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020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020A
KR20230023020A KR1020237001376A KR20237001376A KR20230023020A KR 20230023020 A KR20230023020 A KR 20230023020A KR 1020237001376 A KR1020237001376 A KR 1020237001376A KR 20237001376 A KR20237001376 A KR 20237001376A KR 20230023020 A KR20230023020 A KR 2023002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hollow shaft
section
curved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텟페이 구보키
게이이치 후지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중공 샤프트를 구비하는 카테터로서, 중공 샤프트의 선단부는, 대략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제1 구간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제1 만곡부와, 제1 만곡부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는 제2 만곡부를 포함하는 제2 구간을 가지고, 제1 구간을 구성하는 중공 샤프트의 축선 상에 위치하는 가상 평면을 경계로, 가상 평면의 양측의 일방에 규정되는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하고, 타방에 규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하면, 제1 만곡부와 상기 카테터의 선단은,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제2 만곡부는, 제2 영역에 위치하며, 제1 만곡부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보다,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가 크고, 제1 만곡부의 강성은, 제2 만곡부의 강성보다도 크다.

Description

카테터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단부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 샤프트를 가지는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01-87389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선행 기술에 의해서도, 복잡하게 분기하는 내장, 혈관 내에서, 카테터를 목적의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성능(선택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또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체내의 복잡하게 분기하는 내장, 혈관 내에서, 카테터를 목적의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성능(선택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카테터가 제공된다. 카테터는, 중공 샤프트를 구비하는 카테터로서, 중공 샤프트의 선단부는, 대략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제1 구간의 선단측에 접속되고, 제1 만곡부가 형성된 제2 구간과, 제2 구간의 선단측에 접속되고, 제2 만곡부가 형성된 제3 구간을 가지고 있고, 제2 구간의 강성은, 제3 구간의 강성보다도 크고, 제1 구간의 축선을 따른 가상 평면을 설정하고, 가상 평면의 일방의 측의 공간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하고, 타방의 측의 공간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하면, 제1 만곡부와 카테터의 선단은,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제2 만곡부는, 제2 영역에 위치하며,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는, 제1 만곡부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를 밀어넣는 힘 등의, 카테터의 축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를 거쳐, 카테터의 선단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의 선단 방향을 향하여, 카테터가 진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1 만곡부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보다,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이 혈관의 분기부에 도달했을 때에, 카테터의 선단을 분기부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2 구간의 강성이, 제3 구간의 강성보다도 큰 것이므로, 카테터의 선단이, 카테터의 후단측으로 밀려 되돌아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중공 샤프트의 제1 구간의 강성은, 제2 구간의 강성보다도 커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를 밀어넣는 힘이나, 카테터를 회전시키는 힘 등을, 카테터의 후단측으로부터 카테터의 선단측으로 보다 확실히 전달시킬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공 샤프트는, 제1 구간의 선단과, 제1 만곡부의 선단과, 제2 만곡부의 선단이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제1 구간의 선단과, 제1 만곡부의 정점과, 제2 만곡부의 정점이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구간의 선단과, 제1 만곡부의 정점과, 제2 만곡부의 정점이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카테터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되기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부가,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을 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가이드 와이어, 가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카테터의 제조 방법, 내시경, 다일레이터 등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만곡부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정면시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카테터의 혈관 내에서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제1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카테터의 혈관 내에서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제2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은, 설명의 편의상,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상대비를 실제와는 다른 상대비로 기재하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점은, 도 2 내지 도 6에서 나타내는 각 설명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에서, 좌측은 카테터(1) 및 카테터(1)의 각 구성 부재의 선단측이고, 우측은 카테터(1) 및 카테터(1)의 각 구성 부재의 후단측이다. 카테터(1)의 선단측은, 체내에 삽입되는 측(원위측)이고, 카테터(1)의 기단측은,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측(근위측)이다. 도 1의 좌우 방향을 카테터(1) 및 각 구성 부재의 축선 방향이라고 부른다.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카테터(1) 및 각 구성 부재의 지름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 카테터(1) 및 카테터(1)의 각 구성 부재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선단」이라고 기재하고, 「선단」을 포함하고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중도까지 연장되는 부위를 「선단부」라고 기재한다. 마찬가지로 카테터(1) 및 카테터(1)의 각 구성 부재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후단」이라고 기재하고, 「후단」을 포함하고 후단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중도까지 연장되는 부위를 「후단부」라고 기재한다.
