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274A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Google Patents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2274A KR20230022274A KR1020237004282A KR20237004282A KR20230022274A KR 20230022274 A KR20230022274 A KR 20230022274A KR 1020237004282 A KR1020237004282 A KR 1020237004282A KR 20237004282 A KR20237004282 A KR 20237004282A KR 20230022274 A KR20230022274 A KR 20230022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metal film
- scribing
- dividing
- main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18 Gallium arsen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65 intermetall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1 point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1—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with preliminary treatment, e.g. weakening by sco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0445—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crystalline silicon carbide
- H01L21/0475—Changing the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e.g. forming re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3—Making grooves, e.g. cu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8—Silicon carb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c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메탈막 부착 기판을 적합하게 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는 방법이, 메탈막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면측을 소정의 분단 예정 위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브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메탈막을 분단함과 함께 분단 예정 위치를 따라 기판 내부에 대하여 수직 크랙을 신전시키는 공정과, 메탈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주면측으로부터 메탈막 부착 기판에 대하여 브레이크 바를 맞닿게 함으로써 수직 크랙을 더욱 신전시킴으로써,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 예정 위치에 있어서 분단하는 공정을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분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쪽 주면(主面)에 디바이스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주면에 메탈막(metal film)이 형성된 기판의 분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SiC(탄화 규소) 기판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을 분단하는 수법으로서,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한쪽 주면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ing line)을 형성하고, 당해 스크라이브 라인으로부터 수직 크랙을 신전(extension)시키는 스크라이브 공정을 행한 후, 외력의 인가에 의해 이러한 크랙을 기판 두께 방향으로 더욱 신전시킴으로써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을 브레이크하는 브레이크 공정을 행한다는 수법이 이미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은, 스크라이빙 휠(커터 휠)을 분단 예정 위치를 따라 압접 전동(rolling)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브레이크는,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다른 한쪽 주면측에 있어서, 브레이크날(브레이크 바)의 날끝을 분단 예정 위치를 따라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에 맞닿게 한 후에, 당해 날끝을 더욱 압입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이들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 및 브레이크는, 다른 한쪽 주면에 점착성을 갖는 다이싱 테이프를 접착한 상태로 행해지고, 브레이크 후에 이러한 다이싱 테이프를 신장시키는 익스팬드 공정에 의해 대향하는 분단면이 이격된다.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분단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한쪽 주면에 반도체층이나 전극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위 패턴이 2차원적으로 반복된 디바이스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주면에 메탈막이 형성된 모기판(mother substrate)을, 개개의 디바이스 단위로 분단한다(개편화(個片化)한다)는 것이 있다.
이러한 분단을,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수법으로 행하는 경우, 브레이크 공정 후에, 메탈막이 분단되어야 할 개소에 있어서 완전하게 분단되지 않고 연속한 채로 되어 있는, 소위 박피(薄被) 잔사라고도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박피 잔사의 부분이 발생했다고 해도, 그 후의 익스팬드 공정에 의해 당해 부분의 메탈막은 분단(파단)될 수 있지만, 가령 분단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이러한 분단 개소에 있어서 메탈막의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메탈막 부착 기판을 적합하게 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는 방법으로서, 메탈막 부착 기판의 메탈막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면측을 소정의 분단 예정 위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빙 툴에 의해 스크라이브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메탈막을 분단함과 함께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으로부터 상기 분단 예정 위치를 따라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내부에 대하여 수직 크랙을 신전시키는 스크라이브 공정과,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상기 메탈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주면측으로부터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에 대하여 브레이크 바를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수직 크랙을 더욱 신전시킴으로써,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을 상기 분단 예정 위치에 있어서 분단하는 브레이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제1 태양에 따른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공정은,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자세를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 시와는 상하 반전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제1 또는 제2 태양에 따른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을, 스크라이브 대상물이 올려놓여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올려놓여진 상기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상방으로부터 스크라이브하는 상기 스크라이빙 툴을 구비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면측이 상기 스크라이빙 툴과 대향하는 자세로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을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한 상태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제3 태양에 따른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가, 상기 스테이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올려놓여진 상기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관찰 및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의 적어도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상 범위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태양에 의하면, 메탈막에 벗겨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메탈막 부착 기판을 양호하게 분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의 대상인 기판(모기판)(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스크라이브 처리의 실행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라이브 처리의 실행 중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크라이브 처리 후의 기판(10)의 메탈막(3)측으로부터의 촬상 화상이다.
