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632A -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632A
KR20230018632A KR1020210100414A KR20210100414A KR20230018632A KR 20230018632 A KR20230018632 A KR 20230018632A KR 1020210100414 A KR1020210100414 A KR 1020210100414A KR 20210100414 A KR20210100414 A KR 20210100414A KR 20230018632 A KR20230018632 A KR 20230018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bicycle
image recognition
warning system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646B1 (ko
Inventor
신수용
김훈희
김은섭
Original Assignee
유알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알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알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6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62J3/10Electr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핸들 및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유닛이 포함된 자전거와, 상기 자전거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추돌대상을 인식하여 추돌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핸들에 형성되어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나 사물로 된 상기 추돌대상을 인식하고 추돌거리를 분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추돌거리에 따라 음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bicycles using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은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주행 경로 전방에 위치된 사람 또는 사물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추돌이 발생되기 전 사용자에게 알려 사고를 피할 수 있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오랫동안 대중교통수단 및 레저수단의 일부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환경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공감대의 형성에 의해 환경 친화적 교통수단의 대명사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형성되어 있어 자전거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자전거 도로는 인도와 접해있기 때문에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자전거 도로에서 걸어 나가거나 길을 막는 등 자전거 주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전거의 경우 운전자가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 또는 사물에 의해 정지를 하는 경우 제동거리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추돌에 의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자전거의 경우 운전자가 장시간 운전으로 인해 피로가 쌓이는 경우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 고개를 숙여 바닥을 보며 주행하는 경우가 잦은데, 이때 전방 주시 태만으로 인해 전방에 주차된 자동차와 추돌하거나 전방에 보행 중인 사람을 치면서 사고가 발생된다.
즉, 기존의 자전거에는 이러한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운전자의 시야에 의해 인식 된 후 제동이 되므로 사고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743721호는 자전거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충돌을 경보하는 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단순히 신호를 송출한 후 반사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게 되는데, 정지된 상태의 물체는 접근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접근거리를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나 움직이는 사람이나 사물의 경우 접근속도가 빨라지면서 운전자가 인지하기 전에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74372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검출하고 추돌이 발생되기 전에 운전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나 사물의 추적대상을 인식한 후 추적대상이 움직이는 방향을 추적하고 자전거의 주행방향에 접근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에 존재하는 추적대상이 움직이는 것인지 고정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주행 경로로 안내할 수 있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은 프레임, 핸들 및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유닛이 포함된 자전거와, 상기 자전거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추돌대상을 인식하여 추돌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핸들에 형성되어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나 사물로 된 상기 추돌대상을 인식하고 추돌거리를 분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추돌거리에 따라 음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돌대상을 분석할 때 머신러닝을 통해 사람 및 사물, 이동체 및 비이동체인지 구별할 수 있으며, 상기 추돌대상이 이동체인 경우 비이동체의 추돌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돌대상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추돌대상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자전거의 주행 방향으로 진입할지 예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추돌대상과 설정된 범위 내로 가까워지면 상기 제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자전거를 감속 또는 정지 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정한 시간으로 분할하여 저장하고, 상기 자전거가 상기 추돌대상과 추돌하였을 때 전후 영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핸들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지형지물 및 상기 추돌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분석된 상기 추돌대상 정보에 상기 라이다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반영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의하면, 주행 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검출하고 추돌이 발생되기 전에 운전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이나 사물의 추적대상을 인식한 후 추적대상이 움직이는 방향을 추적하고 자전거의 주행방향에 