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183A -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183A
KR20230019183A KR1020230009696A KR20230009696A KR20230019183A KR 20230019183 A KR20230019183 A KR 20230019183A KR 1020230009696 A KR1020230009696 A KR 1020230009696A KR 20230009696 A KR20230009696 A KR 20230009696A KR 20230019183 A KR20230019183 A KR 2023001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leaner
coupling
dispos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재혁
김성준
양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16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600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9183A/ko
Publication of KR2023001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을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고정시키는 먼지통 고정 단계, 상기 먼지통이 고정되면 상기 먼지통을 개폐시키는 배출 커버를 개방시키는 커버 개방 단계, 상기 배출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집진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집진시키는 집진 단계 및 상기 집진 단계 후 상기 배출 커버를 닫는 도어 폐쇄 단계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청소기 먼지통의 커버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청소기 스테이션 내부로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
이를 위하여,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로봇 청소기의 이동의 위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는 각각 좌륜 모터와 우륜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좌륜 모터와 우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방향을 전환하며 실내 청소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먼지통의 잔존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청소기의 흡입력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먼지통의 잔존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잔여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US 2020-0129025 A1에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와 조합되는 분진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분진 용기(dust bin)와 진공 청소기의 조합은 진공 청소기가 분진 용기에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은 사용자가 직접 진공 청소기와 분진 용기를 조립시켜야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 내의 먼지를 압축시켜 청소기 내에 잔존하는 먼지를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한편, 선행특허문헌 US 10595692 B2에는 로봇 청소기의 먼지 용기(debris bin)를 가지는 배출 스테이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는 로봇 청소기가 도킹되는 스테이션이 구비되고, 스테이션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먼지를 흡입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한 선행특허문헌에서는 로봇 청소기와 스테이션의 도킹을 위한 센서가 구비되고, 도킹 시 로봇 청소기 내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에서는 로봇 청소기가 및 스테이션의 연결구 위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를 흡입할 뿐, 청소기의 결합 여부를 인식하여 청소기를 고정시키고, 흡입구를 개폐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문헌에서는 청소기 내의 먼지를 압축시켜 청소기 내에 잔존하는 먼지를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한편, 선행특허문헌 KR2020-0037199 A에는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는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압축시켜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는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레버를 눌러야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기를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시키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청소기를 고정시키고, 청소기 스테이션의 흡입구(도어)를 개방시키며, 청소기 먼지통의 커버를 개방시키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 커버를 포함하는 청소기와 결합하여 상기 먼지통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및 상기 결합면에 형성된 먼지 통과 홀이 상기 배출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청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커버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커버는, 상기 먼지통 본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폐쇄시키도록 회전되면, 상기 먼지통 본체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길이 방향 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커버는, 상기 집진 모터의 구동이 종료되면,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먼지통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집진 모터 및 상기 도어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모터는, 상기 집진 모터의 구동이 종료되면,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청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배출 커버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먼지통 본체; 및 상기 먼지통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커버는, 상기 도어가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먼지통 본체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을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고정시키는 먼지통 고정 단계; 상기 먼지통이 고정되면, 상기 먼지통을 개폐시키는 배출 커버를 개방시키는 커버 개방 단계; 상기 배출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집진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집진시키는 집진 단계; 및 상기 집진 단계 후, 상기 배출 커버를 닫는 도어 폐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상기 먼지통이 고정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폐쇄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 커버를 상기 먼지통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 개방 단계에서는, 상기 배출 커버가 상기 먼지통을 개방시키는 소정 개방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폐쇄 단계에서는, 상기 배출 커버가 상기 먼지통을 폐쇄시키는 소정 폐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집진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 커버가 적어도 1회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통 내의 먼지를 스테이션 내부로 흡입하여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청소기의 결합을 감지하여 먼지 통과홀을 개방하고, 집진 모터의 작동에 따라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를 동시에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틱 청소기의 먼지통과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기를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시키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청소기를 고정시키고, 청소기 스테이션의 흡입구(도어)를 개방시키며, 청소기 먼지통의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이션이 먼지통의 결합을 감지하면, 먼지통을 압축시키도록 레버를 당기므로,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제1 청소기 및 제2 청소기로 구성된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에서 제1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무게 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 도어 유닛, 커버 개방 유닛 및 레버 당김 유닛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고정 유닛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커버 개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레버 당김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무게 중심과 청소기 스테이션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서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제1 청소기 및 제2 청소기로 구성된 청소기의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 (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과, 청소기(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200, 300)는 제1 청소기(200) 및 제2 청소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먼지 제거 시스템(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제1 청소기(200)와, 제2 청소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하부에는 제2 청소기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제2 청소기(300)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에서 제1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무게 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청소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청소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소기(200)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본체 하우징(211), 흡입부(212), 먼지 분리부(213), 흡입 모터(214), 공기 배출 커버(215), 핸들(216), 연장부(217) 및 조작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제1 청소기(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흡입 모터(214)와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본체 하우징(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212)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연장관(280)과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이하, '흡입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흡입부(212)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흡입 유로 중심선(a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흡입 유로 중심선(a2)은 흡입부(212)를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에 나타나는 각 평면의 무게중심을 연결시킨 가상의 선일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먼지통(220)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2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213)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213)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싸이클론의 중심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싸이클론 중심 축선(a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싸이클론 중심 축선(a4)은 먼지 분리부(213)를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에 나타나는 각 평면의 무게중심을 연결시킨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일 예로, 싸이클론 중심 축선(a4)은 후술할 모터축선(a1)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본체 하우징(2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214)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모터(214)의 중심 축을 연장한 가상의 모터축선(a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모터축선(a1)은 흡입 모터(214)를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에 나타나는 각 평면의 무게중심을 연결시킨 가상의 선일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는 본체 하우징(211)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헤파(HEPA)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215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유동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공기 배출구(215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핸들(216)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216)은 흡입 모터(2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216)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216)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216)은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 또는 먼지 분리부(213)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216)의 중심 축을 연장한 가상의 핸들 축선(a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핸들 축선(a3)은 핸들(216)을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에 나타나는 각 평면의 무게중심을 연결시킨 가상의 선일 수 있다.