카테터(1)는, 혈관이나 소화기관에 삽입되어, 치료나 검사에 이용되는 의료 기구이다. 카테터(1)는, 중공 샤프트(10)와, 선단팁(60)과, 파지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 샤프트(10)는, 카테터(1)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긴 관모양체이다.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중공 샤프트(10)의 선단부는 만곡 형상을 가지고 있다. 중공 샤프트(10)의 후단부에는 파지부(70)가 접속되어 있고, 중공 샤프트(10)의 선단부에는 선단팁(60)이 접속되어 있다. 중공 샤프트(10)의 루멘(내강)은, 파지부(70)의 루멘과, 선단팁(60)의 루멘과 연통하고 있다.
선단팁(60)은, 중공 샤프트(10)의 선단부에 접속되는 관모양체이다. 선단팁(60)은, 카테터(1)가 체내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해서, 카테터(1)의 최선단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선단팁(60)은, 유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PU(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선택할 수 있다. 선단팁(60)은, 수지 재료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료로도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70)는, 중공 샤프트(10)의 후단부에 접속되는 관모양체이다. 의사 등의 시술자는, 파지부(70)를 파지하고, 카테터(1)를 조작한다. 파지부(70)는, 프로텍터(71)와, 본체부(72)와, 커넥터부(73)를 가진다. 프로텍터(71)는, 프로텍터(71)의 후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증대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72)는, 의사 등의 시술자가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외주에 돌기부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부(73)는, 내주측에 나사 가공이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시린지(도시하지 않음) 등의 다른 의료용 기기와 접속할 수 있다. 파지부(70)는, 내구성을 가지고, 멸균 처리에 적합한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사출 성형된 수지, 또는 그들의 조합이라도 괜찮다.
중공 샤프트(10)는, 제1 중공 샤프트(11)와, 제2 중공 샤프트(12)와, 제3 중공 샤프트(1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중공 샤프트(11)의 기단부는 파지부(70)에 접속되고, 선단부는 제2 중공 샤프트(1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중공 샤프트(12)의 기단부는 제1 중공 샤프트(11)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선단부는 제3 중공 샤프트(13)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중공 샤프트(13)의 기단부는 제2 중공 샤프트(12)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선단부는 선단팁(6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중공 샤프트(11)의 선단과 제2 중공 샤프트(12)의 후단과의 접속 부분을, 제1 중공 샤프트(11)와 제2 중공 샤프트(12)와의 접속부(14)라고 한다. 접속부(14)는, 중공 샤프트(10)의 직선 모양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중공 샤프트(11)의 축선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중공 샤프트(12)의 선단과 제3 중공 샤프트(13)의 후단과의 접속 부분을, 제2 중공 샤프트(12)와 제3 중공 샤프트(13)과의 접속부(15)라고 한다. 제1 중공 샤프트(11)는, 대략 직선 모양이고, 카테터(1)의 축선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중공 샤프트(12)는, 적어도 일부가, 만곡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3 중공 샤프트(13)는, 적어도 일부가 만곡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 중공 샤프트(11), 제2 중공 샤프트(12) 및 제3 중공 샤프트(13)는,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고, 각각을 연통하는 루멘(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루멘은, 가이드 와이어 등의 다른 디바이스의 삽통이나, 약액의 송액(送液) 등에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 샤프트(10) 중, 제1 중공 샤프트(1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대략 직선 모양의 구간을 제1 구간(21)이라고 부르고, 제2 중공 샤프트(1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대략 직선 모양의 부분과 만곡 부분을 포함하는 구간을 제2 구간(22)이라고 부르며, 제3 중공 샤프트(1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만곡 부분을 포함하는 구간을 제3 구간(23)이라고 부른다. 제1 구간의 길이는, 제2 구간 및 제3 구간보다도 길다. 또, 제1 구간의 길이는, 제2 구간과 제3 구간을 합친 길이보다도 길다.