도 5는 브레이크 처리의 실행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브레이크 처리의 실행 중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브레이크 처리를 실행 후의 기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분단 처리에 제공된 기판(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촬상 화상이다.
도 9는 종래의 분단 처리에 제공된 기판(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촬상 화상이다.
도 10은 기판(10)에 대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수법으로 복수 개소에서의 분단을 행한 결과 얻어진 복수의 개편에 대한, 메탈막(3)의 표면의 촬상 화상이다.
도 2는 스크라이브 처리의 실행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라이브 처리의 실행 중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크라이브 처리 후의 기판(10)의 메탈막(3)측으로부터의 촬상 화상이다.
도 5는 브레이크 처리의 실행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브레이크 처리의 실행 중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브레이크 처리를 실행 후의 기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분단 처리에 제공된 기판(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촬상 화상이다.
도 9는 종래의 분단 처리에 제공된 기판(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촬상 화상이다.
도 10은 기판(10)에 대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수법으로 복수 개소에서의 분단을 행한 결과 얻어진 복수의 개편에 대한, 메탈막(3)의 표면의 촬상 화상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반도체용 디바이스 기판>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의 대상인 기판(모기판)(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기판(10)은, 그 분단에 의해 얻어지는 개편이 각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를 이루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판(10)이, 기재(1)와, 당해 기재(1)의 한쪽 주면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반도체층이나 전극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위 패턴이 2차원적으로 반복된 디바이스 패턴(2)과, 기재(1)의 다른 한쪽 주면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메탈막(3)을 갖는 것으로 한다. 환언하면, 기판(10)은, 메탈막 부착 기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재(1)는, SiC나 Si 등의 단결정 또는 세라믹스 등의 다결정의 기판이다. 그의 재질이나, 두께 및 평면 사이즈 등은, 제작하고자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종류, 용도, 기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설정된다. 이러한 기재(1)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가 100㎛∼600㎛ 정도의, 2∼6인치 지름의 SiC 기판 등이 예시된다.
디바이스 패턴(2)은, 제작 대상인 반도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그의 기능이나 특성의 발현에 주로 관련되는, 반도체층, 절연층, 전극 등을 포함하는 부위이다. 그의 구체적 구성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1)의 한쪽 주면의 전체면에 형성된 박막층(2a)과, 당해 박막층(2a)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전극(2b)에 의해 디바이스 패턴(2)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에서, 박막층(2a)은 단층이라도 다층이라도 좋고, 전극(2b)에 대해서도 단층 전극이라도 다층 전극이라도 좋다. 또한, 박막층(2a)이 기재(1)의 전체면을 덮는 대신에, 기재(1)의 일부가 노출되는 태양이라도 좋다. 혹은 또한, 1개의 단위 패턴으로 전극(2b)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박막층(2a)과 전극(2b)의 재질이나 사이즈는, 제작하고자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종류, 용도, 기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설정된다. 예를 들면, 박막층(2a)의 재질로서는, 질화물(예를 들면 GaN, AlN), 산화물(예를 들면 Al2O3, SiO2), 예를 들면, 금속 간 화합물(예를 들면 GaAs), 유기 화합물(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이 예시된다. 전극(2b)의 재질은, 일반적인 전극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Ti, Ni, Al, Cu, Ag, Pd, Au, Pt 등의 금속이나, 그들의 합금 등이 예시된다. 또한, 박막층(2a) 및 전극(2b)의 두께는 통상, 기재(1)의 두께에 비해 작다.