흡입 모터(214)의 축은 흡입부(212)와 핸들(2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모터 축선(a1)은 흡입부(212)와 핸들(2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축선(a3)은 모터 축선(a1) 또는 흡입 유로 중심선(a2)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축선(a3)은 모터 축선(a1) 또는 흡입 유로 중심선(a2)과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모터 축선(a1)과 흡입 유로 중심선(a2) 및 핸들 축선(a3)은 동일 평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1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은 상기한 평면(S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흡입부(212)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핸들(216)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핸들(216)의 상면은 제1 청소기(200)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파지하는 경우 제1 청소기(200)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217)는 핸들(216)에서 본체 하우징(21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17)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8)를 통하여 제1 청소기(200)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먼지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통 본체(221), 배출 커버(222), 먼지통 압축 레버(223) 및 압축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는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22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 본체(221)의 중심 축을 연장한 가상의 먼지통 축선(a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먼지통 축선(a5)은 먼지통(220)을 축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에 나타나는 각 평면의 무게중심을 연결시킨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축선(a5)은 모터축선(a1)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통 축선(a5)도 모터 축선(a1), 흡입 유로 중심선(a2) 및 핸들 축선(a3)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평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에는 하면 연장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면 연장부(221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배출 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220)의 하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먼지통(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커버 본체(222a) 및 힌지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힌지부(222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22b)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후크 결합을 통해 먼지통(22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먼지통은 결합 레버(2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결합 레버(222c)를 통해 먼지통(2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220)의 전방 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레버(222c)는 외력 인가 시, 커버 본체(222a)와 먼지통 본체(221)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커버 본체(222a)에서 연장 형성된 후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가 닫혀있는 경우, 먼지통(220)의 하측 면은 배출 커버(222) 및 하면 연장부(221a)에 의하여 막힐(실링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1)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압축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미도시)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와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22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223)와 압축자(미도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자는 먼지통(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20)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배터리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에는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핸들(2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후면은 핸들(216)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방으로 개구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230)가 탈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40)는 제1 청소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배터리(240)는 제1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40)는 핸들(2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먼지통(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14)와 배터리(2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될 수 있다. 핸들(216)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14)가 핸들(216)의 전방에 배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240)가 핸들(216)의 하방에 배치되므로, 제1 청소기(200)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2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240)를 배터리 하우징(23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24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2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240)와 배터리 하우징(23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1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제1 청소기(200)는 연장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300)은 청소 모듈(26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의 흡입부(214)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5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14)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청소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260)은 연장관(26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지나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는 중력 및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결합부(12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221)의 외주면은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흡입부(212)는 결합부(120)의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축선(a1), 흡입 유로 중심선(a2), 핸들 축선(a3), 싸이클론 중심 축선(a4) 및 먼지통 축선(a5) 중에서 적어도 둘을 포함하여 가상의 무게 중심 평면(S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무게 중심 평면(S1)은 두개의 가상의 직선을 서로 연결시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일 수 있고, 이를 확장 연장시킨 가상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중심 평면(S1)은 모터축선(a1)과 흡입 유로 중심선(a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은 모터축선(a1)과 핸들 축선(a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은 싸이클론 중심 축선(a4)과 흡입 유로 중심선(a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은 싸이클론 중심 축선(a4)과 핸들 축선(a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은 먼지통 축선(a5)과 흡입 유로 중심선(a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은 먼지통 축선(a5)과 핸들 축선(a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은 흡입 유로 중심선(a2)과 핸들 축선(a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 중심 평면(S1)의 가상의 연장 면 상에는 흡입부(21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의 가상의 연장 면 상에는 먼지 분리부(213)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의 가상의 연장 면 상에는 흡입 모터(214)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의 가상의 연장 면 상에는 핸들(216)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무게 중심 평면(S1)의 가상의 연장 면 상에는 먼지통(2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은 무게 중심 평면(S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제거 시스템(10)은 제2 청소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로봇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로봇 청소기의 이동의 위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는 제2 유로(미도시)를 통해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무게 중심과 청소기 스테이션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16에는 도 1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제1 청소기(200)와, 제2 청소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하부에는 제2 청소기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제2 청소기(300)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집진부(170) 및 먼지 집진부(170)로 먼지가 집진되는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먼지 흡입 모듈(19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바닥면(111) 및 외벽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11)은 먼지 흡입 모듈(190)의 중력 방향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바닥면(111)은 흡입 모듈(190)의 집진 모터(19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111)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1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111)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지면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지지부는 바닥면(111)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바닥면(111)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지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지면지지부는 제1 청소기(200)가 장착되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균형 및 전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대칭 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면(112)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바닥면(111)과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면(112)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벽면(112)은 제1 외벽면(112a), 제2 외벽면(112b),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제1 청소기(200) 또는 제2 청소기(300)가 결합되어 있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방향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흡입부(212)의 연장선(212a)을 포함하는 면을 정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도1 참조). 즉,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흡입부(212)의 일부가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고, 흡입부(212) 중에서 상기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결합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외벽면(112a)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212)의 가상의 연장선(212a)을 그리면 제1 외벽면(112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흡입부(212)의 연장선(212a)을 포함하는 면을 정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레버 당김 암(161)이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 당김 암(161)의 외부에 노출된 면을 포함하는 면을 정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 청소기의 본체(210)가 관통하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면을 정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제1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서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기준으로 핸들 축선(a3)과 모터 축선(a1)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는 핸들 축선(a3)과 흡입 유로 중심선(a2)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는 모터 축선(a1)과 흡입 유로 중심선(a2)이 교차하는 교차점이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기준으로 상기한 교차점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결합부(120)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정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을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은 제2 외벽면(112b)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의 면을 좌면이라 부를 수 있고, 우측의 면을 우면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좌면은 제3 외벽면(112c)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우면은 제4 외벽면(112d)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외벽면(112a)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면(112a)은 제1 청소기(200)의 형상에 대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외벽면(112a)에는 결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외벽면(112a)에는 레버 당김 유닛(161)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벽면(112a)에 레버 당김 유닛(160)의 레버 당김 암(161)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벽면(112a)에는 레버 당김 암(161)이 수용될 수 있는 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암 수용홈은 레버 당김 암(16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암 수용홈에 레버 당김 암(161)이 장착되면, 제1 외벽면(112a)와 레버 당김 암(161)의 외측면은 연속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고, 레버 당김 유닛(160)의 작동에 따라 제1 외벽면(112a)에서 레버 당김 암(161)이 돌출되도록 스트로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외벽면(112a)에는 제1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외벽면(112a)에는 제2 청소기(300)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12a)에는 제2 청소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벽면(112a)에는 제2 청소기(300)의 하측 면이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은 바닥면(111)에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외벽면(112b)은 제1 외벽면(112a)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이라 함은, 제1 청소기(200) 또는 제2 청소기(300)가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외벽면(112b)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실내의 벽에 밀착시킬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외벽면(112b)에는 제1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외벽면(112b)에는 제2 청소기(300)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벽면(112b)에는 제2 청소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벽면(112b)에는 제2 청소기(300)의 하측 면이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은 바닥면(111)에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에 제2 청소기(300)가 결합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추어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은 제1 외벽면(112a)과 제2 외벽면(112b)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3 외벽면(112c)이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외벽면(112c)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제1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제2 청소기(300)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제2 청소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제2 청소기(300)의 하측 면이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은 바닥면(111)에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 도어 유닛, 커버 개방 유닛 및 레버 당김 유닛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20)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되고,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결합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과 단을 이루어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결합면(121)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면은 사용자가 제1 청소기(200)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결합면(121)과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결합은 제1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물리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먼지통(220)과 유로부(180)가 연통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적 결합의 전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면(121)과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의 결합은 제1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물리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240)와 충전부(128)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결합의 전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면(121)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합면(121)에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먼지 통과 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먼지통(220)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유입되도록 먼지통(2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먼지통(220)의 배출 커버(22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후술할 제1 유로(18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먼지통 가이드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는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122)는 결합면(121)과 연결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는 먼지통(2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먼지통(220)의 전방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가이드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서로 이격되어 2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의 거리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측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24)은 결합면(12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고, 결합면(12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측벽(124)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벽(124)은 먼지통 가이드면(12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측벽(124)은 먼지통 가이드면(122)와 연결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결합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가이드 돌기(12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 또는 배터리(240)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에 결합되면, 결합 센서(125)를 접촉하게 되고,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센서(12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가 측벽(124)을 지나 결합면(121)에 도달하면,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의 존재를 감지하고,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청소기가 결합되면, 자중에 의하여 먼지통(220)이 결합 센서(125)를 누를 수 있고,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대향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과 함께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흡입부 가이드면(12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에는 흡입부(212)가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의 형상은 흡입부(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고정부재 출입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 출입홀(127)은 고정부재(131)가 출입 가능하도록 측벽(124)을 따라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 출입홀(127)은 측벽(124)을 따라 형성된 직사각형 홀일 수 있다. 고정부재(13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제1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122, 123, 126)에 의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고정 유닛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개시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유닛(13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고정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1)와, 고정부재(131)를 구동시키는 고정부 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0)은 고정부 모터(133)의 동력을 고정부재(131)에 전달하는 고정부 기어(134) 및 고정부 기어(134)의 회전 운동을 고정부재(131)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고정부 링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유닛(13)은 고정부 모터(133)와 고정부 기어(134)를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부 하우징(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31)는 결합부(120)의 측벽(124)에 배치되고, 먼지통(220)을 고정시키도록 측벽(124)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31)는 고정부재 출입홀(12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131)는 결합부(12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131)는 결합면(121)을 중심으로 2개가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31)는 링크 결합부(131a), 이동 패널(131b) 및 이동 실러(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패널(131b)의 일측에는 링크 결합부(131a)가 배치되고, 이동 패널(131b)의 타측에는 이동 실러(131c)가 배치될 수 있다.
