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93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4193A KR20230024193A KR1020220067214A KR20220067214A KR20230024193A KR 20230024193 A KR20230024193 A KR 20230024193A KR 1020220067214 A KR1020220067214 A KR 1020220067214A KR 20220067214 A KR20220067214 A KR 20220067214A KR 20230024193 A KR20230024193 A KR 202300241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lens
- lens assembly
- unit
- o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제1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을 제2 광축 방향으로 광경로를 변경하는 렌즈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 조립체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제2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렌즈 유닛과, 베이스의 내부 타측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광경로 변경 유닛과, 렌즈 유닛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auto focus) 구동부와, 광경로 변경 유닛을 틸팅시키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구동부와, 베이스와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유닛을 상기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 베어링과, 렌즈 유닛을 베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 다수의 볼 베어링에 예압을 형성하는 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와 같이 소형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F(auto focus)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가지며 프리즘을 이용하여 광경로를 변경하는 초소형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렌즈 조립체는 기술 발전에 따라 소형화되고 있으며, 양질의 촬영 이미지를 얻기 위해 자동 초점(auto focus) 기능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갖추고 있다.
자동 초점 기능은 렌즈 조립체 내에 구비된 렌즈 모듈을 전진 또는 후진하여 특정 피사체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이다.
종래의 렌즈 조립체는 AF 구동 시 이동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면, 렌즈 캐리어)가 관성이나 기구적인 공차로 인해 정밀한 이동 및 정지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OIS 구동 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소형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에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또는 렌즈 조립체)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 기기의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하여 초소형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요즘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멀리 있는 피사체를 가까이 확대해 촬영할 수 있는 광학 줌은 카메라 모듈 내부에서 렌즈가 소정 거리를 이동하며 구현한다. 이 경우 이미지센서와 렌즈 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고 배율 광학 줌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5배줌은 광학 2배줌보다 2.5배 더 긴 초점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그동안 고 배율 광학 줌을 구현하려면 카메라 모듈의 높이는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가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에는 프리즘을 적용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 프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스마트폰의 본체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이 스마트폰의 후면으로부터 심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프리즘을 채택한 카메라 모듈은 OIS를 위해 프리즘을 틸팅시키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프리즘을 틸팅시키기 위한 구조는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낮은 것은 물론 제작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유지 보수 역시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와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베어링에 예압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AF 구동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품 신뢰성을 가지는 프리즘 틸팅 구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을 제2 광축 방향으로 광경로를 변경하는 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상기 제2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렌즈 유닛; 상기 베이스의 내부 타측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광경로 변경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auto focus) 구동부; 상기 광경로 변경 유닛을 틸팅시키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구동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베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 상기 다수의 볼 베어링에 예압을 형성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고정된 자성체;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일측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2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일부가 상기 자성체를 마주하도록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은 하부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을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볼 베어링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 홈과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자성체의 양단이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변경 유닛은, 프리즘 지지체; 상기 프리즘 지지체에 결합된 프리즘; 및 상기 프리즘 지지체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후벽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는 제2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를 통해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프리즘 지지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질 수 있다.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고정된 자성체;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AF 구동부의 AF 마그네트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AF 마그네트는 상기 렌즈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배치되는 상기 AF 구동부의 AF 코일과 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다.
상기 AF 마그네트의 일부는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 캐리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의 일부인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의 일부인 힌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 캐리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의 일부인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의 일부인 힌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그 밖에,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초소형 사이즈로 제작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에 설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며, 렌즈 조립체는 줌(zoom) 및 AF(auto focu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미도시)에 설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는 AF(auto focus), 줌(zoom)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전방 공간(103)에 배치되는 렌즈 유닛(300)과,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105)에 배치된 광경로 변경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내부에 렌즈 유닛(300) 및 광경로 변경 유닛(500)을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내부에 배치된 렌즈 유닛(300) 및 광경로 변경 유닛(5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베이스(10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는 커버(70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렌즈 유닛(300)이 배치되는 전방 공간(103)에 인접한 전면에 광통과구멍(103)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외측면(좌측면, 우측면 및 후측면(rear side surface))에는 인쇄회로기판(309)이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7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70)에는 AF 구동부의 일부인 제1 및 제2 AF 코일(411, 412)과, 제1 OIS 구동부의 일부인 제1 OIS 코일(431)과, 제2 OIS 구동부의 일부인 제2 및 제3 OIS 코일(451, 452)이 각각 실장된다.