제1 구간(21)의 강성은, 제2 구간(22)의 강성보다 크다. 또, 제2 구간(22)의 강성은, 제3 구간(23)의 강성보다 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중공 샤프트(11)의 강성은, 제2 중공 샤프트(12)의 강성보다 크고, 제2 중공 샤프트(12)의 강성은, 제3 중공 샤프트(13)의 강성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중공 샤프트(10)는,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강성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는, 카테터(1)의 선단 방향을 향하여 유연성이 증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제3 구간(23)의 강성을 1로 했을 때의 각 구간에서의 강성의 비율을, 제3 구간(23):제2 구간(22):제1 구간(21) = 1:10~20:30~3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각 구간의 강성값은, 제3 구간(23)은 0.005~0.050gf·cm2/cm, 제2 구간(22)은 0.050~1.00gf·cm2/cm, 제1 구간(21)은 0.150~15.0gf·cm2/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구간의 강성을 설계함으로써, 카테터(1)는 푸셔빌리티(Pushability)와 선단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제1 만곡부(31), 제2 만곡부(32)를 가지고, 제1 거리(L1), 제2 거리(L2), 제3 거리(L3)가 후술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중공 샤프트(10)에 있어서,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의 강성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푸셔빌리티와 선단 유연성 모두를 충분히 만족하는 것이 발명자에 의해서 찾아내졌다.
제1 중공 샤프트(11)의 축선 상에 위치하는, 카테터(1)의 선단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면을, 가상 평면(40)이라고 한다. 도 1의 가상 평면(40)은, 가상 평면(40)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가상 평면(40)에 의해서 단락지어짐으로써 규정되는, 가상 평면(40)의 일방의 측으로 퍼지는 공간 영역을 제1 영역(51)이라고 하고, 가상 평면(40)의 타방의 측으로 퍼지는 공간 영역을 제2 영역(52)이라고 한다. 제1 영역(51)과 제2 영역(52)은, 가상 평면(40)을 경계로 대향하고 있다.
제2 중공 샤프트(12)에 의해서 형성된 만곡 형상의 일부를 제1 만곡부(31)라고 부른다. 제1 만곡부(31)는, 제2 구간(22)에 있어서, 제1 영역(51)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제3 중공 샤프트(13)에 의해서 형성된 만곡 형상의 일부를 제2 만곡부(32)라고 부른다. 제2 만곡부(32)는, 제3 구간(23)에 있어서, 제2 영역(52)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중공 샤프트(12)와 제3 중공 샤프트(13)의 접속부(15)는,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의 만곡부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제2 중공 샤프트(12)에 형성된 만곡 형상 중, 가장 곡률이 큰 부분을 최대 만곡부(Rmax1)이라고 한다. 최대 만곡부(Rmax1)의 곡률 반경(Rc1)의 중심을, 최대 만곡부(Rmax1)의 중심(C1)이라고 한다. 제2 중공 샤프트(12)에서의 제1 만곡부(31)의 범위는, 최대 만곡부(Rmax1)의 중심(C1)으로부터 만곡 형상의 외측을 향하여, 최대 만곡부(Rmax1)의 곡률 반경(Rc1)을 중심선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대상으로 퍼지고, 중심각(α1)을 60도로 하는 호(A1)의 내부에 포함되는 부분으로 한다. 제3 중공 샤프트(13)에 형성된 만곡 형상 중, 가장 곡률이 큰 부분을 최대 만곡부(Rmax2)라고 한다. 최대 만곡부(Rmax2)의 곡률 반경(Rc2)의 중심을, 최대 만곡부(Rmax2)의 중심(C2)이라고 한다. 제3 중공 샤프트(13)에서의 제2 만곡부(32)의 범위는, 최대 만곡부(Rmax2)의 중심(C2)으로부터 만곡 형상의 외측을 향하여, 최대 만곡부(Rmax2)의 곡률 반경(Rc2)을 중심선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대상으로 퍼지고, 중심각(α2)을 60도로 하는 호(A2)의 내부에 포함되는 부분으로 한다. 각 도면에서는,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에 해칭이 입혀져 있다.