접근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의하면, 전방에 존재하는 추적대상이 움직이는 것인지 고정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주행 경로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이 적용된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이 전방의 움직이는 사람을 검출하여 추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주행 경로 전방에 위치된 사람 또는 사물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추돌이 발생되기 전 사용자에게 알려 사고를 피할 수 있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이 적용된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이 전방의 움직이는 사람을 검출하여 추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100)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은 프레임(130), 핸들(110) 및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유닛(120)이 포함된 자전거(100)와, 자전거(100)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추돌대상을 인식하여 추돌을 경고하는 경고장치(200)를 포함하며, 경고장치(200)는 핸들(110)에 형성되어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메라(210)와,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나 사물로 된 추돌대상을 인식하고 추돌거리를 분석하는 제어부(230)와, 제어부(230)에 의해 분석된 추돌거리에 따라 음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출력부(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추돌대상을 분석할 때 머신러닝을 통해 사람 및 사물, 이동체 및 비이동체인지 구별할 수 있으며, 추돌대상이 이동체인 경우 비이동체의 추돌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추돌대상이 움직이는 경우 추돌대상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자전거(100)의 주행 방향으로 진입할지 예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100)는 프레임(1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바퀴를 페달로 구동시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프레임(130)의 전방에는 핸들(110)이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핸들(110)을 잡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핸들(110)에는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해 형성된 제동유닛(120)을 구동하기 위한 레버(121)가 마련되어 있으며, 레버(121)의 가압력에 따라 제동유닛(120)이 바퀴와 접촉되는 강도가 높아지면서 자전거(100)의 속도를 감속 및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자전거(100)에 관한 세부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경고장치(200)는 자전거(100)의 프레임(130)에 형성되거나 핸들(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전거(100)의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여 자전거(100)와 추돌이 발생될 수 있는 추돌대상을 분석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추돌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경고장치(200)에 형성되는 카메라(210)는 자전거(100)의 핸들(110)에 형성되어 자전거(100)가 주행하는 전방 또는 핸들(110)의 회전 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210)는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230)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부(230)는 전송된 촬영 영상 내에서 주행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여 추돌대상을 분석하게 된다.
제어부(230)는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 또는 사물을 구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더 나아가 인식된 사람 또는 사물이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230)는 단순히 사람과 사물만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에 존재하는 추돌대상이 움직일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전방에서 이동되는 추돌대상이 주행경로로 진입하여 추돌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추돌대상이 사람 또는 이동가능한 사물로 판단되는 경우 자전거(100)의 주행경로로 쉽게 이동될 수 있고, 돌발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동체로 판단된 추돌대상은 정지된 사물 또는 비이동체 사물 보다 경고 수위를 높여 운전자가 안전거리를 두고 주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전방의 주행경로 주변에 사람이 인식된 경우 5~10m의 거리에서 1차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출력부(240)를 제어하게 되며, 이후 거리가 5m 내로 가까워지면 2차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경고음은 출력부(240)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되거나 운전자의 안전모에 형성된 골전도 스피커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주변 소음에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부(240)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500), 운전자가 착용한 이어셋, 이어폰, 골전도 이어폰으로 구성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소리로 안내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1차 경고음은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1초에 한 번 경고음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자전거(100)의 속도가 줄어드는 경우 운전자가 전방의 추돌대상을 인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경고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2차 경고음은 1초에 2~3번 정도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며, 1차 경고음과 동일하게 자전거(100)의 속도가 더 줄어들거나 전방의 추돌대상이 카메라(210)로부터 벗어나 인식이 되지 않으면 2차 경고음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30)는 비이동체가 추돌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1차 경고음은 발생되지 않고 2차 경고음만 발생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제어부(230)는 머신러닝 방식을 이용해 사람과 사물을 구별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사물이 움직이는 이동체인지,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된 