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97A -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 Google Patents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197A
KR20230024197A KR1020220076341A KR20220076341A KR20230024197A KR 20230024197 A KR20230024197 A KR 20230024197A KR 1020220076341 A KR1020220076341 A KR 1020220076341A KR 20220076341 A KR20220076341 A KR 20220076341A KR 20230024197 A KR20230024197 A KR 2023002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ystem
organic
inorganic hybrid
present
hyalu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오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2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des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a polysaccharide, e.g. starch, chitosan, chitin, cellulose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POSS 및 항암제가 결합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상기 POSS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그래프트된 것이고, 상기 항암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된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더 관련된다.

Description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ORGANIC-INORGANIC HYBRID NANO-DRUG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더 관련된다.
표적 질환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와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전달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기존에 개발된 약물을 기반으로 하여 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 연구 분야가 그 중 한 가지이다. 약물전달 시스템은, 약물을 원하는 표적에 효율성 있게 전달하여 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임과 동시에 효능을 최대치로 끌어 올리는 목적을 가지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새로운 약물 전달 시스템 또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히알루론산은,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안전성 등의 장점 때문에 약물전달 시스템에서 널리 연구되어 왔다. 히알루론산은, 생체 내 면역반응이 거의 없어 거부반응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문제를 보이지 않는 생체적합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은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혈액 내의 히알루론산 효소인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에 의해 생분해되기 때문에 약물 전달체, 조직공학용 지지체 등 생체 재료로 유용하다. 히알루론산은, 암세포 또는 전이암세포 표면에서 과발현되는 CD44, RHAMM(Receptor for hyaluronan-mediated motility)과 결합하여 엔도사이토시스를 통해 세포 내 흡수(internalization)되며, 리소좀과 같은 낮은 pH 환경에서 분해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히알루론산 성질을 활용하고 보완하여 암세포나 전이암세포에 대한 표적화 효과를 가지며 항암제의 세포 내 흡수율을 향상시키고, 표적 세포 내에서 효과적인 약물 전달 및 방출을 달성시킬 수 있는 신규한 히알루론산-항암제 복합체를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인 항암제, 면역항암제 등을 히알루론산 기반 전달 시스템(HA(hyaluronic acid)-graft-POSS)에 화학결합(예: 디설파이트 결합)시킨, 신규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OSS(polyoligomeric silsesquioxane) 및 항암제가 결합된 히알루론산; 을 포함하고, 상기 POSS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그래프트된 것이고, 상기 항암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된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암제는, 분자 내 아민기,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암제는, 세포독성항암제, 표적항암제, 및 면역세포항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두아노루비신(daunorubicin), 발루비신(val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캠토세신(camptothe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5-플루오로우라실(5-FU), 마이토마이신(mitomycin),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미토산트론(mitoxantron), 토포테칸(topoteca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이리노테칸(irinotecan), 테가퍼(tegafur),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벨로테칸(belotecan), 아나스테로졸(anasterozole), 타목시펜(tamoxifen), 글리벡(gleevec), 플록슈리딘(floxuridine), 류프로리드(leuprolide), 플로타미드(flutamid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cin), 비노렐빈(vinorelbine), 히도록시우레아(hydroxyurea),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메클로레타민(meclorethamine), 부술판(Busulfan), 프레드니손(Prednisone),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아스피린(aspirin),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로센(naproxen), 