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610A -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610A
KR20230022610A KR1020210104588A KR20210104588A KR20230022610A KR 20230022610 A KR20230022610 A KR 20230022610A KR 1020210104588 A KR1020210104588 A KR 1020210104588A KR 20210104588 A KR20210104588 A KR 20210104588A KR 20230022610 A KR20230022610 A KR 2023002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low
water level
moving part
collecting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균
오수림
신유정
최서윤
양휘겸
채병민
김정건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610A/ko
Publication of KR2023002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의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정 본체와, 배수구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며, 내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COLLECTING WELL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LEVEL}
본 발명은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의 저장된 물을 외부로 자동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그 주변 및 하부에 많은 양의 지하수가 존재하게 되면, 지하수에 의한 부력의 영향으로 떠오르는 힘을 받게 되며, 구조상의 안전을 위협받게 된다.
반대로, 건축물의 주변 및 하부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강제 배수에 의해 많은 양을 급격하게 제거하게 되면, 지하수가 존재하던 공간이 갑자기 비게 되며 지반 침하가 발생되며 역시 건출물은 구조상의 안전을 위협받게 된다.
이에 건축물과 지하 지반을 강재철선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이 떠오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락앙카공법이나 지하수의 집수로 상향수압의 제거를 유도하는 영구배수법이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이중 영구배수법은 건출물의 외곽이나 기초하부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지하수가 집수정으로 모이면 이를 정기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기초바닥 콘크리트에 상향수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최근에 신축되는 건축물에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수정은 내부공간에 물이 집수되면 오버플로어팅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펌프를 이용하여 집수된 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전력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없이도 내부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475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공급 없이도 내부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정 본체와, 배수구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며, 내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며, 개폐구는 배수구에 밀착되게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관통 형성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과 배수구를 연결하는 유입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하면 중심부에 결합되며, 안착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차단부와, 중공에 차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물의 수압에 의해 중공을 따라 승강되며 차단부에 의해 개폐되는 이동부와, 중공에 배치되어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이동부는 하강 시 차단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며 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허용하고, 상승 시 차단부가 삽입되어 폐쇄되며 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부는 중공과 접촉되어 중공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제1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1이동몸체와, 제1단턱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제2유로가 관통 형성되되,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제2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2이동몸체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제2단턱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의 삽입과 이탈에 의해 이동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개폐구는 차단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물의 수압이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부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개폐구는 제1단턱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물의 수압이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부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착부는 측면에 중공과 수직하게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집수정 본체는 배수구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안착부의 삽입을 제한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배수구와 연결되며 연통공과 대응되는 배수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따라 개폐구가 물리적으로 자동 작동되며 배수구가 개폐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 없이도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수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서로 상이한 길이의 차단부를 갖는 복수의 개폐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서로 상이한 직경의 안착부를 갖는 복수의 개폐구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수로를 갖는 집수정 본체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집수정(1)은 지중(G)에 매설되어 우수, 지하수 등의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집수정(1)의 외관을 이루며 물을 저장하는 집수정 본체(10) 및 집수정 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구(2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정 본체(10)는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에는 외부에서 내부공간(11)으로 물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는 내부공간(11)에서 외부로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미도시)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2)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배수구(12) 각각은 중심부 둘레를 따라 개폐구(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안착턱(121, 도 2 참조)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개폐구(20)는 배수구(12)마다 삽입 결합되며, 일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배수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개폐구(20)는 배수구(12)에 억지 끼움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수구(12)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수구(12)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개폐구(20)는 배수구(12)에 밀착되게 삽입 결합되는 안착부(21), 안착부(21)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2), 결합부(22)에 결합되어 안착부(21)를 관통하는 차단부(23), 안착부(2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24) 및 안착부(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압축하는 힘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4)는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안착부(21)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4)는 승강에 따라 차단부(23)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거나, 차단부(23)의 삽입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동부(24)는 하강 시 차단부(23)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며 배수구(12)를 통한 물의 배출을 허용하고, 상승 시 차단부(23)가 삽입되어 폐쇄되며 배수구(12)를 통한 물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개폐구(20)는 이동부(24)의 승강에 따라 배수구(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탄성부(25)는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의해 이동부(24)에 작용하는 수압에 따라 압축되며 이동부(24)를 하강시키거나 탄성 복원되며 이동부(24)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동부(24)에 탄성력보다 큰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24)는 수압에 의해 결합부(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되며 개방될 수 있으며, 이동부(24)에 탄성력보다 작거나 같은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24)는 탄성부(25)에 의해 결합부(22)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승되며 폐쇄될 수 있다. 즉, 개폐구(20)는 이동부(24)에 작용하는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배수구(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개폐구(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안착부(21)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211)이 관통 형성되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12)의 상부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공(211)은 배수구(12)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단부(23), 이동부(24) 및 탄성부(25)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는 하단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탄성부(25)를 지지하며 이동부(24)의 하강을 제한하는 걸림턱(212)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는 복수의 유입공(221)이 관통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2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유입공(221)은 결합부(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수구(12)와 중공(211)을 연결할 수 있다.