메탈막(3)은, 주로 이면 전극으로서의 사용이 상정되는 것이다. 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메탈막(3)이, 기재(1)의 다른 한쪽 주면의 전체면에(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분단 예정 위치를 걸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메탈막(3)도, 전극(2b)과 마찬가지로, 단층이라도 다층이라도 좋고, 그의 재질도 전극(2b)과 마찬가지로, Ti, Ni, Al, Cu, Ag, Pd, Au, Pt 등의 금속이나, 그들의 합금 등, 일반적인 전극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되어도 좋다. 또한, 메탈막(3)의 두께도 통상, 기재(1)의 두께에 비해 작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기판(10)이, 적어도 면 내의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정해진 분단 예정 위치(P)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분단되는 것으로 한다. 분단 예정 위치(P)는, 기판(10)의 두께 방향을 따른 가상면으로서 관념된다. 이에 더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얻기 위해, 당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도 적절한 간격으로 분단 예정 위치가 정해져도 좋다.
또한, 도 1에는, 도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간격(피치) d1로 서로 이격하는 3개의 분단 예정 위치(P)를, 기판(10)을 넘어 연재(延在)하는 일점쇄선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 방향에 대해서 더욱 많은 분단 예정 위치(P)가 규정되어도 좋다. d1은 예를 들면 1.5㎜∼5㎜ 정도이고, 적어도 0.5㎜ 이상이다.
<스크라이브 처리>
이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분단 방법에 있어서 기판(10)에 대하여 실시하는 분단 처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은, 기판(10)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처리를 행한다.
도 2는, 스크라이브 처리의 실행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라이브 처리의 실행 중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처리는, 스크라이브 장치(100)를 이용하여 행한다. 스크라이브 장치(100)는, 스크라이브 대상물이 올려놓여지는 스테이지(101)와,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상방으로부터 스크라이브하는 스크라이빙 휠(102)과, 스테이지(101)에 올려놓여진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관찰·촬상하기 위한 카메라(103)를 구비한다.
스테이지(101)는, 수평인 상면을 피재치면(被載置面)으로서 갖고, 이러한 피재치면에 올려놓여진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도시하지 않는 흡인 수단에 의해 흡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지(101)는, 그의 하방에 배치된 카메라(103)에 의해 피재치면에 올려놓여져 있는 스크라이브 대상물의 관찰·촬상을 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카메라(103)의 촬상 범위에 대해서는, 유리 등의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는, 기판(10)의 위치 결정을, 디바이스 패턴(2)의 형상을 이용하여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테이지(101)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2축 이동 동작이나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스크라이빙 휠(102)은, 외주면에 단면(斷面)에서 볼 때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날끝(102e)을 갖는, 직경이 2㎜∼3㎜인 원판 형상의 부재(스크라이빙 툴)이다. 적어도 날끝(102e)은 다이아몬드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날끝(102e)의 각도(날끝각) δ는 100°∼150°이고, 100°∼130°(예를 들면 110°)인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스크라이빙 휠(102)은, 스테이지(101)의 상방에, 연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보유지지(保持) 수단에 의해, 스테이지(101)의 한쪽의 수평 이동 방향과 평행한 연직면 내에 있어서 회전이 자유롭게 보유지지되어 이루어진다.
카메라(103)는, 스테이지(101)의 하방에, 연직 상방을 관찰·촬상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카메라(103)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이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면, 스크라이브 장치(100)로서는, 공지의 것을 적용 가능하다.
스크라이브 처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0)의 디바이스 패턴(2)측에, 기판(10)의 평면 사이즈보다도 큰 평면 사이즈를 갖는 점착성의 다이싱 테이프(익스팬드 테이프)(4)를 접착한 후에 행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다이싱 테이프(4)를 접착한 상태의 것에 대해서도, 단순히 기판(10)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다이싱 테이프(4)에는, 두께가 80㎛∼150㎛ 정도(예를 들면 100㎛)의 공지의 것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다이싱 테이프(4)를 스테이지(101)의 피재치면과 접촉시키는 태양으로 기판(10)을 스테이지(101) 상에 올려놓고, 흡인 고정한다. 즉, 기판(10)은, 메탈막(3)의 측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스테이지(101)에 재치 고정된다. 이때, 스크라이빙 휠(102)은, 기판(10)과는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10)의 자세는, 종래 일반적으로 행해져 온,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브 처리에 있어서의 기판의 자세와는, 상하 반전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탈막(3)의 측으로부터 기판(10)의 스크라이브를 행하지만, 이는, 종래 일반적으로 행해져 온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기 위한 스크라이브 처리의 경우와는, 스크라이브 대상면이 표리 반대이다.