제1 만곡부(31) 중, 가상 평면(4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점을 제1 만곡부의 정점(p1)이라고 한다. 제1 만곡부의 정점(p1)으로부터, 가상 평면(40)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L1)라고 한다. 제2 만곡부(32) 중, 가상 평면(4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점을 제2 만곡부의 정점(p2)이라고 한다. 제2 만곡부의 정점(p2)으로부터, 가상 평면(40)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L2)라고 한다. 카테터(1)의 선단(선단팁(60)의 선단) 중, 가상 평면(4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점과, 가상 평면(40)까지의 거리를, 제3 거리(L3)라고 한다. 카테터(1)는, 제1 거리(L1)보다, 제2 거리(L2)가 크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혈관 내에서, 카테터(1)의 선단(선단팁(60))을 카테터(1)의 기단측으로 넘어뜨린 상태일 때에, 제2 거리(L2)가 감소하고, 제1 거리(L1)와 제2 거리(L2)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이 카테터(1)의 선단측의 중심 근처를 지나게 되어, 푸셔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거리(L1)가, 제2 거리(L2)보다 크면 제1 만곡부(31)의 길이가 카테터(1)의 선단부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이 경우,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이, 제1 만곡부(31)가 휘는 것에 의해, 제1 만곡부(31)에서 흡수되어 버린다. 제1 거리(L1)가, 제2 거리(L2)보다도 작기 때문에,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의, 카테터(1)의 선단에 도달할 때까지의 감쇠율을 작게 할 수 있다. 카테터(1)는, 제1 거리(L1)보다, 제3 거리(L3)가 크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혈관 내에서, 카테터(1)의 선단(선단팁(60))을 카테터(1)의 기단측으로 용이하게 넘어뜨릴 수 있다. 또, 카테터(1)는, 제2 거리(L2)보다, 제3 거리(L3)가 크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혈관 내에서, 카테터(1)의 선단(선단팁(60))을 카테터(1)의 기단측으로 넘어뜨린 상태일 때에, 제2 거리(L2)의 감소량보다도 제3 거리(L3)의 감소량이 크고, 제2 거리(L2)와 제3 거리(L3)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이 카테터(1)의 선단측의 중심 근처를 지나게 되어, 푸셔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거리(L1)가, 제2 거리(L3)보다 크면, 제1 만곡부(31)의 길이가 카테터(1)의 선단부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이 경우,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이, 제1 만곡부(31)가 휘는 것에 의해, 제1 만곡부(31)에서 흡수되어 버린다. 제1 거리(L1)가, 제3 거리(L3)보다도 작기 때문에,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의, 카테터(1)의 선단에 도달할 때까지의 감쇠율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거리(L1)의 강성을 1으로 했을 때의 각 거리의 비율을, 제1 거리(L1):제2 거리(L2):제3 거리(L3) = 1:5~10:6~16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제1 거리(L1)는 0.500~3.00mm, 제2 거리(L2)는 2.50~5.00mm, 제3 거리(L3)는 3.00~8.00mm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만곡부의 최대 만곡부(Rmax2)는, 제2 만곡부의 정점(p2)보다도, 카테터(1)의 축선 방향에서 선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선단(선단팁(60))을 미리 카테터(1)의 기단측으로 조금 기울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혈관 내에서, 카테터(1)의 선단을 보다 용이하게 기단측으로 넘어뜨릴 수 있다.