페노프로펜(fen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페닐부타존(phenyltazone), 메클로에타민(mechloretham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셀레콕시브(celecoxib), 발데콕시브(valdecoxib), 니메슐리드(nimesulide), 코르티손(cortis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젬시타빈(gemcitabine), 세드롤(cedrol) 등 및 이들의 유도체; 표적항암제; 및 면역세포항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암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 내 카르복실기와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HA-COO-S-S-항암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g/mol)은, 5,00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 대 상기 POSS의 질량비는, 10 : 0.1 내지 10 : 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 대 상기 항암제의 질량비는, 10 : 1 내지 10 : 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암제는,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중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00 n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로 흡수되고, 상기 세포 내 환경에서 분해되거나 또는 상기 세포 내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효소, 생체 물질 또는 이 둘에 의해서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상기 세포 내 티올계 생체물질, pH 산성영역의 환경 또는 이 둘에 의해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및 담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나노약물 전달체는, 상기 조성물 중 0.0001 중량% 내지 99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알루론산 및 히드록시기로 말단화된 POSS를 용액 환경에서 반응시켜 POSS를 그래프트하는 단계;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HS(N-hydroxysulfosuccinimide)를 투입하여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시스타민(Cystamine)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 상기 히알루론산에 항암제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반응 혼합물을 투석하고 유무기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기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프트하는 단계는, 10 내지 80 온도 및 5 내지 24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각각, 10 내지 80 온도 및 5 내지 24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 항암제(예: 독소루비신(DOX)), 면역항암제 등을 히알루론산 기반 전달 시스템(HA(hyaluronic acid)-graft-POSS)에 화학결합(예: 디설파이트결합)시킨, 신규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제공하고,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암 미세환경에 많이 존재하는 티올류(예: 글루타티온)에 의해 화학결합(예: 디설파이트 결합)이 끊어지면서 약물이 방출되므로, 표적세포(예: 암 세포, 종양 세포 등)에 효과적인 약물 전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암 세포의 CD44, RHAMM과 결합하여 엔도사이토시스를 통해 세포 내 흡수(internalization)되며, 리소좀과 같은 낮은 pH 환경(예: 산성 환경)에서 분해되므로, 표적 세포로 효과적인 약물 전달 및 방출을 위한 약물 전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FT-IR 스펙트럼 및 (b) 열분석(TG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열분석(TG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a) SEM 이미지 및 (b) 입도 분석 결과(예: 입자 사이즈 히스토그램)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a) GSH 없는 환경 및 (b) GSH 환경 내에서 TEM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GSH 환경 내에서 제타포텐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세포 독성 시험 결과 및 세포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예: POSS-graft-HA-ss-DOX NPs)의 세포 독성 시험 이후의 세포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POSS(폴리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 polyoligomeric silsesquioxane) 및 항암제가 결합된 히알루론산; 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활성종양, 암 및/또는 과대성장 세포 표적화를 위한 약물 전달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은 생체적합성 물질로서 세포 외에서는 항암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표적 세포로 흡수될 경우에 표적 세포 내의 환경(예: 산성 환경)에서 분해되어 항암제를 방출할 수 있는 고분자 약물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g/mol)은 5,000 이상; 10,000 이상; 500,000 이상; 또는 5,000 내지 500,000인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 중량평균 분자량 또는 중합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을 적용할 경우에 POSS와 결합을 통해 나노약물 전달체 내에서 항암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표적 세포 내로 이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고분자 기반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POSS(폴리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 polyoligomeric