링크 결합부(131a)는 이동 패널(131b)의 일측에서 고정부 링크(135)와 결합된다. 일 예로, 링크 결합부(131a)는 이동 패널(131b)의 일측 단부가 절곡 연장 형성된 연결턱(131bb)에서 원기둥 또는 원형 핀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결합부(131a)는 고정부 링크(135)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패널(131b)은 링크 결합부(131a)와 연결되고, 고정부 모터(133)의 구동에 의하여 측벽(124)에서 먼지통(220)을 향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패널(131b)은 가이드 프레임(131d)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패널(131b)의 일측은 제1 외벽면(112a) 내측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동 패널(131b)의 타측은 측벽(124) 상에 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 패널(131b)은 패널 본체(131ba), 연결턱(131bb), 제1 가압부(131bc) 및 제2 가압부(131b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널 본체(131ba)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 본체(131ba)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턱(131bb)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본체(131ba)의 타측 단부에는 제1 가압부(131bc)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턱(131bb)은 패널 본체(131ba)의 일측 단부에서 고정부 모터(131)를 향하여 절곡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턱(131bb)의 선단에서는 링크 결합부(131a)가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턱(131bb)에는 가이드 프레임(131d)이 관통할 수 있는 프레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관통홀은 'I'자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31bc)는 패널 본체(131b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먼지통(220)을 기밀시키기 위하여 먼지통(2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가압부(131bc)는 원통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압부(131bc)는 패널 본체(131ba)의 타측에 오목한 호 형태로 형성된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가압부(131bd)는 제1 가압부(131bc)와 연결되고, 배터리 하우징(230)을 기밀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하우징(2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가압부(131bd)는 배터리 하우징(230)을 누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가압부(131bd)는 패널 본체(131ba)의 타측에 직선 형태로 형성된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실러(131c)는 이동 패널(131b)의 왕복 방향 선단에 배치되고, 먼지통(220)을 기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실러(131c)는 제1 가압부(131bc)에 결합되고, 제1 가압부(131bc)가 먼지통(220)을 감싸면서 누를 때, 먼지통(220)과 제1 가압부(131bc) 사이의 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실러(131c)는 제2 가압부(131bd)에 결합되고, 제2 가압부(131bd)가 배터리 하우징(230)을 누를 때, 배터리 하우징(230)과 제2 가압부(131bd) 사이의 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이동 패널(131b)을 관통하고, 고정부재(1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13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프레임(131d)은 연결턱(131bb)을 관통하는 'I'자 형태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동 패널(131b)은 가이드 프레임(131d)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고정부 하우징(132)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 하우징(132)은 결합면(121)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 하우징(132)은 내부에 고정부 기어(134)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하우징(132)은 고정부 모터(133)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부 하우징(132)은 제1 고정부 하우징(132a), 제2 고정부 하우징(132b), 링크 가이드 홀(132c) 및 모터 수용부(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 하우징(132a)와 제2 고정부 하우징(132b)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고정부 기어(134)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부 하우징(13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고정부 하우징(13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 하우징(132a)은 결합면(121)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고정부 하우징(132b)은 제2 외벽면(112b)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 홀(132c)은 제1 고정부 하우징(132a)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 홀(132c)은 고정부 링크(135)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 가이드 홀(132c)은 고정부 기어(134)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호 형태의 홀을 의미할 수 있다.
링크 가이드 홀(132c)은 한 쌍의 고정부재(132)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 링크(135)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2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링크 가이드 홀(132c)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132d)는 고정부 모터(133)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 수용부(132d)는 고정부 모터(13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 하우징(132a)에서 원통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재(13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 기어(13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고정부재(131)를 측벽(124) 내부에서부터 먼지통(220)을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고정부재(131)가 먼지통(220)을 누르는 위치에서부터 측벽(124)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고정부 기어(134)는 고정부 모터(133)와 결합되고, 고정부 모터(133)의 동력을 이용하여 고정부재(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부 기어(134)는 구동 기어(134a), 연결 기어(134b),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 및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134a)는 고정부 모터(133)의 샤프트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기어(134a)는 고정부 모터(133)의 샤프트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기어(134a)는 고정부 모터(133)의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 기어(134b)는 구동 기어(134a) 및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와 치합될 수 있다.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는 고정부 링크(135)의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 기어(134a)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고정부 링크(135)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는 회전 축(134ca), 회전 면(134cb), 기어 이(134cc) 및 링크 체결부(134cd)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134ca)은 제1 고정부 하우징(132a) 및 제2 고정부 하우징(132b)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면(134cb)은 회전 축(134ca)을 중심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 이(134cc)는 회전 면(134cb)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연결 기어(134b)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기어 이(134cc)는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와 치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는 고정부 모터(133)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구동 기어(134a) 및 연결 기어(134b)를 통하여 전달받고,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에 전달할 수 있다.
링크 체결부(134cd)는 회전 면(134cb)에서 축 방향을 따라 원기둥 또는 원형 핀 형태로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체결부(134cd)는 고정부 링크(135)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 체결부(134cd)는 링크 가이드 홀(132c)을 관통하여 고정부 링크(135)의 타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 모터(133)의 동력에 의하여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가 회전하고,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부 링크(135)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31)가 이동하면서 먼지통(220)을 고정 및 고정 해제 시킬 수 있다.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는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와 치합되고,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는 고정부 링크(135)의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 기어(134a)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고정부 링크(135)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는 회전 축(134da), 회전 면(134db), 기어 이(134dc) 및 링크 체결부(134dd)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134da)은 제1 고정부 하우징(132a) 및 제2 고정부 하우징(132b)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면(134db)은 회전 축(134da)을 중심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 이(134dc)는 회전 면(134db)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와 치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는 고정부 모터(133)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구동 기어(134a)와 연결 기어(134b) 및 제1 링크 회전 기어(134c)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링크 체결부(134dd)는 회전 면(134db)에서 축 방향을 따라 원기둥 또는 원형 핀 형태로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체결부(134dd)는 고정부 링크(135)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 체결부(134dd)는 링크 가이드 홀(132c)을 관통하여 고정부 링크(135)의 타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 모터(133)의 동력에 의하여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가 회전하고, 제2 링크 회전 기어(134d)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부 링크(135)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31)가 이동하면서 먼지통(220)을 고정 및 고정 해제 시킬 수 있다.
고정부 링크(135)는 고정부 기어(134)와 고정부재(131)를 링크 결합시키고, 고정부 기어(134)의 회전을 고정부재(131)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고정부 링크(135)는 일측 단부가 고정부재(131)의 링크 결합부(131a)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부 기어(134)의 링크 체결부(134cd, 134dd)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 링크(135)는 링크 본체(135a), 제1 링크 연결부(135b) 및 제2 링크 연결부(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 본체(135a)는 중앙부가 절곡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힘의 전달 각도를 변화시켜 동력 전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링크 본체(135a)의 일측 단부에는 제1 링크 연결부(135b)가 배치되고, 링크 본체(135a)의 타측 단부에는 제2 링크 연결부(135c)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 연결부(135b)는 링크 본체(135a)의 일측 단부에 원통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 연결부(135b)에는 링크 결합부(131a)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 연결부(135c)는 링크 본체(135a)의 타측 단부에 원통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 연결부(135c)의 돌출된 높이는 제1 링크 연결부(135b)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는, 고정부 기어(134)의 링크 체결부(134cd, 134dd)를 내부에 수용하여 링크 가이드 홀(132c)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회전 이동 시 링크 체결부(134cd, 134dd)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제2 링크 연결부(135c)에는 링크 체결부(134cd, 134dd)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실러(136)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을 기밀하도록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이 결합되면, 청소기(200)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 실러(136)를 가압할 수 있고,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122)가 밀봉될 수 있다.