제2 만곡부(32)의 최대 곡률은, 제1 만곡부(31)의 최대 곡률보다도 크다. 바꾸어 말하면, 선단측의 만곡부의 최대 곡률은, 후단측의 만곡부의 최대 곡률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선단은, 카테터(1)의 후단측으로 젖혀져 휘는 형상이 되어 있다.
제1 만곡부(31)의 강성은, 제2 만곡부(32)의 강성보다도 크다. 바꾸어 말하면, 후단측의 만곡부의 강성이, 선단측의 만곡부의 강성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선단(선단팁(60))을 카테터(1)의 기단측으로 넘어뜨렸을 때의 제1 만곡부(31)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카테터(1)의 선단을 보다 용이하게 기단측으로 넘어뜨릴 수 있다. 또, 카테터(1)의 기단측을 밀었을 때의 힘의, 제1 만곡부(31)에서의 감쇠율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정면시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3에서, 제1 구간(21)의 선단부의 횡단면의 윤곽, 정점(p1)을 포함하는 제1 만곡부(31)의 횡단면의 윤곽 및, 정점(p2)을 포함하는 제2 만곡부(32)의 횡단면의 윤곽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중공 샤프트(11)의 제1 구간(21)의 선단부, 제1 만곡부(31)의 정점(p1) 및 제2 만곡부(32)의 정점(p2), 그리고 선단팁(60)은, 하나의 곧은 가상선(41)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의 곧은 것은 완전하게 곧게 되어 있는 경우 외에, 대체로 곧게 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정면시에서, 선단팁(60)과 제2 만곡부(32)의 정점(p2)을 잇는 직선과, 제2 만곡부(32)의 정점(p2)과 제1 만곡부(31)의 정점(p1)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10° 이하이면, 이들은 곧은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중공 샤프트(10)는, 항혈전성, 가요성,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중공 샤프트(10)의 외경, 내경, 및 길이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카테터(1)의 혈관 내에서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제1의 설명도이다.
도 4에서, 카테터(1)는, 혈관(100)에 삽입되어 있다. 의사 등의 시술자는, 혈관 내의 카테터(1)를, 치료를 행하는 병변부 등의 목적 부위를 향하여 진행시킨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혈관(100)의 내경이 카테터(1)의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은 경우에 있어서는,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 모두가, 혈관벽(101)에 접하면서 진행한다. 그 때문에, 카테터(1)는,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를 접점으로 하여 혈관(100)의 지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진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카테터(1)는, 혈관벽(102)을 밀어 넓히면서 혈관(100) 내를 진행한다. 의사 등의 시술자는, 분기 혈관(101) 내로 카테터(1)를 진행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의사 등의 시술자는, 카테터(1)를 밀고 당기거나,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분기 혈관(101) 안으로 카테터(1)의 선단을 삽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예>
도 5는, 카테터(1)의 혈관 내에서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제2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카테터(1)의 선단이 분기 혈관(101) 안으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의사 등의 시술자는, 목적의 병변부위가 분기 혈관(101)의 끝에 있는 경우, 카테터(1)의 선단이 분기 혈관(101) 안으로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에, 카테터(1)를 분기 혈관(101) 안으로 밀어 진행시킨다.