이 경우, 베이스(100)의 좌측 벽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에는 제1 AF 코일(411)과 제2 OIS 코일(451)이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베이스(100)의 우측 벽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에는 제2 AF 코일(412)과 제3 OIS 코일(452)이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105)을 이루는 바닥에는 제1 OIS 코일(431)이 배치될 수 있다.
AF 구동부는 제1 및 제2 AF 코일(411, 412)과 제1 및 제2 AF 마그네트(413, 414)를 포함한다.
제1 AF 코일(411) 및 제2 AF 코일(4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좌측 및 우측 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AF 마그네트(413)는 렌즈 유닛(300)의 렌즈 캐리어(310)의 좌측에 결합되고, 제2 AF 마그네트(414)는 렌즈 유닛(300)의 렌즈 캐리어(310)의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00)의 전방 공간(103)에 렌즈 유닛(300)이 삽입되면, 제1 AF 코일(411)과 제1 AF 마그네트(413)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제2 AF 코일(412)과 제2 AF 마그네트(414)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하에서, 제1 및 제2 AF 코일(411, 412)에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제1 AF 코일(411)과 제1 AF 마그네트(413)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고, 제2 AF 코일(412)과 제2 AF 마그네트(414)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렌즈 유닛(300)은 AF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제2 광축(L2)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축(L2)은 프리즘(530)에 반사되어 렌즈 유닛(300)을 향하는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AF 구동부는 2개의 AF 코일과 이에 대응하는 2개의 AF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의 무게와 AF 구동부의 구동력을 감안하여 1개의 AF 코일과 1개의 AF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OIS 구동부는 프리즘(530)을 Y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틸팅 시킬 수 있는 제1 OIS 구동부와 프리즘(530)을 Z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틸팅 시킬 수 있는 제2 OIS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구동부는 제1 OIS 코일(431)과 제1 OIS 마그네트(433, 도 9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코일(4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OIS 마그네트(433)는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에 따라,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105)에 광경로 변경 유닛(500)이 삽입되면, 제1 OIS 코일(431)과 제1 OIS 마그네트(433)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하에서, 제1 OIS 코일(431)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제1 OIS 코일(431)과 제1 OIS 마그네트(433)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제1 OIS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제2 광축(L2, 도 1 참조)(예를 들면, Y축 )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틸팅할 수 있다.
제2 OIS 구동부는 제2 및 제3 OIS 코일(451, 452)과 제2 및 제3 OIS 마그네트(453, 4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OIS 코일(451)과 제3 OIS 코일(4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좌측 및 우측 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OIS 마그네트(453)는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좌측에 결합되고, 제3 OIS 마그네트(454)는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105)에 광경로 변경 유닛(500)이 삽입되면, 제2 OIS 코일(451)과 제2 OIS 마그네트(453)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제3 OIS 코일(452)과 제3 OIS 마그네트(454)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하에서, 제2 및 제3 OIS 코일(451, 452)에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제2 OIS 코일(451)과 제2 OIS 마그네트(453)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고, 제3 OIS 코일(452)과 제3 OIS 마그네트(454)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제2 OIS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제1 광축(L1, 도 1 참조)(예를 들면, Z축)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OIS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광경로 변경 유닛(500)을 Z축 및 Y축을 중심으로 각각 또는 동시에 틸팅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렌즈 유닛(300)의 최대 전진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111)와, 렌즈 유닛(300)의 최대 후진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1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토퍼(111, 113)는 베이스(100)의 우측 벽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캐리어(310)의 일측부(311)는 제1 및 제2 스토퍼(111, 113) 사이에서 소정 거리만큼 전진 및 후진한다. 이에 따라, 렌즈 유닛(300)은 최대 전진 거리 및 최대 후진 거리가 제1 및 제2 스토퍼(111, 113)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렌즈 캐리어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베이스(100)와 렌즈 유닛(30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볼 베어링(201, 203)과, 렌즈 유닛(300)을 베이스(100)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 다수의 볼 베어링(201, 203)에 예압을 형성하는 홀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220)는 베이스(100)에 고정된 자성체(221)와, 자성체(221)에 대하여 인력이 작용하는 마그네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221)는 베이스(100)의 전방 공간(103)의 바닥에 형성된 제1 고정부(121) 및 제2 고정부(12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자성체(221)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베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221)는 베이스(100)에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체(221)의 양단이 제1 및 제2 고정부(121, 123)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자성체(221)는 AF 구동 시 렌즈 유닛(300)이 X축 방향(제2 광축(L2)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기구적인 공차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베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223)는 렌즈 유닛(300)의 렌즈 캐리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223)는 렌즈 유닛(3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마그네트(223)는 렌즈 캐리어(310)의 일측부(311)에 매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트(223)는 렌즈 캐리어(310)의 일측부(311) 저면에 형성된 구멍(313)으로 일면이 노출될 수 있다.