silsesquioxane)는 3차원 구조, 나노 크기, 낮은 세포 독성, 효율적인 세포 흡수 및 높은 용해도로 인해 생체 적합성 약물 운반체로서 약물 전달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강한 약물로딩 및 발현을 제공하므로 단독 히알루론산(HA) 만으로는 구성된 약물 전달 플랫폼 보다 약물로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에서 상기 POSS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그래프트(이하, POSS 그래프트된 히알루론산)된 것이고, 상기 항암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화학결합(예: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POSS는 표적 세포의 미세환경 내에서 약물 방출을 위한 화학결합(예: 디설파이트 결합)의 파괴를 신속하고 민감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히알루론산과 화학결합 사이트(예: 디설파이트 사이트)의 반응 공간을 넓여 주고, 약물 방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POSS는 하이드록실기 말단화된 POSS-OH이며,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 알킬,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POSS는,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중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 포함되면 분자량이 높은 히알루론산의 암미세환경과의 계면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암제는 상기 POSS 그래프트된 히알루론산에 화학결합(예: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며, 상기 항암제의 함량은 상기 POSS 그래프트된 히알루론산의 결합 부위(예: 카르복실기) 개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상기 항암제의 함량은 상기 나노약물 전달체의 용도 및 항암제의 종류에 따라 약물 전달 및 방출 효율(또는, 로딩 효율)뿐만 아니라 치료 목적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상기 항암제의 함량은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중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중 상기 히알루론산 대 상기 항암제의 질량비는 약 1 : 0.0001 내지 1 : 0.5; 약 1 : 0.001 내지 1 : 0.1; 약 1 : 0.01 내지 1 : 0.5; 또는 약 1 : 0.1 내지 1 : 0.5;인 것일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1 : 0.1 내지 1 : 0.5 (또는, 10 : 1 내지 10 : 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항암제는 디설파이트 결합이 가능한 치환기를 갖거나 이러나 치환기로 치환, 교체 또는 도입하여 POSS 그래프트된 히알루론산에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치환기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항암제가 적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상기 항암제는 세포독성항암제, 표적항암제, 및 면역세포항암제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적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두아노루비신(daunorubicin), 발루비신(val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캠토세신(camptothe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5-플루오로우라실(5-FU), 마이토마이신(mitomycin),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미토산트론(mitoxantron), 토포테칸(topoteca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이리노테칸(irinotecan), 테가퍼(tegafur),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벨로테칸(belotecan), 아나스테로졸(anasterozole), 타목시펜(tamoxifen), 글리벡(gleevec), 플록슈리딘(floxuridine), 류프로리드(leuprolide), 플로타미드(flutamid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cin), 비노렐빈 (vinorelbine), 히도록시우레아(hydroxyurea), 레티노익산 (retinoic acid), 메클로레타민 (meclorethamine), 부술판(Busulfan), 프레드니손 (Prednisone),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아스피린 (aspirin),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로센(naproxen), 페노프로펜(fen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페닐부타존 (phenyltazone), 메클로에타민 (mechlorethami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셀레콕시브(celecoxib), 발데콕시브 (valdecoxib), 니메슐리드 (nimesulide), 코르티손 (cortis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젬시타빈 (gemcitabine), 세드롤 (cedrol) 등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적항암제는, 허셉틴, 타이커브, 입렌스, 이레사, 타세바, 비짐프로, 슈텐, 넥사바, 얼비툭스, 글리벡, 수텐, 맙테라, 벨케이드, 타시그나, 스프라이셀, 베스폰사 등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면역세포항암제는, 지상세포치료제, T세 포치료제, NK세포치료제, B세포치료제, 콘드론, 홀로덤, 칼로덤, 뉴로나타-알주, 큐피스템, 카티스템, 하티셀그램-에이 엠아이, 큐어스킨, 퀸셀, 알엠에스 오스론 등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항암제는 암 세포, 종양 세포 및/또는 과대 성장 세포에 표적화하여 이들에 활성을 갖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이들의 생체 내 누적, 독성 부작용 등을 최소화하여 표적 세포로 운반하고 방출시킬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독소루비신(DOX)은 암 치료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항종양 활성을 갖는 항암제일 수 있다. 