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727B1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727B1
KR102153727B1 KR1020190026422A KR20190026422A KR102153727B1 KR 102153727 B1 KR102153727 B1 KR 102153727B1 KR 1020190026422 A KR1020190026422 A KR 1020190026422A KR 20190026422 A KR20190026422 A KR 20190026422A KR 102153727 B1 KR102153727 B1 KR 10215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ing members
lens unit
axis direc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817A (ko
Inventor
임대순
윤학구
최명원
이동성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filed Critical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Priority to US16/648,9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74320B2/en
Priority to PCT/KR2019/006666 priority patent/WO2020153543A1/ko
Publication of KR2020009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 상기 지지체에 광축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렌즈부가 결합된 렌즈 배럴을 구비한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 상기 지지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지지체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초점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가지는 초소형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조립체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소형화되고 있으며, 양질의 촬영 이미지를 얻기 위해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거나 자동 초점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상기 자동 초점(Auto Focus)은 렌즈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특정 피사체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이다. 또한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은 렌즈가 소형 전자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흔들림을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여 소형 전자기기가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렌즈를 미세하게 이동시켜 초점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손떨림 보정 시 렌즈의 움직임은 자동 초점 시 렌즈의 움직이는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렌즈 조립체는 소형 전자기기가 점차 경량화 및 콤팩트화되는 경향에 따라 제기능을 유지하면서 더욱 초소형화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중이다.
본 발명은 자동 초점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초소형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 상기 지지체에 광축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렌즈부가 결합된 렌즈 배럴을 구비한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 상기 지지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지지체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렌즈 유닛에 고정되고, 각 연결부재는 적어도 2군데의 꺾일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의 재질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각각 상기 지지체의 4군데 코너부분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각각 상기 렌즈 유닛의 4군데 코너부분에 형성된 제5 내지 제8 결합홈에 결합되며, 기둥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단부와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타단부와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힌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홈에 고정되며, 상기 제5 내지 제8 연결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각각 상기 제5 내지 제8 결합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홈에 압박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내지 제8 연결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각각 상기 제5 내지 제8 결합홈에 압박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양단으로부터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굵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둥부는 종단면이 타원형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 지지체 및 렌즈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지지체와 렌즈 유닛이 다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지지체, 렌즈 유닛 및 다수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설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렌즈 조립체(10)는 베이스(100)와,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해 렌즈부(510)를 Z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지지체(300)와, 손떨림 보정을 위해 렌즈부(510)를 XY평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렌즈 유닛(500)과, 지지체(300)에 대하여 렌즈 유닛(500)이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체(300)와 렌즈 유닛(500)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401,402,403,404)와, 렌즈 유닛(500)이 지지체(3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커버(600)와, 베이스(100)를 덮는 외부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베이스, 지지체 및 렌즈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소형 전자기기(미도시)의 일 부분에 설치되며, 베이스(100)의 하측에는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내측에 지지체(300)가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며, 바닥부에는 제1 광통과구멍(101)이 형성된다. 렌즈 유닛(500)을 통과한 빛은 베이스(100)에 형성된 제1 광통과구멍(101)을 통해 베이스(100)의 하측에 위치한 이미지 센서로 조사된다.
베이스(100)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00)의 형상은 직육면체 외에 렌즈 조립체(10)가 설치되는 소형 전자기기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00)와 지지체(300) 사이에는 지지체(300)를 베이스(100)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제1 볼 베어링(131) 및 다수의 제2 볼 베어링(133)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와 지지체(300)는 다수의 제1 및 제2 볼 베어링(131,133)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지지체(300)는 베이스(100)의 내측과 마찰되는 부분 없이 Z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볼 베어링(131)과 다수의 제2 볼 베어링(133)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제1 볼 베어링(131)은 베이스(100)의 한 코너에 위치하고, 다수의 제2 볼 베어링(133)은 렌즈부(510)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베이스(100)의 다른 코너에 위치한다.
다수의 제1 볼 베어링(131)은 베이스(100)의 내측 코너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111)과 제1 가이드홈(111)에 마주하는 지지체(300)의 외측 코너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331)에 각각 가이드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 다수의 제1 볼 베어링(131)은 제1 및 제2 가이드홈(111,331)에 동시에 접촉한 상태로 Z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제1 가이드홈(111)은 제1 코일(211)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볼 베어링(133)은 베이스(100)의 제1 가이드홈(111)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내측 코너에 형성된 제3 가이드홈(1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제2 볼 베어링(133)은 지지체(300)의 제2 가이드홈(331)과 대략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외측 코너의 일부분인 가이드면(333)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제2 볼 베어링(133)은 베이스(100)의 제3 가이드홈(113)과 지지체(300)의 가이드면(333)에 동시에 접촉한 상태로 Z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및 제2 볼 베어링(131,133)은 베이스(100)와 지지체(30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베이스(100)와 지지체(300)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지지체(300)를 Z축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300)에 배치된 제1 마그네트(213)와 베이스(100)에 결합된 플레이트형 요크(15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지지체(300)의 일측은 베이스(100)의 내측으로 당겨진다. 이 상태에서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가 동작하므로, 지지체(300)는 Z축 방향을 따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100)의 3측면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코일(211,221,231)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코일(211)은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의 일부이고, 제2 코일(221)은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의 일부이고, 제3 코일(231)은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의 일부를 이룬다.