마그네트(223)는 상기 구멍(313)을 통해 렌즈 캐리어(310)의 일측부(31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223)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렌즈 캐리어(310)의 일측부(31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223)는 자성체(221)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자성체(22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00)와 자성체(221)는 고정되는 구성 요소이고 상대적으로 렌즈 유닛(300)과 마그네트(223)는 이동하는 구성 요소이다.
렌즈 유닛(300)은 자성체(221)와 마그네트(223)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베이스(100) 내에서 베이스(100)의 일측(예를 들면, 자성체(221)가 배치된 베이스(100)의 바닥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캐리어(310)의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은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31, 13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볼 베어링(201, 203)은 홀딩부(220)에 의해 예압이 작용하는 상태로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31, 133)과 렌즈 캐리어(310)의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 사이에 유격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홀딩부(220)에 의해 다수의 볼 베어링(201, 203)에 작용하는 예압을 형성함으로써, AF 구동 시 렌즈 유닛(300)의 관성 이동 및 정지 동작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을 돕는 것은 물론 렌즈 유닛(300)이 틸팅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렌즈 유닛(300)은 베이스(100)의 전방 공간(103)에 제2 광축(L2)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AF와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유닛(300)은 렌즈 캐리어(310)와, 렌즈 캐리어(310)에 결합되어 렌즈 캐리어(310)와 함께 이동하는 렌즈 배럴(350)과, 렌즈 배럴(350)에 결합된 다수의 렌즈(37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캐리어(310)는 일측부(311)에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은 구멍(313)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전방 공간(103)에 렌즈 유닛(300)이 배치되면,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은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31, 133)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렌즈 캐리어(310)의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은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31, 133)과 함께 다수의 볼 베어링(220)을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31, 133)과 렌즈 캐리어(310)의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331, 333)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렌즈 캐리어(310)는 내부에 요크(340)가 매립될 수 있다. 요크(340)는 양측에 각각 제1 AF 마그네트(413)와 제2 AF 마그네트(414)와 접하는 제1 측부(343) 및 제2 측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340)의 제1 측부(343)는 제1 AF 마그네트(413)와 홀딩부(220)의 마그네트(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350)은 렌즈 캐리어(310)에 결합됨에 따라 AF 구동 시 렌즈 캐리어(310)와 함께 제2 광축(L2)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렌즈 배럴(350)은 내측에 다수의 렌즈(37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렌즈(370)는 제2 광축(L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베이스(100)의 후벽에 후단이 결합되고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105)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모바일 기기로 입사되는 외부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렌즈 유닛(30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제1 광축(L1)을 따르는 제1 광경로를 제2 광축(L2)을 따르는 제2 광경로로 변경하고, 이와 함께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Z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프리즘(530)을 소정 각도로 틸팅 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의 일부인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힌지 유닛의 일부인 힌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프리즘 지지체(510)와, 프리즘 지지체(510)에 결합되는 프리즘(530)과, 프리즘 지지체(510)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 지지체(510)는 전방에 형성된 고정부에 프리즘(530)이 고정된다. 고정부는 경사면(511)과 경사면(51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측 블록(512a) 및 우측 블록(512b)을 포함하며 대략 프리즘(5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511)에는 프리즘(530)의 반사면(531)이 안착될 수 있다. 좌측 블록(512a)의 외측에는 요크(미도시)와 함께 제2 OIS 구동부의 일부인 제2 OIS 마그네트(453)이 삽입된다. 좌측 블록(512a)의 내측에는 Z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본딩홈(517)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블록(512b)의 외측에는 요크(미도시)와 함께 제2 OIS 구동부의 일부인 제3 OIS 마그네트(454)이 삽입된다. 우측 블록(512b)의 내측에는 좌측 블록(512a)과 마찬가지로 Z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본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530)은 접착제에 의해 프리즘 지지체(5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즘(530)을 프리즘 지지체(510)의 고정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다수의 본딩홈(517)으로 접착제를 주입시킨다. 이에 따라, 프리즘(530)의 좌측 면 및 우측 면은 각각 프리즘 지지체(510)의 좌측 블록(512a) 및 우측 블록(512b)에 각각 본딩될 수 있다.