기판(10)의 고정이 이루어지면, 계속하여, 스테이지(101)를 적절히 동작시킴으로써, 분단 예정 위치(P)와 스크라이빙 휠(102)의 회전면이 동일한 연직면 내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위치 결정을 행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휠(102)의 날끝(102e)이, 분단 예정 위치(P)의 메탈막측 단부(Pa)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단 예정 위치(P)의 메탈막측 단부(Pa)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위치 결정은, 그 한쪽 단부측의 상방에 스크라이빙 휠(102)이 위치하도록 행해진다.
이러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면, 스크라이빙 휠(102)은, 도시하지 않는 보유지지 수단에 의해,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A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102e)이 분단 예정 위치(P)의 메탈막측 단부(Pa)에 압접될 때까지 연직 하방으로 하강된다.
압접 시에 날끝(102e)이 기판(10)에 대하여 인가하는 하중(스크라이브 하중)이나, 스테이지(101)의 이동 속도(스크라이브 속도)는, 기판(10)의 구성 재료의, 그 중에서도 특히 기재(1)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의해 적절히 정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기재(1)가 SiC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면, 스크라이브 하중은 1N∼10N 정도(예를 들면 3.5N)이면 좋고, 스크라이브 속도는 100㎜/s∼300㎜/s(예를 들면 100㎜/s)이면 좋다.
이러한 압접이 이루어지면, 이 압접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스크라이빙 휠(102)이 분단 예정 위치(P)의 메탈막측 단부(Pa)의 연재 방향(도 2에 있어서는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스크라이빙 휠(102)은 상대적으로, 당해 방향으로(메탈막측 단부(Pa)의 다른 한쪽 단부를 향하여) 전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태양으로 메탈막측 단부(Pa)를 따른 스크라이빙 휠(102)의 압접 전동이 진행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0)의 메탈막(3)이 분단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SL)이 형성되어 감과 함께, 이러한 스크라이브 라인(SL)으로부터 분단 예정 위치(P)를 따라 연직 하방에, 기재(1)에 이르러 수직 크랙(VC)이 신전한다. 최종적으로 분단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수직 크랙(VC)은 적어도 기재(1)의 중간 정도에까지 신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라이브 처리에 의한 메탈막(3)의 분단과 수직 크랙(VC)의 형성은, 모든 분단 예정 위치(P)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4는, 이러한 스크라이브 처리 후의 기판(10)의 메탈막(3)측으로부터의 촬상 화상이다. 도 4로부터는, 스크라이브 라인(SL)의 형성에 의해 메탈막(3)이 적합하게 분단되어 있는 것 및, 메탈막(3)의 벗겨짐도 발생하고 있지는 않은 것이 확인된다.
<브레이크 처리>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 크랙(VC)이 형성된 기판(10)은, 계속하여, 브레이크 처리에 제공된다. 도 5는, 브레이크 처리의 실행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브레이크 처리의 실행 중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브레이크 처리 실행 후의 기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처리는, 브레이크 장치(200)를 이용하여 행한다. 브레이크 장치(200)는, 브레이크 대상물이 올려놓여지는 보유지지부(201)와, 브레이크 처리를 담당하는 브레이크 바(202)를 구비한다.
보유지지부(201)는, 한 쌍의 단위 보유지지부(201a와 201b)로 이루어진다. 단위 보유지지부(201a와 201b)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이격 거리) d2로 서로 이격시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동일한 높이 위치로 된 양자의 수평인 상면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브레이크 대상물의 피재치면으로서 이용된다. 환언하면, 브레이크 대상물은, 일부를 하방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보유지지부(201) 상에 올려놓여진다. 보유지지부(201)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유지지부(201)는, 수평면 내의 미리 정해진 하나의 방향(보유지지부 진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위 보유지지부(201a와 201b)의 근접 및 이격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이루어진다. 즉, 브레이크 장치(200)에 있어서는, 이격 거리 d2는 가변으로 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있어서는, 도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이 보유지지부 진퇴 방향이 된다.