그러나, 독소루비신(DOX)이 누적되면 심장 독성으로 비가역적이며 심근병증 및 울혈성 심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산에 민감한 히드라존 결합을 통해 독소루비신(DOX)을 히알루론산 기반 전달 시스템(HA-drafted POSS)에 결합함으로써 히알루론산(HA)이 결합된 독소루비신(DOX)을 형성하고, 독소루비신(DOX)을 히알루론산에 결합시켜 독성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DOX)은 히알루론산(HA)와 디설파이트 결합(-S-S-)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설파이트 결합은 글루타티온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글루타티온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산화환원반응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로 일반 세포에서는 2-20 μM, 종양 세포에서는 1-10 mM로 상당한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세포 외 환경에서는 안정적으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내에 유지되지만 히알루론산에 의해 표적 세포(예: 종양 세포) 내 이입이 일어나면 표적 세포(예: 종양 세포) 내 높은 글루타티온 농도에 의해 HA-POSS 분자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분해되면서 DOX가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10 nm 이상; 약 500 nm 이하; 또는 약 1 nm 내지 약 500 nm일 수 있다. 상기 입자 크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표적세포의 미세환경에서 빠르고 민감하게 반응하여 약물 방출을 위한 디설파이드 결합의 파괴 반응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약물 전달 및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세포(예: 표적 세포) 내에 흡수되어 세포 내 환경에서 분해되거나 디설파이트 결합이 파괴되어 약물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예: 표적 세포) 내 환경에서 효소에 의해서 분해되거나 및/또는 상기 세포 내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효소, 생체 물질 또는 이 둘에 의해서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끊어지면서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종양, 암 및/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로 흡수되고, 상기 세포 내 환경에서 분해되거나 또는 상기 세포 내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효소, 생체 물질 또는 이 둘에 의해서 끊어지면서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로 흡수되고, 상기 세포 내 환경에서 분해되거나 또는 상기 세포 내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효소, 생체 물질 또는 이 둘에 의해서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할 수 있다. 어떠 예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에서 티올계 생체물질, pH 산성영역의 환경 또는 이 둘에 의해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올계 생체 물질은, 티올, 티올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예: Cys, Hcy 및 GSH)이고, 바람직하게는 GSH(글루타티온)일 수 있다. 상기 티올계 생체 물질은, 암, 종양 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에서 정상 세포에 비하여 높은 농도(예: 일반 세포에서는 2-20 μM, 종양 세포에서는 1-10 Mm)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H 산성영역은,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의 산성영역에 해당되고, 약 pH 7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4의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은, POSS(polyoligomeric silsesquioxane)를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단계;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히알루론산에 항암제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목적물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2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POSS를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단계는, 히알루론산에 POSS를 그래프트시킬 수 있다. 어떠 예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분자량(g/mol)이 5,000 이상; 10,000 이상; 500,000 이상; 또는 5,000 내지 500,000인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 중량평균 분자량 또는 중합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상기 POSS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로 말단화된 POS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및 히드록시기로 말단화된 POSS를 용매 내에 용해된 용액 환경에서 반응시켜 POSS를 상기 히알루론산에 그래프트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히알루론산 대 상기 POSS의 질량비(w/w)는, 약 1 : 0.001 내지 1 : 1 미만; 약 1 : 0.001 내지 1 : 0.5; 또는 약 1 : 0.01 내지 1 : 0.5; 일 수 있다. 