-01 2010-11-10 지상정밀 주식회사 유리 외장재 부착장치
KR20110018134A (ko) * 2009-08-17 2011-02-23 이광복 황토볼이 내장된 온열매트
KR20130032011A (ko) * 2011-09-22 2013-04-01 안정호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5874A (ko) * 2014-06-19 2015-12-31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를 기판에 도포시키는 도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접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633A (ko) * 2003-12-31 2006-12-19 드림웰, 리미티드 봉입형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KR20100011041U (ko) * 2009-05-01 2010-11-10 지상정밀 주식회사 유리 외장재 부착장치
KR20110018134A (ko) * 2009-08-17 2011-02-23 이광복 황토볼이 내장된 온열매트
KR20130032011A (ko) * 2011-09-22 2013-04-01 안정호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5874A (ko) * 2014-06-19 2015-12-31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를 기판에 도포시키는 도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접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05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145B1 (ko) 다층 성형을 위한 분말 성형 장치 및 분말 성형 방법
WO2010047069A1 (ja) 圧縮成形方法及び装置
CN108349151A (zh) 热成型装置以及热成型方法
KR102534205B1 (ko) 매트리스 적층용 부분 접착 시스템
CN111906918A (zh) 陶瓷压制模具、压制装置以及运用该装置的陶瓷生产工艺
EP3138682A1 (en) Thermoforming apparatus
CN102211438B (zh) 一种采用同步对纹定位方法的浸渍胶膜纸饰面人造板制作工艺
CN110449318B (zh) 一种整体厨浴饰板柔性集成生产系统
CN105538436A (zh) 一种实木多层板弯背制作方法
US20200398513A1 (en) Cardboard box dividing device and cardboard box production device
US20150027630A1 (en) Automated door assembly, press, and adhesive therefor
CN205634156U (zh) 多层烘干补胶大理石板材生产线
KR102117439B1 (ko) 골판지박스의 접착제 도포장치
KR100709393B1 (ko) 절삭/연마 공구용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214644467U (zh) 一种胶合板加工用涂胶装置
CN103619576B (zh) 具有夹层结构的冲压板或循环带
KR20120010125A (ko) 절삭 입자들을 배치하기 위한 장치
CN103168371A (zh) 用于制造转换薄板的方法和转换薄板
CN104786288B (zh) 三明治刀模的制作方法、三明治刀模及三明治钢模
CN105459305A (zh) 一种多层式轮胎硫化机的自动脱模机构
JP6050074B2 (ja) 多段式のコールドプレス
CN207523115U (zh) 多道翻折蜂窝板模具
CN206122479U (zh) 一种冲型折线模具
CN207386346U (zh) 一种拉伸模具用活动座结构
CN212123678U (zh) 粉料送料盒及采用该粉料送料盒的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