비이동체인지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추돌대상이 이동체인 경우 현재 추돌대상의 이동 방향을 측정 및 추적할 수 있으며, 추돌대상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자전거(100)의 주행 방향으로 추돌대상이 진입할지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고장치(200)에는 배터리(220)가 내장되어 있어 카메라(210), 제어부(230), 출력부(2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220)는 자전거(100)의 바퀴와 연동되어 바퀴의 회전에 따라 자가 발전되는 발전기와 연결되어 주행 중 배터리(220)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고장치(200)는 핸들(110)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지형지물 및 추돌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센서(25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230)는 카메라(210)를 통해 분석된 추돌대상 정보에 라이다센서(25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반영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이다센서(250)는 카메라(210)를 통해 인식된 추돌대상의 거리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라이다센서(250)를 통해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 사물, 지형지물의 위치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230)는 카메라(210)를 통해 취득된 영상정보와 라이다센서(250)를 통해 취득된 위치 및 거리정보를 병합하여 인식된 추돌대상의 위치, 거리,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이다센서(250)의 경우 야간에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메라(210)의 영상에서 인식되지 않은 추돌대상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출력부(24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230)는 카메라(210)의 영상정보와 라이다센서(250)에서 취득된 신호 중 어느 하나에서 추돌대상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미인식되거나 영상에서 윤곽이 명확하게 검출되지 않더라도 라이다센서(250)를 통해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210)의 경우 야간에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 투시 방식으로 변환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230)는 촬영된 영상에서 윤곽을 통해 사람 또는 사물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고장치(200)는 제어부(230)에 의해 분석된 추돌대상과 설정된 범위 내로 가까워지면 제동유닛(120)을 동작시켜 자전거(100)를 감속 또는 정지 시키는 구동유닛(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유닛(300)은 전방의 추돌대상이 검출된 상태에서 자전거(100)의 속도가 감속되지 않을 경우 바퀴를 제동하는 제동유닛(120)을 전자적으로 동작시켜 자전거(100)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켜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자전거(100)에 형성된 제동유닛(120)은 레버(121)가 당겨지면 와이어가 이동되면서 동작되게 되는데, 와이어에 구동유닛(300)이 형성되어 와이어를 강제로 당겨 제동유닛(120)이 동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추돌대상이 자전거(100)의 주행경로 전방에 위치되고 경고음이 송출된 이후에도 속도가 감소되지 않은 경우 구동유닛(300)을 이용하여 자전거(100)의 속력을 감속시키게 된다.
이때 감속된 상태에서 핸들(110)이 틀어져 주행경로가 변경되거나 전방에 존재하는 추돌대상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구동유닛(300)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자전거(100)가 정상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반면, 추돌대상이 전방에 존재한 상태에서 거리가 지속적으로 가까워지면 구동유닛(300)은 자전거(100)가 추돌하지 않도록 속도를 완전히 감속시켜 추돌 전에 자전거(100)가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경고장치(200)는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400)을 더 포함하며, 저장유닛(400)은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정한 시간으로 분할하여 저장하고, 자전거(100)가 추돌대상과 추돌하였을 때 전후 영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유닛(400)은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여 블랙박스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1분 간격으로 분할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저장유닛(400)에는 충격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있어 자전거(100)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시점으로부터 ??30초 +30초의 영상을 별도로 저장하여 사고 발생시점의 추돌영상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격감지센서 외에 제어부(230)를 통해 인식된 추돌대상과의 거리가 0이 되는 경우 저장유닛(400)에 사고로 판단하여 영상을 저장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경고장치(200)는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500)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어 있어 제어부(2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단말기(500)를 통해 사고가 발생된 경우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사고 영상 및 사고위치, 사고시간을 전송하여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고장치(200)에는 GPS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격량에 따라 인근 병원이나 119로 자동 신고되도록 하여 사고 발생 후 방치되어 2차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500)를 통해 주행거리, 주행시간, 주행경로를 저장유닛(400)에 저장하여 트래킹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에 의하면, 주행 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검출하고 추돌이 발생되기 전에 운전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고, 사람이나 사물의 추적대상을 인식한 후 추적대상이 움직이는 방향을 추적하고 자전거의 주행방향에 접근 여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전방에 존재하는 추적대상이 움직이는 것인지 고정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주행 경로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자전거
110 : 핸들
120 : 제동유닛
121 : 레버
130 : 프레임
200 : 경고장치
210 : 카메라
220 : 배터리
230 : 제어부
240 : 출력부
250 : 라이다센서
300 : 구동유닛
400 : 저장유닛
500 : 단말기

Claims (6)