제1 코일(211)은 제1 마그네트(213, 도 2 참조)와 함께 자동 초점을 위해 지지체(300)를 Z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를 이룬다. 여기서 제1 코일(211)은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1 인쇄회로기판(217)에 실장되고, 제1 마그네트(213)는 지지체(300)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마그네트(213)와 지지체(300) 사이에는 지지체(300)에 결합된 평판 형상의 제1 차폐부재(216)가 배치된다.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는 제1 차폐부재(216)에 의해 제1 및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는 제1 코일(21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일방향 및 그 역방향)에 따라 제1 마그네트(213)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지지체를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지체(300)가 베이스(100)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마그네트(213)는 제1 코일(2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된다.
제1 코일(211)은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1 인쇄회로기판(2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217)은 외부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219)가 형성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217)은 제1 홀센서(215)가 실장될 수 있다.
제1 홀센서(215)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제1 코일(211)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제1 마그네트(213)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소형 전자기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제1 홀센서(215)와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를 통해 지지체의 Z축 방향 제어를 수행한다.
제2 코일(221)은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2 인쇄회로기판(227)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코일(221)은 제2 마그네트(223, 도 3 참조)와 함께 손떨림 보정을 위해 렌즈 유닛(50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이룬다.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는 제2 코일(22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2 마그네트와(223)의 상호 작용을 통해 렌즈 유닛(500)을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코일(221)은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2 인쇄회로기판(2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223)는 렌즈 유닛(500)의 일측면에 배치된다(도 3 참조). 이 경우, 제2 마그네트(223)와 렌즈 유닛(500) 사이에는 렌즈 유닛(500)에 결합된 평판 형상의 제2 차폐부재(226)가 배치된다.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는 제2 차폐부재(226)에 의해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2 마그네트(223)는 렌즈 유닛(500)이 지지체(300)와 함께 베이스(1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코일(22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된다.
제2 인쇄회로기판(227)은 외부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229)가 형성된다. 제2 인쇄회로기판(227)은 제2 홀센서(225)가 실장될 수 있다. 제2 홀센서(225)는 폐곡선 형상의 제2 코일(221) 내측에 위치하여 제2 마그네트(223)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소형 전자기기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제2 인쇄회로기판(227)의 제2 홀센서(225)와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통해 렌즈 유닛(500)의 X축 방향 제어를 수행한다.
제3 코일(231)은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3 인쇄회로기판(237)에 실장될 수 있다. 제3 코일(231)은 제3 마그네트(233, 도 2 참조)와 함께 손떨림 보정을 위해 렌즈 유닛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이룬다.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는 제3 코일(23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3 마그네트(233)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렌즈 유닛을 +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3 코일(231)은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3 인쇄회로기판(2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233)는 렌즈 유닛(500)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3 마그네트(233)와 렌즈 유닛(500) 사이에는 렌즈 유닛(500)에 결합된 평판 형상의 제3 차폐부재(236)가 배치된다.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는 제3 차폐부재(236)에 의해 자동초점용 조절부 및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3 마그네트(233)는 렌즈 유닛(500)이 지지체(300)와 함께 베이스(1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제3 코일(23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된다.
제3 인쇄회로기판(237)은 외부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239)가 형성된다. 제3 인쇄회로기판(237)은 제3 홀센서(235)가 실장될 수 있다. 제3 홀센서(235)는 폐곡선 형상의 제3 코일(231) 내측에 위치하여 제3 마그네트(233)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소형 전자기기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제3 인쇄회로기판(237)의 제3 홀센서(235)와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통해 렌즈 유닛의 Y축 방향 제어를 수행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는 렌즈 유닛(100)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손떨림으로 인한 렌즈부(51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렌즈 유닛(500)은 제1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렌즈 유닛(500)은 후술하는 다수의 연결 부재(401,402,403,404)를 통해 지지체(300)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렌즈 유닛(500)은 지지체(300)에 지지된 상태로 XY 평면 상의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체(300)는 제2 광통과구멍(301, 도 2 참조)이 형성된다. 지지체(300)가 베이스(10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제2 광통과구멍(301)은 베이스(100)의 제1 광통과구멍(101, 도 2 참조)에 대응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지지체와 렌즈 유닛이 다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렌즈 유닛(500)은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지체(300)에 삽입된 상태로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 (401,402,403,404)를 통해 지지체(300)에 대하여 XY 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 유닛(500)은 손떨림 보정을 위해 렌즈부(510)를 XY 평면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렌즈 유닛(500)은 지지체(30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550)와, 렌즈 배럴(530) 및 렌즈부(510)를 포함한다.