프리즘 지지체(510)는 하부에 요크(미도시)와 함께 제1 OIS 구동부의 제1 OIS 마그네트(433)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즘 지지체(510)의 하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다수의 지지 돌기(515)가 소정 두께로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지지 돌기(515)는 제1 OIS 마그네트(433)가 베이스(100)의 바닥에 배치된 제1 OIS 코일(431)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프리즘(530)은 프리즘 지지체(510)와 함께 틸팅하면서 모바일 기기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렌즈 유닛(300) 측으로 반사함으로써 OIS가 가능하도록 광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프리즘(530)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533)과, 입사면(533)을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531)과, 반사면(531)에 반사된 광이 렌즈 유닛(300) 측으로 출사되는 출사면(5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힌지 부재(550)는 제1 내지 제3 부분(551, 553, 556)과, 제1 및 제2 부분(551, 553)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와, 제2 부분(553) 및 제3 부분(556)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551)은 베이스(100)의 후벽에 형성된 슬롯(109)에 결합된다. 제1 부분(551)은 제2 부분(553)과 마주하는 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보강 돌출부(5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 돌출부(552)는 제1 부분(551)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자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551)은 제1 보강 돌출부(552)를 통해 프리즘 지지체(510) 및 프리즘(530)의 무게로 인해 제1 부분(551)이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한 OIS 제어가 가능하다.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는 제1 부분(551)과 제2 부분(553)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부분(551)과 제2 부분(553)을 상호 연결한다.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는 Z축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OIS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프리즘 지지체(510)의 좌우 틸팅 동작의 중심 축이 된다.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는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일단이 제1 부분(551)의 제1 보강 돌출부(552)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부분(553)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는 양단에서 가운데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가 제1 OIS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프리즘 지지체(510)가 Z축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의 가운데 부분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의 강성 및 유연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는 Z축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는 Z축 방향으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부분(553)은 전방으로 돌출된 제2 보강 돌출부(554)와, 후방으로 돌출된 제3 보강 돌출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보강 돌출부(554, 555)는 전술한 제1 보강 돌출부(552)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제2 부분(553)의 강성을 증가시켜 프리즘 지지체(510) 및 프리즘(530)의 무게로 인해 제2 부분(553)이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한 OIS 제어가 가능하다.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는 제2 부분(553)과 제3 부분(556)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부분(553)과 제3 부분(556)을 상호 연결한다.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는 Y축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OIS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프리즘 지지체(510)의 상하 틸팅 동작의 중심 축이 된다.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는 좌우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일단이 제2 부분(553)의 전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3 부분(556)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는 한 쌍의 제1 힌지(561, 563)와 마찬가지로 양단에서 가운데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가 제2 OIS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프리즘 지지체(510)가 Y축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의 가운데 부분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한 쌍의 제2 힌지(571, 573)의 강성 및 유연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제3 부분(556)은 프리즘 지지체(51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고정된다. 제3 부분(556)는 전면에 Z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다수의 본딩홈(557)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제3 부분(556)이 프리즘 지지체(510)의 결합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다수의 본딩홈(557)으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부분(556)은 프리즘 지지체(510)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 및 본딩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100)의 일측에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는 베이스(100)의 광통과구멍(10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된 상태로 베이스(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는 모바일 기기 내의 구조물에 적절히 고정된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는 베이스(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유닛(300)을 통과한 광은 별도의 미러(미도시)로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커버(700)는 도 1와 같이 프리즘(530)으로 외부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프리즘(530)을 노출시키는 광통과구멍(70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700)는 도 2 및 3과 같이 베이스(100)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151, 153, 155)가 스냅 핏(snap-fit)되는 다수의 결합구멍(711, 713, 715)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700)가 베이스(100)에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100)의 전방 공간(103) 및 후방 공간(105)에 각각 배치된 렌즈 유닛(300)과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베이스(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베이스(100'), 렌즈 유닛(300') 및 광경로 변경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는 전술한 렌즈 조립체(1)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고, 홀딩부에 대응하는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렌즈 조립체(1')의 홀딩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홀딩부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221')를 포함하고, AF 마그네트(413')를 겸용할 수 있다.