고정 실러(136)는 이동 실러(131c)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 모터(133)가 작동되어 고정부재(131)가 먼지통(220)을 가압하면, 먼지통(220)의 동일한 높이 상의 둘레를 밀봉할 수 있다. 즉, 고정 실러(136) 및 이동 실러(131c)는 동심원 상에 배치된 먼지통(220)의 외주면을 밀봉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 실러(136)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150)의 배치에 대응하여 꺾인 선 형태로 먼지통 가이드면(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20)에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 유닛(130)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센서(125)가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됨을 감지하는 경우,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재(131)를 이동시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고정부재(131)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고정 감지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감지부(137)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먼지통(220)이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감지부(137)는 고정부 링크(135)의 회전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 링크(135)의 회전 영역에서 고정부재(131)를 먼지통(220) 방향으로 미는 방향 단부에는 제1 고정 감지부(137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링크(135)의 회전 영역에서 고정부재(131)를 먼지통(220)에서 멀어지는 방향 단부에는 제2 고정 감지부(137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다른 예로 고정 감지부(137)는 고정부재(131)의 직선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부 링크(135)가 제1 고정 감지부(137a)가 배치된 소정 위치(이하 '먼지통 고정 위치(FP1)'라고 부를 수 있다)까지 이동하거나, 고정부재(131)가 소정 위치까지 직선 이동하면, 고정 감지부(137)는 이를 감지하고 먼지통(220)이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링크(135)가 제2 고정 감지부(137b)가 배치된 소정 위치(이하 '먼지통 고정 해제 위치(FP2)'라고 부를 수 있다.)까지 이동하거나, 고정부재(131)가 소정 위치까지 직선 이동하면, 고정 감지부(137)는 이를 감지하고 먼지통(220)의 고정이 해제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고정 감지부(137)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고정 감지부(137)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 감지부(137)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고정 감지부(137)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의 제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제어부(400)를 설명하면서 같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9a에는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113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0)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131)가 고정부 프레임(1135)의 상하 방향 직선 이동에 의하여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 프레임(1135)이 고정부 모터(1133)의 작동에 의하여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면, 고정부재(1131)는 고정부 프레임(1135)의 가이드에 의하여 측벽(124) 내부에서 먼지통(22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 감지부(1137)는 고정부 프레임(1135)의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 프레임(1135)의 이동 영역 상측 단부에는 제1 고정 감지부(1137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프레임(1135)의 이동 영역 하측 단부에는 제2 고정 감지부(1137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 프레임(1135)가 제1 고정 감지부(1137a)가 배치된 소정 위치(이하 '먼지통 고정 위치(FP1)'라고 부를 수 있다)까지 이동하면, 고정부 프레임(1135)에 돌출 형성된 센서 터치 바(1135a)가 제1 고정 감지부(1137a)를 누르고 제1 고정 감지부(1137a)는 먼지통(220)이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프레임(1135)가 제2 고정 감지부(1137b)가 배치된 소정 위치(이하 '먼지통 고정 해제 위치(FP2)'라고 부를 수 있다.)까지 이동하면, 센서 터치 바(1135a)가 제2 고정 감지부(1137b)를 누르고, 제2 고정 감지부(1137b)는 먼지통(220)의 고정이 해제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2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량을 늘려, 먼지통(220)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 집진부(170)로 이동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유닛(14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도어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도어(141), 도어 모터(142) 및 도어 암(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41)는 결합면(121)에 힌지 결합되고,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도어(141)는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체로, 먼지통(220)의 내부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통시키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41)는 도어 본체(141a), 힌지부(141b) 및 암 결합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본체(141a)는 먼지 통과 홀(121a)을 막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141a)는 원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본체(141a)가 먼지 통과 홀(121a)을 막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 본체(141a)의 상측에는 힌지부(141b)가 배치되고, 도어 본체(141a)의 하측에는 암 결합부(141c)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본체(141a)는 먼지 통과 홀(121a)을 기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141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은 먼지 통과 홀(121a)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에 배치된 내측면은 먼지 통과 홀(12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측면와 내측면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내측면에는 힌지부(141b)와 암 결합부(141c)를 연결시키고, 도어 본체(141a)의 지지력 강화를 위한 보강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141b)는 도어(141)를 결합면(121)에 힌지 결합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힌지부(141b)는 도어 본체(141a)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결합면(121)과 결합될 수 있다.
암 결합부(141c)는 도어 암(1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암 결합부(141c)는 내측면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어 암(1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141)가 먼지 통과 홀(121a)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암(143)이 도어 본체(141a)를 당기면, 힌지부(141b)를 축으로 도어 본체(141a)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암(143)이 도어 본체(141a)를 밀면, 힌지부(141b)를 축으로 도어 본체(141a)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121a)이 막힐 수 있다.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142)는 도어 암(1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143)이 도어(141)를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143)이 도어(141)를 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121a)이 적어도 일부 폐쇄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도어 암(143)은 도어(141)와 도어 모터(142)를 연결시키고, 도어 모터(142)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도어(141)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암(143)은 제1 도어 암(143a)과 제2 도어 암(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의 일측 단부는 도어 모터(14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은 도어 모터(142)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의 타측 단부는 제2 도어 암(143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은 도어 모터(142)로부터 전달된 힘을 제2 도어 암(143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의 일측 단부는 제1 도어 암(143a)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의 타측 단부는 도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은 도어(141)를 밀거나 당겨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도어 개폐 감지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도어(141)가 개방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 암(143)의 회전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 암(143)의 회전 영역에서 도어(141)를 여는 방향 단부에는 제1 도어 개폐 감지부(144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암(143)의 회전 영역에서 도어(141)를 닫는 방향 단부에는 제2 도어 개폐 감지부(144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제1 도어 개폐 감지부(144a)가 배치된 소정 위치(이하, '개방 위치(DP1)'라고 부를 수 있다.)까지 이동하면, 도어 개폐 감지부(144)가 도어가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암(143)이 소정 위치(이하, '폐쇄 위치(DP2)'라고 부를 수 있다.)까지 이동하면, 도어 개폐 감지부(144)가 도어가 닫혔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도어가 닫혔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어 유닛(140)은 결합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외벽면(112a)의 외측과 제1 유로(181) 및/또는 먼지 집진부(17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제1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열리는 경우 같이 열릴 수 있다. 또한, 도어 유닛(140)이 닫히면, 제1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같이 닫힐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가 제거되는 경우,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142)를 힌지부(141b)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힌지부(141b)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도어(142)는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를 향하여 밀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며,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커버 개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버 개방 유닛(15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커버 개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방 유닛(150)은 결합부(120)에 배치되고, 제1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 개방 유닛(150)은 푸쉬 돌기(151), 커버 개방 모터(152), 커버 개방 기어(153), 지지판(154) 및 기어 박스(15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제1 청소기(200) 결합 시,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돌기 이동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푸쉬 돌기(151)가 돌기 이동 홀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제1 청소기(100)가 결합될 경우, 결합 레버(222c)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 레버(222c)는 돌기 이동 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레버(222c)는 푸쉬 돌기(151)의 이동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돌기(151)는 기어 박스(155)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커버 개방 기어(153)와 결합되어, 커버 개방 기어(153)의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푸쉬 돌기(151)는 돌기부(151a), 돌기 지지판(151b), 연결부(151c), 기어 결합 블록(151d) 및 가이드 프레임(151e)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51a)는 결합 레버(222c)를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51a)는 후크 또는 직각 삼각형 내지 사다리꼴과 유사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지지판(151b)은 돌기부(151a)와 연결되고, 돌기부(151a)를 지지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지지판(151b)은 기어 박스(155)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51c)는 돌기 지지판(151b)과 기어 결합 블록(151d)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151c)는 돌기 지지판(151b)과 기어 결합 블록(151d)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1c)는 기어 박스(155)에 형성된 돌기 관통 홀(155b)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어 결합 블록(151d)은 커버 개방 기어(153)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 결합 블록(151d)은 스크류 또는 피스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커버 개방 기어(153)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기어 결합 블록(151d)은 기어 박스(155) 내부에 수용되고, 커버 개방 기어(153)의 이동에 의하여 기어 박스(155)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51e)은 기어 결합 블록(151d)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51e)은 기어 결합 블록(151d)에서 사각 기둥 형태로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51e)은 기어 박스(155)에 형성된 가이드 홀(155c)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51e)은 기어 결합 블록(151d)의 직선 이동 시, 가이드 홀(155c)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커버 개방 모터(152)는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모터(152)는 모터 샤프트(152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푸쉬 돌기(151)가 결합 레버(222c)를 누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결합 레버(222c)를 누른 푸쉬 돌기(1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커버 개방 모터(152)는 기어 박스(15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개방 모터(152)의 모터 샤프트(152a)가 기어 박스(155)의 모터 관통 홀(155e)을 관통하여 커버 개방 기어(153)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 샤프트(152a)는 개방 구동 기어(153a)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는 커버 개방 모터(152)와 결합되고, 커버 개방 모터(152)의 동력을 이용하여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기어(153)는 기어 박스(15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는 커버 개방 모터(152)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는 푸쉬 돌기(151)와 결합되어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는 개방 구동 기어(153a) 및 개방 피동 기어(153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 구동 기어(153a)는 커버 개방 모터(152)의 샤프트(152a)가 삽입 결합되어 커버 개방 모터(152)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개방 피동 기어(153b)는 개방 구동 기어(153a)와 치합되고, 푸쉬 돌기(151)의 기어 결합 블록(151d)과 결합되어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개방 피동 기어(153b)는 피니언기어 형태의 개방 구동 기어(153a)와 치합되도록 랙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 피동 기어(153b)는 기어 결합 블록(151d)과 결합되는 몸체부(153b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방 피동 기어(153b)는 몸체부(153ba)의 하측에 형성되어 개방 구동 기어(153a)와 치합되는 기어부(153b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 피동 기어(153b)는 몸체부(153ba)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축(153b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방 피동 기어(153b)는 가이드 축(153bc)이 삽입 결합되고, 기어 박스(155)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5d)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기어 휠(153bd)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54)은 먼지통(22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54)은 결합면(121)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54)은 결합면(121)에서 먼지 통과 홀(121a)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54)은 결합면(121)에서 대칭적으로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청소기(200)의 하면 연장부(221a) 또는 먼지통(220)의 하측 면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의 하측 면이 먼지 통과 홀(121a)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판(154)이 먼지통(220)의 하측 면을 지지할 수 있다. 먼지통(220)의 하측 면은 배출 커버(222)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원통 형태의 먼지통 본체(221)와 연장 형성된 하면 연장부(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54)은 하면 연장부(221a)와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지지판(154)이 하면 연장부(221a)를 지지한 상태에서, 푸쉬 돌기(151)가 매출 커버(222)의 결합 레버(222c)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가 개방될 수 있고, 먼지 통과 홀(121a)과 먼지통(22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즉, 배출 커버(222)의 개방에 의하여 유로부(180)와 먼지통(220)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과 제1 청소기(200)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유로적 결합).