차단부(23)는 결합부(22)의 하면 중심부에 결합되는 일정한 직경의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가 안착부(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중공(211)을 지나 안착부(2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동부(24)는 차단부(23)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다단 구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24)는 원형 기둥 형태를 갖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유로(2411)가 관통 형성되고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제1단턱(2412)이 돌출 형성되는 제1이동몸체(241) 및 제1단턱(2412)의 말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 기둥 형태를 갖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유로(2421)가 관통 형성되고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제2단턱(2422)이 돌출 형성되는 제2이동몸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몸체(241)는 중공(211)의 내주면에 밀착 배치되며, 중공(211)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몸체(242)는 중공(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안착부(2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단턱(2422)의 말단에 의해 둘러싸진 공간(2423)은 이동부(24)의 승강에 따라 차단부(2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이동부(24)는 하강 시 공간(2423)으로부터 이탈된 차단부(23)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상승 시 공간(2423)으로 삽입된 차단부(2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탄성부(25)는 걸림턱(212)과 제1단턱(2412) 사이에 위치하며 제2이동몸체(242)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5)의 탄성력보다 큰 수압이 이동부(24)에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24)는 수압에 의해 하강되며 공간(2423)으로부터 차단부(23)가 분리되며 개방될 수 있다(도 2 참조). 탄성부(25)의 탄성력보다 작거나 동일한 수압이 이동부(24)에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24)는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며 공간(2423)으로 차단부(23)가 삽입되며 폐쇄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본 발명은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따라 개폐구(20)가 물리적으로 자동 작동되며 배수구(12)가 개폐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 없이도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서로 상이한 길이의 차단부(23)를 갖는 복수의 개폐구(20)를 나타낸다.
하나의 집수정(1)에 마련된 복수의 개폐구(20)는 차단부(23)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서로 상이한 수압 조건에서 배수구(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의 점진적인 증가에 따라, 가장 짧은 길이의 차단부(23a)를 갖는 개폐구(20a)가 마련된 배수구(12a)가 가장 먼저 개방될 수 있으며, 가장 긴 길이의 차단부(23c)를 갖는 개폐구(20c)가 마련된 배수구(12c)가 가장 마지막에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의 점진적이 감소에 따라, 가장 긴 길이의 차단부(23c)를 갖는 개폐구(20c)가 마련된 배수구(12c)가 가장 먼저 폐쇄될 수 있으며, 가장 짧은 길이의 차단부(23a)를 갖는 개폐구(20a)가 마련된 배수구(12a)가 가장 마지막에 폐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서로 상이한 직경의 중공(211)을 갖는 복수의 개폐구(20)를 나타낸다.
하나의 집수정(1)에 마련된 복수의 개폐구(20)는 안착부(21)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24)의 제1단턱(2412)의 면적도 서로 상이 하게 형성되어, 서로 상이한 수압 조건에서 배수구(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의 점진적인 증가에 따라, 가장 넓은 면적의 제1단턱(2412a)을 갖는 개폐구(20a)가 마련된 배수구(12a)가 가장 먼저 개방될 수 있으며, 가장 좁은 면적의 제1단턱(2412c)을 갖는 개폐구(20c)가 마련된 배수구(12c)가 가장 마지막에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의 점진적이 감소에 따라, 가장 좁은 면적의 제1단턱(2412c)을 갖는 개폐구(20c)가 마련된 배수구(12c)가 가장 먼저 폐쇄될 수 있으며, 가장 넓은 면적의 제1단턱(2412a)을 갖는 개폐구(20a)가 마련된 배수구(12a)가 가장 마지막에 폐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단부(23)의 길이를 달리하거나 중공(211)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내부공간(11) 내 수압 증가 또는 하강에 따라 복수의 배수구(12)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폐구(20)의 형태를 달리하지 않고,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25)를 이용해 복수의 배수구(12)의 순차적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수로(13)를 갖는 집수정 본체(10)를 나타낸다.