자성체(221')는 베이스(100')의 바닥에 양단이 고정되며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AF 마그네트(413')는 렌즈 캐리어(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AF 마그네트(413')는 베이스(100')의 측벽에 배치된 AF 코일(4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F 마그네트(413')는 하단(413a')이 자성체(221')의 일측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F 마그네트(413')와 자성체(22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조립체(1')에 적용되는 홀딩부는 자성체(221')와 AF 마그네트(413')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300')은 자성체(221')와 AF 마그네트(413')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자성체(221')가 배치된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미도시)과 렌즈 캐리어(310')의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베어링(미도시)은 홀딩부에 의해 예압이 작용하는 상태로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과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 사이에 유격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홀딩부에 의해 다수의 볼 베어링에 작용하는 예압을 형성함으로써, AF 구동 시 렌즈 유닛(300')의 관성 이동 및 정지 동작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을 돕는 것은 물론 렌즈 유닛(300')이 틸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베이스(100''), 렌즈 유닛(300'') 및 광경로 변경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조립체(1'')는 OIS 구동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전술한 렌즈 조립체(1) 또는 전술한 렌즈 조립체(1')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렌즈 조립체(1'')의 OIS 구동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OIS 구동부는 제1 OIS 구동부와 제2 OIS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구동부의 코일들은 베이스(100'')의 바닥에 배치되지 않고 베이스(100'')의 측벽에 배치되는 점이 전술한 렌즈 조립체들(1, 1')과 상이하다.
제1 OIS 구동부는 제2 OIS 구동부보다 베이스(100'')의 후측벽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OIS 구동부는 제1 OIS 구동부보다 렌즈 유닛(300'')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OIS 구동부는 제1 및 제2 OIS 코일(431'', 432'')과 제1 및 제2 OIS 마그네트(433'', 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코일(431'')은 베이스(100'')의 좌측 벽에 배치되고, 제2 OIS 코일(432'')은 베이스(100'')의 우측 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OIS 코일(431'', 432'')은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OIS 마그네트(433'')는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OIS 마그네트(434'')는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경로 변경 유닛(500'')이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OIS 마그네트(433'')는 제1 OIS 코일(43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제2 OIS 마그네트(434'')는 제2 OIS 코일(432'')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OIS 코일(431'', 432'')은 인쇄회로기판(170'')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70'')에는 제1 및 제2 OIS 코일(431'', 432'')에 각각 인접하게 제1 및 제2 홀 센서(hall sensor)(435'', 436'')가 실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홀 센서(715)는 각각 제1 및 제2 OIS 마그네트(433'', 434'')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소형 모바일 기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OIS 구동부는, 제1 OIS 코일(431'')에 전류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가될 때 제1 OIS 코일(431'')과 제1 OIS 마그네트(433'')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고, 제2 OIS 코일(432'')에 전류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가될 때 제2 OIS 코일(432'')과 제2 OIS 마그네트(434'')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제1 OIS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제2 OIS 구동부는 제3 및 제4 OIS 코일(451'', 452'')과 제3 및 제4 OIUS 마그네트(453'', 4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OIS 코일(451'')은 베이스(100'')의 제1 OIS 코일(431'')과 함께 좌측 벽에 배치되고, 제4 OIS 코일(452'')은 제2 OIS 코일(432'')과 함께 베이스(100'')의 우측 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및 제4 OIS 코일(451'', 452'')은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OIS 마그네트(453'')는 제1 OIS 마그네트(433'')와 함께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4 OIS 마그네트(454'')는 제2 OIS 마그네트(434'')와 함께 광경로 변경 유닛(500'')의 지지체(5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경로 변경 유닛(500'')이 베이스(100'')의 후방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3 OIS 마그네트(453'')는 제3 OIS 코일(45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제4 OIS 마그네트(454'')는 제4 OIS 코일(452'')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다.