기어 박스(155)는 하우징(110)의 내측 면에 결합되고, 결합부(1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되며, 커버 개방 기어(153)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스 본체(155a) 내부에는 커버 개방 기어(15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박스 본체(155a)의 상측 면에는 푸쉬 돌기(151)의 연결부(151c)가 관통하는 돌기 관통 홀(155b)이 형성된다. 또한, 박스 본체(155a)의 좌우 방향 측면에는 가이드 홀(155c)이 장홀 형태로 형성되어 푸쉬 돌기(151)의 가이드 프레임(151e)이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박스 본체(155a)의 좌우 방향 측면의 내측 면에는 가이드 레일(155d)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5d)은 개방 피동 기어(153b)를 지지하고, 개방 피동 기어(153b)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기어 박스(155)의 일 측면에는 모터 관통 홀(155e)이 형성되어 커버 개방 모터(152)의 샤프트(152a)가 관통할 수 있다.
기어 박스(155)의 측면에는 커버 개방 감지부(155f)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가이드 프레임(151e)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푸쉬 돌기(15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장홀 형태의 가이드 홀(155c)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151e)의 이동 영역에서 배출 커버(222)를 여는 방향 단부에는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51e)의 이동 영역에서 푸쉬 돌기(151)가 원위치로 돌아오는 방향 단부에는 제2 커버 개방 감지부(155f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푸쉬 돌기(151)가 결합 레버(222c)를 눌러 배출 커버(222)를 열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이드 프레임(151e)이 소정 위치(이하, '커버 개방 위치(CP1)'라고 할 수 있다.)에 위치하게 되고, 커버 개방 감지부(155f)가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푸쉬 돌기(15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가이드 프레임(151e)이 소정 위치(이하, 커버 비개방 위치(CP2)'라고 할 수 있다.)에 위치하게 되고,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푸쉬 돌기(151)가 원위치로 복귀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커버 개방 유닛(150)은 결합 레버(222c)를 먼지통(220)으로부터 분리시켜 먼지통(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220)으로부터 분리되는 충격에 의해 먼지통(220) 내의 먼지는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부(120)에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고정된 경우, 커버 개방 모터(152)는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켜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2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2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개방 유닛(150)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제1 청소기의 배출 커버(222)를 열지 않고도 먼지통(220)을 개방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 커버(222)가 열리므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1 청소기와 레버 당김 유닛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레버 당김 유닛(16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레버 당김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당김 유닛(160)은 하우징(110)의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 당김 유닛(160)은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눌러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압축시킬 수 있다.
레버 당김 유닛(160)은 레버 당김 암(161), 암 기어(162),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회전 구동 모터(164) 및 암 이동 감지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당김 암(161)은 하우징(110)에 수용되고, 스트로크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레버 당김 암(161)은 제1 외벽면(112a)에 형성된 암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암 수용홈의 하측 단부를 축으로 가상의 원기둥을 그리면, 가상의 원기둥 내에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버 당김 암(161)은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버 당김 암(161)은 암 수용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레버 당김 암(161)은 길죽한 바(bar)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당김 암(161)의 일면은 암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외벽면(112a)과 연속적인 면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당김 암(161)의 타면의 일측에는 암 기어(162)가 결합될 수 있다.
암 기어(162)는 레버 당김 암(161)과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및 회전 구동 모터(164)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암 기어(162)는 일종의 샤프트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암 기어(162)는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레버 당김 암(16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암 기어(162)는 샤프트의 타측 단부가 웜 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암 기어(162)는 샤프트의 타측 단부가 웜 기어 형태로 회전 구동 모터(164)와 치합될 수 있다. 암 기어(162)의 샤프트는 원통 웜(wor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암 기어(162)의 샤프트는 웜 기어 형태로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와 치합될 수 있다.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는 레버 당김 암(161)을 스트로크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레버 당김 암(161)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하우징(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레버 당김 암(161)을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향하여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회전 구동 모터(164)는 레버 당김 암(16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구동 모터(164)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레버 당김 암(161)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정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및 회전 구동 모터(164)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암 기어(162)의 샤프트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암 기어(162)의 샤프트의 초기 위치(LP1)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 및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암 이동 감지부(16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암 이동 감지부(16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암 기어(162)의 스트로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암 기어(162)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웜 휠 형태로 구비된 암 기어(162)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암 이동 감지부(16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암 이동 감지부(16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 또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레버 당김 암(161)이 초기 위치(LP1)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레버 당김 암(161)이 하우징(110)에서 최대로 멀리 이동한 것(LP2)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레버 당김 암(161)이 압축 레버(223)를 당기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레버 당김 암(161)이 압축 레버(223)를 당긴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감지부(165)는 레버 당김 암(161)이 압축 레버(223)를 당긴 후 원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고, 레버 당김 암(161)이 스트로크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미도시)가 아래로 이동하여 먼지통(220) 내의 먼지를 압축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220)으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중력에 의해 1차적으로 먼지 분리부(130)에 포집된 후, 2차적으로 압축부(250)가 먼지통(125) 내의 잔여 먼지를 먼지 분리부(130)로 포집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자(미도시)가 먼지통(220)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시키고,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220)에서 분리되어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먼지 분리부(130)로 포집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a에는 본 발명의 레버 당김 유닛의 다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당김 유닛(160)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 기어(2162)와 샤프트(2166)가 별도로 구비되고, 암 기어(2162)와 샤프트(2166)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166)는 암 기어(2162)와 상대적으로 스트로크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샤프트(2166)와 암 기어(2162)를 연결시는 연결부에는 내측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암 기어(2162)가 스트로크 구동 모터(2163)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 샤프트(2166)가 암 기어(2162)의 나사산을 따라 스트로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2166)의 일측 단부에는 레버 당김 암(2161)이 구비되고, 샤프트(2166)의 타측 단부에는 웜 휠(2166a)이 형성되어 회전 구동 모터(2164)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구동 모터(2164)가 작동되면, 샤프트(2166)가 회전할 수 있고, 레버 당김 암(2161)이 회전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2165)는 암 기어(216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2166)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2165)는 샤프트(2166)의 초기 위치(LP1)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 및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샤프트의 초기 위치(LP1)에는 제1 암 이동 감지부(2165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는 제2 암 이동 감지부(2165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는 제3 암 이동 감지부(2165c)가 배치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216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암 이동 감지부(216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암 이동 감지부(216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암 이동 감지부(216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암 이동 감지부(2165)는 샤프트(2166)의 스트로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암 이동 감지부(2165)는 샤프트의 타측 단부(2166a)에 배치된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샤프트(2166)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 또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 이동 감지부(2165a)는 레버 당김 암(2161)이 초기 위치(LP1)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암 이동 감지부(2165b)는 레버 당김 암(2161)이 하우징(2110)에서 최대로 멀리 이동한 것(LP2)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레버 당김 암(2161)이 압축 레버(223)를 당기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레버 당김 암(2161)이 압축 레버(223)를 당긴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암 이동 감지부(2165d)는 레버 당김 암(2161)이 압축 레버(223)를 당긴 후 원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먼지 집진부(17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 집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결합부(1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롤 비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롤 비닐은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먼지통(220)으로부터 떨어지는 먼지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접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는 먼지 집진부(17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는 먼지가 포집된 롤 비닐의 상부 영역을 절단 및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는 롤 비닐을 중앙 영역으로 모아 롤 비닐의 상부 영역을 열선 접합할 수 있다. 