어떤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1 : 0.01 내지 1 : 0.5 (또는, 약 10 : 0.1 내지 10 :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세포 외에서는 항암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세포 내에 효과적으로 이입이 이루어지고, 표적 세포 내의 환경에서 분해되어 항암제를 방출할 수 있는 고분자 약물 전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POSS는 하이드록실기 말단화된 POSS-OH이며,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 알킬,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단계는 10 ℃ 내지 80 ℃ 온도 및 충분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적절한 시간, 예를 들어, 1 시간 이상; 5 시간 이상; 10 시간 이상; 또는 24 시간 이상 동안 교반(예: 환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POSS를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반응 혼합물에 촉매, 예를 들어,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HS(N-hydroxysulfosuccinimide)를 투입하여 POSS가 그래프트된 히알루론산에서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0 ℃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0 ℃ 내지 50 ℃; 또는 15 ℃ 내지 40 ℃에서 충분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적절한 시간, 예를 들어, 1 시간 이상; 5 시간 이상; 10 시간 이상; 또는 1 시간 내지 20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반응물에 시스타민(Cystamine)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히알루론산 분자 내에 항암제 결합을 위한 디설파이드기(-S-S-)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디설파이드기는 “-S-S-” 형태의 결합(예: SS결합 또는 디설파이트 브리지)을 갖는 치환기, 작용기 또는 모이어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타민에 의해서 제1 카르복실기를 활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반응물에 시스타민을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히알루론산 분자 내에서 카르복실기에 결합된 디설파이트 결합을 갖는 치환기(HA-COO-S-S-R, R은 수소 또는 시스타민에서 유래된 치환기)를 형성할 수 있다. 항암제가 히알루론산의 디설파이트 결합에 연결되어 결합(예: HA-COO-S-S-항암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는, 0 ℃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0 ℃ 내지 50 ℃; 또는 15 ℃ 내지 40 ℃에서 충분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적절한 시간, 예를 들어, 1 시간 이상; 5 시간 이상; 10 시간 이상; 20 시간 이상; 또는 1 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 이후에 반응 혼합물에 촉매, 예를 들어,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HS(N-hydroxysulfosuccinimide)를 투입하여 제2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2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10 ℃ 내지 50 ℃; 15 ℃ 내지 40 ℃; 또는 상온 내지 30 ℃ 온도 및 30분 이상; 30 분 내지 24시간; 30 분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에 항암제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설파이드 결합을 도입하는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2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반응 혼합물에 항암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유무기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암제는 상기 반응 혼합물에 투입되고 0 ℃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0 ℃ 내지 50 ℃; 또는 15 ℃ 내지 40 ℃에서 충분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적절한 시간, 예를 들어, 1 시간 이상; 5 시간 이상; 10 시간 이상; 20 시간 이상; 또는 1 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를 투입하여 히알루론산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촉매, 예를 들어,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NHS(N-hydroxysulfosuccinimide)가 더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항암제는 디설파이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해서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등을 도입하는 전처리 공정이 더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암제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예: 시트르산, 말산, 말론산, 말레산, 아세트산, 아디프산, 옥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포름산, 푸마르산 등)을 실온에서 1시간 이상; 3 시간 이상; 또는 4 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반응 혼합물로 히알루론산과 결합을 위해서 다음 공정에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적물을 분리하는 단계는, 항암제가 결합된 유무기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분리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반응혼합물을 투석하여 유무기 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석 및 분리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적용 시 유효성분(예: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외에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이며, 이는 제제 분야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상기 조성물의 기능 및/또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담체는 유무기 매트릭스(예: 고분자 수지), 용매 등일 수 있다. 