혈관의 분기부에 카테터(1)가 옮겨졌을 경우에는, 혈관벽(102)에 의해 눌려져 있던 카테터(1)의 선단이 해방되어, 카테터(1)의 선단은 원래의 만곡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선단이 분기 혈관(101)으로 비집고 들어간다. 그 때문에, 의사 등의 시술자가, 카테터(1)를 분기 혈관(101)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의사 등의 시술자가 카테터(1)를 밀어넣는 것 등에 의해 카테터(1)의 축방향으로 가해진 힘(120)은,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를 거쳐, 카테터(1)의 선단까지 전달된다. 이 때, 제1 만곡부(30)와 제2 만곡부(32)가 혈관벽(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힘(120)은, 카테터(1)의 축방향의 힘으로부터, 선단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선단을 분기 혈관(101) 내로 진행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카테터(1)는, 혈관(100)을 밀어 넓히면서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에, 카테터(1)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카테터(1)가 밀려 되돌아오지 않도록 작용하는 저항력(카테터(1)의 백업력)이 발휘되어, 카테터(1)가 밀려 되돌아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 만곡부(31)의 강성은, 제2 만곡부(32)의 강성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백업력이 제1 만곡부(31)에서 생긴다. 그 때문에, 카테터(1)가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밀려 되돌아올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제1 구간의 길이는, 제2 구간 및 제3 구간보다도 길다. 이것에 의해, 약액을 카테터(1)의 루멘에 주입하고, 주입된 약액이 카테터(1)의 선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카테터(1)가 밀려 되돌아오지 않도록 작용하는 저항력(카테터(1)의 백업 성능)이 충분히 작용하여, 카테터(1)가 밀려 되돌아올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 구간의 길이는, 제2 구간과 제3 구간을 합한 길이보다도 길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백업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구간(21)의 강성은, 제2 구간(22)의 강성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를 밀어넣는 힘이나, 카테터(1)를 회전시키는 힘 등을, 카테터(1)의 후단측으로부터, 카테터(1)의 선단측으로 보다 확실히 전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의사 등의 시술자가 카테터(1)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1 중공 샤프트(11), 제2 중공 샤프트(12), 제3 중공 샤프트(13)의 순서로, 강성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는, 카테터(1)의 선단 방향을 향하여, 유연성이 증대한다. 그 때문에, 복잡하게 만곡하는 내장이나 혈관의 형상에 적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제1 중공 샤프트(11)와 제2 중공 샤프트(12)와의 접속부(14)는, 중공 샤프트(10)의 직선 모양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14)가 만곡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만곡 부분의 매끄러운 변형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다. 접속부(14)가 직선 모양의 부분에 마련됨으로써, 만곡 부분의 변형이 억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중공 샤프트(12)와 제3 중공 샤프트(13)의 접속부(15)는,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15)가 만곡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만곡 부분의 매끄러운 변형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다. 접속부(15)가 직선 모양의 부분에 마련됨으로써, 만곡 부분의 변형이 억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거리(L1)보다, 제3 거리(L3)가 크다. 바꾸어 말하면, 카테터(1)의 선단이 제1 만곡부(31)의 정점(p1)보다도, 카테터(1) 지름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분기 혈관(101)에 카테터(1)가 도달했을 때에, 분기 혈관(101)의 입구에, 카테터(1)의 선단이 스무스하게 삽입된다.