접합부는 제1 접합 부재(미도시)와 제2 접합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미도시)는 제1 접합 구동부(174)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접합 부재(미도시)는 제2 접합 구동부(175)를 통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청소기(200) 또는 제2 청소기(200)로부터 포집한 먼지를 롤 비닐 내부에 모을 수 있고, 롤 비닐을 자동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가 포집된 봉투 등을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유로부(18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유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180)는 제1 청소기(200) 또는 제2 청소기(300)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유로부(180)는 제1 유로(181), 제2 유로(182) 및 유로 전환 밸브(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결합면(121)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먼지 집진부(17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먼지 통과 홀(121a)에서 후측으로 형성된 공간일 수 있고, 먼지 통과 홀(121a)에서 하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먼지 및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일 수 있다. 제1 유로(181)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유로(182)는 제2 청소기(300)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로(182)를 통해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전환 밸브(183)는 먼지 집진부(170)과, 제1 유로(181) 및 제2 유로(18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전환 밸브(183)는 먼지 집진부(170)과 연결되는 제1 유로(181)와 제2 유로(18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181, 182)가 개방됨으로써 발생하는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제1 청소기(200)만 결합된 경우, 유로 전환 밸브(183)는 제1 유로(181)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시키고, 제2 유로(182)와 먼지 집진부(170)의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제2 청소기(300)만 결합된 경우, 유로 전환 밸브(183)는 제1 유로(181)와 먼지 집진부(170)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제2 유로(182)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제1 청소기(200)와 제2 청소기(300)가 모두 결합되는 경우, 유로 전환 밸브(183)는 제1 유로(181)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시키고, 제2 유로(182)와 먼지 집진부(170)의 연결을 분리시켜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먼저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유로 전환 밸브(183)는 제1 유로(181)와 먼지 집진부(170)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제2 유로(182)와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시켜 제2 청소기(30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제1 청소기(200)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먼지 흡입 모듈(19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 흡입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흡입 모듈(190)은 집진 모터(191), 제1 필터(192) 및 제2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먼지 집진부(1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제1 유로(181)와, 제2 유로(182)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191)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와,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집진 모터(191)는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192)는 먼지 집진부(170)와 집진 모터(1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192)는 프리 필터일 수 있다.
제2 필터(미도시)는 집진 모터(191)와 외벽면(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미도시)는 헤파(HEPA) 필터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먼지 집진부(170)와 먼지 흡입 모듈(190)을 관통하는 가상의 균형 유지 공간(R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균형 유지 공간(R1)은 지면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공간일 수 있고, 균형 유지 공간(R1)의 내부에는 적어도 집진 모터(191)가 수용될 수 있다. 즉, 균형 유지 공간(R1)은 집진 모터(191)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상의 원통형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균형 유지 공간(R1) 내에 배치된 구성은 그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먼지 흡입 모듈(190)로 집중될 수 있다. 이때, 먼지 흡입 모듈(190)은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오뚝이(roly poly)와 유사하게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제1 청소기(2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충전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부(128)는 결합면(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충전부(128)의 위치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구비된 충전용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면, 충전부(128)는 제1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충전부(128)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하부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충전부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청소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충전기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청소기(3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측면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먼지 집진부(17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먼지 집진부(17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결합부(120), 고정 유닛(130), 도어 유닛(140), 커버 개방 유닛(150), 레버 당김 유닛(160), 먼지 집진부(170), 유로부(180) 및 먼지 흡입 모듈(19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하우징(110) 내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하여, 제어부(400)와 고정 유닛(130), 도어 유닛(140), 커버 개방 유닛(150) 및 레버 당김 유닛(160)은 가깝게 배치되므로, 응답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400)는 하우징(1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먼지 흡입 모듈(19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하여, 제어부(400)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집진 모터(191)와 가깝게 배치되고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로 이동되면,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 센서(125)가 감지할 수 있는 소정 영역을 통과한다. 예를 들어,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하우징(230)은 결합 센서(125)와 접촉할 수 있고,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가 제1 청소기(200)의 결합을 감지하면,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결합 센서(1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의 정위치에 결합되면, 먼지통(220)의 하측면과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면이 결합면(121)과 접촉하게 되고, 충전부(128)와 제1 청소기(200)의 충전용 단자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128)를 통하여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4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부(128)에서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충전부(128)가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40)로 전력을 공급하는지 여부를 통하여 청소기(200)가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를 작동시켜, 제1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131) 또는 고정부 링크(135)가 소정 고정 지점(FP1)까지 이동하면, 고정 감지부(137)가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고정 감지부(137)로부터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00)의 비움이 종료되면, 고정부 모터(13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청소기(2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를 작동시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도어(14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141) 또는 도어 암(143)이 소정 개방 위치(DP1)에 도달하면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 개폐 감지부(137)로부터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00)의 비움이 종료되면, 도어 모터(1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4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를 작동시켜, 제1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먼지 통과 홀(121a)과 먼지통(22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스테이션(100)과 제1 청소기(200)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유로적 결합).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가이드 프레임(151e)이 소정 개방 위치(CP1)에 도달하면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커버 개방 감지부(155f)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및 회전 구동 모터(164)를 작동시켜 레버 당김 암(161)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길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암 기어(162)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암 기어(162)가 압축 레버(223)를 당길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 구동 모터(164)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1)을 당기기 위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암 이동 감지부(165)는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00)의 비움이 종료되면,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및 회전 구동 모터(16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레버 당김 암(161)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접합 구동부(174) 및 제2 접합 구동부(175)를 작동시켜 롤 비닐(미도시)를 접합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유로부(180)의 유로 전환 밸브(18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제1 유로(181) 및 제2 유로(18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켜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흡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표시부(500)를 작동시켜 제1 청소기(200) 또는 제2 청소기(300)에 대한 먼지통 비움 상황 및 충전 상황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어부(400)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표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0)는 하우징(110)에 배치되는 것은 물론, 별도의 표시 장치에 배치될 수 있고, 휴대 전화를 포함한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500)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500)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은 결합 확인 단계(S10), 먼지통 고정 단계(S20), 도어 개방 단계(S30), 커버 개방 단계(S40), 먼지통 압축 단계(S50), 집진 단계(S60), 먼지통 추가 압축 단계(S70), 집진 종료 단계(S80), 도어 폐쇄 단계(S90), 압축 종료 단계(S100) 및 고정 해제 단계(S110)를 포함한다.