또한 보유지지부(201)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피재치면에 올려놓여진 브레이크 대상물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얼라인먼트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바(202)는, 단면에서 볼 때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날끝(202e)이 날 진행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금속제(예를 들면 초경합금제) 부재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날 진행 방향이 도면에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브레이크 바(202)를 나타내고 있다. 날끝(202e)의 각도(날끝각) θ는 5°∼90°(예를 들면 60°)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날끝(202e)의 최선단 부분은 곡률 반경이 5㎛ 내지 100㎛ 정도(예를 들면 100㎛)의 미소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바(202)는, 보유지지부 진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위 보유지지부(201a와 201b)의 중간 위치(각각으로부터 등가인 위치)의 상방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보유지지 수단에 의해, 보유지지부 진퇴 방향에 수직인 연직면 내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200)를 이용한 브레이크 처리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싱 테이프(4)가 접착된 상태의 스크라이브 처리 후의 기판(10)의, 메탈막(3)측의 면 및 측부를 덮는 태양으로, 보호 필름(5)을 접착한 후에 행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보호 필름(5)을 접착한 상태의 것에 대해서도, 단순히 기판(10)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보호 필름(5)에는, 두께가 10㎛∼75㎛ 정도(예를 들면 25㎛)의 공지의 것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필름(5)을 보유지지부(201)의 피재치면과 접촉시키는 태양으로 기판(10)을 보유지지부(201) 상에 올려놓는다. 즉, 기판(10)은, 메탈막(3)측이 하방이 되고 디바이스 패턴(2)측이 상방이 되는 자세로, 결국은 스크라이브 처리 시와는 상하 반전된 자세로, 보유지지부(201) 상에 올려놓여진다. 이때, 브레이크 바(202)는, 기판(10)과는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10)의 자세는, 스크라이브 처리의 경우와 동일하게, 종래 일반적으로 행해져 온,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기 위한 브레이크 처리에 있어서의 기판의 자세와는, 상하 반전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패턴(2)의 측으로부터 기판(10)의 브레이크 처리를 행하지만, 이는, 종래 일반적으로 행해져 온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기 위한 브레이크 처리의 경우와는, 브레이크 대상면이 표리 반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소정의 간격(피치) d1로 복수의 분단 예정 위치(P)가 정해져 있을 때는, 이격 거리 d2가 기판(10)의 분단 예정 위치(P)의 간격(피치) d1과의 사이에 있어서, d2=1.5d1(d2는 d1의 (3/2)배)이 되도록 한 쌍의 단위 보유지지부(201a와 201b)를 배치한 상태로, 기판(10)을 보유지지부(201) 상에 올려놓는다. 이는 일반적인 브레이크 처리 시에 채용되는 조건과 동일하다. 또한, 실제의 처리에 있어서는, d2=1.0d1∼1.75d1이 되는 범위이면 좋다.
기판(10)의 재치가 이루어지면, 계속하여, 구동 기구를 적절히 동작시킴으로써, 기판(10)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라이브 처리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SL) 나아가서는 수직 크랙(VC)을 형성한 기판(10)의 분단 예정 위치(P)의 연재 방향이, 브레이크 바(202)의 날 진행 방향에 일치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을 행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바(202)의 날끝(202e)이, 분단 예정 위치(P)의 디바이스 패턴측 단부(Pb)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면, 도 5에 있어서 화살표 AR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바(202)는, 날끝(202e)이 분단 예정 위치(P)의 디바이스 패턴측 단부(Pb)를 향하여 연직 하방으로 하강된다.
이때, 브레이크 바(202)의 날끝(202e)은, 분단 예정 위치(P)의 디바이스 패턴측 단부(Pb)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싱 테이프(4)의 상면의, 디바이스 패턴측 단부(Pb)의 상방 위치(Pc)에 맞닿지만, 브레이크 바(202)는, 이러한 위치(Pc)에서 다이싱 테이프(4)에 맞닿은 후도 소정 거리만큼 하강된다. 즉, 기판(10)에 대하여 소정의 압입량으로 압입된다. 이러한 압입량은 0.05㎜∼0.2㎜(예를 들면 0.1㎜)인 것이 적합하다.
그러면, 기판(10)에 대하여 브레이크 바(202)의 날끝(202e)을 작용점으로 하고, 한 쌍의 단위 보유지지부(201a, 201b)의 각각의 피재치면의 내측 단부(f(fa, fb))를 지점(支点)으로 하는 3점 굽힘의 상황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있어서 화살표 AR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0)에는, 상반되는 2개의 방향으로 인장 응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수직 크랙(VC)은 더욱 신전됨과 함께, 기판(10)은 좌우 2개의 부분으로 일단 이격하고, 양 부분의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된다.