어떠 예에서 상기 담체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용 가능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항산화제, 완충액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문서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또는 경구 섭취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세포, 종양세포 및/또는 과증식 세포 관련 질병, 질환 및/또는 장애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에 이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을 위한 요법에서 표적 세포에 약물 전달 및 방출을 위한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암 세포, 종양 세포 및/또는 과증식 세포의 감소, 사멸 등을 유도하기 위한 치료 및/또는 요법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질병, 질환 및/또는 장애는, 두경부암, 유방암, 자궁암, 폐암, 방광암, 결장암, 전립선암, 신경아교종, 식도암, 위암, 뇌암, 직장암, 대장암, 피부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혈액암, 췌장암, 고환암, 후두암, 구강암, 갑상선암, 간암, 골육종, 골종양, 림프종, 백혈병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치료”란, 목적하는 질병, 질환 및/또는 장애의 완화 및/또는 개선을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행위(예: 요법)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료”는 암 세포 및/또는 종양의 생성, 성장을 억제하거나, 암의 침윤 및 전이, 재발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활동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투여”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또는, 표적세포)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또는 비경구투여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진피내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구강내 투여(점안, 구강점막 및 설하 투여를 포함하는), 비강내 투여, 기관지 투여(흡입 투여), 국소 투여, 질내 투여, 복강 내 투여 및 경막 내 투여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약물(예: 함암제)의 유효량을 고려하여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상기 조성물 중 0.0001 중량% 내지 99 중량%; 0.001 중량% 내지 99 중량%; 0.01 중량% 내지 99 중량%; 0.1 중량% 내지 80 중량%; 0.1 중량% 내지 5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5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유효량”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질환, 질병 및/또는 장애의 종류 및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및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및 투여 경로,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른 다양한 인자 및 의학 분야에서 알려진 인자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로 적용 시 1회 약 50 ml 내지 약 500 ml의 양으로 체내에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 간격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일 1회 내지 12회로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1일 12회 투여할 경우에는 약 2 시간마다 1회씩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 투여 시 단독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치료법, 예를 들어 화학요법제, 방사선 및 수술과 같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HA-100 mg, POSS-2.35 mg, Cystamine-7.53mg, H2SO4-1.4 μL, NHS/EDC-5.68 mg/7.66 mg, DOX, Citric acid-9.49 mg) DMF Base 40 ml에서 HA 100 mg과 H2SO4 1.4 Μ를 넣고 80 ℃에서 5 시간 동안 환류(reflux)를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MF Base 10ml에 POSS 2.35 mg을 넣고 교반(stirring) 진행 후 이 용액을 HA 및 H2SO4 혼합 용액에 한방울씩 떨어뜨린 후 4 시간동안 100 ℃에서 환류(reflux)를 진행한다. HA와 POSS 사이에 디설파이트 결합을 만들어 주기 위해 Cystamine을 이용한다. DMF Base 12 ml에 촉매 EDC 7.66 mg, NHS 5.68 mg을 먼저 녹이고 앞서 제조한 HA-POSS용액과 Cystamine 7.52 mg을 넣고 36.5 ℃에서 24 시간동안 교반(stirring)을 진행한다.
DOX-amine을 DOX-COOH로 바꿔주기 위해 카르복실기가 많은 Citric acid를 이용한다. DOX를 온전하게 다 사용하기 위해 DOX 10 mg에 DIW 4 ml를 넣어 용액으로 만든다. DIW Base 10 ml에서 DOX를 3 ml정도 사용하기 위해 앞서 만든 용액 중 1.3 ml를 첨가하고 citric acid 9.49 mg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stirring)을 진행한다. 그 후 HA-ss-POSS 용액에 DOX 및 citric acid를 첨가하고 촉매제 EDC/NHS를 넣어 5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stirring)을 진행한다. 반응이 끝난 POSS-HA-ss-DOX 용액을 DI water로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투석(MWCO 3,500D)해준다. 최종으로 만들어진 POSS-HA-ss-DOX 용액은 냉장보관한다.
실시예 2
DMF Base 25ml에 HA(Sodium hyaluronic acid) 100mg과 H2SO4 1.3 ㎕룰 넣고 80 °C에서 3시간 용해시킨다(이하, HA 및 H2SO4 용액). DMF Base 10 mL에 POSS-OH 2.3 mg을 넣고 교반(stirring) 진행 후 이 용액을 HA(분자량 또는 구입처/제품명) 및 H2SO4의 혼합 용액에 한방울 씩 떨어뜨린 후 4 시간동안 100 ℃에서 환류(reflux)를 진행한다(이하, HA-POSS 용액).
HA와 POSS 사이에 디설파이트 결합을 만들어 주기 위해 Cystamine을 이용한다. DMF Base 12 ml에 촉매 EDC 7.66 mg, NHS 5.68 mg을 먼저 녹이고 앞서 제조한 HA-POSS용액에 넣고 30분 교반하여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Cystamine 7.52 mg을 넣고 상온에서 4 시간 반응시킨다.
다음으로 EDC 7.66 mg과 NHS 5.68 mg 넣고 30분 교반하여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킨다(이하, HA-ss-POSS 용액).