결합 확인 단계(S10)에서는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확인 단계(S10)에서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면, 가이드 돌기(123)에 배치된 결합 센서(125)가 배터리 하우징(230)과 접촉할 수 있고,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측벽(124)에 배치된 비접촉 센서 타입의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22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고,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센서(125)가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하여 먼지통(220)이 결합 센서(125)를 누를 수 있고,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결합 센서(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확인 단계(S10)에서 제어부(400)는 결합 센서(125)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결합 확인 단계(S10)에서 제어부(400)는 충전부(128)가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력을 공급하는지 여부를 통하여 제1 청소기(200)가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 확인 단계(S10)에서 제어부(400)는 결합 센서(125)로부터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부(128)를 통하여 배터리(240)에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먼지통 고정 단계(S20)는 제1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면, 먼지통(200)을 고정부재(130)가 잡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결합 센서(125)로부터 제1 청소기가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고정부재(131)가 먼지통(220)을 고정시키도록 고정부 모터(133)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31) 또는 고정부 링크(135)가 먼지통 고정 위치(FP1)까지 이동하면, 제1 고정 감지부(137a)가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1 고정 감지부(137a)로부터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어 개방 단계(S30)에서는 먼지통(220)이 고정되면, 도어(141)를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1 고정 감지부(137a)로부터 먼지통(220)이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모터(142)를 정방향으로 작동시켜 먼지 통과 홀(121a)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 암(143)이 제1 도어 개폐 감지부(144a)가 배치된 개방 위치(DP1)까지 이동하면, 제1 도어 개폐 감지부(144a)는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1 도어 개폐 감지부(144a)로부터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커버 개방 단계(S40)에서는 도어(141)가 개방되면,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1 도어 개폐 감지부(144a)로부터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커버 개방 모터(152)를 정방향으로 작동시켜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 본체(2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가이드 프레임(151e)이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가 배치된 커버소정 개방 위치(CP1)에 도달하면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단계(S50)에서는 배출 커버(222)가 개방되면, 먼지통(220) 내부를 압축시킬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단계(S50)는 제1 압축 준비 단계(S51), 제2 압축 준비 단계(S52) 및 레버 당김 단계(S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축 준비 단계(S51)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높이까지 스트로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스트로크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2 압축 준비 단계(S52)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로부터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구동 모터(164, 216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당길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함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 구동 모터(164, 2164)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레버 당김 단계(S53)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통하여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적어도 한번 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2 압축 준비 단계(S52) 후,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당기기 위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압축 레버(223)가 당겨졌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단계(S50)에 의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키기 전에 먼지통(220) 내의 먼지를 미리 압축시켜, 먼지통(220) 내부에 잔여물의 발생을 예방하고, 집진 모터(191)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집진 단계(S60)에서는 배출 커버(222)가 개방되고 먼지통(220) 내부가 압축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켜,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집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로부터 압축 레버(223)가 당겨졌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집진 단계(S60)에 의하면,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는 먼지 통과 홀(121a) 및 제1 유로(181)를 통과하여 먼지 집진부(170)에 집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220)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지통 추가 압축 단계(S70)에서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 중에 먼지통(220) 내부를 압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당김 단계(S53) 후에,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기기 이전의 높이(LP2)까지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먼지통 압축 레버(223) 또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다시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정방향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즉시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기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먼지통 추가 압축 단계(S70)는 적어도 1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먼지통 추가 압축 단계(S70)의 수행 횟수는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부(미기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센서 등을 통하여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지통 추가 압축 단계(S70)에 의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키기 중에 먼지통(220) 내의 먼지를 압축시켜, 집진 모터(191)의 작동에도 잔존하는 먼지를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집진 종료 단계(S80)에서는 집진 모터(191)가 소정 시간동안 작동되면, 집진 모터(191)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타이머(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집진 모터(191)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집진 모터(191)의 작동 시간은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부(미기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센서 등을 통하여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 폐쇄 단계(S90)에서는 집진 종료 단계(S80) 후, 도어(141)를 닫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을 종료시킨 후, 도어 모터(142)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먼지 통과 홀(121a)을 적어도 일부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도어 폐쇄 단계(S90)에서는 먼지통(220)에 대한 집진을 종료한 후, 도어(141)를 회전시켜 먼지 통과 홀(121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141)와 서로 지지되고 있는 배출 커버(222)는 도어(141)에 의하여 회전되어 먼지통 본체(221)와 체결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은 닫힐 수 있다.
이때, 도어 암(143)이 제2 도어 개폐 감지부(144b)가 배치된 폐쇄 위치(DP2)까지 이동하면, 제2 도어 개폐 감지부(144b)는 도어(141)가 닫혔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2 도어 개폐 감지부(144b)로부터 도어(141)가 닫혔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41)가 닫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닫혔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통(220)에 대한 집진이 종료된 후, 자동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도어(141)를 폐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배출 커버(222)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유로부(180)와 먼지통(220)의 내부 공간의 유로적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압축 종료 단계(S100)에서는 도어 폐쇄 단계(S90) 후, 레버 당김 암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압축 종료 단계(S100)는 제1 복귀 단계(S101) 및 제2 복귀 단계(S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귀 단계(S101)에서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을 원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2 도어 개폐 감지부(144b)로부터 도어(141)가 닫혔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구동 모터(164, 2164)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원위치까지 회전함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 구동 모터(164, 2164)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2 복귀 단계(S102)에서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을 원위치로 스트로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원위치(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위치: LP1)까지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원위치까지 이동되었음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스트로크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초기 위치(LP1)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고정 해제 단계(S110)에서는 도어(141)가 닫히면, 고정부 모터(133)를 작동시켜 고정부재(131)가 먼지통(22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로부터 초기 위치(LP1)에 도달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먼지통(220)의 고정을 해제시키도록 고정부 모터(13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31) 또는 고정부 링크(135)가 먼지통 고정 해제 위치(FP2)까지 이동하면, 제2 고정 감지부(137b)가 제1 청소기(200)의 고정이 해제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2 고정 감지부(137b)로부터 제1 청소기(200)의 고정이 해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청소기(200)의 고정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청소기(200)의 고정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도어(141)에 의해 먼지 통과 홀(121a)이 폐쇄되고, 먼지통(220)의 배출 커버(222)가 폐쇄되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유로부(180)와 먼지통(220)의 내부 공간의 유로적 연결이 차단되면, 먼지통(220)의 고정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제1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은 결합 확인 단계(S10), 먼지통 고정 단계(S20), 도어 개방 단계(S30), 커버 개방 단계(S40), 집진 단계(S60), 먼지통 압축 단계(S70`), 집진 종료 단계(S80), 도어 폐쇄 단계(S90), 압축 종료 단계(S100) 및 고정 해제 단계(S110)를 포함한다.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에서 결합 확인 단계(S10), 먼지통 고정 단계(S20), 도어 개방 단계(S30), 커버 개방 단계(S40), 집진 종료 단계(S80), 도어 폐쇄 단계(S90), 압축 종료 단계(S100) 및 고정 해제 단계(S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개방 단계(S40) 후, 집진 단계(S60)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진 단계(S60)에서는 배출 커버(222)가 개방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켜,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집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집진 단계(S60)에 의하면,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는 먼지 통과 홀(121a) 및 제1 유로(181)를 통과하여 먼지 집진부(170)에 집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220)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먼지통 압축 단계(S70`)에서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 중에 먼지통(220)을 압축시킬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단계(S70`)는 제1 압축 준비 단계(S71`), 제2 압축 준비 단계(S72`), 레버 당김 단계(S73`) 및 추가 당김 단계(S7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압축 준비 단계(S71`) 및 제2 압축 준비 단계(S72`)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 후에 수행되는 것은 물론, 집진 모터(191)의 작동 전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압축 준비 단계(S71`)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높이까지 스트로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스트로크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2 압축 준비 단계(S72`)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로부터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구동 모터(164, 216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당길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함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 구동 모터(164, 2164)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레버 당김 단계(S73`)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통하여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적어도 한번 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2 압축 준비 단계(S72`) 후,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당기기 위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압축 레버(223)가 당겨졌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추가 당김 단계(S74`)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통하여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추가로 당길 수 있다.
이때, 추가 당김 단계(S74`)의 수행 여부 및 수행 회수는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부(미기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센서 등을 통하여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버 당김 단계(S73`) 후에,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기기 이전의 높이(LP2)까지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먼지통 압축 레버(223) 또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다시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정방향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즉시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기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 모터(191)의 작동 중에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적정 횟수 당김으로써 먼지통(220)을 비우는 데에 사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은 결합 확인 단계(S10), 먼지통 고정 단계(S20), 도어 개방 단계(S30), 커버 개방 단계(S40), 먼지통 압축 단계(S50`), 집진 단계(S60), 집진 종료 단계(S80), 도어 폐쇄 단계(S90), 압축 종료 단계(S100) 및 고정 해제 단계(S110)를 포함한다.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3 실시예에서 결합 확인 단계(S10), 먼지통 고정 단계(S20), 도어 개방 단계(S30), 커버 개방 단계(S40), 집진 종료 단계(S80), 도어 폐쇄 단계(S90), 압축 종료 단계(S100) 및 고정 해제 단계(S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단계(S50`)는 제1 압축 준비 단계(S51`), 제2 압축 준비 단계(S52`), 레버 당김 단계(S53`) 및 추가 당김 단계(S54`)를 포함한다.
제1 압축 준비 단계(S51`)에서는 제어부(400)는 제1 커버 개방 감지부(155fa)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높이까지 스트로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스트로크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2 압축 준비 단계(S52`)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로부터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누를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구동 모터(164, 216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당길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함을 감지하면 레버 당김 암(163, 2163)이 목표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 구동 모터(164, 2164)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레버 당김 단계(S53`)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통하여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적어도 한번 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제2 압축 준비 단계(S52`) 후,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당기기 위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압축 레버(223)를 당겼을 때의 위치(LP3)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압축 레버(223)가 당겨졌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추가 당김 단계(S54`)에서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통하여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추가로 당길 수 있다.