그 후, 브레이크 바(202)가 상승되어 기판(10)의 압입이 해제되면, 최종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G)은 닫혀 좌우 2개의 부분의 단부가 맞닿은 분단면(D)이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처리의 종료 후, 도 7에 화살표 AR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싱 테이프(4)에 대하여 면 내 방향으로 인장 응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다이싱 테이프(4)는 신장하고, 기판(10)은 분단면(D)의 부분에서 2개의 부분(10A, 10B)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기판(10)이 2개로 분단된 것이 된다.
<종래 수법과의 대비>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분단 처리에 제공된 기판(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촬상 화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는, 다이싱 테이프에 의한 신장 전의 기판(10)의 단면의 촬상 화상이고, 도 8(b)는, 그 부분(R)의 확대상이다. 도 9는 이러한 신장이 이루어진 후의, 메탈막(3)의 표면의 촬상 화상이다. 또한, 도 10은, 기판(10)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법으로 복수 개소에서의 분단을 행한 결과 얻어진 복수의 개편에 대한, 메탈막(3)의 표면의 촬상 화상이다.
여기에서, 종래의 분단 처리란,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과는 기판(10)의 자세를 상하 반전시킨 상태로 스크라이브 처리와 브레이크 처리를 행한다는 것이다. 즉, 스크라이브 장치(100)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 처리에 있어서는 디바이스 패턴(2)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브레이크 처리에 있어서는 메탈막(3)측에 브레이크 바(202)를 맞닿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8(b)에 있어서 화살표 AR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처리 후의 메탈막(3)이 분단되어 있지 않은 개소가 발생한다. 이러한 개소가 존재하는 상황이라도, 다이싱 테이프(4)를 신장시키면 메탈막은 분단된다. 그러나, 분단에 의해 얻어진 개편의 단부에 있어서, 도 9에 있어서 화살표 AR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탈막(3)의 벗겨짐이 발생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도 10(a) 및 그의 부분 확대상인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소에 있어서 분단을 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스크라이브 처리의 종료 후일 때와 동일하게, 분단 후에 있어서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탈막(3)의 벗겨짐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재의 한쪽 주면에 디바이스 패턴을 갖고, 다른 한쪽 주면에 메탈막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분단을, 스크라이브 처리와 브레이크 처리의 조합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미리 스크라이브 처리에 의해 메탈막을 분단한 후에, 브레이크 처리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메탈막에 벗겨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양호한 분단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빙 휠에 의해 스크라이브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 및 크랙의 신전이 적합하게 실현된다면, 다이아몬드 포인트 등, 스크라이빙 휠 이외의 툴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태양이라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장치(100)에 있어서 디바이스 패턴을 이용한 위치 결정을 행할 필요성으로부터, 스테이지(101) 중 적어도 카메라(103)의 촬상 범위에 대해서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될 필요가 있었지만, 메탈막(3)에 소정의 얼라인먼트 마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의 관찰에 의해 이러한 얼라인먼트 마크를 이용한 기판(10)의 위치 결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스테이지(101)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브레이크 처리에 있어서 이용된 브레이크 장치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 이격된 한 쌍의 단위 보유지지부(201a와 201b)로 이루어지는 보유지지부(201)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기판의 전체면에 접촉하여 보유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보유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브레이크 처리에 있어서의 압입량은, 0.05㎜∼0.2㎜(예를 들면 0.1㎜)인 것이 적합하다.