제3 및 제4 OIS 코일(451'', 452'')은 인쇄회로기판(170'')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70'')에는 제3 및 제4 OIS 코일(451'', 452'')에 각각 인접하게 제3 및 제4 홀 센서(455'', 456'')가 실장될 수 있다. 제3 및 제4 홀 센서(455'', 456'')는 각각 제3 및 제4 OIS 마그네트(453'', 454'')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소형 모바일 기기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OIS 구동부는, 제3 OIS 코일(451'')에 전류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가될 때 제3 OIS 코일(451'')과 제3 OIS 마그네트(453'')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고, 제4 OIS 코일(452'')에 전류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가될 때 제4 OIS 코일(452'')과 제4 OIS 마그네트(454'')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광경로 변경 유닛(500'')은 제2 OIS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제1 및 제2 OIS 구동부를 작동시켜 광경로 변경 유닛(500'')을 Y축 및 Z축을 중심으로 각각 또는 동시에 틸팅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100: 베이스
201, 203
220: 홀딩부
221: 자성체
223: 마그네트
300: 렌즈 유닛
310: 렌즈 캐리어
500: 광경로 변경 유닛
510: 프리즘
530: 프리즘 지지체
550: 힌지 부재
201, 203
220: 홀딩부
221: 자성체
223: 마그네트
300: 렌즈 유닛
310: 렌즈 캐리어
500: 광경로 변경 유닛
510: 프리즘
530: 프리즘 지지체
550: 힌지 부재
Claims (12)
- 제1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을 제2 광축 방향으로 광경로를 변경하는 렌즈 조립체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상기 제2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렌즈 유닛;
상기 베이스의 내부 타측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광경로 변경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auto focus) 구동부;
상기 광경로 변경 유닛을 틸팅시키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구동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베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 상기 다수의 볼 베어링에 예압을 형성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고정된 자성체;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일측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2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핀 형상인, 렌즈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일부가 상기 자성체를 마주하도록 노출되는, 렌즈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하부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을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볼 베어링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 홈과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렌즈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자성체의 양단이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 유닛은,
프리즘 지지체;
상기 프리즘 지지체에 결합된 프리즘; 및
상기 프리즘 지지체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후벽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는 제2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를 통해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프리즘 지지체에 결합되는, 렌즈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렌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고정된 자성체;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AF 구동부의 AF 마그네트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AF 마그네트는 상기 렌즈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배치되는 상기 AF 구동부의 AF 코일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렌즈 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F 마그네트의 일부는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거리에 위치하는, 렌즈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11966 WO2023018239A2 (ko) | 2021-08-11 | 2022-08-11 | 렌즈 조립체 |
CN202280055459.4A CN117881993A (zh) | 2021-08-11 | 2022-08-11 | 镜头组装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5921 | 2021-08-11 | ||
KR20210105921 | 2021-08-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4193A true KR20230024193A (ko) | 2023-02-20 |
Family
ID=8532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7214A KR20230024193A (ko) | 2021-08-11 | 2022-05-31 | 렌즈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24193A (ko) |
-
2022
- 2022-05-31 KR KR1020220067214A patent/KR20230024193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0625B1 (ko) |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067069B1 (ko) | 카메라 모듈 | |
JP6382066B2 (ja) | 撮像装置 | |
KR101792328B1 (ko) | 카메라 모듈 | |
CN115145016A (zh) | 光学元件驱动机构 | |
KR102338257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60121298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560396B1 (ko) |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140144126A (ko)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
KR102153727B1 (ko) | 렌즈 조립체 | |
US10571093B2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optical reflector | |
KR20220012164A (ko) | 광경로 변경 유닛을 구비한 렌즈 조립체 | |
KR20210041948A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
KR20220162547A (ko) |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20240080560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
KR20210135745A (ko) | 렌즈 조립체 | |
KR20150085611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30024193A (ko) | 렌즈 조립체 | |
KR20210041947A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
KR101511065B1 (ko) |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 |
KR20220080718A (ko) | 광경로 변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 | |
JP2024500897A (ja) | カメラ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 |
KR20230124562A (ko) |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
JP6736182B2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 |
JP2020177248A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