  1. 프레임, 핸들 및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유닛이 포함된 자전거와;
    상기 자전거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추돌대상을 인식하여 추돌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핸들에 형성되어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나 사물로 된 상기 추돌대상을 인식하고 추돌거리를 분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추돌거리에 따라 음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돌대상을 분석할 때 머신러닝을 통해 사람 및 사물, 이동체 및 비이동체인지 구별할 수 있으며, 상기 추돌대상이 이동체인 경우 비이동체의 추돌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돌대상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추돌대상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자전거의 주행 방향으로 진입할지 예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추돌대상과 설정된 범위 내로 가까워지면 상기 제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자전거를 감속 또는 정지 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정한 시간으로 분할하여 저장하고, 상기 자전거가 상기 추돌대상과 추돌하였을 때 전후 영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핸들에 형성되어 전방에 존재하는 지형지물 및 상기 추돌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분석된 상기 추돌대상 정보에 상기 라이다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반영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KR1020210100414A 2021-07-30 2021-07-30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KR10258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14A KR102585646B1 (ko) 2021-07-30 2021-07-30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14A KR102585646B1 (ko) 2021-07-30 2021-07-30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32A true KR20230018632A (ko) 2023-02-07
KR102585646B1 KR102585646B1 (ko) 2023-10-06

Family

ID=8522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414A KR102585646B1 (ko) 2021-07-30 2021-07-30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6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235A (ko) * 2012-03-07 2013-09-17 (주) 세인 차량용 블랙박스, 감시카메라장치 및 이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고영상 처리방법
KR101743721B1 (ko) 2016-04-18 2017-06-05 박철승 자전거 충돌 방지 장치
JP2017108214A (ja) * 2015-12-07 2017-06-15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自転車走行用聴取装置および自転車システム
KR20170086197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9182170A (ja) * 2018-04-09 2019-10-24 スズキ株式会社 小型電動車両
KR20210056158A (ko) * 2019-11-08 2021-05-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탈 것을 위한 전후방주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235A (ko) * 2012-03-07 2013-09-17 (주) 세인 차량용 블랙박스, 감시카메라장치 및 이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고영상 처리방법
JP2017108214A (ja) * 2015-12-07 2017-06-15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自転車走行用聴取装置および自転車システム
KR20170086197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43721B1 (ko) 2016-04-18 2017-06-05 박철승 자전거 충돌 방지 장치
JP2019182170A (ja) * 2018-04-09 2019-10-24 スズキ株式会社 小型電動車両
KR20210056158A (ko) * 2019-11-08 2021-05-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탈 것을 위한 전후방주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646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060B1 (ko) 보행자 추돌 사고 방지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60854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690517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EP32734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a vehicle for recognizing a pedestrian
JP4309843B2 (ja) 車両の衝突を阻止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3987577B (zh) 用于监视和信号化车辆的周围环境中的交通情况的方法
CN108501949B (zh) 信息处理装置以及记录介质
KR101489836B1 (ko) 보행자 감지 및 충돌 회피 장치 및 방법
US9524643B2 (en) Orientation sensitive traffic collision warning system
US20040246114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 vehicle
GB2511748A (e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KR20200011813A (ko) 라이다 센서 기반의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040604A (ko)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한 충돌 회피 장치 및 방법
KR20210083459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2678A (ko) 차량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018142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4313712B2 (ja) 走行安全装置
KR20200058642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1860B1 (ko) 운전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8783B1 (ko) 보조 능동 안전을 위한 전방 차량의 진행 방향과 운전자 시선 방향을 이용하는 장애물 회피 운동 검출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30018632A (ko)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KR20160123110A (ko)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KR102310433B1 (ko) 보행자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9780A (ko)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220071560A (ko) 긴급제동 상황에서의 보행자 경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