렌즈부(510)는 렌즈 배럴(530)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광축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배럴(530)은 몸체(550)에 광축 방향으로 관통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배럴(530)이 몸체(5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렌즈 배럴(530)과 몸체(55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렌즈 배럴(530)과 몸체(550)를 상호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530)를 몸체(500)에 결합 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 배럴(530)을 몸체(550)에 압박상태로 결합하거나 나사 체결 방식으로 몸체(55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내부 커버(600)는 지지체(300)에 삽입된 렌즈 유닛(500)이 지지체(3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커버(600)는 렌즈 유닛(500)을 지지체(300)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지지체(300)의 개구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지지체(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내부 커버(600)는 지지체(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381,382,383)에 스냅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611,612,613)가 형성된다.
내부 커버(600)는 지지체(300)의 개구 주변에 안착됨에 따라, 렌즈 유닛(500)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어 렌즈 유닛(500)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 접촉하지 않는다.
내부커버(600)는 렌즈 배럴(530)의 상부가 노출될 수 있는 제3 광통과구멍(601)이 형성된다.
외부 커버(700)는 베이스(100)에 결합되며, 내부 커버(600)을 덮는다. 외부 커버(700) 역시 렌즈 배럴(530)의 상부가 노출될 수 있는 제4 광통과구멍(701)이 형성된다. 외부 커버(700)는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지지체(300)와 렌즈 유닛(500)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401,402,403,404)를 설명한다.
도 9는 지지체, 렌즈 유닛 및 다수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7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수의 연결부재(401,402,403,404)는 지지체(300)와 지지체(300)에 삽입된 렌즈 유닛(500)을 상호 연결한다. 이 경우 다수의 연결부재(401,402,403,404)는 렌즈 유닛(500)이 지지체(300)에 대하여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401,402,403,404)는 하단부가 각각 지지체(300) 내측 하부의 각 코너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4 결합홈(361,362,363,364)에 삽입 고정되고, 상단부가 각각 렌즈 유닛(500) 외측 상부의 각 코너에 각각 형성된 제5 내지 제8 결합홈(571,572,573,574)에 삽입 고정된다.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401,402,403,404)는 제1 및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 의해 XY 평면 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 이동 후 제1 및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가 비동작 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401,402,403,404)는 부도체이면서 내구력이 뛰어난 합성수지재(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401,402,403,404)는 사출 형성을 통해 제작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401,402,403,404)는 형상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401,402,403,404)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 연결부재(40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401)는 소정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기둥부(401c)와, 기둥부(401c)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된 상단부(401a) 및 하단부(401b)와, 기둥부(401c)와 상단부(401a) 사이에 형성된 제1 연결부(401d)와, 기둥부(401c)와 하단부(401b) 사이에 형성된 제2 연결부(40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401a)는 제5 결합홈(571)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401f)가 형성되고, 하단부(401b)는 제1 결합홈(361)에 삽입되는 제2 결합부(401g)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401f)는 제5 결합홈(57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제에 의해 제5 결합홈(571)에 고정되거나, 접착제 없이 제5 결합홈(571)에 압박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제5 결합홈(57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01g) 역시 제1 결합부(401f)와 마찬가지로 접착체에 의해 제1 결합홈(361)에 고정되거나, 접착제 없이 제1 결합홈(361)에 압박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제1 결합홈(36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401d,401e)는 기둥부(401c)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단부(401a)와 기둥부(401c) 사이, 하단부(401b)와 기둥부(401c) 사이가 소정 각도로 꺾일 수 있는 힌지 역할을 한다. 렌즈 유닛(500)은 제1 및 제2 손떨림용 보정 구동부가 동작할 때 제1 및 제2 연결부(401d,401e)에 의해 X축 및 Y축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부(401d,401e)는 제1 및 제2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된다.