안착부(21)는 상부 측면에 중공(211)과 수직하게 연통공(2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통공(213)은 제1승강몸체(2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승강몸체(231)의 하강에 따라 개방될 수 있으며, 제1승강몸체(231)의 상승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연통공(213)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안착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수정 본체(10)는 배수구(12)에 삽입된 개폐구(20)의 연통공(213)과 대응되게 배수로(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로(13)는 배수구(12)와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통공(213)이 형성된 개폐구(2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도 6의 (a)와 같이 탄성부(25)의 탄성력보다 작은 수압이 이동부(24)에 작용하는 경우, 연통공(213a, 213b)은 이동부(24)의 상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공간(2423)은 차단부(23)의 삽입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즉, 배수구(12) 및 배수로(13)를 통해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없다.
도 6의 (b)와 같이 탄성부(25)의 탄성력보다 큰 제1수압이 이동부(24)에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24)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일부 연통공(213a)이 개방될 수 있으며, 공간(2423)은 차단부(23)의 이탈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즉, 배수구(12)를 통해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개방된 연통공(213a)과 연결된 배수로(13a)를 통해서도 물의 배출이 가능하다.
도 6의 (c)와 같이 제1수압보다 큰 제2수압이 이동부(24)에 작용하는 경우, 도 6의 (b) 상태에서 이동부(24)가 하측으로 더 이동하며 모든 연통공(213a, 213b)이 개방될 수 있으며, 공간(2423)은 차단부(23)의 이탈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배수구(12)를 통해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며, 개방된 연통공(213a, 213b)과 연결된 각각 배수로(13a, 13b)를 통해서도 물의 배출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내부공간(11)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따른 이동부(24)의 승강에 따라 공간뿐만 아니라 배수로(13)와 연결된 연통공(213)도 함께 개폐되며 빠른 배수가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10 : 집수정 본체
20 : 개폐구

Claims (5)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정 본체와, 상기 배수구와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상기 배수구에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관통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과 상기 배수구를 연결하는 유입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면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차단부와,
    상기 중공에 상기 차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중공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차단부에 의해 개폐되는 이동부와,
    상기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하강 시 상기 차단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며 상기 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허용하고, 상승 시 상기 차단부가 삽입되어 폐쇄되며 상기 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공과 접촉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제1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1이동몸체와,
    상기 제1단턱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제2유로가 관통 형성되되,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제2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2이동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단턱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의 삽입과 이탈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폐구는,
    상기 차단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물의 수압이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폐구는,
    상기 제1단턱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물의 수압이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측면에 상기 중공과 수직하게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집수정 본체는,
    상기 배수구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안착부의 삽입을 제한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는 배수로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KR1020210104588A 2021-08-09 2021-08-09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KR20230022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88A KR20230022610A (ko) 2021-08-09 2021-08-09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88A KR20230022610A (ko) 2021-08-09 2021-08-09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10A true KR20230022610A (ko) 2023-02-16

Family

ID=8532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588A KR20230022610A (ko) 2021-08-09 2021-08-09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26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751B1 (ko) 2014-04-02 2015-12-04 박성종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751B1 (ko) 2014-04-02 2015-12-04 박성종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9822B2 (ja) 地下水の排水装置及び方法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100856388B1 (ko) 지하수 배수 구조물
US7048060B2 (en) Subsea system for processing fluid
KR20100137340A (ko) 확장형 함마
KR101816815B1 (ko) 승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20230022610A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집수정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1034611B1 (ko) 집수정 수위 조절장치
KR20110028097A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US7048058B2 (en) Subsea system for separating multiphase fluid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ATE296924T1 (de) Zweimengenspülventil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101753899B1 (ko) 지반굴착장치의 시멘트풀 분배기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KR20060116765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CN214271925U (zh) 一种自动闸门灌溉装置
KR200445948Y1 (ko) 지하수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US4700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liquids from a well bore
JP3650861B2 (ja) 既存構造物直下の被圧地盤の改良方法及びその改良方法に使用する止水装置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200411497Y1 (ko) 수압 조절 배수 구조체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KR200493687Y1 (ko) 맨홀 일체형 자재 투입구를 갖는 밸브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