DOX-amine을 DOX-COOH로 바꿔주기 위해 카르복실기가 많은 Citric acid를 이용한다. DOX를 온전하게 다 사용하기 위해 DOX 10 mg에 DIW 4 ml를 넣어 용액으로 만든다. DIW Base 10 ml에서 DOX를 3 ml정도 사용하기 위해 앞서 만든 용액 중 1.3 ml를 첨가하고 citric acid 9.49 mg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stirring)을 진행한다(이하, DOX 및 citric acid의 혼합 용액). 그 후 HA-ss-POSS 용액에 DOX 및 citric acid를 첨가하고 촉매제 EDC/NHS를 넣어 5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stirring)을 진행한다.
반응이 끝난 POSS-HA-ss-DOX 용액을 DI water로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투석(MWCO 3,500D)해준다. 최종으로 만들어진 POSS-HA-ss-DOX 용액은 냉장보관한다.
[Hyaluronic acid, Mw=11k]
Figure pat00003
(n은 1000 내지 10000)
[PSS-(2,3-Propanediol) propoxy-Heptaisobutyl substituted]
Figure pat00004
[Doxorubicin]
Figure pat00005
특성 분석
(1) 세포 독성 실험: HA-graft-POSS
ISO10993-5 Biocompatibility Testing 방법으로 세포 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POSS-graft-HA-ss-DOX NPs)의 FT-IR 스펙트럼에서 HA 및 POSS 관련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열분석에서 POSS-graft-HA-ss-DOX 가 HA, POSS와는 다른 열적거동을 보이며 낮은 열안정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POSS-graft-HA-ss-DOX NPs)의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DSC에서 HA이 합성되면서 Tm, Tc가 현저하게 상승하며 화학적으로 안정적으로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SEM 이미지 및 입도 분석 결과(입자 사이즈 히스토그램)를 나타낸 것이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POSS-graft-HA-ss-DOX NPs)는 SEM 이미지에서 나노입자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평균 입자 지름이 약 25.64 n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a) GSH 없는 환경 및 (b) GSH 환경 내에서 TEM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GSH가 없는 환경에서의 POSS-HA-ss-DOX NPs의 입자크기는 약 150 nm의 크기를 보였으며 GSH가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입자크기는 약 200~240 nm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GSH에 의해 disulfide bond가 끊어지면서 약물이 방출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POSS-HA-ss-DOX 복합체) 및 POSS를 포함하지 않는 나노약물 전달체(HA-ss-DOX 복합체)의 GSH 환경 내에서 제타포텐셜을 나타낸 것으로, 유무기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POSS-HA-ss-DOX 복합체)가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HA-graft-POSS의 세포 독성 시험 결과이고, 도 8은, 세포 독성 시험 이후 세포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즉, HA-graft-POSS는 640 ug/ml 농도까지 독성이 없음을 MTT assay와 현미경 촬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POSS(polyoligomeric silsesquioxane) 및 항암제가 결합된 히알루론산;
    을 포함하고,
    상기 POSS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그래프트된 것이고,
    상기 항암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에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된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분자 내 아민기,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세포독성항암제, 표적항암제, 및 면역세포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두아노루비신(daunorubicin), 발루비신(val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캠토세신(camptothe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5-플루오로우라실(5-FU), 마이토마이신(mitomycin),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미토산트론(mitoxantron), 토포테칸(topoteca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이리노테칸(irinotecan), 테가퍼(tegafur),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벨로테칸(belotecan), 아나스테로졸(anasterozole), 타목시펜(tamoxifen), 글리벡(gleevec), 플록슈리딘(floxuridine), 류프로리드(leuprolide), 플로타미드(flutamid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cin), 비노렐빈(vinorelbine), 히도록시우레아(hydroxyurea),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메클로레타민(meclorethamine), 부술판(Busulfan), 프레드니손(Prednisone),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아스피린(aspirin),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로센(naproxen), 페노프로펜(fen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페닐부타존(phenyltazone), 메클로에타민(mechloretham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셀레콕시브(celecoxib), 발데콕시브(valdecoxib), 니메슐리드(nimesulide), 코르티손(cortis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젬시타빈(gemcitabine), 세드롤(cedrol) 및 이들의 유도체; 표적항암제; 및 면역세포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 내 카르복실기와 디설파이트 결합으로 연결(HA-COO-S-S-항암제)된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g/mol)은,