Claims (7)
- 메탈막 부착 기판을 분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기재(基材)는, SiC 기판이며,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제1 주면측에는, 상기 메탈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제2 주면측에는, 전극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메탈막 부착 기판의 메탈막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면측을 소정의 분단 예정 위치에 있어서 스크라이빙 휠을 상기 메탈막에 압접 전동시킴에 의해 스크라이브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메탈막을 분단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으로부터 상기 분단 예정 위치를 따라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내부에 대하여 수직 크랙을 신전시키는 스크라이브 공정과,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상기 디바이스 패턴이 형성된 제2 주면측으로부터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에 대하여 상기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브레이크 바를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수직 크랙을 더욱 신전시킴으로써,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을 상기 분단 예정 위치에 있어서 분단하는 브레이크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날끝각이 100°∼130°이고, 스크라이브 하중은 1N∼1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바가 0.05㎜∼0.2㎜의 압입량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은, 제2 주면측에 디바이스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공정은,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자세를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 시와는 상하 반전시켜 상기 디바이스 패턴이 형성된 제2 주면측에 상기 브레이크 바를 맞닿게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의 기재의 두께는,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을,
스크라이브 대상물이 올려놓여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올려놓여진 상기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상방으로부터 스크라이브하는 상기 스크라이빙 휠
을 구비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면측이 상기 스크라이빙 휠과 대향하는 자세로 상기 메탈막 부착 기판을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한 상태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가,
상기 스테이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지에 올려놓여진 상기 스크라이브 대상물을 관찰 및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의 적어도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상 범위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07765 | 2017-10-27 | ||
JP2017207765 | 2017-10-27 | ||
KR1020227008658A KR102547356B1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PCT/JP2018/038406 WO2019082724A1 (ja) | 2017-10-27 | 2018-10-16 | メタル膜付き基板の分断方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8658A Division KR102547356B1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2274A true KR20230022274A (ko) | 2023-02-14 |
KR102579235B1 KR102579235B1 (ko) | 2023-09-14 |
Family
ID=662473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4282A KR102579235B1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KR1020207011747A KR20200058486A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KR1020227008658A KR102547356B1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1747A KR20200058486A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KR1020227008658A KR102547356B1 (ko) | 2017-10-27 | 2018-10-16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81302A1 (ko) |
EP (1) | EP3703107A4 (ko) |
JP (3) | JPWO2019082724A1 (ko) |
KR (3) | KR102579235B1 (ko) |
CN (1) | CN111279459A (ko) |
TW (1) | TWI779123B (ko) |
WO (1) | WO20190827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54416B2 (ja) * | 2019-01-11 | 2023-04-10 | 株式会社ディスコ | 被加工物の切削方法 |
JPWO2023058509A1 (ko) | 2021-10-08 | 2023-04-13 | ||
JP2024072003A (ja) * | 2022-11-15 | 2024-05-27 | 株式会社デンソー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97484A (ko) * | 1972-03-02 | 1973-12-12 | ||
JPH08264488A (ja) * | 1995-03-22 | 1996-10-11 | Nec Corp | ウェハスクライブ装置及び方法 |
JP2005223270A (ja) * | 2004-02-09 | 2005-08-18 | Sony Corp | 半導体薄板のスクライブ装置 |
KR20120031430A (ko) * | 2010-09-24 | 2012-04-03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수지 부착 취성 재료 기판의 분할 방법 |
JP2012146879A (ja) | 2011-01-13 | 2012-08-02 | Disco Abrasive Syst Ltd | スクライバー装置 |
KR20140040623A (ko) * | 2012-09-26 | 2014-04-03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적층 세라믹 기판의 분단 방법 |
JP2014067859A (ja) * | 2012-09-26 | 2014-04-17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積層セラミックス基板の分断方法 |
JP2014107518A (ja) * | 2012-11-30 | 2014-06-09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用治具、スクライブ方法及び分断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49113A (ja) * | 1991-02-06 | 1992-09-04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ウエハスクライバ |