더욱이 다수의 연결부재(401,402,403,404)는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됨에 따라, 기둥부보다 얇은 제1 및 제2 연결부가 끊어지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에서 미설명부호 402a, 403a는 상단부이고, 402b, 403b는 하단부이고, 402c,403c는 기둥부이고, 402d, 403d는 제1 연결부이고, 402e, 403e는 제2 연결부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다수의 연결부재(401,402,403,404)는 기둥부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3과 같이 원기둥과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은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400)는 전술한 연결부재(401)과 동일하게 제1 결합부(1411)를 가지는 상단부(1410), 제2 결합부(1421)를 가지는 하단부(1420), 기둥부(1430), 상단부와 기둥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연결부(1440)와, 하단부와 기둥부 사이에 형성된 제2 연결부(14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430)는 기둥부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부(1430)의 종단면은 대략 타원형상일 수 있고, 횡단면은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연결부재(1400)는 전술한 연결부재(40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400)는 연결부재(401)과 마찬가지로 탄성과 연성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원기둥 형상의 기둥부(401c)를 가지는 연결부재(401)는 적용하는 렌즈 유닛(500)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자체 연성으로 인해 휘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기둥부(1430)가 볼록한 형상으로 된 연결부재(1400)를 적용하게 되면 원기둥 형상의 기둥부(401c) 보다 큰 강도를 가짐에 따라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베이스
131: 제1 볼 베어링
133: 제2 볼 베어링
300: 지지체
401,402,403,404,1400: 연결부재
500: 렌즈 유닛
600: 내부 커버
700: 외부 커버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 초점 조절용 구동부;
    상기 지지체에 광축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렌즈부가 결합된 렌즈 배럴을 구비한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용 구동부;
    상기 지지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지지체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각각 상기 지지체의 4군데 코너부분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각각 상기 렌즈 유닛의 4군데 코너부분에 형성된 제5 내지 제8 결합홈에 결합되며, 기둥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단부와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타단부와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힌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의 재질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홈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각각 상기 제5 내지 제8 결합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결합홈에 압박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각각 상기 제5 내지 제8 결합홈에 압박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양단으로부터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렌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종단면이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렌즈 조립체.
KR1020190026422A 2019-01-25 2019-03-07 렌즈 조립체 KR10215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48,928 US11474320B2 (en) 2019-01-25 2019-06-03 Lens assembly
PCT/KR2019/006666 WO2020153543A1 (ko) 2019-01-25 2019-06-03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9870 2019-01-25
KR1020190009870 2019-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817A KR20200092817A (ko) 2020-08-04
KR102153727B1 true KR102153727B1 (ko) 2020-09-09

Family

ID=7204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422A KR102153727B1 (ko) 2019-01-25 2019-03-07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74320B2 (ko)
KR (1) KR102153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9573B1 (ja) * 2019-03-29 2020-08-12 エーエーシ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ジョウシュウ)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用レンズ駆動装置
KR102526183B1 (ko) * 2021-05-25 2023-04-26 주식회사 코엠에스 렌즈 조립체의 연결부재 조립방법
WO2022250269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코엠에스 연결부재 삽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조립장치
WO2023282650A1 (ko) * 2021-07-08 2023-01-12 임대순 렌즈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24B1 (ko) * 2010-04-20 2011-09-27 주식회사 뮤타스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10838B1 (ko) * 2018-05-30 2018-10-23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렌즈 조립체
KR101930042B1 (ko) 2011-10-31 2018-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565B2 (ja) 2006-01-26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0798865B1 (ko) * 2006-12-29 2008-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져 융착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184812B1 (ko) 2011-03-02 2012-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용 서스펜션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KR20140084971A (ko) 2012-12-27 201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
KR102268105B1 (ko) * 2014-03-05 202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24B1 (ko) * 2010-04-20 2011-09-27 주식회사 뮤타스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30042B1 (ko) 2011-10-31 2018-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10838B1 (ko) * 2018-05-30 2018-10-23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817A (ko) 2020-08-04
US11474320B2 (en) 2022-10-18
US20210215902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727B1 (ko) 렌즈 조립체
US20230350155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15145016B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101792328B1 (ko) 카메라 모듈
KR102183393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872579B1 (ko) 카메라 모듈
KR10249434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70141669A1 (en) Anti-tilt electromagnetic motor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730268B1 (ko) 카메라 모듈
JP2017146440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CN116560103A (zh) 摄像装置模块以及移动设备
US20230138300A1 (en) Lens Assembly
KR20200073096A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23007443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910838B1 (ko) 렌즈 조립체
KR101511065B1 (ko)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2021004194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JP7198506B2 (ja) レンズ駆動装置、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86054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230009284A (ko) 렌즈 조립체
JP202017724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6736182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30024191A (ko) 렌즈 조립체
WO2020153543A1 (ko) 렌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