    5,000 이상인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대 상기 POSS의 질량비는,
    10 : 0.1 내지 10 : 5인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대 상기 항암제의 질량비는,
    10 : 1 내지 10 : 5인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중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00 nm 이하인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내로 흡수되고,
    상기 세포 내 환경에서 분해되거나 또는 상기 세포 내에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효소, 생체 물질 또는 이 둘에 의해서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인,
    유무기나노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는,
    상기 세포 내 티올계 생체물질, pH 산성영역의 환경 또는 이 둘에 의해서 디설파이트 결합이 파괴되어 항암제를 방출하는 것인,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및
    담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약물 전달체는,
    상기 조성물 중 0.0001 중량% 내지 99 중량%인 것인,
    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종양, 암 또는 과다증식 세포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인 것인,
    조성물.
KR1020220076341A 2021-08-11 2022-06-22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KR20230024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07 2021-08-11
KR20210106207 2021-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97A true KR20230024197A (ko) 2023-02-20

Family

ID=8532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41A KR20230024197A (ko) 2021-08-11 2022-06-22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41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 et al. Tumor cell membrane-camouflaged responsive nanoparticles enable MRI-guided immuno-chemodynamic therapy of orthotopic osteosarcoma
US20170290915A1 (en) Methods for delivering an anti-cancer agent to a tumor
KR101179471B1 (ko) 자기 집합체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siRNA 전달 시스템
US10188738B2 (en) Formulations useful in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affecting the respiratory tract
CN106237340B (zh) 透明质酸纳米颗粒在制备治疗淋巴系统肿瘤的药物的用途
US10786465B2 (en) Polymer/copolymer nanoparticles conjugated to gambogic acid
TWI482634B (zh) 生醫組合物
Yang et al. A new concept of enhancing immuno-chemotherapeutic effects against B16F10 tumor via systemic administration by taking advantages of the limitation of EPR effect
EP3508221A1 (en) Tumor-targeting photosensitizer-drug conjuga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mor containing same
KR20110056042A (ko) 종양세포 표적지향을 위한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08457A (zh) 一种具有肿瘤微环境响应性降解的深层穿透纳米递药系统
Ma et al. Rationally integrating peptide-induced targeting and multimodal therapies in a dual-shell theranostic platform for orthotopic metastatic spinal tumors
Zhang et al. Hyaluronate-based self-stabilized nanoparticles for immunosuppression reversion and immunochemotherapy in osteosarcoma treatment
US20140296173A1 (en) Stable nanocomposition comprising epirubic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s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António et al. Polymeric encapsulation of a ruthenium (ii) polypyridyl complex: from synthesis to in vivo studies against high-grade epithelial ovarian cancer
KR20130127232A (ko) 광역학치료용 광민감제로서 플러렌과 글리콜키토산의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역학치료방법
KR20230024197A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약물 전달체
KR102013041B1 (ko) 항암제가 담지된 나노구조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12274495B (zh) 一种h2o2自供型过氧化钙负载姜黄素纳米粒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435261B1 (ko) 항암제-링커-알부민 결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결합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
JP2011518891A (ja) クロリンe6−葉酸結合化合物およびキトサンを含有する癌治療用薬学的組成物
EP3228650B1 (en) Novel peg derivative
CN114848843A (zh) 一种化疗协同靶向联合治疗纳米药物及其在肿瘤治疗中的应用
KR20180107745A (ko) 기체 발포형 마이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04327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ydrophobic drug deli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