CN1330596C (zh) | 2002-04-01 | 2007-08-08 | 三星钻石工业股份有限公司 | 脆性材料基板的分断方法以及采用该方法的分断装置 |
JP5397403B2 (ja) * | 2011-03-31 | 2014-01-22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
JP2013089622A (ja) | 2011-10-13 | 2013-05-13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半導体基板のブレイク方法 |
JP5824365B2 (ja) * | 2012-01-16 | 2015-11-25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方法 |
JP6191122B2 (ja) * | 2012-10-30 | 2017-09-06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積層セラミックス基板の分断方法 |
JP6111827B2 (ja) * | 2013-04-30 | 2017-04-12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ブレイク用治具 |
JP6268917B2 (ja) * | 2013-10-25 | 2018-01-31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ブレイク装置 |
JP2016030364A (ja) * | 2014-07-28 | 2016-03-07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貼り合わせ基板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
JP2016043505A (ja) * | 2014-08-20 | 2016-04-04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脆性材料基板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
JP2016112714A (ja) * | 2014-12-11 | 2016-06-23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基板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
JP6520466B2 (ja) | 2015-06-29 | 2019-05-29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ブレーク装置 |
JP6140325B2 (ja) * | 2016-02-29 | 2017-05-31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脆性材料基板の分断装置 |
-
2018
- 2018-10-16 US US16/758,068 patent/US2020038130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10-16 CN CN201880069057.3A patent/CN111279459A/zh active Pending
- 2018-10-16 EP EP18871100.6A patent/EP370310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10-16 WO PCT/JP2018/038406 patent/WO2019082724A1/ja unknown
- 2018-10-16 KR KR1020237004282A patent/KR1025792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0-16 JP JP2019551023A patent/JPWO2019082724A1/ja active Pending
- 2018-10-16 KR KR1020207011747A patent/KR20200058486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0-16 KR KR1020227008658A patent/KR1025473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0-24 TW TW107137463A patent/TWI779123B/zh active
-
2021
- 2021-09-15 JP JP2021149835A patent/JP7252663B2/ja active Active
-
2023
- 2023-03-16 JP JP2023041780A patent/JP2023073306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97484A (ko) * | 1972-03-02 | 1973-12-12 | ||
JPH08264488A (ja) * | 1995-03-22 | 1996-10-11 | Nec Corp | ウェハスクライブ装置及び方法 |
JP2005223270A (ja) * | 2004-02-09 | 2005-08-18 | Sony Corp | 半導体薄板のスクライブ装置 |
KR20120031430A (ko) * | 2010-09-24 | 2012-04-03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수지 부착 취성 재료 기판의 분할 방법 |
JP2012146879A (ja) | 2011-01-13 | 2012-08-02 | Disco Abrasive Syst Ltd | スクライバー装置 |
KR20140040623A (ko) * | 2012-09-26 | 2014-04-03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적층 세라믹 기판의 분단 방법 |
JP2014067859A (ja) * | 2012-09-26 | 2014-04-17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積層セラミックス基板の分断方法 |
JP2014107518A (ja) * | 2012-11-30 | 2014-06-09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用治具、スクライブ方法及び分断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073306A (ja) | 2023-05-25 |
KR102547356B1 (ko) | 2023-06-22 |
EP3703107A1 (en) | 2020-09-02 |
TWI779123B (zh) | 2022-10-01 |
KR102579235B1 (ko) | 2023-09-14 |
JPWO2019082724A1 (ja) | 2020-11-12 |
KR20200058486A (ko) | 2020-05-27 |
KR20220035995A (ko) | 2022-03-22 |
CN111279459A (zh) | 2020-06-12 |
JP2021193746A (ja) | 2021-12-23 |
US20200381302A1 (en) | 2020-12-03 |
EP3703107A4 (en) | 2021-08-25 |
WO2019082724A1 (ja) | 2019-05-02 |
TW201923880A (zh) | 2019-06-16 |
JP7252663B2 (ja) | 2023-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52663B2 (ja) | メタル膜付き基板の分断方法 | |
TWI529790B (zh) | Breaking device | |
TWI650292B (zh) | 脆性材料基板之分斷方法及分斷裝置 | |
TW201132479A (en) | Substrate breaking device | |
JP5170196B2 (ja) | 樹脂付き脆性材料基板の分割方法 | |
KR102557292B1 (ko)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
TWI545636B (zh) | Fracture with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and its cutting method | |
TW201603980A (zh) | 貼合基板之分斷方法及分斷裝置 | |
KR102378921B1 (ko) |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 |
TWI842825B (zh) | 晶圓之裂斷方法 | |
TW201604156A (zh) | 貼合基板之分斷方法及分斷裝置 | |
JP7385908B2 (ja) | 貼り合わせ基板の分断方法および応力基板の分断方法 | |
JP6212580B2 (ja) | 脆性材料基板の分断装置 | |
TW201604158A (zh) | 貼合基板之分斷方法及分斷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