제2 만곡부의 최대 만곡부(Rmax2)는, 제2 만곡부의 정점(p2)보다도, 카테터(1)의 축선 방향에서 선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가 혈관(100) 내를 진행할 때에,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 카테터(1)의 진행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되어, 카테터(1)가 혈관 내로 진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제2 만곡부(32)의 만곡 정도는, 제1 만곡부(31)의 만곡 정도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의 선단은, 카테터(1)의 후단측으로 휘어 되돌아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 도 5에 나타나 있는 분기 혈관(101)과 같은, 카테터(1)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 혈관(101)으로 카테터(1)의 선단을 진행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중공 샤프트(11), 제1 만곡부(31) 및 제2 만곡부(32)는, 하나의 곧은 가상선(4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중공 샤프트(11)와,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가 1축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카테터(1)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그 때문에, 카테터(1)의 선단부가,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2)는, 제1 구간(21)과, 제2 구간(22)이 제1 중공 샤프트(11)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중공 샤프트(11)이, 제3 중공 샤프트(13)와 접속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만,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와 다르다.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카테터(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카테터(2)에서는, 제1 중공 샤프트(11)는, 카테터(2)의 후단부로부터 카테터(1)의 선단 방향을 향하여 대략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1 만곡부(31)를 가진다. 제1 중공 샤프트(11)의 선단부는, 제3 중공 샤프트(13)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중공 샤프트(13)의 후단부는, 제1 중공 샤프트(11)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카테터(2)의 선단부는 2개의 중공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구간(21)은, 제1 중공 샤프트(11)의 직선 모양의 부분에서 규정되어 있다. 제2 구간(22)은, 제1 중공 샤프트(11)의 직선 모양의 부분과 제1 만곡부(31)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규정되어 있다. 제1 중공 샤프트(11)의 선단과 제3 중공 샤프트(13)의 후단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을, 제1 중공 샤프트(11)와 제3 중공 샤프트(13)와의 접속부(14a)라고 한다. 접속부(14a)는,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예>
카테터(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가 가지는 효과에 더하여, 카테터(2)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중공 샤프트의 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중공 샤프트와 중공 샤프트의 접속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피하여, 킹크(kink)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태양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변형예 1]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는, 복수의 수지 튜브를 지름 방향으로 겹쳐서 형성한, 다층의 튜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카테터(1)는, 복수의 수지층의 사이에, 금속 소선으로 형성된 편조체(編組體)나, 코일체 등의 보강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카테터(1)는, 복수의 루멘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일방의 루멘은, 가이드 와이어 등의 병용되는 디바이스를 삽통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타방의 루멘은, 약액 등의 송액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 카테터(1)는, 선단팁(60)이나, 파지부(70)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2]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의 중공 샤프트(10)는, 하나의 수지 튜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수지 튜브의 후단측이 곧게 형성되고, 선단측에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가 마련된다. 중공 샤프트(10)는, 수를 한정하지 않는, 복수의 수지 튜브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수지 튜브 중, 선단측에 위치하는 수지 튜브에 제1 만곡부(31)와 제2 만곡부(32)가 마련된다.
[변형예 3]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의 제1 구간(21) 및 제2 구간(22)은, 제1 만곡부(31)보다도 후단측에, 만곡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카테터(1)는, 본 발명의 효과를 잃지 않는 범위에서, 만곡부를 3개 이상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한 변형예는, 제1 실시 형태만이 아니라,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실시 형태, 변형예에 근거하여 본 태양에 대해서 설명하여 왔지만, 상기한 태양의 실시 형태는, 본 태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태양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태양은, 그 취지 및 특허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게,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태양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또,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하게, 삭제할 수 있다.
1 : 카테터 10 : 중공 샤프트
11 : 제1 중공 샤프트 12 : 제2 중공 샤프트
13 : 제3 중공 샤프트
14 : 제1 중공 샤프트와 제2 중공 샤프트의 접속부
15 : 제2 중공 샤프트와 제3 중공 샤프트의 접속부
21 : 제1 구간 22 : 제2 구간
23 : 제3 구간 31 : 제1 만곡부
32 : 제2 만곡부 p1 : 제1 만곡부의 정점
p2 : 제2 만곡부의 정점 40 : 가상 평면
41 : 가상선 51 : 제1 영역
52 : 제2 영역 60 : 선단팁
70 : 파지부 71 : 프로텍터
72 : 본체부 73 : 커넥터부
100 : 혈관 101 : 분기 혈관
102 : 혈관벽
L1 : 제1 거리(제1 만곡부의 정점으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
L2 : 제2 거리(제2 만곡부의 정점으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
L3 : 제3 거리(중공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
C1 : 최대 만곡부(Rmax1)의 곡률 반경(Rc1)의 중심
C2 : 최대 만곡부(Rmax2)의 곡률 반경(Rc2)의 중심

Claims (3)

  1. 중공 샤프트를 구비하는 카테터로서,
    상기 중공 샤프트의 선단부는, 대략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선단측에 접속되고, 제1 만곡부가 형성된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선단측에 접속되고, 제2 만곡부가 형성된 제3 구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구간의 강성은, 상기 제3 구간의 강성보다도 크고,
    상기 제1 구간의 축선을 따른 가상 평면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면의 일방의 측의 공간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하고, 타방의 측의 공간 영역을 제2 영역으로 하면,
    상기 제1 만곡부와 상기 카테터의 선단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상기 가상 평면까지의 거리보다도 큰,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샤프트의 상기 제1 구간의 강성은, 상기 제2 구간의 강성보다도 큰,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공 샤프트는, 상기 제1 구간의 선단과, 상기 제1 만곡부의 정점과, 상기 제2 만곡부의 정점이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카테터.