이때, 추가 당김 단계(S54`)의 수행 여부 및 수행 회수는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부(미기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센서 등을 통하여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버 당김 단계(S53`) 후에, 제어부(400)는 레버 당김 암(161, 2161)을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기기 이전의 높이(LP2)까지 이동시키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먼지통 압축 레버(223) 또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즉, 암 이동 감지부(165, 2165)는 암 기어(162) 또는 샤프트(2166)가 최대 스트로크 이동 위치(LP2)에 다시 도달함을 감지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암 이동 감지부(165, 21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의 정방향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즉시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당기도록 스트로크 구동 모터(163, 216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 압축 단계(S50`) 후, 집진 단계(S60)를 수행한다.
따라서, 집진 단계(S60)에서는 배출 커버(222)가 개방되고 먼지통(220) 내부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압축되면,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켜,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집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적정 횟수 당긴 후 집진 모터(191)의 작동시켜 먼지통(220)을 비우는 데에 사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에서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은 결합 확인 단계(S10), 먼지통 고정 단계(S20), 도어 개방 단계(S30), 커버 개방 단계(S40), 집진 단계(S60), 집진 종료 단계(S80), 도어 폐쇄 단계(S90), 압축 종료 단계(S100) 및 고정 해제 단계(S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없는 제1 청소기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시키거나, 신속한 먼지통 비움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적용 여부는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부(미기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센서 등을 통하여 먼지통 압축 레버(223)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220)을 압축시키는 단계를 제외시켜 가장 신속하게 먼지통(220)을 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청소기 시스템 100: 청소기 스테이션
110: 하우징 120: 결합부
121: 결합면 121a: 먼지 통과 홀
130: 고정 유닛 131: 고정부재
133: 고정부 모터 134: 고정부 기어
135: 고정부 링크 140: 도어 유닛
141: 도어 142: 도어 모터
143: 도어 암 150: 커버 개방 유닛
151: 푸쉬 돌기 152: 커버 개방 모터
153: 커버 개방 기어 154: 기어 박스
160: 레버 당김 유닛 161: 레버 당김 암
162: 암 기어 163: 스트로크 구동 모터
164: 회전 구동 모터 170: 먼지 집진부
180: 유로부 181: 제1 유로
182: 제2 유로 183: 유로 전환 밸브
190: 먼지 흡입 모듈 191: 집진 모터
200: 제1 청소기 210: 본체
212: 흡입부 213: 먼지 분리부
214: 흡입 모터 216: 핸들
220: 먼지통 222: 배출 커버
222c: 결합 레버 223: 먼지통 압축 레버
230: 배터리 하우징 240: 배터리
250: 연장관 260: 청소 모듈
300: 제2 청소기 400: 제어부

Claims (10)

  1. 먼지통을 포함하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먼지통 본체;
    상기 먼지통 본체의 일측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배출 커버가 상기 먼지통 본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될 시 상기 먼지통 본체에 대한 상기 배출 커버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외벽면;
    상기 외벽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청소기의 외주면이 결합되는 먼지통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먼지 통과 홀;
    상기 먼지통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흡입력을 형성하는 집진 모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집진 모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통하여 유동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배출 커버를 개방하는 커버 개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개방 유닛은,
    상기 배출 커버가 개방되어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과 상기 먼지 통과 홀이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하는 푸쉬 돌기; 및
    상기 푸쉬 돌기를 구동시키는 커버 개방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돌기는,
    상기 먼지통 가이드면에 형성된 돌기 이동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커버 개방 모터의 구동에 의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되며,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중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돌기가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한 후, 상기 집진 모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는 결합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 가이드면은,
    상기 결합면과 연결되고, 상기 먼지통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면의 연장 방향과 상기 먼지통 가이드면의 연장 방향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면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외벽면;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외벽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외벽면;
    상기 제1 외벽면과 상기 제2 외벽면을 연결하는 제3 외벽면; 및
    상기 제3 외벽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외벽면;
    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 가이드면은,
    상기 제1 외벽면에서부터 상기 결합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 가이드면은,
    상기 제1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결합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통과 상기 먼지 집진부를 연결하는 유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먼지 통과 홀에서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형성된 후 하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먼지통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커버는,
    상기 먼지통 본체에서 상기 결합 레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힌지부가 상기 결합 레버보다 중력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KR1020230009696A 2020-06-22 2023-01-25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2023001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696A KR20230019183A (ko) 2020-06-22 2023-01-25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01A KR20210019940A (ko) 2020-06-22 2020-06-22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20111664A KR102676001B1 (ko) 2022-09-02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30009696A KR20230019183A (ko) 2020-06-22 2023-01-25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664A Division KR102676001B1 (ko) 2020-06-22 2022-09-02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183A true KR20230019183A (ko) 2023-02-07

Family

ID=7468821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01A KR20210019940A (ko) 2020-03-03 2020-06-22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10109701A KR102441608B1 (ko) 2020-06-22 2021-08-19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20069933A KR20220083994A (ko) 2020-06-22 2022-06-09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30009696A KR20230019183A (ko) 2020-06-22 2023-01-25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30171351A KR20230169030A (ko) 2020-06-22 2023-11-30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01A KR20210019940A (ko) 2020-03-03 2020-06-22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10109701A KR102441608B1 (ko) 2020-06-22 2021-08-19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220069933A KR20220083994A (ko) 2020-06-22 2022-06-09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1351A KR20230169030A (ko) 2020-06-22 2023-11-30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30346185A1 (ko)
EP (1) EP4169429A1 (ko)
KR (5) KR20210019940A (ko)
CN (1) CN115768324A (ko)
AU (1) AU2021297503A1 (ko)
TW (1) TWI802911B (ko)
WO (1) WO2021261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189B1 (ko) * 2020-10-0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KR20220127060A (ko) * 2021-03-10 202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20220168476A (ko) * 2021-06-16 2022-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시스템
KR20220170572A (ko) * 2021-06-23 2022-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AU2022321358A1 (en) 2021-08-06 2024-02-22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ing device, cleaner, and cleaner station
KR20230022476A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20230022799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
AU2022346426A1 (en) * 2021-09-14 2024-04-04 Lg Electronics Inc. Cleaner station
KR20230040176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0177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0552A (ko) *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30075269A (ko) * 2021-11-22 202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집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3132732A1 (ko) * 2022-01-10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153728A1 (ko) * 2022-02-10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 자동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거치대 및 이의 청정 스테이션
KR20230133658A (ko)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6A (ko) *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5A (ko) *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33657A (ko)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20230165439A (ko) * 2022-05-27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102648465B1 (ko) * 2022-11-21 2024-03-18 이동민 청소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240081936A (ko) * 2022-12-01 202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13B1 (ko) * 2010-11-03 2015-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자동배출 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DE102014119192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4119191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CN107811578B (zh) 2014-12-24 2020-12-04 美国iRobot公司 排空站
JP6648618B2 (ja) * 2016-04-14 2020-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JP6806545B2 (ja) * 2016-11-30 2021-01-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7054611B2 (ja) * 2017-06-22 2022-04-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6986871B2 (ja) * 2017-06-22 2021-12-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CN109124461B (zh) 2017-06-28 2024-03-15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手持吸尘器及吸尘器组合件
AU2019306655A1 (en) * 2018-07-20 2021-02-2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KR102369480B1 (ko) 2018-09-14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40A (ko) 2021-02-23
TWI802911B (zh) 2023-05-21
KR102441608B1 (ko) 2022-09-08
CN115768324A (zh) 2023-03-07
AU2021297503A1 (en) 2023-02-23
US20240122428A1 (en) 2024-04-18
KR20210157905A (ko) 2021-12-29
KR20230169030A (ko) 2023-12-15
KR20220125206A (ko) 2022-09-14
WO2021261811A1 (ko) 2021-12-30
TW202210022A (zh) 2022-03-16
EP4169429A1 (en) 2023-04-26
US20230346185A1 (en) 2023-11-02
KR20220083994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608B1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JP7498786B2 (ja) 掃除機ステーション、掃除機システムおよび掃除機ステー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
TWI789813B (zh) 吸塵器停靠站
TWI797665B (zh) 吸塵器停靠站
KR20220006981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102676001B1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KR20220006986A (ko) 청소기 시스템
KR102502059B1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CN219461030U (zh) 清洁器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