KR1020237001376A 2020-07-27 2020-07-27 카테터 KR20230023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8761 WO2022024201A1 (ja) 2020-07-27 2020-07-27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020A true KR20230023020A (ko) 2023-02-16

Family

ID=8003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76A KR20230023020A (ko) 2020-07-27 2020-07-27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49662A1 (ko)
EP (1) EP4190384A4 (ko)
JP (1) JP7442648B2 (ko)
KR (1) KR20230023020A (ko)
CN (1) CN116194170A (ko)
WO (1) WO20220242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389A (ja) 1999-07-16 2001-04-03 Terumo Corp 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5247A (en) * 1997-09-12 1999-03-23 Medtronic, Inc. Radial guiding catheter curve
US7621904B2 (en) * 2004-10-21 2009-11-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with a pre-shaped distal tip
EP2000169A4 (en) * 2006-03-29 2009-04-22 Kaneka Corp CATHETER FOR BLOOD EVACUATION
WO2008058019A2 (en) * 2006-11-02 2008-05-15 Pakbaz R Sean Device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treating an aneurysm
US8012143B1 (en) * 2006-12-12 2011-09-06 Pacesetter, Inc. Intrapericardial delivery tools and methods
US10434287B2 (en) * 2015-04-28 2019-10-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Transradial celiac artery catherer
JP6659726B2 (ja) * 2015-05-05 2020-03-04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成形送達シース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389A (ja) 1999-07-16 2001-04-03 Terumo Corp 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2648B2 (ja) 2024-03-04
EP4190384A1 (en) 2023-06-07
US20230149662A1 (en) 2023-05-18
EP4190384A4 (en) 2024-07-17
CN116194170A (zh) 2023-05-30
JPWO2022024201A1 (ko) 2022-02-03
WO2022024201A1 (ja)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475A (en) Guidewire delivery assist device and system
US11766542B2 (en) Catheter
US5318526A (en) Flexible endoscope with hypotube activating wire support
US8870824B2 (en) Aspiration catheter
US11247023B2 (en) Catheter
KR20120027116A (ko)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CN113993570B (zh) 导管
US20070135830A1 (en) Flexible tip
JP2003534057A (ja) 斜めの案内ワイヤ出口がある多管腔型胆管カテーテル
CN111714754B (zh) 导管
TW201032847A (en) Guide catheter
WO2005099805A1 (en) Tunneler device
CN214807716U (zh) 经右桡动脉脑血管介入治疗指引导管
US20120065621A1 (en) Double lumen tubing with improved kinking resistance
CN114466672A (zh) 用于可操纵导管的导管管件以及用于通过可操纵导管植入可植入医疗装置的方法
KR20230023020A (ko) 카테터
WO2022030046A1 (ja)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の係合方法
US10052459B2 (en)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WO2015141392A1 (ja)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セット
CN114533208B (zh) 穿刺鞘及可调弯系统
CN218980156U (zh) 一种经股动脉入路牛角弓专用造影管
CN215741228U (zh) 一种远端通路导引导管
JP2014045848A (ja) ガイドワイヤ
WO2022239748A1 (ja) 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カテーテルシステムの操作方法
JP2018201575A (ja) 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